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434A -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434A
KR20090034434A KR1020070099620A KR20070099620A KR20090034434A KR 20090034434 A KR20090034434 A KR 20090034434A KR 1020070099620 A KR1020070099620 A KR 1020070099620A KR 20070099620 A KR20070099620 A KR 20070099620A KR 20090034434 A KR20090034434 A KR 20090034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value
tps
change amount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6918B1 (ko
Inventor
오세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918B1/ko
Publication of KR20090034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38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of gea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38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of gearing elements
    • F16H2059/385Turbin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충격을 완화하여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터빈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S10)와; 상기 제1측정단계(S10)를 통해 측정된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일정값(A)과 비교하는 제1비교단계(S20)와; 상기 제1비교단계(S20)에서 상기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이 일정값 보다 큰 경우 스로틀개도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단계(S30)와; 상기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S40)와; 상기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일정값(B, C)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TPS 값을 설정하는 산출단계(S50)로 구성되어, 변속감을 향상시켜 차량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파워, 업시프트, 터빈회전수, 변속충격, TPS

Description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hock in change of speed for power-off up-shift}
본 발명은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충격을 완화하여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토크컨버터 및 유성기어와 제어유닛이 조합되는 자동변속기는 변속레버 변속시의 번거로움 감소, 원활한 가감속, 저속 발진 성능 우수, 향상된 승차감 등의 장점으로 크게 각광받고 있다.
특히, 자동변속기는 연비와 성능 개선을 위하여 변속단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유압제어 자동변속기의 경우는 변속단 1단 증가를 위해 유압장치가 매우 복잡하게 되므로 종래의 유압제어 자동변속기에 전자제어방식이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선 자동변속기 차량의 구동은 변속제어유닛(TCU:Transmission Control Unit)이라는 전자제어기의 제어를 받아 이루어지며, 상기 변속제어유닛은 자동변속기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자동변속기 차량의 변속은 차속과 스로틀개도에 따라 변속제어유닛에서 전자적으로 제어해주게 되는데, 그 변속에는 엔진의 힘으로 차를 구동하는 상태를 파워온(Power On)이라 하고, 차가 엔진의 힘이 아니라 그 자체의 관성으로 진행하는 것을 파워오프(Power Off)라 한다.
또한 파워온, 파워오프시 엔진회전수, 엔진토크, 엔진파워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각에 맞는 제어를 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파워오프 업시프트 변속시에는 도 1의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발생하는 변속쇼크를 나타내는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로틀개도(S)가 '0'에 가까운 전폐 상태이기 때문에 입력회전수가 순간적으로 낮아져 변속이 시작된 상태에서 변속쇼크(C)가 발생하게 되어 운전자가 느끼게 되는 변속감을 떨어뜨려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로틀개도를 제어하여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에 따라 TPS(Throttle Position Sensor) 값을 가변시킴으로써, 변속충격을 완화하여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터빈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와; 상기 제1측정단계를 통해 측정된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일정값(A)과 비교하는 제1비교단계와; 상기 제1비교단계에서 상기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이 일정값 보다 큰 경우 스로틀개도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단계와; 상기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와; 상기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일정값(B, C)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TPS 값을 설정하는 산출단계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변속충격을 완화하여 변속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의 상품성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발생하는 변속쇼크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빈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S10)와; 상기 제1측정단계(S10)를 통해 측정된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일정값(A)과 비교하는 제1비교단계(S20)와; 상기 제1비교단계(S20)에서 상기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이 일정값 보다 큰 경우 스로틀개도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단계(S30)와; 상기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S40)와; 상기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일정값(B, C)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TPS 값을 설정하는 산출단계(S50)로 이루어져,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발생하는 변속충격을 완화시키게 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터빈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S10)와,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비교하는 제1비교단계(S20)와, 스로틀개도의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단 계(S30)와, 상기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S40)와, 측정된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에 따라 TPS값을 설정하는 산출단계(S50)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정단계(S10)는 터빈회전수를 측정하는 단계로써, 파워오프 업시프트를 시작하게 된 상태에서의 터빈회전수를 측정하게 된다.
제1비교단계(S20)는 제1측정단계(S10)를 통해 측정되는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검출하되, 상기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일정값(A)과 비교하게 된다.
이때 제1비교단계(S20)를 통해 산출된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이 일정값(A) 보다 크게 산출된 경우에는 다음단계로 진행하게 되며, 크지 않은 경우에는 초기단계로 돌아가게 된다.
제어단계(S30)는 제1비교단계(S20)에서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이 일정값(A) 보다 큰 경우에 한하여 스로틀개도 제어를 실시하게 된다.
제2측정단계(S40)에서는 제어단계(S30)를 거치고 난 다음의 터빈회전수 변화량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제1비교단계(S20)는 제1측정단계(S10)를 통해 측정된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비교하지만, 제2측정단계(S40)에서는 상기 제1비교단계(S20)부터 제어단계(S30)를 지나고 나서 까지의 터빈회전수 변화량을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산출단계(S50)는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일정값(B, C)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TPS(Throttle Position Sensor)값을 설정하게 된다.
이때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일정값(B, C)과 비교하는 산출단계(S50)는 다음과 같이 세분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첫 번째로 제2측정단계(S40)를 통해 측정된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이 일정값(B)보다 크고 일정값(C)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터빈회전수의 변화량과 일정값(B, C)을 비교하는 제2비교단계(S511)를 거쳐 현재의 TPS 값을 유지하도록 하는 TPS 유지단계(S512)로 연결되어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로 제2측정단계(S40)를 통해 측정된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이 일정값(B)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터빈회전수의 변화량과 일정값(B)을 비교하는 제3비교단계(S521)를 거쳐 현재의 TPS 값을 3% 증가시키도록 하는 TPS 증가단계(S522)로 연결되어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 번째로 제2측정단계(S40)를 통해 측정된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이 일정값(C)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터빈회전수의 변화량과 일정값(C)을 비교하는 제4비교단계(S531)를 거쳐 현재의 TPS 값을 3% 감소시키도록 하는 TPS 감소단계(S532)로 연결되어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오프 업시프트 변속시 스로틀개도(S)를 전폐하지 않고,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에 따라 스로틀개도(S)를 제어함으로써, TPS 값을 유지 또는 가감하도록 하여 가변적으로 변속기의 변속충격(C)을 완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제1측정단계(S10), 제1비교단계(S20), 제어단계(S30), 제2측정단계(S40), 산출단계(S50)는 자동설정과 함께 무한루프로 연속 작동되며, 사용자의 조작없이는 종료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은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일정값과 비교하되, 그 결과에 따라 TPS 값을 산출하도록 함으로써, 변속충격을 완화시키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발생하는 변속쇼크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발생하는 변속쇼크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0 : 제1측정단계 S20 : 제1비교단계
S30 : 제어단계 S40 : 제2측정단계
S50 : 산출단계

Claims (4)

  1. 터빈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와;
    상기 제1측정단계를 통해 측정된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일정값(A)과 비교하는 제1비교단계와;
    상기 제1비교단계에서 상기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이 일정값 보다 큰 경우 스로틀개도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단계와;
    상기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와;
    상기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일정값(B, C)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TPS 값을 설정하는 산출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단계는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비교하는 제2비교단계를 거치되, 그 값이 일정값(B) 보다 크고 일정값(C) 보다 작으면 현재의 TPS 값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TPS 유지단계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단계는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비교하는 제3비교 단계를 거치되, 그 값이 일정값(B) 보다 작으면 현재의 TPS 값에서 3% 증가시키는 TPS 증가단계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단계는 터빈회전수의 변화량을 비교하는 제4비교단계를 거치되, 그 값이 일정값(C) 보다 크면 현재의 TPS 값에서 3% 감소시키는 TPS 감소단계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
KR1020070099620A 2007-10-04 2007-10-04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 KR100896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620A KR100896918B1 (ko) 2007-10-04 2007-10-04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620A KR100896918B1 (ko) 2007-10-04 2007-10-04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434A true KR20090034434A (ko) 2009-04-08
KR100896918B1 KR100896918B1 (ko) 2009-05-11

Family

ID=40760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620A KR100896918B1 (ko) 2007-10-04 2007-10-04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9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1029A (zh) * 2020-12-29 2021-03-30 淮阴工学院 一种amt换挡品质评价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1547A (ko) * 2011-09-21 2013-03-29 대동공업주식회사 변속충격 완화를 위한 농작업 차량의 전자식 엔진 rpm 자동증감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342B1 (ko) 1995-12-23 2001-11-22 이계안 자동변속기의파워오프업시프트시변속제어방법
KR100380097B1 (ko) * 2001-05-21 2003-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KR20060108867A (ko) * 2005-04-14 2006-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 차량의 파워 오프 업 시프트 제어방법
JP2007162584A (ja) * 2005-12-14 2007-06-28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1029A (zh) * 2020-12-29 2021-03-30 淮阴工学院 一种amt换挡品质评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6918B1 (ko) 200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5586B2 (ja) エンジン回転数表示装置
US6761664B2 (en) Shift control device and shift control method for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JP5373023B2 (ja) 車両用制御装置
JP6263861B2 (ja)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100896918B1 (ko) 파워오프 업시프트시 변속쇼크 제어방법
JP5820114B2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KR100818672B1 (ko) 사륜구동차량의 4엘모드에서의 자동변속기 변속제어방법
JP4784427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4330952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4821706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08297913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07055320A (ja)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JP2004316845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4400077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507479B1 (ko) 자동 변속기의 정지전 다운 시프트 제어방법
JP5038655B2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車両制御方法
SE517928C2 (sv) Sätt att modifiera växlingspunkterna hos en automatisk transmission
JP2008014254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220066B1 (ko) 자동 변속기의 저속 3-2 변속시 변속 제어방법
KR20020056564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JP5228930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200114B1 (ko) 킥 다운 동작을 위한 유압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556293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JP4650140B2 (ja)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KR20080054719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쇼크 개선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