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458A - 편백 오일를 함유한 비듬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편백 오일를 함유한 비듬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458A
KR20090039458A KR1020070105121A KR20070105121A KR20090039458A KR 20090039458 A KR20090039458 A KR 20090039458A KR 1020070105121 A KR1020070105121 A KR 1020070105121A KR 20070105121 A KR20070105121 A KR 20070105121A KR 20090039458 A KR20090039458 A KR 20090039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andruff
composition
oil
ov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관
마응천
제강훈
윤순영
Original Assignee
(주)지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앤지 filed Critical (주)지앤지
Priority to KR1020070105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9458A/ko
Publication of KR20090039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백 오일을 포함한 두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듬의 주원인균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ale)의 성장 저해능을 가지며, 장기간 사용해도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질인 편백 오일이 비듬의 주 원인균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대해 특이한 항진균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편백 오일을 두발용 조성물에 첨가하여 샴푸, 린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헤어스타일링젤, 헤어토닉, 또는 비누제 등의 두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비듬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며, 기존의 항생제 사용으로 인체의 부작용 유발을 억제할 수 있는 편백 오일을 포함하는 두발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편백 오일를 포함하는 두발용 조성물{A composition using the hair containing Chamaecyparis obtusa oil}
발명은 편백 오일을 포함하는 두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듬의 주원인균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ale)의 성장 저해능을 가지며, 편백 나무에서 추출한 편백 오일을 샴푸, 린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헤어스타일링젤, 헤어토닉, 또는 비누제 등의 두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비듬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며, 기존의 항생제 사용으로 인체의 부작용 유발을 억제할 수 있는 편백 오일을 포함하는 두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듬이란, 인체의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해 생긴 두피의 죽거나 벗겨진 세포들이 두피 피지선의 분비물과 함께 말라붙어서 생긴 각질형태의 덩어리를 말한다. 비듬은 점차 정상 피부와 뚜렷한 경계를 가지며, 붉게 되어 두피에 인설이 증가하여 통상 가려움과 염증을 수반하는 지루피부염으로까지 진행된다.
이처럼 심한 비듬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 태이나, 일반적으로 내분비 호르몬의 불균형, 영양대사의 불균형, 스트레스 등의 신경적 요인, 두피세포의 지나친 증식에 의한 상피조직의 생화학적 변화, 두피 미생물의 증식 및 활성증대, 대기오염에 의한 염증 등과 같은 여러 요인들의 복합적인 영향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청결하지 못한 두피에 존재하는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ale)라는 미생물의 증식 및 활성증대는 비듬과 가려움증을 악화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오래전부터 인지되어 왔고, 근래들어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따라서, 비듬 및 가려움증의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비듬억제 작용을 갖는 모발 화장료의 경우, 비듬발생의 주요 원인인 미생물 피티로스포름 오발레의 증식 및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두피세포의 비정상적인 대사활동을 정상화할 수 있는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필수 요건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비듬 및 가려움의 억제를 목적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예로는, 아연피리치온(아연-2-피리디네치올-1-옥사이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미국특허 제2,809,971호, 미국특허 제4,323,683호, 미국특허 제4,345,080호, 미국특허 제4,470,982호, 유 럽특허제285,388호) 그러나, 아연피리치온은 25℃의 물에 15ppm 밖에 녹지 않는 용해도가 매우 낮은 한계를 갖는 1㎛내외의 구상형태를 갖는 불수용성 고체입자로, 수용성 기재를 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특히 샴푸 조성물에서 침전 등에 의한 분리현상을 유발하여 그 사용성에 있어서 제한되며 인체에 자극과 안정성의 문제로 국내 장원기와 미국 FDA(Food and Drug Adminstration)에 의해 그 함량이 규 제되고 있다.
비듬은 일종의 두피에 생긴 지루성 피부염(seborrhoeic dermatitis)으로, 주로 피지선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얼굴, 머리, 겨드랑이, 음부 등에 잘 발생하고 생후 직후나 사춘기를 거친 뒤에 발생하는 특징을 보인다.
비듬의 원인균이 효모균이라는 것이 최근 알려졌으며 피티로스포룸 오발레( Pityrosporum ovale ) 또는 말라세지아 퍼퍼( Malassezia furfur )라는 진균(효모균)이 밝혀지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최근에 증가하였다(Kane J. Summerbell RC. Trichophyton, Microsporum, Epidermophyton, and agents of superficial mycoses. 1999. In: Murray PR, Barron EJ, Pfaller MA, Tenover FC, Yolken RH(Eds.),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7 th ed.,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Press, Washington, DC. pp.1275-1294).
피티로스포룸 오발레 또는 말라세지아 퍼퍼는 두피에 서식하고 있는 정상적인 진균으로(Roberts SOB. 1969. Pityrosporum orbiculare : incidence and distribution in clinically normal skin.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81: 246), 비듬이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은 사람들에게서 거의 비슷한 수로 발견된다. 이는 비듬균에 대한 감수성 차이에 의하여 비듬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Bergbrant IM. 1995. Seborrhoeic dermatitis and Pityrospotum yeasts. Current Topics in Medical Mycology 6: 95-112).
비듬 치료제로 과거 수십년 동안 새로운 항균제들이 개발되어 전 세계 시장에 출현하였다. 그 중 케토코나졸(ketoconazole)이 전풍(pityriasis versicolor)이 나 비듬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Rausch LJ, Jacobs PH. 1984.Cutis 34: 470-471; Hay RJ, Midgeley G. 1984. Clinical and Experimental Dermatology 9: 571-573; Savin RC. 1984.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10: 824-830).
현재 국내에서는 비듬 치료제의 유효성분으로 케토코나졸이 사용되고 있으나, 케토코나졸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내분비계에 역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Schuermeyer T, Nieschlag E. 1982. Ketoconazole induced drop in serum and saliva testosterone. Lancet 1098p; Janssen PAJ, Symoens JE. 1983.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74: 80-85)
또한 케토코나졸에 비해 보다 강력한 항균작용을 하면서도 인체에 안전한 항균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이 새롭게 합성되었다. 이트리아졸(Itriazole) 유도체는 인간과 관련된 많은 병원성 곰팡이류들에 대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고, 케라틴성 조직에 대해 높은 친화력을 보이는 특성을 가진다(Van Cutsem J, Van Gerven F, Zaman R, Heeres J, Hanssen PAJ. 1983. Pharmacological and preclinical results with a new oral and topical broad spectrum antifungal R 51211. Proceedings of the 13 th International Congress of Chemotherapy, Vienna, Part 40: 1-11). 이트라코나졸은 에르고스테롤 (ergosterol) 합성을 저해하고, 막에 결합된 효소의 기능과 막 투과성의 이상을 초래하는 진균의 산화효소계인 P450에 결합하는 기전으로 작용한다(Grant SM, Clissold SP. 1989. Drugs 37: 310-344).
그러나 이트라코나졸은 케토코나졸과 같이 땀샘을 통해 운반되지 않기 때문에 구강제로 복용시 수송이 다소 느리다는 단점이 있으며, 만족스러운 치료효과와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매일 1,000 mg의 처방이 필요하다는 보고가 있다(Grant SM, Clissold SP. 1989. Drugs 37: 310-344). 또한 대부분의 환자의 경우 여러 종류의 약을 동시에 처방받고 있으나, 혼합제의 투약은 간세포에 독성과 면역체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한 약제의 효율성이나 역효과를 가중시킬 수 있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Svejgaard E. 1995. Side effects and interactions of oral antifungals.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5, page S11; Bickers DR. 1994.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31: S87-S90), 두통이나 메스꺼움과 같은 증상을 유발하기도 한다(Georgiou S, Monastirli A, Pasmatzi E, Zografakis C, Tsambaos D. 1997. Oral itraconazole therapy for pityriasis versicolor.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8: 203-207).
한편, 시판되는 비듬 방지용 샴푸나 로션에 주로 사용되는 성분은 셀레늄설파이드(selenium sulfide) 또는 징크피리치온(zinc pyrithion) 등이다.
비듬은 인간의 생명이 단축되거나 심각한 질병은 아니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주는 대상이다. 이러한 비듬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성분들이 계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나 생태계 친화적이고 환경과 인간에 무해하며, 비듬균의 수적인 감소를 가져올 수 있는 성분에 대한 연구결과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까지 비듬균 치료에 관하여 다양한 연구와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본 발명자는 여러 가지 화합물 또는 천연물로부터 항균물질을 분리하고자 다년간 연구하던중, 편백(Chamaecyparis obtusa) 나무에서 추출한 편백 오일이 항비듬균에 활성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비듬의 예방은 물론 개선도 가능한 화장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를 거듭한 결과, 편백오일이 비듬의 주원인균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항균 효능이 있고 이를 이용하여 비듬의 개선 및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편백 오일이 함유된 비듬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는 편백 오일을 함유하는 두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비듬균 억제 조성물에 있어서,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ale)의 생육을 억제하여 비듬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항 미생물 제재로 이용하는 편백 오일을 포함하는 두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편백 오일의 유효성분으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두발용 조성물은 샴푸, 린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헤어스타일링젤, 헤어토닉, 또는 비누제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편백 오일을 함유한 두발용 조성물은 비듬의 주원인균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항진균 활성이 있는 편백 오일을 사용하여 샴푸, 린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헤어스타일링젤, 헤어토닉, 또는 비누제 등의 두발용 조성물이 비듬을 치료하거나 예방에 효과가 있다.
또한, 비듬의 주 원인균인 피티로스포룸 오발레 (P.ovale)의 생육을 억제하는 편백 나무에서 추출한 편백 오일을 두발용 조성물에 사용함으로 기존의 항생제 사용으로 인한 내성이라는 인체의 부작용 유발을 억제할 수 있고, 안전한 비듬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편백 오일을 포함하는 두발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편백나무의 강한 향은 살균, 탈취, 피부미용, 혈액순환, 감기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삼림욕과 같은 효능을 내며, 피로회복과 건강 장수에 신비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장기간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편백 오일을 함유한 두발용 조성물은 샴푸, 린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헤어스타일링젤, 헤어토닉, 또는 비누제 등을 가지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비듬을 방지하는 물질을 검색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식물 추출물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여러가지 천연물 중에서 비듬균에 대한 항진균 작용이 강한 편백 오일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편백 오일이 비듬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이 매우 높아 항비듬두발용 조성물에 매우 효과적이다. 이에 본 발명은 비듬의 예방 및 치료 개선에 효과가 있는 편백 오일을 함유한 항비듬 두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두발용 조성물은 두발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샴푸, 린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헤어스타일링젤, 헤어토닉, 또는 비누제 등의 통상의 두발용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백 오일의 비듬균(P. ovale)에 대한 농도 의존적인 항비듬균 활성의 배양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백 오일의 비듬균(P. ovale)에 대한 농도 의존적인 항비듬균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은 비듬균(P. ovale)의 대조군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에 대한 항진균 활성의 배양사진이고, 도 4는 비듬균(P. ovale)의 대조군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5는 비듬균(P. ovale)의 대조군 케토코나졸(Ketoconazole) 2%가 함유된 헤어제품을 대상으로 농도 의존적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배양사진이고, 도 6은 비듬균(P. ovale)의 대조군 케토코나 졸(Ketoconazole) 2%가 함유된 헤어제품을 대상으로 농도 의존적 항진균 활성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기존의 항비듬제로 사용되었던 호르몬제, 항생제, 그리고 합성제제의 부작용과 내성등을 줄이고 무해한 천연물로 비듬 예방 및 개선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비듬의 주원인균인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대한 항균력을 테스트하였다.
본 발명의 편백 오일의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은 피티로스포룸 오발레 (Pityrosporum ovale KCTC 7546)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P.ovale는 한국생물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서 분양 받았으며, 제공된 배지조성으로 제조하여 배양하였다.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의 배지는 modified LNA로 그 조성은 맥아정 한천 (Malt Extract) 50.0 g, 글루코스 20 g, 폴리펩톤 1 g, bile salts 20.0 g, Tween 40 1%, glycerol 0.2%, agar 2%이고, 이를 증류수 1.0 ℓ에 녹여, 멸균하여 제조한 고체 배지에 비듬균을 접종하였다.
실시예 1
생육저해활성은 여지 확산법 (Paper disc diffusion method)으로 검정하였 다. 편백 오일, 또는 대조군을 녹여 5 ㎕을 직경 6 mm 여지에 처리하고, 5분간 후드 내에서 용매를 휘발시켰다. 처리된 각 여지를 피티로스포룸 오발레가 접종된 배지에 올려놓고 28℃에서 3일간 호기배양 한 후, 여지 주위에 형성된 생육저해환 (clear zone)의 크기를 보고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편백 오일의 경우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의 시험 균주에 대해 원액에서부터 에탄올로 1/5씩 희석한 농도 의존적으로 항진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1에 표시된 것과 같이 Chamaecyparis obtusa oil이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clear zone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clear zone 측정값을 표 1에 도시하였다.
[표 1]
편백 오일(ppm) 1 2 3 4 희석용액 비고
crude 200,000 40,000 8,000 에탄올 도2 참조
clear zone(mm) 22±3.6 13.3±1.2 12±2.6 9.3±0..6
-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대한 편백(Chamaecyparis obtusa) 오일의 항진균 활성에 대한 clear zone (생육저지환)측정결과
실시예 2
상기와 같은 실시예 1의 시험방법과 동일한 환경 조건으로 상기 편백 오일의 대조군으로 비듬의 주원인균에 활성을 갖는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및 케토코나졸(Ketoconazole)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실험하였다.
상기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은 클로로포름을 용매조건으로 실험하였고 케토코나졸(ketoconazole)은 케토코나졸 2%가 함유된 헤어제품을 희석하여 사용한 결과 첨부된 도 3 및 도 5와 같이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케토코나졸(ketoconazole)도 비듬의 주원인균인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대해 각각 항진균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2]
Itraconazole (ppm) 1 2 3 4 희석용액 비고
100,000 20,000 4,000 800 클로로포름 도4 참조
clear zone(mm) 17.3±2.1 17.3±2.1 17±1.7 15.7±3.1
-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대한 이트라코나졸의 항진균 활성에 대한 clear zone (생육저지환)측정결과
[표 3]
ketoconazole (ppm) 1 2 3 4 희석용액 비고
2,000 400 80 16 distilled H2O 도6 참조
clear zone(mm) 22.7±0.6 13.7±1.5 9.3±0.6 6±0
-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대한 케토코나졸 2%가 함유된 헤어제품을 대상으로 실시한 항진균 활성에 대한 clear zone (생육저지환)측정결과
즉, 상기의 실시예 2에 따르면, 편백 오일의 대조군으로 케토코나졸(ketoconazole)의 단점을 보완하여 합성된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의 경우와 비교하면 이트라코나졸보다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이트라코나졸은 4,000 ppm까지 거의 같거나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800 ppm이하부터 활성이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클로로포름은 항진균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전체적으로 고른 활성을 나타내는 농도 비의존적인 항진균활성을 보였다.
[표 4]
편백오일 (ppm) 1 2 3 4 희석용액 비고
crude 200,000 40,000 8,000 에탄올 도2 참조
clear zone(mm) 22±3.6 13.3±1.2 12±2.6 9.3±0..6
Itraconazole (ppm) 1 2 3 4 희석용액 비고
100,000 20,000 4,000 800 클로로포름 도4 참조
clear zone(mm) 17.3±2.1 17.3±2.1 17±1.7 15.7±3.1
ketoconazole (ppm) 1 2 3 4 희석용액 비고
2,000 400 80 16 distilled H2O 도6 참조
clear zone(mm) 22.7±0.6 13.7±1.5 9.3±0.6 6±0
결과적으로, 상기의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백 오일를 가지고 실행한 비듬의 원인 균주(P.ovale)의 항진균 활성에서 대조군으로 사용한 케토코나졸(ketoconazole) 2%가 함유된 헤어제품,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과 비교하여 비듬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이 있음을 결과에서 살펴볼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비듬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항균제로서 케토코나졸은 전풍(pityriasis versicolor)이나 비듬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국내에서도 비듬 치료제의 유효성분으로 케토코나졸이 사용되고 있으나, 케토코나졸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내분비계에 역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고, 케토코나졸에 비해 보다 인체에 안전한 항균제로 알려진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유도체는 인간과 관련된 많은 병원성 곰팡이류들에 대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고, 케라틴성 조직에 대해 높은 친화력을 보이는 특성을 가진다
이트라코나졸은 에르고스테롤 (ergosterol) 합성을 저해하고, 막에 결합된 효소의 기능과 막 투과성의 이상을 초래하는 진균의 산화효소계인 P450에 결합하는 기전으로 작용하며, 이트라코나졸을 혼합제로 하여 투약은 간세포에 독성과 면역체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한 약제의 효율성이나 역효과를 가중시킬 수 있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두통이나 메스꺼움과 같은 증상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편백 오일은 케토코나졸(ketoconazole) 2%가 함유된 헤어제품의 실험대상 또는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보다 낮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지만,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오일로서 기존의 항생제 사용으로 인한 내성이라는 인체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고 안전하다는 점에서 비듬 치료제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편백 오일은 비듬의 주 발생지인 모발에 적용할 수 있는 샴푸, 린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헤어스타일링젤, 헤어토닉, 또는 비누제의 혼합물로 본 발명에 따른 편백 오일을 포함하는 두발용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는데, 이는 통상 의 비듬방지 두발용 조성물의 구성에 편백 오일을 0.1% 내지 20% 중량비로 구성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통상의 샴푸, 린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헤어스타일링젤, 헤어토닉, 비누제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두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비누
본 발명의 편백 오일을 함유하는 비듬의 치료 및 예방용 비누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5에 기재된 것처럼 통상적인 비누 제조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표 5]
배합성분 함량(중량%)
편백 오일 0.1 ~ 20%
정제수 2 %
트리콜린산 2 %
미네랄오일 1 %
폴리에틸렌글리콜 0.5 %
향료 0.1 %
트리브롬살란 0.1 %
헥사클로로펜 0.1 %
에틸렌디아민아세테이트산 0.1 %
이산화티탄 0.1 %
비누베이스 up to 100 %
합계 100
제형예 2. 에어로졸 스프레이
본 발명의 편백 오일을 함유하는 비듬의 치료 및 예방용 에어로졸 스프레이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6에 기재된 것처럼 통상적인 에어로졸 스프레이 제조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표 6]
배합성분 함량(중량%)
편백 오일 0.1 ~ 20%
정제수 20.0%
계면활성제 0.1% 이상
알칼리금속벤조에이트 0.01% 이상
탄화수소가스추진제 up to 100%
합 계 100
제형제 3. 샴푸
본 발명의 편백 오일을 포함하는 비듬의 치료 및 예방용 샴푸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7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샴푸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표 7]
성분 함량(중량%)
편백 오일 0.1 ~ 20 %
라우링황산나트륨액 20.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액 15.0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5.0
폴리쿼터늄 0.3
프로필렌글리콜 2.0
피록톤올아민 0.5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
조합향 적량
구연산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헤어컨디셔너
본 발명의 편백 오일을 포함하는 비듬의 치료 및 예방용 헤어컨디셔너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8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헤어컨디셔너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표 8]
성분 함량(중량%)
편백 오일 0.1 ~ 20 %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7.0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4.0
세토스테아릴아콜 3.5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일에테르 1.0
유동파라핀 2.0
프로필렌글리콜 1,5
조합향 적량
구연산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5. 헤어스타일링젤
본 발명의 편백 오일을 포함하는 비듬의 치료 및 예방용 헤어스타일링젤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9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표 9]
성분 함량(중량%)
편백 오일 0.1 ~ 2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6
트리에탄올아민 0.65
폴리비닐피롤리돈 2.0
프로필렌글리돈 2.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디나트륨 0.1
벤조페논 0.05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5
조합향 적향
에탄올 2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6. 헤어토닉
본 발명의 편백 오일을 포함하는비듬의 치료 및 예방용 헤어토닉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10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표 10]
성분 함량(중량%)
편백 오일 0.1 ~ 20 %
ℓ-멘톨 0.1
D-판테놀 0.6
살리실산 0.05
글리세린 1.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8
초산토코페롤 0.03
조합향 적량
에탄올 30.0
정제수 To 100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백 오일의 비듬균(P. ovale)에 대한 농도 의존적인 항비듬균 활성을 나타내는 배양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백 오일의 비듬균(P. ovale)에 대한 농도 의존적인 항비듬균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비듬균(P. ovale)의 대조군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배양사진
도 4는 비듬균(P. ovale)의 대조군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비듬균(P. ovale)의 대조군 케토코나졸(Ketoconazole) 2%가 함유된 헤어제품을 대상으로 농도 의존적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배양사진
도 6은 비듬균(P. ovale)의 대조군 케토코나졸(Ketoconazole) 2%가 함유된 헤어제품을 대상으로 농도 의존적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Claims (3)

  1. 비듬균 억제 조성물에 있어서,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의 생육을 억제하여 비듬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항 미생물 제재로 이용하는 편백 오일을 포함하는 두발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백 오일의 유효성분으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 오일을 포함하는 두발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발용 조성물은 샴푸, 린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헤어스타일링젤, 헤어토닉, 또는 비누제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 오일을 포함하는 두발용 조성물.
KR1020070105121A 2007-10-18 2007-10-18 편백 오일를 함유한 비듬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039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121A KR20090039458A (ko) 2007-10-18 2007-10-18 편백 오일를 함유한 비듬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121A KR20090039458A (ko) 2007-10-18 2007-10-18 편백 오일를 함유한 비듬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458A true KR20090039458A (ko) 2009-04-22

Family

ID=4076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121A KR20090039458A (ko) 2007-10-18 2007-10-18 편백 오일를 함유한 비듬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94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560B1 (ko) * 2022-09-20 2023-03-03 애경산업(주) 피부외용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560B1 (ko) * 2022-09-20 2023-03-03 애경산업(주) 피부외용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21993A (ja) 相乗的な抗真菌組成物及びその方法
EP3648732B1 (en) Topical compositions
CN109846773A (zh) 一种可抑制脂溢性脱发的头皮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0350256B2 (e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dermatological conditions, disorders or diseases
KR20070079497A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69512A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87683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진균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백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46356B1 (ko) 파래 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JP6951592B2 (ja) 皮膚感染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CN115429738B (zh) 一种祛痘修护焕活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1638664B1 (ko) 5-아미노레불린산을 포함하는 피부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20080267899A1 (en) Plant extract composition for hair growth
WO2015057110A2 (en) Cosmetic for rapid skin regeneration
KR20090039458A (ko) 편백 오일를 함유한 비듬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H03112912A (ja) 化粧料組成物
KR20130079683A (ko) 폴리라이신 및 아연 피리치온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US11324680B2 (en) Topical compositions
JP2001322990A (ja) 活性酸素消去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活性酸素消去用の組成物
EP0771187A1 (fr) Nouveau produit de combinaison comprenant un agent antifongique et du crotamiton comme potentialisateur de l'activite de l'agent antifongique, et compositions dermatologiques et/ou cosmetiques le comprenant
KR20090039267A (ko) 나한백 오일을 함유한 비듬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52204B1 (ko) 산호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JP7361448B2 (ja) 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発現促進剤
KR20200063798A (ko) 퀘르세틴, 제니스테인 및 알파리포산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19007791A1 (en) TOPICAL COMPOSITIONS
KR20130079684A (ko)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