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142A - 휴대용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142A
KR20090034142A KR1020070099356A KR20070099356A KR20090034142A KR 20090034142 A KR20090034142 A KR 20090034142A KR 1020070099356 A KR1020070099356 A KR 1020070099356A KR 20070099356 A KR20070099356 A KR 20070099356A KR 20090034142 A KR20090034142 A KR 20090034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lot
main body
portab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준
이용휘
전영목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9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4142A/ko
Publication of KR20090034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된 메인 바디; 일단면에 배터리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 바디와 결합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를 상기 메인 바디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락킹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슬롯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 장치에 의해 상기 메인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메인 바디의 일단면에 위치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통신 장치는 배터리를 간편하게 착탈시키면서 배터리의 실장 공간을 늘리고, 아름다운 외관을 제공하는 것을 구현한다.
배터리, 슬롯, 락킹 장치

Description

휴대용 통신 장치{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탈되는 배터리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상대방과의 음성 및 단문 메시지의 송수신을 비롯하여 무선 인터넷, 음악 및 동영상 파일 재생, 텔레비전 방송 서비스 등을 구현하여 점차 다기능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휴대용 통신 장치의 사용이 보편화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통신 장치는 다양한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아울러, 휴대용 통신 장치는 점차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 되어가는 추세에 있다.
한편, 휴대용 통신 장치는 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배터리를 구비한다. 휴대용 통신 장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후면에 착탈되는 형태이다. 최근에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디자인 측면이 중요하게 고려되어, 배터리와 별도로 휴대용 통신 장치의 디자인을 고려한 형상을 가진 배터리 커버가 제작되고 있다. 배터리 커버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장착된 배터리를 수용하면서 결합되어 그 외관을 형성하고 배 터리를 보호한다.
그러나, 배터리는 배터리 커버에 수용되어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장착됨에 따라 배터리 커버를 열고 배터리를 분리하는 과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터리를 착탈하는 과정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배터리와 별도인 배터리 커버로 인해,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 배터리를 실장하기 위한 공간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터리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후면에 착탈되기 때문에 휴대용 통신 장치에는 배터리로 인한 파팅 라인(parting line)이 생기게 되어 휴대용 통신 장치의 외관 디자인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배터리를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배터리의 실장 공간을 늘릴 수 있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름다운 외관 디자인을 제공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단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된 메인 바디; 일단면에 배터리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 바디와 결합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를 상기 메인 바디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락킹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슬롯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 장치에 의해 상기 메인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메인 바디의 일단면에 위치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아울러, 상기 락킹 장치는, 상기 슬롯의 입구에 인접하면서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 상에 설치되는 버튼부; 상기 배터리 커버로부터 연장되어 일단부가 절곡된 후크부; 및 상기 배터리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에 지지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락킹 탄성 부재들을 구비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가 상기 슬롯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후크부는 상기 슬롯 의 내측벽에 결속되어 상기 배터리를 상기 메인 바디에 고정시키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가 상기 메인 바디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락킹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롯의 내측벽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슬롯 내측벽에 결속된 상기 후크부는 상기 버튼부에 접촉하여 상기 버튼부를 조작가능하게 상기 메인 바디 상에 위치시키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슬롯의 내측 일단면에 설치되어 상기 슬롯의 입구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의 간격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탄성력을 축적하는 배터리 탄성 부재; 및 상기 배터리의 타단면에는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가 삽입가능하게 형성된 삽입 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메인 바디에 고정되기까지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는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를 상기 슬롯의 입구 방향으로 밀어내려는 탄성력을 축적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후크부가 상기 슬롯의 내측벽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는 축적된 탄성력을 상기 배터리에 제공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슬롯의 입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가 상기 슬롯의 입구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는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분리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멀 어지게 되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후크부가 상기 슬롯의 내측벽에 결속된 상태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락킹 탄성 부재는 상기 후크부를 상기 슬롯의 내측벽에 결속시키려는 탄성력을 축적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메인 바디의 일면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락킹 탄성 부재는 축적된 탄성력으로 상기 후크부를 상기 슬롯에 내측벽에 결속시키고, 상기 버튼부를 조작가능하게 상기 메인 바디 상에 위치하게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락킹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인 휴대용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일단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된 메인 바디, 슬롯에 삽입되어 메인 바디와 결합하는 배터리 및 배터리를 메인 바디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락킹 장치를 구비하여, 배터리가 슬롯에 삽입되어 메인 바디에 결합하고 수용된 상태로 락킹 장치에 의해 고정된다. 이로 인해, 배터리는 메인 바디에 의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받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 요소가 요구되지 않아, 휴대용 통신 장치는 배터리 실장 공간을 늘릴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메인 바디에는 배터리가 삽입됨과 동시에 배터리 커버가 그 일단면에 위치하여 조화를 이루게 된다. 이로 인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에게 아름다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락킹 장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측면에 설치되어 눌러짐으로써 동작하여 배터리를 메인 바디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배터리는 휴대용 통신 장치로부터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통신 장치(100)의 다른 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통신 장치(100)에서 메인 바디(101)와 배터리(102)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통신 장치(100)의 배터리(10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100)는 메인 바디(101), 배터리(102) 및 락킹 장치(103)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바디(101)는 그 일면에 표시부(110)와 입력부(120)을 구비한다.
상기 표시부(110)는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티에프티(TFT; thin film transistor) 등 다양한 형태의 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통신 장치(100)의 상태 정보, 데이터 송수신 정보, 수신된 컨텐츠, 상기 입력부(120)의 조작으로 입력된 값 등이 표시된다.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표시부(110)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표시부(110)에 이에 상응하는 값을 표시하게 하거나 상기 통신 장치(100)를 동작하게 한다.
상기 메인 바디(101)의 일단면에는 슬롯(111)이 구비된다. 상기 슬롯(111)은 상기 메인 바디(101)의 일단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슬롯(111)의 내측 일단면에는 배터리 탄성 부재(113; 도 5에 도시됨)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113)는 상기 슬롯(111)의 내측 일단면으로부터 상기 슬롯(111)의 입구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의 간격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133)는 코일 스프링으로 제작된다.
상기 배터리(102)는 상기 슬롯(111)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 바디(101)와 결합한다. 상기 배터리(102)는 상기 메인 바디(101)와 결합함에 따라 상기 메인 바디(101)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로 인해, 상기 메인 바디(101)는 상기 배터리(10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배터리(102)는 그 일단면에 배터리 커버(121)가, 그 타단면에 삽입 홀(12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 커버(121)는 상기 배터리(102)의 일단면을 감싸면서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102)가 상기 슬롯(11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 커버(121)는 상기 슬롯(111)의 입구를 폐쇄하면서 상기 메인 바디(101)의 일단면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상기 배터리(102)가 상기 메인 바디(10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102)는 상기 메인 바디(101)와 조화를 이루게 된다.
상기 삽입 홀(123)은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113)가 삽입 가능하게 함몰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102)가 상기 슬롯(11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삽입 홀(123)은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113)에 근접하게 이동한다. 이로 인해, 상기 삽입 홀(123)에는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113)가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113)는 상기 삽입 홀(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 홀(123)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그 양단의 간격이 서로 근접하게 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102)는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113)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롯(111)의 입구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성향을 가지게 된다.
상기 락킹 장치(103)는 상기 배터리(102)를 상기 메인 바디(101)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게 한다. 즉, 상기 배터리(102)는 상기 슬롯(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 장치(103)에 의해 상기 메인 바디(101)에 고정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락킹 장치(103)는 후크부(133), 락킹 탄성 부재(135; 도 5에 도시됨) 및 버튼부(131)를 구비한다.
상기 후크부(133)는 상기 배터리 커버(121)로부터 연장되어 그 일단부가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102)가 상기 슬롯(11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후크부(133)는 상기 슬롯(111)에 삽입되어 상기 슬롯(111)의 내측벽에 결속된다. 이로 인해, 상기 배터리(102)는 상기 후크부(133)에 의해 상기 슬롯(111)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메인 바디(101)에 고정된다.
상기 락킹 탄성 부재(135)는 판 스프링으로써 상기 배터리(102)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133)에 지지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후크부(133)가 상기 슬롯(11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락킹 탄성 부재(135)는 상기 후크부(133)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후크부(133)를 상기 슬롯(111)의 내측벽에 결속시키려는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 커버(121)가 상기 슬롯(111)의 입구를 폐쇄하게 되면, 상기 락킹 탄성 부재(135)는 상기 후크부(133)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후크부(133)를 상기 슬롯(111)의 내측벽에 결속시킨다. 이때, 상기 후크부(133)는 상기 락킹 탄성 부재(135)에 의해 상기 슬롯(111)의 내측벽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락킹 탄성 부재(135)는 상기 배터리(102)를 상기 슬롯(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바디(101)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힘을 상기 후크부(133)에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슬롯(111)의 내측벽에는 상기 후크부(133)가 결속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버튼부(131)는 상기 슬롯(111)의 입구에 인접하면서 상기 메인 바디(101)의 양측면 상에 설치된다. 상기 후크부(133)가 상기 슬롯(111)의 내측벽에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131)는 상기 후크부(133)와 접촉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버튼부(131)는 상기 메인 바디(101) 상에서 위치하여 조작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부(131)는 그 일면이 상기 메인 바디(101)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거나, 상기 메인 바디(10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조작가능한 상태의 상기 버튼부(131)는 상기 메인 바디(101)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상기 후크부(133)는 상기 버튼부(131)에 의해 상기 슬롯(111)의 내측벽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배터리(102)를 상기 메인 바디(101)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상태에 이르게 한다. 즉, 상기 버튼부(131)는 상기 배터리(102)를 상기 메인 바디(101)에 고정된 상태로부터 분리하는 데 이용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113)는 축적하고 있던 탄성력을 상기 배터리(102)로 제공하여, 상기 배터리(102)를 상기 슬롯(111)의 입구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로 인해, 상기 배터리 커버(121)는 상기 슬롯(111)의 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113)는 상기 배터리를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통신 장치(100)의 메인 바디(101)에 배터리(102)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휴대용 통신장치(100)의 메인 바디(101)로부터 배터리(102)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102)는 상기 락킹 장치(103)에 의해 상기 메인 바디(10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메인 바디(101)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배터리(102)가 상기 메인 바디(101)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터리(102)가 상기 슬롯(11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후크부(133)도 상기 슬롯(11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락킹 탄성 부재(135)는 상기 후크부(133)에 의해 변형되고 상기 후크부(133)를 상기 슬롯(111)의 내측벽에 결속시키려는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 커버(121)가 상기 슬롯(111)의 입구에 근접하 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삽입 홀(123)에는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113)가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113)는 상기 삽입 홀(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 홀(123)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그 양단의 간격이 서로 근접하면서 상기 배터리(102)를 상기 슬롯(111)의 입구 방향으로 밀어내려는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 커버(121)가 상기 슬롯(111)의 입구를 폐쇄하게 되면, 상기 락킹 탄성 부재(135)는 상기 후크부(133)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후크부(133)를 상기 슬롯(111)의 내측벽에 결속시킨다. 이로써, 상기 배터리(102)는 상기 메인 바디(101)에 결합하여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슬롯(111)의 내측벽에 결속된 상기 후크부(133)는 상기 버튼부(131)와 접촉하여 상기 버튼부(133)의 일면을 상기 메인 바디(101)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으로 위치되게 하거나 상기 메인 바디(10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시켜 조작가능하게 한다.
상기 배터리(102)가 상기 메인 바디(101)에 결합하여 고정된 상태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31)를 조작하면, 상기 후크부(133)는 이에 상응하게 이동한다. 이때, 상기 락킹 탄성 부재(135)는 상기 후크부(133)에 의해 변형된다. 상기 버튼부(131)가 상기 후크부(133)를 상기 슬롯(111)의 내측벽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이동하면, 상기 배터리(102)는 상기 메인 장치(101)로부터 분리가능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113)는 축적하고 있던 탄성력을 상기 배터리(102)에 제공하여 상기 배터리(102)를 상기 슬롯(111)의 입구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로 인해, 상기 배터리 커버(121)는 상기 슬롯(111)의 입구로부터 멀어진 상태에 이르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113)의 탄성력이나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배터리(102)는 상기 슬롯(111)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113)는 상기 삽입 홀(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분리되고, 상기 배터리(102)와 멀어진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배터리(102)는 상기 메인 바디(101)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는 하나의 메인 바디로 구성된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적어도 두 개의 메인 바디로 구성되어 서로 접철되거나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에도 어느 한 메인 바디에 배터리를 삽입할 수 있는 슬롯을 형성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통신 장치의 다른 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 메인 바디와 배터리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통신 장치의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통신 장치의 메인 바디에 배터리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휴대용 통신장치의 메인 바디로부터 배터리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

Claims (11)

  1. 일단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된 메인 바디;
    일단면에 배터리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 바디와 결합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를 상기 메인 바디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락킹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슬롯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 장치에 의해 상기 메인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메인 바디의 일단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장치는,
    상기 슬롯의 입구에 인접하면서 상기 메인 바디의 양측면 상에 설치되는 버튼부;
    상기 배터리 커버로부터 연장되어 일단부가 절곡된 후크부; 및
    상기 배터리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에 지지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락킹 탄성 부재들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상기 슬롯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후크부는 상기 슬롯의 내측벽에 결속되어 상기 배터리를 상기 메인 바디에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상기 메인 바디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락킹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롯의 내측벽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내측벽에 결속된 상기 후크부는 상기 버튼부에 접촉하여 상기 버튼부를 조작가능하게 상기 메인 바디 상에 위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내측 일단면에 설치되어 상기 슬롯의 입구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의 간격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탄성력을 축적하는 배터리 탄성 부재; 및
    상기 배터리의 타단면에는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가 삽입가능하게 형성된 삽입 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메인 바디에 고정되기까지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는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를 상기 슬롯의 입구 방향으로 밀어내려는 탄성력을 축적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가 상기 슬롯의 내측벽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는 축적된 탄성력을 상기 배터리에 제공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슬롯의 입구 방향으로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상기 슬롯의 입구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는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분리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멀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가 상기 슬롯의 내측벽에 결속된 상태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락킹 탄성 부재는 상기 후크부를 상기 슬롯의 내측벽에 결속시키려는 탄성력을 축적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메인 바디의 일면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락킹 탄성 부재는 축적된 탄성력으로 상기 후크부를 상기 슬롯에 내측벽에 결속시키고, 상기 버튼부를 조작가능하게 상기 메인 바디 상에 위치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락킹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KR1020070099356A 2007-10-02 2007-10-02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90034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356A KR20090034142A (ko) 2007-10-02 2007-10-02 휴대용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356A KR20090034142A (ko) 2007-10-02 2007-10-02 휴대용 통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142A true KR20090034142A (ko) 2009-04-07

Family

ID=4076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356A KR20090034142A (ko) 2007-10-02 2007-10-02 휴대용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41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1367B2 (en) 2016-01-22 2018-08-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08989495A (zh) * 2018-07-04 2018-12-11 合肥欧语自动化有限公司 一种可拆卸电池的智能设备
US10331258B2 (en) 2016-01-22 2019-06-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1367B2 (en) 2016-01-22 2018-08-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0331258B2 (en) 2016-01-22 2019-06-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08989495A (zh) * 2018-07-04 2018-12-11 合肥欧语自动化有限公司 一种可拆卸电池的智能设备
CN108989495B (zh) * 2018-07-04 2020-11-06 义乌市鼎莎针织有限公司 一种可拆卸电池的智能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9449B2 (ja) 開閉型表示装置
JP2008312176A (ja)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US7197345B2 (en) Replaceable sliding cover unit for folder in folder-type portable phone
TW201434689A (zh) 用來固定可攜式電子裝置之固定機構及其電子設備
US20050058284A1 (en) Mobile phone and battery-fixing device thereof
KR20090034142A (ko) 휴대용 통신 장치
US8505167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hinge apparatus
JP2008311308A (ja) 電子機器
US8379396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ng mechanism thereof
JP2006165854A (ja) スライド式携帯電話機
US7974667B2 (en) Mobile terminal device
EP1909469A2 (en) Battery cov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JP2006333079A (ja) スライド型携帯通信機
US814528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etachable keypad module
US8376556B2 (en) Focus unit fastening device for projector
JP4783639B2 (ja) 携帯電子機器の表示パネルの保持構造
KR20090034146A (ko) 휴대용 통신 장치
US822868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mounting mechanism
JP2009111573A (ja) 携帯端末装置
TWI446778B (zh) 便攜式電子裝置
JP2000114833A (ja) 携帯電話機の内蔵アンテナ取付構造
JP2012244052A (ja) 部品固定構造とそれを含む携帯型電子機器
WO2012124245A1 (ja) 携帯端末
KR101442830B1 (ko) 휴대용 단말기
JP2010219433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