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510A - 내 오염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 오염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510A
KR20090033510A KR1020070098548A KR20070098548A KR20090033510A KR 20090033510 A KR20090033510 A KR 20090033510A KR 1020070098548 A KR1020070098548 A KR 1020070098548A KR 20070098548 A KR20070098548 A KR 20070098548A KR 20090033510 A KR20090033510 A KR 20090033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heet
multilayer sheet
layer
fluori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6223B1 (ko
Inventor
박광민
장춘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일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일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일하이텍
Priority to KR1020070098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223B1/ko
Publication of KR20090033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투과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시트에 내오염성 및 자기정화(self-clean)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란계 화합물 및 루틸(TiO2)이 도입된 불소수지를 도포 및 점착제를 전사코팅하여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시트에 라미네이팅하여 연속공정으로 생산효율 및 경제적으로 효과적이고, 내스크래치성, 내환경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채광판, 야외 조명 간판, 실란계 화합물, Rutile-TiO2, 불소수지, 폴리카보네이트

Description

내 오염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 및 그 제조방법{Multi-layer sheet having pollution-resistance property and the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본 발명은 광 투과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시트에 내오염성 및 자기정화(self-clean)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란계 화합물 및 rutile-TiO2가 도입된 불소수지를 도포 및 점착제를 전사코팅하여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시트에 라미네이팅하여 연속공정으로 생산효율 및 경제적으로 효과적이고, 내스크래치성, 내환경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두께가 100-1000㎛인 두꺼운 시트 표면에 수십 ㎛ 두께로 코팅하는 것은 건조 속도 및 두께로 인한 연속 코팅 공정의 비효율성으로 인하여 부적합하므로, 접착제나 점착제를 사용하여서 코팅할 재료를 필름으로 만들어서 라미네이팅 또는 적층 융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 보호 및 다층 기능성에 관 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5-0108125호 “가구용 멀티톤 필름의 형성 방법”에는 가구 표면에 접착제를 사용해서 멀티톤 필름을 열융착으로 제공하는 과정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84757호 “광학부재용 보호테이프, 광학부재용 보호테이프 처리층형성제, 보호테이프 부착 광학필름 및 보호테이프 부착화상 표시장치”에는 보호테이프 일면에 점착제를 코팅하고 그 반대 면에 인쇄 기능을 포함한 광학 부재용 보호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 유사하게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72653호 “광학소재의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에는 내한성 고투과율의 아크릴 점착제를 적용하여 광학소재의 보호용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상기 종래기술들은 다층 시트에 양호한 자기정화, 내스크래치성, 내광성 및 투과율을 부여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다층 시트를 사용하는 채광판이나 옥외 조명 광고판 시트는 운반, 적재, 가공 시에 긁혔을 때나 기타 추역에서 스크래치 및 손상이 방지되어야 하며, 고투과율과 무엇보다도 내오염성 및 자기정화(self-clean) 기능이 요구된다. 먼지 흡착이 적고, 흡착된 유기물을 부분적으로 광분해하거나 소수성 입자(hydrophobic particle)와의 상호인력이 약해서 빗물에 잘 씻겨야하며, 또한 자연광에 오랫동안 노출되어도 황변이나 내광성이 양호하여야 하고 사용자가 쉽고 편하게 사용하며 대량 연속공정으로 가격이 저렴해야 한다. 현재 이러한 조건을 모두 만족할 만한 다층 시트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실란계 화합물 및 rutile-TiO2가 도입된 불소수지를 도포 및 점착제를 전사코팅하여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시트에 라미네이팅하여 다층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 연속공정으로 생산효율 및 경제적인 면에서 매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내스크래치성, 내환경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불소수지, 아크릴수지, rutile-TiO2, 실란계 화합물, 경화제, 톨루엔, 크실렌,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틸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불소수지층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시트는 자기정화 기능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고가의 가공된 불소수지 필름 대신에 저가의 불소수지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용도에 따라서 원하는 물성 및 두께의 불소수지층을 도입하였으며, 보호점착테이프를 비롯하여 전사 라미네이트 공법으로 점착제를 도입하여 일체형(보호테이프+기능성 불소수지층+점착제+이형지(보호)) 다층 시트를 제조함으로써 보관 및 이송 시에 오염방지 및 보호는 물론 사용자가 쉽게 적용할 수 있고 가격 역시 저렴하다.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시트는 도 1 내지 도 4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로부터 차례로 이형지, 점착제, 불소수지층 및 보호점착테이프로 이루어진 다층 시트(도 1); 아래로부터 차례로 보호점착테이프, 불소수지층 및 보호점착테이프로 이루어진 다층 시트(도 2); 폴리카보네이트/폴리아크릴 시트(PC/PA 시트), 점착제, 불소수지층 및 보호점착테이프로 이루어진 다층 시트(도 3); 또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아크릴 시트(PC/PA 시트), 불소수지층 및 보호점착테이프로 이루어진 다층 시트(도 4)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형지는 종이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는 아크릴 점착제로서, 여러 가지 아크릴 모노머를 용제인 에틸아세테이트에 넣고, 중합개시제인 Wako사의 아조화합물(AIBN) 및 과산화물을 넣어서 아크릴 공중합체로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예를 들면, 점착제 조성 총 중량에 대하여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모노머 5~10 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모노머 5~10 중량%, 비닐아세테이트모노머 5~10 중량%, 2-히드록시헥실아크릴레이트모노머 5~10 중량%, 에틸아크릴레이트모노머 10~20 중량%, 아크릴아미드 3~8 중량%, 아크릴산 5~10 중량%, 용제로서 에틸아세테이트 40~50 중량%, 중합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2,4-디메틸 발레로니트릴(2,2-azobis(2,4-dimethyl valeronitrile); AIBN) 0~5 중량% 및 과산화물로서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0~5 중량%를 첨가하여 중합한 고기능성 아크릴 계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불소수지층은 불소수지층의 조성 총 중량에 대하여 불소수지 20~50 중량%, 아크릴수지 10~30 중량, rutile-TiO2 1~6 중량%, 실란계 화합물 2~10 중량%, 경화제 1~10 중량%, 톨루엔 5~30 중량%, 크실렌 5~30 중량%, 에틸아세테이트 5~30 중량% 및 부틸아세테이트 5~30 중량%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불소수지층은 불소수지층의 조성 총 중량에 대하여 불소수지 10~30 중량%, 아크릴수지 10~30 중량, 루틸(TiO2) 1~6 중량%, 실란계 화합물 2~10 중량%, 경화제 1~7 중량%, 톨루엔 5~30 중량%, 크실렌 5~30 중량%, 에틸아세테이트 5~30 중량%, 부틸아세테이트 5~30 중량% 및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MEK) 5~30 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불소수지는 시판되고 있는 다양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독일 Kynal사 제품의 K700시리즈(불소수지 분말)를 사용하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오염(dirt pick-up) 방지제로서 사용하는 실란계 화합물은 소우 T-레진(resin)이나 래더 폴리머(Ladder polymer)라 불리우는 높은 가교결합(cross-link) 물질로서 고분자와 사용성 및 도막 형성이 우수하며, TiO2와의 결합성도 양호하여 여러 가지 도막 물성에 상승(synergy) 효과를 발휘하며, 예를 들면,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olymethylsilsesquioxane)과 폴리페닐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henyl propylsilsesquioxane)을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경화제는 무황변 이소시아네이트(HMDI)가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보호점착테이프는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72653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한다.
상기 보호점착테이프는 고투명성 PE 필름에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10 중량%,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10 중량%,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5~10 중량%, 에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20 중량%, 에틸아세테이트 40~50 중량%, 용제 30~40 중량%, 아크릴아마이드 3~8 중량%, 아크릴 산 5~10 중량%, 수지 5~10 중량% 및 경화제 0~5 중량%를 혼합한 고기능성 아크릴계 공중합물로 이루어진 점착제를 도포한 후, 적정한 온도와 습도조건에서 건조 및 에이징(Aging)을 하여 완성한다.
이때, 상기 경화제는 폴리아민(PA: Poly-amine) 폴리아미도 레진(PAR: Polyamido Resin) 및 폴리설파이드 레진(Polysulfide Resin) 등의 에폭시계 경화제; 트리베이직 소듐포스페이트(TSP:Tri-basic Sodiumphosphate) 및 트리소듐 오르토포스페이트(Tri-sodium Orthophosphate) 등의 인산염계 경화제; 및 디메칠 아미노-에칠 메타클레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4,6-트리이소프로필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시트를 제조하는 과정은 도 5의 세부공정도 및 도 6의 전체공전도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 제1공정 : 양면 왁스 도포>
먼저, 준비된 25㎛ PET 필름(1)을 언와인딩(unwinding) 재치대(2)에 걸고, 준비된 왁스 용액(3)은 받침 용기(43)에 담는다. 이때 코팅 드럼(41)의 일부가 상기한 받침용기(43) 속의 왁스 용액(3)에 일부 잠기는 형태가 되고, 코팅드럼(41)의 위에는 보조드럼(42)이 밀착되는데 이들 코팅드럼과 보조드럼의 사이로 필름(1)이 통과하면 안내봉(44) 및 가이드롤러(5)들을 거쳐 다음의 공정으로 안내되는데, 필름(1)의 표면에는 수㎛의 두께로 왁스 용액이 도포된다. 여기서 도포 두께는 코팅드럼(41)에 형성된 미세홈(수십메쉬-수백매쉬의 홈)에 의해 달라지며, 동시에 필름이 지나가는 속도와 왁스 용액의 점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왁스가 도포된 필름을 챔버(61)로 이루어진 건조장치(6)를 통과시켜 인위적으로 건조시킨다(도 5). 건조로를 통과한 일면에 왁스 도포된 필름의 반대면 즉, 배면을 앞에서 코팅한 방법과 동일하게 배면에 한 번 더 수㎛의 두께로 왁스 용액을 도포한다(도 6).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왁스는 BASF사의 Luwax A(CAS 9002-88-4), Luwax EAS(CAS 9010-77-9) 및 Luwax OA(CAS 68441-17-8)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 제2공정: 점착제 도포 >
배면건조장치를 통과한 양면 왁스 도포된 필름은 안내봉과 가이드롤들을 거 쳐 소위 그라비아 코팅이라 칭하는 곳에서 제1공정과 유사하게 아크릴 점착제를 왁스 도포된 필름 일면에 10㎛ 두께로 도포 및 건조된 시트를 와인더 재치대(7)에 걸어 감아주며 점착제 전사용 시트가 완성된다. 완성된 시트 롤을 전사 라미네이팅하기 위하여 합지리와인더 재치대에 장착한다(도 6).
< 제3공정: 이형제 코팅 >
제1공정과 유사하게 제조하는데, PE 필름 대신에 내열성이 다소 요구되는 종이 또는 PET 필름을 사용하여 준비된 왁스 용액이 수㎛의 두께로 도포된다. 여기서 도포된 왁스는 다음 공정에서 도포되는 불소수지층을 전사하기 위한 이형제의 용도로 적용된다.
< 제4공정: 불소 수지 코팅 >
건조장치(6)를 통과한 왁스 도포된 종이(또는 PET 필름)는 안내봉과 가이드롤들을 거쳐 소위 그라비아 코팅이라 칭하는 곳에서 왁스 도표된 표면 위에, 제1공정과 유사하게 불소수지를 도포하는데, 필요에 따라서 10-100㎛ 범위의 도포 두께가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 불소수지 도포 두께는 건조상태에서 25㎛로 제조하였다.
불소수지가 코팅된 종이는 7개의 고온(최고 150℃) 챔버(챔버3-챔버9)를 통과시켜 완전 건조/경화 및 투명 불소수지층을 형성시킨다.
< 제5공정: 양면 라미네이팅 >
제4공정에서 건조로를 통과한 다음 양면 합지, 즉 두 번의 라미네이팅 공정이 연속적으로 라인 내(in line)에서 수행되는데, 먼저, 제1합지는 제2공정에서 준비된 점착제 도포된 시트를 합지하고, 두 번째 합지는 첫 번째 합지된 상태에서 제4공정에서 도입된 이형 종이 또는 필름을 제거하고, 불소 수지 도막에 보호점착테이프를 라미네이팅하여 와인더에서 도 1의 다층 시트를 완성한다.
도 1의 다층 시트는 아래로부터 차례로 이형지, 점착제, 불소수지층 및 보호 점착테이프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며, 도 1의 다층 시트에서 이형지를 제거하고 불소수지층 이면에 점착제와 폴리카보네이트/폴리아크릴 시트(PC/PA 시트)를 차례로 합지하여 도 3과 같은 구조의 다층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다층시트는 상기 제5공정에서 점착제 전사 라미네이팅 대신에 2개의 보호 점착테이트를 양면 라미네이팅하여 완성하며, 도 4의 다층 시트는 상기 도 2의 다층 시트 일면에 붙어 있는 보호 점착테이프를 벗겨내면서 불소수지층 이면에 반건조 상태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 시트(PC/PA 시트)를 라미네이팅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시트는 채광판, 광고판 또는 조명시트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려는 것이며,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3]
상기에 기재된 양면 왁스 도포, 점착제 도포, 이형제 코팅, 불소수지 코팅, 양면 라미네이팅으로 이루어진 5단계 공정(도 5 및 도 6)을 거쳐 도 1에 도시된 구조의 다층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점착제는 점착제 조성 총 중량에 대하여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모노머 7 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모노머 7 중량%, 비닐아세테이트모노머 7 중량%, 2-히드록시헥실아크릴레이트모노머 7 중량%, 에틸아크릴레이트모노머 15 중량%, 아크릴아미드 5 중량%, 아크릴산 7 중량%, 에틸아세테이트 40 중량%, 2,2-아조비스(2,4-디메틸 발레로니트릴(2,2-azobis(2,4-dimethyl valeronitrile); AIBN) 2.5 중량%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2.5 중량%를 혼합한 고기능성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또한 불소수지층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할 불소수지층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에서는 독일 Kynal사 제품의 K700시리즈 중 분자량 70,000인 것을 사용하였고, 실시예 2에서는 독일 Kynal사 제품의 K700시리즈 중 분자량 50,000인 것을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3에서는 분자량 70,000인 것과 아크릴을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불소수지 분말을 톨루엔과 부틸아세테이트에 녹이고 rutile-TiO2(광분해성)을 첨가 분산시킨 다음 실란계 화합물, 에틸아세테이트 및 크실렌을 첨가하여 최종 용액의 점도를 700cps로 하고, 고형분 50%로 하여 제조하였다. 경화제는 무황변 이소시아네이트(HMDI)를 불소수지 OH 값에 맞추어서 사용하고, 용제는 OH기와 잔류 수분이 없는 에틸아세테이트, 톨루엔 및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하였다. 이때, 주제 대비 경화제 5-10 중량%로 사용하였으며, 실란계 화합물은 다우 케미컬(Dow Chemical)사의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olymethylsilsesquioxane; CAS 68554-70-1)과 폴리페닐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henyl propylsilsesquioxane; 4 OH 기 평균 30% 프로필(CAS 68037-90-1))을 중량비로 50:50 섞어서 사용하였다.
불소 수지 용액의 구성성분 및 특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불소함유(중량%) 24 24 12
OH 값 4.8 4.8 2.4
Tg(℃) 40 35 6
고형분(중량%) 50 50 50
점도(cps) 700 600 500
루타일-TiO2(중량%) 5 5 5
실란계 화합물 3 3 3
용제 EA, BA, 톨루엔, 크실렌 EA, BA, 톨루엔, 크실렌 EA, BA, 톨루엔, MEK
내광성 시험 (KS R 0021) 변색(황변) 없음 변색(황변) 없음 변색(황변) 없음
내오염성 시험 (KS M 3803)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도막강도 3H 3H 2H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72653호에 개시된 보호점착테이프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다층시트의 내광성, 내오염성 및 도막강도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함께 기재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3의 다층 시트는 내광성, 내오염성 및 도막 강도가 우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에 의한 채광판 시트의 예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채광판 시트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세부공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채광판 시트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전체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PET 필름 2 : 언와인딩 재치대
3 : 왁스용액 5 : 가이드롤러
6 : 건조장치 7 : 와인딩 재치대
8 : 에이징룸 41 : 코팅드럼
42 : 보조드럼 43 : 용기
44 : 안내봉 61 : 챔버

Claims (6)

  1. 아래로부터 차례로 이형지, 점착제, 불소수지층, 및 보호점착테이프로 이루어진 다층 시트로서,
    상기 불소수지층은 불소수지층의 조성 총 중량에 대하여 불소수지 20~50 중량%, 아크릴수지 10~30 중량, 루틸(TiO2) 1~6 중량%, 실란계 화합물 2~10 중량%, 경화제 1~10 중량%, 톨루엔 5~30 중량%, 크실렌 5~30 중량%, 에틸아세테이트 5~30 중량% 및 부틸아세테이트 5~30 중량%를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
  2. 아래로부터 차례로 이형지, 점착제, 불소수지층, 및 보호점착테이프로 이루어진 다층 시트로서,
    상기 불소수지층은 불소수지층의 조성 총 중량에 대하여 불소수지 10~30 중량%, 아크릴수지 10~30 중량, 루틸(TiO2) 1~6 중량%, 실란계 화합물 2~10 중량%, 경화제 1~7 중량%, 톨루엔 5~30 중량%, 크실렌 5~30 중량%, 에틸아세테이트 5~30 중량%, 부틸아세테이트 5~30 중량% 및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5~30 중량%를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olymethylsilsesquioxane)과 폴리페닐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henyl propylsilsesquioxane)을 1:1 중량비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무황변 이소시아네이트(HMDI)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점착제 조성 총 중량에 대하여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모노머 5~10 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모노머 5~10 중량%, 비닐아세테이트모노머 5~10 중량%, 2-히드록시헥실아크릴레이트모노머 5~10 중량%, 에틸아크릴레이트모노머 10~20 중량%, 아크릴아미드 3~8 중량%, 아크릴산 5~10 중량%, 에틸아세테이트 40~50 중량%, 2,2-아조비스(2,4-디메틸 발레로니트릴(2,2-azobis(2,4-dimethyl valeronitrile); AIBN) 0~5 중량%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0~5 중량%를 혼합한 고기능성 아크릴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시트는 채광판, 광고판 또는 조명시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트.
KR1020070098548A 2007-10-01 2007-10-01 내 오염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896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548A KR100896223B1 (ko) 2007-10-01 2007-10-01 내 오염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548A KR100896223B1 (ko) 2007-10-01 2007-10-01 내 오염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510A true KR20090033510A (ko) 2009-04-06
KR100896223B1 KR100896223B1 (ko) 2009-05-07

Family

ID=4075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548A KR100896223B1 (ko) 2007-10-01 2007-10-01 내 오염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223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53U (ja) * 1993-06-22 1995-01-24 ケージーパルテック株式会社 引戸の制動装置
US6306503B1 (en) * 1997-06-11 2001-10-23 Alliedsignal Inc. Multilayer fluoropolymer films with improved adhesion
KR100381550B1 (ko) * 2001-03-12 2003-04-23 박광민 광학소재의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JP4618761B2 (ja) * 2002-04-25 2011-01-2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保護テープ、光学用保護テープ処理層形成剤、光学用保護テープ付き光学フィルム、光学用保護テープ付き画像表示装置
KR100545349B1 (ko) * 2004-05-11 2006-01-24 류덕균 가구용 멀티톤 필름의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6223B1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7322B2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10068972A (ko) 운점 저항성 접착제 및 라미네이트
KR102449532B1 (ko) 반사 방지 필름
JP2003322718A (ja) 偏光板保護フィルム用基材
JP5630012B2 (ja) 易接着性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KR102327593B1 (ko) 배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5493811B2 (ja)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127413A (ja) ハードコート剤及び反射防止フィルム
JP2017008222A (ja) 装飾フィルム
KR102518124B1 (ko) 미소구체 처리된 에지가 구비된 웨브 권취 롤 및 이의 제조 방법
JP6152100B6 (ja) 防曇性シート
KR100896223B1 (ko) 내 오염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5493810B2 (ja)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WO2013180106A6 (ja) 防曇性シート
TWI579361B (zh) Window adhesive film
JP6784109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
JP4755735B2 (ja) 偏光板保護フィルム用基材
JP2022034529A (ja) 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積層フィルム
JP5106565B2 (ja) 積層シートおよび積層シート被覆金属板
KR20000021804A (ko)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보호 필름
JP4516334B2 (ja) 積層シートおよび積層シート被覆金属板
JP2020203383A (ja) フィルム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WO2023243655A1 (ja) 偏光板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3236417B2 (ja) 機能性複層シート
JP2011126068A (ja) 易接着性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