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469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469A
KR20090047469A KR1020097002780A KR20097002780A KR20090047469A KR 20090047469 A KR20090047469 A KR 20090047469A KR 1020097002780 A KR1020097002780 A KR 1020097002780A KR 20097002780 A KR20097002780 A KR 20097002780A KR 20090047469 A KR20090047469 A KR 20090047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ode
unlocking
unlock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3358B1 (ko
Inventor
요시히코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7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승강장 도어장치의 시정(施錠)장치(lock device)를 승강장 측으로부터 해정(解錠)하기 위한 해정키(lock release key)는 키보관장치에 보관된다. 키보관장치는 해정키를 보관유지하여 해정키의 빼냄을 규제함과 동시에, 해정키에 대해서 소정의 조작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해정키의 빼냄을 허용한다. 운전제어장치는 해정키가 키보관장치에 보관유지되어 있을 때에 운전모드를 통상모드로 하고, 해정키가 키보관장치로부터 빼내져 있을 때에 운전모드를 보수모드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승강장 도어장치의 시정(施錠)장치(lock device)가 해정(解錠)키(lock release key)에 의해 승강장으로부터 해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위나 승강로 피트(pit)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보수원(또는 설치작업자)은 전용(專用) 해정키에 의해 승강장 도어장치의 시정장치를 해정하고, 승강장 도어를 수동으로 열어 승강로 내로 들어간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때, 보수원은 최하층의 승강장 출입구 근방 또는 엘리베이터 칸 위에 설치된 수동복귀식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모드를 보수모드로 전환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통상모드로 자동운전되지 않도록 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평2-233493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보수원이 만일 수동복귀식 스위치의 조작을 잊은 상태로 승강장 도어가 닫히면, 보수원이 엘리베이터 칸 위 또는 피트 내에 있는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이 통상모드로 자동운전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로 내에 보수원이 들어간 채로 엘리베이터 칸이 자동운전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장 도어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시정장치, 시정장치를 승강장 측으로부터 해정하기 위한 해정키 및 통상모드와 보수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모드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제어장치를 구비하고, 해정키를 보관유지하여 해정키의 빼냄을 규제함과 동시에, 해정키에 대해서 소정의 조작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해정키의 빼냄을 허용하는 키보관장치를 더 구비하며, 운전제어장치는 해정키가 키보관장치에 보관유지되어 있을 때에 운전모드를 통상모드로 하고, 해정키가 키보관장치로부터 빼내져 있을 때에 운전모드를 보수모드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장 도어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시정장치, 시정장치를 승강장 측으로부터 해정하기 위한 해정키 및 통상모드와 보수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모드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시정장치에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변위 가능한 가동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가동부재는 해정키에 의한 해정조작에 수반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변위되고, 제2 위치로 변위되면 수동조작에 의해 제1 위치로 되돌려질 때까지 제2 위치에 위치하며, 운전제어장치는 가동부재가 제1 위치에 위치할 때에 운전모드를 통상모드로 하고, 가동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운전모드를 보수모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시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정장치의 해정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해정키를 보관하는 키보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해정키를 회동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키보관장치로부터 해정키를 빼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제어반(制御盤)의 엘리베이터 칸 기동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시정장치의 키홀(keyhole)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키홀부의 해정조작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키홀부로부터 해정키를 빼낸 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2의 제어반(14)의 엘리베이터 칸 기동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시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시정장치의 해정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장 출입구의 상부에 고정된 행거 케이스(hanger case)(도시하지 않음)에는 래치(latch)부재(1)가 고정되어 있다. 래치부재(1)의 일단부에는 후크(hook)부(1a)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의 상부에 고정된 도어 행거(도시하지 않음)에는 래치(2)가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래치(2)의 선단부에는 걸어맞춤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가 전폐(全閉)상태일 때, 걸어맞춤부(2a)가 후크부(1a)에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 승강장 도어의 개방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래치(2)에는 고정 측 인터락 롤러(interlock roller)(3)와 가동 측 인터락 롤러(4)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측 인터락 롤러(3)는 래치(2)의 요동축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동 측 인터락 롤러(4)는 래치(2)와 일체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래치부재(1)의 위쪽에는 래치(2)가 래치부재(1)에 걸어맞추는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잠금 스위치(5)가 고정되어 있다. 래치(2)에는 래치(2)가 래치부재(1)에 걸어맞추는 위치에 있을 때에 잠금 스위치(5)에 접촉하는 접촉자(6)가 고 정되어 있다.
래치(2)의 아래쪽에는 소정의 범위에서 상하이동 가능한 막대모양의 밀어올림부재(7)와, 밀어올림부재(7)를 상하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재(8)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에는 키홀부(9)가 설치되어 있다. 키홀부(9)에는 승강장으로부터 승강장 도어를 개방할 때에 해정키(10)가 삽입관통되는 키홀(9a)이 형성되어 있다.
키홀(9a)에 해정키(10)를 삽입관통하고, 해정키(10)를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 해정키(10)의 선단부에 의해 밀어올림부재(7)가 밀어 올려져, 래치(2)가 도 1의 시계방향으로 요동된다. 이것에 의해, 도 2와 같이 후크부(1a)와 걸어맞춤부(2a)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승강장 도어가 수동으로 개방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도 1의 해정키(10)를 보관하는 키보관장치(11)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해정키(10)를 회동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키보관장치(11)로부터 해정키(10)를 빼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해정키(10)는 그 단부를 키보관장치(11)에 삽입한 상태로 보관된다. 키보관장치(11)는, 예를 들면 로비(lobby)층의 승강장 조작반(操作盤)(도시하지 않음) 내에 설치되어 있다. 해정키(10)를 사용할 때에는 승강장 조작반의 덮개를 열고, 키보관장치(11)로부터 해정키(10)를 빼낸다.
키보관장치(11)는 해정키(10)를 보관유지하여 해정키(10)의 빼냄을 규제함과 동시에, 해정키(10)에 대해 소정의 조작(여기에서는 회동조작 및 인출조작)을 실시 하는 것에 의해 해정키(10)의 빼냄을 허용한다. 구체적으로는, 키보관장치(11)는 키 실린더(key cylinder)(12)와, 키 실린더(12) 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키 보관유지부재(13)를 가지고 있다.
키 실린더(12)에는 키 보관유지부재(13)를 수용하는 보관유지부재 수용구멍(12a)이 형성되어 있다. 보관유지부재 수용구멍(12a)의 내주면에는 키 실린더(12)의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축방향 가이드 홈(12b)과, 키 실린더(12)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둘레방향 가이드 홈(12c)이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 가이드 홈(12b)은 보관유지부재 수용구멍(12a)의 개구 단부로부터 보관유지부재 수용구멍(12a)의 바닥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둘레방향 가이드 홈(12c)은 축방향 가이드 홈(12b)의 단부로부터 약 90도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키 보관유지부재(13)에는 해정키(10)의 단부가 삽입되는 메인홈(13a)이 형성되어 있다.
해정키(10)의 단부에는 메인홈(13a)에 삽입되는 삽입부(10a)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0a)의 단부에는 가이드 홈(12b, 12c)에 걸어맞춰지는 볼록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상태로부터 해정키(1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도 5의 상태가 되고, 도 5의 상태로부터 해정키(10)를 인출하면, 도 6의 상태가 된다.
또, 도 6의 상태로부터 해정키(10)를 메인홈(13a)에 삽입하면, 도 5의 상태가 되고, 도 5의 상태로부터 해정키(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조작하는 것에 의해 도 4의 상태가 된다. 도 4의 상태에서는 볼록부(10b)가 둘레방향 가이드 홈(12c)에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에, 해정키(10)의 빼냄은 곤란하다. 이것에 대해서, 도 5의 상태에서는 볼록부(10b)가 축방향 가이드 홈(12b)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해 정키(10)의 빼냄은 허용된다.
키보관장치(11)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제어장치로서의 제어반(14)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반(14)은 해정키(10)가 키보관장치(11)에 보관유지되어 있을 때에 운전모드를 통상모드(자동운전모드)로 하고, 해정키(10)가 키보관장치(11)로부터 빼내져 있을 때에 운전모드를 보수모드로 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반(14)은 해정키(10)가 도 4에 나타내는 보관위치에 위치할 때에 운전모드를 통상모드로 하고, 해정키(10)가 보관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운전모드를 보수모드로 한다. 이 예에서는 해정키(10)가 보관위치에 위치할 때에 둘레방향 가이드 홈(12c)의 내면에 설치된 제1 및 제2 전극(도시하지 않음)에 볼록부(10b)가 동시에 접촉하고, 제1 및 제2 전극 사이가 볼록부(10b)를 통하여 도통(導通)된다. 이것에 의해, 제어반(14)은 해정키(10)가 보관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한다. 반대로, 전극 사이의 회로가 차단되는 것에 의해, 해정키(10)가 보관위치로부터 빠진 것이 제어반(14)에 의해 검출된다.
통상모드에서는 승강장 및 엘리베이터 칸 안으로부터의 호출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이 자동운전된다. 또, 보수모드에서는 승강장 및 엘리베이터 칸 안으로부터의 호출이 무효화되어 보수원(또는 설치작업자)에 의한 수동조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이 저속으로 운전된다. 또, 제어반(14)은 엘리베이터 칸이 어느 한 층에 멈춰져 있지 않을 때에 승강장 도어가 무리하게 개방되었다고 판단하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을 금지한다.
다음에, 도 7은 도 4의 제어반(14)의 엘리베이터 칸 기동시의 동작을 나타내 는 플로우챠트이다. 제어반(14)은 엘리베이터 칸 기동시에 기동조건의 확인을 실시한다(스텝 S1).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전폐상태인지, 승강장 도어가 전폐상태인지를 순서대로 확인한다(스텝 S2, S3). 엘리베이터 칸 도어 및 승강장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전폐상태가 아니면, 엘리베이터 칸의 정지를 계속하고(스텝 S4), 기동조건의 확인을 재차 실행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및 승강장 도어의 양쪽이 전폐상태이면, 해정키(10)가 보관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스텝 S5). 그리고, 해정키(10)가 보관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면, 운전모드를 통상모드로 하여, 자동운전을 허가한다(스텝 S6). 또, 해정키(10)가 보관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면, 운전모드를 보수모드로 하고, 자동운전을 불가로 함과 동시에 수동운전만 허가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장 도어를 승강장 측으로부터 개방하기 위한 해정키(10)를 키보관장치(11)로부터 취출하는 것에 의해, 운전모드가 보수모드로 강제적으로 전환되어, 해정키(10)를 키보관장치(11)의 보관위치로 되돌릴 때까지 자동운전이 금지되므로, 승강로 내에 보수원이 들어간 채로 엘리베이터 칸이 자동운전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정키(10)를 빼내기 위한 소정의 조작은 상기와 같은 회동조작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단순히 삽입만 하는 간단한 조작이나, 보다 복수회의 회동조작과 인출조작을 조합시킨 복잡한 조작으로 하여도 된다.
또, 해정키(10)를 빼내기 위한 소정의 조작은, 예를 들면, 해정키(1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각인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해정키(10) 자체의 변위를 검출하여 운전모드를 전환하였으나, 해정키(10)와 함께 변위하는 부품인 키 보관유지부재(13)의 변위를 검출하여 운전모드를 전환하여도 된다.
더욱이 또한, 키보관장치(11)의 설치장소는 로비층의 승강장 조작반 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층의 승강장 조작반 내에 설치하거나 전용 설치장소를 마련하거나 하여도 된다.
또, 해정키(10)는 승강로마다 호환성이 없는 다른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 해정키(10)가 보관위치에 있을 때 다른 승강로에 대응하는 해정키에 의해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정키(10)가 보관위치에 없어 보수모드 운전중인 것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각 층의 승강장 조작반에 설치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 보수모드 운전중임에도 관계없이, 일반 이용자가 승강장 조작반을 조작하려고 하거나, 엘리베이터 칸을 기다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해정키는 접철식이나 신축식으로 하여도 되고, 이것에 의해 승강장 조작반 내의 좁은 공간에도 해정키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시정장치의 키홀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키홀부의 해정조작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키홀부로부터 해정키를 빼낸 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시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대략 동일하다.
도에 있어서, 키홀부(21)는 승강장 도어에 설치되어 있다. 또, 키홀부(21)는 내측 실린더(22)와, 내측 실린더(22)를 둘러싸는 가동부재로서의 외측 실린더(23)를 가지고 있다. 내측 실린더(22)에는 해정키(10)가 삽입관통되는 키홀(22a)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의 상태로부터, 키홀(22a)에 해정키(10)를 삽입관통하여 내측 실린더(22)를 도의 시계방향으로 약 90도 회동조작하는 것에 의해, 래치(2)와 래치부재(1)와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되어 시정장치는 해정된다. 이 상태로부터 해정키(10)를 키홀(22a)로부터 당겨 빼면, 래치(2)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고, 내측 실린더(22)도 도 10과 같이 자동적으로 복귀된다.
외측 실린더(23)는, 도 8에 나타내는 제1 위치(통상위치)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제2 위치(보수위치)로 회동변위 가능하다. 또, 외측 실린더(23)는 해정키에 의한 해정조작에 의한 내측 실린더(22)의 회동에 수반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변위된다. 또한, 외측 실린더(23)는 제2 위치로 변위되면, 승강장 또는 승강로 내로부터의 수동조작에 의해 제1 위치로 되돌려질 때까지 제2 위치에 위치한다(래치된다). 외측 실린더(23)에는 외측 실린더(23)의 회동위치를 나타내는 마크(23a)가 형성되어 있다.
제어반(14)은 외측 실린더(23)가 제1 위치에 위치할 때에 운전모드를 통상모드로 하고, 외측 실린더(23)가 제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운전모드를 보수모드로 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반(14)은 외측 실린더(23)가 제1 위치에 위치할 때에 운전모드를 통상모드로 하고, 외측 실린더(23)가 제1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운전모드를 보수모드로 한다.
다음으로, 도 11은 실시형태 2의 제어반(14)의 엘리베이터 칸 기동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 및 승강장 도어의 양쪽이 전폐상태이면, 외측 실린더(23)가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스텝 S8). 그리고, 외측 실린더(23)가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면, 운전모드를 통상모드로 하고, 자동운전을 허가한다(스텝 S6). 또, 외측 실린더(23)가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면, 운전모드를 보수모드로 하고, 자동운전을 불가로 함과 동시에 수동운전만 허가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시정장치에 대해서 해정키에 의한 해정조작을 실시하면, 외측 실린더(23)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변위되고, 제2 위치로 변위된 외측 실린더(23)는 수동조작에 의해 제1 위치에 되돌려질 때까지 제2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어반(14)은 외측 실린더(23)가 제1 위치에 위치할 때에 운전모드를 통상모드로 하고, 외측 실린더(23)가 제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운전모드를 보수모드로 한다. 이 때문에, 승강로 내에 보수원이 들어간 채로 엘리베이터 칸이 자동운전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실린더(23)가 제1 위치에 없어 보수모드 운전중인 것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각 층의 승강장 조작반에 설치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 보수모드 운전중임에도 관계없이, 일반 이용자가 승강장 조작반을 조작하려고 하거나 엘리베이터 칸을 기다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2에서는 내측 실린더(22)를 회동조작하는 것에 의해 시정장치 를 해정하였으나, 예를 들면, 실시형태 1과 같이 해정키의 선단을 들어 올리는 조작에 의해 시정장치를 해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가동부재는, 예를 들면, 해정키의 해정조작에 의해 제2 위치까지 위로 움직이고, 수동조작에 의해 아래로 움직일 때까지 제1 위치에 래치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해정조작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해정조작의 방법으로에 따라 가동부재의 변위 방향도 변경된다.
또한, 실시형태 2에서는 키홀부(21)가 승강장에 노출하고 있는 타입에 대해 설명했지만, 노출하고 있지 않는 타입(은폐식)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승강장 도어와 승강장틀(삼방틀, 상틀 및 좌우 측 틀)과의 사이의 틈새에 해정키를 삽입하여 해정조작하는 타입으로 하여도, 그 해정조작에 의해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변위되는 가동부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실시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강장 도어장치의 시정장치가 해정키에 의해 승강장으로부터 해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4)

  1. 승강장 도어장치에 설치되고 있는 시정(施錠)장치(lock device),
    상기 시정장치를 승강장 측으로부터 해정(解錠)하기 위한 해정키(lock release key) 및
    통상모드와 보수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모드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해정키를 보관유지하여 상기 해정키의 빼냄을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해정키에 대해서 소정의 조작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해정키의 빼냄을 허용하는 키보관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운전제어장치는 상기 해정키가 상기 키보관장치에 보관유지되어 있을 때에 운전모드를 통상모드로 하고, 상기 해정키가 상기 키보관장치로부터 빼내져 있을 때에 운전모드를 보수모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보관장치는 승강장 조작반(操作盤)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승강장 도어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시정장치,
    상기 시정장치를 승강장 측으로부터 해정하기 위한 해정키 및
    통상모드와 보수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모드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정장치에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변위 가능한 가동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해정키에 의한 해정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변위되고, 상기 제2 위치로 변위되면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 되돌려질 때까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운전제어장치는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에 운전모드를 통상모드로 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운전모드를 보수모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장 조작반에는 보수모드 운전중인 것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97002780A 2006-10-25 2006-10-25 엘리베이터 장치 KR101023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21265 WO2008050415A1 (fr) 2006-10-25 2006-10-25 Dispositif d'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469A true KR20090047469A (ko) 2009-05-12
KR101023358B1 KR101023358B1 (ko) 2011-03-18

Family

ID=39324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780A KR101023358B1 (ko) 2006-10-25 2006-10-25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44351A4 (ko)
JP (1) JP4849487B2 (ko)
KR (1) KR101023358B1 (ko)
CN (1) CN101506079B (ko)
WO (1) WO20080504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2660A1 (ja) * 2010-10-01 2012-04-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運転モード切替システム
JP5784049B2 (ja) * 2011-02-02 2015-09-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制御装置
DE112011105918B4 (de) * 2011-12-05 2021-05-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sicherheitssteuervorrichtung
US9745169B2 (en) 2013-10-23 2017-08-29 Inventio Ag Safety system for an elevator,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afety system
US10662027B2 (en) * 2014-12-18 2020-05-26 Inventio Ag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safety system with temporary participants
US10214384B2 (en) * 2014-12-18 2019-02-26 Inventio Ag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safety system with temporary participants
CN107473061B (zh) 2016-06-08 2020-10-16 奥的斯电梯公司 升降电梯系统的维护安全装置及其操作方法
EP3478615B1 (en) * 2016-09-19 2022-06-29 KONE Corporation Method for setting an elevator into service mode
EP3483110A1 (en) 2017-11-08 2019-05-1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access systems for elevator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04482A (de) * 1952-07-15 1955-01-15 Schweiz Wagons Aufzuegefab Sicherheitsvorrichtung an einer mit Sicherheitsschloss versehenen Schachttüre eines elektrisch gesteuerten Aufzuges.
JPH02233493A (ja) 1989-03-07 1990-09-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ドアの解錠装置
JPH0710439A (ja) * 1993-06-28 1995-01-13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かご戸ロツク機構用点検装置
JPH0891730A (ja) * 1994-09-22 1996-04-09 Toshiba Elevator Technos Kk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A2166841C (en) * 1995-01-31 2006-08-22 Heinrich Foelix Temporary working space protection
JPH1087206A (ja) 1996-09-18 1998-04-0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JP4508344B2 (ja) * 2000-03-03 2010-07-2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籠戸ロック装置
JP4245320B2 (ja) * 2002-09-12 2009-03-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ドアのアンロック装置
JP4351004B2 (ja) 2003-08-26 2009-10-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点検作業表示システム
JP2006264841A (ja) * 2005-03-23 2006-10-0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06079B (zh) 2011-01-26
JP4849487B2 (ja) 2012-01-11
JPWO2008050415A1 (ja) 2010-02-25
CN101506079A (zh) 2009-08-12
KR101023358B1 (ko) 2011-03-18
WO2008050415A1 (fr) 2008-05-02
EP2444351A4 (en) 2013-05-01
EP2444351A1 (en)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35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624825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JP5452726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モード切替システム
US11505433B2 (en) Access door arrangement of an elevator shaft
JP2010064869A (ja) ピット梯子装置
JP7206087B2 (ja) 機械式昇降路アクセス制御装置
JPH07206301A (ja) エレベータ
EP1422181B1 (en) Operating unit and landing stage and cage of elevator comprising it
WO2001081225A1 (fr) Dispositif de commutation en mode de maintenance pour un ascenseur
JP2010149989A (ja) エレベータ
JP200915509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下作業台装置
JP2014024629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7062852A (ja) エレベータ保守運転装置
JPH09272674A (ja) エレベーターの調速機ロープ振れ止め装置
EP2070859B1 (en) Elevator system
JP2011190076A (ja) エレベータの安全帯フック装置
JP2009161331A (ja) エレベータかごへの緊急駆動スイッチ及び通信手段の取付け構造
JP2008133129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6576382B2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操作盤
KR20120139814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JP564575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166039B2 (ja) 機械式駐車装置及び機械式駐車装置の可動部の制御方法
JPH0416472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WO2020003350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
JPH10310205A (ja) 立体自動倉庫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