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673A - 추출 침니를 갖는 액체 콘테이너 - Google Patents

추출 침니를 갖는 액체 콘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673A
KR20090039673A KR1020087027383A KR20087027383A KR20090039673A KR 20090039673 A KR20090039673 A KR 20090039673A KR 1020087027383 A KR1020087027383 A KR 1020087027383A KR 20087027383 A KR20087027383 A KR 20087027383A KR 20090039673 A KR20090039673 A KR 20090039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quid
extraction chimney
opening
liqui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7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7630B1 (ko
Inventor
슈테판 자틀러
Original Assignee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4299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3967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filed Critical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039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01L3/50825Closing or opening means, corks, bu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8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enabling gas exchange, e.g. v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개구 (11), 및 상기 개구를 통해 콘테이너 (1) 안으로 연장되고, 콘테이너의 하단부 영역에서 미세 다공성 흐름 저항 요소 (27) 의 형태로 된 액체 투과성 구역을 갖는 튜브형 추출 침니를 가져, 추출 침니 (17) 와 흐름 저항 요소를 통해 추출 침니를 둘러싸는 콘테이너의 내부 공간 (37) 사이에 액체 교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액체 콘테이너 (1)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추출 침니의 상부 영역에서 추출 침니의 케이싱 벽 (49) 의 방사상 홈 (47) 으로 형성되며 액체 수위 (41) 위의 공간 (47) 의 적절한 배기를 보장하는 배기 그루브이다.
액체 투과성 구역, 흐름 저항 요소, 튜브 요소, 배기 그루브, 플랜지부

Description

추출 침니를 갖는 액체 콘테이너 {LIQUID CONTAINER WITH EXTRACTION CHIMNEY}
본 발명은 상부 개구, 및 콘테이너 안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와 같은 면을 이루며, 콘테이너의 바닥 부근의 하단부 영역에서 액체 투과성 구역을 갖는 튜브형 추출 침니를 갖는 액체 콘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자동화된 분석기에서 시약 액체 용기로서 사용되는 액체 콘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자동화된 분석기에 사용될 때, 시약 액체는 자동 피펫기에 의해 액체 콘테이너로부터 제거된다. 현대 시스템에서, 이는 각각의 분석 과정의 높은 처리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신속한 사이클로 일어난다. 이 과정에서, 액체 콘테이너는 예를 들어 로터의 형태로 된 전달 장치에 의하여 피펫팅부로 신속히 옮겨지고 거기에 정지되며, 이 때 자동 피펫 또는 흡입 바늘이 흡입에 의해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 액체 콘테이너의 상부 개구를 통해 추출 침니 안으로 들어간다. 높은 처리량을 갖는 자동 분석기의 경우, 피펫팅 구역에서 액체 콘테이너를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각각의 개별적인 피펫팅 과정에 단지 수 초의 매우 짧은 사이클 시간만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문제는 액체 콘테이너가 피펫팅 구역에서 갑자기 정지되는 경우, 콘테이너 내의 액체가 튀기고 흩어질 수 있어서, 높은 처리량 작업을 위해 요구되는 짧은 피펫팅 사이클 시간보다 더 오래 걸리는 특정 대기 시간 후에까지 적절히 동등해진 액체 수위가 종종 발생하지 않게 된다. 추출 침니 내의 액체 수위가 여전히 변동할 때에는 보통 피펫팅이 회피되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피펫 팁이 원하지 않은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 걸쳐 그 외부가 액체로 적셔질 수 있으며, 따라서 피펫이 액체 콘테이너로부터 빠질 때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액체가 피펫 팁의 외부에 부착되어 동반될 수 있고 이어지는 피펫팅 작업에서 오염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이를 피하기 위해, 피펫 팁은 피펫팅 동안 피펫팅되는 액체에 단지 약간 담가져야 하며 액체 콘테이너 내의 충전 수위는 가능하면 정지 상태이어야 한다. 또한, 변동하는 액체 수위에 의해 피펫이 공기를 끌어들이는 것이 회피되어야 한다. 게다가, 추출 침니에서 거품 형성이 억제되어야 한다. 여기서 고려중인 유형의 이미 알려진 액체 콘테이너의 경우, 자동화된 분석기에서 높은 처리량 작업을 위해서는 너무 오래 걸리는 사이클 시간 내에서만 이 요구가 보통 충족될 수 있다.
추출 침니를 갖는 종래 기술의 반응 액체 콘테이너에 대하여 예를 들어 WO 97/12677 A1, US 5,102,631, 또는 DE 3838278 C1 를 참조할 수 있다. WO 97/12677 A1 에 소개된 액체 콘테이너에서, 튜브형 추출 침니의 상단부에는 추출 침니의 상단부가 콘테이너 개구의 관(spout)에 매달리는 방식으로 지지되게 해주는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가 제공된다. 추출 침니와 액체 콘테이너 주위 내부 공간 영역 사이에 액체 연통이 추출 침니의 하부 개구를 통해 일어날 수 있도록 추출 침니의 완전히 열린 하단부는 액체 콘테이너의 바닥 부근까지 연장된 다. 콘테이너의 내부 공간과 주변 사이의 압력이 피펫팅하는 동안 동등해지도록 하기 위해, 액체 콘테이너의 개방 관과 추출 침니의 케이싱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게 해주는 슬롯형 벽두께 축소부가 추출 침니의 상부 영역에 제공된다.
DE 3838278 C1 에 소개된 콘테이너의 한 실시예는 횡단면이 상부 콘테이너 개구의 횡단면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추출 침니를 포함하며, 이 추출 침니는 개방 관 위에 돌려 결합되는 스크류 캡을 관통하여 이 캡에 부착된다. 스크류 캡의 관통 구멍은 콘테이너의 내부 공간과 외부 환경 사이에 압력 평형을 허락한다. 추출 침니는 콘테이너 바닥 부근에 이르어 추출 침니의 열린 하부측을 통해 추출 침니와 콘테이너의 주위 내부 공간 사이에 액체 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 DE 3838278 C1 의 다른 실시예에서, 추출 침니의 상단부의 외주와 추출 침니의 상단부를 둘러싸는 관의 내주는 단지 약간 달라서, 콘테이너의 내부와 주변 사이의 압력 평형을 위한 충분한 크기의 배기 경로가 추출 침니의 외부측과 관의 내부면 사이에 남아 있지 않게 된다. 추출 침니의 케이싱에 있는 관통 보어가 압력 평형을 위해 그 상단부에 제공된다. 추출 침니의 하단부는 본질적으로 완전히 열려 있으며 스페이서 바가 추출 침니의 하단부에 제공된다.
US 5,102,631 로부터 알려진 액체 콘테이너는 DE 3838278 C1 의 마지막에 언급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추출 침니의 상단부에서 추출 침니의 케이싱에 있는 관통 구멍도 갖는다. 추출 침니는 액체 콘테이너의 바닥까지 연장되나 큰 측면 개구가 추출 침니의 하단부에서 추출 침니의 케이싱에 제공된다.
상기 밝힌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액체 콘테이너에 대해 본 발명자가 실험해본 결과, 콘테이너가 급하게 처리 구역에 위치될 때, 콘테이너 내의 액체는 콘테이너 내에서 튀기고 흩어지며 거품을 낼 수 있고, 잔잔해지고 동등해진 수위가 높은 처리량 분석기에는 허용될 수 없는 기간 이후까지 추출 침니에서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처리량 작업에 있어서 신속한 자동화된 피펫팅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언급된 유형의 액체 콘테이너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액체 투과성 구역은, 추출 침니와 액체 투과성 구역의 영역에서 추출 침니를 둘러싸는 콘테이너의 내부 공간 사이의 액체 교환이 각각의 미세 다공성 흐름 저항 요소에 의해서만 일어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흐름 저항 요소를 갖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다.
흐름 저항 요소는 액체 콘테이너가 갑자기 정지될 때 발생되는 추출 침니 주위의 액체의 튀김 운동이 상당히 감쇠되고 추출 침니 내의 수위의 느린 변화로서 지연된 방식으로 나타나도록 해주는 흐름 브레이크로서 역할한다. 따라서, 흐름 저항 요소는 튀김 운동의 빈도 및 격렬함과 액체 수위 진동에 대하여 추출 침니 내의 액체를 위한 "로 패스(low pass)"를 형성한다. 액체 콘테이너가 예를 들어 콘테이너를 이동시키는 회전식 컨베이어(carousel) 또는 로터에 의해 피펫팅부에 신속히 위치되는 경우, 콘테이너의 정지에 의해 촉발되는 추출 침니 주위의 튀김 운동에 상관없이 추출 침니에서는 단지 상대적으로 느린 수위 변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그러한 자동화된 피펫팅 장치의 피펫팅 팁이 콘테이너가 정지한 직후 추출 침니 안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이어지는 피펫팅을 위해 가능한 가장 작은 깊이로 액체 안으로 담가질 수 있다. 추출 침니에서 액체의 담금 깊이 또는 수위는 보통 센서 수단, 예를 들어 자동화된 피펫팅부의 경우에 용량성 센서에 의해 검출되며, 담금 깊이는 센서 정보에 따라 제어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콘테이너를 사용할 때에도 상응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지 소량의 액체만이 피펫의 외부에 동반되어 수집될 수 있도록, 원한다면 피펫팅 팁은 짧은 길이에 걸쳐서만 외부측에서 액체로 적셔진다. 외부 튀김 효과에 의한 추출 침니 내의 액체 수위의 매우 급속한 변화는 흐름 저항 요소의 로 패스 효과 때문에 짧은 피펫팅 시간 동안에는 기대되지 않는다. 추출 침니 내의 액체의 수위는 따라서 단지 느리게 그리고 감쇠된 정도로 변화하게 되며, 이리하여 자동 피펫팅 장치가 피펫팅 팁의 낮은 담금 깊이로 추출 침니의 각각의 계산된 충전 수위로부터 신뢰성있게 피펫팅 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흐름 저항 요소는 콘테이너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추출 침니 안으로의 거품의 통과를 실질적으로 막는 거품 브레이크로서 작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흐름 저항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양털 재료, 특히 펠트 또는/및 직물 또는/및 소결된 플라스틱 재료,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및 개기공형 발포체로부터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추출 침니의 하단부는 흐름 저항 요소로 채워지는 전단부의 튜브 개구를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량에 의하면, 흐름 저항 요소가 추출 침니의 전단부의 하부 개구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며, 따라서 콘테이너의 바닥과 추출 침니의 전단부 개구 사이의 스페이서 요소로서 역할할 수 있다. 그러한 해결책은 예를 들어 추출 침니의 하부 개구의 위치에 삽입되고 잠겨지는 소결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필터 요소의 형태의 흐름 저항 요소로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흐름 저항 요소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미세 기공 격자 체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추출 침니에는 그 하단부에 다수의 모세 관통 보어(bore)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방식으로 미세하게 구멍이 뚫린 추출 침니의 영역은 흐름 저항 요소를 형성한다. 흐름 저항 요소를 실현하는 다양한 가능성과 함께, 흐름 저항 요소는 원하는 흐름 제동 특성을 제공하며 액체의 튀김 운동은 추출 침니 내의 수위에서 단지 비교적 느리고 감쇠된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에 항상 주의하여야 한다.
추출 침니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콘테이너를 준비할 때 그 개구를 통해 액체 콘테이너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플라스틱재 구성요소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콘테이너의 상부 개구는 위쪽으로 돌출되는 관, 및 특히 스크류 캡 관을 가지며, 이 관의 내부면은 콘테이너 개구의 원주 경계면을 형성한다. 추출 침니의 상단부는 추출 침니의 상단부를 관의 상향 숄더면에 부착시키는 플랜지부를 가질 수 있다. 추출 침니는 따라서 콘테이너에서 그 설치 위치에 안정된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추출 침니의 상단부의 영역에 있는 추출 침니의 케이싱은 콘테이너 개구의 원주 경계면과 방사상으로 가까이 인접하여 대향하며, 콘테이너 바닥 부근의 추출 침니의 하단부 영역은 액체 투과성 구역을 갖는 상기 유형의 액체 콘테이너에 있어서, 상단부의 영역에서 추출 침니의 케이싱 벽이 콘테이너 개구의 원주 경계면의 영역을 넘어 축방향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특히 방사상 홈으로 형성되는 배기 그루브의 형태로 된 배기 경로를 케이싱 벽에 제공하기 위해, 구역에서 추출 침니의 케이싱의 외면이 콘테이너 개구의 원주 경계면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도록 하는 구역에 형성되는 액체 콘테이너를 제공한다.
그러한 배기 경로는 액체 콘테이너의 내부와 주변 사이에 신속하고 효과적인 압력 평형을 허용하며 이는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배기 목적을 위한 추출 침니의 케이싱 내의 관통 구멍이 생략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액체 콘테이너의 경우, 튀기는 액체가 관통 개구를 통해 추출 침니의 상부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면 그러한 관통 구멍은 최대 액체 수위의 제한을 요구한다. 배기 경로의 상기 양태는 또한 독립적으로 중요하며 상기 언급한 유형의 흐름 저항 요소가 장착되지 않고 예를 들어 통상적인 유형의 틈을 갖는 추출 침니에 사용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명료해진다.
도 1 은 추출 침니 및 하부의 추출 침니 개구에 있는 흐름 저항 요소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콘테이너의 실시예의 측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2 는 도 1 의 추출 침니를 분리하여 사시도로 보여준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콘테이너의 추출 침니의 다른 실시형태를 사시도로 보여준다.
도 1 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콘테이너 (1) 의 실시예는 수직 중심 평면을 따른 길이방향 단면으로 보여진다. 액체 콘테이너 (1) 는 스크류 캡 (3) 을 갖는 병(bottle)이다. 병목 (5) 은 스크류 캡 (9) 을 위한 스크류 나사(thread)로서 역할하는 외부 나사 (7) 를 갖는 스크류 캡 관(spout)이다. 관형 병목 (5) 은 액체 콘테이너 (1) 의 추출 개구 (11) 와, 상단부 플랜지 (19) 를 갖는 추출 침니(chimney) (17) 가 매달려있는 내부면 (13) 에서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연장되는 링 숄더 (15) 를 포함하는 숄더를 갖는다.
도 2 에서 추출 침니 (17) 가 분리되어 사시도로 보여진다. 이 예에서, 기본적인 형상에 관하여 전방 단부에서 튜브 개구 (23, 25) 를 갖는 중공 원통형 튜브체 (21) 를 포함한다. 튜브체 (21) 의 하부 튜브 개구 (25) 는 소결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액체 투과성 플러그인 미세 다공성 흐름 저항 요소 (27) 로 채워진다. 그러나, 예를 들어 펠트(felt), 직물(fabric) 또는 개기공형 발포체와 같은 다른 재료도 또한 흐름 저항 요소 (27) 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 따른 예에서, 흐름 저항 요소 (27) 는 스페이서 요소로서 역할할 수 있도록 튜브체 (21) 의 하부 가장자리 아래에 아래쪽으로 돌출된다. 이 기능은 도 1 의 액체 콘테이너의 경우에 이용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추출 침니 (17) 가 하단부 (29) 가 액체 콘테이너 (1) 의 바닥 (31) 으로부터 일정 거리, 하지만 작은 거리만큼 떨어져 있도록 액체 콘테이너 (1) 안에 매달려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흐름 저항 요소 (27) 의 스페이서 기능에 의해 도 2 에 따른 추출 침니 (17) 는 콘테이너 바닥에 서 있으면서 액체 콘테이너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 에 따르면, 추출 침니 (17) 의 내부 공간 (35) 과 콘테이너 (1) 내부의 주위 링 공간 (37) 사이의 액체 연통이 미세 다공성 흐름 저항 요소 (27) 를 통해서만 일어날 수 있도록, 추출 침니 (17) 는 보여지는 실시예에서 콘테이너 내부 (33) 로 콘테이너 바닥 (31) 근처까지 담가진다. 도 1 에서 액체 콘테이너 (1) 는 추출 침니 (17) 내에 개략적으로 지시된 액체 수위 (39) 가 남아 있는 콘테이너 공간 (37) 에서의 액체 수위 (41) 와 일치하는 휴지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액체 콘테이너가 더 이동되어 피펫팅부에 갑자기 위치될 때 발생하는 것과 같은 가속 및 감속 과정에서, 액체 (43) 는 움직여 튀기고 흩어지며 거품이 이는 경향이 있게 된다. 이 경향은 상당히 더 작은 부피를 갖는 추출 침니 (17) 에서보다 콘테이너 (1) 의 더 큰 링 공간 영역 (37) 에서 훨씬 더 크다. 흐름 저항 요소 (27) 는 링 공간 (37) 에서의 액체의 격렬한 운동이 추출 침니 내의 액체로 직접 전달되지 않고 감쇠되고 지연된 방식으로 일어나도록 하여 피펫팅부에 액체 콘테이너 (1) 가 급하게 위치된 이후에도 수위 (39) 가 단지 상대적으로 느리게 진동하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이어서 일어나는 피펫 과정의 제어에서 고려될 수 있다. 캡 (9) 을 제거한 후에 콘테이너 개구 (11) 를 통해 추출 침니 (17) 안으로 내려지는 피펫팅 팁(도시되지 않음)이 액체 (43) 안으로 단지 약간 담 가지도록 피펫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추출 침니 내의 잔잔한 액체 (43) 의 피펫팅은 이렇게 해서 예를 들어 3초 또는 심지어 2초보다 적은 매우 짧은 사이클 시간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러한 신속한 피펫팅 작업에서 추출 침니 (17) 내의 액체 수위 (39) 의 잔잔해짐에 더하여, 추가적인 문제가 있다. 이 추가 문제는 피펫팅 동안 액체 수위 (41) 위의 공간 영역 (45) 의 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지고 상기 언급된 추출 침니 구조를 가지고 본 발명자가 사전에 실험해본 결과, 이 침니에 사용될 수 있는 배기 채널은 너무 작아서 높은 처리량 작업에서 콘테이너의 외부 공간과 공간 영역 (45) 사이에 충분히 신속한 압력 평형을 가능하게 하지 못함이 밝혀졌다. 적절히 신속한 배기는 추출 침니에서 매우 큰 윈도우(window)가 액체 수위 (41) 위에 제공되는 추출 침니로 성취될 수 있다. 그러나, 콘테이너의 상부 영역의 그러한 윈도우가 공간을 요구하며 따라서 액체 콘테이너의 최대 충전 수위를 제한하기 때문에, 그러한 해결방안은 본 발명에 따라 회피되어야 한다. 게다가, 액체 (43) 가 윈도우를 통해 링 공간 (37) 으로부터 추출 침니 (17) 의 내부 공간 안으로 튀어 들어갈 수 있어, 피펫팅 작업 동안 추출 침니 (17) 안으로 도입된 피펫팅 팁이 튀어 들어오는 액체로 넓은 영역에 걸쳐 젖게되는 위험이 있다.
독립적으로 중요하고 또한 상기 언급한 유형의 흐름 저항 요소 없이 추출 침니에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추출 침니 (17) 는 그 상단부의 영역의 케이싱 벽 (49) 에 방사상 홈 (47) 으로 형성된 배기 그루브 (51) 를 가지 며, 이 배기 그루브 (51) 는 콘테이너 개구 (11) 의 원주 경계면 (13) 의 영역을 넘어, 즉 관 (5) 의 영역을 넘어 아래쪽으로 그리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따라서 관 (13) 의 내부를 따르는 충분히 크고 긴 배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추출 침니 (17) 의 케이싱 벽 (49) 의 그러한 방사상 홈 (47) 은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그러나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방사상 홈으로 형성되는 몇개의 그러한 배기 그루브 (51) 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용어인 방사상 홈은 배기 그루브의 영역에서의 케이싱 벽 (49) 이 단순히 감소된 두께를 갖지는 않지만 횡단면에서 본 케이싱 벽의 형상이 방사상 안쪽으로 돌출되는 홈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이 방식으로 배기 그루브는 추출 침니의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비교적 크게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배기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케이싱 벽 (49) 은 예를 들어 콘테이너 개구 (11) 의 원주 경계면 (13) 과의 간격이 큰 특정 영역에서 현(chord) 형상의 코스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설명된 배기 설계에서 추출 침니 (17) 의 케이싱 벽 (49) 의 상부 영역에 배기 윈도우를 낼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콘테이너의 액체의 최대 충전 수위는 배기 조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 침니 (17) 의 상부 영역의 링 공간 (37) 으로부터 추출 침니 (17) 의 내부 공간 (35) 에 어떤 액체도 도달할 수 없다. 실험에 의하면, 콘테이너가 가속될 때 배기 그루브를 통해 콘테이너 액체가 튀어나가거나 흘러나가는 경향은 콘테이너 (1) 에서 이 콘테이너의 벽에 대한 배기 그루브 (51) 의 최적의 배향과 콘테이너 운동 상태의 고려로 억제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3 은 도 1 의 추출 침니 (17) 의 변형된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3 에서 추출 침니의 튜브체 (21) 는 도 1 에서의 튜브체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는다. 이는 도 3 에서 추출 침니 (17) 의 상부 영역에서 실린더 케이싱 벽의 외면에서, 축방향으로 뻗은 이격 리브 (53) 에 의해 보상되며, 액체 콘테이너 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리브는 스크류 캡 관의 내부면에 대향하여 그 내부면에 근접하여 있게 되고 따라서 추출 침니가 더욱 안정된 방식으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콘테이너로 피펫팅 작업을 할 때 폐쇄 캡 (9) 을 제거한다. 특히 느리게 진행될 수 있는 피펫팅 작업을 위해, 폐쇄 캡 (9) 은 가이드 퍼넬 (55) 을 갖는데, 폐쇄 캡 (9) 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퍼넬은 콘테이너 (1) 에 들어가는 피펫 팁에 의해 뚫릴 수 있다.
도 1 에 따른 콘테이너 (1) 는 자동화된 분석기에서 다양한 장소를 통과할 수 있는 공통의 핸들링 카세트(미 도시)에 다른 콘테이너와 함께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보여진 실시예의 변형예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콘테이너는 전술한 유형의 몇개의 추출 침니를 갖는 2실 콘테이너 또는 다실 콘테이너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상부 개구 (11), 및 콘테이너 (1) 안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와 같은 면을 이루며, 콘테이너 (31) 의 바닥 (31) 부근의 하단부 영역에서 액체 투과성 구역 (25, 27) 을 갖는 튜브형 추출 침니 (17) 를 갖는 액체 콘테이너에 있어서,
    액체 투과성 구역 (25, 27) 은, 추출 침니 (17) 와 액체 투과성 구역 (25, 27) 의 영역에서 추출 침니를 둘러싸는 콘테이너의 내부 공간 (37) 사이의 액체 교환이 각각의 미세 다공성 흐름 저항 요소 (27) 에 의해서만 일어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흐름 저항 요소 (27)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콘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흐름 저항 요소 (27) 는
    양털 재료, 특히 펠트 또는/및
    직물 또는/및
    소결된 플라스틱 재료,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및
    개기공형 발포체
    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콘테이너.
  3. 제 1 항에 있어서,
    흐름 저항 요소는 미세 기공 격자 체이거나 또는 다수의 모세 관통 보어를 갖는 추출 침니의 하부 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콘테이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 침니 (17) 는 그 하부 전단부에서 흐름 저항 요소 (27) 로 채워지는 개구 (25)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콘테이너.
  5. 제 4 항에 있어서, 흐름 저항 요소 (27) 는 추출 침니 (17) 의 개구 (25) 밖으로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콘테이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 침니 (17) 는 개구 (11) 를 통해 액체 콘테이너 (1)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튜브 요소 (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콘테이너.
  7. 상부 개구 (11), 및 콘테이너 (1) 안으로 연장되고 개구 (11) 와 같은 면을 이루는 튜브형 추출 침니 (17) 를 가지며, 침니의 상단부의 영역에 있는 외주는 콘테이너 개구 (11) 의 원주 경계면 (13) 과 방사상으로 가까이 인접하여 대향하며, 콘테이너 바닥 (31) 부근의 하단부 영역은 특히 제 1 항 내지 제 6 항에 따른 액체 투과성 구역 (25, 27) 을 갖는 액체 콘테이너에 있어서,
    상단부의 영역에서 추출 침니 (17) 의 케이싱 벽 (49) 은, 콘테이너 개구 (11) 의 원주 경계면 (13) 의 영역을 넘어 축방향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특히 방사상 홈 (47) 으로 형성되는 배기 그루브 (51) 의 형태로 된 배기 경로를 케이싱 벽 (49) 에 제공하기 위해, 구역 (47) 에서 추출 침니 (17) 의 케이싱의 외면이 콘테이너 개구 (11) 의 원주 경계면 (13) 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도록 하는 구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콘테이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테이너 (1) 의 상부 개구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관 (5), 및 특히 스크류 캡 관을 가지며, 이 관의 내부면 (13) 은 콘테이너 개구 (11) 의 원주 경계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콘테이너.
  9. 제 8 항에 있어서, 추출 침니 (17) 의 상단부는 추출 침니의 상단부를 관 (5) 의 상향 숄더면 (15) 에 부착시키는 플랜지부 (19)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콘테이너.
  10. 제 9 항에 있어서, 위쪽으로 향하는 관의 숄더면 (15) 은 관 (5) 의 내부면 (13) 에 있는 단차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콘테이너.
KR1020087027383A 2006-05-08 2007-05-07 추출 침니를 갖는 액체 콘테이너 KR1009976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21404.8 2006-05-08
DE102006021404A DE102006021404A1 (de) 2006-05-08 2006-05-08 Flüssigkeitsbehälter mit Entnahmekam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673A true KR20090039673A (ko) 2009-04-22
KR100997630B1 KR100997630B1 (ko) 2010-12-01

Family

ID=38429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7383A KR100997630B1 (ko) 2006-05-08 2007-05-07 추출 침니를 갖는 액체 콘테이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206648B2 (ko)
EP (1) EP2015868B1 (ko)
JP (1) JP4854784B2 (ko)
KR (1) KR100997630B1 (ko)
CN (1) CN101443123B (ko)
AT (1) ATE496696T1 (ko)
AU (1) AU2007247373B2 (ko)
BR (1) BRPI0711342B1 (ko)
CA (1) CA2646484C (ko)
DE (2) DE102006021404A1 (ko)
ES (1) ES2357652T3 (ko)
HK (1) HK1132704A1 (ko)
WO (1) WO20071285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0201709511WA (en) 2009-05-15 2018-03-28 Becton Dickinson Co Density phase separation device
JP5242537B2 (ja) * 2009-11-06 2013-07-24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試薬容器、および試薬容器用管体
US8313644B2 (en) * 2010-01-13 2012-11-20 OZOlab Bottle with an integrated filtration assembly that is manually operated using a plunger
WO2013087763A1 (en) * 2011-12-14 2013-06-20 Nucomat Reflux cap device
EP2617657A1 (en) 2012-01-19 2013-07-24 Roche Diagniostics GmbH Cap for multi-use reagent container
EP2682753A1 (en) 2012-05-08 2014-01-08 Roche Diagniostics GmbH Cartridge for Dispensing a Fluid Comprising a Reagent
JP2013242221A (ja) * 2012-05-21 2013-12-05 Jeol Ltd 試薬容器及び試料容器のアダプタ
AU2013202782B2 (en) * 2013-03-14 2015-05-14 Gen-Probe Incorporated Apparatus for indexing and agitating fluid containers
AU2013202805B2 (en) 2013-03-14 2015-07-16 Gen-Probe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the capabilities of a diagnostic analyzer
AU2013202778A1 (en) * 2013-03-14 2014-10-02 Gen-Probe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erforming automated reagent-based assays
EP3066478B1 (en) 2013-11-05 2019-12-18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Inc. Reagent container anti-evaporation tube
IES86617B2 (en) * 2014-05-27 2016-01-27 Beckman Coulter Inc Reagent bottle with aspiration pipe
US9694359B2 (en) 2014-11-13 2017-07-0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chanical separator for a biological fluid
EP3097978B1 (de) * 2015-05-27 2018-03-28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Products GmbH Flüssigkeitsbehälter mit einer schwappschutzvorrichtung
WO2017067873A1 (en) 2015-10-20 2017-04-27 Roche Diagnostics Gmbh Reagent vessel for storing a liquid reagent,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lower part of a reagent vess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ower part of a reagent vessel
JP6968453B2 (ja) * 2016-12-08 2021-11-17 リアクション アナリ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Reaction Analytics, Inc. フィルターインサート及び該フィルターインサートを用いたサンプルバイアル
CN107054867A (zh) * 2017-06-19 2017-08-18 四川迈克生物医疗电子有限公司 液体容器和样本分析仪
JP7332143B2 (ja) * 2019-06-12 2023-08-23 阪神容器株式会社 試薬容器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2940A (en) * 1968-12-30 1970-05-19 Justin J Shapiro Test tube filter device
DE3342703C2 (de) * 1982-11-26 1995-10-05 Sartorius Gmbh Filtrationsgerät
US4602995A (en) * 1985-05-20 1986-07-29 Technicon Instruments Corporation Liquid level adjusting and filtering device
US4683058A (en) * 1986-03-20 1987-07-28 Costar Corporation Filter for centrifuge tube
CN86210644U (zh) * 1986-12-29 1987-10-28 陈新华 液体取样器
DE3838278C1 (en) 1988-11-11 1990-01-18 Eppendorf - Netheler - Hinz Gmbh, 2000 Hamburg, De Reagent dispensing vessel
US5102631A (en) * 1989-12-18 1992-04-07 Abbott Laboratories Evaporation chimney
DE19536789A1 (de) * 1995-10-02 1997-04-03 Boehringer Mannheim Gmbh Gefäß für Flüssigkeiten
US6221655B1 (en) * 1998-08-01 2001-04-24 Cytosignal Spin filter assembly for isolation and analysis
FR2830240B1 (fr) * 2001-10-01 2004-08-20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notamment un produit cosmetique et/ou de soins
US7323144B2 (en) * 2002-03-18 2008-01-29 Leisure, Inc. Apparatus for separating biological sample and separating method of the same
DE20218503U1 (de) * 2002-11-28 2003-03-06 Macherey Nagel Gmbh & Co Hg Trenn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Biomolekü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15868A1 (de) 2009-01-21
JP2009536134A (ja) 2009-10-08
US8206648B2 (en) 2012-06-26
ATE496696T1 (de) 2011-02-15
HK1132704A1 (en) 2010-03-05
JP4854784B2 (ja) 2012-01-18
ES2357652T3 (es) 2011-04-28
DE502007006373D1 (de) 2011-03-10
DE102006021404A1 (de) 2007-11-15
AU2007247373A1 (en) 2007-11-15
KR100997630B1 (ko) 2010-12-01
US20090110607A1 (en) 2009-04-30
CA2646484C (en) 2011-07-26
BRPI0711342A2 (pt) 2011-08-30
AU2007247373B2 (en) 2010-12-09
CA2646484A1 (en) 2007-11-15
CN101443123B (zh) 2012-11-28
BRPI0711342B1 (pt) 2017-12-26
CN101443123A (zh) 2009-05-27
EP2015868B1 (de) 2011-01-26
WO2007128556A1 (de)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630B1 (ko) 추출 침니를 갖는 액체 콘테이너
US7547298B2 (en) Liquid sampler and method
KR20000067826A (ko) 변기의 테두리에 매달기 위한 세척 및 방향 유니트
JP5075018B2 (ja) 可変抽出筒を有する液体容器
EP1932546A1 (en) Air deodorizer
KR20140108446A (ko) 채수기
US20100269587A1 (en) Low liquid level detecting device and method
WO2015111470A1 (ja) 自動分析装置
KR101719972B1 (ko) 압력 매체 저장 탱크 및 수동식 작동 주 실린더로 이루어진, 특히 유압식 모터사이클 브레이크 시스템을 위한 조립체
MX2008010535A (en) Liquid container with extraction chimney
US9625434B2 (en) Dripless, permanent sealing assembly for container
US20050092553A1 (en) Strainer for oil supply mouth
EP1595037B1 (en) Multiple liquid active substance dispenser for w.c. bowl
EP3436175B1 (en) Froth coalescing vent
JP2009190737A (ja) 二重構造ノズルによる充填時の液面揃え方法
JP2021090901A (ja) エアドライヤの乾燥剤点検構造
JP2003064749A (ja) 排水トラップ
JPS63279759A (ja) 密封側管を用いた水位調節法
JPH0660676U (ja) 水洗トイレ用芳香洗浄容器
JP2004150197A (ja) 水洗トイレ用洗浄剤溶出装置
JPH0671572U (ja) 水洗トイレ用芳香洗浄容器
KR970022165A (ko) 냉장고의 저수통용 배수캡
JP2009041359A (ja) 薬液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