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707B1 -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707B1
KR100517707B1 KR10-2003-0038927A KR20030038927A KR100517707B1 KR 100517707 B1 KR100517707 B1 KR 100517707B1 KR 20030038927 A KR20030038927 A KR 20030038927A KR 100517707 B1 KR100517707 B1 KR 100517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efroster
instrument panel
windshield
rota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178A (ko
Inventor
문동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707B1/ko
Publication of KR20040108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7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좌우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디프로스터의 날개가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한 쌍의 디프로스터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전면 유리창의 일정부분에 집중적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구조{DRFROSTER STRUCTURE OF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좌우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디프로스터의 날개가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한 쌍의 디프로스터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전면 유리창의 일정부분에 집중적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 및 윈도쉴드와 창문에 의하여 차량의 실내가 외부로부터 차단 및 격리되고, 공조장치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거나 환기하게 되며, 히터 및 에어컨을 통해 차량 실내의 공기를 가열 및 냉각하게 된다.
또한, 외부와의 온도차가 심할 경우와 실내의 습도가 높고 환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특히, 외기 온도가 이슬점 온도 이하가 될 경우에는 윈드쉴드와 윈도우에 서리를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발생된 서리는 주행에 필요한 주행시야를 가려 운행에 막대한 지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운전자는 발생된 서리를 제거하기 위해 공조장치를 디프로스트 모드(외기 순환 모드)로 선택하게 되며, 이러한 선택에 의해 공조장치에 의해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가 배출되어 서리를 제거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전방부분에는 인스트루먼트패널(11)이 구비되고, 이러한 인스트루먼트패널(11)의 운전석 전방에는 운전대와 계기판이 설치되며, 조수석의 전방에는 필요한 물건을 보관하도록 하는 글로브박스(12)가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11)의 중심부분에는 각종 편의시설 등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패널(13)이 형성되고, 인스트루먼트패널(11)의 상부 일끝단 즉, 전면유리창(14)과 근접한 부분에는 자동차 실내 온도와 외부온도 차이로 인하여 전면유리창(14)에 끼게 되는 서리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조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전면통풍구(15)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전면통풍구(15)는 공기의 일부는 운전석 전면유리창 방향, 나머지는 조수석 전면유리창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성형된 다수의 노즐이 고정된 형상을 가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면유리창의 제상능력은 자동차의 초기 설계과정에서 고정되는 노즐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설계과정의 오류 또는 조립과정의 오류로 전면통풍구의 제상능력이 떨어지는 경우, 금형을 수정하거나 조립을 다시 하여야 하므로 시간과 금전적인 손실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는 디프로스터의 날개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좌우 디프로스터 각각이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하여 선택된 영역에 집중적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면유리창에 형성되는 서리를 제거하기 위해 공조장치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전면유리창에 배출하도록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좌우 한 쌍이 설치되는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디프로스터는 인스트루먼트패널의 내측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삽입되기 위해 양단에 돌기가 형성되고 공기를 배출시키는 토출구의 방향을 제어하는 다수의 날개와; 상기 각각의 날개 일단과 결합하고 측면에 기어가 형성되는 회동막대와; 상기 기어와 접하여 회동막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모터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을 통해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날개가 회전하여 전면유리창의 특정부위에 공기를 토출하여 줌으로서, 운전석 시야를 신속히 확보하여 안전운행을 가능케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본 기술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의 작동구조를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프로스터는 인스트루먼트패널(40)에 좌우 한 쌍이 동일한 구조로 설치되는데, 하나의 디프로스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양단에 돌기(21)가 형성되는 날개(20)가 인스트루먼트패널(40)의 내측에 형성되는 안착홈(4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돌기(21)는 날개(20)의 회전축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측면에 기어(32)가 형성되는 회동막대(22)가 상기 각각의 날개(20) 일단과 결합하고, 상기 기어(32)와 접하여 회동막대(22)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33)가 장착된다.
또한, 조작부(39)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모터(33)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35)가 구비된다.
한편, 31은 토출구로서 공조장치에서 발생하는 공기를 디프로스터로 공급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막대(22)에 근접하여 회동막대(22)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센서(37)가 구비되어 제어부(35)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운전자 또는 차량 탑승자가 전면 유리창에 형성되는 서리나 성에를 제거하여 전면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조작부(39)를 작동시키면, 이러한 신호를 받은 제어부(35)는 모터(33)를 구동시킨다.
상기 모터(33)의 구동으로 모터에 맞물리는 기어(32)를 구비한 회동막대(22)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회동막대(22)의 이동에 의해 날개(20)는 돌기(21)를 회전축으로 하여 좌우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막대(22)에 근접한 곳에 설치되는 위치센서(37)가 회동막대(22)의 정확한 현재위치를 제어부(35)에 전송하여 줌으로서, 날개(20)의 회전각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35)는 인스트루먼트패널(40)에 형성되는 한 쌍의 디프로스터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전면유리창에 형성되는 성에나 서리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운전을 하기 위해서는 운전석 전면에 형성되는 서리나 성에를 신속히 제거해야만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어 안전운전이 가능한바, 운전석 전면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집중되도록 조작부(39)를 조작하면, 제어부(35)는 좌우에 형성되는 디프로스터의 공기 토출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좌측 즉 운전석 전면에 형성되는 디프로스터의 날개(20)는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토출구(3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각도가 꺾이지 않고 그대로 방출하여 운전석 전면 유리창으로 가도록 한다.
그리고, 우측 즉 조수석 전면에 형성되는 디프로스터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운전석 전면 유리창 방향(좌측)으로 유동하기 위해 모터(33)가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부(35)가 제어를 하고, 상기 모터(33)의 회전에 따라 회동막대(22)는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다수의 날개(20)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킨다.
한편, 조수석 전면 유리창에 형성되는 성에나 서리를 집중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식도 상기한 방식에 따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구조는 날개가 회전 가능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각도를 조절하여 줌으로서, 효과적으로 제상을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초기 설계나 설치의 미비로 정확한 토출 각도가 구현되지 않더라도 날개의 회전으로 이를 보상할 수 있어서, 재금형이나 재조립 등의 금전적, 시간적 비용을 절약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선택된 부분에 집중적으로 공기가 토출하도록 제어함으로서, 겨울철 운전석 전면 유리창에 형성되는 성에를 신속히 제거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의 작동구조를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날개 21 : 돌기
22 : 회동막대 31 : 토출구
32 : 기어 33 : 모터
35 : 제어부 37 : 위치센서

Claims (2)

  1. 자동차의 전면유리창에 형성되는 서리를 제거하기 위해 공조장치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전면유리창에 배출하도록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좌우 한 쌍이 설치되는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디프로스터는 인스트루먼트패널의 내측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삽입되기 위해 양단에 돌기가 형성되고 공기를 배출시키는 토출구의 방향을 제어하는 다수의 날개와;
    상기 각각의 날개 일단과 결합하고 측면에 기어가 형성되는 회동막대와;
    상기 기어와 접하여 회동막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회동막대에 근접하여 회동막대의 위치를 측정한 다음 제어부에 전송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구조.
  2. 삭제
KR10-2003-0038927A 2003-06-16 2003-06-16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구조 KR100517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927A KR100517707B1 (ko) 2003-06-16 2003-06-16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927A KR100517707B1 (ko) 2003-06-16 2003-06-16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178A KR20040108178A (ko) 2004-12-23
KR100517707B1 true KR100517707B1 (ko) 2005-09-28

Family

ID=3738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927A KR100517707B1 (ko) 2003-06-16 2003-06-16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8548B4 (de) * 2015-05-28 2017-05-04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Luftausströmer mit einer Steuer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178A (ko)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662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JP4311480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517707B1 (ko)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구조
KR101492148B1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
KR20100031821A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
JPH053015U (ja) 車両のサイドベンチレータ
JP385542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00058105A (ko) 자동차용 공조시스템의 도어구동장치
KR100449833B1 (ko) 차량의 에어벤트
KR10238604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28563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412847B1 (ko) 자동차의 가변제어형 실내 환기장치
JPS6313042Y2 (ko)
KR20100092158A (ko) 차량용 디프로스터
JP382073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10024413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S5871211A (ja)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吹出し装置
JPH05462Y2 (ko)
KR0145917B1 (ko) 자동차의 리어윈드쉴드 성에제거장치
KR100594843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송풍모드 전환장치
KR970003320Y1 (ko) 자동차용 온수식 난방기의 공기조절장치
JP395259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50093122A (ko) 자동차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풍향조절장치
KR101692228B1 (ko)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
KR100552714B1 (ko)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벤틸레이션 덕트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