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749A - 레진콘크리트 하수관용 폐피이티 재생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및 폴리스틸렌계 저수축화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레진콘크리트 하수관용 폐피이티 재생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및 폴리스틸렌계 저수축화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749A
KR20090028749A KR20090014215A KR20090014215A KR20090028749A KR 20090028749 A KR20090028749 A KR 20090028749A KR 20090014215 A KR20090014215 A KR 20090014215A KR 20090014215 A KR20090014215 A KR 20090014215A KR 20090028749 A KR20090028749 A KR 20090028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ester resin
resin
unsaturated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14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영
Original Assignee
윤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영 filed Critical 윤재영
Priority to KR20090014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8749A/ko
Publication of KR20090028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7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6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08G63/668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76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two components contains aliphatic unsat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6Unsaturated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3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recycled material, e.g.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진콘크리트 원심관(레진관(PRC관)) 제조시 주용도로 사용되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저감제(저수축화제)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스타 필름과 섬유, 생활용품에서 발생하는 산업폐기물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올리고머와 PET병의 재생 칩, PET를 주원료 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조성물과 저수축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원료로 PET를 20-30중량부, 다가글리코올20-25중량부, 다가불포화산20-25중량부, 비닐당량체35-40중량부 기타 중합금지제, 안정제, 경화촉진제0.2-0.5중량부 등으로 조성된 수지와 폴리스틸렌30-35중량부, 비닐단량체65-70중량부, 폴리스틸렌모디파0.5-1중량부, 혼합유화제0.5-1중량부 등으로 조성된 폴리스틸렌계 저수축화제로 기존 레진관과 비교 강도가 우수하며 원심 성형시 수지와 분리가 적은 물성향상과 폐PET를 사용함으로 레진관의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레진콘크리트용 수지 조성물과 저수축화제로 널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레진콘크리트관, PET, 재생PET ,폴리스틸렌

Description

레진콘크리트 하수관용 폐피이티 재생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및 폴리스틸렌계 저수축화제 조성물{Sewerage-Polyester resin concrete(PRC) pipes use of Recycle PET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und and modified Polystyrene compound}
일반적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상온에서 단시간 내에 경화되는 작업성과, 주원료의 다양한 선택에 따라 각종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욕조, 정화조와 같은 건축자재, 탱크, 파이프 등과 같은 공업재료, 선박, 자동차 등의 수송기기, 전기절연재료, 겔 코트, 레진 콘크리트, 퍼티도료 등 각종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레진관(PRC관)이란 골재, 플라이애쉬, 철선등과 함께 산, 알칼리등의 부식에 강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ncrete pipe)를 시멘트 대신 사용하여 원심 성형한 고강도 관으로 기존 시멘트관보다 수명이 50년~100년 정도 수명이 길며 강한 내산성, 높은 외압 및 압축강도, 강성관으로 시공후 처짐 및 변형이 없고 추진 내하력이 크며 흡수율이 적어 동결융해 및 내마모에 강하며 뛰어난 수밀성 및 경량화에 따른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한 시멘트 대 체용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복합관으로 관의 물성은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에 의해 결정됨으로 수지의 성능 및 작업성은 레진관의 물성에 대단히 중요하며 레진관 가격의 60%이상 차지하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의 가격은 타종 관과 경쟁할 때 대단히 중요한 요인으로 원료선정에 따라 가격결정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레진콘크리트관 원심 성형 작업 경우 저수축화제 분리가 적고 작업이 용이하며, 강도가 우수하고 저수축화제와 혼합이 잘되며 원가절감이 높은 레진콘크리트 하수관용 폐피이티 재생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및 하수관용 폴리스틸렌 저수축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 및 조성에 관한 연구 및 특허는 이미 보편화 되어 있으며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에 대한 특허(출원번호 1019740000505, 1019920001635, 1019990011164외 다수)와 성형방법에 따른 제품개발에 대한 특허(출원번호1020007007853, 10199997008926, 1020040097394외 다수)등은 무수히 많으며(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특허 검색시 400개이상의 특허) 원료중 폐PET를 원료로 하여 개발 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여 폴리머 콘크리트에 적용한 특허로는 폐피이티 재생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재생골재를 이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출원번호 1020030029951, 1020030029952)과 고성능 나노소재를 이용한 피이티 재생 폴리머 콘크리트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출원번호 1020030029953)등이 있으나 구체적인 폐피이티 재생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에 대한 언급은 없으며 모든 피이티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가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으 나 폐피이티 재생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경우 폐피이티 원료의 순도와 조성에 따라 제조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경우 상온 보관중 내부 침전과 경시변화에 의한 경화불량, 가사시간 연장등 물성의 변화가 심하며 특히 폴리스틸렌계 저수축화제와 사용시 급격한 분리현상이 발생하여 원심성형으로 제조되는 레진콘크리트용으로는 부적합함으로 수지 안정성과 저수축화제와 상용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수지 제조가 필요하며 특히 하수관용으로 사용되는 레진은 열경화성 수지가 적합하며 가격적으로나 물성으로 볼 때 폐PET를 원료로 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가 가장 적합하고 폐PET 경우 원료의 순도와 조성등 물성 차이가 심해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원료로 사용하려면 전체적인 조성과 물성유지에 적합한 배합으로 수정과 수지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첨가제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제조 방법중 PET (폐PET, 재생PET칩, PET칩 모두를 칭함) 를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 1차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다가 글리코올과 반응시켜 원료로 적합한 다가글리코올를 만드는 트랜스에스테르화하는 방법과 해중합과정(특허 출원번호 1019950700973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제조된 스틸렌 가용성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을 1차 적용하고 미반응한 PET는 순차적으로 다가글리코올, 다가산과 반응 할 수 있도록 촉매선정과 2차 반응을 유도하였으며 수지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일부 알코올 성분을 수지에 첨가할 경우 수지의 안정성과 경화성이 일정 하게 유지되는 효과적인방법과 원심 성형시 첨가되는 저수축화제와 분리되는 속도를 조절하고 급격한 경화에 의한 크랙을 방지 할 수 있는 적절한 첨가제가 함유된 저수축화제를 선정한 결과 물성이 우수하며 수지의 안정성이 우수한 폐PET 재생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저수축화제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레진콘크리트 하수관용으로 가격경쟁력과 물성이 우수한 하수관용 레진콘크리트용 수지와 저수축화제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ET(폐PET, 재생PET칩, PET칩 모두를 칭함)를 원료로 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의 효과적인 반응공정 제공과 상온에서 경시변화가 적은 수지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경화성이 우수한 폐PET 재생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원심 성형시 저수축화제와 분리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균일한 경화가 이루어 질수 있는 저수축화제를 제공함으로 레진콘크리트관 제조에 따른 원가절감과 타 하수관 관의 가격경쟁력과 물성이 우수한 하수관용 레진콘크리트용 수지와 저수축화제를 공급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PET원료는 에틸렌글리코올과 테레프탈산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합성섬유, X-선 필름과 같은 압출필름, PET병등 다용도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 반응 중간 부생성물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올리고머(이하 폐 PET라 칭함)와 PET병을 회수 재생화한 재생PET칩, PET등을 원료로 선정하였으며 폐PET올리고머는 합성섬유 제조회사 등에서 kg당 400-500원에 재생 PET칩은 재생 PET분쇄업체에서 kg당 700-1000원에 저렴한 가격으로 쉽게 구입하여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제조하였다.
PET 구조식
Figure 112009500711513-PAT0000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다가 글리코올과 반응시켜 원료로 적합한 다가글리코올를 만드는 트랜스에스테르화하는 방법과 해중합과정에서 사용되는 글리코올로는 에틸렌글리코올, 디에틸렌글리코올, 프로필렌글리코올, 디프로필렌글리코올을 사용하여 금속 아세테이트 촉매하에서 반응 당분해시키면 저분자량의 테레프탈레이트 올리고머가 생성되며, 폐PET 사용량은 20-30중량부로 20이하 경우 가격적으로 기존수지와 커다란 차이가 없어 이익이 없으며 30부이상일 경우 다가알코올과 반응 및 수지 제조할 때 교반능력, 가격 등에 문제점이 증가함으로 가장 적합한 사용량은 22-25중양부가 수지의 가격, 물성에 가장 적합하다.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는 저분자량의 테레프탈레이트 올리고머에 α,β-불포화 산 또는 무수물, 포화 2염기산과 반응시켜 형성할 수 있다. 유용한 불포화 산 및 무수물 중에는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테트라히도로프탈산무수물등과 혼합 스트림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특히 반응성 모노머와 반응하여 경화성에 영향을 주는 무수말레인산 또는 푸마르산 경우 수지전체 양의 14-16중량부가 적합하다 14중량부 이하일 경우 원심 성형시 경화지연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길어지며 16중량부 이상일 경우 경화속도와 경화에 의한 발열이 높아 내부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반응성 모노머로는 스틸렌모노머, 디비닐벤젠, 메틸메타아크레이트등이 사용되며 수지가격과 경화성, 안정성에서 스틸렌모노머가 적합하며 사용량은 수지를 기준으로 35-45중량부 사용되며 모노머를 1-2개 혼합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라디칼 중합개시제(경화제)로서는 t-부틸퍼옥시벤조에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쿠멘히드로퍼옥사이드, t-부틸아세테이프, 2,5-디메틸헥실-2,5-디퍼옥시벤조에이트 등이 있고, 이중 상온경화에 적합한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MEKPO)로 전기한 수지 조성물 당 0.5∼3중량%, 바람직하게는 0.7∼1.5중량%가 배합된다.
반응도중 사용되는 중합금지제로는 하이드로퀴논, 톨루하이드로퀴논, 메틸하이드로퀴논, 파라 t-부틸카타콜등이 있으며 전체 수지에 대하여 0.01-0.025중량부 사용하는데 이것은 수지 합성 중에 가열에 의한 이중결합의 파괴로 수지가 겔화되는 것을 막고 비닐계 희석제가 포함된 수지의 안정성을 유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반응에 있어서 경화촉진제로는 코발트옥테이트, 코발트나프타네이트등의 유기 금속화합물과 N N'-디메틸아닐린, 디에틸 아닐린, 아세토 아세트 아닐린등의 3급 아민을 수지에 대하여300-3000ppm 정도 사용하나 레진콘크리트용으로 사용되는 수지중 3급 아민 N N'-디메틸아닐린, 디에틸 아닐린이 포함된 불포화폴리에테르수지경우에는 과산화물 량에 따라 경화속도의 변화하는 폭이 급격히 변화함으 로 사용과 사용량 선택은 수지조성에 따라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며 코발트옥테이트, 코발트나프타네이트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PET 경우 원료의 순도와 조성등에 따라 제조된 수지는 물성 차이가 심해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된 폐피이티 재생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의 경화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3 부틸렌글리코올 또는 1.4부틸렌글리코올을 0.2-0.4중량부 첨가할 경우 수지의 안정성과 경화성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었다.
상기에서 제조된 수지조성물을 KSM-3331의 기준에 따라 점도 산가 겔타임 및 불휘발분을 측정하여 균일한 반응이 되었는지 확인하였으며 폐피이티 재생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의 작업성을 원활히 하기 위해 점도는 가드너 점도로 N-P 이며 겔타임은 7-10분 불휘발분은 58-66 및 산가는 15이하 이었다
레진콘크리트를 제조할 경우 수지의 경화 수축과 온도에 의한 성형물의 열적안정성, 신율 등 제품 물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저수축화 제로는 폴리스틸렌계, 폴리비닐아세테이트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메타아크릴계와 같은 열가소성 저수축화제를 수지대비 15-35중량부 혼합하여 사용한다.
폴리머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저수축화제로 가격과 물성측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저수축화제로는 폴리스틸렌계가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폴리스틸렌 저수축화제 경우 일반 범용폴리스틸렌(GPPS)으로 제조된 저수축화제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혼합 경우 비중차에 의해 쉽게 분리가 이루어지며 경화제 에 의한 경화시 경화가 되지 않고 표면과 수지속에 잔조함으로 특히 원심 성형하는 하수관용 레진콘크리트에서는 쉽게 내부 표면층 층으로 분리가 됨으로 이를 개선하고자 일부 폴리스틸렌을 경화시 반응에 참여하고 쉽게 분리가 되지 않는 폴리스틸렌 모디파(일본NOF Corporation사의 NODIPER SV10B, SV30B, MS10B) 을 소량 첨가할 경우 균일한 분포와 경화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지와 저수축화제의 상용성을 개선하고자 분리방지제로 BYK사의 첨가제 BYK-185, BYK-972를 저수축화제에 0.05-0.1중량부를 첨가하여 개선하였으며 원심성형시 급격한 경화 온도 상승에 의한 수지 크랙을 방지하고자 수지와 상용성이 우수하고 저발열 효과를 나타내는 알파메텔스틸렌을 0.02-0.05중량부 첨가하여 발열되는 속도와 경화속도를 조절할 수 있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폐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한 불포화폴
리에스테르수지
우선 4구 플라스크 2L 반응기의 청결상태, 밸브의 상태, 냉각수 및 반응기, 온도계와 질소 등을 확인하고 반응기에 1차원료로 디에틸렌글리코올 96g, 디프로필렌글리코올 38g, 폐피이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올리고머236g, 프로필렌그리코올 36g과 삼산화안티몬 0,5g을 촉매로 넣고 질소를 공급하면서 온도를 160℃까지 서서히 올려주고 교반을 하면서 온도 220℃까지 5시간에 걸쳐 승온 한다. 온도를 220℃ 유지하면서 산가를 측정하여 솔리드 산가가 1 이하가 되면 온도를 160℃ 이 하로 냉각하여 준다. 온도가 160℃ 이하가 되면 2차 원료로 무수말레인산 142g, 무수프탈산 61g, 프로필렌글리코올 26g과 중합금지제 0.05g, 금속 아세테이트 촉매 0.7g 를 넣고 온도를 165℃까지 승온 온도가 160℃되면 210℃까지 4시간에 걸쳐 승온하여 온도를 210℃로 유지하면서 내용물의 산가와 점도를 1시간 간격으로 측정한다. 산가와 점도는 내용물(solid)과 용제(스틸렌모노머)를 66:34 비율로 희석하여 점도와 산가를 측정한다.
산가가 20이하, 점도S-U(가드너 점도)가 되면 반응을 중지 중합금지제 0.04g을 넣고 온도를 낮추어 온도가 100℃가 되면 스틸렌 모노머 360g 으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수지는 경화촉진제 2g과 1.3부틸렌글리코올 2g을 혼합하고 점도는 스틸렌모노머로 경화시간은 중합금지제 파라 t-부틸카타콜로 조절하여 폐피이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3] 은 다음과 같이 원료조성을 변경하여 실시하였으며 제조공정은 [실시예 1-1] 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1
Figure 112009500711513-PAT00009
[실시예 2-1] 재생 PET칩(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생 칩, PET병)사용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우선 4구 플라스크 2L 반응기의 청결상태, 밸브의 상태, 냉각수 및 반응기, 온도계와 질소 등을 확인하고 반응기에 1차원료로 디에틸렌글리코올 96g, 디프로필렌글리코올 38g, 프로필렌글리코올 30g, 재생PET칩236g 과 금속 아세테이트 촉매 0.7g을 촉매로 넣고 질소를 공급하면서 온도를 160℃까지 서서히 올려주고 교반을 하면서 온도 220℃까지 6시간에 걸쳐 승온한다. 온도를 220℃ 유지하면서 내용물의 산가를 측정하여 산가가 1 이하가 되면 온도를 160℃ 이하로 냉각하여 준다. 온도가 160℃ 이하가 되면 2차 원료로 무수말레인산 142g, 무수프탈산 61g, 프로필렌글리코올 26g과 중합금지제 0.05g, 금속 아세테이트 촉매 0.5g 를 넣고 온도를 165℃까지 승온 온도가 160℃되면 210℃까지 4시간에 걸쳐 승온하여 온도를 210℃로 유지하면서 내용물의 산가와 점도를 1시간 간격으로 측정한다. 산가와 점도는 내용물(solid)과 용제(스틸렌모노머)를 66:34로 희석하여 점도와 산가를 측정한다.
산가가 15이하, 점도S-T(가드너 점도)가 되면 반응을 중지하고 중합금지제 0.04g을 넣고 온도를 낮추어 온도가 100℃가 되면 스틸렌 모노머 350g 으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수지는 경화촉진제 2g과 1.3부틸렌글리코올 2g을 혼합하고 점도는 스틸렌모노머로 경화시간은 중합금지제 파라 t-부틸카타콜로 조절하여 재생 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생 칩) 사용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다음과 같이 원료조성을 변경하여 실시하였으며 제조공정은 [실시예 2-1] 기준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2
Figure 112009500711513-PAT00010
[비교예 1] 범용 일반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우선 4구 플라스크 2L 반응기의 청결상태, 밸브의 상태, 콘덴서의 냉각수 및 반응기, 온도계와 에어(공기),질소 등을 확인하고 반응기에 디에틸렌글리코올 86g, 디프로필렌글리코올 73g, 프로필렌글리코올 103g, 무수말레인산 132g, 무수프탈산 199g과 중합금지제 0.05g을 넣고 온도를 160℃까지 승온 온도가 160℃되면 210℃까지 4시간에 걸쳐 승온하고 온도를 210℃로 유지하면서 내용물의 산가와 점도를 1시간 간격으로 측정한다. 산가와 점도는 내용물(solid)과 용제(스틸렌모노머)를 66:34로 희석하여 점도와 산가를 측정한다.
산가가 25이하, 점도 S-T(가드너 점도)가 되면 반응을 중지하고 중합금지제 0.04g을 넣고 온도를 낮추어 온도가 100℃가 되면 스틸렌 모노머 360g 으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수지는 경화촉진제 2g, 3급 아민 N N'-디메틸아닐린, 디에틸아닐린0.5g 혼합하고 점도는 스틸렌모노머로 경화시간은 중합금지제 파라 t-부틸카타콜로 조절하여 비교예1 원심성형용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스틸렌계 모디파 저수축화제
반응기에 스틸렌모노머 600g, 중합금지제 0.04g을 넣고 온도를 50℃유지하면서 GPPS(엘지화학, GPPS 20HRE, 또는 LG15NFI) 367g 폴리스틸렌 모디파( 일본NOF Corporation사의 NODIPER SV10B) 5g을 4시간동안 용융 시킨 후 용융된 상태를 확인하고 BYK첨가제(BYK 185) 7.5g과 알파메틸스틸렌 4g을 넣고 잘 혼합하여 원심성형용 저수축화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폴리스틸렌계 저수축화제
반응기에 스틸렌모노머 600g, 중합금지제 0.04g을 넣고 온도를 50℃유지하면서 GPPS(엘지화학GPPS20HRE) 267g 과 LG15NFI (엘지화학GPPS) 105g을 4시간동안 용융시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폴리스틸렌계 저수축화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 예 1, 2 및 비교 예 1 만들어진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를 메틸케톤퍼옥사이드(55%)경화제를 합성수지에 대해 일정량 투입하여 상온에서 경화시켜 경화물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표3.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Figure 112009500711513-PAT00011
표4. 폴리스틸렌계 저수축화제
Figure 112009500711513-PAT00012
표5. 상온 분리 상태 및 경시변화
Figure 112009500711513-PAT00013
표6. 원심성형에 의한 레진콘크리트 물성변화
Figure 112009500711513-PAT00014
.

Claims (4)

  1. 폐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저가원료인 폐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올리고머)을 20-30중량부, 다가글리코올20-25중량부 다가불포화산 20-25중량부중 불포화산 14-16중량부, 비닐당량체 35-45중량부, 안정제로 1.3 부틸렌글리코올 0.2-0.5중량부, 중합금지제 0.005-0.015중량부, 촉매 0.05-0.15중량부를 포함한 조성으로 이루어진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2. 재생 PET칩(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생 칩, PET병)을 사용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료로 재생PET칩 20-30중량부, 다가글리코올 20-25중량부 다가불포화산 20-25중량부중 불포화산 14-16중량부, 비닐당량체 35-45중량부, 안정제로 1.4부틸렌글리코올 0.2-0.5중량부, 중합금지제 0.005 - 0.015중량부, 촉매 0.05-0.15중량부를 포함한 조성으로 이루어진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3. 폴리스틸렌계 모디파 저수축화제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스틸렌GPPS 30-40중량부, 비닐단량체 60-70중량부 폴리스틸렌 모디파 0.5-1중량부, 내부 혼합유화제로 분리방지용 BYK 첨가제 0.5-1중량부, 알파메틸스틸렌 0.3-0.7중량부를 포함한 조성물로 하는 폴리스틸렌 모디파 저수축화제
  4. KSM 3375의 폴리에스테르수지(레진) 콘크리트관 KS 규격에 준해 원심 성형에 의한 레진콘크리트관 제작시 제1항 폐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 또는 제2항 재생 PET칩(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생칩, PET병 칩)을 사용하여 제조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제3항 폴리스틸렌계 모디파 저수축화제에 의해 제조된 저수축화제의 비율을 수지 75-85중량부, 저수축화제 25-15중량부 비율로 사용되어지는 레진콘크리트관에 사용되는 재생PET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및 폴리스틸렌 모디파 저수축화제
KR20090014215A 2009-02-20 2009-02-20 레진콘크리트 하수관용 폐피이티 재생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및 폴리스틸렌계 저수축화제 조성물 KR20090028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4215A KR20090028749A (ko) 2009-02-20 2009-02-20 레진콘크리트 하수관용 폐피이티 재생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및 폴리스틸렌계 저수축화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4215A KR20090028749A (ko) 2009-02-20 2009-02-20 레진콘크리트 하수관용 폐피이티 재생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및 폴리스틸렌계 저수축화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749A true KR20090028749A (ko) 2009-03-19

Family

ID=4069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4215A KR20090028749A (ko) 2009-02-20 2009-02-20 레진콘크리트 하수관용 폐피이티 재생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및 폴리스틸렌계 저수축화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87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9778B1 (en) 2012-08-09 2013-12-17 Americas Styrenics, LLC Styrenic resin incorporating recycled polystyrene
US9096698B2 (en) 2012-08-09 2015-08-04 Americas Styrenics, LLC Styrenic resin incorporating recycled polystyrene
US9115228B2 (en) 2012-08-09 2015-08-25 Americas Styrenics, LLC Styrenic resin having improved extensional viscosit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9778B1 (en) 2012-08-09 2013-12-17 Americas Styrenics, LLC Styrenic resin incorporating recycled polystyrene
US9096698B2 (en) 2012-08-09 2015-08-04 Americas Styrenics, LLC Styrenic resin incorporating recycled polystyrene
US9115228B2 (en) 2012-08-09 2015-08-25 Americas Styrenics, LLC Styrenic resin having improved extensional viscos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99290A (zh) 一种聚双环戊二烯复合材料及其单料反应注射成型工艺
BRPI1009833B1 (pt) Resina de poliéster insaturado
KR20090028749A (ko) 레진콘크리트 하수관용 폐피이티 재생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및 폴리스틸렌계 저수축화제 조성물
CN107141420B (zh) 无苯乙烯低收缩型不饱和聚酯树脂及其制备方法
CN111978444B (zh) 一种基于有机多元酸的光固化树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2206311A (zh) 模压片状或团状模塑料低收缩剂用饱和聚酯及其制备方法
CN1127544C (zh) 树脂混凝土组合物及其成形品
CN109651606A (zh) 以多元羧酸酐副产物生产不饱和聚酯树脂的方法
CN1214060A (zh) 自二醇二酯制备的聚醚酯树脂
KR101214936B1 (ko) 플라이 애쉬와 급냉 제강슬래그를 포함하는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3754835B (zh) 油脂基改性不饱和聚酯树脂及其制备方法
KR890001704B1 (ko) 경화성 성형조성물
CN109206562A (zh) 一种玻璃钢化粪池及其制备方法
KR102301724B1 (ko) 재활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이용한 친환경 인발성형용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의 제조방법
EP1373390A4 (en) PIGMENTED MOLDING COMPOSITIONS, RESISTANT TO INTEMPERIES
KR20140122499A (ko) Pet 제조 부산물을 이용한 폴리머 콘크리트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40031490A1 (en) Glycerol based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and raw materials therefor
KR101068119B1 (ko) 마블칩용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383253B1 (ko) F.r.p 절연봉 인발성형용 비닐에스테르 수지와 이를 이용한인발성형품의 제조방법
JP5160310B2 (ja) 不飽和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硬化成型品
KR102545381B1 (ko) 재활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플레이크를 이용한 친환경 내식성 인발성형용 비닐에스테르수지의 제조방법
KR20100104057A (ko) 폐발포폴리스타이렌을 수축저감재로 재활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폴리머 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RU2802475C1 (ru) ПЭС на основе ПЭТФ
CN110093002A (zh) 一种玻璃钢化粪池及其制备方法
CN109776777A (zh) 一种用于团状模塑料的不饱和聚酯合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