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755A - 킥보드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킥보드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755A
KR20100080755A KR1020100055936A KR20100055936A KR20100080755A KR 20100080755 A KR20100080755 A KR 20100080755A KR 1020100055936 A KR1020100055936 A KR 1020100055936A KR 20100055936 A KR20100055936 A KR 20100055936A KR 20100080755 A KR20100080755 A KR 20100080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edal
shaft
rear wheel
kick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숙자
Original Assignee
이숙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숙자 filed Critical 이숙자
Priority to KR1020100055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0755A/ko
Publication of KR20100080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킥보드 구동장치(W)는 어린이가 킥보드(W)에 올라타서 페달(102)을 밑으로 밟으면 페달의 하단부에 형성된 반원의 랙크기어(103)와 힘을 전달되는 기어(401)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데 반원의 랙크기어(103)는 페달(102)의 하단부에 축(150))의 중심으로 10도 내지 40도 사이에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며, 기어(401)는 축(140)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기어(401) 양측에 형성된 기어(110)는 고무벨트(120)에 의해 연결된 기어(130)가 회전하게 되는데 기어(130)와 결착된 바퀴(200)는 회전하게 되어 킥보드는 앞으로 나아가게 되는 킥보드 구동장치.
페달, 기어고무벨트, 압축 스프링, 니들클러치 베어링

Description

킥보드 구동장치{KICK BOARD DRIVING GEAR}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킥보드 구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킥보드 구동장치를 종단면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킥보드 구동장치를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어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에 구성되는 킥보드 구동장치의 일부분 도시한 사시도 및 도 5 의 U-U'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에 구성되는 페달과 기어의 연결되어 구동이 구성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킥보드 구동장치 형성에 필요한 부품을 도시한 분해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페달과 바퀴의 구동되는 방향 (A; 페달을 밟기 전, B;페달을 밟은 후) 을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보디와 구동측 과 결합된 부분절단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W; 킥보드 100: 보디
102: 페달 110: 회전 기어
120: 기어고무 벨트 103; 랙크기어
400; 니들 클러치 베어링(한 방향에 힘을 전달되는 베어링)
본 발명은 킥보드 구동장치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디(100)중앙후 단부에 결착 된 페달을 밟으면, 하부에 랙크기어 로 구성된 페달과 결착된 기어와 고무벨트로 이어진 구동축 기어에 결착된 뒷바퀴가 회전하면서 앞으로 나아가게 되는데, 구조가 간단하고 힘들지 않게 킥보드가 앞으로 나아가는 구동장치 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어린이들이 많이 애용하는 스포츠 레저용으로서, 기존의 킥보드는 발을 지면에 박차 그 탈력으로 킥보드가 나가는 것과, 페달이 달려 있는 킥보드는 특허에 등록되었지만, 구동장치가 현실성이 없어 만들기가 쉽지 않아, 아직까지 현재 보급되지 못한 실정이다.
상기 일반적인 구동장치로 만들어진 킥보드는 시중에 없고, 특허청에 등록된 출원번호(20-2000-0032078 소멸특허) 은 페달 랙크기어 가 바퀴기어에 바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것은 실제적으로 만들어 타기 힘들고, 설사 만들었다 하더라도 페달 랙크기어 의 반원주 반복 작동과 바퀴 옆에 장착된 기어의 회전 작동이 상호 호완성이 맞지 않아, 시중에 출품되지 못한 것은, 구동장치의 해결방안이 충족되지 못 한 것이 문제점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페달 하단부에 결착된 랙크기어 와 결착된 기어 안에, 두개의 니들클러치베어링이 구성하여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지만 한 방향으로 회전 할 때만 축과 결착되어 운동에너지가 전달하게 되어, 기어에 맞물려있는 기어고무벨트에 연결된 기어동력이 뒷바퀴를 움직이게 되는데,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비가 적게 소요되고, 페달에 힘만 가해주면 앞으로 나아가기 때문에, 어린이의 하체의 힘을 길러주고, 레저 스포츠용으로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 례를 그리고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킥보드 구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킥보드 구동장치를 종단면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킥보드 구동장치를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어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에 구성되는 킥보드 구동장치의 일부분 도시한 사시도 및 도 5 의 U-U'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에 구성되는 페달과 기어의 연결되어 구동이 구성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킥보드 구동장치 형성에 필요한 부품을 도시한 분해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페달과 바퀴의 구동되는 방향 (A; 페달을 밟기 전, B;페달을 밟은 후)을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보디와 구동측 과 결합된 부분절단 사시도 및 실시예, 그리고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보디(100)와 보디(100)밑에 장착된 앞바퀴와 뒷바퀴로 구성되며, 어린이들이 킥보드를 탈 때 보디위에 한발을 올려놓고, 다른 발을 지면을 박차며 나가는 것을 통상으로 여긴다. 하지만 한발을 지면을 차고 가기에는 너무 힘들고, 쉽게 지쳐 조금만 타면 싫증을 느끼게 되어,
어린이의건강과 레저용으로서 또한 재미로서, 한계를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킥보드구동장치(W) 에 구성된 요소는 전륜구동 측에 속하는 앞바퀴(201)와 후륜구동 측에 속하는 뒷바퀴(200)와 몸을 지탱하는 보디(100)와 속도를 낼 수 있는 페달(102)로 구성되는데, 보다 상세히 상기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디(100)로 구성되는 발판 뒤편 에 사각 형태로 공간이 뚫여 있으며, 그 공간 속에 페달(102)이형성하며, 페달(102)은 사각의 틀 안에 형성된 축(150)에 의해 끼워지며, 페달(102)은 축(150)의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축(150)에 의해 움직이는 각도는 10도내지 40도 이내이고,
페달(102) 하부 에 형성된 랙크기어(103)는 활모양을 형성하는데, 중앙하단부에 있는 기어(401)와 서로 맞물려 결착되며, 기어(401)안에 양 끝단에 두 개의 니들클러치베어링(400)이 결착되는데, 결착된 니들클러치베어링(400) 은 한 방향으로만 운동에너지가 전달되며, 좌우로 회전하게 된다.
중앙 축(140)에 의해 양 끝단부에 돌출된 지지대(300)안에 기어(110)가 결착되며, 기어(110)는 기어고무벨트(120)로 체결되며, 후륜동력 축(141)에 설치된 뒷바퀴(200)의 양 끝단에 형성된 기어(130)에 결착된다.
상기에 구성된 페달은 하부에 형성된 랙크기어(103)와 후방향에 형성된 보디(100) 원통 축(600)에 압축 스프링(410)이 결착되며, 압축 스프링(410)의 탄성으로 인하여 페달(102)은 다시 제자리로 복귀될때, 랙크기어(103)는 축(150)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결착된 기어(401)는 랙크기어(103)의 나사산만큼 움직이게 되는데, 기어(401)는 니들클러치베어링(400)에 의해 좌우의 360도 회전하지만, 축(140)에 연결된 양측기어(110)는 시계반대방향으로 만 회전하게 된다.
결착된 기어(401)내부 속에 두개의 니들클러치베어링(400)을 형성하는데, 일반 베어링이 아니라, 전진과 후진구동이 되는 베어링(400)이며, 전진 할때는 기어(401)에 운동 에너지가 생성하여 축(140)에 결착된 기어(1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기어(110)외각 나사산에 결착된 기어고무벨트(120)도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랙크 기어(103)의 압축스프링(410)으로 인하여 제자리로 복귀할 때 축 (140) 중앙의 기어(401)는 (400)으로서, 축과 베어링이 탈착됨으로서, 기어 (401)가 헛도는 구성을 갖고 있는 니들클러치 베어링(400)이다. 즉 랙크기어(103) 와 맞물려있는 기어(401)는 페달을 하 방향으로 힘이 가해 질때, 랙크기어(10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니들클러치베어링을 결착된 기어(40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압축스프링(410)에 의해 페달((102)이 제자리로 복귀할 때, 기어(401)는 랙크 기어(103)의 회전방향으로 돌때 축(140)에 결착된 니들클러치베어링(400)의 내부링크가 빠지면서, 축(140)과 니들클러치베어링(400)은 탈착 되며, 힘의 전달이 전해지지 않고 헛돌게 된다. 즉 기어(401)에 내장된 베어링(400)은 반시계방향으로 돌때는 축(401)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역으로 시계방향으로 돌때는 축(140)과 베어링(400)의 내장한 기어(401) 와 착탈 되는 킥보드 구동장치에 것이다.
상기 구성 및 작동 그리고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킥보드 구동장치 의 페달에 하 방향에 힘을 가해주면 ,기존에 킥보드처럼 힘들게 지면을 박찰 필요없이 앞으로 나가고, 어린이의 하체 힘을 길러주고, 레저 스포츠용으로 즐길수 있다.

Claims (3)

  1. 보디(100)로 구성되는 발판 뒤편 에 사각 형태로 공간이 뚫여 있으며, 그 공간 속에 페달(102)이형성하며, 페달(102)은 사각의 틀 안에 형성된 축(150)에 의해 끼워지며, 페달(102)은 축(150)의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축(150)에 의해 움직이는 각도는 10도내지 40도 이내이고,
    페달(102) 하부 에 형성된 랙크기어(103)는 활모양을 형성하는데, 중앙하단부에 있는 기어(401)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며, 기어(401)안에 양 끝단부에 두 개의 니들클러치베어링(400)이 형성되며, 결착된 베어링(400)은 중앙 축(140)과 함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중앙 축(140)에 의해 양 끝단부에 돌출된 보디지지대(300)안에 기어(110)가 축(140)에 결착되며, 기어(110)는 기어고무벨트(120)로 인해, 후륜동력 축(141)에 설치된 뒷바퀴(200)의 양 끝단에 형성된 기어(130)에 결착되고,
    상기 페달(102)은 하부에 형성된 랙크기어(103)와 후륜방향에 형성된 보디(100)의 원통축(600)에 압축스프링(410)이 결착되며, 압축스프링(410)의 탄성으로 인하여 페달(102)은 제자리로 복귀될 때, 맞물린 기어(401)는 랙크기어(103)의 나사산만큼 움직이게 되고, 기어(401)안에 내포된 축(140)과 양측기어(110)는 기어고무벨트로 연결된 후륜동력 축(141)과 함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결착된 후륜 바퀴(200)는 전방으로 나아가는 킥보드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킥보드구동장치(W) 에 구성된 요소는 전륜구동 측에 속하는 앞바퀴(201)와 후륜구동 측에 속하는 뒷바퀴(200)와 몸을 지탱하는 보디(100)와 속도를 낼 수 있는 페달(102)로 구성되며, 전륜구동 상판에 있는 핸들이 필요하지 않는 킥보드 구동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후륜구동 바퀴(200)가 두 개를 형성하며 ,축(140)과 기어(110)및 기어고무벨트(120)가 한 개를 형성하는 킥보드 구동장치,
KR1020100055936A 2010-06-09 2010-06-09 킥보드 구동장치 KR20100080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936A KR20100080755A (ko) 2010-06-09 2010-06-09 킥보드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936A KR20100080755A (ko) 2010-06-09 2010-06-09 킥보드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755A true KR20100080755A (ko) 2010-07-12

Family

ID=4264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936A KR20100080755A (ko) 2010-06-09 2010-06-09 킥보드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07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944B1 (ko) * 2009-03-06 2012-04-18 이영우 킥보드
CN109011473A (zh) * 2018-09-20 2018-12-18 田滨 脚踏特技车
CN109045668A (zh) * 2018-08-17 2018-12-21 黑龙江大学 一种大驱动轮势能转化轮滑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944B1 (ko) * 2009-03-06 2012-04-18 이영우 킥보드
CN109045668A (zh) * 2018-08-17 2018-12-21 黑龙江大学 一种大驱动轮势能转化轮滑装置
CN109011473A (zh) * 2018-09-20 2018-12-18 田滨 脚踏特技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4199B2 (ja) ペダル駆動型キックボード
KR101564841B1 (ko) 수영 연습 및 수영 동작 자전거
KR100955892B1 (ko) 복합 구동 자전거
KR20100080755A (ko) 킥보드 구동장치
US8857840B2 (en) Drive system with contoured cavity
KR101182210B1 (ko) 발판 구동 주행용 보드
KR100907732B1 (ko) 전신 운동 자전거
KR200457746Y1 (ko) 페달의 위치가 변하는 사이클링 운동기구
CN202022275U (zh) 前进助力轮滑板车
JP3129429U (ja) 回生力キックボード
KR101190144B1 (ko) 스케이트 보드
GB2410727A (en) Human powered vehicle or exercise machine
US20040036247A1 (en) Method of motion transmission and a wheeled vehicle driven by this method
US20110221163A1 (en) Standing bike
KR20110002509A (ko) 사람의 이동 수단 기기(장치)
KR200365357Y1 (ko) 자전거 겸용 퀵 보드
KR200437835Y1 (ko) 수동식 스쿠터
CN210437313U (zh) 一种自行滑板车
KR100553134B1 (ko) 자기동력발생장치를 구비한 킥보드
CN206719425U (zh) 一种儿童玩具漂移车
KR100927201B1 (ko) 전륜의 구동력을 손잡이에 의해 운행되도록 하는 퀵보드
KR20110113033A (ko) 스텝퍼형 자전거
TW200412309A (en) Pedaling toy vehicle
KR20040004214A (ko) 퀵보드식 자전거
CN203318593U (zh) 儿童娱乐健身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