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199A -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199A
KR20090048199A KR1020070114478A KR20070114478A KR20090048199A KR 20090048199 A KR20090048199 A KR 20090048199A KR 1020070114478 A KR1020070114478 A KR 1020070114478A KR 20070114478 A KR20070114478 A KR 20070114478A KR 20090048199 A KR20090048199 A KR 20090048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fixing device
housing
locking cam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8055B1 (ko
Inventor
박병화
김희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114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0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고정장치는, 루프패널의 양측에 설치되고 대향되는 일면에 다수의 고정홈을 갖는 사이드레일과, 상기 양 사이드레일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를 사이드레일에 고정 및 해제시키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사이드레일에 그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크로스바가 삽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크로스바내에 힌지되어 그 일단부가 사이드레일의 고정홈에 고정 또는 해제되고 타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록킹캠과; 상기 록킹캠과 하우징에 그 양단부가 각각 걸림된 스프링과; 상기 양편의 록킹캠에 그 양단부가 각각 고정된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단순화된 구조로서 일측편의 고정장치를 조작함에 따라 반대편의 고정장치가 연동되어 작동됨으로써 크로스바를 사이드레일에 간편하게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차량, 루프캐리어, 크로스바, 고정장치, 사이드레일

Description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Cross-bar locking device of roof carri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를 한번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캐리어(Roof carrier)는 차량 실내 공간의 협소함에 따른 짐이나 물건 등의 수납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차량의 루프패널(Roof panel)의 상부에 장착되어 레저스포츠용 물건은 물론 그 외의 화물 등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루프캐리어는 루프패널의 양측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사이드레일과, 사이드레일을 가로지르는 크로스바(Cross bar)로 이루어지고, 이 크로스바가 사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화물의 크기에 따라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루프캐리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루프캐리어(10)는 차량의 루프패널(2) 상부에 구성된다.
상기 루프캐리어(10)는, 차량의 루프패널(2) 상면 양측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사이드레일(20)과, 상기 양 사이드레일(20) 사이에 차량의 폭방향으로 횡설되고 그 양단부가 각각 사이드레일(20)에 결합되는 크로스바(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크로스바(30)는 양 사이드레일(20)상에서 화물의 크기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그 폭이 조정되고, 소정의 고정장치(40)로서 크로스바(30)의 양단부가 각각 양 사이드레일(20)상에 고정 및 해제된다.
상기 고정장치(40)는, 크로스바(3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개별적으로 작동되면서 사이드레일(20)에 고정 및 해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루프캐리어(10)의 고정장치(40)는, 크로스바(30)를 사이드레일(20)에 고정 및 해제시키는 고정장치(40)가 크로스바(30)의 양단부에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크로스바(30)의 조정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롭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크로스바(30)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먼저 한쪽의 고정장치(40)를 해제한 후, 반대쪽으로 돌아가서 나머지 쪽의 고정장치(40)를 해제시키고, 크로스바(30)의 고정시에도 위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차량의 양쪽을 번갈아 가면서 작업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크로스바의 양편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장치를 단순화된 구조로서 연동되게 구성함으로써 일측편의 고정장치의 조작만으로도 크로스바를 사이드레일에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게 되어, 크로스바의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루프패널의 양측에 설치되고 대향되는 일면에 다수의 고정홈을 갖는 사이드레일과, 상기 양 사이드레일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로스 바와, 상기 크로스바를 사이드레일에 고정 및 해제시키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사이드레일에 그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크로스바가 삽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크로스바내에 힌지되어 그 일단부가 사이드레일의 고정홈에 고정 또는 해제되고 타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록킹캠과; 상기 록킹캠과 하우징에 그 양단부가 각각 걸림된 스프링과; 상기 양편의 록킹캠에 그 양단부가 각각 고정된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킹캠이 힌지되는 크로스바에는 록킹캠의 힌지가 이동될 수 있도록 된 장공이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하면에는 회전되는 록킹캠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개구부가 천공되되, 상기 하우징 하면의 개구부는 크로스바의 록킹 해제 시 회전된 록킹캠이 그 내주연에 걸림되는 길이로서 천공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따르면, 일측편의 고정장치를 조작함에 따라 반대편의 고정장치가 연동되어 작동됨으로써 크로스바를 사이드레일에 간편하게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게 되어, 크로스바의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는 그 구조가 단순하고 간소화되어 작동이 매끄럽게 이루어지고, 일측편의 록킹캠의 회전만으로도 타측편의 록킹캠이 연동되 어 양편의 고정장치가 동시에 작동됨으로써 고정장치의 응답성이 향상되어 신속하게 작동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루프캐리어(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패널 상면 양측에 사이드레일(200)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양 사이드레일(200) 사이에는 이격된 복수개의 크로스바(300)가 차량의 폭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양 사이드레일(200)의 마주하는 면에는 그 하부측이 개구된 이동홀(210)이 사이드레일(2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홀(210)의 하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걸림단턱(211)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홀(210) 상단부는 돌출부로서, 이 돌출부상에는 다수의 고정홈(220)이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천공된다.
한편, 상기 크로스바(300)는 그 양단부에 각각 구성된 고정장치(320)(320')에 의해서 사이드레일(200)에 고정 및 해제되는 바, 상기 고정장치(320)(320')는 하우징(400)(400'), 록킹캠(500)(500'), 케이블(600), 스프링(700)(700') 등으로 대별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400)(400')은 그 일단이 양 사이드레일(200)에 각각 도브테일 결합되고 타단에는 크로스바(300)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400)(400')은 그 일단에 상,하로 돌출되게 형성된 삽입돌부(410)(410')가 사이드레일(200)의 이동홀(210)에 대응한 크기로서 이동홀(210)에 삽입되고 그 하부면이 이동홀(210)의 걸림단턱(211) 내면에 면접촉되게 걸림됨으로써 상기 하우징(400)(400')은 사이드레일(200)의 이동홀(210)상에서 이탈이 방지되면서 사이드레일(2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돌부(410)(410')와 이격된 하우징(400)(400')의 상,하면은 후술될 록킹캠(500)(50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개구부(401)(401')(402)(402')가 천공된다.
상기 하우징(400)(400') 하면의 개구부(402)(402')는 크로스바(300)의 록킹 해제 시 회전된 록킹캠(500)(500')이 개구부(402)(402')의 내주연에 걸림되는 직경으로서 천공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400)(400')의 타단에는 크로스바(300)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바, 상기 크로스바(300)는 그 내부가 빈 중공의 사각관 또는 그 하면이 완전 개구된 "n"자 형상의 각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00)(400')에 삽입된 크로스바(300)의 단부 양측면에는 그 단부로부터 중심부측으로 "⊃"자 형상의 장공(310)이 천공되며, 상기 장공(310)과 이격된 크로스바(300)의 상하면은 하우징(400)(400')의 개구 부(401)(401')(402)(402')에 대응되게 개구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400)(400')에 삽입된 크로스바(300)의 내부에는 크로스바(300)를 사이드레일(200)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록킹캠(500)(500')이 설치된다.
상기 록킹캠(500)(500')은, 캠몸체(510)(510')의 양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힌지축(511)(511')이 하우징(400)(400')에 삽입된 크로스바(300)의 장공(310)에 삽입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록킹캠(500)(500')은 크로스바(300)의 장공(310)상에서 회전되면서 이동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레일(200)의 고정홈(220)에 대향되는 캠몸체(510)(510')의 일단부에는 록킹캠(500)(500')의 회전에 의해 고정홈(220)에 걸림 또는 해제되는 걸림돌부(512)(512')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크로스바(300)와 하우징(400)(400')의 상면 개구부(401)(40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레버부(513)(513')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캠몸체(510)(510')와 하우징(400)(400') 사이에는 록킹캠(500)(500')을 사이드레일(200)측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700)(700')이 각각 설치되되, 상기 스프링(700)(700')의 일단은 캠몸체(510)(510')의 힌지축(511)(511')에 걸림되고, 타단은 하우징(400)(400')에 형성된 고정부(420)(420')에 걸림된다.
상기 하우징(400)(400')의 고정부(420)(420')는 하우징(400)(400')에서 돌출된 축이나 고리 등과 같은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700)(700')은 록 킹캠(500)(500')을 사이드레일(200)측으로 당기는 탄성력만 발휘되면 스프링의 형식이나 형태 및 종류 등과는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크로스바(30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양 록킹캠(500)(500')의 캠몸체(510)(510') 일측에는 전술한 하우징(400)(400')의 고정부(420)(420')와 동일한 고정부(514)(514')가 형성되고, 이 고정부(514)(514')에 양 록킹캠(500)(500')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600)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루프캐리어(100)의 크로스바(300)를 조정하기 전에는 록킹캠(500)(500')에 의해 크로스바(300)가 하우징(400)(400')을 통해 사이드레일(200)에 고정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캠(500)(500')의 걸림돌부(512)(512')가 사이드레일(200)의 고정홈(220)에 삽입되어 걸림됨으로써 크로스바(300) 및 하우징(400)(400')이 사이드레일(2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화물의 크기에 따라 크로스바(300)의 간격 조정시는, 크로스바(300) 일측편의 하우징(400) 외측으로 노출된 록킹캠(500)의 레버부(513)를 잡고 상방향으로 당겨 도 4와 같이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된 일측편의 록킹캠(500)은 걸림돌부(512)가 사이드레일(200)의 고정홈(220)으로부터 이탈되면서 록킹이 해제되고, 타측편의 록킹캠(500')은 회전 된 일측편의 록킹캠(500)과 이에 연결된 케이블(600)에 의해 스프링(700')을 인장시키면서 일측편의 록킹캠(500)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회전된 일측편의 록킹캠(500)은 도 4에서와 같이 하우징(400)에 수직하게 위치되면서 캠몸체(510)의 하부측이 하우징(400)의 하면 개구부(402)를 관통하고, 관통된 캠몸체(510)의 일측이 하우징(400)의 하면 개구부(402)의 내주면에 걸림되어, 회전되는 일측편의 록킹캠(500)은 크로스바(300)의 축방향으로 수평 이동되지 않고 타측편의 록킹캠(500')만이 일측편의 록킹캠(500)측으로 당겨져 수평 이동된다.
이런 이유로 인해, 회전된 일측편 록킹캠(500)의 스프링(700)은 거의 인장되지 않고 원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당겨진 타측편의 록킹캠(500')은 크로스바(300)의 장공(310)을 따라 수평 이동되면서 그 일단의 걸림돌부(512')가 사이드레일(200)의 고정홈(220)으로부터 이탈되어 록킹이 해제된다.
따라서, 일측편의 록킹캠(500)의 회전에 의해 이에 해당하는 고정장치(320)의 록킹이 직접 해제됨과 동시에 타측편의 록킹캠(500')이 슬라이딩 연동되어 이에 해당하는 고정장치(320')의 록킹이 간편하게 해제됨으로써 크로스바(300)의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후, 크로스바(300)의 고정시는 회전된 일측편의 록킹캠(500)을 전술한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일측편의 록킹캠(500)은 역회전에 의해 그 단부의 걸림돌부(512)가 도 3과 같이 사이드레일(200)의 고정홈(220)에 재차 삽입되어 걸림된다.
그리고, 타측편의 록킹캠(500')은 회전된 일측편의 록킹캠(500)에 의해 긴장되어 있던 케이블(600)이 느슨해 짐과 동시에 록킹캠(500')과 하우징(400') 사이에서 인장되어 있던 스프링(700)(700')의 압축력에 의해 록킹캠(500')이 사이드레일(200)측으로 당겨져 이동되면서 그 단부의 걸림돌부(512')가 사이드레일(200)의 고정홈(220)에 재차 삽입되어 걸림된다.
한편, 이와 같이 고정되는 과정 역시도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편의 록킹캠(500)의 역회전에 의해 이에 해당하는 고정장치(320)가 직접 록킹됨과 동시에 타측편의 록킹캠(500')이 슬라이딩 연동되어 이에 해당하는 고정장치(320')가 록킹됨으로써 크로스바(300)의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정장치(320)(320')는 구조가 단순하고 간소화되어 작동이 매끄럽게 이루어지며, 일측 록킹캠(500)의 회전에 의해 양 고정장치(320)(320')의 록킹과 해제가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고정장치(320)(320')의 응답성이 향상되어 신속하게 작동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루프캐리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루프패널 10 : 루프캐리어
20 : 사이드레일 30 : 크로스바
40 : 고정장치 100 : 루프캐리어
200 : 사이드레일 210 : 이동홀
211 : 걸림단턱 220 : 고정홈
300 : 크로스바 310 : 장공
320,320' : 고정장치 400,400' : 하우징
401,401',402,402' : 개구부 410,410' : 삽입돌부
420,420' : 고정부 500,500' : 록킹캠
510,510' : 캠몸체 511,511' : 힌지축
512,512' : 걸림돌부 513,513' : 레버부
514,514' : 고정부 600 : 케이블
700,700' : 스프링

Claims (4)

  1. 루프패널의 양측에 설치되고 대향되는 일면에 다수의 고정홈을 갖는 사이드레일과, 상기 양 사이드레일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를 사이드레일에 고정 및 해제시키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사이드레일에 그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크로스바가 삽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크로스바내에 힌지되어 그 일단부가 사이드레일의 고정홈에 고정 또는 해제되고 타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록킹캠과;
    상기 록킹캠과 하우징에 그 양단부가 각각 걸림된 스프링과;
    상기 양편의 록킹캠에 그 양단부가 각각 고정된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캠이 힌지되는 크로스바에는 록킹캠의 힌지가 이동될 수 있도록 된 장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하면에는 회전되는 록킹캠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개구부가 천공되되, 상기 하우징 하면의 개구부는 크로스바의 록킹 해제 시 회전된 록킹캠이 그 내주연에 걸림되는 길이로서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사이드레일은 도브테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20070114478A 2007-11-09 2007-11-09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1238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478A KR101238055B1 (ko) 2007-11-09 2007-11-09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478A KR101238055B1 (ko) 2007-11-09 2007-11-09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199A true KR20090048199A (ko) 2009-05-13
KR101238055B1 KR101238055B1 (ko) 2013-02-27

Family

ID=40857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478A KR101238055B1 (ko) 2007-11-09 2007-11-09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05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857B1 (ko) * 2005-05-25 2006-06-28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03642B1 (ko) 2005-06-02 2006-07-24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05655B1 (ko) 2005-06-09 2006-07-31 (주)진원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773157B1 (ko) 2005-10-10 2007-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8055B1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3111B2 (ja) ストラップ調節装置を備えた自動係止固定ループ
RU2621396C2 (ru) Узел рулонной шторки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3894431B2 (ja) 移動体のケーブル張力装置
KR100756472B1 (ko) 크로스바 고정 장치
KR101481352B1 (ko) 도어 아웃사이드핸들
KR101816681B1 (ko) 폴딩형 구조물 록킹장치
KR100923746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JP2009190721A (ja) 車両用ループキャリアクロスバー
KR100593857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1238055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916261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JP6266342B2 (ja) キャリアプレートおよび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100773157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 바 고정장치
KR101012061B1 (ko) 도어의 위치에 따라 도어 지지봉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미닫이 도어 이동장치
US10906436B2 (en) Quick release apparatus for a latch connector on a booster seat
KR101241097B1 (ko) 차량의 루프랙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603642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66275B1 (ko) 크로스 바의 슬라이더 락킹 핀 해제장치
KR101673809B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장치
KR100599495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0605658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KR101868109B1 (ko)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
KR20200022597A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장치
JP3416566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構造
KR100802676B1 (ko) 자동차 루프레일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