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095A - 화장 시트 - Google Patents

화장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095A
KR20090033095A KR1020080094600A KR20080094600A KR20090033095A KR 20090033095 A KR20090033095 A KR 20090033095A KR 1020080094600 A KR1020080094600 A KR 1020080094600A KR 20080094600 A KR20080094600 A KR 20080094600A KR 20090033095 A KR20090033095 A KR 20090033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heet
resin layer
resin
transparen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0872B1 (ko
Inventor
마사따까 다께모또
히로시 마스다
히로아끼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3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 수지층의 합계 두께가 100 ㎛ 이상인, 절곡 가공에 적합한 화장 시트로서, 절곡 가공 시에 백화에 의한 의장성의 저하가 없고, 무늬 모양의 선명성이 양호하고, 더구나 생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장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착색 기재 시트 상에 무늬 모양층 및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순서대로 갖고, 상기 기재 시트의 이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성 수지층을 갖는 화장 시트로서, 상기 기재 시트와 상기 투명성 수지층의 합계 두께가 100 ㎛ 이상인 화장 시트에 관한 것이다.
합성 수지층, 절곡 가공, 화장 시트, 의장성, 무늬 모양, 폴리올레핀계 수지, 착색 기재 시트, 투명성 표면 보호층, 투명성 수지층

Description

화장 시트{DECORATIVE SHEET}
본 발명은 화장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재 시트 상에 무늬 모양층, 투명성 수지층 및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적층한 화장 시트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 시트 상에, 무늬 모양층, 투명성 접착제층,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 및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성 표면 보호층이 순서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화장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화장 시트는 기재 시트와 투명성 수지층이 모두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소위 더블링 사양으로 칭해진다(도 2 참조). 더블링 사양에서는, 기재 시트 및 투명성 수지층의 합계 두께가 100 ㎛ 이상이면, 절곡 가공이 쉽다. 
그러나, 상기 더블링 사양의 화장 시트는 절곡 가공했을 때에 투명성 수지층이 백화하여 의장성이 저하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무늬 모양층 상에 투명성 수지층이 있기 때문에, 투명성 수지층에 헤이즈(흐려짐 등)가 있는 경우에는 무늬 모양의 선명성이 저하되기 쉽다.  또한, 기재 시트와 투명성 수지층 사이에 무늬 모양층이 개재하기 때문에, 기재 시트와 투명성 수지층 사이에서 경시적으로 접착력이 저하되기 쉽다.  또한, 투명성 수지층에 내후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는 때문에, 생산 비용이 높아지기 쉽다. 
이에 비하여, 투명성 수지층을 설치하지 않고, 기재 시트(합성 수지층)의 두께를 100 ㎛ 이상으로 설정한 화장 시트(소위 단층 사양)이 제안되어 있다(도 3 참조). 이 단층 사양에서는, 합성 수지층의 두께가 크기 때문에 절곡 가공이 쉽다.  또한, 기재 시트를 착색층으로 함으로써, 절곡 시의 백화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큰 두께의 기재 시트를 준비하는 점에서 생산 비용이 높아지기 쉽다는 것이 문제가 되어 있다. 
더블링 사양의 개량으로서, 기재 시트를 설치하지 않고, 투명성 수지층의 두께를 100 ㎛ 이상으로 설정한 화장 시트(소위 백 프린트 사양)도 제안되어 있다(도 4 참조). 이 백 프린트 사양에서는, 기재 시트를 준비할 필요는 없지만, 큰 두께의 투명성 수지층을 준비하는 점이나 투명성 수지층에 내후 처리가 필요한 점에서 생산 비용이 높아지기 쉽고, 또한 투명성 수지층에 헤이즈가 있는 경우에는 무늬 모양의 선명성이 저하되기 쉬운 문제도 있다. 
따라서, 이들 종래품의 결점을 개선한 화장 시트의 개발이 갈망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90568호 공보
본 발명은 합성 수지층의 합계 두께가 100 ㎛ 이상인, 절곡 가공에 적합한 화장 시트로서, 절곡 가공 시에 백화에 의한 의장성의 저하가 없고, 무늬 모양의 선명성이 양호하고, 더구나 생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한 층 구성을 갖는 화장 시트가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화장 시트에 관한 것이다. 
1.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착색 기재 시트 상에 무늬 모양층 및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순서대로 갖고, 상기 기재 시트의 이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성 수지층을 갖는 화장 시트로서, 상기 기재 시트와 상기 투명성 수지층의 합계 두께가 100 ㎛ 이상인 화장 시트.
2. 상기 기재 시트의 두께가 60 ㎛ 이상이고, 상기 투명성 수지층의 두께가 40 내지 80 ㎛인, 상기 항 1에 기재된 화장 시트.
3. 상기 기재 시트는 폴리에틸렌층 또는 폴리프로필렌층인, 상기 항 1에 기재된 화장 시트.
4. 상기 투명성 수지층은 폴리에틸렌층 또는 폴리프로필렌층인, 상기 항 1에 기재된 화장 시트.
5. 상기 투명성 표면 보호층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층인, 상기 항 1에 기재된 화장 시트.
6. 상기 항 1에 기재된 화장 시트와 피착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화장재.
이하, 본 발명의 화장 시트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화장 시트
본 발명의 화장 시트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착색 기재 시트 상에 무늬 모양층 및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순서대로 갖고, 상기 기재 시트의 이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성 수지층을 갖는 화장 시트로서, 상기 기재 시트와 상기 투명성 수지층의 합계 두께가 10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화장 시트는, 기재 시트 및 투명성 수지층의 합계 두께가 100 ㎛ 이상이기 때문에 절곡 가공하기 쉽다.  또한, 투명성 수지층을 착색 기재 시트의 이면에 설치하기 때문에, 1) 절곡 가공 시에 투명성 수지층이 백화한 경우에도 그것이 화장 시트의 의장성 저하로 이어지지 않고, 2) 투명성 수지층에 헤이즈가 있는 경우에도 무늬 모양의 선명성을 방해하지 않고, 3) 투명성 수지층에 내후 처리가 필수가 아니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100 ㎛ 이상의 두께의 기재 시트 또는 투명성 수지층을 각각 준비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생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화장 시트를 구성하는 각 층에 관해서 설명한다. 
(착색 기재 시트)
기재 시트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착색 기재 시트를 이용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한정되지 않고, 화장 시트의 분야에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메틸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생산성이나 비용 측면에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도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 블록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결정부를 가지며, 프로필렌 이외의 탄소수 2 내지 20의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기타, 에틸렌, 부텐-1,4-메틸펜텐-1, 헥센-1 또는 옥텐-1의 공단량체를 15몰% 이상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도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하드 세그멘트에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소프트 세그멘트에 어택틱 폴리프로필렌을 중량비 80:20으로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예를 들면, 캘린더법, 인플레이션법, T 다이 압출법 등에 의해 필름상으로 하면 된다. 
기재 시트의 두께는, 투명성 수지층과의 합계 두께가 100 ㎛ 이상이 되도록 설정하면 되는데, 기재 시트의 두께는 20 ㎛ 이상이 바람직하고, 60 ㎛ 이상이 보 다 바람직하고, 60 내지 80 ㎛가 가장 바람직하다. 
기재 시트에 첨가하는 착색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안료, 염료 등의 공지된 착색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티탄백, 아연화, 벵갈라, 연지, 군청, 코발트블루, 티탄황, 황납, 카본블랙 등의 무기 안료; 이소인돌리논, 한자 옐로우 A, 퀴나크리돈, 퍼머넌트 레드 4R, 프탈로시아닌 블루, 인단트렌 블루 RS, 아닐린 블랙 등의 유기 안료(염료도 포함함); 알루미늄, 놋쇠 등의 금속 안료; 이산화티탄 피복 운모, 염기성 탄산납 등의 박분을 포함하는 진주 광택(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시트 중의 착색제의 양은 한정적이지 않지만, 화장 시트를 절곡 가공했을 때에 기재 시트나 후술한 투명성 수지층이 백화한 경우에도 그것을 은폐할 수 있을 정도이면 된다. 
기재 시트에는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칼슘, 클레이 등의 충전제,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난연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발포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의 배합량은, 제품 특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기재 시트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 처리, 오존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전리 방사선 처리, 중크롬산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기재 시트 표면의 표면 장력이 30 dyne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dyne 이상이 되도록 하면 좋다.  표면 처리는, 각 처리의 통상법에 따라서 행하면 된다. 
(프라이머층)
기재 시트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프라이머층(예를 들면, 후술한 투명성 수지층의 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면 프라이머층, 무늬 모양층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라이머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 
프라이머층은, 공지된 프라이머제를 기재 시트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등을 포함하는 우레탄 수지계 프라이머제, 우레탄-셀룰로오스계 수지(예를 들면, 우레탄과 질화면의 혼합물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제 등을 들 수 있다.  프라이머에는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칼슘, 클레이 등의 충전제,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난연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발포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의 배합량은, 제품 특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프라이머제의 도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1 내지 100 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g/㎡ 정도이다.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01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 정도이다. 
(무늬 모양층)
기재 시트 상에는, 무늬 모양층이 형성되어 있다. 
무늬 모양층은 화장 시트에 원하는 무늬에 의한 의장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무늬의 종류 등은 특별히 한정적이지 않다.  예를 들면, 나무결 모양, 바위결 모양, 모래결 모양, 타일 부착 모양, 벽돌 쌓기 모양, 옷감의 결 모양, 가죽결 모양, 기하학 도형, 문자, 기호, 추상 모양 등을 들 수 있다. 
무늬 모양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공지된 착색제(염료 또는 안료)를 결착재 수지와 함께 용제(또는 분산매) 중에 용해(또는 분산)시켜 얻어지는 착색 잉크, 코팅제 등을 이용한 인쇄법 등에 의해 형성하면 좋다.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본블랙, 티탄백, 아연화, 벵갈라, 감청, 카드뮴레드 등의 무기 안료; 아조 안료, 레이크 안료, 안트라퀴논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이소인돌리논 안료, 디옥사진 안료 등의 유기 안료; 알루미늄 가루, 브론즈 가루 등의 금속 가루 안료; 산화티탄 피복 운모, 산화 염화 비스무스 등의 진주 광택 안료; 형광 안료; 야광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착색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착색제에는, 실리카 등의 충전재, 유기 비드 등의 체질 안료, 중화제, 계면활성제 등을 추가로 배합할 수도 있다. 
결착재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염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알키드계 수지, 석유계 수지, 케톤 수지, 에폭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섬유소 유도체, 고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제(또는 분산매)로서는, 예를 들면, 헥산, 헵탄, 옥탄,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석유계 유기 용제;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2-메톡시에틸, 아세트산-2-에톡시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유기 용제;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노르말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코올계 유기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계 유기 용제;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유기 용제;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등의 염소계 유기 용제; 물 등의 무기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또는 분산매)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무늬 모양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인쇄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그라비아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플렉스 인쇄법, 정전 인쇄법, 잉크젯 인쇄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체면 베타상의 무늬 모양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롤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에어나이프 코팅법, 다이 코팅법, 립 코팅법, 코머 코팅법, 키스 코팅법, 플로우 코팅법, 침지 코팅법 등의 각종 코팅법을 들 수 있다.  기타, 손으로 그리기법, 먹흘리기법, 사진법, 전사법, 레이저빔 묘화법, 전자빔 묘화법, 금속 등의 부분 증착법, 에칭법 등을 이용하거나, 다른 형성 방법과 조합하여 이용하거나 할 수도 있다.
무늬 모양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품 특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는데, 도공 시의 층두께는 1 내지 15 ㎛ 정도, 건조 후의 층두께는 0.1 내지 10 ㎛ 정도이다. 
(착색 은폐층)
기재 시트와 무늬 모양층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착색 은폐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착색 은폐층은, 화장 시트의 겉면으로부터 피착재의 바탕색을 은폐하고자 하는 경우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재 시트는 착색되어 있지만, 은폐성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착색 은폐층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착색 은폐층을 형성하는 잉크로서는, 은폐 착색이 가능한 공지된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착색 은폐층의 형성 방법은, 기재 시트 전체를 피복(전체면 베타상)하도록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한 롤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에어나이프 코팅법, 다이 코팅법, 립 코팅법, 코머 코팅법, 키스 코팅법, 플로우 코팅법, 침지 코팅법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착색 은폐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품 특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는데, 도공 시의 층두께는 0.2 내지 10 ㎛ 정도, 건조 후의 층두께는 0.1 내지 5 ㎛ 정도이다. 
(프라이머층)
무늬 모양층과 투명성 표면 보호층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서, 투명성 표면 보호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프라이머층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수지(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와 각 종 폴리올을 포함하는 2액 경화형),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염소화 폴리에틸렌 등의 용액을 도공함으로써 형성된다. 
프라이머층에는 상기 수지 이외에, 실리카 미분말 등의 충전제, 자외선 흡수재, 광 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프라이머층은, 이들 조성물을 도공하고, 필요에 따라서 건조,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팅, 롤 코팅 등의 방법으로 도공하고 건조(경화)시켜 형성된다. 
프라이머층의 도포량은 1 내지 20 g/㎡(건조 시)가 바람직하고, 1 내지 5 g/㎡(건조 시)가 보다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 상에는, 필요에 따라서 패턴상 저광택 인쇄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실시한 후, 이 저광택 인쇄층을 설치한 영역이 이 이외의 영역과 비교하여 저광택이 되어, 눈의 착각에 의해 그 영역이 오목부인 것처럼 인식되는 의장이 된다. 
(투명성 표면 보호층)
무늬 모양층 또는 프라이머층 상에는, 투명성 표면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성 표면 보호층은 한정적이지 않지만, 수지 성분으로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또는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는, 이들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또는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에 의해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화장 시트의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오염성, 내찰상성, 내후성 등을 높이기 쉽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자외선, 전자선 등의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중합 가교 반응 가능한 라디칼 중합성 이중 결합을 분자 중에 포함하는 예비 중합체(올리고머를 포함함) 및/또는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투명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예비 중합체 또는 단량체는, 단체 또는 복수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경화 반응은 통상적으로 가교 경화 반응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예비 중합체 또는 단량체로서는, 분자 중에 (메트)아크릴로일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 에폭시기 등의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 등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엔과 폴리티올의 조합에 의한 폴리엔/티올계의 예비 중합체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트)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의 의미이다.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예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멜라민(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아진(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분자량으로서는, 통상 250 내지 100000 정도가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단관능 단량체로서,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관능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에틸렌옥사이드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예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 등의 에폭시계 수지, 지방산계 비닐에테르, 방향족계 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계 수지의 예비 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티올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티오글리콜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티오글리콜레이트 등의 폴리티올을 들 수 있다.  폴리엔으로서는, 예를 들면, 디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한 폴리우레탄의 양끝에 알릴알코올을 부가한 것을 들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해서 이용하는 전리 방사선으로서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조성물) 중의 분자를 경화 반응시켜 얻는 에너지를 갖는 전자파 또는 하전 입자가 이용된다.  통상은 자외선 또는 전자선을 이용하면 되지만, 가시광선, X선, 이온선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자외선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아크등, 블랙라이트,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의 광원이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의 파장으로서는, 통상 190 내지 380 nm이 바람직하다. 
전자선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크로프트 월턴형, 반데그라프트형, 공진 변압기형, 절연 코어 변압기형, 또는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100 내지 1000 keV,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keV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를 조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 다.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중에서도 주요제로서 OH기를 갖는 폴리올 성분(아크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에폭시폴리올 등)과, 경화제 성분인 이소시아네이트 성분(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포함하는 것이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표면 보호층은, 필요에 따라서, 내후제, 가소제, 안정제, 충전제, 분산제, 염료, 안료 등의 착색제, 용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면 보호층은, 예를 들면, 무늬 모양층 또는 프라이머층 상에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또는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를 그라비아 코팅, 롤 코팅 등의 공지된 도공법에 의해 도공한 후,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경우에는, 전자선 조사에 의해 수지 경화한다. 
표면 보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최종 제품의 특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는데, 통상 0.1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 정도이다. 
표면 보호층의 겉면(대기에 노출되어 있는 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통상은 엠보싱 가공에 의해 요철 모양을 형성한다.  엠보싱 가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표면 보호층의 겉면을 가열 연화시키고 엠보싱판에 의해 가압·부형 후, 냉각하는 방법을 바람직한 방법으로서 들 수 있다.  엠보싱 가공에는, 공지된 매엽식 또는 윤전식의 엠보싱기가 이용된다.  요철 형상 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무결판 도관구, 석판 표면 요철(화강암 벽개면 등), 천 표면 텍스쳐, 이지(梨地), 모래결, 헤어라인, 만선조구 등이 있다. 
엠보싱 가공에 의해 실시한 오목부에는 와이핑 잉크를 충전할 수도 있다.  와이핑 처리가 실시된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이외에 무늬 모양층의 겉면측에 엠보싱 가공에 의해 요철 모양을 형성하고, 그 오목부에 와이핑 잉크를 충전하고, 표면에 프라이머층, 표면 보호층을 설치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투명성 수지층)
기재 시트의 이면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성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성 수지층의 두께는, 기재 시트와의 합계 두께가 100 ㎛ 이상이 되도록 설정하면 되는데, 투명성 수지층의 두께는 20 ㎛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80 ㎛가 보다 바람직하고, 40 내지 80 ㎛가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설명은 기재 시트와 동일하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성 수지층이 기재 시트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화장 시트를 절곡 가공한 경우에도 투명성 수지층의 백화가 화장 시트의 의장성 저하로 이어지지 않는다.  또한, 투명성 수지층에 내후 처리가 필수가 아니기 때문에, 생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단지, 내후 처리는 필수가 아니지만, 필요에 따라서 내후 처리를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다. 
(프라이머층)
투명성 수지층의 이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프라이머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투명성 수지층과 피착재를 접착하여 화장재를 제조할 때에 유리하다.
프라이머층은, 공지된 프라이머제를 투명성 수지층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등을 포함하는 우레탄 수지계 프라이머제, 아크릴과 우레탄의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계 프라이머제 등을 들 수 있다. 
프라이머제의 도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1 내지 100 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g/㎡ 정도이다.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01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 정도이다. 
(접착제층)
기재 시트와 투명성 수지층의 사이에는, 접착성을 높이는 점에서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기재 시트와 투명성 수지층이 동종의 재료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프라이머층이나 접착제층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열 라미네이트가 가능해진다. 
접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화장 시트의 분야에서 공지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화장 시트의 분야에서 공지된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우레탄 수지 등의 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를 경화제로 하는 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도 적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은, 예를 들면, 기재 시트 이면에 도공한 후, 건조·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건조 온도·건조 시간 등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접착제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롤 코팅, 커튼플로우 코팅, 와이어바 코팅, 리버스 코팅, 그라비아 코팅, 그라비아리버스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 키스 코팅, 블레이드 코팅, 스무스 코팅, 코머 코팅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건조 후의 두께가 0.1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 정도이다. 
기재 시트와 투명성 수지층이 동종의 재료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프라이머층이나 접착제층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열 라미네이트가 가능해진다.  열 라미네이트의 조건은 양자가 접착되는 한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투명성 수지층을 150 내지 300℃ 정도(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280℃ 정도)로 가열하고, 기재 시트 이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열 라미네이트한다.  또한, 투명성 수지층을 용융 압출에 의해 기재 시트 이면에 직접 제막하는 방법에 의해서 열 라미네이트할 수도 있다. 
화장재
본 발명의 화장 시트는, 각종 피착재와 접합함으로써, 화장재로 할 수 있다.  피착재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무기 비금속계, 금속 계, 목질계, 플라스틱계 등의 재질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기 비금속계에서는, 예를 들면, 제지 시멘트, 압출 시멘트, 슬래그 시멘트, ALC(경량 기포 콘크리트), GRC(유리 섬유 강화 콘크리트), 펄프 시멘트, 목편 시멘트, 석면 시멘트, 규산칼슘, 석고, 석고 슬래그 등의 비도자기 요업계 재료, 토기, 도기, 자기, 석기, 유리, 법랑 등의 세라믹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금속계에서는, 예를 들면, 철, 알루미늄, 구리 등의 금속 재료(금속 강판)를 들 수 있다. 
목질계에서는, 예를 들면, 삼나무, 노송나무, 떡갈나무, 나왕, 티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판, 합판, 파티클 보드, 섬유판, 집성재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계에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ABS 수지, 페놀 수지 등의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피착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화장재의 용도에 따라서 설정한다. 
본 발명의 화장 시트는, 기재 시트 및 투명성 수지층의 합계 두께가 100 ㎛ 이상이기 때문에 절곡 가공하기 쉽다.  또한, 투명성 수지층을 착색 기재 시트의 이면에 설치하기 때문에, 1) 절곡 가공 시에 투명성 수지층이 백화한 경우에도 그것이 화장 시트의 의장성 저하로 이어지지 않고, 2) 투명성 수지층에 헤이즈가 있는 경우에도 무늬 모양의 선명성을 방해하지 않고, 3) 투명성 수지층에 내후 처리 가 필수가 아니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100 ㎛ 이상의 두께의 기재 시트 또는 투명성 수지층을 각각 준비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생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60 ㎛ 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 시트(기재 시트)에 무늬 모양층(2 ㎛)을 인쇄에 의해 형성하였다.  이어서 무늬 모양층의 이면에 우레탄계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도포하고, 두께 60μ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합성 수지제 바커층)을 압출 동시 라미네이트하였다.  용융 압출 시의 수지 온도는 240℃였다.  이어서 무늬 모양층 상에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를 도공하여, 프라이머층(두께 2 ㎛)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 코팅으로 도막을 형성한 후, 175 keV 및 5 Mrad(50 kGy)의 조건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여 도막을 가교 경화시킴으로써, 표면 보호층(두께 5 ㎛)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표면 보호층측으로부터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여 화장 시트를 제조하였다.  엠보싱 가공에서는 깊이 30 ㎛ 정도의 나무결 도관 모양을 부여하였다. 
실시예 2
60 ㎛ 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 시트(기재 시트)에 무늬 모양층(2 ㎛)을 인쇄에 의해 형성하였다.  이어서 무늬 모양층의 이면에 두께 60μ 투명성 폴리프로 필렌계 수지층(합성 수지제 바커층)을 압출 동시 라미네이트하였다.  용융 압출 시의 수지 온도는 240℃였다.  이어서 무늬 모양층 상에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를 도공하여, 프라이머층(두께 2 ㎛)를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 코팅으로 도막을 형성한 후, 175 keV 및 5 Mrad(50 kGy)의 조건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여 도막을 가교 경화시킴으로써, 표면 보호층(두께 5 ㎛)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표면 보호층측으로부터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여 화장 시트를 제조하였다.  엠보싱 가공에서는 깊이 30 ㎛ 정도의 나무결 도관 모양을 부여하였다. 
비교예 1
60 ㎛ 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기재 시트)에 무늬 모양층(2 ㎛)을 인쇄에 의해 형성하였다.  이어서 무늬 모양층 상에 0.08 mm 두께의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투명성 수지층)을 우레탄계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였다.  한편, 투명성 접착제층의 두께는 3 ㎛였다.  이어서 투명성 수지층 상에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를 도공하여, 프라이머층(두께 2 ㎛)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프라이머층 상에 전자선 경화형 투명성 표면 보호층(5 ㎛)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투명성 표면 보호층측으로부터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여 화장 시트를 제조하였다.  엠보싱 가공에서는, 깊이 30 ㎛ 정도의 나무결 도관 모양을 부여하였다. 
비교예 2
120 ㎛ 두께의 투명성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무늬 모양층(2 ㎛)을 인쇄에 의 해 무늬, 베타의 순서로 형성하였다.  이어서 무늬 모양을 설치한 시트의 반대의 면에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를 도공하여 프라이머층(두께 2 ㎛)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프라이머층 상에 전자선 경화형 투명성 표면 보호층(5 ㎛)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투명성 표면 보호층측으로부터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여 화장 시트를 제조하였다.  엠보싱 가공에서는, 깊이 30 ㎛ 정도의 나무결 도관 모양을 부여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절곡 백화성 △ 내지 ×
의장성
시험 방법
≪절곡 백화성≫
샘플을 저온 하(5℃)에서 절곡 변화를 육안 관찰에 의해 평가하였다. 
○ 백화가 보이지 않음
△ 약간 백화가 보임
× 백화, 균열이 명확히 보임
≪의장성 평가≫
무늬 모양의 선명성을 모니터 시험(육안 관찰)에 의해 평가하였다. 
○ 10인 중 6인 이상이 의장의 선명성이 양호하다고 평가
△ 10인 중 4 또는 5인이 의장의 선명성이 양호하다고 평가
× 10인 중 0 내지 3명만이 의장의 선명성이 양호하다고 평가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 시트의 층 구성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종래품(소위 더블링 시트)의 층 구성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종래품(소위 단층 사양)의 층 구성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종래품(소위 백 프린트 사양)의 층 구성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Claims (6)

  1.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착색 기재 시트 상에 무늬 모양층 및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순서대로 갖고, 상기 기재 시트의 이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성 수지층을 가지며, 상기 기재 시트와 상기 투명성 수지층의 합계 두께가 100 ㎛ 이상인 화장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의 두께가 60 ㎛ 이상이고, 상기 투명성 수지층의 두께가 40 내지 80 ㎛인 화장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는 폴리에틸렌층 또는 폴리프로필렌층인 화장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성 수지층은 폴리에틸렌층 또는 폴리프로필렌층인 화장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성 표면 보호층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층인 화장 시트.
  6. 제1항에 기재된 화장 시트와 피착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화장재.
KR1020080094600A 2007-09-28 2008-09-26 화장 시트 KR101170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53297A JP2009083184A (ja) 2007-09-28 2007-09-28 化粧シート
JPJP-P-2007-00253297 2007-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095A true KR20090033095A (ko) 2009-04-01
KR101170872B1 KR101170872B1 (ko) 2012-08-02

Family

ID=40515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600A KR101170872B1 (ko) 2007-09-28 2008-09-26 화장 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9083184A (ko)
KR (1) KR101170872B1 (ko)
CN (1) CN10139694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9414B2 (ja) * 2013-09-24 2018-01-31 Toto株式会社 加飾材
CN103818078A (zh) * 2014-03-06 2014-05-28 常熟市江顺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聚乙烯塑料薄膜
JP5839066B2 (ja) * 2014-03-19 2016-01-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部材
PT3124240T (pt) * 2014-03-26 2018-12-19 Dainippon Printing Co Ltd Folha decorativa e placa decorativa usando a mesma
JP6464063B2 (ja) * 2014-09-12 2019-02-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繊維強化樹脂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985830B (zh) * 2015-05-29 2017-11-24 江苏澳兰德新材料科技有限公司 玻璃钢格栅的防腐阻燃处理工艺
KR101798715B1 (ko) * 2015-08-14 2017-11-17 주식회사 포스코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 강판 및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
CN107901570A (zh) * 2017-11-29 2018-04-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膜层结构制作方法及膜层结构、外壳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9748B2 (ja) * 1996-08-28 2000-10-16 三菱化学エムケーブイ株式会社 化粧シート
JP2000225672A (ja) * 1999-02-08 2000-08-15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JP2004074657A (ja) * 2002-08-20 2004-03-11 Toyo Kohan Co Ltd 化粧フィルム、そのフィルムを成形してなる化粧フィルム成形体、およびそのフィルムを積層した化粧板
KR200312405Y1 (ko) * 2003-01-20 2003-05-13 주식회사 엘지화학 건축용 장식 마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872B1 (ko) 2012-08-02
JP2009083184A (ja) 2009-04-23
CN101396948A (zh)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427B1 (ko) 내충격성 및 내긁힘성이 우수한 바닥재용 화장시트
JP4587692B2 (ja) 床材用化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床用化粧材
KR101170872B1 (ko) 화장 시트
JP5429129B2 (ja) 耐衝撃性及び耐スクラッチ性に優れた床材用化粧シート
JP5151107B2 (ja) 化粧シート
JP6308243B2 (ja) コーティング剤
JP5700100B2 (ja) 床材用化粧シート及び床用化粧材
JP5353605B2 (ja) 床材用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533937B2 (ja) 化粧シート
JP5724525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KR100881006B1 (ko) 바닥재용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
JP5499430B2 (ja) 床材用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794364B2 (ja) 床材用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5119639B2 (ja) 床材用化粧シート
JP5195576B2 (ja) 化粧シート
KR101134231B1 (ko)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JP5353363B2 (ja) 化粧シート
JP2012162085A (ja) 化粧シート
JP4748336B2 (ja)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6136457B2 (ja) 化粧材
JP5169694B2 (ja) 化粧シート
JP2022145427A (ja) 化粧シート、化粧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124

Effective date: 201205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