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317A - 플라스틱 취식용구 세트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취식용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317A
KR20090034317A KR1020087031334A KR20087031334A KR20090034317A KR 20090034317 A KR20090034317 A KR 20090034317A KR 1020087031334 A KR1020087031334 A KR 1020087031334A KR 20087031334 A KR20087031334 A KR 20087031334A KR 20090034317 A KR20090034317 A KR 20090034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ting
utensils
utensil
eating utensils
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1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티엔느 헤르만 월터 브론딜
Original Assignee
디쉬포사블스 인터내셔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NL1031862A external-priority patent/NL1031862C2/nl
Priority claimed from NL1032633A external-priority patent/NL1032633C1/nl
Priority claimed from NL1033065A external-priority patent/NL1033065C1/nl
Priority claimed from NL1033411A external-priority patent/NL1033411C1/nl
Application filed by 디쉬포사블스 인터내셔날 비.브이. filed Critical 디쉬포사블스 인터내셔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90034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6Plates with integral holders for spoons, glas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8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of objects with parts connected by a thin section, e.g. hinge, tear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46Details relating to the filling pattern or flow paths or flow characteristics of moulding material in the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8Tools, e.g. cutlery
    • B29L2031/286Cutl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Domestic articles
    • B29L2031/7404Di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식유닛(3, 4, 5)들과 연결편(6)들을 포함하고, 취식유닛(3, 4, 5)들이 연결편(6)들에 의해 파손가능하게 서로 결합되며, 취식유닛(3, 4, 5)들이 서로에 대하여 비교적 평평한 상태로 포함되고, 하나의 가상평면에 대하여 대체로 교차하도록 된 취식용구 세트(1)이다.
취식유닛, 취식용구, 연결편, 노치, 캠, 스트립, 접힘선, 유동브릿지, 사출성형, 금형

Description

플라스틱 취식용구 세트{SET OF PLASTIC EATING AND/OR DRINKING AIDS}
본 발명을 플라스틱 재질로 된 식사 및/또는 음료용 보조용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소풍이나 바베큐 파티 및/또는 항공기 여행을 할 때에, 각기 별도로 제작된 일회용 나이프/포크 세트와 일회용 접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은 사용하기 이전과 사용한 후에, 접시들과 나이프/포크 세트를 수거하여 함께 보관하여야 하고, 또한 이들은 종종 별도로 저장할 필요가 있다는 결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결점 및/또는 다른 결점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재질의 취식용구 세트로써 해소될 수 있는바,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는 식사 및/또는 음료용 보조용구와 연결편들을 포함하고, 이 식사 및/또는 음료용 보조용구는 연결편들에 의해 깨져서 분리하기 쉽게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취식용구 세트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의 일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c는 2세트의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사출성형공정의 1시점에서 취식용구 세트용 금형의 단면을 상세히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정면도이다.
도 3b는 사출성형공정의 2시점에서 취식용구 세트용 금형의 단면을 상세히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정면도이다.
도 3c는 사출성형공정의 3시점에서 취식용구 세트의 금형의 단면을 상세히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정면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e는 도 3d의 ⅢE-ⅢE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의 평면도 또는 측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 취식용구 세트의 분배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위들에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도면에서 실시예들은 단지 예로써 나타낸 것이다. 취식용구 세트에 사용된 요소들은 단지 예로써 언급된 것이고, 어떤 방식으로든 한정적으로 취급되어져서는 안 된다. 취식용구 세트의 다른 부위들이 본 발명의 구성 내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규모는 대부분이 개략적이고 확대된 것으로서 어떤 방식으로든 한정적으로 취급되어져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사 및/또는 음료용 보조용구의 일시 예를 나타낸다. 이하 설명에서는 식사 및/또는 음료용 보조용구 세트를 간단히 "취식용구 세트"(1)라 칭하기로 한다. 이 취식용구 세트(1)는 취식유닛(3, 4, 5)과 오목부(7)를 갖는 접시(2)를 포함한다. 오목부(7)에는 예컨대 포장 또는 비포장 음식이 제공될 수 있다. 접시(2)의 바깥에는 연결편(6)을 매개하여 취식유닛(3, 4, 5)이 결합되고, 여기서 취식유닛(3, 4, 5)은 스푼(3), 포크(4) 및 나이프(5)로 구성된다.
본 설명에서는 서구 기준에 의하여 통상적인 스푼(3), 포크(4) 및 나이프(5)를 종종 참조할 것이지만, 이에 추가하거나 또는 이를 대신하여 다른 취식 및 /또는 음료용 보조기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취식 및/또는 음료용 보조기구에는 예를 들어, 로고라던가 광고문구 등을 위한 공간과 같은 다른 수단이 분리 또는 파손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취식용구 세트(1)를 사용하고자 할 때, 필요한 취식유닛(3, 4, 5)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연결편(6)들은, 취식유닛(3, 4, 5)이 접시(2)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거의 연결편(6)의 위치 및/또는 그 근처 위치에서 파손될 수 있는 연결을 형성한다. 접시(2) 또는 취식유닛(3, 4, 5)의 재질은 분리가능한 그 어떤 것으로도 할 수 있으나, 각 취식유닛의 기능성은 대체로 유지되어야함을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식유닛(3, 4, 5)은 접시(2) 둘레를 따라 바깥 쪽에 부착된다. 이런 방식으로 해서, 취식유닛(3, 4, 5)은 비교적 쉽게 접시(2)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특별한 실시예들에서, 취식유닛(3, 4, 5)은 2개로 바깥 쪽에 결합되는바, 예컨대 나이프(5)가 접시(2)에 그리고 스푼(3)이 나이프(5)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취식용구 세트(1)는 점선으로 도시된 외부윤곽(C)을 갖고, 이 외부윤곽은 대체로 라운딩처리된 직사각형상을 갖고 있어서, 취식용구 세트(1)가 예컨대, 비교적 작은 빈 공간에 서로 나란히 또는 상하로 겹쳐져서 비교적 용이하게 배치되거나 저장 또는 운반될 수 있다. 다른 형상으로 된 외부윤곽들을 또한 고려할 수 있는데, 예컨대 원형, 타원형, 사다리꼴, 특정한 로고, 상표 및/또는 디자인들을 갖는 외부윤곽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적 작은 빈 공간에 취식용구 세트(1)를 서로 나란히 또는 상하로 겹쳐서 배치하거나 저장 또는 운반하기 위해서는, 취식용구 세트(1)가 서로 서로에 대하여 평평한 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에서 측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포크(4), 접시(2) 및 컵(17)만이 표시된 취식용구 세트(1)는, 점선으로 나타낸 가상적인 교차평면(S)에 대하여 비교적 평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비교적 평평한 위치란 예컨대, 서빙위치 및/또는 놓여지는 위치를 의미한다. 교차평면(S)은 모든 또는 대부분의 취식용구 세트를 교차하므로 취식용구 세트(1)가 비교적 평평한 배치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취식용구 세트(1)의 적재성 즉, 여러 세트를 적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취식용구 세트(1)의 상부면(22)과 하부면(23)은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그 결과, 제1취식용구 세트(1)의 하부면(23)은 제2취식용구 세트(1)의 상부면(22) 상에 꼭 들어 맞는다. 또한, 오목부(7)들은 적재된 취식용구 세트(1)들이 서로에 대하여 흐트러져서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취식용구 세트(1)에 적재엣지(18)들이 갖춰져서 적재된 취식용구 세트(1)들이 서로에 대하여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적재엣지(18)들은, 에컨대 도 2b에 확대도시 된 바와 같이, 가상의 교차평면(S)에 대하여 소정 각도(α)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 각도는, 예컨대 15도 와 89도 사이의 각도이다.
적재성을 유지하면서 예컨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시에 여러 오목부(7a,7b,7c)들이 형성될 수 있다. 컵(17)을 구비한 실시예들에서는 취식용구 세트를 쌓기가 더욱 어렵기 때문에, 적재성을 위하여 취식용구 세트(1)는 컵(17)근처에 특별한 구성으로 된 연결편(6c)이 형성되는데, 즉 제1취식용구 세트(1)의 연결편(6C)은 제2취식용구 세트(1)의 연결편(6C) 위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체 취식용구 세트(1)는 플라스틱, 예컨대 PS(폴리스티렌)으로 사출성형공정에 의해 일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폴리스티렌이 비교적 저렴한 재료이기 때문이다. 또한, 폴리스티렌은 비교적 간단히 생분해될 수 있기도 하다. 그리고 폴리스티렌은 일반적으로 예컨대, 취식유닛(3, 4, 5)이 접시(2)로부터 비교적 간단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강도를 갖는다. 이를 위해 PP(폴리프로필렌) 또한 적합한 재료이다.
예컨대, 사출성형공정에서 하나의 사출지점(8)을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저렴한 제조방식이 얻어지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사출지점(8)은, 적어도 도 1에 도시된 접시(2)의 실시예에서 취식용구 세트(1)의 거의 중심 가까이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하여 사출시에 액상의 플라스틱재료가, 접시(2)에 대응하는 금형의 공간(cavity)부위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으로, 즉 금형공간의 장애물이나 그 통로를 따라 방해물 없이 비교적 균일하게 흐르게 된다. 따라서, 비교적 짧은 사출성형주기 시간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편(6)들은 취식유닛(3, 4, 5)의 선단(3a,4a,5a)에 인접하여 배열된 유동브릿지(flow bridge:6a)들로 설계된다(도 1). 이는, 사출성형공정동안 도 3a 내지 도 3c에서 3단계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액상의 플라스틱(11)재료가 각각의 취식유닛(3, 4, 5)과 대응하는 금형 공간부위(9)를 대체로 한쪽 방향(12)으로 채우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3a는 액상의 플라스틱(11)재료가, 예컨대 접시(2)에 상당하는 금형 공간부위(12)의 중심으로부터 유동 브릿지(6a)에 상당하는 금형 공간부위(13) 방향으로 어떻게 흐르는 지를 보여준다. 도 3b는, 접시 형상의 금형 공간부위(10)가 적어도 대량으로 채워진 후에, 액상의 플라스틱(11)재료가 유동브릿지 형상의 금형 공간부위(13)를 지나 스푼 형상의 금형 공간부위(9)로 어떻게 흐르는지를 보여준다. 도 3c는 액상의 플라스틱(11)재료가 스푼 형상의 금형 공간부위(9)를 따라 채우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11)재료를 대체로 균일한 방향(12)으로 채움에 따라, 스푼 형상의 금형 공간부위(9)가 비교적 균일하게 채워지고, 이는 최종제품의 품질 및/또는 상대적인 균일한 밀도에도 바람직하다. 또한, 비교적 균일한 경화공정이 이루어진다. 만일, 금형 공간부위(9)가 여러 방향에서 그래서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채워진다면, 적어도 최종 제품의 여러 부위들의 밀도가 본 발명의 실시예보다는 균일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유동 브릿지(6a)의 위치는 상기에서 언급된 선단(3a,4a,5a) 가까이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사용자가 취식유닛(3, 4, 5)을 사용할 때, 이 취식유닛(3, 4, 5)을 떼어낸 후에 생기게 되는 파단 점에 의해 덜 방해를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동 브릿지(6a)의 위치를, 사용자의 입 근처가 되는, 예컨대 스푼(3)의 볼록부와 같은 취식유닛(3, 4, 5)의 부위 근처 보다는 손잡이 근처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d는 접시(2)의 바닥에 유동채널(21)이 갖춰진 취식용구 세트(1)를 나타낸다. 접시(2)에는, 사출지점(8)으로부터 예컨대, 유동 브릿지(6a)방향으로 여러 유동채널(21)들이 뻗어 있다. 이들 유동 채널(21)들에 대응하는 금형 공간부위를 통하여, 액상의 플라스틱(11) 재료가 취식유닛(3, 4, 5)에 대응하는 금형 공간부위(9) 방향으로 비교적 빨리 흐를 수 있고, 이들 금형 공간부위(9)가 비교적 빨리 채워질 수 있게 된다. 도 3e는 유동채널(21)의 단면의 상세한 예를 보여준다. 유동채널(21)을 가짐으로해서, 액상의 플라스틱 재료는 유동 브릿지(6a)까지 비교적 자유로운 통로를 찾게 되고 또, 금형 공간부위(9)를 채우는 데보다 적은 또는 아무런 압력상승도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에 반하여, 예컨대 유동채널(21)들을 구비하지않는 접시(2)는, 주어진 순간, 즉 액상의 플라스틱(11)이 유동 브릿지(6a)까지 도달하는 순간에 압력이 상승하는데, 왜냐하면 금형 공간부위(9)가 유동 브릿지(6a)를 따라 여러 방향으로부터 채워지기 때문이다. 유동채널(21)들은 또한 접시(2)에 추가적인 강성을 부여하는 보강 리브로서도 적합하다. 또, 유동채널(21)들은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소스 및/또는 샐러드를 위한 3개의 오목부(7a,7b,7c)가 형성되게 하는 격벽으로서 역할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취식용구 세트(1)는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다중 사출지점(8)들을 갖는다. 따라서, 제조공정에서 여러 부위들은 예컨대 고온의 탕도(runner)들을 사용하여 각각 별도로 사출될 수 있다. 그러한 방식으로 각기 별도로 사출된 부위는 효율적인 방식으로 사출성형 된다. 다중 사출지점(8)들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사출성형공정의 제어가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취식용구 세트(1) 전체에 걸쳐 액상의 플라스틱(11)이 균일하게 흐르거나 분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중 사출지점(8)과 특히 이 다중 사출지점(8)의 위치를 정하는 것 은, 예컨대 부위별로 달라지는 벽두께, 체적, 형상, 색상 및/또는 다른 물성을 갖는 다른 부위들을 적합하게 사출성형하도록 조정된다.
일 실시예는, 두께가 두꺼워지는 위치, 예컨대 접시(2)와 취식유닛(4) 사이의 천이위치, 즉 연결편(6)에 별도의 사출지점(8)을 갖는다. 따라서, 다른 부위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서는, 다른 부위들은 다른 색상으로 설계된다면 유리할 것이다. 예컨대, 취식유닛(3, 4, 5)과 접시(2)가 다른 색상으로 설계되고, 또 취식유닛(3, 4, 5)들도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설계된다. 그러면, 일체로 성형된 취식용구 세트(1)가 실제로 여러 부위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명확히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다른 사출지점(8)들을 사용함으로써 유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출지점(8)들의 위치와 숫자는 기능적인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만일 사출지점(8)이 취식유닛(3)의 선단 가까이에 선정된다면 유리하다. 이는 액상 플라스틱(11)의 유동특성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또한, 다중 사출지점(8)들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구조물이 얻어질 수 있다. 예컨대, 다중 사출지점(8)들에 의해, 연결편(6)에서 파단엣지에 일종의 병목부위가 형성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취식유닛(3, 4, 5)은 접시(2)와 별개로 사출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취식유닛(3, 4, 5)과 같은 여러 부위들의 플라스틱 흐름을 한데 모으고, 또 접시(2)의 플라스틱 흐름이 파단엣지 및/또는 연결편(6)의 위치에 한데 모으도록 생산공정을 세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원하지않는 색상이 잘못된 곳으로 흐르는 일 없이, 각 부위가 다른 색상으로 유리한 방식으로 사출될 수 있다.
다중 사출지점(8)들은 최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데, 예컨대 부위의 사출지점(8)은 파단엣지 및/또는 연결편(6)의 위치로 선택될 수 있어서, 각 부위는 사출지점(8)으로부터 사출된다. 사출지점(8)의 위치에서 예컨대, 파단엣지에 격벽이 갖춰질 수 있는데 즉, 금형에 일종의 임시 폐쇄밸브가 설치되어, 다른 부위들의 색상이 너무 많이 섞이지 않도록 해주게 된다. 이들 격벽들은 사출성형공정의 마지막에만 개방 또는 제거되어 다른 부위들의 플라스틱 흐름과 연결되거나 합쳐지게 된다. 다중 사출지점(8)의 원리는 본 상세설명의 모든 실시예에 원칙적으로 적용된다. 또한, 다중 사출지점(8)을 이용하면, 비교적 짧은 사출성형 사이클시간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취식용구 세트(1)는, 취식유닛(3, 4, 5)을 접시(2)와 결합하기 위하여 체결수단이 구비된다. 취식유닛(3, 4, 5)을 떼어낸 후, 취식용구 세트(1)는 적절한 방식으로 여전히 함께 보관할 수 있고 또, 취식유닛(3, 4, 5)을 떼어내지 않고 분리할 수도 있다. 도 4a는, 체결수단이 스푼(3)을 접시(2)에 연결하기 위하여 이에 대응하는 노치(14a)와 캠(14b)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노치(14a)와 캠(14b)을 사용하기 위하여, 스푼(3)은 화살표 방향(16)으로 떼어낸 후, 노치(14a)가 캠(14b) 주위로 비교적 간단히 미끄러질 때까지 대체로 그 축을 중심으로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일 실시예에서, 노치(14a)가, 예컨대 연결편(6)에 거의 수직으로 위치되어지므로 스푼(3)은 접시(2)와 연결되기 위하여 약 90도로 회전될 필요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 캠(14b)은 2개의 돌출부(15)를 포함하고, 이 캠(14b)이 노 치(14a)내로 미끄러져 들어가면 접시(2)를 스푼(3)에 고정하게 된다. 그러한 노치(14a)들과 캠(14b)들은 비교적 간단히 취식용구 세트(1)와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다른 체결수단들을 고려할 수 있는 데, 예컨대 취식유닛(3, 4, 5)은 도 4b에 되시된 바와 같이, 접시(2)와 결합하기 위하여 클립(14c)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 연결편(6)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종의 캠(14b)역할을 할 수도 있다. 만일, 연결편(6)이 취식유닛(5)에 인접한 파단점(6b)에서 부러져 분리된다면, 남게 되는 연결편(6)의 일부는 노치(14a)와 결합하기 위한 캠(14b)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취식유닛(3, 4, 5)을 접시(2)의 외부와 어느 위치에서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별한 실시예에서는 소스 또는 기타 반찬을 담기 위해 여러 오목부(7a,7b,7c,7d)들이 구비된다. 이들 오목부(7a,7b,7c,7d)들의 전체 또는 일부는 제공된 음식의 신선도 및/또는 위생 유지를 위하여 커버 필름(26) 또는 다른 커버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취식유닛(3, 4, 5, 19)의 선단에는 유동브릿지(6a)가 구비되어 대체로 일방향(12)의 액상의 플라스틱 흐름이 얻어진다. 취식유닛(3, 4, 5, 19)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술 된 바와 같이, 이는 취식용구 세트(1)의 취식유닛(3, 4, 5, 19)의 견고성을 위하여 바람직해서, 취식유닛(3, 4, 5, 19)은 그 자체를 부러뜨리지않고 비교적 쉽게 스트립(20)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공정을 위하여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취식유닛(3, 4, 5, 19)이 다소간 '부채꼴 형상'으로 배열된다. 이는, 취식유닛(3, 4, 5, 19)의 중심선(M)이 대체로 한 지점으로부터 연장하여 다른 중심선에 대하여 비교적 작은 각도, 예컨대 약 3°내지 20°각도(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이 지점은 예컨대, 사출지점(8) 근처가 될 수 있고, 이로써 균일하면서도 직접적으로 액상의 플라스틱 흐름이 촉진될 수 있다. 사출지점(8)은 예컨대, 유동브릿지(6a)를 서로 연결하고 또 로고와 같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 스트립(20)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 취식유닛(3, 4, 5)은 하나의 유동브릿지(6a)에 함께 결합되지만, 취식용구 세트(1)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추가적인 유동브릿지(6a)가 갖춰질 수가 있다. 여기서, 유리한 흐름방향(12)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11a는 취식유닛(3, 4, 5)이 로고가 새겨진 스트립(20)에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트립 내에는 예컨대 이쑤시개와 같은 다른 취식 보조구가 유동브릿지(6a)에 의해 갖춰질 수 있다. 스트립(20) 대신에, 취식유닛(3, 4, 5)은 연결편(6)/유동브릿지(6a)에 의해 로고 없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스트립(20)은 또한 직사각형 이외의 모든 종류의 형상을, 예컨대 로고 또는 마스코트와 같은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플라스틱 성형공정이 막 끝난 후, 취식유닛(3, 4, 5)과 스트립(20)은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된다. 취식유닛(3, 4, 5)은 스트립(20)주위에 서로 대향 되게 배열되는 데, 환언하면 이들은 서로 정렬되어 연장한다. 따라서, 사출지점(8)은 거의 중앙 및/또는 스트립(20) 상에 위치하여, 액상 플라스틱의 흐름 방향(12) 은 안쪽으로부터 바깥으로 지향되고, 취식유닛(3, 4, 5)을 통해 그리고 유동브릿지(6a)를 따라 안내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중 사출지점(8)들은 취식유닛(3, 4, 5)의 여러 다른 위치에서 유동브릿지(6a) 근처 및/또는 취식유닛(3, 4, 5)의 선단 가까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중 사출지점(8)들은 취식유닛(3, 4, 5) 및/또는 스트립(20)을 다른 색상으로 사출성형할 수 있게 해준다.
취식용구 세트(1)가 성형된 후에, 취식유닛(3, 4, 5)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선(V)을 경계로 안쪽으로, 즉 R방향으로 약 90도 각도로 함께 접어줌으로써 모아질 수 있다. 접힘선(V)은 예컨대, 연결편(6) 및/또는 스트립(20)상에 또는 그 근처에 구비된다. 안쪽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취식용구 세트(1)는 비교적 컴팩트해져서 포장재 및/또는 필름으로 포장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취식유닛(3, 4, 5) 사이에는 예컨대 냅킨이라던가 사용 설명서 등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취식 용구 세트(1)는 또한 후추 및/또는 소금, 설탕 병과 같은 다른 물건들과 함께 포장될 수도 있고, 포장 후 전체가 밀봉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접힘 동작 및/또는 포장동작은 기계화될 수 있어서, 종래 비교적 많은 작업자가 필요하던 일회용 취식유닛의 포장방법에 비하여 큰 이점이 얻어진다. 이는 예컨대, 종래의 항공기 기내식용 일회용 취식유닛의 밀봉포장 작업의 경우이다.
취식유닛(3, 4, 5)의 바람직한 구성은 선택될 수 있고, 예컨대 접혀진 취식유닛(3, 4, 5)의 구성 역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윈칙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c 및 도 11d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1c는 취식유닛(3, 4, 5)이, 스트립(20)의 상부 및 바닥부로부터 서로 나란히 대향 되게 연장하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스트립(20)의 상부 및 바닥부 상에는 단지 2개의 접힘선(V)만이 스트립을 따라 사용되고 있다. 한쪽의 스푼(3)과 다른 쪽의 포크(4) 및 나이프(5)가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R방향으로 안쪽으로 접혀질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취식유닛(3, 4, 5) 사이에는 냅킨이 꽂혀질 수 있어서 취식용구 세트(1)가 비교적 간단히 포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모든 취식유닛(3, 4, 5)들은 한쪽에서 스트립(2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접힘선(V)은 스트립(20)을 따라 형성되지않고 스트립(20)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가 도 11e에 도시되어 있는데, 하나의 접힘선(V)이 거의 2개의 스푼(3) 사이를 가로질러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예컨대 스트립(20)에 걸쳐 3개의 접힘선(V)들이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접힘선(V)들은 취식유닛(3, 4, 5)의 연장부들 사이로 연장된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예컨대 적어도 2개의 취식용구 세트(1)의 적어도 2개의 스트립(20)들을 파손가능하게 서로 연결함으로써 적어도 2개의 취식용구 세트(1)를 동시에 (사출) 성형하는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다른 취식용구 세트(1)들의 스트립(20)들 사이에 유동브릿지(6a)가 존재하게 된다. 취식용구 세트(1)들은 포장하기 전에 떼어 분리될 수 있다. 도 11e에 따른 실시예에서, 다른 취식용구 세트(1)들이 스트립(20)의 짧은 또는 긴 쪽을 따라 분리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 사용하기 위하여, 취식용구 세트(1)는 포장으로부터 꺼내어(만일 포장되어 있다면), 스트립(20)의 연결편(6)들을 따라 분리하여 사용하게 된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취식유닛(3, 4, 5)과 스트립(20)은 체결요소(14a,14b)들을 각각 구비한다. 체결요소(14a,14b)들은 취식유닛(3, 4, 5)과 스트립(20)에 갖춰져서 이들과 협동하거나, 또는 각각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예컨대,취식유닛(3, 4, 5)은 클립(14a)을 구비하고서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2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트립(20)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통해 취식유닛(3, 4, 5)이 형성되는 절개부 형태로 된 체결요소(14b)들을 구비한다. 체결요소(14a 및/또는 14b)들은 예컨대 절개부, 클립, 캠 등과 같은 다른 형태를 취하면서 서로 협동하거나 협동하지않을 수도 있다. 그러한 체결요소(14a,14b)들의 도움으로, 취식유닛(3, 4, 5)들을 떼어 분리한 후, 시식세트(1)들을 함께 포장하거나 또는 재포장할 수도 있다.
스푼(3), 포크(4) 및 나이프(5)로 된 취식유닛(3, 4, 5)에 추가하여, 이쑤시개, 젓는 스푼/티스푼, 젓가락, 빨대, 컵, 사발, 디저트용 접시 등과 같은 취식용구들과 같은 다른 수단들도 더할 수 있고, 장식품, 마스코트, 광고, 게임, 상품권 등도 추가할 수 있다. 취식유닛(3, 4, 5)에 대한 상기 설명에서 기재된 기능성은 본 구절에서 언급된 수단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이 기능성은 물론 당업자에 의해 별개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초밥접시(2)의 한쪽에는 여러 개의 이쑤시개가 구비될 수 있다.
취식용구 세트(1)가 시리즈로 제조되기 전에, 각각의 취식용구들을 위한 공간들을 갖는 금형부위들은 바꿀 수 있다. 예컨대, 나이프(5)용 공간을 갖는 금형부위는, 접시(2)용 금형부위를 동일하게 유지한 상태로 스푼(3)용 공간을 갖는 금형 부위와 바꿀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취식용구 세트(1)의 모든 종류의 조립체들은 원칙적으로, 여러 교환가능한 금형부위들로 구성되는 하나의 모듈식으로 구성가능한 금형으로써 적용할 수 있다. 그러한 교환가능한 금형부위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인서트'라고 불리운다.
물론, 유동브릿지(6a) 대신에 본 발명의 테두리 내에서 다른 연결편(6)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취식유닛(3, 4, 5) 및/또는 접시(2)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스트립, 즉 오목한 재료를 연결편(6)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취식유닛(3, 4, 5)은 접시(2)로부터 찢어질 수 있고, 나아가서 구멍들이 사용될 수 수 있다.
예컨대, 위생 또는 공공 목적으로 취식용구 세트(1)는, 바람직하게는 살균포장 예컨대 투명필름으로 하나씩 또는 복수로 적층하여 포장될 수 있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취식용구 세트(1)는 예컨대 채워지거나 비어있는 오목부(7, 17)들을 덮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커버 필름(26)이 갖춰진다. 그러한 필름(26)은 용융공정에 의해 취식용구 세트(1)와 접착되거나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취식용구 세트(1)를 제조하는 동안에 취식용구 세트(1)와 일체로 라벨(30)이, 예컨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위 금형 내 라벨(In-mold label)이 성형 된다. 사출성형 금형과 같은 금형에서 라벨(30)이 제품과 일체로 성형 되는 공정은, 국제특허공보 WO 01/17744로 공지되어 있고, 그 내용은 본 발명에서 참조로 통합된다. 그러한 방식에서, 라벨(30)은 접시(2), 스트립(20) 및/또는 취식유닛(3, 4, 5)에 갖춰질 수 있다. 라벨(30)은 광고 및/또는 정 보와 같은 전달문구를 포함한다. 금형 내 라벨(30)의 이점은, 취식용구로 취식용구 세트(1)를 사용할 때, 라벨(30) 자체가 원칙적으로 음식 또는 음료에 의해 영향을 받지않거나 또한 그들과 섞이지 않음으로써, 위생상태가 유리한 상태로 유지된다는 것이다. 또한, 인쇄내용도 적절하게 오랫동안 보여질 수 있다. 이는 금형 내 라벨을 사용함으로써, 라벨(30) 위로 얇은 플라스틱 층이 덮여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금형 내 라벨(30)을 갖는 취식용구 세트(1)는 비교적 저렴하고도 효율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벨(30)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20) 및/또는 접힘선(V) 너머로 연장한다. 예컨대, 라벨(30)은 적어도 취식유닛(3, 4, 5) 부위 너머로 더 연장한다. 이는, 무엇보다도 취식유닛(3, 4, 5) 및/또는 이쑤시개와 같은 취식용구가 접힘선(V) 너머로 굽혀질 때, 취식용구 세트(1)가 라벨(30)에 의해 연결편(6)에서 곧게 펴진다는 이점이 있다. 굽혀짐으로써 라벨(30)은, 그 주위에 형성된 플라스틱이 적어도 연결편(6)에서 쪼개질 때, 스트립(20)과 취식유닛(3, 4, 5) 사이의 연결을 펴주게 된다. 여기서, 라벨(30)은 비교적 유연한 연결을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취식용구 세트(1)에 비교적 저렴하고 사용상 이점이 있는 폴리스티렌을 사용함으로써, 플라스틱은 굽혀줌에 따라 간단히 부서지게 된다. 따라서, 라벨(30)은, 적절하게 폴리스티렌으로 제조된 연결편(6)을 국부적으로 강화시키게 되고, 취식유닛(3, 4, 5)은 접힘선(V)너머로 간단히 굽혀진다.
굽혀진 후에, 아직 부러지지않았거나 찢어지지 않은 라벨(30) 및/또는 라벨(30)에 또는 그 가까이로 연장하는 아직 부러지지않은 플라스틱은, 취식유닛(3, 4, 5)과 스트립(20)을 함께 보유지지한다. 최종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때, 라벨(30)을 찢어줌으로써 취식유닛(3, 4, 5)을 스트립(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의 원칙에 따른 금형 내 라벨(30)의 사용은 시식세트(1)의 제조 및/또는 포장공정을 단순화시킨다. 여기서, 취식용구 세트(1)는 폴리스티렌으로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취식용구 세트(1)는 금형 내 라벨(30)에 의해 정보를 갖는데, 예컨대 취식용구 세트(1)의 생산자 및/또는 배포자와는 관련이 없는 광고 또는 다른 의사소통 정보를 구비한다. 이는 무엇보다도 취식용구 세트(1)가 음식제공회사, 항공회사 또는 다른 회사들에 의해 배포되기 때문에, 취식용구 세트(1)는 최종 사용자의 요구 수량을 만족시킬 수 있고 또한 특정한 목표그룹에 특별히 맞춤식으로 접근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정보는, 취식유닛(3, 4 및/또는 5)을 떼어낼 때마다, 그 어떤 추가적인 노력이 없이도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 반복적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취식용구 세트(1)의 정보소통 효과는 양과 질적으로 좋은 정보전달이 된다. 예컨대, 비행기내 사용에서 사용자는 종종 주의력이 흐트러짐이 없이 앉은 위치에서 또 비교적 갇혀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사용자는 비교적 방해받음이 없이 의사소통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금형 내 라벨(30)을 제공하는 원칙은 파손할 수 없는 요소들을 갖는 다른 접시나 취식용구를 갖는 별도의 발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라벨(30)은 광고문구 또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또 이 라벨(30)은 접시(2) 및/또는 스트립(20) 상에 구비된다. 예컨대, 브랜드명 같은 것은 접시(2)상에 광고가 되는데, 이 브랜드명은 적어도 관련된 제 3자에 의해 관리된다. 이 제 3자는, 예컨대 생산자 또는 배포자가 아니다. 한편, 다른 제 3자에 관련된 다른 메시지가 배포자에 의해 배포될 수 있다. 또, 특별한 배포자를 통하여, 제 3자는 목표그룹에 특별히 접근할 수 있다. 생산자, 예컨대 사출성형제조자는 제 3자 및/또는 배포자로부터 광고문구를 디지탈 형태로 받을 수 있다. 이는 적절하게 통신네트웍으로 이루어진다.
배포자는 취식용구 세트(1)를 특별한 소비자에게 배포할 수 있는데, 배포자는 과거에도 그랬듯이 제 3자에게 취식용구 세트(1)의 특별한 영역, 예컨대 접시(2) 및/또는 스트립(20)을 광고공간으로 판매하거나 임대할 수 있다. 이 제 3자는 이러한 소비자, 예컨대 특별한 목표그룹에 접근함으로써 이익을 얻게 된다. 취식용구 세트(1)는 특별한 광고문구를 특별한 숫자 및/또는 특별한 기간 동안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생산자는 배포자 및/또는 다른 제3자의 요구에 따라 금형 내에서 라벨(30)을 비교적 간단히 조정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취식용구 세트(1)의 배포방법을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단계 32에서, 배포자(31)는 생산자(33)에게 통신네트웍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이 정보는 라벨(30)에 의해 취식용구 세트(1) 상에 구비된다. 정보는,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제 3자 또는 배포자(31)에게 관련된다. 자동 또는 반자동 방식으로 원하는 소통정보가 취식용구 세트(1)상에 갖춰지거나 또는 라벨(30)로써 생산자에 의해 취식용구 세트(1)에 일체로 성형 되며, 취식용구 세트(1)의 원하는 수량은 단계 34에서 배포자(31)에게 전달된다. 그 다음, 배포자(31)는 단계 36에서 소비자(35), 바람직하게는 원하는 목표그룹에게 취식용구 세트(1)를 배포한다. 목표그룹은 취식용구를 사용하고, 또 사용 후에는 원칙적으로 이를 폐기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1회용 취식용구가 정보전달용으로 위생적으로 사용되고, 또 폴더와 같은 별개의 추가 부위가 갖춰질 필요가 없는 정보유통시스템이 만들어진다. 예컨대, 폴더와 같은 부위와 대비하여, 폐기되어져야 할 재료 자체는 정보/소통 전달용으로 사용된다. 이는 원칙적으로, 그러한 정보를 폴더에 넣어 전달함으로써 단지 추가적인 쓰레기를 생성하는 방식보다 훨씬 바람직하다. 도식적인 예에서, 배포자(31)는 항공회사, 생산자(33)는 사출성형제조자, 그리고 제 3자는 예컨대 각 목적지에서의 관광 볼거리이며, 소비자(25)는 항공기 승객을 포함한다.
오목부(7, 17) 위에 커버요소(26)를 구비함으로써, 취식용구 세트(1)는 추가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 형태로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7a-c)는 특별한 음식(27)을 담고 있고, 그 위에는 커버필름(26) 또는 다른 형태의 커버필름이 갖춰진다. 예컨대, 이러한 방식으로 스푼(3), 나이프(5) 및/또는 포크(4)가 부착된 디저트 접시와 같은 접시가 얻어진다. 또한, 오목부(7a-c)마다 재료나 메뉴가 담겨진 음식(27)이 포장될 수 있다. 커버필름(26)을 갖는 취식용구 세트(1)는 음식(27)이 채워진 상태로 배열될 수 있어서, 냉동고, 냉장실 및/또는 전자렌지에 넣거나 예컨대 음식(27)용 냉동창고, 냉장 및/또는 준비창고에 각각 위치시키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취식용구 세트(1)는, 취식용구로 적합하고, 또 미리 만들어진 음식(27) 포장으로도 적합하다.
필름(26) 대신에 다른 커버 요소들이 적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도 10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취식용구 세트(1)를 다시 열고 덮기에 적합한 뚜껑(26) 및/또는 커버요소(26)가 포장으로 적합할 수 있다. 그러한 커버요소(26)는 적절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예컨대 일체로 또는 별개로 형성된 (필름)힌지와 같은 연결부(28)가 될 수도 있고, 또 달리 적절하게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취식용구 세트(1)는 커버요소(26)를 포함하여 성형,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으로 적절하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컨대 취식유닛(3, 4, 5) 또는 그 부분은 커버요소(26)에 합체되어져서, 그 소요공간이 절약된다. 취식유닛(3, 4, 5)은 파손엣지(6c)를 사용하여 누르거나 당겨줌으로써 커버요소(26)로부터 꺼낼 수 있다. 물론, 다른 취식용구가 접시(2)에 연결되더라도 취식유닛(3, 4, 5)과 같은 취식용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뚜껑(26)에 합체될 수 있다.
접시(2)의 포장 실시예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들은, 스프, 우유제품, 미리 준비된 음식 등 및/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재료를 포함한다. 커버요소(2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물론 취식용구 세트(1)는 하나 이상의 커버요소(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요소(26)를 분리한 후, 취식용구 세트(1)는 커버요소(26)가 제거된 다른 취식용구 세트(1)와 포개어 적재할 수 있다.
접시(2)는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시, 서빙접시 또는 시이트 등을 의미한다. 또, 몇몇 구성 및 수량에 있어서 초밥접시, 바베큐소스 등을 위한 부위/오목부(7)가 구비될 수도 있다. 품질 및/또는 형태에 관한 요구조건에 따라, 취식용구 세트(1)에 다중사출지점(8)이 사용될 수 있다.
취식용구 세트(1)의 가능한 사용처는, 배타적인 것은 아니지만 상업용 항공사, 바베큐, 파티, 연회 등이다. 또한, 취식용구 세트(1)는 음식 또는 음료와 함께 또는 홀로 기계에 의해 분배될 수 있는 분배기, 예컨대 전자적으로 또는 동전으로 특정금액을 투입하여 지불한 후에 이용하는 자판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취식용구 세트(1)는 취식유닛(3, 4, 5)이 접시에 결합되게 하는 체결수단(14)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로써 파손가능한 연결편(6)들이 반드시 구비되지 않아도 취식유닛(3, 4, 5)이 접시에 결합되게 된다. 취식유닛(3, 4, 5)이 체결수단(14)에 의해 서로 연결되지만, 취식유닛(3, 4, 5) 및/또는 체결수단(14)을 포함하는 이러한 플라스틱 취식용구 세트(1)는 독립한 발명으로 생각된다. 여기서, 취식유닛(3, 4, 5)은 접시(2)의 바깥에서 바람직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나중에 결합되도록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8은 취식용구 세트(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 취식유닛(3, 4, 5)의 노치(14A1)는 비연속적이다, 즉 바닥(14A2)을 갖는다. 이는, 노치(14A1)를 비연속적으로 설계함으로써 보다 많은 유동공간이 얻어지기 때문에, 유동브릿지(6a)를 통과한 후 플라스틱 흐름은 노치(14A1)를 따라 각 취식유닛(3, 4, 5)으로 더 간편하게 흐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만일, 노치가 연속되면, 각 노치(14A1)를 채우는 금형부위가 일종의 댐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각 취식유닛(3,4,5)이 곧 뒤틀리게된다. 나아가서 구조도 국부적으로 강도를 잃게 된다. 노치(14A1)가 전체적으로 연속되지 않기 때문에 플라스틱은 노치(14A1)를 따라 비교적 더 쉽게 흐를 수 있고, 보다 더 균일한 분배가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비연속적인 노치(14A1)는 파손된 후에는 캠(14B)과 결합되도록 되어있다. 캠(14B)은 노치(14A1) 내로 돌출하고, 캠은 예컨대, 돌출부(15)를 구비하므로 캠(14B)이 이 노치(14A1) 내에서 어느 정도 고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돌출부(1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14B)의 평면에 수직 되게 위쪽으로 연장한다.
또한, 취식용구 세트(1)의 일 실시예는, 홀더(24) 및/또는 유리잔 홀더(25)들을 구비한다. 홀더(24)들이 갖춰져서, 예컨대 취식유닛(3, 4, 5), 쇠꼬챙이, 꼬치 또는 유사한 긴 음식보조구들이 거기에 부분적으로 놓여질 수 있다. 이러한 홀더(24)들은 노치로 설계되어 접시(2)의 가장자리에 배열되어져서, 이들 보조구들이 그 선단들이 이에 안착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원칙에 따라 접시(2)의 가장자리에 유리잔 홀더(25)가 배열된다. 이 유리잔 홀더(25)는, 예컨대 이를 통해 유리잔의 바닥이 안내될 수 있는 통로(25a)와, 유리잔의 구형 부위가 안착될 수 있는 링 형상의 지지부(25b)를 구비한다. 이러한 유리잔 홀더(25)들은 와인 잔에 특히 적합하고, 다른 유리잔, 칼 종류, 고기가 끼워진 꼬챙이 등과 같은 다른 요구들을 걸거나 지지하기에도 적합하다.
상술 된 변형예 및 많은 유사예 및 이들의 조합이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물론, 이들의 다른 실시예 및/또는 조합의 다른 관점은 서로 결합되고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교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 된 실시예들에게만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34)

  1. 취식용구와 연결편들을 포함하고, 취식용구가 연결편들에 의해 파손가능하게 서로 결합된 플라스틱 취식용구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식용구가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평평한 상태로 포함되고 하나의 가상적인 교차평면을 가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식용구 세트(1)의 적어도 상부 및 바닥부가 서로 그 위에 겹쳐 적층 할 수 있도록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고, 취식용구 세트의 적어도 일부가 교차평면에 대하여 15-89도 각도로 접시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적재엣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식용구가 적어도 하나의 접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식용구가 적어도 하나의 포크, 나이프 및/또는 스푼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취식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6. 제4항 및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취식유닛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취식용구가 바깥에서 접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식용구가, 이 취식용구를 분리가능하게 서로 연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캠과 노치 및 파손되는 엣지를 구비하고, 파손엣지는 취식용구의 캠을 다른 취식용구와 파손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취식용구는 노치를 구비하고, 상기 캠이 취식용구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노치에 삽입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취식유닛은 노치를 포함하고 접시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비연속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식용구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취식용구 세트의 사출지점이, 취식용구의 바깥 및/또는 중심 가까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취식용구를 위하여 적어도 2개의 사출지점들이 갖춰지고, 이를 통해 별개의 부분들이 별도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편으로부터 및/또는 그로 연장하는 유동채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취식유닛과, 유리잔 및/또는 다른 취식용구를 위한 홀더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16. 제5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편은, 취식유닛 및/또는 다른 취식용구의 손잡이 선단 가까이에 위치된 유동브릿지를 포함하고서, 플라스틱이 각각의 취식유닛 및/또는 다른 취식용구에 상당하는 금형공간 부위를 대체로 한 방향으로 채우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취식유닛 및/또는 취식용구들이 스트립으로 연결되고, 취식유닛 및/또는 취식용구들이 교차평면을 가로지르며, 취식유닛 및/또는 취식용구들의 중심선들이 대체로 서로를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사출지점이 스트립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선들이 대체로 상기 사출지점을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편 및/또는 스트립은, 부러뜨리지 않고 취식용구를 거의 90도로 접어주기위한 접힘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립은 금형에 일체로 성형된 라벨을 포함하고, 이 라벨은 적어도 스트립의 연결편들과 취식유닛 너머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접혀지기 전에, 적어도 2개의 취식용구들이 서로 정렬되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식용구는 접혀진 상태로 포장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식용구 세트는 라운딩된 코너들을 갖춘 대체로 사각형상의 외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 내부에 적어도 2개의 오목부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에 적어도 하나의 커버요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26. 제25항에 있어서, 커버요소는 필름힌지에 의해 접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취식용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요소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고, 또 이 취식용구는 커버요소내에 갖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취식용구 세트의 접시 및/또는 스트립에 금형 내 라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취식용구 세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취식용구 세트는 사출성형으로 제조되고, 적어도 2개의 파손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취식용구들은 적어도 2개의 사출지점을 매개하여 사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의 제조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취식용구 세트가 고온의 탕도들에 의해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의 제조방법..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취식용구 세트의 사출지점 가까이 및 파손되는 엣지 근처에서 금형에 격벽이 갖춰지고, 이 격벽은 사출성형공정이 끝나기 바로 직전에 제거되어져 다중 유동흐름이 서로 접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의 제조방법.
  32. 제29항 또는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형은 교환가능한 금형부위들을 포함하고, 이 교환가능한 금형부위들이 취식용구를 위한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의 제조방법.
  33. 제29항 또는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취식용구는 사출금형에, 사출 성형공정 동안 라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의 제조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라벨은 취식용구의 사출성형제조자와는 관계가 없는 광고소통문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식용구 세트의 제조방법.
KR1020087031334A 2006-05-23 2007-05-23 플라스틱 취식용구 세트 KR200900343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31862 2006-05-23
NL1031862A NL1031862C2 (nl) 2006-05-23 2006-05-23 Kunststoffen eet en/of drinkhulpmiddelenset.
NL1032633A NL1032633C1 (nl) 2006-05-23 2006-10-05 Kunststoffen eet en/of drinkhulpmiddelenset.
NL1032633 2006-10-05
NL1033065A NL1033065C1 (nl) 2006-05-23 2006-12-15 Kunststoffen eet en/of drinkhulpmiddelenset.
NL1033065 2006-12-15
NL1033411A NL1033411C1 (nl) 2006-05-23 2007-02-16 Kunststoffen eet en/of drinkhulpmiddelenset.
NL1033411 2007-02-16
NL1033488A NL1033488C2 (nl) 2006-05-23 2007-03-05 Kunststoffen eet en/of drinkhulpmiddelenset.
NL1033488 2007-03-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317A true KR20090034317A (ko) 2009-04-07

Family

ID=38521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334A KR20090034317A (ko) 2006-05-23 2007-05-23 플라스틱 취식용구 세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90200315A1 (ko)
EP (1) EP2028980A2 (ko)
JP (1) JP2009538177A (ko)
KR (1) KR20090034317A (ko)
AU (1) AU2007252331A1 (ko)
CA (1) CA2653130A1 (ko)
MX (1) MX2008014934A (ko)
NL (1) NL1033488C2 (ko)
WO (1) WO200713626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60413A (en) * 2008-05-28 2009-12-02 Gavin Reay Biodegradable cutlery, cups and plates with a plant seed retained within its structure
WO2009156855A2 (en) * 2008-06-27 2009-12-30 Gavin Reay Biodegradable article with embedded seed
US20120097571A1 (en) * 2009-05-22 2012-04-26 Suncirc, Llc Food Packaging System with Separable Food Utensils
CL2009001597A1 (es) * 2009-07-15 2009-11-06 Simplo S A Conjunto de utensilios de alimentacion configurado a partir de una superficie rigida laminar, el cual evidencia su utilizacion previa, a traves del desprendimiento intencional de sus partes, que comprende tres o mas utensilios de uso cotidiano y reconocibles, ubicados solidariamente y sustancialmente en un unico plano.
WO2011153116A2 (en) * 2010-05-29 2011-12-08 Jackson Crisp Food container incorporating oral facility
EP2579751A4 (en) * 2010-06-08 2013-10-23 Dixie Consumer Product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CUTLERY
US20120248124A1 (en) * 2011-03-30 2012-10-04 Louis John Mitri Disposable plates and bowls with attached utensils
PL213586B1 (pl) * 2011-11-29 2013-03-29 Zielinski Antoni P P H Zelan Zpchr Sposób wytwarzania i pakowania zestawów sztucców jednorazowego uzytku
US20140033540A1 (en) * 2012-07-31 2014-02-06 Michael Pinkus Disposable eating utensil set
USD793815S1 (en) * 2015-10-08 2017-08-08 Kyle Donovan Plate
US10633155B2 (en) * 2017-04-11 2020-04-28 Inno-Pak, Llc Disposable food container with utility lid
WO2019005873A1 (en) * 2017-06-27 2019-01-03 Brett Goldberg DISPOSABLE CLEANING UTENSILS MAY BE INCORPORATED IN BOXES AND CONTAINERS AND METHODS OF CREATING DISPOSABLE CLEANING UTENSIL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3011A (en) * 1952-11-12 1956-04-24 Brown & Bigelow Display article
US3136416A (en) * 1961-11-22 1964-06-09 Dapol Plastics Inc Package for plastic articles
US3456301A (en) * 1967-05-10 1969-07-22 Peter J Morroni Mold having complemental non-planar mating areas for parting surfaces between the mold cavities
US3565245A (en) * 1968-11-21 1971-02-23 William H Asher Combination food container and utensil
GB1224125A (en) * 1969-07-30 1971-03-03 Bernard Bouchet Meal tray
CH536097A (de) * 1970-01-30 1973-04-30 Ego Werke Wegwerf-Essgarnitur
US3894655A (en) * 1974-06-06 1975-07-15 Ethyl Dev Corp Plastic container
US4006879A (en) * 1976-04-22 1977-02-08 Morroni Peter J Degating
FR2592571A1 (fr) * 1986-01-06 1987-07-10 Dessiplast Sarl Assiette, verre, couverts solidaires jetables.
US5222622A (en) * 1992-07-01 1993-06-29 Laske Jr Lawrence L Detachable connection between a container and a utensil
US5695084A (en) * 1994-11-04 1997-12-09 Chmela; John F. Disposable one-piece container closure and eating utensil
JPH09124044A (ja) * 1995-10-30 1997-05-13 Toppan Printing Co Ltd 取り出し具付複合容器
JPH10278962A (ja) * 1997-04-04 1998-10-20 Ryoko Yamase 包装容器用内容物取り出し具の取付け構造
GB9911332D0 (en) * 1999-05-17 1999-07-14 Barnes Susan Food container
ES2241638T3 (es) * 1999-08-20 2005-11-01 Fountain Technologies B.V. I.O.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fabricar productos y colocar etiquetas en un molde.
JP2004261337A (ja) * 2003-02-28 2004-09-24 Yoshino Kogyosho Co Ltd 食卓用器具複合体
DE202004008669U1 (de) * 2004-05-29 2004-09-02 Breuer, Carsten Speisenbehä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52331A1 (en) 2007-11-29
WO2007136267A3 (en) 2008-06-05
JP2009538177A (ja) 2009-11-05
NL1033488C2 (nl) 2007-11-26
US20090200315A1 (en) 2009-08-13
MX2008014934A (es) 2009-05-15
WO2007136267A2 (en) 2007-11-29
CA2653130A1 (en) 2007-11-29
EP2028980A2 (en)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4317A (ko) 플라스틱 취식용구 세트
NL1031862C2 (nl) Kunststoffen eet en/of drinkhulpmiddelenset.
US20090294454A1 (en) Utensil shaped container
US20060101648A1 (en) Disposable spoon
EP1831085B1 (en) Utensil shaped container
WO2000069728A2 (en) Food container
US9888797B2 (en) Dual-purpose dispensing container and utensil
US20080308584A1 (en) Article For Moving a Medium to be Eaten and/or Drunk
KR100821874B1 (ko) 내용물 분할형 컵
JP3163356U (ja) 紙コップ用の蓋体
NL1033411C1 (nl) Kunststoffen eet en/of drinkhulpmiddelenset.
NL1033995C1 (nl) Kunststoffen eet en/of drinkhulpmiddelenset.
NL1033065C1 (nl) Kunststoffen eet en/of drinkhulpmiddelenset.
KR200434078Y1 (ko) 내용물 분할형 컵
CN110436011A (zh) 包装
NL1032633C1 (nl) Kunststoffen eet en/of drinkhulpmiddelenset.
KR100541265B1 (ko) 적층이 가능한 2분할 음료용기
KR200475108Y1 (ko) 포개어서 복수개의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
KR100718599B1 (ko) 소스수용구조를 갖는 위생적인 튀김수용용기
KR20190003085U (ko) 테이크아웃용 컵 뚜껑
KR200484021Y1 (ko) 감자 튀김 포장용 용기
WO2009054675A2 (en) Foldable cup
WO2013157970A1 (en) Container for attachment to a plate
WO2020159462A1 (en) A supplementary equipment structure for food packaging
JP3097599U (ja) 包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