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175A -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 Google Patents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175A
KR20090028175A KR1020070093560A KR20070093560A KR20090028175A KR 20090028175 A KR20090028175 A KR 20090028175A KR 1020070093560 A KR1020070093560 A KR 1020070093560A KR 20070093560 A KR20070093560 A KR 20070093560A KR 20090028175 A KR20090028175 A KR 20090028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structure
freeze protection
inner housing
fixing plate
ai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6415B1 (ko
Inventor
강흥묵
Original Assignee
강흥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흥묵 filed Critical 강흥묵
Priority to KR1020070093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4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28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0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or excess pressure or insufficient 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수도 계량기의 내부에 제공되며, 흐르는 유체의 온도 하강 동결에 따른 부피의 팽창 압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수도 계량기의 파손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개량된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이 개시된다. 이 구조물은 한 쪽 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내부 하우징에 제공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로서,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완충공기튜브를 포함한다. 메인 고정판은 표면에 다수의 유체의 제1 유통공이 형성되며, 완충공기튜브를 눌러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수도 계량기, 수도 미터기, 동파방지, 공기튜브, 에어튜브, 에어백.

Description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ANTI-FREEZING BURST STRUCTURE OF A WATER METER}
본 발명은 수도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 계량기에 제공되며 흐르는 유체의 온도 하강 동결에 따른 부피의 팽창 압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수도 계량기의 파손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개량된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 계량기와 같은 유체탱크 및 관체 등의 내부에는 유체가 흐르거나 보관되는바, 특히 겨울철의 경우 온도 하강 동결에 따른 부피의 팽창 압력에 의해 수도 계량기 자체 또는 내부의 부품들이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종래에는 수도 계량기 내부의 온도 하강 동결에 따른 부피의 팽창압력 흡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개량이 시도되었다. 이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출원인 금호미터텍 주식회사 및 주식회사 두레테크에 의해 등록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04-0016921호(발명의 명칭: 에어백 고정판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가 출원되었다. 이에 대한 구성은 도 8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도 계량기는 중공의 외부 하우징(102), 외부 하우징(102)의 내부에 상,하부로 차례로 설치되는 중공의 제1 내부 하우징(108) 및 제2 내부 하우징(112), 제1 내부 하우징(108)에는 제1 내부 하우징(108)의 내부에 에어백(114)이 고정판(118)에 의해 고정 지지되되, 고정판(118)은 제1 내부 하우징(108)의 내벽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10)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 구성이다. 여기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4" 및 "106"은 외부 하우징(102)에 형성된 입수공 및 출수공이며, "120" 및 "122"는 제1 내부 하우징(108)에 위치하는 표시침과 감속기어이며, "124"은 표시창이다. 또한 "126"은 제2 내부 하우징(112)에 위치하는 임펠러이다.
특히, 상기한 종래의 수도 계량기는 에어백(114)이 제1 내부 하우징(108)의 내부에 위치시켜 고정판(118)과 고정돌기(110)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는바, 이는 에어백(114)이 감속기어(122)의 방향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만으로는 수도 계량기의 내부를 흐르는 수압(대략 3.0~5.0 kg/cm2의 압력)을 흡수하기란 역부족이다. 즉, 제1 하우징(108)의 내부에는 대략 2.8~3.0kg/cm2의 공기가 이미 주입된 상태의 에어백(114)를 넣을 수 밖에 었다. 이 때문에, 에어백(114)의 내부 압력이 수도 계량기의 내부를 흐르는 수압보다 작게 된다.
결과적으로, 종래 기술의 에어백은 온도 하강으로 인한 유체의 동결시, 에어백의 부피가 감소하며, 에어백 자체의 압력보다 수압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감 소한 부피만큼 에어백의 팽창압력의 흡수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예상된다.
따라서, 상기한 에어백은 수압의 경우와 상응한 압력(대략 3.0~5.0 kg/cm2의 압력) 이상의 공기를 주입시켜 압력의 흡수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개량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고정판이 단지 원판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약해 동결시 유체 압력에 의해 감속기어 등의 부품의 파손 우려 등이 예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상승 및 온도하강 동결에 따른 부피의 팽창 압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유체탱크나 관체 등의 파손을 최대한 예방하기 위한 개량된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 하우징 및 고정판들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 쪽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내부 하우징에 제공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로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완충공기튜브; 및
표면에 다수의 유체의 제1 유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공기튜브를 눌러 상 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공기튜브는 내부 하우징에 미리 넣은 후 공기를 주입하고 밀봉시키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상기 완충공기튜브는 내피; 상기 내피의 바깥면에 감싸 서로에 대하여 소정의 공간을 형성시키는 외피; 및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의 공간에 젤;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의 공간에는 신축 가능한 망체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공기튜브는 막대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완충공기튜브는 상기 내부 하우징에 고리 모양으로 말아 설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공기튜브는 "C"자 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공기튜브의 일측에는 공기 주입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공기튜브의 표면적은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의 표면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공기튜브의 표면적은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 표면적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공기 주입구가 끼워지도록 제1 밀폐공이 관통되고, 상기 공기 주입구는 제1 밀폐공으로 통과되며, 상기 제1 밀폐공에는 상기 공기 주입구를 눌러 밀폐시키도록 밀폐구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는 제2 밀폐공이 관통되고, 상기 공기 주입구는 상기 제1 밀폐공을 거쳐 제2 밀폐공으로 통과되며, 상기 제1 밀폐공과 제2 밀폐공에는 상기 공기 주입구를 눌러 밀폐시키도록 밀폐구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하우징의 제1 밀폐공은 한 쌍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공기 주입구는 하나의 제1 밀폐공을 거쳐 다른 하나의 제1 밀폐공으로 통과되며, 상기 제1 밀폐공들에는 상기 공기 주입구를 눌러 밀폐시키도록 밀폐구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의 어느 한쪽 면에 다수의 제1 리브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의 저면에는 제1 플렌지부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하우징의 바닥 중앙에는 중공의 결합부가 수직으로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의 자유단은 상기 고정부재의 중앙으로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의 자유단에는 제1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나사부에는 너트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벽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가상의 원중심으로부터 바깥 방향을 향하여 벌려지도록 탄성을 갖는 탄성 스프링이 제공되되,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고정부재가 내부 하우징의 개구된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하우징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제3 리브를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는 저면으로 중공의 제1 수직 연결부가 상기 내부 하우징의 바닥을 향하여 수직 돌출되는 판 형상의 제1 고정판; 및 상기 제1 고정판의 제1 수직 연결부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중공의 제2 수직 연결부가 세워져 돌출되는 제 2고정판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직 연결부의 내경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제2 수직 연결부의 외경에는 상기 암나사부와 결합되는 제2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고정판의 저면 및 제2 고정판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제2 리브를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고정판 및 제2 고정판의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 유통공 및 제3 유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고정판 및 제2 고정판의 저면 및 표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제2 플렌지부 및 제3 플렌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직 연결부와 제2 수직 연결부에는 제2 통공이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은, 내부 하우징의 바닥, 메인 고정판, 제1 고정판 및 제2 고정판과 같은 고정부재는 표면 또는 어느 한쪽 면에 다수의 리브를 방사상으로 형성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통공을 형성시켜 유체가 통과될 수 있게 하여 수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고정판 및 제2 고정판은 제1 수직 결합부와 제2 수직 결합부를 이용하여 실패 모양으로 결합시키기 때문에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공기튜브의 공기 주입구는 메인 고정판의 제2 밀폐공을 경유하여 내부 하우징의 제2 밀폐공으로 통과시킨 후, 이들 제1 밀폐공과 제2 밀폐공에 밀폐구를 끼움으로써, 완충공기튜브의 배출이 이중으로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완충공기튜브를 내피와 외피 이중으로 형성시키고, 이들 사이에는 젤과 함께 망체를 제공하여 젤에 의한 공기압의 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망체에 의해 완충공기튜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하기 실시예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WM)의 동파방지 구조물(200)의 적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수도 계량기(WM)의 동파방지 구조물(200)의 메인 고정판(220), 완충공기튜브(250) 및 내부 하우징(210)을 서로 분리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동파방지 구조물(200)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A-A선에 따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내부 하우징(210)에 밀폐공(212)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수도 계량기(WM)의 동파방지 구조물(200)의 메인 고정판(220), 완충공기튜브(250) 및 내부 하우징(210)을 서로 분리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동파방지 구조물(200)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이중의 완충공기튜브(250)의 내부를 보주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외부 하우징, 입수공, 출수공, 표시침, 감속기어, 표시창 및 임펠러는 종래 기술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한 쪽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내부 하우징(210)에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 계량기(WM)의 동파방지 구조물(200)은 내부 하우징(210)의 내부에 제공되는 완충공기튜브(250)와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완충공기튜브(250)는 내부 하우징(2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완충공기튜브(250)는 내피(252), 외피(254)를 포함하여 이중으로 구성되고, 이들 사이에 젤(258) 및 망체(256)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피(254)는 내피(252)의 바깥면에 감싸 서로에 대하여 소정의 공간을 형성시킨다. 망체(256)는 내피(252)와 외피(254) 사이의 공간에 제공되며, 이와 동시에 망체(256)는 젤(258)과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완충공기튜브(250)의 일측에는 공기 주입구(260)가 형성될 수 있는 데, 도 2에는 공기 주입구(260)의 길이가 비교적 길게 형성된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여기서는 완충공기튜브(250)이 이중으로 형성되었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완충공기튜브(250)는 막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공기튜브(250)는 내부 하우징(210)에 고리 모양으로 말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완충공기튜브(250)는 "C"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공기튜브(250)의 표면적은 내부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과 동일한 표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공기튜브(250)의 표면적은 내부 하우징(210)의 내부 표면적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완충공기튜브(250)의 표면적이 내부 하우징(210)의 내부 표면적 보다 작으면, 완충공기튜브(250)의 소재가 높은 압력에 팽창하면서 공기가 완충공기튜브(250)의 밖으로 새어 나간다. 이 때문에 원하는 압력의 팽창 흡수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내부 하우징(210)의 바닥 중앙에는 결합부(218)가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수직으로 형성된다. 결합부(218)의 자유단은 메인 고정판(220)의 중앙으로 관통된다. 결합부(218)의 자유단에는 제1 수나사부(219)가 형성되고, 제1 수나사부(219)에는 너트(219a)가 결합된다. 제1 수직 연결부(230)의 내경에는 암나사부(231)가 형성되고, 제2 수직 연결부(236)의 외경에는 암나사부(231)와 결합되는 제2 수나사부(23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재는 메인 고정판(220)이 있으며, 메인 고정판(220)은 표면에 다수의 유체의 제1 유통공(222)이 형성되며, 완충공기튜브(250)를 눌러 내부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내부 하우징(210)과 메인 고정판(220)의 일측에는 공기 주입구(260)가 끼워지도록 제1 밀폐공(212)과 제2 밀폐공(220a)이 각각 관통된다. 공기 주입구(260)는 제1 밀폐공(212)을 거쳐 제2 밀폐공(220a)으로 통과된다. 이러한 제1 밀폐공(212)과 제2 밀폐공(220a)에는 공기 주입구(260)를 눌러 밀폐시키도록 밀폐구(216)가 끼워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기 주입구(260)는 제1 밀폐공(212)과 제2 밀폐공(220a)에서 밀폐구(216)로 눌려져 이중으로 밀폐된다. 단, 공기 주입구(260)는 밀폐구(216)에 의해 제1 밀폐공(212a) 또는 제2 밀폐공(220a)에서 고정될 수도 있다.
다수의 제1 리브(224)는 메인 고정판(220)의 저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고정판(220)의 저면의 가장자리에는 제1 플렌지부(226)가 형성된다. 제1 플렌지부(226)는 메인 고정판(2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고정부재는 판 형상의 제1 고정판(228)과 제2 고정판(234)을 포함하여 실패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판(228)은 저면 중앙으로 제1 수직 연결부(230)가 내부 하우징(210)의 바닥을 향하여 수직 돌출된다. 제2 고정판(234)은 제1 고정판(228)의 제1 수직 연결부(230)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제2 수직 연결부(236)가 세워져 돌출된다. 제1 수직 연결부(230)와 제2 수직 연결부(236) 중 하나에는 제2 통공(23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개의 제2 리브(238)는 제1 고정판(228)의 저면 및 제2 고정판(234)의 바닥 및/또는 상부에 제2 리브(238)를 방사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제2 고정판(234)에는 반드시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고정판(228) 및 제2 고정판(234)의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 유통공(232) 및 제3 유통공(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유통 공(232)과 제3 유통공(240)은 제1 유통공(222)과 마찬가지로 수도 계량기(WM) 내부의 유체가 쉽게 통과될 수 있다.
다수개의 제3 리브(214)는 내부 하우징(210)의 바닥에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판(228) 및 제2 고정판(234)의 저면 및 표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제2 플렌지부(226) 및 제3 플렌지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렌지부(226) 및 제3 플렌지부(235)는 제1 고정판(228) 및 제2 고정판(234)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1 내지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완충공기튜브(250)는 한 겹으로 될 수 있지만, 이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내피(252)와 그 내피(252)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254)를 구비하고, 내피(252)와 외피(254) 사이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에는 망체(256)와 함께 젤(258)을 제공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내피(252)와 외피(254) 사이에 위치된 망체(256)와 젤(258) 때문에 완충공기튜브(250)의 팽창 압력에 의한 공기의 방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외압에서도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망체(256)는 소정 길이만큼 신축 가능하여 완충공기튜브(2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주며, 젤(258)은 팽창 압력에 의한 공기 누출 방지 효과를 향상시켜 준다(도 1 및 도 6 참조).
이어, 메인 고정판(220)의 저면에는 다수의 제1 리브(224)를 방사상으로 형 성시킬 수 있다. 이는 다수의 제1 리브(224)로 인해 메인 고정판(220)의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렇게 하면, 메인 고정판(220)은 수도 계량기(WM)의 내부를 흐르는 수압으로도 파손되지 않는다. 특히 메인 고정판(220)에는 다수의 제1 유통공(22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도 계량기(WM)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통과될 수 있다. 이는 메인 고정판(22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완충공기튜브(250)는 공기를 주입시키지 않은 상태에 내부 하우징(210)에 넣고 메인 고정판(220)으로 눌러 고정시킨다. 이때, 공기 주입구(260)는 내부 하우징(210)의 밀폐공(212)에 끼워져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완충공기튜브(250)에는 공기 주입구(260)를 통해 공기를 주입시키게 된다. 이때, 내부 하우징(210) 및 메인 고정판(220)으로 인해, 완충공기튜브(250)의 부피는 더 이상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는 수압의 경우와 상응한 비교적 높은 압력(대략 5.0 kg/cm2 이상의 압력)을 주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공기 주입이 완료되면, 공기 주입구(260)는 메인 고정판(220)의 제2 밀폐공(220a)으로 통과시키고, 내부 하우징(210)의 제1 밀폐공(212)으로 통과한다. 이러한 제1 밀폐공(212)과 제2 밀폐공(220a)에는 밀폐구(216)를 끼우게 된다. 이때, 공기 주입구(260)는 밀폐구(216)에 의해 눌려져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이중으로 밀폐된다(도 1, 도 2 및 도 3 참조).
다른 예로, 상기 메인 고정판(220)의 제2 밀폐공(220a) 대신 내부 하우징(210)에 제1 밀폐공(212)를 상하로 2개소에 걸쳐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방법 에 의해 공기 주입구(260)을 하측의 제1 밀폐공(212)로 통과시킨 후, 이어 상측의 제1 밀폐공(212)로 통과시켜 밀폐구(216)에 의해 각각 고정시킬 수도 있다(도4 참조).
한편, 내부 하우징(210)의 결합부(218)는 완충공기튜브(250)를 경유하여 메인 고정판(220)의 중앙으로 관통된다. 결합부(218)의 자유단은 메인 고정판(22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이다. 이렇게 돌출된 결합부(218)의 제1 수나사부(219)에는 너트(219a)를 결합시켜 메인 고정판(220)이 상부 방향으로 더 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필요에 따라, 제1 수나사부(219)에서의 너트(219a)의 고정 위치는 제1 수나사부(219)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변동될 수 있다.
이어, 내부 하우징(210)의 고정홈(219d)에는 가상의 원중심으로부터 바깥 방향을 향하여 벌려지도록 탄성을 갖는 탄성 스프링(219b)이 끼워져 고정된다. 탄성 스프링(219b)은 메인 고정판(220)이 내부 하우징의 개구된 상부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결합부(218)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 통공(219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통공(219c)으로는 유체가 자유롭게 통과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재는 제1 고정판(228)과 제2 고정판(234)의 구성요소를 갖는 실패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판(228)은 저면으로 제1 수직 연결부(230)가 상기 내부 하우징의 바닥을 향하여 수직 돌출되며, 제2 고정판(234)은 제1 고정판(228)의 제1 수직 연결부(230)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제2 수직 연결부(236)가 세워져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 서, 제1 고정판(228)의 제1 수직 연결부(230)와 제2 고정판(234)의 제2 수직 연결부(236)를 암결합 또는 수결합의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 수직 연결부(230)의 내경에는 암나사부(231)가 형성되고, 제2 수직 연결부(236)의 외경에는 암나사부(231)와 결합되는 제2 수나사부(23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암나사부(231)와 제2 수나사부(237)는 서로 나사 결합된다. 특히, 제1 수직 연결부(230)와 제2 수직 연결부(236)은 막대형 및/또는 "C" 형 완충공기튜브(250)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체로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제1 고정판(228)의 저면 및 제2 고정판(234)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제2 리브(238)를 방사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제1 고정판(228)과 제2 고정판(234)의 내구성은 제2 리브(238)들에 의하여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제1 고정판(228) 및 제2 고정판(234)의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 유통공(232) 및 제3 유통공(2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통공(232)은 제1 유통공(222)과 마찬 가지로 수도 계량기(WM)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통과될 수 있게 하여 수압에 의한 제1 고정판(228) 및 제2 고정판(23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내부 하우징(210)의 내부 바닥에는 제3 리브(2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또한 제1 리브(224) 및 제2 리브(238)와 마찬 가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의 적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내부 하우징에 밀폐공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2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1에서 이중의 완충공기튜브를 보여주는 단면도; 및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의 적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동파방지 구조물
210: 내부 하우징 212: 밀폐공
214: 제3 리브 216: 밀폐구
218: 결합부 219: 제1 수나사부
219a: 너트 219b: 탄성 스프링
219c: 제1 통공 220: 메인 고정판
222: 제1 유통공 224: 제1 리브
226: 플렌지부 228: 제1 고정판
230: 제1 수직 연결부 232: 제2 유통공
234: 제2 고정판 236: 제2 수직 연결부
237: 제2 수나사부 238: 제2 리브
240: 제3 유통공 250: 완충공기튜브
252: 내피 254: 외피
256: 망체 258: 젤
260: 공기 주입구

Claims (24)

  1. 한 쪽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내부 하우징에 제공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로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완충공기튜브; 및
    표면에 다수의 유체의 제1 유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공기튜브를 눌러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공기튜브는 내부 하우징에 미리 넣은 후 공기를 주입하고 밀봉시키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공기튜브는
    내피;
    상기 내피의 바깥면에 감싸 서로에 대하여 소정의 공간을 형성시키는 외피; 및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의 공간에 젤;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의 공간에는 신축 가능한 망체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완충공기튜브는 막대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완충공기튜브는 상기 내부 하우징에 고리 모양으로 말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완충공기튜브는 "C"자 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공기튜브의 일측에는 공기 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공기튜브의 표면적은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의 표면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공기튜브의 표면적은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 표면적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공기 주입구가 끼워지도록 제1 밀폐공이 관통되고, 상기 공기 주입구는 제1 밀폐공으로 통과되며, 상 기 제1 밀폐공에는 상기 공기 주입구를 눌러 밀폐시키도록 밀폐구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는 제2 밀폐공이 관통되고, 상기 공기 주입구는 상기 제1 밀폐공을 거쳐 제2 밀폐공으로 통과되며, 상기 제1 밀폐공과 제2 밀폐공에는 상기 공기 주입구를 눌러 밀폐시키도록 밀폐구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제1 밀폐공은 한 쌍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공기 주입구는 하나의 제1 밀폐공을 거쳐 다른 하나의 제1 밀폐공으로 통과되며, 상기 제1 밀폐공들에는 상기 공기 주입구를 눌러 밀폐시키도록 밀폐구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어느 한쪽 면에 다수의 제1 리브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저면에는 제1 플렌지부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14.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바닥 중앙에는 중공의 결합부가 수직으로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의 자유단은 상기 고정부재의 중앙으로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자유단에는 제1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나사부에는 너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벽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가상의 원중심으로부터 바깥 방향을 향하여 벌려지도록 탄성을 갖는 탄성 스프링이 제공되되,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고정부재가 내부 하우징의 개구된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제3 리브를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저면으로 중공의 제1 수직 연결부가 상 기 내부 하우징의 바닥을 향하여 수직 돌출되는 판 형상의 제1 고정판; 및 상기 제1 고정판의 제1 수직 연결부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중공의 제2 수직 연결부가 세워져 돌출되는 제 2고정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연결부의 내경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직 연결부의 외경에는 상기 암나사부와 결합되는 제2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판의 저면 및 제2 고정판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제2 리브를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판 및 제2 고정판의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 유통공 및 제3 유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 방지 구조물.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판 및 제2 고정판의 저면 및 표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제2 플렌지부 및 제3 플렌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 방지 구조물.
  24.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연결부와 제2 수직 연결부에는 제2 통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KR1020070093560A 2007-09-14 2007-09-14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KR100996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560A KR100996415B1 (ko) 2007-09-14 2007-09-14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560A KR100996415B1 (ko) 2007-09-14 2007-09-14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175A true KR20090028175A (ko) 2009-03-18
KR100996415B1 KR100996415B1 (ko) 2010-11-25

Family

ID=4069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560A KR100996415B1 (ko) 2007-09-14 2007-09-14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4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447B1 (ko) * 2013-05-13 2013-07-26 한국아이치 주식회사 에어백이 구비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KR101357153B1 (ko) * 2013-06-03 2014-02-05 주식회사 아셀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57151B1 (ko) * 2013-05-25 2014-02-05 주식회사 아셀 배리어성 복합필름을 외피재로 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57147B1 (ko) * 2013-05-25 2014-02-05 주식회사 아셀 다기능 복합필름으로 이루어진 수도 계량기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12152B1 (ko) 2016-06-17 2017-03-03 신동아전자(주)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 유량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186Y1 (ko) * 2004-06-22 2004-09-07 금호미터텍 주식회사 에어백 보호용 케이스를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447B1 (ko) * 2013-05-13 2013-07-26 한국아이치 주식회사 에어백이 구비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KR101357151B1 (ko) * 2013-05-25 2014-02-05 주식회사 아셀 배리어성 복합필름을 외피재로 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57147B1 (ko) * 2013-05-25 2014-02-05 주식회사 아셀 다기능 복합필름으로 이루어진 수도 계량기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57153B1 (ko) * 2013-06-03 2014-02-05 주식회사 아셀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12152B1 (ko) 2016-06-17 2017-03-03 신동아전자(주)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 유량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415B1 (ko) 201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415B1 (ko)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US20060060248A1 (en) Sanitary fitting
CN206055936U (zh) 一种防冻裂加热器
US20210293257A1 (en) Gas-liquid Coupling Type Fluid Pulsation Attenuator
KR20140006205U (ko) 공기주입식 텐트의 파이프 연결밸브 및 공기주입식 텐트의 파이프 지지장치
KR101009206B1 (ko)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CN209557333U (zh) 一种具有高密封性的汽车水泵泵壳
KR20140140452A (ko) 수격흡수기
CN209452437U (zh) 引压管疏通装置
CN209085060U (zh) 水箱及具有其的热水器
KR200293485Y1 (ko) 유체탱크의 파손방지장치
ES1069104U (es) Dispositivo obturador neumatico de alta presion para tuberias.
JP2007308992A (ja) 凍結破裂防止機能付き水道管ユニットおよび水道管ユニットの凍結破裂を防止する方法。
CN215110540U (zh) 一种液压破碎锤专用氮气充气阀
CN202901355U (zh) 一种制冷系统用的球阀
CN106801788B (zh) 一种防爆lng保温罐
CN212056689U (zh) 注脂嘴
CN212004378U (zh) 一种带有密封结构的柔性截流装置
JP3081315U (ja) 配管継手
CN209212856U (zh) 带气囊的阻尼器
CN205130915U (zh) 新型密封燃油箱阀门
CN217736562U (zh) 具有优良保温效果的保温管结构
CN109990164A (zh) 一种哈夫节
CN220115177U (zh) 一种3d储液袋
CN218440771U (zh) 一种无泄漏抗冲击球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