KR20090048352A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352A
KR20090048352A KR1020080110358A KR20080110358A KR20090048352A KR 20090048352 A KR20090048352 A KR 20090048352A KR 1020080110358 A KR1020080110358 A KR 1020080110358A KR 20080110358 A KR20080110358 A KR 20080110358A KR 20090048352 A KR20090048352 A KR 20090048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hole
partition member
heat exchanger
partition
head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1033B1 (ko
Inventor
오광헌
임홍영
전영하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US12/741,936 priority Critical patent/US8701750B2/en
Priority to CN2008801239313A priority patent/CN101910775B/zh
Priority to DE112008003011.1T priority patent/DE112008003011B4/de
Priority to PCT/KR2008/006590 priority patent/WO2009061157A2/en
Publication of KR20090048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91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combined with a particular flow pattern, e.g. multi-row multi-stag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02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 F28F9/0204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85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0/00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e.g. flow guiding means; Particular flow patterns
    • F28F2250/04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 내에서 유로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연통홀의 위치 및 크기를 최적화한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의 유동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연통홀의 위치 및 크기를 최적화하며, 또한 연통홀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설계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더불어 냉매의 유동을 개선시켜 온도 분포를 고르게 함으로써 열교환성능이 향상되는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폐쇄되어 내부에 냉매유로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폭 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격벽(11) 및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길이 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구획부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상기 헤더탱크(10)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튜브(20); 및 상기 튜브(2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핀(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교환기(100)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12) 및 이와 인접한 상기 헤더탱크(10)의 일측 단부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된 상기 격벽(11) 상에 연통홀(15)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재(12)로부터 상기 헤더탱크(10)의 일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100%라 할 때, 0~50%의 범위, 65~100%의 범위, 0~50%의 범위 및 65~100%의 범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범위에 해당하는 상기 격벽(11) 상의 위치에 1개 이상 4개 이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교환기, 증발기, 격벽, 연통홀, 냉매 유로, 방열량, 내구성, 온도 분포

Description

열교환기 {A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기 내에서 유로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연통홀의 위치 및 크기를 최적화한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에너지 및 환경 문제에 관한 관심사가 커져 감에 따라, 최근 자동차 생산 산업에 있어서 연비를 포함한 각 부품의 효율 개선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자동차 외관의 형태 역시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차량의 각 부품들은 점차로 경량화ㆍ소형화 및 고기능화를 위한 꾸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차량용 냉각장치에 있어서, 대개 엔진룸 내부에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작은 크기를 가지면서도 높은 효율을 가지는 열교환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 왔다.
한편, 통상적으로 열교환 시스템은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로 구성된다. 냉각 시스템에서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 태의 냉매는 압축기에서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되며, 상기 액화된 냉매가 다시 팽창밸브를 통과함으로써 저온 및 저압의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하게 되어 사이클을 이루게 되며, 실질적인 냉각 작용은 액체 상태의 냉매가 주변에서 기화열만큼의 열량을 흡수하여 기화되는 증발기에 의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열교환 시스템에서의 응축기 및 증발기가 일반적으로 열교환기의 범주에 포함되는 부품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100)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복수 개의 튜브(20) 및 복수 개의 핀(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더탱크(10)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튜브삽입홀(13)이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며, 엔드캡(14)에 의해 길이 방향의 양 끝이 폐쇄되고, 내부 공간에 냉매유로를 형성하되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격벽(11) 및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폭 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구획부재(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튜브(20)는 상기 헤더탱크(10)의 상기 튜브삽입홀(13)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핀(30)은 상기 튜브(20) 사이에 개재되어 열교환성능을 높이게 된다.
도 2는 이와 같은 열교환기 내에서의 냉매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 2(A)는 열교환기를 단순화하여 도시하고 열교환기에서의 냉매의 흐름을 화살표로 표시하였으며, 도 2(B)는 냉매의 흐름을 보다 잘 나타내기 위해 2열로 되어 있는 헤더탱 크(10)의 각 열을 분리하고 튜브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헤더탱크 제1열(10b1) 및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은 구획부재(12)에 의하여 냉매유로 공간이 구획되어 있다. 먼저 하부 헤더탱크 제1열(10b1)의 구획부재(12) 앞쪽 공간으로 유입된 냉매는, 튜브를 통해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로 이동한다.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에 유입된 냉매는,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의 일측으로만 냉매가 유입되게 되기 때문에 나머지 빈 공간 쪽, 즉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냉매가 이동하며, 이동된 냉매는 또한 튜브를 통해 하부 헤더탱크 제1열(10b1)의 구획부재(12) 뒤쪽 공간으로 유입된다.
하부 헤더탱크 제1열(10b1) 및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은, 구획부재(12) 뒤쪽에서 서로 연통홀(15')에 의해 연통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하부 헤더탱크 제1열(10b1)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연통홀(15')을 통해 상기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의 구획부재(12) 뒤쪽으로 이동된다. 이후 냉매는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의 구획부재(12) 뒤쪽 공간 - 상부 헤더탱크 제2열(10a2) -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의 구획부재(12) 앞쪽 공간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냉매의 유동 방향을 갖는 열교환기에서, 상기 연통홀의 설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어 왔다. 연통홀의 설계와 관련되어 개시된 종래기술로 일본특허공개 제2002-071283호(이하 선행기술)가 있다. 도 3은 상기 선행기술에 의한 열교환기의 단면도 및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에서는 튜브 하나당 한 개의 연통홀이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튜브 하나당 한 개의 연통홀이 구비되도록 하면, 홀의 개수가 많아져서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며 이에 따라 제작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냉매 유동의 불균일로 인한 데드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에 따라 온도 분포가 불균일해져 열교환기의 열교환성능을 저하시키는 악영향마저 발생시킨다. 뿐만 아니라, 튜브나 핀의 규격이 변경되는데 일일이 맞추어 연통홀도 새로 설계되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도 있었다. 더불어, 튜브 위치마다 연통홀이 존재함으로써 홀의 개수가 많아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 역시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의 유동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연통홀의 위치 및 크기를 최적화하는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통홀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설계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더불어 냉매의 유동을 개선시켜 온도 분포를 고르게 함으로써 열교환성능이 향상되는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폐쇄되어 내부에 냉매유로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폭 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격벽(11) 및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길이 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구획부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상기 헤더탱크(10)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튜브(20); 및 상기 튜브(2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핀(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교환기(100)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12) 및 이와 인접한 상기 헤더탱크(10)의 일측 단부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된 상기 격벽(11) 상에 연통홀(15)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재(12)로부터 상기 헤더탱크(10)의 일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100%라 할 때, 0~50%의 범위에 해 당하는 상기 격벽(11) 상의 위치에 1개 이상 4개 이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폐쇄되어 내부에 냉매유로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폭 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격벽(11) 및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길이 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구획부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상기 헤더탱크(10)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튜브(20); 및 상기 튜브(2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핀(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교환기(100)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12) 및 이와 인접한 상기 헤더탱크(10)의 일측 단부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된 상기 격벽(11) 상에 연통홀(15)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재(12)로부터 상기 헤더탱크(10)의 일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100%라 할 때, 65~100%의 범위에 해당하는 상기 격벽(11) 상의 위치에 1개 이상 4개 이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폐쇄되어 내부에 냉매유로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폭 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격벽(11) 및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길이 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구획부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상기 헤더탱크(10)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튜브(20); 및 상기 튜브(2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핀(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교환기(100)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12) 및 이와 인접 한 상기 헤더탱크(10)의 일측 단부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된 상기 격벽(11) 상에 연통홀(15)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재(12)로부터 상기 헤더탱크(10)의 일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100%라 할 때, 0~50%의 범위 및 65~100%의 범위에 해당하는 상기 격벽(11) 상의 위치에 1개 이상 4개 이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획부재(12)는 한 쌍의 상기 헤더탱크(10) 중 선택되는 일측의 헤더탱크(10)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더탱크(10)는 양단부가 엔드캡(14)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획부재(12)는 상기 격벽(11)에 의해 분할 형성된 복수의 냉매유로 공간 내부에 각각 배치되되, 각 냉매유로의 동일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통홀(15)은 연통홀 면적(S)/탱크 단면적(ST)의 비 값이 70~24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연통홀(15)은 연통홀 면적(S)/탱크 단면적(ST)의 비 값이 70~16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통홀(15)은 연통홀 벽의 단면적(St)이 7~20mm2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격벽(11)의 두께는 2mm이며, 상기 연통홀(15)은 연통홀(15) 간의 간격이 3.5~10m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때, 상기 구획부재(12a)는 상기 상부 헤더탱크(10a1, 10a2)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통홀(15a)은 상부 격벽(11a) 상에 위치하며, 상기 열교환기 내의 냉매 흐름은,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의 구획부재(12a) 앞쪽 공간으로 유입되어, 튜브(20) - 하부 헤더탱크 제1열(10b1) - 튜브(20) -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의 구획부재(12a) 뒤쪽 공간 - 연통홀(15a) - 상부 헤더탱크 제2열(10a2)의 구획부재(12a) 뒤쪽 공간 - 튜브(20) -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 - 튜브(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부 헤더탱크 제2열(10a2)의 구획부재(12a) 앞쪽 공간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구획부재(12b)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10b1, 10b2)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통홀(15b)은 하부 격벽(11b) 상에 위치하며, 상기 열교환기 내의 냉매 흐름은, 하부 헤더탱크 제1열(10b1)의 구획부재(12b) 앞쪽 공간으로 유입되어, 튜브(20) -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 - 튜브(20) - 하부 헤더탱크 제1열(10b1)의 구획부재(12b) 뒤쪽 공간 - 연통홀(15b) -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의 구획부재(12b) 뒤쪽 공간 - 튜브(20) - 상부 헤더탱크 제2열(10a2) - 튜브(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의 구획부재(12b) 앞쪽 공간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구획부재(12a)는 상부 및 하부 구획부재(12c1, 12c2)로 이루어지며, 각각이 상기 상부 헤더탱크(10a1, 10a2) 및 상기 하부 헤더탱크(10b1, 10b2) 내부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연통홀(15c)은 상기 하부 헤더탱크의 냉매 입출구 측의 반대편 단부 및 이와 인접한 하부 구획부재(12c2) 사이 위치의 하부 격벽(11b) 상에 위치하며, 상기 열교환기 내의 냉매 흐름은,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의 상부 구획부재(12c1) 앞쪽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의 상부 구 획부재(12c1) 앞쪽 공간 - 튜브(20) - 하부 헤더탱크 제1열(10b1)의 하부 구획부재(12c2) 앞쪽 공간 - 튜브(20) -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의 상부 구획부재(12c1) 뒤쪽 공간 - 연통홀(15c) -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의 하부 구획부재(12c2) 뒤쪽 공간 - 튜브(20) - 상부 헤더탱크 제2열(10a2)의 상부 구획부재(12c1) 뒤쪽 공간 - 튜브(20) -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의 하부 구획부재(12c2) 앞쪽 공간 - 튜브(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부 헤더탱크 제2열(10a2)의 상부 구획부재(12c1) 앞쪽 공간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폐쇄되어 내부에 냉매유로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폭 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격벽(11) 및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길이 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구획부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상기 헤더탱크(10)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튜브(20); 및 상기 튜브(2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핀(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교환기(100)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12) 및 이와 인접한 상기 헤더탱크(10)의 일측 단부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된 상기 격벽(11) 상에 연통홀(15)이 형성되며, 연통홀 면적(S)/탱크 단면적(ST)의 비 값이 70~24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연통홀(15)은 연통홀 면적(S)/탱크 단면적(ST)의 비 값이 70~16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통홀(15)은 연통홀 벽의 단면적(St)이 7~20mm2의 범위 내에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격벽(11)의 두께는 2mm이며, 상기 연통홀(15)은 연통홀(15) 간의 간격이 3.5~10m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통홀의 구조가 단순화됨으로써 설계가 간편해지고 제작이 용이해지는 큰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설계 및 제작에 드는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데드존의 발생을 억제하여 냉매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냉매의 유동을 개선시킴으로써 온도 분포 역시 고르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물론 이에 따라 열교환기의 열교환성능이 크게 상승되는 큰 효과가 있다.
더불어, 종래에는 튜브 위치마다 연통홀이 위치함으로써 연통홀의 구조가 튜브의 개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던 반명, 본 발명에 의하면 연통홀의 구조가 튜브의 개수 등에 큰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튜브 및 핀의 구조가 변경된다 해도 이에 맞추어 연통홀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변경이 매우 간편하여 새로운 제품의 생산이 훨씬 용이해지게 되는 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는 헤더탱크의 내부 격벽에 연통홀이 많이 존재함으로써 연통홀들 간의 내벽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이 일어나기 쉬워서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을 해결하여, 연통홀의 크기 및 위치를 최적화함으로써 냉매를 원활히 유통시키면서도 응력의 집중을 막도록 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극대화하는 큰 효과 또한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 및 연통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와 같이 단순화하여 도시하였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연통홀 구조의 제1실시예이며, 도 4b는 제2실시예이며, 도 4c는 제 3실시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는 냉매를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시켜 상태를 바꾸어(증발기의 경우 액상에서 기상, 응축기의 경우 기상에서 액상 등) 배출하는데, 이와 같은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코어, 즉 튜브와 핀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온도 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러기 위해서 냉매의 유동 경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세 실시예는 이와 같이 냉매의 유동 경로를 개선한 것으로, 하기에 각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a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냉매는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로 유입되고 상부 헤더탱크 제2열(10a2)로 배출되며, 구획부재(12a)는 상부 헤더탱크(10a1, 10a2) 내부에 위치하고, 연통홀(15a)은 상기 상부 헤더탱크 내부에 위치하는 상부 격벽(11a) 상에 위치한다. 먼저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의 구획부재(12a) 앞쪽 공간으로 유입된 냉매는,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의 구획부재(12a) 앞쪽 공간 - 튜브(20) - 하부 헤더탱크 제1열(10b1) - 튜브(20) -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의 구획부재(12a) 뒤쪽 공간을 거친 후, 연 통홀(15a)을 통과하여 상부 헤더탱크 제2열(10a2)의 구획부재(12a) 뒤쪽 공간으로 유입된다. 연통홀(15a)을 통과한 냉매는, 상부 헤더탱크 제2열(10a2)의 구획부재(12a) 뒤쪽 공간 - 튜브(20) -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 - 튜브(20) - 상부 헤더탱크 제2열(10a2)의 구획부재(12a) 앞쪽 공간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도 4b의 제2실시예에서는, 냉매는 하부 헤더탱크 제1열(10b1)로 유입되고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로 배출되며, 구획부재(12b)는 하부 헤더탱크(10b1, 10b2) 내부에 위치하고, 연통홀(15b)은 상기 하부 헤더탱크 내부에 위치하는 하부 격벽(11b) 상에 위치한다. 냉매는 먼저 하부 헤더탱크 제1열(10b1)의 구획부재(12b) 앞쪽 공간으로 유입되어, 하부 헤더탱크 제1열(10b1)의 구획부재(12b) 앞쪽 공간 - 튜브(20) -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 - 튜브(20) - 하부 헤더탱크 제1열(10b1)의 구획부재(12b) 뒤쪽 공간을 거친 후, 연통홀(15b)을 통과하여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의 구획부재(12b) 뒤쪽 공간으로 유입된다. 연통홀(15b)을 통과한 냉매는,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의 구획부재(12b) 뒤쪽 공간 - 튜브(20) - 상부 헤더탱크 제2열(10a2) - 튜브(20) -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의 구획부재(12b) 앞쪽 공간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 4c의 제3실시예에서는, 냉매는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로 유입되고 상부 헤더탱크 제2열(10a2)로 배출되며, 상부 및 하부 구획부재(12c1, 12c2)는 상부 헤더탱크(10a1, 10a2) 및 하부 헤더탱크(10b1, 10b2) 내부에 각각 위치하고, 연통홀(15c)은 상기 하부 헤더탱크의 냉매 입출구 측의 반대편 단부 및 이와 인접한 하부 구획부재(12c2) 사이 위치의 하부 격벽(11b) 상에 위치한다. 냉매는 먼저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의 상부 구획부재(12c1) 앞쪽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의 상부 구획부재(12c1) 앞쪽 공간 - 튜브(20) - 하부 헤더탱크 제1열(10b1)의 하부 구획부재(12c2) 앞쪽 공간 - 튜브(20) -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의 상부 구획부재(12c1) 뒤쪽 공간을 거친 후, 연통홀(15c)을 통과하여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의 하부 구획부재(12c2) 뒤쪽 공간으로 유입된다. 연통홀(15a)을 통과한 냉매는,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의 하부 구획부재(12c2) 뒤쪽 공간 - 튜브(20) - 상부 헤더탱크 제2열(10a2)의 상부 구획부재(12c1) 뒤쪽 공간 - 튜브(20) -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의 하부 구획부재(12c2) 앞쪽 공간 - 튜브(20) - 상부 헤더탱크 제2열(10a2)의 상부 구획부재(12c1) 앞쪽 공간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는 냉매의 입출구 위치, 구획부재의 위치 및 연통홀이 존재하는 격벽의 위치에 차이가 있을 뿐 기본적인 구성은 비슷하므로, 이하에서 세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해당될 경우 격벽은 도면부호 11로, 구획부재는 도면부호 12로, 연통홀은 도면부호 15로 표기한다.
종래의 연통홀(15')은 격벽(11) 상에 각각의 튜브 위치마다 하나씩 형성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연통홀(15)은 격벽(11)의 일부에 단일 개 또는 적어도 1개 이상이 튜브 피치(튜브와 튜브의 사이 간격)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연통홀(15)이 단순화됨으로써 먼저 제작 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코어 크기, 튜브 및 핀의 사양이 변경되었을 때에도 연통홀(15)을 유연하게 구성하여 설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통홀(15)의 위치, 개수, 크기를 최적화함으로써 종래의 연 통홀(15')을 갖는 열교환기보다 방열량 및 코어의 온도 분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연통홀(15)의 위치, 개수, 크기 등을 최적화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하기에 기재된 실험 결과는 다양한 열교환기들 중 증발기에서의 실험 결과들로서,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사용될 경우 최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연통홀 위치와 압력강하량 및 방열량 간의 관계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하부 헤더탱크의 구획부재(12) 뒤쪽 공간에 위치하는 격벽(11) 상의 연통홀 위치로서, 도 11에 도시되어 정의된 바와 같이, 연통홀 위치가 0%인 부분은 구획부재(12)이 위치하는 부분이며, 100%인 부분은 엔드캡(14)이 위치하여 공간을 밀봉하는 부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홀(15)의 위치가 0~50% 사이에 있을 때 방열량이 감소하지 않으므로 연통홀(15)은 구획부재(12)로부터 0~5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엔드캡(14) 쪽에 연통홀을 위치시키고자 할 경우, 엔드캡(14) 쪽에서 0~35% 사이, 즉 구획부재(12)로부터 65~100% 사이의 위치에 연통홀(15)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연통홀(15)이 1개로만 형성될 경우 연통홀(15)의 크기가 너무 커져서 내구성이 떨어지게 될 위험이 있고, 다수 개로 형성될 경우 설계 및 제작의 난해함이 높아져 종래에 비해 개선된 점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연통홀의 개수를 적절하게 설정하여야 한다.
도 6은 연통홀 개수와 압력강하량 및 방열량 간의 관계 그래프로서, A1, A2, A3는 연통홀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연통홀의 크기는 A3 > A2 > A1 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통홀(15)을 단순화함으로써 설계 및 제작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열교환기의 성능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인 바, 도 6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연통홀의 개수가 4개보다 많아지는 경우 방열량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경향으로 볼 때, 연통홀(15)의 개수는 4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격벽(11)의 내구성을 고려하여 연통홀(15)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연통홀의 개수는 1~4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는 또한, 연통홀(15)의 크기를 변화시키면서 성능 특성을 조사하였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홀(15)의 크기가 작을수록 냉매 측 압력강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연통홀(15)의 크기를 적절하게 설정하여야 한다.
도 7은 연통홀 면적/헤더탱크 단면적과 열교환기 출구 공기 온도분포 및 방열량 간의 관계 그래프이며, 도 8은 열교환기 코어의 온도분포의 한 예이다. 연통홀 면적이란 도 4에서 S부분에 해당하며, 헤더탱크(10) 단면적이란 도 4에서 ST부분에 해당한다. 연통홀 면적을 보다 명확히 정의하자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홀들이 형성될 경우 연통홀들 각각의 면적(도 12에서 S1, S2, …, Si)들의 합(∑Si)이 바로 연통홀 면적 S가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홀 면적/헤더탱크 단면적의 비가 커질수록 열교환기 출구의 공기 온도 분포가 점점 증가하는데, 특히 연통홀 면적/헤더탱크 단면적의 비 값이 150% 정도가 되는 지점부터 열교환기 출구 공기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코어 온도 분포가 악화되는 것(4℃ 이상)을 알 수 있다. 또한, 방열량은 연통홀 면적/헤더탱크 단면적의 비 값이 70~240% 정도일 때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연통홀(15)의 크기는 헤더탱크(10) 단면적의 70~240% 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통홀 면적/헤더탱크 단면적의 비 값이 열교환기 출구 공기 온도 분포가 균일하게 되는 비율인 70~160%가 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연통홀(15)의 개수가 적어지고 크기가 커지게 됨에 따라 격벽(11)의 내구성이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을 피하기 위하여, 연통홀(15)의 벽 두께(즉 격벽(11)의 벽 두께)를 적절하게 설정하여야 한다.
도 9는 연통홀 벽의 단면적과 파괴압력(혹은 내구압력) 간의 관계 그래프이며, 도 10은 헤더탱크의 구조해석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연통홀 벽의 단면적이란 도 10에서 St부분에 해당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홀 벽의 단면적이 커질수록 견딜 수 있는 파괴압력 크기도 증가한다. 이 때, 최소한의 열교환기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20kg/cm2의 파괴압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연통홀(15) 벽의 최소 단면적은 약 7mm2 이상이어야 한다. 한편, 내구성을 높이 기 위해서는 연통홀(15) 벽의 단면적(도 10의 St)이 클수록 좋겠으나, 연통홀(15) 벽의 단면적이 클수록 연통홀(15)의 크기(도 4의 S)가 작아지게 되며, 따라서 연통홀(15)을 단순화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냉매 측 압력강하량이 증가하게 되고, 더불어 경제적인 관점에서도 불량한 특성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통홀(15) 벽의 단면적은 20m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격벽(11)의 두께, 즉 연통홀(15) 벽의 두께가 2mm라면, 최소 단면적에 대등한 연통홀(15) 간의 벽 간격은 3.5~10m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10을 통해 연통홀의 위치, 개수, 크기, 간격 최적화 과정을 정리하면, 본 발명의 연통홀(15)은, 헤더탱크의 구획부재(12) 뒤쪽 공간 격벽(11) 상에서, 구획부재(12)에서 엔드캡(14)까지의 거리를 100%로 할 때 0~50% 또는 65~100%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1~4개로 형성되며, 연통홀 면적(S)/헤더탱크 단면적(ST)의 비 값이 70~160%의 범위 내에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연통홀(15) 벽의 단면적(St)이 7~20mm2의 범위 내에 있도록 하는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통홀(15)이 형성됨으로써 방열 성능을 극대화시키면서도 내구성이 높으며, 또한 연통홀 구조가 단순화됨으로써 설계, 제작 및 구조 변경이 용이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열교환기의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열교환기 내에서의 냉매 흐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열교환기 및 연통홀 구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 및 연통홀 구조.
도 5는 연통홀 위치와 압력강하량 및 방열량 간의 관계 그래프.
도 6은 연통홀 개수와 압력강하량 및 방열량 간의 관계 그래프.
도 7은 연통홀 면적/헤더탱크 단면적과 열교환기 출구 공기 온도분포 및 방열량 간의 관계 그래프.
도 8은 열교환기 코어의 온도분포의 한 예.
도 9는 연통홀 벽의 단면적과 파괴압력 간의 관계 그래프.
도 10은 헤더탱크의 구조해석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11은 연통홀 위치 정의를 위한 참조도.
도 12는 연통홀 면적 정의를 위한 참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헤더탱크
10a1: 상부 헤더탱크 제1열 10a2: 상부 헤더탱크 제2열
10b1: 하부 헤더탱크 제1열 10b2: 하부 헤더탱크 제2열
11: 격벽 12: 구획부재
13: 튜브삽입홀 14: 엔드캡
15', 15: 연통홀
20: 튜브 30: 핀

Claims (17)

  1.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폐쇄되어 내부에 냉매유로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폭 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격벽(11) 및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길이 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구획부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상기 헤더탱크(10)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튜브(20); 및 상기 튜브(2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핀(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교환기(100)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12) 및 이와 인접한 상기 헤더탱크(10)의 일측 단부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된 상기 격벽(11) 상에 연통홀(15)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재(12)로부터 상기 헤더탱크(10)의 일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100%라 할 때, 0~50%의 범위에 해당하는 상기 격벽(11) 상의 위치에 1개 이상 4개 이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폐쇄되어 내부에 냉매유로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폭 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격벽(11) 및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길이 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구획부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상기 헤 더탱크(10)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튜브(20); 및 상기 튜브(2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핀(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교환기(100)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12) 및 이와 인접한 상기 헤더탱크(10)의 일측 단부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된 상기 격벽(11) 상에 연통홀(15)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재(12)로부터 상기 헤더탱크(10)의 일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100%라 할 때, 65~100%의 범위에 해당하는 상기 격벽(11) 상의 위치에 1개 이상 4개 이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폐쇄되어 내부에 냉매유로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폭 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격벽(11) 및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길이 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구획부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상기 헤더탱크(10)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튜브(20); 및 상기 튜브(2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핀(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교환기(100)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12) 및 이와 인접한 상기 헤더탱크(10)의 일측 단부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된 상기 격벽(11) 상에 연통홀(15)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재(12)로부터 상기 헤더탱크(10)의 일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100% 라 할 때, 0~50%의 범위 및 65~100%의 범위에 해당하는 상기 격벽(11) 상의 위치에 1개 이상 4개 이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12)는
    한 쌍의 상기 헤더탱크(10) 중 선택되는 일측의 헤더탱크(10)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탱크(10)는
    양단부가 엔드캡(14)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12)는
    상기 격벽(11)에 의해 분할 형성된 복수의 냉매유로 공간 내부에 각각 배치되되, 각 냉매유로의 동일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15)은
    연통홀 면적(S)/탱크 단면적(ST)의 비 값이 70~24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15)은
    연통홀 면적(S)/탱크 단면적(ST)의 비 값이 70~16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15)은
    연통홀 벽의 단면적(St)이 7~20mm2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1)의 두께는 2mm이며, 상기 연통홀(15)은
    연통홀(15) 간의 간격이 3.5~10m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12a)는 상기 상부 헤더탱크(10a1, 10a2)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통홀(15a)은 상부 격벽(11a) 상에 위치하며,
    상기 열교환기 내의 냉매 흐름은,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의 구획부재(12a) 앞쪽 공간으로 유입되어, 튜브(20) - 하부 헤더탱크 제1열(10b1) - 튜브(20) -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의 구획부재(12a) 뒤쪽 공간 - 연통홀(15a) - 상부 헤더탱크 제2열(10a2)의 구획부재(12a) 뒤쪽 공간 - 튜브(20) -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 - 튜브(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부 헤더탱크 제2열(10a2)의 구획부재(12a) 앞쪽 공간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12b)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10b1, 10b2)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통홀(15b)은 하부 격벽(11b) 상에 위치하며,
    상기 열교환기 내의 냉매 흐름은, 하부 헤더탱크 제1열(10b1)의 구획부재(12b) 앞쪽 공간으로 유입되어, 튜브(20) -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 - 튜브(20) - 하부 헤더탱크 제1열(10b1)의 구획부재(12b) 뒤쪽 공간 - 연통홀(15b) -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의 구획부재(12b) 뒤쪽 공간 - 튜브(20) - 상부 헤더탱크 제2열(10a2) - 튜브(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의 구획부재(12b) 앞쪽 공간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12a)는 상부 및 하부 구획부재(12c1, 12c2)로 이루어지며, 각각이 상기 상부 헤더탱크(10a1, 10a2) 및 상기 하부 헤더탱크(10b1, 10b2) 내부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연통홀(15c)은 상기 하부 헤더탱크의 냉매 입출구 측의 반대편 단부 및 이와 인접한 하부 구획부재(12c2) 사이 위치의 하부 격벽(11b) 상에 위치하며,
    상기 열교환기 내의 냉매 흐름은,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의 상부 구획부재(12c1) 앞쪽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의 상부 구획부재(12c1) 앞쪽 공간 - 튜브(20) - 하부 헤더탱크 제1열(10b1)의 하부 구획부재(12c2) 앞쪽 공간 - 튜브(20) - 상부 헤더탱크 제1열(10a1)의 상부 구획부재(12c1) 뒤쪽 공간 - 연통홀(15c) -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의 하부 구획부재(12c2) 뒤쪽 공간 - 튜브(20) - 상부 헤더탱크 제2열(10a2)의 상부 구획부재(12c1) 뒤쪽 공간 - 튜브(20) - 하부 헤더탱크 제2열(10b2)의 하부 구획부재(12c2) 앞쪽 공간 - 튜브(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부 헤더탱크 제2열(10a2)의 상부 구획부재(12c1) 앞쪽 공간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4.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폐쇄되어 내부에 냉매유로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폭 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격벽(11) 및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길이 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구획부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상기 헤더탱크(10)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튜브(20); 및 상기 튜브(2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핀(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교환기(100)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12) 및 이와 인접한 상기 헤더탱크(10)의 일측 단부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된 상기 격벽(11) 상에 연통홀(15)이 형성되며,
    연통홀 면적(S)/탱크 단면적(ST)의 비 값이 70~24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15)은
    연통홀 면적(S)/탱크 단면적(ST)의 비 값이 70~16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15)은
    연통홀 벽의 단면적(St)이 7~20mm2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1)의 두께는 2mm이며, 상기 연통홀(15)은
    연통홀(15) 간의 간격이 3.5~10m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080110358A 2007-11-09 2008-11-07 열교환기 KR101291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41,936 US8701750B2 (en) 2007-11-09 2008-11-07 Heat exchanger
CN2008801239313A CN101910775B (zh) 2007-11-09 2008-11-07 热交换器
DE112008003011.1T DE112008003011B4 (de) 2007-11-09 2008-11-07 Wärmetauscher
PCT/KR2008/006590 WO2009061157A2 (en) 2007-11-09 2008-11-07 A heat exc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14206 2007-11-09
KR1020070114206 2007-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352A true KR20090048352A (ko) 2009-05-13
KR101291033B1 KR101291033B1 (ko) 2013-08-01

Family

ID=4085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358A KR101291033B1 (ko) 2007-11-09 2008-11-07 열교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01750B2 (ko)
KR (1) KR101291033B1 (ko)
CN (1) CN101910775B (ko)
DE (1) DE112008003011B4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4244A (ko) * 2009-09-28 2011-04-05 한라공조주식회사 저온 라디에이터
KR20130130297A (ko) * 2012-05-22 2013-12-0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증발기
KR20140058321A (ko) 2013-06-18 2014-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20140057939A (ko) 2012-11-05 2014-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WO2016032255A1 (ko) * 2014-08-29 2016-03-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증발기
KR20160026750A (ko) * 2014-08-29 2016-03-0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증발기
US10150350B2 (en) 2015-03-19 2018-12-11 Hanon Systems Vehicle heat exchanger
CN113555648A (zh) * 2020-04-01 2021-10-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线束、电池模组及电动汽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0655A (ja) * 2010-04-28 2011-11-17 Sanden Corp 車室内熱交換器
CN101865574B (zh) * 2010-06-21 2013-01-30 三花控股集团有限公司 换热器
JP5796518B2 (ja) * 2012-03-06 2015-10-21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JP5875918B2 (ja) * 2012-03-27 2016-03-02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車室内熱交換器及び車室内熱交換器のヘッダ間接続部材
JP5840291B2 (ja) * 2012-04-26 2016-01-06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この熱交換器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6061994B2 (ja) * 2012-04-26 2017-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この熱交換器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空気調和機
WO2013160954A1 (ja) 2012-04-26 2013-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この熱交換器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JP6026956B2 (ja) * 2013-05-24 2016-11-16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室内熱交換器
CN105580505B (zh) * 2013-09-12 2018-04-03 翰昂系统株式会社 用于冷却电气元件的热交换器
CN104880116A (zh) 2014-02-27 2015-09-02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集管及具有该集管的换热器
CN104879955B (zh) * 2014-02-27 2018-10-19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换热器
DE102014206955A1 (de) * 2014-04-10 2015-10-15 Mahle International Gmbh Wärmeübertrager
KR101566747B1 (ko) * 2014-04-14 2015-11-1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JP6415204B2 (ja) * 2014-09-19 2018-10-31 株式会社ケーヒン・サーマル・テクノロジー エバポレー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空調装置
JP6572561B2 (ja) * 2015-03-03 2019-09-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JP2016169910A (ja) * 2015-03-13 2016-09-23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KR101837046B1 (ko) * 2015-07-31 2018-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
CN106556184B (zh) * 2015-09-28 2019-07-30 曼德电子电器有限公司 蒸发器和空调系统
JP6785137B2 (ja) * 2016-11-28 2020-11-18 株式会社ケーヒン・サーマル・テクノロジー エバポレータ
JP7140988B2 (ja) * 2020-07-17 2022-09-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780A (ja) 1992-07-07 1994-02-01 Mazda Motor Corp 射出成形方法
JPH0626780A (ja) 1992-07-13 1994-02-04 Nippondenso Co Ltd 熱交換器
JPH07305990A (ja) 1994-05-16 1995-11-21 Sanden Corp 多管式熱交換器
JP2002071283A (ja) 2000-08-30 2002-03-08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熱交換器
TW552382B (en) * 2001-06-18 2003-09-11 Showa Dendo Kk Evaporato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header for evaporator and refrigeration system
US6745827B2 (en) 2001-09-29 2004-06-08 Halla Climate Control Corporation Heat exchanger
KR20050037407A (ko) 2001-10-17 2005-04-21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냉동 사이클이 제공된 차량
JP4301804B2 (ja) * 2002-12-05 2009-07-22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熱交換器
CN100455969C (zh) * 2002-12-31 2009-01-28 穆丹韩国有限会社 蒸发器
EP1579166A4 (en) * 2002-12-31 2008-06-25 Modine Korea Llc EVAPORATOR
EP1642078B1 (en) 2003-07-08 2010-09-08 Showa Denko K.K. Heat exchanger
CN100483045C (zh) 2003-07-08 2009-04-29 昭和电工株式会社 热交换器、制冷循环及车辆
JP4448354B2 (ja) 2004-03-22 2010-04-07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熱交換器
KR100590658B1 (ko) * 2004-04-28 2006-06-19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자동차용 증발기의 헤더 파이프
KR20060025082A (ko) 2004-09-15 2006-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채널튜브를 이용한 증발기
DE102004056790A1 (de) 2004-10-04 2006-04-06 Behr Gmbh & Co. Kg Wärmetauscher
JP5046771B2 (ja) * 2007-07-27 2012-10-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冷媒蒸発器
US8353330B2 (en) * 2007-11-02 2013-01-15 Halla Climate Control Corp. Heat exchanger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4244A (ko) * 2009-09-28 2011-04-05 한라공조주식회사 저온 라디에이터
KR20130130297A (ko) * 2012-05-22 2013-12-0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증발기
KR101877355B1 (ko) * 2012-05-22 2018-07-1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증발기
KR20140057939A (ko) 2012-11-05 2014-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20140058321A (ko) 2013-06-18 2014-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WO2016032255A1 (ko) * 2014-08-29 2016-03-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증발기
KR20160026750A (ko) * 2014-08-29 2016-03-0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증발기
US9919584B2 (en) 2014-08-29 2018-03-20 Hanon Systems Evaporator
US10150350B2 (en) 2015-03-19 2018-12-11 Hanon Systems Vehicle heat exchanger
CN113555648A (zh) * 2020-04-01 2021-10-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线束、电池模组及电动汽车
CN113555648B (zh) * 2020-04-01 2022-05-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线束、电池模组及电动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00614A1 (en) 2011-05-05
KR101291033B1 (ko) 2013-08-01
CN101910775B (zh) 2012-10-17
US8701750B2 (en) 2014-04-22
CN101910775A (zh) 2010-12-08
DE112008003011T5 (de) 2010-09-30
DE112008003011B4 (de)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033B1 (ko) 열교환기
US7055585B2 (en) Layered evaporator for use in motor vehicle air conditioners or the like, layered heat exchanger for providing the evaporator, and refrigeration cycle system comprising the evaporator
KR101409196B1 (ko) 증발기
KR101878317B1 (ko) 증발기
US20030217567A1 (en) Multistage gas and liquid phase separation condenser
US20150007971A1 (en) Cold storage heat exchanger
US20070131393A1 (en) Heat exchanger
US20110220336A1 (en) Heat exchanger
US8991479B2 (en) Condenser
KR101932140B1 (ko) 증발기
US10352601B2 (en) Refrigerant evaporator
KR102011278B1 (ko) 응축기
EP4279854A1 (en) Evaporator
KR101877355B1 (ko) 증발기
WO2017150221A1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KR101130038B1 (ko) HFO 1234yf 물질 냉매를 사용하는 6패스 튜브-핀 타입 증발기를 사용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WO2009061157A2 (en) A heat exchanger
KR20160015673A (ko) 증발기
KR101220116B1 (ko) 다중 증발 시스템
KR101982587B1 (ko) 증발기
KR101964369B1 (ko) 증발기
KR20190022079A (ko) 증발기
KR101353513B1 (ko) 증발기
KR20090038359A (ko)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구조
KR102173338B1 (ko) 증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