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916A -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916A
KR20090047916A KR1020070114018A KR20070114018A KR20090047916A KR 20090047916 A KR20090047916 A KR 20090047916A KR 1020070114018 A KR1020070114018 A KR 1020070114018A KR 20070114018 A KR20070114018 A KR 20070114018A KR 20090047916 A KR20090047916 A KR 20090047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plant
skin
weight
cosmetic composition
pla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9502B1 (ko
Inventor
장문식
이민경
김동원
이준영
문종국
전옥선
조은주
Original Assignee
장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문식 filed Critical 장문식
Priority to KR1020070114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502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류, 무화과, 은행, 오디로부터 유효 성분을 고체 발효 공정을 통하여 유효 성분을 활성화시키고, 저온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유효성분의 손실을 최소화시키어 얻어진 천연 식물 추출물을 통하여 각종 민감성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를 부드럽고 윤기있게 가꾸어주도록 하여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제공해주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피부 보호, 항산화 효과, 화장료, 석류, 무화과

Description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plant extracts with the antioxidant effect }
도 1은 본 발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의 파장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슈퍼록사이드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콜라게나아제 활성을 저해능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능을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체 발효 기법을 통한 유효성분의 활성화와 초음파 추출에 의한 유효 성분의 효율적인 추출에 의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노화 현상은 두가지가 있는데 대게 25세 내지 26세를 기점으로 시작되는 자연 노화와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 (또는 외인성 노화)가 있다. 자연 노화(내인성 노화)는 나이가 들면서 찾아오는 필연적인 현상으로 피할 수 없으며 유전자를 통하여 전해져 내려오는 것으로 거스를 수 없는 현상이고, 호흡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활성 산소가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연령이 증가하면서 탄력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또한 수분량과 피지량도 30대 이후 크게 감소하고 피지량의 경우 20대 이후부터는 계속하여 감소한다. 이러한 수분량과 피지량의 감소는 20 내지 30대 이후 피부의 주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 다른 노화 현상인 광노화(외인성 노화)는 피부가 항상 외부 환경에 노출된 까닭에 발생하는 노화를 말한다. 냉방 및 온방 장치의 사용으로 건조한 실내 환경에 의해 피부의 적정 수분 유지가 어렵기도 하며 바람, 화학물질 등에 의해 정상적인 수분을 피부가 유지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다. 특히 대부분 자외선에 노출되어서 발생하므로 조심하면 상당부분 피할 수 있다는 것이 내인성 노화와의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광노화의 주원인은 햇빛(자외선)을 받았을 때 생기는 활성산소가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태양 광선에 포함된 자외선은 그 파장 영역에 따라 장파장, 중파장, 단파장으로 나누어지며, 이들 자외선은 피부에 여러 부작용을 유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 중의 단파장 자외선은 인체에 매우 유해하나 현재까지는 대기중의 오존층에 흡수되어 지표상에는 거의 도달하지 않으며, 주로 장파장 자외선과 중파장 자외선이 피부에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장파장 자외선은 색소 침착, 광독성, 광알레르기 등을 유발하고, 에너지가 더 큰 중파장 자외선은 홍반, 수포 유발을 비롯한 화상, 피부암, 색소 침착 및 피부 단백질 변성 등을 일으키므로 이들 피부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막아주는 것이 피부의 건강에 매우 중요하며, 종래로부터 자외선을 막아주기 위한 여러 가지 자외선 차단제가 개발되어 왔다.
종래의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페논 유도체, 파라아미노 유도체, 계피산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등의 화합물질이 있고, 자외선 산란제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 안료가 사용되어 왔는데, 자외선 흡수제는 주로 중파장 자외선 영역의 자외선만을 흡수하며 자체가 화학합성물질이라 피부에 다른 부작용, 즉 자극, 알레르기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많다. 또한 자외선 산란제는 자외선 뿐만 아니라 가시광선까지도 화장료로 사용하였을 때 불투명하며, 피부에 도포시 사용감이 나쁘다고 지적되어 왔다.
한편, 천연물에서 추출 분리한 자외선 흡수 작용을 가지는 물질은 일반적으로 자극이 적고, 항염증, 수렴 작용, 항균 작용과 같은 기타의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로부터 화장료에 배합하는 자외선 흡수제로서 유망시되어 왔으며, 천연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자외선 흡수물질을 검색, 분리하려는 노력이 시도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미 알려져 있는 활성산소의 저해능이 뛰어나며 보습 및 피부 재생능이 우수하며 자외선 차단제의 단점을 극복하고 보다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각종 천연 식물로부터 고체 발효를 통하여 원물에서 포함한 유효성분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이를 저온의 초음파 추출 방법을 통하여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되었다. 특히 이러한 유효 성분의 활성화 및 추출 방법을 통하여 피부 보호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석류, 무화과, 은행, 오디로 구성된 천연 식물 성분이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식물 성분의 고체 발효를 통한 유효 성분의 활성화 방법과 추출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초음파 방법을 적용하여 천연 유효 성분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를 윤기있고 밝게 가꾸어주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1,3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또는 정제수를 사용하거나 혼합 사용하여 저온 초음파 추출하여, 비흡광도가 크며, 화장료용의 각종 기제 및 첨가제, 유기용제 등에 대한 용해성, 친화성 및 안정성이 좋고, 특히 기존의 자외선 차단제와 병용하였을 때 자외선 차단 지수를 현저히 높이는 상승 작용을 제공하 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서 식물은 석류, 무화과, 오디, 은행을 사용하여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석류 1 내지 30 중량%, 무화과 1 내지 30 중량%, 오디 1 내지 30 중량%, 은행 1 내지 30 중량%로 구성한다.
본 발명은 석류, 무화과, 오디, 은행으로 구성되어진 혼합 원료로서 건조 과정을 거치거나 생물로서의 혼합물을 80 내지 100도씨 온도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습식 열처리를 하는 단계를 거치어 미생물 오염도를 낮추며 각 혼합물을 구성하는 원료의 영양성분이 활성화되어 추출 효율이 높아지도록 화학적 조건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 후 30 내지 60도씨 온도와 pH 5.5 내지 8.5 및 통성 혐기적인 발효 조건에서 석류, 무화과, 오디, 은행으로 구성된 천연 식물 혼합물을 고체(또는 건식) 배양 조건하에서 바실러스속 미생물을 이용하여 고체 발효하여 고분자 유효 성분을 생산한 후 제균 단계를 거치어 정제수 또는 유기용매로서 저급 알코올 특히 에탄올을 1:1 내지 5의 부피비로 혼합 첨가하여 열수 또는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교반하여 추출액을 회수하고 이를 농축하여 1차 정제하였다. 더욱 정제하고자 할 때는 4도씨에서 분자량 10kD의 막 필터를 이용한 투석을 통해 저분자량의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분리된 용액의 부피와 동일한 부피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추출물의 점도를 낮춘 후 동결건조하여 건조중량을 측정하여 생산성을 결정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추출물을 화장료 제조시 첨가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고체 발효 단계의 바실러스속 균주의 특성은 그람 양성균으로서 내생 포자 형성능이 있으며, 장간균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호기성 또는 통성 혐기성 조건에서 생장이 가능하지만 혐기적인 조건에서는 생장이 불가능하며 카탈라아제 생산 및 카제인과 젤라틴, 전분 분해능의 특징을 가진다. 생장 조건으로서는 7% 식염수 조건에서 생장이 가능하며 발효 조건인 약 45도씨에서 생장이 가능하며 약 pH 5.0 내지 7.5에서 생장이 활발하다. 또한 글루코오스, 아라비노오스, 크실로오스, 만니톨을 이용하여 산을 생성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는 보수적인 추출 방법으로서의 침지에 의한 추출이 가진 추출 효율을 개선한 저온의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한다.
여기서 저온이라 함은 섭씨 60도 이하를 말한다. 그리하여 추출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식물 추출물의 조성의 변화에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였다. 이러한 초음파 추출 방법은 각종 유용성분의 불안정한 구조를 안정화시키며 다양한 범위의 초음파에 의하여 식물 원료에 깊게 침투하여 천연물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초음파 추출 방법에서 초음파란 인간의 귀로 들을 수 없는 높은 진동수의 소리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된 초음파 추출 방법은 장점은 초음파 에너지 변화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그리하여 추출 효율이 매우 높으며 약리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 성분의 변성 및 파괴 가능성을 최소화시키며, 생산 속도가 기존의 전통적 열수 추출 방법보다 빠르므로 추출시간을 단축시키며 이로 인하여 저비용 저에너지 사용이라는 특징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식물 추출물에 1 내지 5배의 에탄올 또는 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유기용 매 또는 정제수를 가하여 화장료 제조시 첨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상기 제조된 석류, 무화과, 오디, 은행으로 구성된 천연 추출물을 0.1 ~ 5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2 중량%가 되게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0.1 중량% 이하는 첨가시에 본 발명의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가 미흡하게 나타나며, 5 중량% 이상 사용하는 경우 최종 제품에서 고유 풍미에 따른 고유취와 색상이 강하게 나타나 제품 적용에 어려움이 있어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중량%로 제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바디로션,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하에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대표적인 스킨과 로션 조성물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
천연 식물 추출물은 건조된 석류, 무화과, 오디, 은행의 원료를 사용하였다.
석류, 무화과, 오디, 은행으로 구성되어진 천연 식물 혼합물을 80 내지 100도씨 온도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습식 열처리를 하여 미생물 오염도를 낮추며 각 혼합물을 구성하는 원료의 영양성분이 용출되어 이용되기 쉽도록 조건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 후 30 내지 60도씨 온도와 pH 5.5 내지 8.5 및 통성 혐기적인 발효 조건에서 석류, 무화과, 오디, 은행으로 구성되어진 열처리된 천연 식물 혼합물을 건식 배양 조건하에서 바실러스속 미생물을 이용하여 고체 발효하여 고분자 물질을 생산한 후 제균 단계를 거치어 정제수 또는 유기용매로서 저급 알코올 특히 에탄올을 1:1 내지 5의 부피비로 혼합 첨가하여 열수 또는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교반하여 추출액을 회수하고 이를 농축하여 1차 정제하였다. 더욱 정제하고자 할 때는 4도씨에서 분자량 10kD의 막 필터를 이용한 투석을 통해 저분자량의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분리된 용액의 부피와 동일한 부피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점도를 낮춘 후 동결건조하여 건조중량을 측정하여 생산성을 결정하였다.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천연 식물 혼합 원료를 고체 발효를 통하여 저온 초음파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2g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순번 종류 추출전 무게(g) 추출후 무게(g)
1 석류 20.0
2 무화과 30.0
3 오디 30.0
4 은행 20.0
합계 100.0 2.0
실시예 2 :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 효과가 있는 스킨 로션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비율로 스킨 로션을 제조하였다. 알콜 부분은 곡정에서 생산하여 78℃ 증류한 알콜에 M-P, tween 20, NP-12의 순서대로 용해시켜 제조하였고, 정제수 부분은 멸균 처리된 정제수에 글리세린, 1,3-BG, DC-193, 히아루론산, 알란토인, 구연산, 구여산소다의 순서대로 용해시켜 제조한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천연 식물 추출물과 혼합하여 스킨 로션을 제조하였다.
분류 원료명 무게(중량%)
알콜 부분 에탄올 7
메틸파라히드록시벤조익산 0.1
tween-20 0.2
노닐페닐에테르-12 0.2
정제수 부분 정제수 89.51
글리세린 0.1
1,3-부틸렌글리콜 0.2
알라닌 193 0.1
히아루론산 0.5
알란토인 0.05
구연산 0.01
구연산소다 0.03
천연 식물추출물 천연 식물 추출물 2.0
합계 100
실시예 3 :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 효과가 있는 밀크 로션의 제조
표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밀크 로션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무게(중량%)
스테아린산 2.1
세탄올 1.3
유동파라핀 7.0
스쿠알렌 0.5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1.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0.5
아라셀-60 0.85
tween-20 0.1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0.5
프로필파라벤 0.1
알라닌 200F/100CS 0.1
정제수 73.15
트리에탄올아민 0.7
프로필렌글리콜 7.0
글리세린 3.0
메틸파라히드록시벤조익산 0.1
천연 식물 추출물 2.0
합계 100
실험예 1 : 본 발명에 따른 스킨 로션의 피부 자극성 및 보호 효과 확인
건강한 성인 남녀 40명(남자 20명, 여자 20명)의 전박부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스킨 로션을 일정량(10m/5㎠)씩 도포하고, 그외의 부위를 알루미늄 호일로 차폐하여 30분 후에,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장파장 자외선을 10.2J/㎠ 의 용량으로 조사하고 24시간 후에 피부 상태(홍반, 부종, 구진 등)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피부에 홍반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스킨 로션은 광독성이 없으며 피부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본 발명에 따른 밀크 로션의 피부 자극성 및 보호 효과 확인
건강한 성인 남녀 40명(남자 20명, 여자 20명)의 전박부에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밀크 로션을 일정량(10m/5㎠)씩 도포하고, 그외의 부위를 알루미늄 호일로 차폐하여 30분 후에,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장파장 자외선을 10.2J/㎠ 의 용량으로 조사하고 24시간 후에 피부 상태(홍반, 부종, 구진 등)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피부에 홍반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밀크 로션은 광독성이 없으며 피부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본 발명에 따른 스킨 로션 및 밀크 로션의 피부 안정성 확인 시험
건강한 성인 남녀 40명(남자 20명, 여자 20명)의 전박부에 상기 실시예 3과 4에서 제조한 스킨 로션 및 밀크 로션을 인체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대상자의 전박부를 70% 에탄올로 잘 닦은 다음 그 부위에, 통상의 화장료 기제에 상기 실시예 2와 3에서 제조한 스킨 로션 및 밀크 로션을 20㎕씩 담은 핀 챔버를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24시간 폐쇄 부착시켰다. 24시간 후에 점착 테이프와 핀 챔버를 제거하고, 가제로 피부에 잔존된 시료를 가볍게 닦아 제거한 뒤에 피부 상태를 관찰하고 다시 24시간 후에 한번 더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킨 로션 및 밀크 로션의 피부 자극성을 확인하기 위한 인체 첩포 시험에서 양성 반응을 보이지 않아 인체 피부에 자극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료 24시간 후(n=30) 48시간 후(n=30) 비고
스킨로션 0/30 0/30 반응양성자수/총대상자수
밀크로션 0/30 0/30
실험예 4 : 본 발명 실시예 1에 의한 식물 추출물의 파장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
자외선은 파장이 긴 UV-A와 상대적으로 파장이 짧은 UV-B로 나뉘어진다. UV-A의 경우 피부 깊은 곳까지 도달하여 피부를 검게 하는 진피 반응이 강하게 나타난다. UV-B의 경우 피부에 일광 화상을 일으키며 색소 침착을 촉진한다. 이러한 UV를 차단하기 위하여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는데 차단제 자체가 피부 자극을 유도할 수 있다.
대조군으로서 1, 3-부틸렌글리콜 40%와 Phenonip 0.2%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자외선 파장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를 도 1에서 보여주듯이 천연 식물 추출물이 파장에 따라 자외선 흡수 능력이 우수함을 관찰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이러한 피부 자극 가능성을 낮추어 줄 수 있으며 UV-A와 UV-B 모두 흡수하여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지를 파장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 노화를 예방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 활성에 의한 항산화 효과
하이드록실 라디칼은 세포에 손상을 주는 가장 강력한 free radical로서 피부 세포막의 지질의 과산화반응을 일으키고 특히 DNA 및 결합조직 기질 손상에 참여하는 주원인 활성 산소종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자외선 흡수로 시작되는 광증감 반응에 의해 슈퍼록사이드와 과산화수소가 생성되고 이들은 생체내에서 보다 위험한 하이드록실 라디칼 생성에 참여한다. 즉 슈퍼록사이드는 철 이온과 구리 이온을 환원시킬 수 있고 환원된 철과 구리는 과산화수소를 환원시키면서 결과적으로 하이드록실 라디칼을 생성시킨다.
본 발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은 in vitro에서 Fenton 반응에 의해 생성시킨 하이드록실 라디칼을 소거하는 능력을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즉 표 5과 도 2에서 보여주듯이 본 발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은 농도에 따라 하이드록실 라디칼을 소거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활성(SC 50)이 우수하였으며 13.7㎕/㎖을 나타내었다.
SC 50
천연 식물 추출물 13.7 ㎕/㎖
Trolox 3.5 mM
실험예 6 :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슈퍼록사이드 음이온 소거 활성 효과
활성산소 가운데 슈퍼록사이드 음이온은 자외선 흡수로 시작되는 광증감반응에 의해 생성되고, 생체내에 존재하는 SOD(Superoxide dismutase) 효소에 의해 과산화수소로 전환된다. 슈퍼록사이드와 과산화수소는 반응성이 약하여 직접적으로 조직세포 손상에 참여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보다 위험한 하이드록시라디칼 생성에 참여한다. 즉 슈퍼록사이드는 철과 구리 이온을 환원시킬 수 있고, 환원된 철과 구리 이온은 과산화수소를 환원시키면서 결과적으로 하이드록실 라디칼을 생성시킨다. 또한 생체내에서 슈퍼록사이드는 페리틴으로부터 철 이온(II)을 방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자외선 조사 후에 나타나며 자외선으로 인해 생성된 슈퍼록사이드의 작용으로 간주되고 있다.
본 발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농도에 따라 슈퍼록사이드 라디칼의 소거활성(SC 50)은 표 6과 도 3에서 보여주듯이 우수하였으며 0.37 ㎕/㎖을 나타내었다.
SC 50
천연 식물 추출물 0.37 ㎕/㎖
Trolox 64.9 uM
실험예 7 : 본 발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에 의한 항주름 효과
피부 주름의 발생 원인 중 하나로 피부교원질, 즉 콜라겐의 결핍을 들 수 있다. 콜라겐은 피부 진피를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 구조와 탄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콜라겐은 나이가 들면서 생성은 감소되며, 분해도는 증가되어 피부 진피층의 함몰을 유도하여 피부의 주름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광노화의 원인인 자외선에 의해 콜라게나아제와 같은 MMP(matrix metalloproteinase)가 발현되고, 이에 의해 콜라겐의 분해가 증가되어 주름이 생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이 콜라게나아제 활성을 저해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피부 주름 개선의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반응구로서 0.05M tricine buffer(pH7.5) 0.8ml에, 0.2mM 농도의 FALGPA을 녹인 기질액 0.05ml 및 시료용액을 농도별로 0.05ml 첨가하고, 여기에 콜라게나아제(3mg/ml) 0.05ml을 첨가하여 20 ℃ 에서 18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1N 아세테이트 10ul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후, 흡광도324nm에서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도 4및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7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천연 식물 추출물은 농도에 따라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능이 증가함을 나타내었으며, 콜라게나아제 저해능(IC 50)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SC 50
천연 식물 추출물 0.17 ㎕/㎖
실험예 8 : 본 발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에 의한 미백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을 사용하여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노 등의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변형시켜 측정하였다(No.J.K., et al.;Life Science, 65, p241-246, 1999).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의 제조방법의 대조군으로 동일한 시간으로 동일한 추출용매로서 100℃로 가열된 물을 사용하는 열수 추출법을 사용하여 대조군의 샘플을 제조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천연 식물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0.3 mg/㎖ 티로신 용액을 1 ㎖씩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0.1M 인산칼륨 완충용액(pH 6.8) 1 ㎖ 및 추출물의 농도별 시료(0.5, 1.0, 2.0, 4.0(%, V/V)) 0.9 ㎖을 넣은 뒤, 25 ℃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 때 대조군으로 각 시료 대신 용매만을 0.9 ㎖을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이 반응액에 2500 Unit/㎖의 티로시나제 효소 0.1 ㎖씩을 넣고 다시 25 ℃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이 든 시험관을 얼음물 속에 넣어 급냉시켜 반응을 중지시키고, 광전 분광분석계로 파장 47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각 시료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는 도 5와 표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추출물의 농도를 각각 0.125, 0.25, 0.5, 1.0(%, V/V)에서 천연 식물 추출물은 40%, 56%, 70%, 80%를 나타내었다.
SC 50
천연 식물 추출물 2.3 ㎕/㎖
코직산 24.5 ㎍/㎖
이상 상기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석류, 무화과, 은행, 오디로 구성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료는 고체 발효 방법과 저온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유효 성분의 활성화 및 추출 효율을 극대화하였으며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4)

  1.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로서, 석류, 무화과, 은행, 오디로부터 고체 발효하여 저온 초음파 추출하여 얻어진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천연 식물 추출물의 구성은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석류 1 내지 30 중량%, 무화과 1 내지 30 중량%, 오디 1 내지 30 중량%, 은행 1 내지 3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천연 식물 추출물의 고체 발효 균주는 그람 양성균으로서 내생 포자 형성능이 있으며, 장간균의 형태를 가지며, 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 조건에서 생장이 가능하지만 혐기적인 조건에서는 생장이 불가능하며 카탈라아제 생산 및 카제인과 젤라틴, 전분 분해능의 특징을 가지며, 생장 조건으로서는 7% 식염수 조건에서 생장이 가능하며 발효 조건인 약 45도씨에서 생장이 가능하며 약 pH 5.0 내지 7.5에서 생장이 활발하며, 글루코오스, 아라비노오스, 크실로오스, 만니톨을 이용하여 산을 생성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 바실러스속 균주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4. 천연 식물 추출물은 석류, 무화과, 오디, 은행으로 구성하는 단계 ;
    80 내지 100도씨 온도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습식 열처리를 하여 미생물 오염도를 낮추며 각 혼합물을 구성하는 원료의 영양성분이 용출되어 이용되기 쉽도록 조건을 형성하는 단계 ;
    30 내지 60도씨 온도와 pH 5.5 내지 8.5 및 통성 혐기적인 발효 조건에서 바실러스속 미생물을 이용하여 고체 발효하는 단계 ;
    유효 고분자 물질을 생산하여 바실러스속 미생물 등을 제거하는 제균 단계 ;
    정제수 또는 유기용매로서 저급 알코올 특히 에탄올을 1:1 내지 5의 부피비로 혼합 첨가하여 열수 또는 초음파 추출하는 단계 ;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70114018A 2007-11-09 2007-11-09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KR100899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018A KR100899502B1 (ko) 2007-11-09 2007-11-09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018A KR100899502B1 (ko) 2007-11-09 2007-11-09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916A true KR20090047916A (ko) 2009-05-13
KR100899502B1 KR100899502B1 (ko) 2009-05-26

Family

ID=4085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018A KR100899502B1 (ko) 2007-11-09 2007-11-09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5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0839A (ko) * 2017-03-02 2018-09-12 주식회사 뉴트리사이언스 고지베리, 무화과 및 배초향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02918B1 (ko) 2018-12-27 2019-07-23 주식회사 신세계인터코스코리아 석류 가수분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0682384B2 (en) 2017-02-28 2020-06-16 Cosmax Ns, Inc.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complex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US11389392B2 (en) 2017-06-13 2022-07-19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in firming skin
US11672754B2 (en) 2020-06-16 2023-06-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1322B2 (en) 2018-03-23 2023-07-18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2309858B1 (ko) 2020-01-30 2021-10-08 (주)에스앤케이연구센터 전판홍경천 뿌리 추출물 및 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15076B1 (ko) 2021-07-16 2021-10-20 (주)스킨오르 각질제거, 피부장벽 개선, 가려움증 완화, 색소침착 및 피부염증 완화의 복합효능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3466A (ja) * 1994-11-15 1996-06-04 Sanki Shoji Kk 天然抗酸化剤および活性酸素消去剤
KR970009807A (ko) * 1995-08-17 1997-03-27 백재기 식물성 생약을 이용한 해독제 조성물
JP3463044B2 (ja) 2001-02-05 2003-11-05 信壽 田中 高い抗酸化活性を有するイチョウ葉エキス含有組成物
KR20030055950A (ko) * 2001-12-27 2003-07-04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2384B2 (en) 2017-02-28 2020-06-16 Cosmax Ns, Inc.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complex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20180100839A (ko) * 2017-03-02 2018-09-12 주식회사 뉴트리사이언스 고지베리, 무화과 및 배초향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US11389392B2 (en) 2017-06-13 2022-07-19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in firming skin
KR102002918B1 (ko) 2018-12-27 2019-07-23 주식회사 신세계인터코스코리아 석류 가수분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672754B2 (en) 2020-06-16 2023-06-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502B1 (ko) 2009-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835B1 (ko)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99502B1 (ko)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KR100992088B1 (ko)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09486B1 (ko) 다단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81001B1 (ko) 항산화 효과와 미백 효과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천연컴플렉스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27788B1 (ko) 글루쿠론산을 다량 함유하는 지충이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370990B1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20170052811A (ko) 녹차추출물의 효모발효액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050613B1 (ko) 항산화 효과와 항주름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104156A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71655B1 (ko) 항산화, 항염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2447A (ko)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477126B1 (ko)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칠향팔백산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98307B1 (ko)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13293A (ko)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조성물
KR20090026826A (ko)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EP1029531A2 (en) Vegetal extract as cosmetic agent for skin
KR100898308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50275B1 (ko) 거북으로부터 아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아교를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66836B1 (ko) 두피 보호 및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50386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혼합 새싹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20220057360A (ko) 히비스커스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0510104B1 (ko) 루이보스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20190112879A (ko) 유자 씨앗 배아 발효 성분에 기초하는 천연미백제의 제조방법
KR20120032690A (ko) 면역 효과에 의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