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0545A -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0545A
KR20090040545A KR1020070105951A KR20070105951A KR20090040545A KR 20090040545 A KR20090040545 A KR 20090040545A KR 1020070105951 A KR1020070105951 A KR 1020070105951A KR 20070105951 A KR20070105951 A KR 20070105951A KR 20090040545 A KR20090040545 A KR 20090040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indow
inflow
vehicle
wind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1584B1 (ko
Inventor
히로유키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584B1/ko
Publication of KR20090040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comprising means for cleaning or de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2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sensors o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주행시 사이드 윈도우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각종 이물질이 제거 가능하도록 사이드 미러가 차체에 연결되는 연결부에 설치된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주행시 주행풍이 유입 가능하도록 사이드 미러가 차체에 연결되는 연결부의 전면에 형성된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주행풍이 상기 연결부를 경유하여 상기 사이드 윈도우를 향해 분사될 때 주행풍의 분사 상태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사이드 미러의 연결부 후면에 형성된 분사부; 및 상기 유입부와 분사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주행풍이 상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사이드 윈도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사이드 미러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이드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운전자가 측방 및 후방 시야 확보하고 운전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사이드 윈도우, 사이드 미러, 주행풍, 유입부, 분사부, 가이드부, 제어부

Description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Device for Cleaning an Alien Substance of a Side Window}
본 발명은 차량 주행시 사이드 윈도우의 외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사이드 미러의 차체 연결부에 이물질 제거장치가 설치되어 주행시 유입되는 주행풍을 이용하여 사이드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운전자가 측방 및 후방 시야 확보하고 운전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외장 양측에는 사이드 미러(side mirror)가 장착되어 있으며, 사이드 미러를 통하여 운전자가 차량 주행시 측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차량이 도로를 따라 주행이 이루어지면서 눈 또는 비가 내리는 주행 상태에서 차량 주행을 실시할 경우에는 차량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는 물론 운전석 및 조수석에 위치한 사이드 윈도우(side window) 외측면에도 이물질(빗방울, 눈, 먼지 등)이 부착되어 운전자의 안전적인 시야 확보가 어려웠다.
더욱이 다량의 눈 또는 비가 내리는 환경에서는 상기한 사이드 미러를 통한 측, 후방 시야 확보의 어려움이 있으며, 눈 또는 비에 의해 불안정한 노면 상태와 더불어 운전자의 안전 운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야기 시켜 이에 대한 대책을 필요로 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시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이드 미러의 연결부에 주행풍을 이용한 이물질 제거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이드 윈도우 및 사이드 미러의 측방과 후방 시야를 확보하는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리성 향상을 위하여 주행풍을 이용한 이물질 제거장치를 사이드 윈도우와 연동시켜 작동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주행풍의 실내 도입을 방지하고, 사이드 윈도우에 도입하는 주행풍의 풍향을 조절하며, 강설시 눈을 제거하기 위하여 히팅 코일에 의해 주행풍을 가열하는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주행시 주행풍이 유입 가능하도록 사이드 미러가 차체에 연결되는 연결부의 전면에 형성된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주행풍이 상기 연결부를 경유하여 상기 사이드 윈도우를 향해 분사될 때 주행풍의 분사 상태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사이드 미러의 연결부 후면에 형성된 분사부; 및 상기 유입부와 분사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주행풍이 상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사이드 윈도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사이드 미러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사이드 윈도우의 개폐 상태를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고, 연산된 결과값에 따라 상기 유입부와 분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부에는 유입 조절 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유입 조절 수단은 차량 주차 및 시동 오프시에는 개구된 유입부를 클로징(closing)하며, 차량 주행시에는 클로징된 유입부를 오픈(open)하도록 회전축을 매개로 수직으로 회전 작동되는 회전판이 구비된 댐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부에는 유입 조절 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유입 조절 수단은 차량 주차 및 시동 오프시에는 개구된 유입부를 클로징(closing)하며, 차량 주행시에는 클로징된 유입부를 오픈(open)하도록 슬라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판이 구비된 개폐 커버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부에는 분사 조절 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 조절 수단은 상기 분사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 윈도우에 분사되는 주행풍의 풍향을 조절하도록 회전하는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링 상에 종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다수개가 각각의 회전핀에 의해 이격 설치된 슬릿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유입부에서부터 분사부까지의 직경이 동일한 상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유입부에서 상기 분사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에는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주행풍을 가열하는 히팅 코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운전자가 필요시에 따라 수동으로 상기 히팅 코일의 작동 상태가 조작 가능하도록 인스트루먼트패널 상에 가열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이드 윈도우의 개폐 상황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과 실시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사이드 윈도우의 오픈(open)시 가이드부 내에 주행풍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입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정보 취득 수단으로부터 기상 정보를 입력받아 강설시 상기 사이드 윈도우에 부착된 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부 내부에 설치된 히팅 코일이 가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취득 수단은 차량에 연결 설치된 온도 센서부 및 GPS 시스템으로부터 기상 정보, 차량의 위치 및 지역 정보 등을 취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장착된 사이드 미러의 평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부의 실시 예의 클로징 및 오픈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부의 다른 실시 예의 클로징 및 오픈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부의 또 다른 실시 예의 클로징 및 오픈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의 실시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주행시 사이드 윈도우(side window, 1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차체와 연결되는 사이드 미러(side mirror, 30)의 연결부(30A)에 장착된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 장치는 유입부(20)와, 분사부(40)와, 가이드부(60, 60')와,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입부(20)는 차량 주행시 사이드 윈도우(1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주행풍이 유입 가능하도록 상기 사이드 미러(30)의 연결부(30A) 전면에 유입 조절 수단(20A, 20B)을 구비하여 설치된다.
상기 유입 조절 수단(20A, 20B)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 2a 내지 4b를 참 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조절 수단(20A)은 회전축(21)과 회전판(22)이 구비된 댐퍼로 설치되어지되, 상기 사이드 윈도우(10)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판(22)은 개구된 상기 유입부(20)를 클로징(closing)하거나, 클로징된 유입부(20)를 오픈(open)하도록 상기 유입부(20)의 중앙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21)에 의해 회전 작동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유입 조절 수단(20A)인 댐퍼는 차량 주차 및 시동 오프(off)시에는 상기 사이드 미러(30)의 스킨면과 일치한 상태로 위치하고, 차량 주행시에는 회전축(21)을 매개로 회전 작동되어 사이드 미러(30)의 스킨면에서 수직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회전축(21) 및 회전판(22)은 횡방향이나 어느 방향이든 설치 가능하며, 다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조절 수단(20B)은 슬라이드 판(23A)과 슬라이드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슬라이드 판(23A)은 슬라이드부(24)에 의해 상기 사이드 윈도우(10)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부(24)에는 슬라이드 판(23A)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24)는 링크 구조나 랙피니언 기어 구조로도 설치 가능하며, 실시 예에 한정되 지 않고 다른 형태로도 설치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유입 조절 수단(20B)인 개폐 커버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 주차 및 시동 오프시에는 상기 유입부(20)를 클로징(closing)하며, 차량 주행시에는 유입부(20)를 오픈(open)하여 주행풍이 유입할 수 있도록 사이드 윈도우(10)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20)를 개폐하는 상기 슬라이드 판(23B)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유입 조절 수단(20A, 20B)은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가 필요시에 따라 수동으로 유입 조절 수단(20A, 20B)을 작동할 수 있도록 운전자 주변의 편리한 위치에 상기 유입 조절 수단(20A, 20B)과 연결 설치된 유입부 개폐 스위치(25)를 설치하여 온(on)/오프(off)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사부(40)는 상기 사이드 미러(30)의 연결부(30A) 후면에 분사 조절 수단(40')을 구비하여 설치되고, 상기 유입부(20)로부터 유입된 주행풍이 연결부(30A)를 경유하여 상기 사이드 윈도우(10)를 향해 분사되며, 또한 사이드 윈도우(10)를 향해 분사되는 주행풍의 분사 상태가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 조절 수단(40')은 회전링(41)과 슬릿(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링(41)은 링형상으로 슬릿(42)과 일체로 형성되며, 개구된 상기 분 사부(40) 상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슬릿(42)은 개구된 상기 분사부(40)에 설치된 회전링(41) 상에 종방향으로 동일 간격을 가지며 다수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지되, 각각의 회전핀(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어 틸팅되게 설치된다.
상기 분사 조절 수단(40')은 상기 회전링(41)의 회전 방향에 따라 동시에 틸팅된 슬릿(42)의 방향도 조절되며, 상기 회전링(41)을 통해 분사되는 주행풍의 방향이 결정되고, 회전링(41)의 회전 위치와 슬릿(42) 위치의 조절에 따라 상하 좌우 풍향 조절이 가능해진다.
상기 가이드부(60, 60')는 상기 유입부(20)와 분사부(40)를 연통시키며 유입부(20)로 유입된 주행풍이 분사부(40)를 통해 상기 사이드 윈도우(10)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사이드 미러(30)의 연결부(30A)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60, 60')의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60)는 상기 유입부(20)에서 부터 분사부(40)까지의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며, 유입부(20)에서 유입된 주행풍이 일정한 풍속으로 분사부(40)를 통해 상기 사이드 윈도우(10)에 분사되도록 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가이드부(60')는 상기 유입부(20)에서 상기 분사부(40)로 갈수록 내측으로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며, 저속시에도 유입부(20)를 통해 유입된 주행풍의 풍속을 증가시켜 분사부(40)에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부(60, 60')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60, 60')에는 강설시 상기 사이드 윈도우(10)에 부착된 눈을 제거하기 위하여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5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유입부(20)를 통해 유입된 주행풍을 가열하는 히팅 코일(61)이 설치된다.
상기 히팅 코일(61)은 상기 가이드부(60, 60')내부에 유입된 주행풍을 가열하여 상기 분사부(40)에서 가열된 주행풍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부(20)로부터 상기 분사부(40)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히팅 코일(61)의 실시 예로, 상기 가이드부(60, 60')내에 유입부(20)에서부터 분사부(40)까지 나선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가이드부(60, 60')내의 양측에 각각 유입부(20)에서부터 분사부(40)까지 연장되어 마주보며 형성되어 설치된다. 상기 히팅 코일(61)은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60, 60')내부에 설치된 상기 히팅 코일(61)을 통하여 가열된 주행풍은 상기 사이드 윈도우(10)에 부착된 눈을 녹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가 필요시에 따라 수동으로 상기 히팅 코일(61)의 가열 유무를 작동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편리한 위치에 상기 히팅 코일(61)과 연결 설치된 가열 스위치(63)를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운전자는 강설시 한밤중에 상기 사이드 윈도우(10) 외측면에 동결한 눈을 제 거하기 위해 상기 히팅 코일(61)을 작동할 수 있도록 가열 스위치(63)를 온(on)하거나, 가열된 주행풍에 의해 사이드 윈도우(10)가 흐려져 사이드 미러(30)의 시야를 방해하는 경우 사이드 윈도우(10)에 부착된 눈을 제거한 후에 히팅 코일(61)의 작동을 오프(off)시키도록 가열 스위치(63)를 오프(off)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성들을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80)는 상기 사이드 윈도우(10) 및 이물질 제거장치에 연결 설치되어 차량의 상태 및 사이드 윈도우(10)의 개폐 상태를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고, 연산된 결과값에 따라 상기 유입부(20)의 유입 조절 수단(20A, 20B)과 분사부(40)의 분사 조절 수단(40') 및 가이드부(60, 60')의 히팅 코일(61)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80)는 사이드 윈도우(10)와 유입부(20)의 유입 조절 수단(20A, 20B)이 연동되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바, 기상 정보, 현재 주행하는 차량의 정보 및 사이드 윈도우(10)의 개폐 상황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70)에 의해 정보를 입력받아 차량 주행시 가이드부(60, 60') 내에 주행풍을 유입시키도록 유입 조절 수단(20A, 20B)을 제어하며, 또한, 사이드 윈도우(10)의 오픈(open)시 가이드부(60, 60') 내에 주행풍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유입 조절 수단(20A, 20B)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사이드 윈도우(10)가 오픈되었을 때, 차량 내부에 불필요한 주행풍의 유입을 막기 위하여 정보 취득 수단(70)에 감지된 사이드 윈도우(10)의 오픈 상태를 입력받아 개구된 상기 유입 조절 수단(20A, 20B)을 클로징(closing)하여 이물질 제거 기능을 정지시키며, 반대로 사이드 윈도우(10)가 클 로징되었을 때, 사이드 윈도우(10)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보 취득 수단(70)에 감지된 사이드 윈도우(10)의 클로징 상태를 입력받아 유입 조절 수단(20A, 20B)을 오픈(open)하여 주행풍이 유입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유입부(20)에서 유입된 주행풍이 분사부(40)에서 분사될 때, 제어부(80)는 사이드 윈도우(10)의 외측면을 향해 주행풍의 풍향을 조절하도록 분사부(40)의 분사 조절 수단(40')인 회전링(41)과 슬릿(42)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강설시 온도 센서부(미도시)와 연결 설치된 정보 취득 수단(70)에 의해 상기 온도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영하의 온도값을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고,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60, 60') 내부에 설치된 상기 히팅 코일(61)이 가열될 수 있도록 제어시키며, 제어부(80)에 의해 상기 배터리(50)는 히팅 코일(61)에 전원을 인가하며 이에 히팅 코일(61)은 가열된다.
상기 제어부(80)에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취득 수단(70)은 날씨 정보, 차량의 위치 및 지역 정보 등을 취득할 수 있도록 차량의 온도 센서부 및 GPS 시스템(미도시)과 연결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 실시 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사이드 윈도우(10)와 연동되어 상기 사 이드 윈도우(10)의 개폐 상태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를 살펴보면, 여름철 강우시에 차량 주행시 상기 사이드 윈도우(10) 외측면에 부착되는 빗방울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운전자 및 조수석에 설치된 윈도우 스위치(미도시)의 조작 신호에 따라 제어부(80)는 사이드 윈도우(10)를 클로징(closing)하는 동시에 사이드 미러(30)의 연결부(30A)에 설치된 유입 조절 수단(20A, 20B)이 오픈(open)되도록 제어하여 개구된 유입부(20)를 통해 가이드부(60, 60') 내부에 주행풍이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유입부(20)로 유입된 주행풍은 가이드부(60, 60')를 경유하며 분사부(40)로 이동하게 되고, 분사부(40)에 설치된 분사 조절 수단(40')을 통하여 상기 사이드 윈도우(10)에 부착된 이물질을 향하여 주행풍이 분사되어 사이드 윈도우(10)에 부착된 빗방울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게 해준다.
또한, 차량 운전자의 필요시에 따라 사이드 윈도우(10) 외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입 조절 수단(20A, 20B)과 연결 설치된 유입부 개폐 스위치(25)를 조작하여 유입 조절 수단(20A, 20B)을 작동시켜 개구된 유입부(20)를 통해 주행풍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면, 겨울철 강설시에 차량 주행시 상기 사이드 윈도우(10) 외측면에 부착된 눈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운전자 및 조수석에 설치된 윈도우 스위치(미도시)의 조작 신호에 따라 제어부(80)는 사이드 윈도우(10)를 클로 징(closing) 하는 동시에 사이드 미러(30)의 연결부(30A)에 설치된 유입부(20)를 오픈(open)하여 가이드부(60, 60') 내부에 주행풍이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정보 취득 수단(70)인 온도 센서부(미도시)는 외기 온도를 감지하고, GPS 시스템(미도시)은 강설 지역의 기상 정보, 차량의 위치 및 지역 정보 등을 취득한다.
상기 온도 센서부 및 GPS 시스템에 의해 0℃ 이하의 온도, 강설지역의 정보를 취득한 정보 취득 수단(70)을 통해 제어부(80)는 온도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0℃ 이하의 외기 온도값을 입력받아 연산하고, 연산된 결과값에 따라 배터리(50)에 전원을 인가시키며, 상기 가이드부(60, 60') 내부에 설치된 히팅 코일(61)에 의해 주행풍을 서서히 가열시킨다.
상기 히팅 코일(61)에 의해 가열된 주행풍은 분사부(40)에 설치된 분사 조절 수단(40')인 틸팅된 슬릿(42)을 통하여 상기 사이드 윈도우(10)를 향하여 분사되어 상기 사이드 윈도우(10)에 부착된 눈을 녹여 쉽게 제거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게 해준다.
또한, 차량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운전자의 편리한 위치에 상기 히팅 코일(61)과 연결 설치된 가열 스위치(63)를 온(on)/오프(off)시키며 수동으로 상기 히팅 코일(61)의 가열 유무를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주행시 상기 사이드 윈도우(10)를 오픈(open)하였을 때, 정보 취득 수단(70)으로부터 사이드 윈도우(10)의 오픈 상황 정보를 받은 상기 제어부(80)는 차량 내부에 불필요한 주행풍이 유입되지 않도록 사이드 윈도우(10)와 연동 설 치된 상기 유입부(20)의 유입 조절 수단(20A, 20B)을 클로징(closing)하며 상기 가이드부(60, 60') 내부로 주행풍이 유입되지 않게 하여 사이드 윈도우(10)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기능이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주행시 편리하게 사이드 윈도우(10) 외측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운전자가 측방과 후방 시야를 확보하여 운전상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주행시 주행풍을 이용하여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측방 및 후방 시야를 확보하고, 또한 강설시 가이드부 내부에 설치된 히팅 코일에 의해 주행풍을 가열시키며 사이드 윈도우에 부착된 눈을 제거하여 측방 및 후방 시야 확보에 의해 운전상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사이드 윈도우와의 연동에 의해 편리성이 향상되며, 차량 내부에 불필요한 주행풍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운전자가 느끼는 불쾌감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사이드 미러의 연결부에 설치하여 차량 외관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장착된 사이드 미러의 평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부의 실시 예의 클로징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부의 실시 예의 오픈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부의 다른 실시 예의 클로징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부의 다른 실시 예의 오픈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부의 또 다른 실시 예의 클로징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부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오픈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를 나타낸 도면.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 실시 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이드 윈도우 20 : 유입부
20A , 20B : 유입 조절 수단 30 : 사이드 미러
30A : 연결부 40 : 분사부
40' : 분사 조절 수단 41 : 회전링
42 : 슬릿 50 : 배터리
60 : 가이드부 61 : 히팅 코일
70 : 정보 취득 수단 80 : 제어부

Claims (12)

  1. 차량 주행시 주행풍이 유입 가능하도록 사이드 미러(30)가 차체에 연결되는 연결부(30A)의 전면에 형성된 유입부(20);
    상기 유입부(20)에서 유입된 주행풍이 상기 연결부(30A)를 경유하여 상기 사이드 윈도우(10)를 향해 분사될 때 주행풍의 분사 상태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사이드 미러(30)의 연결부(30A) 후면에 형성된 분사부(40); 및
    상기 유입부(20)와 분사부(40)를 연통시키며 상기 유입부(20)로 유입된 주행풍이 상기 분사부(40)를 통해 상기 사이드 윈도우(10)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사이드 미러(30)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60, 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윈도우(10)의 개폐 상태를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고, 연산된 결과값에 따라 상기 유입부(20)와 분사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20)에는 유입 조절 수단(20A)이 구비되며, 상기 유입 조절 수단(20A)은 차량 주차 및 시동 오프시에는 개구된 유입부를 클로징(closing)하며, 차량 주행시에는 클로징된 유입부를 오픈(open)하도록 회전축(21)을 매개로 수직으로 회전 작동되는 회전판(22)이 구비된 댐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20)에는 유입 조절 수단(20B)이 구비되며, 상기 유입 조절 수단(20B)은 차량 주차 및 시동 오프시에는 개구된 유입부를 클로징(closing)하며, 차량 주행시에는 클로징된 유입부를 오픈(open)하도록 슬라이드부(24)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판(23a)이 구비된 개폐 커버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40)에는 분사 조절 수단(40')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 조절 수단(40')은 상기 분사부(4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 윈도우(10)에 분사되는 주행풍의 풍향을 조절하도록 회전하는 회전링(41)과, 상기 회전링(41)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링(41) 상에 종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다수개가 각각의 회전핀에 의해 이격 설치된 슬릿(4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60)는 상기 유입부(20)에서부터 분사부(40)까지의 직경이 동일한 상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60')는 상기 유입부(20)에서 상기 분사부(40)로 갈수록 내측으로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60, 60')에는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5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유입부(20)를 통해 유입된 주행풍을 가열하는 히팅 코일(6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차량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상기 히팅 코일(61)의 작동 상태가 조작 가능하도록 인스트루먼트패널 상에 가열 스위치(6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사이드 윈도우(10)의 개폐 상황 정보를 취득하는 정 보 취득 수단(70)으로부터 실시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사이드 윈도우(10)의 오픈(open)시 가이드부(60, 60') 내에 주행풍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입부(2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정보 취득 수단(70)으로부터 기상 정보를 입력받아 강설시 상기 사이드 윈도우(10)에 부착된 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부(60, 60') 내부에 설치된 히팅 코일(61)이 가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 수단(70)은 차량에 연결 설치된 온도 센서부 및 GPS 시스템으로부터 기상 정보, 차량의 위치 및 지역 정보 등을 취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070105951A 2007-10-22 2007-10-22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01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951A KR100901584B1 (ko) 2007-10-22 2007-10-22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951A KR100901584B1 (ko) 2007-10-22 2007-10-22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545A true KR20090040545A (ko) 2009-04-27
KR100901584B1 KR100901584B1 (ko) 2009-06-08

Family

ID=4076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951A KR100901584B1 (ko) 2007-10-22 2007-10-22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2135A (zh) * 2019-05-10 2019-08-30 南京林业大学 一种电加热吹风可除侧窗雨雪雾霜功能的汽车电动后视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540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차량 윈도우의 물기 제거장치
KR200229867Y1 (ko) * 1998-11-24 2002-03-02 심재권 벨트행거_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2135A (zh) * 2019-05-10 2019-08-30 南京林业大学 一种电加热吹风可除侧窗雨雪雾霜功能的汽车电动后视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1584B1 (ko) 2009-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345449U (zh) 与车辆挡风玻璃或挡风玻璃的柱连接使用的装置及车辆
KR102070742B1 (ko) 전자 장치의 수용 및 온도 조절을 위한 하우징과 이러한 하우징을 구비하는 차량
KR100901584B1 (ko) 사이드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EP2308727B1 (en) A blow device for rear view mirror of a vehicle
CN207345760U (zh) 除霜格栅总成、车辆及其仪表板总成
CN107554432A (zh) 可自清洁的汽车后视镜
JP2010280308A (ja) 自動車の空調装置
CN205059428U (zh) 一种自清洁汽车反光镜
CN109649338A (zh) 除霜格栅总成、车辆及其仪表板总成
JP2005007963A (ja) デフロスタ装置
KR101796203B1 (ko) 썬바이저 모듈
KR200423088Y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 와이퍼장치
CN215398592U (zh) 侧窗除水雾装置和车辆
JPS6117882Y2 (ko)
JP2014181008A (ja) 車両の水滴除去装置
JP6123996B2 (ja) サイドミラーの水滴除去装置
KR0145917B1 (ko) 자동차의 리어윈드쉴드 성에제거장치
KR100517707B1 (ko)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구조
KR20100013079U (ko) 물분사를 이용한 차량용 드리프트 보조장치
KR960008231Y1 (ko) 자동차 전면유리의 성에 및 김서림제거장치
KR20160044991A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및 운전석(조수석) 윈도우의 빗물 제거장치
KR200198942Y1 (ko) 자동차용쿨에어공급장치
KR940003215Y1 (ko) 자동차의 시야 방해물 제거장치
JPH059263Y2 (ko)
JPS58167246A (ja) 車両用デフロス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