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230A - 브릿지 및 브릿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브릿지 및 브릿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230A
KR20090033230A KR1020097000980A KR20097000980A KR20090033230A KR 20090033230 A KR20090033230 A KR 20090033230A KR 1020097000980 A KR1020097000980 A KR 1020097000980A KR 20097000980 A KR20097000980 A KR 20097000980A KR 20090033230 A KR20090033230 A KR 20090033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ridge
inner tube
section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1924B1 (ko
Inventor
엔시오 요하네스 미에티넨
Original Assignee
엔시오 요하네스 미에티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시오 요하네스 미에티넨 filed Critical 엔시오 요하네스 미에티넨
Publication of KR20090033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3Tunnels submerged into, or built in, open water
    • E02D29/067Floating tunnels; Submerged bridge-like tunnels, i.e. tunnels supported by piers or the like above the water-b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브릿지는 하나의 내관(2)과 상기 내관(2)을 둘러싸는 외관(1)으로 구성된다. 외관(1)과 내관(2)은 상기 내관(2)의 외면에 그리고 상기 외면(1)의 내면에 용접된 연결 파이프들(3 ~ 13)에 의해 서로 접합되고, 상기 내관(2)과 외관(1)이 상기 연결 파이프들(3 ~ 13)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견고한 복합 구조물이 형성된다. 외관, 내관 및 파이프들은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인 이음새에 의해 서로 레이저 용접된다.

Description

브릿지 및 브릿지 제조방법{BRID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RIDGE}
본 발명은 건축자재, 전기 및 통신 회선뿐만 아니라, 특히 사람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초경량 강철 브릿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릿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브릿지에 관한 것이다.
브릿지를 보행할 때, 파이프 브릿지 및 컨베이어 브릿지는 지지 프레임과 벽부, 바닥부 및 상기 프레임을 덮는 지붕부를 포함한다. 파이프, 보행로, 케이블과 같은 것들은 브릿지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파이프, 보행로 및 케이블을 상기 브릿지의 프레임에 탑재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 구조물을 더 필요로 한다. 따라서,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구조물뿐만 아니라 유효한 구성요소 및 차폐 구조물에 대한 모든 무게를 지지해야 하므로, 지지 프레임은 매우 강하고 무거워야 한다. 또한, 무거운 구조물은 단경간(Short Span) 상의 지반 또는 빌딩 구조물에 대한 지지를 더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무거운 구조물은 건설을 더디게 하고 공사비용을 많이 소요되게 하는데, 그 이유는 대량의 건설자재가 공사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브릿지의 횡단면은 통상적으로 정방형인데 이는 조립하는데 가장 빠르기 때 문이다. 이는 바람으로 인해 브릿지 상의 과부하와 바람 표면적을 크게 한다. 눈이 많은 환경에 따라, 브릿지의 평평한 지붕 상에 쌓이는 눈은 압력을 가중시키고, 겨울 동안 눈의 제거가 필요하게 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A-프레임이 사용되는 브릿지는 무거운 지지력 때문에 지반 또는 바닥부 상에 대규모의 영역을 필요로 한다. 이 영역은 지지력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다른 목적을 위해서는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종합적으로, 현존하는 브릿지 구조물은 매우 무겁고, 대형이어서 건설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자재 비용이 고가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브릿지는 하나의 내관과, 상기 내관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외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관과 내관은 상기 내관의 외면에 그리고 상기 외관의 내면에 용접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파이프에 의해 서로 접합되고 상기 내관과 외관이 상기 연결 파이프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견고한 복합 구조물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관들과 파이프들은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인 이음새에 의해 서로 레이저 용접된다.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은 상기 내관과 외관에 용접된 복수개의 연결 파이프들을 포함하여 매우 강한 응력 구조물이 형성되게 한다. 브릿지의 재료는 바람직하게 스테인레스강 또는 내산 강철이므로, 브릿지는 날씨와 외부환경의 압력에 내성이 있다. 관들이 횡단면은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브릿지는 연속적인 이음새를 이용함으로써 함께 용접되어 방액 및 기밀 공간이 형성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기술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설명을 위해서만 제공될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게 의도되며 첨부된 청구 범위를 참조해야 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본질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은 소통량으로 브릿지를 통과시킴으로써 액체, 기체 및 고체 물질의 운송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폐쇄된 연속적인 표면을 갖는 브릿지의 외부 모양은 간결하다. 액체, 기체 안개 또는 스팀 운송용 또는 미립자로 된 고체 물질에 대하여 압축공기 컨베이어로서 기능하기 위해 사용된 박막의 벽부로 된 유틸리티 파이프들을 갖는 브릿지의 관들 사이를 통합함으로써, 초경량이지만 매우 견고한 구조물이 달성된다. 이 아이디어는 지지 구조를 분리하여 무게를 지탱하는 대신에 구성요소로서 유틸리티 파이프가 사용된다는 것이다. 브릿지의 실중량, 즉 운송되어야 할 자재의 무게는 총중량, 즉 운송되어야 할 자재와 함께 있는 브릿지의 무게에 비해 특히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강성도 및 강도는 브릿지의 지지물들 사이에 긴 경간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이는 구조물에 필요한 자재량 뿐만 아니라 지반 또는 바닥부에 대한 브릿지의 접지면을 경감시킨다. 넓은 경간과 초경량 구성물의 조합은 구조물의 사용에 있어서 매우 큰 절약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액밀성이면서 기밀성이므로, 브릿지가 수면의 아래 또는 수면 위에 표류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브릿지의 내측이 오염으로부터 밀폐되므로, 브릿지는 오염 또는 유해 공간으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 있다. 구조물은 어떤 추가의 밀봉없이 과압 및 감압에 견딜 수 있다. 이는 브릿지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먼지 및 가스 등을 밀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구조물은 지면하에서 파이프 터널 또는 다른 터널로서 이용될 수도 있는데, 이는 어떤 추가의 지지 구조물없이 지구 중량에 의해 야기된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브릿지의 지지 다리부는 적어도 2개의 관들 및 인접하는 파이프들을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원칙에 따라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물은 견고하고 안정적이므로, 단일의 다리부가 A-프레임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A-프레임과 같은 것들의 사용에 비해 브릿지 아래에서 사용하기 위한 큰 접지면을 사라지게 한다. 다리부는 유틸리티 파이프를 지지 구조물 및 비상구로서 기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계단 또는 엘리베이터가 다리부의 내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더 유효하게 활용가능한 공간을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다리부의 구조물은 A-프레임보다 더 간결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점에 따르면 브릿지의 횡단면이 타원형이다. 이는 내관과 외관 사이의 거리를 가변하므로,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진 파이프들이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횡단면은 구조물의 강성도에 관하여 매우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브릿지의 외피는 평평한 표면을 갖지 않으므로, 바람에 대한 저항이 작고 진동을 야기시키는 난기류에 대하여 영향을 적게 받는다. 만곡되고 매끄러운 지붕 표면에 의해, 브릿지 상에 눈이 쌓이지 않으며, 눈의 제거가 필요하지 않다. 이는 브릿지의 유지보수에 관하여 중요하다. 또한, 적은 바람 및 눈의 하중은 다리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압력을 저하시켜서, 다리부가 더 경량으로 제작될 수 있게 한다. 매끄러우면서 날씨에 내성이 있는 자재로 제작된 외부 표면으로 인해, 브릿지는 물과 세정제로 세척함으로써 간단히 청소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브릿지의 청소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브릿지는 구조물 내에 필요한 배관을 추가시킴으로써 간략하고 쉽게 가열 또는 냉각에 대비할 수 있다. 단열은 브릿지의 적어도 두 개의 관들 사이에 감압을 제공하여 이루어질 수 있거나, 동일한 공간이 공간 내에 뿌려진 절연거품 또는 어떤 다른 종래의 절연물질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에서 사용된 강철 물질이 전도에 의해 열을 전달시킨다 하더라도, 관들 내에 폐쇄된 공간을 구비하는 구조물이 이미 단열체로서 기능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브리지인 파이프 브릿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브리지인 보행 브릿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브리지인 컨베이어 브리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 다리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타원형의 외관(1)과 원형의 내관(2)을 포함하는 파이프 브리지를 나타낸다. 외관(1)과 내관(2) 사이의 거리는 그 측면보다는 타원형의 선단부에서 더 길다. 이 구조는 내관 및 외관 사이의 공간에 다른 직경의 파이프를 배치시킬 수 있게 한다. 내관 및 외관 사이의 거리가 가장 긴 파이프 브릿지의 상부에는 큰 직 경을 갖는 단일체의 가스 파이프(4)가 배치된다. 상기 외관(1)과 내관(2) 사이의 공간은 타원형 외관(1)의 중앙쪽을 향하여 더 좁아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파이프의 직경은 줄어든다. 이 실시예에서 파이프는 액정 파이프(3), 공기 파이프(5), 공압 전송선로(6), 자동조작 케이블용 경로(11), 전기조작 케이블용 경로(12), 응축수 제거용 파이프(7) 및 단일체 프로세스 파이프(17)를 포함한다. 또한, 내관 및 외관 사이에는 정비 또는 입/출구 도어용 공간(13)이 형성되어 있다. 내관(2) 내측의 공간은 격리된 가열 튜브(15)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지지 빔(14)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상기 제 1 지지 빔의 하부에는 각 종 분리형 파이프(16)가 이격되어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파이프들은 어떤 종류의 유틸리티 파이프가 브릿지 구조물 내에 설치될 수 있는지에 대한 예시만을 나타낸다.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물은 주로 내관과 외관 및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의 파이프들로 구성된다. 이들 파이프와 관들은 매우 견고한 응력 외피 구조물을 형성하여 사용된 자재의 두께에 비해 큰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상기 외관(1)과 내관(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0.5mm ~ 2mm이지만, 4mm 까지의 두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자재 두께가 선택되어 자재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표준적인 두께로 손쉽게 이용될 수 있다. 이는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데 도움이 된다. 브릿지 내의 유틸리티 파이프들은 초기 사용시의 요구에 따라 치수가 결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파이프들의 강도는 브릿지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될 때 브릿지의 구성요소로서 사용되기 위해 적당량 이상이어야 한다. 브릿지의 구성요소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될 때, 구조물의 결합 강도는 함께 산출된 각 구성요소의 강성 및 강도보다 훨씬 강하게 된다.
도 2는 외관 및 내관(1 및 2)의 양자에서 타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보행 브릿지를 나타낸다. 상기 외관 및 내관 사이의 거리는 관들의 주변에 걸쳐 모두 동일하다. 이 예시에서, 스프링클러 파이프(9), 내관(2)의 내부 공간 안에 광 홀을 갖는 광케이블 파이프, 윈도우 요소부(18), 터널용 하수 파이프(8) 및 전기케이블 파이프는 외관과 내관 사이에 배치된다. 타원형상의 양 선단부에는 유입 공기구(19) 및 배출 공기구(20)용 경로들이 있다. 이들 경로들(19 및 20)을 형성하는 파이프들의 직경은 내관 및 외관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므로, 이 경로들은 내관의 내측에 맞닿고, 내관은 이들 파이프들(19 및 20)에 부착된다. 이 실시예에서 내관은 만곡된 볼록 형상으로 제작된 두 개의 시트 금속편으로 이루어져 공기 파이프들(19 및 20)에 용접된다. 보행 브릿지(21)는 내관의 내측에 형성된다.
도 3에 따른 컨베이어 브릿지는 타원형의 외관(1)과 원형의 내관(2)의 조합을 다시 활용한다. 가장 큰 파이프들, 즉 먼지 제거용 파이프(22)와 가열 파이프(23)는 브릿지의 양 측면에서 선회하되,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의 거리를 문지르고 있다. 또한, 브릿지용 하수 파이프(8), 스프링클러 파이프(9), 광케이블 파이프(10), 자동 및 전기 케이블 설치용 파이프들(11 및 12)이 상기 외관(1)과 내관(2) 사이에서 선회한다. 내관 내의 공간은 분할 벽부(24)에 의해 구획되는데, 분할 벽부의 제 1 측면에는 보행 브릿지가 있고 제 2 측면에는 벨트 컨베이어가 있다. 이 실시예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컨베이어는 다른 소정의 타입, 예를 들면 벨트 컨베이어, 체인 컨베이어, 스크레이퍼 컨베이어, 공기식 컨베이어 또는 컨베이어 트랙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산업 및 그 밖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브릿지는 대부분의 경우에 길이가 길기 때문에, 온도에 따라 길이가 상당히 가변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벨로스 구조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벨로스 타입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도 있다. 십자형 또는 분기형은 T-형, X-형 또는 다른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십자형을 형성하기 위해 가능한 하나의 방식은 본 발명과 동일한 가압 외관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는 볼 형상의 십자형 요소부를 사용하는 것이다. 브릿지는 통상적으로 유효 길이를 갖는 단편들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단편들은 서로 접합되어야 한다. 이는 브릿지 단편들의 말단에 부착된 벨로스 또는 접합 플랜지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리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기본적으로, 다리부는 브릿지 단편과 구조적으로 동일하며, 정위치인 직립위치에만 위치결정된다. 도 1의 다리부는 원형의 내관(2)과 타원형의 외관(1)의 결합을 포함한다. 내관과 외관 사이의 다리부 내에 배치된 유틸리티 파이프들은 주로 브릿지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파이프들로 구성된다. 파이프들의 개수와 타입은 브릿지와 다리부의 사용 분야에 의해 결정된다. 유틸리티 파이프들은 자동조작 케이블(11)과 전기 케이블(12), 하수 파이프들(8), 스프링클러용 물 공급 파이프(9), 화염 진화용 물 공급 파이프(28), 공기 가열용 파이프(27), 먼지 제거용 파이프(22) 및 다리 샤프트(30)의 통풍용 파이프(29)를 포함한다. 다리 샤프트 는 내관(2)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브릿지를 입장 및 퇴장하기 위한 사다리 계단 또는 엘리베이터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리부는 필요하다면 망과 같은 보강재(26)를 통해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외관과 내관을 위해서는 타원형 및 원형의 횡단면이 바람직하다. 기본적으로, 이들 외관과 내관은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과 같이 각을 이룬 횡단면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형상들에서 모서리의 가장자리는 응력점을 형성하고 일직선의 평평한 표면은 만곡된 표면보다 더 구부러지기 쉽다. 그러므로, 상기 형상들은 타원형 및 원형의 지속적으로 만곡된 형상과 같은 자재 두께에 대해 동일한 강도를 필수적으로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형상들은 바람과 눈의 하중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타원형이고 부분적으로 원형인 횡단면을 형성하여, 관의 상부가 타원형으로 만곡되게 하고 하부가 원형이 되게 할 수 있다.
브릿지 또는 다리부는 이하와 같이 제조된다.
제 1 공정에서, 내관(1)이 형성된다. 이것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평판 시트를 원하는 곡률로 구부리고 엣지부를 함께 용접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이후의 제조 공정에서 레이저 용접이 사용되는데, 본 공정에서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다른 용접 방법이 본 공정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타원형으로 형성된 관의 직경 또는 치수는 브릿지 구조물에서 상당히 증가 되는데, 이는 함께 용접되는 몇 개의 단편들로 이루어진 관을 제작하는데 타당하다. 제 2 제조공정에서, 유틸리티 파이프들이 레이저 용접에 의해 내관의 외부 표면에 용접된 다. 용접이 평판 시트들 중의 하나에 실행될 때 금속 시트들 사이에 이음새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본 공정에서는 레이저 용접이 사용된다. 여기에서 용접은 내관의 내부로부터 행해진다. 레이저 용접에서는 연속적인 이음새(봉합)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액밀성이면서 기밀성이 있는 이음새를 제공하여 전체 구조물이 기밀되게 한다. 소정 개수의 유틸리티 파이프들이 내관 상에 용접될 때, 외관(1, 제 2 관)은 금속 시트 또는 시트들로 제작되어 유틸리티 파이프들 위에 용접될 수 있다. 외관은 상기 외관의 외피로부터 유틸리티 파이프들에 용접된다. 제 2 공정에서는 레이저 용접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봉합 용접도 사용된다. 레이저 용접시에 특정한 이유를 위해 필요하다면 불연속 봉합 용접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는 에너지 또는 재료에 어떠한 절약도 제공하지 못한다. 외관은 유틸리티 파이프들 상에 차례로 붙여질 수 있는 단편들로 제작되며, 외관의 엣지들은 단편들이 정위치에 있을 때 용접함으로써 밀봉된다. 물론, 외관은 개별적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유틸리티 파이프들 위로 관을 수직으로 통과시킬 수도 있다. 내관의 치수가 작다면, 충분히 큰 직경을 갖는 강철관으로 이루어진 외관을 준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외관은 통상적으로 용접된 관이므로, 이 경우에도 적어도 하나의 이음새가 내관 상에 형성된다. 제조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유틸리티 파이프들에 대한 관들의 레이저 용접인데, 내관의 내측으로부터 제 1 공정이 수행되고, 외관의 외측으로부터 제 2 공정이 수행된다. 이음새(봉합)는 연속적인 용접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예 및 제조공정에 대한 설명은 두 개의 관 또는 외피 코어를 갖는 요소들만을 나타낸다. 다중코어 브릿지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세 개, 네 개 또는 더 많은 동축 관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릿지 위에 단열을 형성하기 위해 세 번째 관이 추가될 수 있는데, 단열은 중간에 있는 관과 외관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 및 지적된 중요한 신규의 특징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으며, 형상 및 상세한 설명 내에서 다양한 생략, 대체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물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 및/또는 방법의 공정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음은 명백하다. 일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요소들의 대체는 충분히 의도되고 예상된다. 도면들은 반드시 기준적인 척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고, 사실상 주로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주에 의해 명시된 바와 같은 의도로 제한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제 1 횡단면과 상기 횡단면의 제 1 치수를 갖는 제 1 관(2)을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유틸리티 파이프(3 ~ 13)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횡단면 및 제 1 치수보다 큰 횡단면과 치수를 갖는 제 2 관(1)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릿지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 1 관(2)의 외면 상에 세로로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유틸리티 파이프(3 ~ 13)를 상기 제 1 관(2)의 내측으로부터 레이저에 의해 용접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틸리티 파이프(3 ~ 13) 상의 상기 제 2 관(1)을 상기 제 2 관(1)의 외측으로부터 레이저에 의해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은 연속적인 이음새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시트 단편으로 제작하여 하나의 관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금속 시트의 엣지부를 용접함으로써 관(1, 2)들 중의 하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브릿지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금속 시트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시트들로 적어도 하나의 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원형 또는 원형과 같이 연속적으로 만곡된 횡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관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원형의 횡단면과 적어도 하나의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관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제조방법.
  7. 제 1 횡단면과 상기 횡단면의 치수를 갖는 내관(2),
    제 2 횡단면과 치수를 가지면서 상기 내관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외관(1),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유틸리티 관(3 ~ 13),
    금속 시트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금속 시트의 적어도 두 개의 엣지부에 접합되는 이음새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1, 2)을 포함하는 폐쇄된 구조물을 갖는 브릿지로서,
    상기 외관(1)과 내관(2)은 상기 내관의 외면에 그리고 상기 외관의 내면에 용접된 적어도 하나의 유틸리티 파이프에 의해 서로 접합되고, 상기 내관과 외관이 상기 유틸리티 파이프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견고한 복합 구조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틸리티 파이프(3 ~ 13)는 상기 내관(2)의 내측으로부터 레이저 용접에 의해 상기 내관(2)의 외면에 용접되고, 상기 내관(1)의 외측으로부터 레이저 용접에 의해 상기 외관(1)의 내면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과 내관 중 적어도 하나는 타원형 또는 원형과 같이 연속적으로 만곡된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관(1)은 타원형의 횡단면을 갖고, 다른 하나의 내관(2)은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이한 직경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유틸리티 파이프(4, 3)는 상기 외관(1)과 내관(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11.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과 내관 중 적어도 하나는 스테인레스강 또는 내산 강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12.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과 내관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 시트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단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13.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와 동일한 구조물을 가지면서 적어도 하나의 유틸리티 파이프에 의해 서로 접합된 적어도 하나의 내관과 하나의 외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도 4에 도시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KR1020097000980A 2006-06-20 2006-06-20 브릿지 및 브릿지 제조방법 KR101311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FI2006/000218 WO2007147925A1 (en) 2006-06-20 2006-06-20 Brid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rid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230A true KR20090033230A (ko) 2009-04-01
KR101311924B1 KR101311924B1 (ko) 2013-09-26

Family

ID=3883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980A KR101311924B1 (ko) 2006-06-20 2006-06-20 브릿지 및 브릿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214957B2 (ko)
EP (1) EP2029812B1 (ko)
JP (1) JP4633852B2 (ko)
KR (1) KR101311924B1 (ko)
CN (1) CN101473091B (ko)
AU (1) AU2006344993B2 (ko)
CA (1) CA2654275C (ko)
EA (1) EA014461B1 (ko)
PL (1) PL2029812T3 (ko)
WO (1) WO20071479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7543B2 (en) * 2006-08-07 2010-12-28 Troester Guenther Traffic installation
FI120413B (fi) * 2007-09-21 2009-10-15 Miettinen E Suljettu silta
US20110131740A1 (en) * 2008-09-16 2011-06-09 Carlos Wong Energy storage bridge
EP4098504A1 (en) 2015-02-08 2022-12-07 Hyperloop Technologies, Inc. Transportation system
US9641117B2 (en) 2015-02-08 2017-05-02 Hyperloop Technologies, Inc. Dynamic linear stator segment control
RU2643904C1 (ru) 2015-02-08 2018-02-06 Гиперлуп Текнолоджис, Инк., Запорные клапаны и воздушные шлюзы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й системы
WO2016126492A1 (en) 2015-02-08 2016-08-11 Hyperloop Technologies, Inc. Deployable decelerator
US10958147B2 (en) 2015-02-08 2021-03-23 Hyperloop Technologies, Inc. Continuous winding for electric motors
WO2016126506A1 (en) 2015-02-08 2016-08-11 Hyperloop Technologies, Inc. Low-pressure environment structures
US9764648B2 (en) 2015-02-08 2017-09-19 Hyperloop Technologies, Inc.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a movable vehicle within a structure
US10897216B2 (en) 2015-10-29 2021-01-19 Hyperloop Technologies, Inc. Variable frequency drive system
CH712565A1 (de) * 2016-06-08 2017-12-15 Pibridge Ltd Pneumatischer Träger.
US10266184B2 (en) * 2017-01-24 2019-04-23 The Boeing Company Support systems and methods for a transportation system
US11661712B2 (en) * 2019-01-15 2023-05-30 Guillermo David Simovich Smart modular street and sidewalk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63A (en) * 1870-10-25 Improvement in tubular bridges
US1800819A (en) * 1930-06-30 1931-04-14 Mason & Hanger Company Inc Method and means for constructing tunnel stations
US3688327A (en) * 1970-07-27 1972-09-05 Rolf F Marshall Cellular building structure
US3738112A (en) * 1971-02-10 1973-06-12 Grant Alan & Partners Bridging or spanning of bodies of water
US3808624A (en) * 1971-07-15 1974-05-07 H Barkdull Bridge construction
DE2321264A1 (de) * 1972-05-03 1973-11-22 Km Insinoeoeritoimisto Oy Km I Rohrfoermiges konstruktionselement
JPS5613370Y2 (ko) * 1975-09-08 1981-03-28
US4454620A (en) * 1982-01-06 1984-06-19 Barkdull Jr Howard L Span construction
US4704754A (en) * 1982-04-28 1987-11-10 Bonasso S G Tension arch structure
WO1990006401A1 (en) * 1987-06-05 1990-06-14 Odd Bernhard Torkildsen Enclosed prestressed concrete suspension bridg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id bridge
ATE182195T1 (de) * 1993-05-01 1999-07-15 Maunsell Structural Plastics Baukonstruktion
US5671681A (en) * 1993-12-28 1997-09-30 Senior, Iii; Milnor H. Transportation method for rider propelled vehicles
US6012191A (en) * 1997-06-30 2000-01-11 Caldwell; H.L. Jack Suspension bridge having a central observation pod and high rise multi-use commercial buildings sandwiched between the bridge support pylons
CN2472379Y (zh) * 2000-12-14 2002-01-16 郭道华 不锈钢电缆桥架
FR2823512B1 (fr) * 2001-04-17 2003-11-07 Systra Viaduc pour ligne ferroviaire ou autre
US20110047722A1 (en) * 2009-09-03 2011-03-03 Meheen H Joe Hoop Truss B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54275A1 (en) 2007-12-27
US20100139016A1 (en) 2010-06-10
JP2009541615A (ja) 2009-11-26
AU2006344993B2 (en) 2013-06-06
KR101311924B1 (ko) 2013-09-26
US8214957B2 (en) 2012-07-10
PL2029812T3 (pl) 2013-04-30
EP2029812A1 (en) 2009-03-04
CN101473091B (zh) 2012-03-07
CN101473091A (zh) 2009-07-01
AU2006344993A1 (en) 2007-12-27
CA2654275C (en) 2014-07-29
EP2029812A4 (en) 2012-01-25
EA014461B1 (ru) 2010-12-30
WO2007147925A1 (en) 2007-12-27
EA200970033A1 (ru) 2009-06-30
EP2029812B1 (en) 2012-11-07
JP4633852B2 (ja) 201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924B1 (ko) 브릿지 및 브릿지 제조방법
KR101188485B1 (ko) 경량 방음터널
US3859682A (en) Tubular transportation element
KR101389111B1 (ko) 방음터널
KR20130084431A (ko) 방음터널용 트러스 아치형 골조
US8214955B2 (en) Enclosed bridge
CN206591419U (zh) 一种大跨度斜拉桥
TWI799341B (zh) 增強型鋼架
CN103629438A (zh) 基于电缆下桥引缆的组合式过渡引缆笼
SU1617107A1 (ru) Мобильный объемный блок промышленного сооружени
KR101957155B1 (ko) 합성구조체를 이용한 방음터널
KR101520034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삼각형 박스 거더
RU2272172C2 (ru) Ветросиловая установка большой мощности, использующая пирамидальный ветряной двигатель
RU2192383C2 (ru) Подкранов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RU145673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покрытия
CN117027156A (zh) 建筑结构体系
CN108915311A (zh) 地铁施工用罩棚装置
PL157368B1 (pl) Trójprzewodowy komin stalowy PL
JPH11168310A (ja) アンテナ支持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