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109B1 -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 - Google Patents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109B1
KR101868109B1 KR1020160090640A KR20160090640A KR101868109B1 KR 101868109 B1 KR101868109 B1 KR 101868109B1 KR 1020160090640 A KR1020160090640 A KR 1020160090640A KR 20160090640 A KR20160090640 A KR 20160090640A KR 101868109 B1 KR101868109 B1 KR 101868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triker
locking
base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411A (ko
Inventor
노영훈
김범규
임정혁
김수빈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6009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10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60N2/36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와이어를 당기는 작동력은 락킹기구에 작용되고, 래치가 스트라이커를 밀어주면서 회전되는 회전력은 탄성체로부터 전달받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동력과 래치의 회전력을 이원화시킨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적은 작동력으로 락킹기구의 동작시 래치의 회전이 허용되고, 래치는 탄성체를 통해 탄성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스트라이커를 밀어줌으로써 래치가 스트라이커를 밀면서 회전되는 충분한 회전력이 확보되는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 {APPARATUS FOR LOCKING SEAT BACK OF REAR SEAT}
본 발명은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에 대해 시트백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락킹 기능이 구비된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러기지 룸(luggage room)을 구비한 레저용 차량은 러기지 룸으로 화물 적재시 필요에 따라 러기지 룸의 공간을 확장시키기 위해 리어시트의 시트백을 전방으로 폴딩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백의 언폴딩시에는 시트백을 락킹 상태로 유지해야 하고, 폴딩을 위해서는 시트백의 락킹 상태를 해제시켜 주어야만 하는 바, 시트백을 차체에 대해 고정시키거나 시트백이 폴딩될 수 있도록 고정을 해제하는 래치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래치장치는 시트백에 클로우와 폴이 구비되고, 클로우와 대향하는 차체쪽에 스트라이커가 구비되어 클로우가 스트라이커를 감싸는 경우 시트백의 위치가 고정되며, 클로우가 스트라이커를 이탈시키는 경우 시트백의 회전이 허용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에는 클로우와 폴이 상호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폴에는 노브와 연결되는 와이어가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데, 와이어를 당겨 스프링에 의해 클로우의 회전시 클로우가 스트라이커를 충분한 회전력으로 밀어주지 못함에 따라 스트라이커의 구속상태가 유지되는 불량이 발생된다. 즉, 사용자가 와이어를 당겨주는 작동력과 스트라이크를 밀어내는 클라우의 회전력이 동일한 스프링으로 기인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작동력이 강하게 작용될 경우 원활히 클라우가 스트라이크를 밀어낼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작동력을 무리하게 요구할 경우 사용자가 스트라이커의 구속을 해제하는데 큰 불편함이 발생되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작동력도 제한되고 있는 상황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998-0050316 A (1998.09.1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작동력과 클로우가 스트라이커를 밀어주면서 회전되는 회전력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작은 작동력으로 클로우가 스트라이커를 밀면서 회전되는 충분한 회전력이 확보되도록 하는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는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도록 개구되게 형성되어 삽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 래치에 연결되어 래치가 베이스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베이스에서 래치의 회전반경 내에 설치되어 래치의 회전을 제한하고, 와이어 조작에 의해 래치의 회전반경에서 이탈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와이어 조작시 래치가 탄성체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스트라이커가 래치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락킹기구;를 포함한다.
탄성체는 일단이 래치에 연결되고 타단이 베이스에 연결되어 래치가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기구는 베이스에서 래치가 탄성체에 의해 회전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락킹기구는, 베이스에서 래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직선상으로 연장된 락킹케이스; 락킹케이스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와이어가 연결되어 와이어 조작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락킹블록; 및 락킹케이스와 락킹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락킹블록을 탄성 지지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래치에는 스트라이커가 구속되도록 회전된 위치에서 락킹블록에 접촉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락킹블록에는 락킹케이스가 연장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베이스에는 가이드슬롯에 삽입되어 락킹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에는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래치에는 일측단부와 타측단부가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되며, 스트라이커가 이탈되도록 래치가 회전된 위치에서 일측단부가 삽입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래치의 일측단부는 타측단부와 마주보는 부분의 끝단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베이스의 삽입홈에 스트라이커 삽입시 스트라이커가 일측단부의 굴곡진 부분을 타고 이동됨에 따라 래치가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와이어를 당기는 작동력은 락킹기구에 작용되고, 래치가 스트라이커를 밀어주면서 회전되는 회전력은 탄성체로부터 전달받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동력과 래치의 회전력을 이원화시킨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적은 작동력으로 락킹기구의 동작시 래치의 회전이 허용되고, 래치는 탄성체를 통해 탄성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스트라이커를 밀어줌으로써 래치가 스트라이커를 밀면서 회전되는 충분한 회전력이 확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T)가 삽입되도록 개구되게 형성되어 삽입된 스트라이커(T)를 구속하는 래치(200); 래치(200)에 연결되어 래치(200)가 베이스(100)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체(300); 및 베이스(100)에서 래치(200)의 회전반경 내에 설치되어 래치(200)의 회전을 제한하고, 와이어(W) 조작에 의해 래치(200)의 회전반경에서 이탈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와이어(W) 조작시 래치(200)가 탄성체(30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스트라이커(T)가 래치(200)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락킹기구(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T)와 래치(200)의 체결에 의해 시트백의 위치가 고정되는 록킹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으로, 베이스(100)는 시트백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고 베이스(100) 자체가 시트백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00)에는 스트라이커(T)를 구속하는 래치(2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200)는 탄성체(30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받는다. 즉, 래치(200)는 사용자가 와이어(W)를 당김에 따른 작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지 않고, 탄성체(30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별개로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래치(200)가 탄성체(300)의 회전력에 의해 스트라이크를 밀어줄 정도의 충분한 회전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치(200)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제한하는 락킹기구(400)는 사용자의 의지가 반영된 와이어(W)의 조작에 의해 동작된다. 여기서 와이어(W)에는 사용자가 와이어(W)를 조작할 수 있도록 노브가 연결될 수 있다. 즉, 락킹기구(400)는 베이스(100)에서 래치(200)의 회전반경 내에 설치되어 래치(2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고, 와이어(W) 조작에 의해 래치(200)의 회전 반경에서 이탈되면 래치(200)의 회전이 허용됨에 따라 탄성체(300)에 의해 래치(200)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래치(200)는 탄성체(300)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래치(200)의 회전시 스트라이크를 밀어주면서 회전될 수 있는 충분한 회전력으로 회전될 수 있고, 래치(20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락킹기구(400)는 사용자의 의지가 반영된 와이어(W)의 조작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이렇게, 래치(200)의 회전력과 사용자의 작동력이 이원화됨에 따라 래치(200)가 스트라이커(T)를 밀면서 회전되는 충분한 회전력이 확보됨과 동시에 적은 작동력으로 락킹기구(400)를 통해 래치(20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허용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300)는 일단이 래치(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베이스(100)에 연결되어 래치(200)가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이렇게, 탄성체(300)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일단이 래치(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베이스(100)에 연결됨으로써 한 방향으로 지속적인 탄성력이 래치(200)에 제공됨에 따라 탄성력이 작용되는 방향으로 래치(20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300)는 래치(200)의 회전시 스트라이커(T)를 밀어 시트백이 회전될 수 있는 충분한 탄성력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락킹기구(400)는 베이스(100)에서 래치(200)가 탄성체(300)에 의해 회전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락킹기구(400)는 래치(200)의 회전을 제한하고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구성되는바, 래치(200)의 회전반경 내에 설치되며 래치(200)가 탄성체(300)에 의해 회전되는 방향에 설치됨에 따라 래치(2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래치(200)가 탄성체(30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락킹기구(400)는 래치(200)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어 걸림으로써 래치(200)의 회전을 제한하고, 또는 래치(200)의 회전반경에서 벗어나 래치(2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락킹기구(4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기구(400)는 베이스(100)에 설치되고 래치(20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직선상으로 연장된 락킹케이스(420); 락킹케이스(420)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와이어(W)가 연결되어 와이어(W) 조작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락킹블록(440); 및 락킹케이스(420)와 락킹블록(440) 사이에 개재되어 락킹블록(440)을 탄성 지지하는 복귀 스프링(4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베이스(100)에는 락킹케이스(420)가 구비되며, 락킹케이스(420)는 락킹블록(440)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직선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특히, 락킹케이스(420)가 연장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락킹블록(440)은 복귀 스프링(460)에 의해 탄성 지지됨에 따라 래치(200)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의해 와이어(W)가 조작된 경우 락킹블록(440)이 복귀 스프링(460)을 압축하면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의지가 반영된 와이어(W) 조작시 락킹블록(440)이 이동되어 래치(200)의 회전이 허용되도록 하고, 와이어(W) 조작이 해제되면 락킹블록(440)은 복귀 스프링(46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래치(2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래치(200)에는 스트라이커(T)가 구속되도록 회전된 위치에서 락킹블록(440)에 접촉되는 걸림돌기(2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200)가 회전되어 스트라이커(T)를 구속된 상태에서 래치(200)의 걸림돌기(220)가 락킹블록(440)에 접촉되도록 돌출 형성됨에 따라 래치(20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치(200)는 락킹블록(440)이 와이어(W)의 조작에 의해 이동시 락킹블록(440)이 걸림돌기(220)에서 이탈됨에 따라 래치(200)의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특히 락킹블록(440)과 걸림돌기(220)는 접촉되는 부분이 많은 면적을 차지하지 않음으로써 락킹블록(440)과 걸림돌기(220) 간의 마찰력이 크게 발생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래치(200)는 걸림돌기(220)가 락킹블록(440)에 접촉됨에 따라 회전이 제한되거나 허용되도록 구성되며, 걸림돌기(220)와 락킹블록(440) 간에 마찰이 최소화됨에 따라 사용자의 와이어(W) 조작에 따른 조작력이 저감된다.
여기서,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락킹블록(440)에는 락킹케이스(420)가 연장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슬롯(442)이 형성되고, 베이스(100)에는 가이드슬롯(442)에 삽입되어 락킹블록(44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핀(102)이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베이스(100)에는 가이드핀(102)이 돌출되고, 락킹블록(440)에 형성된 가이드슬롯(442)에 가이드핀(102)이 삽입됨으로써 락킹블록(440)은 가이드슬롯(442)이 연장된 부분만큼만 이동됨에 따라 락킹블록(440)의 과도한 이동이 제한되고, 락킹블록(440)이 락킹케이스(4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락킹블록(440)에 형성되는 가이드슬롯(442)과 이에 삽입되는 가이드핀(102)은 복수개로 형성하여, 견고한 지지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베이스(100)에는 스트라이커(T)가 삽입되는 삽입홈(120)이 형성되고, 래치(200)에는 일측단부(240)와 타측단부(260)가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스트라이커(T)가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되며, 스트라이커(T)가 이탈되도록 래치(200)가 회전된 위치에서 일측단부(240)가 삽입홈(1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래치(200)의 일측단부(240)와 타측단부(260) 사이로 스트라이커(T)가 삽입되며, 특히 래치(20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된 위치에서 일측단부(240)가 베이스(100)의 삽입홈(120)에 대응되도록 위치됨으로써 래치(200)의 회전시 스트라이커(T)를 밀어 시트백이 스트라이커(T)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고, 시트백의 위치를 복원하여 재고정시 스트라이커(T)가 래치(200)의 일측단부(240)를 밀어 래치(200)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트라이커(T)가 래치(200)에 자연스럽게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래치(200)의 일측단부(240)는 타측단부(260)와 마주보는 부분의 끝단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베이스(100)의 삽입홈(120)에 스트라이커(T) 삽입시 스트라이커(T)가 일측단부(240)의 굴곡진 부분을 타고 이동됨에 따라 래치(200)가 스트라이커(T)를 구속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처럼, 래치(200)의 일측단부(240)는 스트라이커(T)가 접촉되는 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와이어(W)가 조작되어 래치(200)가 회전됨에 따라 스트라이커(T)의 구속 해제시 스트라이커(T)가 래치(200)의 회전방향으로 일측단부(240)의 굴곡진 부분을 타고 부드럽게 이동되어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시트백의 위치를 복원하여 재고정시 스트라이커(T)가 래치(200)에 형성된 일측단부(240)의 굴곡진 부분을 타고 부드럽게 밀어주면서 일측단부(240)와 타측단부(260) 사이에 안착된다. 이로 인해, 래치(200)의 회전시 스트라이커(T)가 부드럽게 이탈 또는 삽입됨으로써 작동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이 언폴딩된 상태에서는 래치(200)가 탄성체(300)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지만 래치(200)의 걸림돌기(220)가 락킹기구(400)의 락킹블록(440)에 걸리어 회전이 제한됨으로써 래치(200)가 스트라이커(T)를 구속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트백의 폴딩시 사용자가 와이어(W)를 조작하면 락킹블록(440)이 와이어(W)의 당김에 의해 이동되고, 락킹블록(44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었던 래치(200)의 회전이 허용됨으로써 래치(200)는 탄성체(300)의 탄성력으로 회전된다. 이렇게 탄성체(300)에 의해 회전되는 래치(200)는 스트라이커(T)를 밀어 베이스(100)의 삽입홈(12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시트백은 자연스럽게 차체로부터 이탈되어 폴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와이어(W)를 당기는 작동력은 락킹기구(400)에 작용되고, 래치(200)가 스트라이커(T)를 밀어주면서 회전되는 회전력은 탄성체(300)로부터 전달받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동력과 래치(200)의 회전력을 이원화시킨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적은 작동력으로 락킹기구(400)가 동작시 래치(200)의 회전이 허용되고, 래치(200)는 탄성체(300)를 통해 탄성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스트라이커(T)를 밀어줌으로써 래치(200)가 스트라이커(T)를 밀면서 회전되는 충분한 회전력이 확보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베이스 102:가이드핀
120:삽입홈 200:래치
220:걸림돌기 240:일측단부
260:타측단부 300:탄성체
400:락킹기구 420:락킹케이스
440:락킹블록 442:가이드슬롯
460:복귀 스프링

Claims (8)

  1.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도록 개구되게 형성되어 삽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
    래치에 연결되어 래치가 베이스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베이스에서 래치의 회전반경 내에 설치되고 직선상으로 연장된 락킹케이스와, 락킹케이스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와이어가 연결되어 와이어 조작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래치의 회전반경에서 이탈되며, 락킹케이스가 연장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락킹블록과, 락킹케이스와 락킹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락킹블록을 탄성 지지하는 복귀 스프링으로 구성됨으로써 와이어 조작시 락킹블록이 래치의 회전반경에서 이탈되어 래치가 탄성체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스트라이커가 래치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락킹기구;을 포함하며,
    베이스에는 가이드슬롯에 삽입되어 락킹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체는 일단이 래치에 연결되고 타단이 베이스에 연결되어 래치가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킹기구는 베이스에서 래치가 탄성체에 의해 회전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래치에는 스트라이커가 구속되도록 회전된 위치에서 락킹블록에 접촉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에는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래치에는 일측단부와 타측단부가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되며, 스트라이커가 이탈되도록 래치가 회전된 위치에서 일측단부가 삽입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래치의 일측단부는 타측단부와 마주보는 부분의 끝단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베이스의 삽입홈에 스트라이커 삽입시 스트라이커가 일측단부의 굴곡진 부분을 타고 이동됨에 따라 래치가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
KR1020160090640A 2016-07-18 2016-07-18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 KR101868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640A KR101868109B1 (ko) 2016-07-18 2016-07-18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640A KR101868109B1 (ko) 2016-07-18 2016-07-18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411A KR20180009411A (ko) 2018-01-29
KR101868109B1 true KR101868109B1 (ko) 2018-06-19

Family

ID=6102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640A KR101868109B1 (ko) 2016-07-18 2016-07-18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1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8000A (ko) 2020-10-30 2022-05-0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시트백 잠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8330A (ja) * 2005-03-09 2006-09-21 T S Tec Kk 車両用シートのロック装置
KR20070040483A (ko) * 2005-10-12 2007-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뒷좌석 시트백의 각도 조절을 위한 2단 록킹 장치
JP2011098585A (ja) * 2009-11-04 2011-05-19 Toyota Boshoku Corp ロック装置
JP5450130B2 (ja) * 2010-01-29 2014-03-26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ートの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8330A (ja) * 2005-03-09 2006-09-21 T S Tec Kk 車両用シートのロック装置
KR20070040483A (ko) * 2005-10-12 2007-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뒷좌석 시트백의 각도 조절을 위한 2단 록킹 장치
JP2011098585A (ja) * 2009-11-04 2011-05-19 Toyota Boshoku Corp ロック装置
JP5450130B2 (ja) * 2010-01-29 2014-03-26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ートの固定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5450130호(2014.03.26.)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8000A (ko) 2020-10-30 2022-05-0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시트백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411A (ko) 2018-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966B1 (ko) 시트 폴딩 장치
EP2116415A1 (en) Lock structure for stowable vehicle seat
JPH11321402A (ja) 車両シ―ト用スライドレ―ルおよびこのスライドレ―ルを有するシ―ト
US8894107B2 (en) Lock apparatus
US11208019B2 (en) Headrest assembly
JP2005029151A (ja) 第1の要素を第2の要素にロック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このロックシステムを備えたシート
US10737603B2 (en) Headrest assembly
US20180099591A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KR101816681B1 (ko) 폴딩형 구조물 록킹장치
KR101868109B1 (ko)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
JP2008114690A (ja) ロック装置
JP2017094759A (ja) 車両用シェード装置
JP2010030461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601509B1 (ko) 시트 폴딩 장치
JP2017087929A (ja) シートロック装置
KR101519247B1 (ko) 슬라이드 도어 장치
KR101640684B1 (ko) 리어시트의 시트백 록킹장치
KR20070031493A (ko) 더블 폴딩 시트용 폴딩 위치 제한장치
KR101610726B1 (ko) 시트용 워크인장치
KR101876464B1 (ko) 차량용 더블폴딩시트의 록킹어셈블리
KR100216287B1 (ko) 헤드레스트 조작장치
JP5375431B2 (ja) ロック装置
KR102212756B1 (ko)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
JP5370049B2 (ja) ロック装置
KR102021902B1 (ko) 차량의 시트백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