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385B1 - 흡차음 및 방염성을 갖는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흡차음 및 방염성을 갖는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385B1
KR101501385B1 KR20130132323A KR20130132323A KR101501385B1 KR 101501385 B1 KR101501385 B1 KR 101501385B1 KR 20130132323 A KR20130132323 A KR 20130132323A KR 20130132323 A KR20130132323 A KR 20130132323A KR 101501385 B1 KR101501385 B1 KR 101501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needle punching
melting point
melting
punch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2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회
Original Assignee
최정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회 filed Critical 최정회
Priority to KR20130132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weld-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섬유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단열특성, 충격흡수력 및 진동흡수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방염성 및 층간박리에 대한 저항성과 표면평활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하고, 전체에 걸쳐 물성이 균일하며, 특히 향상된 흡차음성 및 방염성을 갖는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고융점 크레이프가공 폴리에스터 단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단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웹 적층재에 아라미드 섬유, 탄소섬유, 일라이트 섬유중 어느 하나가 더 포함시켜 니들펀칭하여 단위 니들펀칭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위 니들펀칭재를 2개 이상 적층하고 니들펀칭하여 합지 니들펀칭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합지 니들펀칭재를 상기 고융점 섬유의 융점보다 낮고 상기 저융점 섬유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된 열프레스 롤러를 통과시키는 1차 가열단계 상기 1차 가열된 합지 니들펀칭재를 텐터링한 상태에서 상기 고융점 섬유의 융점보다 낮고 상기 저융점 섬유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된 건조기를 통과시키는 2차 가열단계 및 상기 2차 가열된 합지 니들펀칭재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흡차음 및 방염성을 갖는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Polyester fiber panel having sound absorption and flame-retardant and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섬유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단열특성, 충격흡수력 및 진동흡수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방염성 및 층간박리에 대한 저항성과 표면평활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하고, 전체에 걸쳐 물성이 균일하며, 특히 향상된 흡차음성 및 방염성을 갖는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내외장재, 칸막이용 보드 등으로는 주로 암면, 석고보도, 유리섬유,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제로 압축목재가 접착된 구조로 되어 있는 하드보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패널들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환경공해를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유기고분자섬유를 압착한 섬유패널이 개발되어 건축용내외장재, 칸막이용 보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 섬유패널의 제조방법으로는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점이 서로 다른 저융점 단섬유와 고융점 단섬유를 개섬수단(10)을 이용하여 새털 같은 원사로 개섬하고 개섬된 섬유를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카딩수단(20)을 이용하여 첨부도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웹을 형성한다.
상기 카딩수단(20)에 의하여 형성된 웹을 이송벨트 상에 골고루 펼쳐지게 깔고 일정한 두께를 형성하도록 웹적층수단(30)을 이용하여 웹을 첨부도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회 적층하여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적층물을 형성시킨다.
상기 웹적층수단(30)에 의하여 일정한 높이로 적층되어 형성된 웹적층물을 이송벨트로 이송하면서 가열/압착수단(40)을 경유시 웹적층물이 가열과 동시에 압착되어 일정한 두께, 예컨대 100mm로 적층된 웹적층물을 5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고 니들펀칭수단(50)을 이용하여 니들펀칭하여 고경도의 폴리에스터 섬유패널을 제조한다.
상기 종래의 고경도 폴리에스터 섬유패널을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해서 고융점 폴리에스터 단섬유와 저융점 단섬유를 카딩하여 웹을 형성하고 이 웹을 복수로 적층하여 니들펀칭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기존의 방법으로 제조한 니들펀칭 섬유패널은 층간이 박리되기 쉽고 표면평활성이 불량하며 국부적으로 물성편차가 심하고, 흡차음과 방염성이 충분하지 못하여 고품질을 요구하는 자동차용 내장재나 인테리어용 내장재로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흡차음 특성, 단열특성, 충격 흡수력 및 진동 흡수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방염성, 층간박리에 대한 저항성, 표면 평활성 및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흡차음 및 방염성을 갖는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 니들펀칭재를 적층시켜 니들펀칭하여 합지한 합지 니들펀칭재를 상기 고융점 섬유의 융점보다 낮고 상기 저융점 섬유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된 열프레스 롤러를 통과시키는 1차 가열단계를 수행하게 되면 표면에 안료를 이용한 색채를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인쇄도 가능한 이점을 갖는 흡차음 및 방염성을 갖는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융점 크레이프가공 폴리에스터 단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단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웹 적층재에 아라미드 섬유, 탄소섬유, 일라이트 섬유중 어느 하나가 더 포함시켜 니들펀칭하여 단위 니들펀칭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위 니들펀칭재를 2개 이상 적층하고 니들펀칭하여 합지 니들펀칭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합지 니들펀칭재를 상기 고융점 섬유의 융점보다 낮고 상기 저융점 섬유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된 열프레스 롤러를 통과시키는 1차 가열단계 상기 1차 가열된 합지 니들펀칭재를 텐터링한 상태에서 상기 고융점 섬유의 융점보다 낮고 상기 저융점 섬유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된 건조기를 통과시키는 2차 가열단계 및 상기 2차 가열된 합지 니들펀칭재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흡차음 및 방염성을 갖는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표면층이 되는 단위 니들펀칭재를 구성하는 고융점 크레이프가공 폴리에스터 단섬유가 이면층이 되는 단위 니들펀칭재를 구성하는 고융점 크레이프가공 폴리에스터 단섬유보다 고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 및 방염성을 갖는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이면층이 되는 단위 니들펀칭재를 구성하는 고융점 크레이프가공 폴리에스터 단섬유가 4 데니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 및 방염섬을 갖는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흡차음 특성, 단열특성, 충격 흡수력 및 진동 흡수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층간 박리에 대한 저항성, 표면 평활성 및 형태 안정성이 우수하며, 특히 전제에 걸쳐 물성이 균일한 고 경도의 친환경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별도의 방염 가공 또는 처리 없이 폴리에스터 섬유만으로 방염특성이 우수한 섬유패널의 제조가 가능하며,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패널은 높은 흡차음성과 방염성을 요구하는 자동차용 내장재나 인테리어용 내장재 등으로 매우 유용하다.
둘째, 단위 니들펀칭재를 적층시켜 니들펀칭하여 합지한 합지 니들펀칭재를 상기 고융점 섬유의 융점보다 낮고 상기 저융점 섬유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된 열프레스 롤러를 통과시키는 1차 가열단계를 수행하게 되면 표면에 안료를 이용한 색채 및 무늬를 갖도록 할 수 있어 미관이 미려한 이점 등이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섬유패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공정예시도.
도 2a는 일반적인 섬유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카딩수단에 의해 카딩되어 웹을 제조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2b는 도 2a에 의해 제조된 웹을 적층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도 2c는 도 2b의 웹을 적층하여 형성된 웹적층물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섬유패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첨부도면 도 1에서와 같이 융점이 서로 다른 저융점 단섬유와 고융점 단섬유를 개섬수단(10)을 이용하여 새털 같은 원사로 개섬하고 개섬된 섬유를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카딩수단(20)을 이용하여 웹을 형성한다.
상기 카딩수단(20)에 의하여 형성된 웹을 이송벨트 상에 골고루 펼쳐지게 깔고 일정한 두께를 형성하도록 웹적층수단(30)을 이용하여 웹을 수회 적층하여 웹적층물을 형성시킨다.
상기 웹적층수단(30)에 의하여 일정한 높이로 적층되어 형성된 웹적층물을 이송벨트로 이송하면서 가열/압착수단(40)을 경유시 웹적층물이 가열과 동시에 압착되어 일정한 두께 예컨대 100mm로 적층된 웹적층물을 5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고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펀칭수단(50)을 이용하여 니들펀칭하여 단위 니들펀칭재(100)를 제조하는 단위 니들펀칭재 제조단계(S100)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단위 니들펀칭재(100)가 생산되면 상기 단위 니들펀칭재(100)를 2층 이상으로 적층시켜 니들펀칭수단(50)을 이용하여 니들펀칭하여 단위 니들펀칭재(100)들을 합지시켜 하나의 합지 니들펀칭재(200)를 형성시키는 합지 니들펀칭재 제조단계(S200)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합지 니들펀칭재 제조단계(S200)에 의해 제조된 합지 니들펀칭재(200)는 1차 가열단계(S300); 2차 가열단계(S400); 및 냉각단계(S500)를 경유하여 제조된다.
상기 고융점 단섬유로는 고융점 폴리에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융점 폴리에스터의 예로는 지방족 디올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중합생성물 등이 있다. 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또는 1,4-부탄디올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 테레프탈산(TPA), 디메틸-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NDC) 또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NDA)의 중합생성물이 있다.
상기 저융점 단섬유로는 저융점 폴리에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융점 폴리에스터의 예로는 지방족 디올과 탄소수 4 이상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중합 생성물; 지방족 디올, 단소수 4 이상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공중합 생성물 등이 있다.
고융점 섬유와 저융점 섬유의 혼합에서 고융점 섬유의 비율은 40~90중량%, 바람직하게 45~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50~70중량%이다. 고융점 섬유의 비율이 높을 수록 미세기공층이 많이 형성되어 흡음성 및 단열성이 높아지나 강도 및 경도는 저하되므로 양자의 밸런스를 감안하여 적의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융점 섬유와 저융점 섬유는 그 섬도가 서로 같거나 또는 다른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여러 가지 섬도의 것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섬도 범위는 2~30 데니어가 적당하다. 또한 단위 니들펀칭재(100)에서 고융점 섬유와 저융점 섬유의 혼합비도 같게 하거나 또는 다르게 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패널에서 표면층이 될 단위 니들펀칭재(100)를 구성하는 고융점 크레이프가공 폴리에스터 단섬유는 이면층이 될 단위 니들펀칭재를 구성하는 고융점 크레이프가공 폴리에스터 단섬유보다 고 데니어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택하면 표면층에서 주된 흡음이 이루어지고 이면층에서 차음이 이루어져 향상된 흡차음 특성을 갖는 패널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특별히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지만, 이면층이 될 단위 니들펀칭재를 구성하는 고융점 크레이프가공 폴리에스터 단섬유는 4 데니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층이 될 단위 니들펀칭재를 구성하는 고융점 크레이프가공 폴리에스터 단섬유는 4~30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지 니들펀칭재 제조 단계(S200)에서는 단위 니들펀칭재(100)를 2개 이상 적층하고 니들펀칭하여 합지한다. 이때 각각의 단위 니들펀칭재(100)는 소망하는 특성에 따라 서로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단위 니들펀칭재(100)는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와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성능 개질을 위한 물질을 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난연성 개질을 위하여 난연성이 우수한 아라미드 섬유, 탄소 섬유, 난연제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더불어 탈취, 축열, 향균 및 난열 성능이 우수한 일라이트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1차 가열단계(S300)에서는 상기 합지 니들펀칭재(200)를 상기 고융점 섬유의 융점보다 낮고 상기 저융점 섬유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된 열프레스 롤러를 연속적으로 통과시킨다.
이 과정을 거치면 저융점 섬유가 융융되어 고융점 섬유들을 결합시킨다. 섬유 웹을 구성하는 소재의 종류에 따라 변화시길 수 있는 것이므로 특별히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나,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기준으로 할 때 1차 가열온도는 200~300℃의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지만 1차 가열온도는 200~250℃의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1차 가열단계(S300)를 수행하면서 합지 니들펀칭재(200)의 양 표면에는 내측부에 적층 형성된 섬유들보다 강도를 갖는 표면층(210)이 형성된다.
상기 표면층(210)은 열프레스 롤러를 통과되면서 형성되기 때문에 표면 정리가 이루어져 있는 상태로 표면에 안료를 이용한 색채 및 무늬를 갖도록 할 수 있어 미관이 미려한 이점 등을 갖게 된다.
다음, 상기 2차 가열단계(S400)에서는 텐터 건조기에서 1차 가열된 합지 니들펀칭재를 다시 한번 더 가열한다. 이러한 2차 가열단계(S400)에서는 1차 가열에서 단위 니들펀칭재(100)의 내부에서 충분하게 용융되지 않은 저융점 섬유가 완전 용융되어 고융점 섬유 간의 결합력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된다.
또한 상기 2차 가열단계(S400)는 텐터링한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에 의해 열 수축으로 인한 주름발생이 방지되고 패널 전체에 걸쳐 물성이 균일하게 된다. 섬유 웹을 구성하는 소재의 종류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특별히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나,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고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기준으로 할 때 2차 가열온도는 1차 가열온도보다 낮은 170~200℃의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및 2차 가열이 완료된 합지 니들펀칭재(200)는 냉각단계(S500)에 의하여 냉각되어 제품화할 수 있으면, 소비자의 요구에 따른 무늬를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형성하여 제품화할 수도 있다.
상기 냉각된 합지 니들펀칭재(200)를 상기 고융점 섬유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비접촉식 가열한 후 엠보싱 롤을 통과시켜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형성단계(S600)를 더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늬형성단계(S600)가 가능한 이유는 표면층(210)이 열프레스 롤러를 통과하면서 강도를 갖는 층으로 표면 정리가 이루어져 표면에 안료를 이용한 색채 및 무늬를 갖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엠보싱 롤을 통과시켜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형성단계(S600)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무늬형성에는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섬유패널의 특성상 다음에 설명되는 무늬 형성 방법을 이용하면 제품의 부가가치를 일층 향상시킬 수 있어 효과적이다.
10 : 개섬수단 20 : 카딩수단
30 : 웹적층수단 40 : 가열/압착수단
50 : 니들펀칭수단
100 : 니들펀칭재 200 : 니들펀칭재
210 : 표면층
S100 : 니들펀칭재 제조단계 S200 : 니들펀칭재 제조단계
S300 : 1차 가열단계 S400 : 2차 가열단계
S500 : 냉각단계 S600 : 무늬형성단계

Claims (8)

  1. 고융점 크레이프가공 폴리에스터 단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단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웹 적층재에 아라미드 섬유, 탄소섬유, 일라이트 섬유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시켜 니들펀칭하여 단위 니들펀칭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위 니들펀칭재를 2개 이상 적층하고 니들펀칭하여 합지 니들펀칭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합지 니들펀칭재를 상기 고융점 섬유의 융점보다 낮고 상기 저융점 섬유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된 열프레스 롤러를 통과시키는 1차 가열단계;
    상기 1차 가열된 합지 니들펀칭재를 텐터링한 상태에서 상기 고융점 섬유의 융점보다 낮고 상기 저융점 섬유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된 건조기를 통과시키는 2차 가열단계; 및
    상기 2차 가열된 합지 니들펀칭재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표면층이 되는 단위 니들펀칭재를 구성하는 고융점 크레이프가공 폴리에스터 단섬유가 이면층이 되는 단위 니들펀칭재를 구성하는 고융점 크레이프가공 폴리에스터 단섬유보다 고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 및 방염성을 갖는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니들펀칭재를 구성하는 고융점 크레이프가공 폴리에스터 단섬유가 4 데니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 및 방염섬을 갖는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130132323A 2013-11-01 2013-11-01 흡차음 및 방염성을 갖는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1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2323A KR101501385B1 (ko) 2013-11-01 2013-11-01 흡차음 및 방염성을 갖는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2323A KR101501385B1 (ko) 2013-11-01 2013-11-01 흡차음 및 방염성을 갖는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385B1 true KR101501385B1 (ko) 2015-03-10

Family

ID=5302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2323A KR101501385B1 (ko) 2013-11-01 2013-11-01 흡차음 및 방염성을 갖는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62092A (zh) * 2022-07-27 2022-11-01 上海精发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橘瓣裂离型双组份长丝针刺静电棉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933A (ja) * 1999-01-18 2000-07-25 Nissan Motor Co Ltd 遮音材
KR100824703B1 (ko) * 2006-11-29 2008-04-24 (주)에이피엠티 난연성 경량의 적층흡음시트
KR20090035813A (ko) * 2007-10-08 2009-04-13 (주) 비앤비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933A (ja) * 1999-01-18 2000-07-25 Nissan Motor Co Ltd 遮音材
KR100824703B1 (ko) * 2006-11-29 2008-04-24 (주)에이피엠티 난연성 경량의 적층흡음시트
KR20090035813A (ko) * 2007-10-08 2009-04-13 (주) 비앤비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62092A (zh) * 2022-07-27 2022-11-01 上海精发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橘瓣裂离型双组份长丝针刺静电棉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7856B2 (en) Light-weight, multi-layered composite substra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726987A (en) Fire retardant structural textile panel
US4780359A (en) Fire retardent structural textile panel
EP1846267B1 (en) The member for headliner on motor vehicles
JP2009000843A (ja) 複合吸音材
KR101533293B1 (ko) Multi-function을 가지는 흡음 및 차음 특성이 우수한 부직포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67772B1 (ko) 고강성 경량다층 차량 내장재용 기재
US11225056B2 (en) Sandwich pan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4208685A1 (ja) 合成皮革
KR101501385B1 (ko) 흡차음 및 방염성을 갖는 내장재용 폴리에스터 섬유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84426A (ko)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36670B1 (ko)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
US6875713B1 (en) Moldable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20130077952A (ko) 폴리에스테르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JP3204675U (ja) 天井材
JPH0747627A (ja) 内装材および該内装材の製造方法
KR101451178B1 (ko) 불연성 탄소섬유 하드 패널의 제조방법
KR101515206B1 (ko) 복합 구조를 갖는 쿠션재
KR101404579B1 (ko) 자동차용 흡음재
KR20060111243A (ko) 이중구조를 갖는 흡음보드
KR100451400B1 (ko) 흡음 및 차음 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7022014A (ja) 多層繊維プレスボ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製品
KR20040060090A (ko) 건축내장재용 섬유매트 제조방법
KR200279605Y1 (ko) 흡음 및 차음 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복합판재
KR102316323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시트들 사이에 개재된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