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410A -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410A
KR20090035410A KR1020080026166A KR20080026166A KR20090035410A KR 20090035410 A KR20090035410 A KR 20090035410A KR 1020080026166 A KR1020080026166 A KR 1020080026166A KR 20080026166 A KR20080026166 A KR 20080026166A KR 20090035410 A KR20090035410 A KR 20090035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ction
scaling
inlet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정호
김점상
Original Assignee
권정호
김점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정호, 김점상 filed Critical 권정호
Publication of KR20090035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by s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배관의 철거나 해체를 행하지 않으므로 간편하게 배관을 보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흡입관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 설치되고 진공상태를 이용하여 흡입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흡입기와, 배관의 내부를 통과함에 따라 배관 내의 스케일링을 행하는 블라스트재가 수용되는 수용용기와, 한쪽 끝부분이 수용용기와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배관의 한쪽 끝부분과 연결되는 유입관과, 흡입관과 연결되고 블라스트재 및 고형물이 유입됨에 따라 분리 수집하는 집진기와, 한쪽 끝부분이 집진기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배관의 다른쪽 끝부분에 연결되는 연장흡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를 제공한다.
배관, 파이프, 녹, 부식, 오물, 스케일링, 블라스트, 진공, 흡입, 도장

Description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 {Movable Scaling Device for Piping Repairing and Repairing method for Pip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을 철거하거나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배관의 스케일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편리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piping)은 급수, 배수, 급탕, 냉방, 난방, 가스 공사 등을 위해 관(pipe)를 이어 배치한 것을 말한다.
상기 배관은 사용기간의 증가에 따라 내부에 스케일 등이 주로 발생하는 것에 의하여 유체(流體) 수송능력이 저하되고 비위생적인 문제 등이 발생하므로 적절한 시점에서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보수를 행할 필요성이 있다.
종래 배관의 보수를 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배관을 해체하거나 철거한 후 블라스팅 머신(Bla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배관 내에 발생하는 녹이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스케일링을 행한다.
상기 블라스팅 머신은 그리트(grit) 또는 쇼트(shot), 샌드(sand) 등의 블라스트재를 배관 내부에 통과시켜 배관 내의 스케일링을 행한다.
상기에서 블라스팅 머신은 사용되는 상기 블라스트재의 종류에 따라 그리트 블라스팅 머신, 쇼트 블라스팅 머신, 샌드 블라스팅 머신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한편, 철거나 해체가 용이한 곳에 설치되는 배관을 보수하는 경우 상기 블라스팅 머신을 통한 스케일링이 가능하지만, 해체가 어려운 곳에 설치되는 경우 고가의 비용과 장시간이 소요된다.
즉 건물이나 지하 등에 배관이 매설되는 경우, 공중에 부양되어 배관이 위치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보수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배관이 설치된 상태에서 진공을 이용한 흡입력에 의해 블라스트재를 배관 내부로 통과시켜 스케일링을 행하고 스케일링이 끝나면 배관의 내면에 도장을 행하므로, 배관을 철거하거나 해체하지 않고 간편하게 배관의 유지보수가 가능한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는 흡입관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 설치되고 진공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흡입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흡입기와, 배관의 내부를 통과함에 따라 배관 내의 스케일링을 행하는 블라스트재가 수용되는 수용용기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수용용기와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배관의 한쪽 끝부분과 연결되는 유입관과,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고 상기 블라스트재 및 고형물이 유입됨에 따라 분리 수집하는 집진기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집진기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배관의 다른쪽 끝부분에 연결되는 연장흡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블라스트재는 그리트, 쇼트, 규사, 인조규사 중에서 한가지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블라스트재는 상기 그리트, 쇼트, 규사, 인조규사 중 선택된 한가지와 탄성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볼은 고무와 합성수지 중에서 한가지 이상의 재질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구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진공흡입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흡기구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공기 및 분진을 흡입하는 팬과,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배기구로 배출하고 분진은 여과 집진하는 하나이상의 필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집진기는 하부가 테이퍼로 이루어지고 하부 끝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라스트재와 고형물을 분리하여 하향 이송시키는 사이클론과, 상기 사이클론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향 이송되는 상기 블라스트재 및 고형물이 수집되는 집진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사이클론의 위쪽 끝면에는 상기 흡입관의 다른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흡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사이클론의 위쪽 측면에는 상기 연장흡입관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용기는 한쪽면이 개구된 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몸체의 개구된 한쪽면을 개폐하고 상기 유입관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 법은 흡입관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진공흡입기와, 블라스트재가 수용되고 유입관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수용용기와, 흡입구에는 상기 흡입관의 다른쪽 끝부분이 연결되고 유입구에는 흡입연장관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집진기로 구성되는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를 준비하는 장치준비단계와, 상기 유입관의 다른쪽 끝부분은 배관의 한쪽 끝부분에 연결하고 상기 연장흡입관의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배관의 다른쪽 끝부분에 연결하는 작동준비단계와, 상기 진공흡입기를 작동시켜 상기 블라스트재를 상기 배관 내부로 통과시킴에 따라 배관 내부의 스케일링을 행하고 상기 집진기에서 블라스트재 및 고형물을 분리 수집하고 상기 진공흡입기에서 분진을 여과 집진하는 스케일링단계의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은 상기 작동준비단계와 스케일링단계 사이에서 행해지고 상기 진공흡입기를 작동시켜 상기 집진기에서 고형물을 분리 수집하고 상기 진공흡입기에서 분진을 여과 집진하는 전처리단계의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스케일링을 행한 후 상기 유입관 및 연장흡입관을 상기 배관으로부터 각각 분리하고 상기 배관의 한쪽 끝부분에는 도료용액이 수용되는 도료수용용기를 연결하고 상기 배관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펌프의 흡입구를 연결하는 도장준비단계와, 상기 도료용액이 상기 배관 내부로 통과하도록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고 일정시간 건조하여 상기 배관의 내면에 도장을 행하는 도장단계의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에 의하면, 배관을 철거하거나 해체하지 않고 배관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므로 배관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절약된다.
그리고 블라스트재로 탄성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탄성볼이 배관 내벽에 지그재그로 부딪히며 튀기는 운동에 따라 그리트나 쇼트, 인조규사, 규사 등이 고르게 퍼지면서 와류를 형성하여 배관 내부를 통과하므로 스케일링효과가 우수해지고, 특히 직경이 대략 50mm를 초과하는 대형 배관의 경우 스케일링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에 의하면, 진공흡입기와 블라스트재를 이용하여 스케일링을 행하므로, 1km이상(수십0km까지)의 배관에 대해서도 해체나 분해하지 않고 스케일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에 의하면, 스케일링을 행한 후 배관의 내면에 도장을 행하므로, 도료의 접착력이 우수하게 유지되며 도장면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배관의 수명을 더욱 향상시키고 위생 및 청결상태를 장기간 양호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집진기에서 블라스트재 및 고형물이 분리 수집되고 먼지 등의 분진은 진공흡입기의 필터부에서 여과 집진되므로 블라스트재 및 고형물의 회수가 용이하고 진공흡입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관(20)이 연결 설치되는 진공흡입기(10)와, 블라스트재(4)가 수용되는 수용용기(60)와, 상기 수용용기(60)와 배관(2)을 서로 연결하는 유입관(50)과, 상기 흡입관(20)과 연결되고 상기 블라스트재(4)와 고형물(3)을 분리 수집하는 집진기(30)와, 상기 집진기(30)와 배관(2)을 연결하는 연장흡입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흡입기(10)는 진공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흡입관(20)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진공흡입기(10)는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20)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흡기구(12)와, 상기 케이스(11)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12)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13)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고 모터(15)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흡기구(12)를 통하여 공기 및 분진 등을 흡입하는 팬(14)과, 상기 흡기구(1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배기구(13)로 배출하고 분진 등은 여과 집진하는 하나이상의 필터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흡입기(1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진공청소기 등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용용기(60)는 한쪽면(윗면)이 개구된 통형상의 몸체(61)와, 상기 몸체(61)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몸체(61)의 개구된 한쪽면(윗면)을 개폐하고 상기 유입관(50)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덮개(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입관(50)은 상기 진공흡입기(10)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블라스트재(4)를 상기 배관(2)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상기에서 유입관(50)의 한쪽 끝부분은 상기 수용용기(60)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배관(2)의 한쪽 끝부분에 연결된다.
상기 블라스트재(4)는 상기 배관(2)의 내부를 통과함에 따라 배관(2) 내부의 녹(부식), 오물 등을 제거하는 스케일링을 행한다.
상기 블라스트재(4)는 그리트(grit), 쇼트(shot), 규사, 인조규사 중 한가지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블라스트재(4)는 상기 그리트(grit), 쇼트(shot), 규사, 인조규사 중에서 선택된 한가지와 탄성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볼은 일정한 경도와 탄성을 보유한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구(求)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탄성볼과 다른 블라스트재(4)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탄성볼이 배관 내벽에 지그재그로 부딪히며 튀기는 운동에 따라 그리트나 쇼트, 인조규사, 규사 등의 다른 블라스트재(4)가 고르게 퍼지면서 와류를 형성하여 배관(2) 내부를 통과하므로 스케일링효과가 우수해진다.
그리고 직경이 대략 50mm를 초과하는 대형 배관의 경우 스케일링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배관(2)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상기 연장흡입관(40)이 연결된다.
상기에서 연장흡입관(40)의 한쪽 끝부분은 상기 집진기(30)의 흡입구(32)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배관(2)의 다른쪽 끝부분에 연결된다.
상기 집진기(3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가 테이퍼로 이루어지고 하부 끝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라스트재(4)와 고형물(3)을 분리하여 하향 이송시키는 사이클론(31)과, 상기 사이클론(31)의 하부에 설치되는 집진통(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사이클론(31)은 예를 들면, 내경이 상하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형성되고 윗면에 흡입구(32)가 형성되고 한쪽 측면에는 유입구(33)가 형성되는 상부(31a)과, 상기 상부(31a)의 하부 끝부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하부(31b)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사이클론(31)은 상기 배관(2)을 통과하고 상기 연장흡입관(40)을 경유하여 유입구(33)로 유입되는 상기 블라스트재(4) 및 고형물을 분리하여 하향 이송시킨다.
상기에서 사이클론(31)의 흡입구(32)에는 상기 흡입관(20)의 다른쪽 끝부분이 연결 설치되고, 유입구(33)에는 상기 연장흡입관(40)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집진통(36)에는 상기 사이클론통(31)에서 이송되는 상기 블라스트재(4) 및/또는 고형물(3)이 수집된다.
상기에서 고형물(3)은 상기 배관(2) 내부의 스케일링을 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관(2) 내면의 부식에 의한 녹, 오물(汚物) 등이 해당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의 작동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케일링을 행하기 위한 배관(2)이 정해지면 상기 배관(2)의 한쪽 끝부분에는 상기 유입관(50)의 다른쪽 끝부분을 연결하고 다른쪽 끝부분에는 상기 흡입연장관(40)의 다른쪽 끝부분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한 후 상기 진공흡입기(10)를 작동시키면, 상기 배관(2) 내부의 수분이나 고형물(3) 등은 상기 집진기(30)에서 분리 수집되고 먼지 등의 분진은 상기 진공흡입기(10)에서 여과 집진된다.
상기와 같이 진공흡입기(10)를 일정 시간 작동시킨 후 진공흡입기(10)의 작동을 멈추고 상기 수용용기(60)에 상기 블라스트재(4)를 넣는다.
상기 수용용기(60)에 상기 블라스트재(4)를 넣은 후 상기 진공흡입기(10)를 작동시키면, 상기 블라스트재(4)는 상기 유입관(50)과 배관(2), 흡입연장관(40)을 순차적으로 거치고 그에 따라 상기 배관(2)의 녹, 오물 등이 제거되면서 스케일링이 행해지며 상기 집진기(30)의 집진통(36)에는 상기 블라스트재(4)와 고형물(3)이 수집되고 상기 진공흡입기(40)의 필터부(16)에서는 먼지, 미세입자의 이물질 등과 같은 분진이 여과 집진된다.
상기 수용용기(60)로부터 일정량의 상기 블라스트재(4)가 상기 배관(2)을 통과할 때까지 진공흡입기(10)를 작동시킨 후 상기 수용용기(60)에 블라스트재(4)가 없는 상태로 상기 진공흡입기(10)를 일정시간 작동시키면 상기 배관(2)의 스케일링이 완료된다.
상기 배관의 스케일링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배관(2) 내부로 페인트 등의 도료를 통과시킨 후 건조하여 도장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의 일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관(20)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진공흡입기(10)와, 유입관(50)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고 블라스트재(4)가 수용되는 수용용기(60)와, 상기 흡입관(20)의 다른쪽 끝부분 및 상기 흡입연장관(40)의 한쪽 끝부분이 각각 연결 설치되는 집진기(30)로 구성되는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를 준비하는 장치준비단계(P10)와, 상기 유입관(50) 및 연장흡입관(40)을 상기 배관(2)에 각각 연결하는 작동준비단계(P20)와, 상기 진공흡입기(10)를 일정시간 작동시키는 전처리단계(P30)와, 상기 수용용기(60)에 상기 블라스트재(4)를 넣고 상기 진공흡입기(10)를 작동시켜 상기 배관(2) 내부의 스케일링을 행하는 스케일링단계(P40)의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준비단계(P20)에서 상기 유입관(50)의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배관(2)의 한쪽 끝부분에 연결하고 상기 연장흡입관(40)의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배관(2)의 다른쪽 끝부분에 연결한다.
상기 전처리단계(P30)에서 발생하는 수분 및 고형물(3) 등은 상기 집진기(30)에서 분리 수집되고 분진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진공흡입기(10)에서 여과 집진된다.
상기 스케일링단계(P40)에서 상기 블라스트재(4) 및 고형물(3)은 상기 집진기(30)에서 분리 수집되고 분진은 상기 진공흡입기(10)에서 여과 집진된다.
일정량의 블라스트재(4)가 상기 배관(2)을 통과한 상태에서는 상기 수용용기(60)에서 상기 블라스트재(4)를 회수하고 일정시간 동안 상기 진공흡입기(10)를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의 다른 실시예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장준비단계(P50)와, 도장단계(P60)의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도장준비단계(P50)에서는 상기 유입관(50) 및 연장흡입관(40)을 상기 배관(2)으로부터 각각 분리하고 상기 배관(2)의 한쪽 끝부분에 도료용액(8)이 수용되는 도료수용용기(80)를 연결하고 배관(2)의 다른쪽 끝부분에 펌프(70)의 흡입구(72)를 연결한다.
상기 도료수용용기(80)와 배관(2)의 한쪽 끝부분은 도료유입관(82)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펌프(70)의 흡입구(72)와 배관(2)의 다른쪽 끝부분은 흡입연결관(73)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펌프(70)의 배출구(76)쪽에는 잔여 도료용액(8)을 수집하는 도료수집통(78)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배출구(76)에는 배출연결관(77)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고, 배출연결관(77)의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도료수집통(78)의 내부에 위치시키거나 도료수집통(78)에 연결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도장단계(P60)에서는 상기 도료용액(8)이 상기 배관(2) 내부로 통과하 도록 상기 펌프(70)를 작동시키고 일정시간 건조하여 배관(2)의 내면에 도장을 행한다.
상기에서 도장단계(P6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2~5회를 더 반복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집진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10)

  1. 흡입관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 설치되고 진공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흡입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흡입기와,
    배관의 내부를 통과함에 따라 배관 내의 스케일링을 행하는 블라스트재가 수용되는 수용용기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수용용기와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배관의 한쪽 끝부분과 연결되는 유입관과,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고 상기 블라스트재 및 고형물이 유입됨에 따라 분리 수집하는 집진기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집진기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배관의 다른쪽 끝부분에 연결되는 연장흡입관을 포함하는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흡기구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공기 및 분진을 흡입하는 팬과,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배기구로 배출하고 분진은 여과 집진하는 하나이상의 필터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는 하부가 테이퍼로 이루어지고 하부 끝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라스트재와 고형물을 분리하여 하향 이송시키는 사이클론과, 상기 사이클론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향 이송되는 상기 블라스트재 및 고형물이 수집되는 집진통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의 위쪽 끝면에는 상기 흡입관의 다른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클론의 위쪽 측면에는 상기 연장흡입관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는 한쪽면이 개구된 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몸체의 개구된 한쪽면을 개폐하고 상기 유입관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스트재는 쇼트, 그리트, 규사, 인조규사 중에서 한가지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블라스트재는 쇼트, 그리트, 규사, 인조규사 중 선택된 한가지와 탄성볼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탄성볼은 고무와 합성수지 중에서 한가지 이상의 재질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구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
  7. 흡입관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진공흡입기와, 블라스트재가 수용되고 유입관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수용용기와, 흡입구에는 상기 흡입관의 다른쪽 끝부분이 연결되고 유입구에는 흡입연장관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집진기로 구성되는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를 준비하는 장치준비단계와,
    상기 유입관의 다른쪽 끝부분은 배관의 한쪽 끝부분에 연결하고 상기 연장흡입관의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배관의 다른쪽 끝부분에 연결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진공흡입기를 작동시켜 상기 블라스트재를 상기 배관 내부로 통과시킴에 따라 배관 내부의 스케일링을 행하고 상기 집진기에서 블라스트재 및 고형물을 분리 수집하고 상기 진공흡입기에서 분진을 여과 집진하는 스케일링단계의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작동준비단계와 스케일링단계 사이에서 행해지고 상기 진공흡입기를 작동시켜 배관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 및 고형물은 상기 집진기에서 분리 수집하고 분 진은 상기 진공흡입기에서 여과 집진하는 전처리단계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블라스팅 처리장치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링을 행한 후 상기 유입관 및 연장흡입관을 상기 배관으로부터 각각 분리하고 상기 배관의 한쪽 끝부분에는 도료용액이 수용되는 도료수용용기를 연결하고 배관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펌프의 흡입구를 연결하는 도장준비단계와, 상기 도료용액이 상기 배관 내부로 통과하도록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고 일정시간 건조하여 상기 배관의 내면에 도장을 행하는 도장단계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를 이용한 배관 보수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도장단계는 2~5회를 더 반복하여 행하는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
KR1020080026166A 2007-10-05 2008-03-21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 KR200900354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189 2007-10-05
KR20070100189 2007-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410A true KR20090035410A (ko) 2009-04-09

Family

ID=40760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166A KR20090035410A (ko) 2007-10-05 2008-03-21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54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550B1 (ko) * 2017-03-14 2018-09-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클리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550B1 (ko) * 2017-03-14 2018-09-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클리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062B1 (ko) 노후관 갱생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후관 갱생 장비
CN208555380U (zh) 一种采用冰浆清洁管道的清理装置
CN112275757A (zh) 一种用于空气风机制造的粉尘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CN110280715A (zh) 一种3d打印机余砂收集处理系统
CN206549369U (zh) 等离子喷涂废气过滤装置
CN105126552B (zh) 一种混凝土螺旋式除尘回收系统
CN204324435U (zh) 一种高效收砂装置
KR20090035410A (ko) 이동식 배관 스케일링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 보수공법
KR101052954B1 (ko) 페인트 조각 수집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480210A (zh) 节能环保轴流风机组除尘装置
CN206483279U (zh) 高压涡流袋式除尘器
CN212998902U (zh) 一种用于饲料添加剂生产的脉冲除尘器
TWI535534B (zh) 淨化裝置
CN208613170U (zh) 发动机缸体回收用清洗装置
CN203540238U (zh) 节能环保轴流风机组除尘装置
CN206484432U (zh) 一种海绵磨料喷砂除尘装置
JP4256795B2 (ja) 電気集じん器の清掃方法
CN216030236U (zh) 一种抛丸机粉尘收集装置
CN208466804U (zh) 一种房屋建筑施工除尘装置
CN216677567U (zh) 一种车载粉尘抽吸设备
KR20020073020A (ko) 압축공기 구동방식의 건습식 겸용 세정장치
CN210907326U (zh) 一种便于粉尘清理的v型管道
CN219525307U (zh) 一种用于运焦皮带系统的吸尘装置
CN211249676U (zh) 一种节能型履带式抛丸机
CN209868337U (zh) 一种无尘水砂喷砂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