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520A - 추진레버를 갖는 킥보드 - Google Patents

추진레버를 갖는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520A
KR20090034520A KR1020070099784A KR20070099784A KR20090034520A KR 20090034520 A KR20090034520 A KR 20090034520A KR 1020070099784 A KR1020070099784 A KR 1020070099784A KR 20070099784 A KR20070099784 A KR 20070099784A KR 20090034520 A KR20090034520 A KR 20090034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gear member
propulsion
bracket
kick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환
Original Assignee
유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환 filed Critical 유정환
Priority to KR1020070099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4520A/ko
Publication of KR2009003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0Mechanisms for restoring steering device to straight-ahea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진레버를 갖는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후륜 바퀴를 갖는 발판과 이 발판에 상기 전륜 바퀴를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이 제공되어 이루어진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후방 저면에 제공되는 고정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또는 양측단에 상기 후륜 바퀴가 일체로 결합되고, 일측에 기어부재가 원웨이 회전수단을 통해 정방향으로 만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중간 관절부가 상기 발판을 상하로 통과하여 상기 고정브래킷에 제공되는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단에는 발디딤부가 제공되고 하단에는 상기 기어부재와 치합되어 상기 기어부재를 회전시키는 추진기어부재가 제공되는 추진레버; 일측이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추진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추진레버의 회동시 초기 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은, 지면에서 킥보드를 통해 운동하고자 하는 경우 운동자의 한발로는 발판에 지지시켜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한발로는 추진레버를 연속 반복적으로 회동시켜 이 추진레버가 후륜 바퀴를 회전시키게 되어 운동자는 속도에 따른 주행력 및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킥보드, 추진, 주행

Description

추진레버를 갖는 킥보드{A kick board with a driving lever}
본 발명은 주로 어린이들의 유희용으로 제공되며 양손으로 핸들을 잡고 한발은 발판 상면에 그리고 다른 한발은 지면을 차면서 주행하는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킥보드를 이루는 발판의 일측에 제공된 추진레버를 반복적으로 회동시키면 추진레버가 바퀴를 회전시켜 운동자가 지면에 발을 디딜 필요없이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추진레버를 갖는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몸체를 이루는 발판과, 이 발판의 저면에서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전륜 및 후륜 바퀴와, 발판의 전방에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핸들로 이루어진다.
사용시에는 한쪽 발을 킥보드의 발판에 올려놓고 다른 한쪽 발을 통해 지면을 차는 형태로 발판을 밀고 가는 방식으로 추진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발판은 바퀴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함에 따라 사용자가 추진력 제공시 양발의 높이 차이가 많이 발생되어 쉽게 피로를 느끼거나 또는 신체의 균형이 맞지 않아 속도가 빠른 경우 쉽게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 다. 또한, 상기한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관절에 큰 부담이 작용되어 관절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최근에는 발판에 바퀴를 회전시키는 전동기가 설치된 킥보드가 출시된 바 있지만 이는 엔진 또는 모터에 의한 주행력을 통해 유희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판에 제공되는 전후륜 바퀴 중 후륜 바퀴가 원웨이 수단을 통해 전방으로만 회전되도록 하고 동시에 후륜 바퀴가 발판의 후방에 제공되는 추진레버의 반복된 왕복운동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사용자 조작에 따라 주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후륜 바퀴를 갖는 발판과 이 발판에 상기 전륜 바퀴를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이 제공되어 이루어진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후방 저면에 제공되는 고정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또는 양측단에 상기 후륜 바퀴가 일체로 결합되고, 일측에 기어부재가 원웨이 회전수단을 통해 정방향으로 만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중간 관절부가 상기 발판을 상하로 통과하여 상기 고정브래킷에 제공되는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단에는 발디딤부가 제공되고 하단에는 상기 기어부재와 치합되어 상기 기어부재를 회전시키는 추진기어부재가 제공되는 추진레버; 일측이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추진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추진레버의 회동시 초기 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원웨이 회전수단은, 상기 기어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원형 안내홈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원형 안내홈에 외접되며 그 외측 테두리에 둘레를 따라 다수개 개방되게 형성되고 그 내측에 일방향 경사각을 갖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내륜과, 상기 안내홈에 제공되어 상기 기어부재의 정방향 회전시에는 경사각에 의해 걸림되어 상기 내륜을 회전시키게 되고 역방향 회전시에는 경사각의 안쪽에 위치되어 슬라이드 공회전 되는 회전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추진기어부재가 상기 추진레버로부터 분리 구성되어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그 일측이 상기 추진레버로 부터 연장되는 연장단에 힌지핀을 통해 연결 고정되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전륜 바퀴가 상기 발판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동 브래킷에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핸들의 상단 양쪽에 상기 회동 브래킷을 오른쪽 또는 왼쪽 방향으로 회전 시킬 수 있도록 좌우 한 쌍의 당김레버가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당김레버는 각각 와이어를 통해 상기 회동브래킷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당김레버의 선택적 동작에 따라 해당되는 와이어가 당겨져 상기 회동브래킷을 회동시키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회동브래킷의 양단에 각각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발판의 저면에 제공되는 브래킷에 지지되는 복귀스프링을 통해 초기 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핸들 조작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진레버를 갖는 킥보드는, 지면에서 킥보드를 통해 운동하고자 하는 경우 운동자의 한발로는 발판에 지지시켜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한발로는 추진레버를 연속 반복적으로 회동시켜 이 추진레버가 후륜 바퀴를 회전시키게 되어 운동자는 속도에 따른 주행력 및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운동자가 킥보드의 발판에서 내리지 않고도 계속적으로 주행할 수가 있어 유희력과 함께 운동력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추진레버를 갖는 킥보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종래 공지된 부분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에 의하여 전후륜 바퀴(120)(140)를 갖는 발판(100)과 이 발판(100)에 핸들(200)이 제공되어 이루어진 킥보드에 있어, 상기 발판(100)의 후방에 제공되는 회전축(142)의 양단에 후륜 바퀴(140)가 각각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후륜 바퀴(140)가 추진레버(400)의 추진력에 의한 원웨이 회전수단(200)을 통해 전진 방향으로만 회전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동을 위한 발판(100)과, 핸들(300)과, 후륜 바퀴(140)의 회전축(142)에 제공되는 기어부재(144)와, 상기 회전축(142)과 기어부재(144)에 제공되는 원웨이 회전수단(200)과, 발판(200)에 제공되어 상기 회전축(142)를 회전시키는 추진레버(400)와, 추진레버(400)를 초기상태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500)을 포함하여서 된다.
상기 발판(100)은, 금속, 목재,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에 디딤부(102)와 추진레버 설치부(104)가 형성된다. 그리고 저면에는 전후륜 바퀴(120)(140)가 회전축(14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륜 바퀴(120)는 회동브래킷(32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동브래킷(320)은 핸들(300)의 하단축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후방 후륜 바퀴(140)는 상기 발판(100)의 저면에 하나 또는 두개로 설치되며 고정브래킷(14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42)에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142)에는 기어부재(144)가 결합되며, 상기 기어부재(144)는 상기 원웨이 회전수단(200)을 통해 전진 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상기 회전축(142)을 회전시키고 후진 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공회전 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기어부재(144)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가 원형판 형태로 제작되며 그 외측 테두리를 따라 기어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146)의 일측에는 추진레버(400)가 힌지축(42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추진레버(400)는, 중간 관절부가 상기 발판(100)의 고정브래킷(146)에 제공된 힌지축(42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이며, 상단에 발디딤부가 제공되고 하단에 상기 기어부재(144)와 치합되어 상기 기어부재(144)를 회전시키는 추진기어부재(440)가 제공된다.
상기 추진레버(400)는 상기 발판(100)의 추진레버 설치부(104)에 형성되는 레버가이드홈의 안내로 상기 힌지축(420)에 결합된다.
상기 추진기어부재(440)는, 반원 형태로 제조되며 그 외측의 호형 테두리에 기어가 형성된다.
이에따라 상기 추진레버(400)가 회동하게 되면 상기 추진기어부재(420)가 연동하게 되고 상기 추진기어부재(420)에 의해 기어부재(144)가 회전되며 상기 기어부재(144)는 원웨이 회전수단(200)에 의해 상기 회전축(142)을 정방향 회전시에만 회전시켜 상기 후륜 바퀴(140)를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브래킷(146)과 상기 추진레버(400)에는 리턴스프링(500)이 제공되어 상기 추진레버(400)의 후방 회동시 탄발력을 통해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추진레버(400)에 상기 추진기어부재(420)를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상기 추진레버(400)와 상기 추진기어부재(420)를 별도로 가공 제작한 후 링크 방식으로 연결하여 연동 조작될 수 있도록 함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원웨이 회전수단(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기어부재(144)의 내측에 형성되는 원형 안내홈(210)과, 상기 회전축(142)에 결합되어 상기 원형 안내홈(210)에 삽입되어 외접되며 그 외측 테두리에 둘레를 따라 다수개 개방되게 형성되고 그 내측에 일방향 경사각(222)을 갖는 안내홈(220)이 형성되는 내륜(230)과, 상기 안내홈(220)에 제공되어 상기 기어부재(144)의 정방향 회전시에는 경사각(222)을 따라 이동하며 걸림되어 상기 내륜(230)을 회전시키게 되고 역방향 회전시에는 경사각(222)의 안쪽에 위치되어 슬라이드 공회전 되는 회전볼(240) 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추진레버(400)의 회동 동작시 미는 힘의 작용시에는 추진기어부재(440)가 기어부재(144)를 회동시키게 되고 동시에 기어부재(144)의 회전에 의해 회전볼(240)이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내륜(230)의 안내홈(220)에 형성된 경사각(222)에 의해 걸림되어 상기 후륜 바퀴(140)를 회전시키고 상기 추진레버(400)의 복귀 동작시에는 상기 회전볼(240)이 상기 기어부재(144)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안내홈(220)에 공회전 슬라이드 상태로 위치되어 상기 추진기어부재(440)가 저항없이 복귀되게 한다.
도 5 또는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핸들(300)에 사용자 조작에 따라 핸들링 될 수 있는 핸들 조작수단을 더 제공함을 보인 것이다.
상기 핸들 조작수단은, 상기 핸들(300)의 상단 양쪽에 제공되어 상기 전륜 바퀴(120)를 오른쪽 또는 왼쪽 방향으로 회전 시킬 수 있도록 된 좌우 한 쌍의 당김레버(340)(360)와, 상기 당김레버(340)(360)와 상기 회동브래킷(320)의 양쪽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와이어(342)(362)와, 상기 당김레버(340)(360)에 의해 당겨진 와이어(342)(362)를 초기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양단이 각각 상기 회동브래킷(320)의 양단과 상기 발판(100)의 저면에 제공되는 브래킷에 지지되는 복귀스프링(3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상기 당김레버 중 선택된 한 쪽 당김레버(340)를 당기게 되면 와이어(342)가 연동하여 상기 회동브래킷(320)의 일단을 당기게 된다. 그러면 상기 회동브래킷(320)이 회전되면서 상기 발판(100)의 진행 방향을 변환시킬 수 있게 된 다.
도면중 부호 370,372는 브래킷으로 상기 와이어(342)(362)를 각각 안내하고 또한 상기 복귀스프링(380)을 지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추진레버(400)가 그 하단의 힌지축(420)이 상기 고정브래킷(140)의 회전축(142)을 중심으로 후방측 상부에 위치시켜 상기 추진레버(400)가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구조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힌지축(420)이 상기 회전축(142)을 중심으로 전방측 상부에 위치시켜 상기 추진레버(400)의 회동 동작시 상기 추진기어부재(440)가 상기 기어부재(14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레버를 갖는 킥보드의 측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원웨이 회전수단을 일예를 보인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에서 핸들 조작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측면 요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발판
200: 원웨이 회전수단
300: 핸들
400: 추진레버
500: 리턴스프링

Claims (4)

  1. 전후륜 바퀴를 갖는 발판과 이 발판에 상기 전륜 바퀴를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이 제공되어 이루어진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후방 저면에 제공되는 고정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또는 양측단에 상기 후륜 바퀴가 일체로 결합되고, 일측에 기어부재가 원웨이 회전수단을 통해 정방향으로 만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중간 관절부가 상기 발판을 상하로 통과하여 상기 고정브래킷에 제공되는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단에는 발디딤부가 제공되고 하단에는 상기 기어부재와 치합되어 상기 기어부재를 회전시키는 추진기어부재가 제공되는 추진레버;
    일측이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추진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추진레버의 회동시 초기 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리턴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레버를 갖는 킥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회전수단은
    상기 기어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원형 안내홈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원형 안내홈에 외접되며 그 외측 테두리에 둘레를 따라 다수개 개방되게 형성되고 그 내측에 일방향 경사각을 갖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내륜과, 상기 안내홈에 제공되어 상기 기어부재의 정방향 회전시에는 경사각에 의해 걸림되어 상기 내륜을 회전시키게 되고 역방향 회전시에는 경사각의 안쪽에 위치되어 슬라이드 공회전 되는 회전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레버를 갖는 킥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어부재가 상기 추진레버로부터 분리 구성되어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그 일측이 상기 추진레버로 부터 연장되는 연장단에 힌지핀을 통해 연결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레버를 갖는 킥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바퀴가 상기 발판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동 브래킷에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핸들의 상단 양쪽에 상기 회동 브래킷을 오른쪽 또는 왼쪽 방향으로 회전 시킬 수 있도록 좌우 한 쌍의 당김레버가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당김레버는 각각 와이어를 통해 상기 회동브래킷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당김레버의 선택적 동작에 따라 해당되는 와이어가 당겨져 상기 회동브래킷을 회동시키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회동브래킷의 양단에 각각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발판의 저면에 제공되는 브래킷에 지지되는 복귀스프링을 통해 초기 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핸들 조작수단을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레버를 갖는 킥 보드.
KR1020070099784A 2007-10-04 2007-10-04 추진레버를 갖는 킥보드 KR20090034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784A KR20090034520A (ko) 2007-10-04 2007-10-04 추진레버를 갖는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784A KR20090034520A (ko) 2007-10-04 2007-10-04 추진레버를 갖는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520A true KR20090034520A (ko) 2009-04-08

Family

ID=4076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784A KR20090034520A (ko) 2007-10-04 2007-10-04 추진레버를 갖는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45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17830A (zh) * 2024-01-26 2024-03-01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防水施工的地面清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17830A (zh) * 2024-01-26 2024-03-01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防水施工的地面清洁装置
CN117617830B (zh) * 2024-01-26 2024-04-16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防水施工的地面清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6888U (ja) 上下往復ペダル式レジャー自転車
US8128111B2 (en) Scooter and pedal drive assembly
KR101250018B1 (ko) 전륜부조향자전거
JP6144199B2 (ja) ペダル駆動型キックボード
JP6615610B2 (ja) 特徴的な駆動アセンブリを備えた自転車
EP1491243A2 (en) Electric scooter
CN201329942Y (zh) 移动式健身车
JP2004521024A (ja) 可動部品を制御するシステム、軽量車両用操舵システム及び前記システムを装備した三輪車
EP3169579B1 (en) Vehicle with spherical wheels
KR20090034520A (ko) 추진레버를 갖는 킥보드
KR100850690B1 (ko) 스탭식 킥보드
KR101611960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20100080755A (ko) 킥보드 구동장치
KR101156136B1 (ko) 스탭식 킥보드
TW201601800A (zh) 健身裝置
JP2011177422A (ja) スタンディングバイク
TWM396238U (en) kid car
JPS63315Y2 (ko)
JPH0349115Y2 (ko)
KR200359778Y1 (ko) 승마놀이용 삼륜자전거
KR100200178B1 (ko) 핸들과 발판으로 움직이는 승마 자전거
JP3099967U (ja) スクーター兼用の自転車
US8857838B2 (en) Dual drive system for a non-motorized vehicle
KR101530769B1 (ko) 트라이크
JP2011136674A (ja) 一輪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