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813A -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813A
KR20090035813A KR1020070100811A KR20070100811A KR20090035813A KR 20090035813 A KR20090035813 A KR 20090035813A KR 1020070100811 A KR1020070100811 A KR 1020070100811A KR 20070100811 A KR20070100811 A KR 20070100811A KR 20090035813 A KR20090035813 A KR 20090035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patter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lush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1385B1 (ko
Inventor
박윤태
박태근
Original Assignee
(주) 비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비앤비 filed Critical (주) 비앤비
Priority to KR1020070100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385B1/ko
Publication of KR20090035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weld-bond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bond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587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s us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로 되는 웹적층물을 패턴침으로 니들펀칭한 패턴견면인 제 1 견면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로 되는 웹적층물을 펠팅침으로 니들펀칭한 견면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이루어진 열융착견면인 제 2 견면의 표면에 결합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가 제공되며, 본 섬유판재는 표면재로서 직포나 부직포를 사용하는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와는 달리 패턴견면이 표면재기능을 하기 때문에 불균일한 벽면에 시공하여도 내장벽재간의 이음새가 매끄럽게 마감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통기성이 우수하며, 흡음성능이 우수한 등의 장점이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판재, 니들펀칭, 패턴침. 견면

Description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및 그 제조방법{Flame-retarded polyester fiber board and menthod for producing it}
본 발명은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로 되는 패턴견면이 표면에 적층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를 내장벽재로 사용하기 위해서 판재의 표면에 직포나 부직포를 접착하고 있으나, 이러한 내장벽재는 시공하는 벽면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 벽재들 사이의 이음새가 고르지 않아 시공이 곤란한 단점이 있고, 표면에 접착된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인하여 통기성이 약화되고 그 결과 흡음성능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고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혼합섬유를 카딩하여 웹을 형성하고, 이 웹을 크로스 레이어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웹적층물을 형성한 후,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열처리하고 가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폴 리에스테르 섬유판재는 보온성, 단열성, 충격흡수성, 탄성 등 건축내장재로서 매우 적합한 것이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사용으로 인하여 화재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포나 부직포와 같은 표면재를 사용하는 대신에 고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되는 패턴견면을 표면재로 사용하여 난연성과 흡음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고융점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사용으로 난연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로 되는 웹적층물을 패턴침으로 니들펀칭한 패턴견면인 제 1 견면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로 되는 웹적층물을 펠팅침으로 니들펀칭한 견면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이루어진 열융착견면 또는 제 2 견면의 표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견면과 제 2 견면의 결합이 열융착에 의한 결합, 니들펀칭에 의한 결합 또는 접착제에 의한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의 하나로서,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 웹을 적층하여 펠팅침으로 니들펀칭한 후 패턴침으로 니들펀칭하여 패턴 견면을 제조하는 단계,
(b) 단계 a와는 별도의 공정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로 웹적층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의 패턴견면을 상기 단계 b의 웹적층물의 표면에 적층한 상태에서 펠팅침으로 니들펀칭하여 펠팅침에 의한 니들펀칭견면의 표면에 패턴견면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의 하나로서,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 웹을 적층하여 펠팅침으로 니들펀칭한 후 패턴침으로 니들펀칭하여 패턴 견면을 제조하는 단계,
(b') 단계 a와는 별도의 공정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 웹을 적 층하여 펠팅침으로 니들펀칭하여 견면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의 패턴견면을 상기 단계 b의 견면의 표면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의 하나로서,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 웹을 적층하여 펠팅침으로 니들펀칭한 후 패턴침으로 니들펀칭하여 패턴 견면을 제조하는 단계,
(b") 단계 a와는 별도의 공정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되는 열융착견면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의 패턴견면을 상기 단계 b의 열융착견면의 표면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판재는 내장벽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외관을 가지며 불균일한 벽면에 시공하여도 벽재간의 이음새가 매끄럽게 마감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통기성이 우수하고 그 결과 흡음성능이 우수하며, 난연성이 한 우수한 등의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로 되는 웹적층물을 패턴침으로 니들펀칭한 패턴견면인 제 1 견면(1)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로 되는 웹적층물을 펠팅침으로 니들펀칭한 견면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이루어진 열융착견면인 제 2 견면(2)의 표면에 결합된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판재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로는 폴리에스테르 열융착견면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제 2 견면으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만으로 되는 웹적층물을 펠팅침으로 니들펀칭 견면이며, 이러한 니들펀칭견면을 제 2 견면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난연성이 보다 우수한 섬유판재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니들펀칭의 원리는 니들펀칭기에서 웹의 표면에 대해 수직, 경사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니들(침)의 상하운동 효과에 의해 섬유웹을 상호결합시키는 것에 기본을 두고 있다. 니들펀칭에 사용되는 침은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과 침의 기능 및 디자인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섬유웹의 전면적에 걸쳐 균일한 섬유결합을 부여하는 펠팅침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파일형, 코드형, 벨로아형 등의 패턴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패턴침(예: Large barb needle, Fork blade needle, SH needle 등)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패턴견면인 제 1 견면(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 웹을 적층하여 펠팅침으로 니들펀칭한 후 패턴침으로 니들펀칭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섬유판재에서 제 1 견면(1)과 제 2 견면(2)의 결합에는 열융착, 니들펀칭, 접착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 2 견면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되는 열융착견면인 경우에는 열융착이나 접착제에 의한 결합을 이용할 수 있고, 제 2 견면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로 되는 니들펀칭견면인 경우에는 니들펀칭이나 접착제에 의한 결합을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 1 견면과 제 2 견면을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접착제로서 내열성이 우수한 무기계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접착방법은 제 1 견면과 제 2 견면중 어느 하나의 견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결합시키는 방법, 또는 양자를 니들펀칭이나 열융착에 의해 적층하거나 또는 양자를 단순히 겹친상태에서 접착제를 도포하여 결합시키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기계 접착제로 특히 바람직한 것은 대한민국 특허 제10-0655259호로 등록된 것으로 액상의 규산소다(물유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용성 접착제이다. 상기 접착제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방출이 없고 불에 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해가스의 방출도 없는 친환경적인 접착제로서, (1) 수산화 알루미늄분말 32 ~ 38wt%, 산화구리분말 3wt%, 산화아연분말 20 ~ 25wt%, 액상의 규산소다 41 ~ 30wt% 및 액상의 메칠 셀룰로즈 4wt%로 되는 혼합물과,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8~9배의 규산소다를 함유하는 기본재료로 되는 것, 또는 (2) 상기 기본재료와 상기 기본재료 의 중량에 대하여 2배의 황토, 모래, 옥, 일라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천연 무기질 재료의 분말을 함유하는 것이며, 상기 1의 무기계 접착제는 예를 들어 수산화 알루미늄분말 32 ~ 38wt%와 산화구리분말 3wt%와 산화아연분말 20 ~ 5wt%와 액상의 규산소다 41 ~ 30wt%에 액상의 메칠 셀룰로즈 4wt%를 첨가하여 1000rpm정도의 속도로 충분히 교반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규산소다를 중량비로 8 내지 9배 첨가하여 1000rpm 내외의 속도로 1 시간 내외의 시간동안 재차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고, 상기 2의 무기계 접착제는 상기한 기본재료에 상기 기본재료의 중량에 대하여 2배의 황토, 모래, 옥, 일라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천연 무기질 재료의 분말을 첨가하고 1000rpm의 속도로 30 내외의 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도 2는 제 1 견면(1)과 제 2 견면(2)을 적층한 상태에서 접착제를 분무나 침지 등의 방법으로 도포한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난연성 폴리에티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판재의 제조방법중 패턴견면 제조과정의 일 예를 보여주는 장치도이다. 도시되는 장치에서 원료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는 터보피더(11), 호퍼피더(12) 및 카딩기(13)를 거쳐 웹상태로 성형되고, 성형된 웹은 크로스레이어(14)에서 적층되며, 이와 같이 적층된 웹적층물은 프리펀칭기(15)의 프리펀칭된 후 펠팅침을 사용하는 펀칭기(16)에서 니들펀칭되고, 이어서 패턴침이 사용된 패턴펀칭기(17)에서 패턴펀칭되어 패턴견면(1)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패턴견면은 건조 등과 같은 통상의 마감공정을 거쳐 롤 상태로 권취하여 제 2 견면과의 결합과정에 사용하게 된다.
도 4는 패턴견면인 제 1 견면(1)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니들펀칭견면으로 되는 제 2 견면(2)의 표면에 결합되는 공정의 일 예를 보여주는 장치도이다. 도시되는 장치에서 원료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는 터보피더(11), 호퍼피더(12) 및 카딩기(13)을 거쳐 웹상태로 성형되고, 성형된 웹은 크로스레이어(14)에서 적층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웹적층물은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장치에서 제조하여 얻은 패턴견면 권취롤에서 공급되는 패턴견면과 겹친 상태에서 프리펀칭기(15)에 공급되고, 여기서 사전펀칭된 후 펠팅침을 사용하는 펀칭기(16)에서 니들펀칭된다. 이와 같이 하면 웹적층물은 니들펀칭견면이 되고, 이 니들펀칭견면과 패턴견면은 니들펀칭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이와는 달리, 프리펀칭기에 패턴견면을 공급하지 않고, 웹적층물을 니들펀칭하여 견면을 제조하고나서, 이를 패턴견면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에는 열융착이나 접착제에 의한 결합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제 1 견면과 제 2 견면의 결합체는 건조기(19)에서 건조하고 절단기(20)에서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섬유판재로 사용하거나 또는 난연성과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건조하기 전에 도포기(18)에서 무기계 접착제액를 도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구현에 따르는 섬유판재의 적층구조를 예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구현에 따르는 섬유판재의 적층구조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섬유판재 제조과정중 패턴견면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장치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구현에 따라 패턴침으로 니들펀칭된 견면과 펠팅침으로 니들펀칭된 견면을 적층시켜 섬유판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장치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견면 2 : 제 2 견면
11 : 터보피더 12 : 호퍼피더
13 : 카딩기 14 : 크로스레이어
15 : 프리펀칭기 16 : 펀칭기
17 : 패턴펀칭기 18 : 도포기
19 : 건조기 20 : 절단기

Claims (6)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로 되는 웹적층물을 패턴침으로 니들펀칭한 패턴견면인 제 1 견면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로 되는 웹적층물을 펠팅침으로 니들펀칭한 견면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이루어진 열융착견면 또는 제 2 견면의 표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견면과 제 2 견면의 결합이 열융착에 의한 결합, 니들펀칭에 의한 결합 또는 접착제에 의한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1) 수산화 알루미늄분말 32 ~ 38wt%, 산화구리분말 3wt%, 산화아연분말 20 ~ 25wt%, 액상의 규산소다 41 ~ 30wt% 및 액상의 메칠 셀룰로즈 4wt%로 되는 혼합물과,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8~9배의 규산소다를 함유하는 기본재료로 되는 것, 또는 (2) 상기 기본재료와 상기 기본재료의 중량에 대하여 2배의 황토, 모래, 옥, 일라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천연 무기질 재료의 분말을 함유하는 무기계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 리에스테르 섬유판재.
  4.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 웹을 적층하여 펠팅침으로 니들펀칭한 후 패턴침으로 니들펀칭하여 패턴 견면을 제조하는 단계,
    (b) 단계 a와는 별도의 공정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로 웹적층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의 패턴견면을 상기 단계 b의 웹적층물의 표면에 적층한 상태에서 펠팅침으로 니들펀칭하여 펠팅침에 의한 니들펀칭견면의 표면에 패턴견면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의 제조방법.
  5.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 웹을 적층하여 펠팅침으로 니들펀칭한 후 패턴침으로 니들펀칭하여 패턴 견면을 제조하는 단계,
    (b') 단계 a와는 별도의 공정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 웹을 적층하여 펠팅침으로 니들펀칭하여 견면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의 패턴견면을 상기 단계 b의 견면의 표면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의 제조방법.
  6.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 웹을 적층하여 펠팅침으로 니들펀칭한 후 패턴침으로 니들펀칭하여 패턴 견면을 제조하는 단계,
    (b") 단계 a와는 별도의 공정에서 고융점 폴리에스테르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되는 웹적층물을 열융착하여 견면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의 패턴견면을 상기 단계 b의 열융착견면의 표면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판재의 제조방법.
KR1020070100811A 2007-10-08 2007-10-08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21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811A KR100921385B1 (ko) 2007-10-08 2007-10-08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811A KR100921385B1 (ko) 2007-10-08 2007-10-08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601A Division KR20090076865A (ko) 2009-06-16 2009-06-16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813A true KR20090035813A (ko) 2009-04-13
KR100921385B1 KR100921385B1 (ko) 2009-10-14

Family

ID=40760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811A KR100921385B1 (ko) 2007-10-08 2007-10-08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3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66Y1 (ko) * 2009-07-01 2010-02-05 (주) 비앤비 건축용 내장판넬
KR101501385B1 (ko) * 2013-11-01 2015-03-10 최정회 흡차음 및 방염성을 갖는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6007B1 (ko) * 2014-05-21 2015-04-07 길신영 충전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7927A (zh) * 2011-10-27 2012-02-22 昆山吉美川纤维科技有限公司 聚酯纤维植物纤维板制备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305831A (pt) * 1992-02-03 1997-02-18 Minnesota Mining & Mfg Material não-tecido em folha fita adesiva sensivel a pressão e processo de producão de um material nao-tecido em folha
JPH1060763A (ja) * 1995-07-13 1998-03-03 Bridgestone Corp 繊維積層成形体
KR200419439Y1 (ko) * 2006-03-10 2006-06-20 (주) 비앤비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66Y1 (ko) * 2009-07-01 2010-02-05 (주) 비앤비 건축용 내장판넬
KR101501385B1 (ko) * 2013-11-01 2015-03-10 최정회 흡차음 및 방염성을 갖는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6007B1 (ko) * 2014-05-21 2015-04-07 길신영 충전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385B1 (ko) 200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19783A1 (ja) 吸音材
WO2007091770A1 (en) Sheet paper for interior use and preparing mehtod thereof
KR100921385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및 그 제조방법
JP4574262B2 (ja) 吸音性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2011084855A (ja) 熱接着性不織布、吸音性繊維シートおよび吸音材料
JP4361202B2 (ja) メルトブローン不織布を含む吸音材
JP6665467B2 (ja) 難燃性吸音材
JP5208861B2 (ja) 吸音性積層材および吸音性積層材成形物
KR100693075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KR20090076865A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KR100939960B1 (ko) 열수축방지 패턴견면의 제조방법
JP2019086551A (ja) 吸音材
JP2009078375A (ja) 表皮材用基材、表皮材及び成形体
JP6235773B2 (ja) 吸音材用複合不織布
JP2006138935A (ja) 耐熱性吸音材
JP2000199194A (ja) 加熱膨張型無機質繊維フェルト
KR20090008342U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KR20150056218A (ko) 불연성 로이단열재
KR101011648B1 (ko) 지지력이 보강된 섬유판재
CN104943290A (zh) 一种静电植绒式高弹吸音阻燃熔喷非织造布及其制造方法
CN102741046B (zh) 高镂空度的非纺织的薄片材料及其构造方法
KR102440728B1 (ko) 천연섬유를 이용한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JP3186731U (ja) 複合吸音材
KR200419439Y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KR20060111243A (ko) 이중구조를 갖는 흡음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