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779A -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779A
KR20090047779A KR1020070113805A KR20070113805A KR20090047779A KR 20090047779 A KR20090047779 A KR 20090047779A KR 1020070113805 A KR1020070113805 A KR 1020070113805A KR 20070113805 A KR20070113805 A KR 20070113805A KR 20090047779 A KR20090047779 A KR 20090047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tc
secondary battery
groove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4587B1 (ko
Inventor
김대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3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587B1/ko
Priority to US12/207,836 priority patent/US8399125B2/en
Publication of KR20090047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7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71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using adhesives or sealing ag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25Re-sealable arrangements comprising deformable valve members, e.g. elastic or flexible val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내부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일 면적 대비 셀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캡 조립체는 캡 업, PTC 및 상기 캡 업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부품을 구비하는 캡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캡 업의 일측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상기 PTC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캔, 상기 캔에 결합하여 상기 캔을 밀봉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캡 조립체는 일측에 홈이 형성된 캡 업, PTC 및 상기 캡 업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상기 PTC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PTC를 캡 업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캡 업과 하부 부품이 직접 용접되어 일체화가 가능하다. 또한, 부품간의 접촉에 따른 내부 저항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PTC가 차지하던 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셀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캡 조립체, 캡 업, PTC, 용접, 내부 저항, 용량

Description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내부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일 면적 대비 셀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용 전화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PDA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이들 전자기기의 전력원으로 사용되는 이차 전지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 납 축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들 중, 리튬 이차 전지는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하고, 작동 전압이 높으며,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 때문에 최근의 전기/전자기기의 많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장재의 형태에 따라 캔형과 파우치형으로 구분하며, 캔형은 다시 각형과 원통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중, 원통형 이차 전지는 외관을 형성하는 캔과 캔의 상단 개구부에 절연 가스켓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캡 조립체로 구성되며, 캔의 내부에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캡 조립체는 벤트, 전류 차단기, PTC, 전극 단자의 역할을 하는 캡 업이 적층된 형태로 캔의 상단 개구부에 결합되거나, 캡 업을 제외한 다른 구성 요소들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후, 캡 업과 함께 캔의 상단 개구부에 결합된다.
최근에는 부품간의 접촉 저항을 줄이고 공정의 단순화를 위해서 전극 조립체의 구성을 일체화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일체형 방법으로는 코킹 방법과 용접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용접 방식으로는 캡 업을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며, 그 이유는 상기 캡 조립체의 구성이 위치하는 구조상 캡 업과 전류 차단기 사이에 열에 의해 특성이 변하는 PTC가 위치하고 있어 용접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캡 업, PTC 및 상기 캡 업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부품을 구비하는 캡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캡 업의 일측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상기 PTC가 삽입되는 캡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캔, 상기 캔에 결합하여 상기 캔을 밀봉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캡 조립체는 일측에 홈이 형성된 캡 업, PTC 및 상기 캡 업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상기 PTC가 삽입되는 이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홈은 상기 캡 업의 상기 하부 부품과 마주보는 면(하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홈 내에 상기 PTC 전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홈 내에 상기 PTC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하부 부품은 상기 캡 업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류 차단기 및 상기 전류 차단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하부 부품은 상기 캡 업의 하부에 위치하는 벤트, 상기 벤트의 하부에 순서대로 위치하는 캡 다운과 서브 플레이트 및 상기 벤트와 상기 캡 다운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PTC를 캡 업의 내측에 삽입함으로써, 캡 업과 하부 부품이 직접 용접되어 일체화가 가능하다.
또한, 부품간의 접촉에 따른 내부 저항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PTC가 차지하던 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셀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거리,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2a 및 도2b는 도1의 이차 전지의 결합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1 내지 도2b를 참조하면,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된 두 전극(21, 23)이 적층되고, 와형으로 권취되어 젤리롤형의 전극 조립체(20)를 형성한다.
이때, 이들 전극 사이 및 두 전극 아래쪽 혹은 위쪽에는 세퍼레이터(25)가 하나씩 위치하므로 겹쳐지고, 권취되는 두 전극이 맞닿는 부분에는 세퍼레이터(25)가 개재되어 두 전극의 단락을 방지한다.
각 전극판(21, 23)은 알루미늄이나 구리로 된 금속 포일 혹은 금속 메쉬로 이루어지는 집전판에 양극 활물질 또는 음극 활물질 슬러리가 도포되어 형성된다.
슬러리는 통상적으로 입상의 활물질과 보조 도체 및 바인더와 가소제 등이 용매가 첨가된 상태에서 교반되어 이루어진다. 용매는 이후의 전극 형성 공정에서 제거된다.
전극판이 감기는 방향으로 집전체의 일부분에는 슬러리가 도포되지 않는 무지부가 형성된다. 무지부에는 한 전극판에 하나씩 전극 탭(27, 29)이 설치되며, 전극 탭(27, 29)은 하나가 캔(10)의 개구부 방향인 위쪽으로 인출되고, 다른 하나는 아래쪽으로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한 전극판에 다수개의 전극 탭이 설치될 수도 있다.
캔(10)은 원통형 또는 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며, 철재, 알루미늄 합금 등을 사용하여 딥 드로잉 방법으로 형성된다.
캔(10)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극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원통형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형 측면이 형성되고, 원통형 측면의 하부에는 그 원통형 측면의 하부 공간을 막는 하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형 측면의 상부는 개방되어 개구부를 형성한다.
이어서, 캔(10)의 개구부를 통해 캔 내부로 전극 조립체(20)를 삽입한다.
이때, 전극 조립체(20)를 삽입하기 전에 먼저 전극 조립체 하면에 하절연판(11)을 덮고, 전극 조립체(20)에서 하향 인출된 제2 전극 탭(29)이 하절연판(11)의 외측을 우회하면서 캔(10)의 저면과 나란하도록 절곡된다.
이때, 전극 조립체(20)는 원통형의 젤리롤을 이루며, 젤리롤의 중심은 비어 있어 중공을 형성한다.
하절연판(11)의 중심은 전극 조립체(20)의 중공에 대응되는 영역에 역시 통공을 가진다. 절곡된 하향 인출된 제2 전극 탭(29)의 일부분은 하절연판(11)의 통공을 가로지르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상태에서 위쪽에서 전극 조립체의 중공을 통해 용접봉을 삽입하여 중앙 통공을 가로지르는 제2 전극 탭(29) 부분을 용접하여 캔(10) 저면과 부착시킨다.
따라서, 캔(10)은 제2 전극 탭(29)이 갖는 극성과 같은 극성을 갖게 되어, 캔 자체가 하나의 전극 단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극 조립체의 중공에 센터 핀(13)이 결합된 상태로 캔(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센터 핀(13)은 측방향에서의 외력에 의한 변형이 생기는 것에 저항하고, 내부 이상이 발생하여 전극 조립체에 가스가 발생할 경우 가스의 이동 통로가 되며, 전극 조립체의 충방전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형을 억제하여 전지의 수명을 늘리는 역할도 한다.
제2 전극 탭(29) 용접 후, 상절연판(15)을 전극 조립체(20) 상부에 위치시키며, 상절연판(15)의 통공을 통해 전극 조립체(20)의 제1 전극 탭(27)이 전극 조립체 밖으로 인출되도록 한다.
상절연판(15)이 중앙 통공을 가질 경우에는 상절연판(15) 설치 후 제2 전극 탭(29)의 용접이 실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캔 상부에 전극 조립체 또는 상절연판이 구비되는 경우의 상절연판의 상단 레벨에 맞추어 캔 측벽을 캔 내측으로 구부려 비드(17)를 형성한다.
비드(17)는 외부 충격에도 전극 조립체가 캔 내부에서 상하로 쉽게 유동되지 못하도록 하여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을 높여준다.
이어서, 전극 조립체 위로 전해액 주입이 이루어지며, 전해액 주입은 비드가 형성되기 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후, 캔(10) 개구부에 절연 가스켓(30)이 삽입되고, 캡 조립체(40)가 결합되어 캔(10)을 밀봉하게 된다.
이때, 절연 가스켓(30)은 절연성의 탄성을 갖는 물질로서, 캡 조립체(30)의 외주면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캡 조립체(30)와 캔(10) 사이를 절연시키면서 캔(10)을 밀봉하는 작용을 한다.
캡 조립체(40)는 먼저 각 부품들이 결합된 형태로 한꺼번에 절연 가스켓(30) 에 설치되거나, 부품들이 차례로 가스켓(30) 내에 적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캡 조립체(40)는 전극 단자 역할을 하는 캡 업(80),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70), 캡 업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부품들로 이루어지며, 하부 부품은 제1 전극 탭(2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벤트(50) 및 벤트(50)의 작용에 의하여 파단되어 전류의 경로를 차단하는 전류 차단기(CID:Current Interrupt Device, 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캡 조립체(40)는 일측에 홈(81)이 형성된 캡 업(80)의 하부에 전류 차단기(CID : Current Interrupt Device, 60)가 위치하고, 전류 차단기(60) 하부에 벤트(50)가 위치하는 순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캡 업(80)의 하부면, 즉 캡 업(8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부품인 전류 차단기(6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상기 홈(81)에 PTC(70)가 삽입된다.
PTC(70)가 홈(81)에 삽입되는 경우,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TC(70) 전체가 홈(8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PTC(70)를 캡 업(80)의 내측에 삽입함으로써, 캡 업(80)과 전류 차단기(60)가 직접 접촉된 구조를 가지므로 캡 업(80)과 전류 차단기(60)를 용접하여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PTC(70)가 캡 업(80)에 형성된 홈(81)에 삽입되기 때문에 유동 등에 의해 부품간의 접촉에 따른 내부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PTC(70)가 차지하던 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셀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PTC(70′)가 홈(81′)에 삽입되는 경우,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TC(70′)의 일부분만이 홈(81′) 내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캡 업(80′)과 전류 차단기(60)의 사이에 어느 정도의 간격이 생겨 홈(81) 내에 PTC(70)가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보다 공간을 줄이는데에 제약이 있을 수 있으나,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데 있어서는 더 좋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전류 차단기(60)와 캡 업(80′) 사이에는 홈(81′)에 삽입되지 않은 PTC(70′)의 두께를 갖는 절연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벤트(50)는 전극 조립체에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해 내부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전류 차단기(60)를 파단하여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며, 전극 조립체에 의해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절연 가스켓(30) 내측에 설치된 캡 조립체(40)에 의해 마감되는 원통형 캔(10)의 개구부 벽체에 내측 및 아래쪽으로 압력을 가해 캔을 봉합하는 클림핑 작업이 이루어진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3a 및 도3b를 참조하면, 이차 전지는 캔(110)에 전극 조립체(120)를 수용한 후, 캔(110)의 개구부에 절연 가스켓(130)을 삽입하고, 캡 조립체(140)가 결합되어 캔(110)을 밀봉함으로써 형성된다.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이차 전지의 구성요소(110 ~ 130)는 도1 내지 도2b에 도시된 이차 전지의 구성요소(10 ~ 3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구비되는 캡 조립체(140)는 일측에 홈(141a)이 형성된 캡 업(141), 상기 홈(141a)에 삽입되는 PTC(142) 및 캡 업(141)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부품은 캡 업(141)의 하부에 위치하며, 아래로 볼록한 돌출부(143a)를 포함하는 벤트(143), 벤트(143)의 하부에 순서대로 위치하는 캡 다운(144) 및 서브 플레이트(146)를 포함한다.
상기 캡 업(141)의 하부면, 즉 캡 업(14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부품인 벤트(143)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홈(141a)에 상기 PTC(142)가 삽입되는 경우, 도3a와 같이 PTC(142) 전체가 홈(141a) 내에 삽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PTC(142)를 캡 업(141)의 내측에 삽입함으로써, 캡 업(141)과 벤트(143)가 직접 접촉된 구조를 가지므로 캡 업(141)과 벤트(143)를 용접하여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PTC(142)가 캡 업(141)에 형성된 홈(141a)에 삽입되기 때문에 유동 등에 의해 부품간의 접촉에 따른 내부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PTC(142)가 차지하던 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셀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PTC(142′)가 홈(141b)에 삽입되는 경우,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TC(142′) 일부분만이 홈(141b) 내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캡 업(141)과 벤트(143) 사이에 어느 정도의 간격이 생겨 홈(141b) 내에 PTC(142′)가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보다 공간을 줄이는데에 제약이 있을 수 있으나,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데 있어서는 더 좋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캡 업(141)과 벤트(143) 사이에는 홈(141b)에 삽입되지 않은 PTC(142′)의 두께를 갖는 절연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벤트(143)의 아래에는 중공을 가진 상기 캡 다운(144)이 절연재(145)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며, 절연재(145)에 의해 벤트(143)와 캡 다운(144)은 이격되어 절연된다.
또한, 캡 다운(144)의 하부에는 캡 다운(144)에 형성된 중공을 가로지르도록 서브 플레이트(146)가 위치하며, 서브 플레이트(146)는 중공을 통해 노출되는 벤트(143)에 형성된 돌출부(143a)와 연결된다.
또한, 전극 조립체(120)의 상향 인출된 전극 탭(127)은 캡 다운(144)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서브 플레이트(146)의 일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벤트(143)의 돌출부(143a)의 저면은 전지 내압이 상승할 때 돌출부의 돌출 방향이 상승하거나 역전되어 서브 플레이트(146)와의 전기적 접속이 끊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캡 다운(144)과 서브 플레이트(146)는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전기 접속되고, 벤트(143)의 돌출부(143)와 서브 플레이트(146)는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전기 접속될 수 있다.
캡 조립체(140)가 캔(110)의 개구부에 결합된 후, 캔(110)의 개구부 벽체에 내측 및 아래쪽으로 압력을 가해 캔(110)을 봉합하는 클림핑 작업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2a 및 2b는 도1의 이차 전지의 결합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110 : 캔 11, 111 : 하절연판
13, 113 : 센터 핀 15, 115 : 상절연판
17, 117 : 비드 20, 120 : 전극 조립체
21, 23, 121, 123 : 전극판 25, 125 : 세퍼레이터
27, 127 : 제1 전극 탭 29, 129 : 제2 전극 탭
30, 130 : 절연 가스켓 40, 40′, 140, 140′: 캡 조립체
50, 143 : 벤트 60 : 전류 차단기
70, 70′, 142, 142′: PTC 80, 80′, 141, 141′: 캡 업
81, 81′, 141a, 141b: 홈 144 : 캡 다운
145 : 절연재 146 : 서브 플레이트

Claims (21)

  1. 캡 업, PTC 및 상기 캡 업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부품을 구비하는 캡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캡 업의 일측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상기 PTC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캡 업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내에 상기 PTC가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내에 상기 PTC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품은 상기 캡 업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류 차단기; 및
    상기 전류 차단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차단기는 상기 캡 업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차단기와 상기 캡 업의 하부면이 접촉되는 부위는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품은 상기 캡 업의 하부에 위치하는 벤트;
    상기 벤트의 하부에 순서대로 위치하는 캡 다운과 서브 플레이트; 및
    상기 벤트와 상기 캡 다운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는 상기 캡 업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와 상기 캡 업의 하부면이 접촉되는 부위는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11.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캔, 상기 캔에 결합하여 상기 캔을 밀봉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캡 조립체는 일측에 홈이 형성된 캡 업, PTC 및 상기 캡 업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홈에 상기 PTC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캔의 개구부 방향인 위쪽으로 인출되는 제1 전극 탭이 설치되는 제1 전극판;
    상기 캔의 아래쪽으로 인출되는 제2 전극 탭이 설치되는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 및 상기 제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캡 업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내에 상기 PTC가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내에 상기 PTC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품은 상기 캡 업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류 차단기; 및
    상기 전류 차단기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극 탭과 연결되는 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차단기는 상기 캡 업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차단기와 상기 캡 업의 하부면이 접촉되는 부위는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품은 상기 캡 업의 하부에 위치하는 벤트;
    상기 벤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캡 다운;
    상기 캡 다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극 탭과 연결되는 서브 플레이트; 및
    상기 벤트와 상기 캡 다운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는 상기 캡 업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와 상기 캡 업의 하부면이 접촉되는 부위는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KR1020070113805A 2007-11-08 2007-11-08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0954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805A KR100954587B1 (ko) 2007-11-08 2007-11-08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US12/207,836 US8399125B2 (en) 2007-11-08 2008-09-10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805A KR100954587B1 (ko) 2007-11-08 2007-11-08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779A true KR20090047779A (ko) 2009-05-13
KR100954587B1 KR100954587B1 (ko) 2010-04-26

Family

ID=4062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805A KR100954587B1 (ko) 2007-11-08 2007-11-08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99125B2 (ko)
KR (1) KR1009545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527B1 (ko) * 2009-09-17 2014-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Ptc 하이브리드 안전밴트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101483700B1 (ko) * 2011-11-11 2015-0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9216596A (zh) * 2018-08-09 2019-01-15 广东微电新能源有限公司 一种电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774A (ko) * 2009-11-03 2011-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JP5385218B2 (ja) * 2009-11-16 2014-01-08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二次電池の使用方法
WO2013136136A1 (en) * 2012-03-16 2013-09-19 Accuma S.P.A. Venting plug, particularly for electrolytic cells of electric batteries and the like
KR102275422B1 (ko) 2015-01-08 2021-07-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US11664523B2 (en) 2017-12-13 2023-05-30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EP3850683A1 (en) 2018-09-11 2021-07-21 Energizer Brands, LLC Hearing aid battery with slotted grommet
US11641044B1 (en) 2020-04-14 2023-05-02 Energizer Brands, Llc Battery housing and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6868A (en) 1997-04-25 1999-03-02 Hohsen Corp. Battery sealing structure
JPH11154501A (ja) 1997-11-21 1999-06-08 Mitsubishi Cable Ind Ltd 密閉型電池
KR100509590B1 (ko) * 1999-01-22 2005-08-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KR100358224B1 (ko) 1999-07-31 2002-10-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
JP4465754B2 (ja) * 1999-10-28 2010-05-19 ソニー株式会社 密閉型電池
TWI224881B (en) * 2000-01-14 2004-12-01 Sony Corp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secondary battery
JP2001229905A (ja) 2000-02-10 2001-08-24 Sony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512021B2 (ja) * 2001-05-15 2004-03-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502446B1 (ko) * 2003-06-16 2005-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온 2차 전지
KR100542186B1 (ko) * 2003-06-18 2006-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551396B1 (ko) * 2003-10-15 2006-02-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일체형 캡조립체를 갖는 이차전지 및 일체형 캡조립체형성 방법
JP2005123060A (ja) 2003-10-17 2005-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電池の製造法
KR100591432B1 (ko) * 2004-05-31 2006-06-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4580699B2 (ja) 2004-06-25 2010-11-17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20060046154A1 (en) * 2004-08-27 2006-03-02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Low temperature Li/FeS2 battery
KR100646530B1 (ko) 2005-04-27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8715852B2 (en) * 2005-08-18 2014-05-06 Samsung Sdi Co., Ltd.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2007157609A (ja) 2005-12-08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電池用封口板および密閉型電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527B1 (ko) * 2009-09-17 2014-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Ptc 하이브리드 안전밴트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101483700B1 (ko) * 2011-11-11 2015-0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9216596A (zh) * 2018-08-09 2019-01-15 广东微电新能源有限公司 一种电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23831A1 (en) 2009-05-14
KR100954587B1 (ko) 2010-04-26
US8399125B2 (en)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587B1 (ko)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0807029B1 (ko) 이차전지
KR100477750B1 (ko)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KR100627313B1 (ko) 이차 전지
JP4579880B2 (ja) 二次電池
KR100570625B1 (ko) 이차 전지
KR100846955B1 (ko) 원통형 이차전지
JP2005332820A (ja) 電極組立体を有する二次電池
US20090098445A1 (en) Cap assembly,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methods of manufacturing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KR20060112728A (ko) 이차 전지
KR20080071764A (ko) 전지 모듈
US20080107962A1 (en) Secondary battery
JP5203729B2 (ja) 二次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KR20050074198A (ko) 이차 전지
KR20090032272A (ko) 이차 전지
KR100947071B1 (ko) 이차 전지
KR20090081966A (ko) 이차 전지
KR100496302B1 (ko) 안전벤트를 가지는 각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646512B1 (ko) 원통형 이차전지
KR100624968B1 (ko) 캡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760786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KR101242135B1 (ko) 원통형 이차 전지
KR101305461B1 (ko) 이차 전지
KR102335696B1 (ko) 전류차단부재 및 캡 조립체
KR100670441B1 (ko)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