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485Y1 - 유체탱크의 파손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유체탱크의 파손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485Y1
KR200293485Y1 KR2020020023635U KR20020023635U KR200293485Y1 KR 200293485 Y1 KR200293485 Y1 KR 200293485Y1 KR 2020020023635 U KR2020020023635 U KR 2020020023635U KR 20020023635 U KR20020023635 U KR 20020023635U KR 200293485 Y1 KR200293485 Y1 KR 200293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uid tank
buffer
ga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흥묵
Original Assignee
강흥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흥묵 filed Critical 강흥묵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485Y1/ko
Priority to AU2003248151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03248151A1/en
Priority to PCT/KR2003/001585 priority patent/WO2004014763A1/en

Links

Landscapes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유체탱크 또는 관체 내에 보관되거나 흐르는 유체의 온도 상승 및 온도하강 동결에 따른 부피의 팽창 압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유체탱크나 관체 등의 파손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유체탱크의 파손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유체탱크의 파손방지장치는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배치된다. 그믈철망은 하우징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완충실이 형성되고, 사방 측면에는 다수의 제 1통공이 관통된다. 다수의 완충볼은 그믈철망의 완충실에 채워지고, 내부에는 기체의 중공이 형성된다. 제 1기체 주입구는 완충볼의 일측에 설치되고, 중공에 기체를 주입시키기 위한 제 1기체 주입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파손방지장치는 유체탱크, 유량 계측기기 및 배관 등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탱크의 파손방지장치{BREAKAGE PREVENTING APPARATUS OF A FLUID TANK}
본 고안은 유체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유체탱크 내에 위치한 유체의 팽창 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한 파손방지장치가 구비된 유체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탱크나 배관내에는 유체가 수용되고, 그 유체는 기온의 변화에 따라 팽창 압력이 발생함으로써, 유체탱크나 배관 자체의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유체탱크나 배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가지 시도가 있었다. 그 중 하나로써,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라 파손방지장치가 구비된 유체탱크를 보여주고 있다. 유체탱크(200)는 하우징(110)에 밀봉캡(120), 완충부재(116) 및 유체호스(122)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밀봉캡(120)은 하우징(110)의 개구 부위에 결합된다. 밀봉캡(120)에는 유체가 출입되는 유체호스(122)가 설치되어 있다. 완충부재(116)는 하우징(110)의 내벽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완충부재(116)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 기체 완충실(112)과 유체 보관실(114)이 형성된다. 완충부재(116)는 신축이 가능한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종래에는 유체 보관실(114)에는 유체호스(122)를 통해 물이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온도가 상승되어 유체 보관실(114)내의 압력이 증가하면, 완충부재(116)는 기체 완충실(112)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러면, 유체 보관실(122)내의 부피가 작아져 압력이 더이상 상승되는 것을 막아준다. 반대로, 온도가 하강하여 유체 보관실(122)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완충부재(116)는 기체 완충실(112)로부터 유체 보관실(114)을 향하여 밀려 내려온다. 그 결과, 유체 보관실(114)내의 부피가 상승되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체 보관실(114) 내의 압력을 적정 압력으로 유지함으로써, 유체탱크(100)의 하우징(110)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유체탱크(100)는 하우징(110)내의 내벽에 완충부재(116)를 설치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완충부재(116)의 파손시, 그 완충부재(116) 만을 교체하지 못하고 유체탱크(100) 자체를 교체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비용 부담이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팽창되는 부피의 압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파손방지장치가 구비된 유체탱크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배치된 유체탱크의 파손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완충실이 형성되고, 사방 측면에는 다수의 제 1통공이 관통되는 그믈철망;
상기 그믈철망의 완충실에 채워지고, 내부에는 기체의 중공이 형성되는 다수의 완충볼; 및
상기 완충볼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에 기체를 주입시키기 위한 제 1기체 주입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탱크의 파손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파손방지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기체의 저장실이 형성되는 고무튜브; 및 상기 고무튜브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에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제 2기체 주입구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손방지장치가 구비된 유체탱크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파손방지장치가 구비된 유체탱크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완충볼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파손방지장치가 구비된 유체탱크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라 파손방지장치가 구비된 유체탱크를 보인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변형예에 따라 파손방지장치가 구비된 유체탱크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액체탱크 212: 수용공간
220: 제 1파손방지장치 222: 그믈철망
228: 완충볼 230: 제 2파손방지장치
232: 고무튜브 240: 제 3파손방지장치
242: 제 1바디 244: 그믈망
250: 제 4파손방지장치 252: 제 2바디
254: 탄성판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파손방지장치(220)가 구비된 유체탱크(200)는 하우징(210)내의 수용공간(212)의 바닥에 파손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수용공간(212)은 일측이 개구된 채로 하우징(210) 내에 형성된다. 하우징(210)의 일측면에는 입구관(214)이 연결된다. 출구관(216)은 입구관(214)의 반대편 위치에 연결된다. 입구관(214)과 출구관(216) 하우징(210)의 수용공간(212)과 연이어 통한다. 밀봉캡(128)은 하우징(210)의 개구된 부위에 결합된다. 밀봉캡(128)에는 수도 계량기의 지침(미도시됨)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제 2파손방지장치(230)는 그믈철망(222)과 다수의 완충볼(228)을 포함한다.완충실(224)은 그믈철망(222)의 내부에 형성된다. 그믈철망(222)의 사방면에는 다수의 제 1통공(226)이 관통 형성된다. 다수의 완충볼(228)은 그믈철망(222)의 완충실(224)에 채워진다. 완충볼(228)은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제 1기체 주입구(229)는 완충볼(228)의 일측에 설치된다. 그믈철멍(222)은 자중에 의해 수용공간(212)내의 하우징(210) 바닥에 위치되거나 별도의 결합수단(예; 볼트 등)으로 고정 설치하면 된다. 완충볼(228)의 중공(228a)에는 제 1기체 주입구(229)를 통하여 기체를 주입시킨다. 출구관(216)은 수용공간(212)내의 물이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이다. 여기서, 고무튜브(232)는 반복 사용하는 도중 주입된 기체가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그러면, 앞서와 같이 제 2기체 주입구(236)를 통해 중공(228a)내로 기체를 주입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손방지장치가 구비된 유체탱크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유체는 입관구(214)를 통하여 하우징(210)내의 수용공간(212)으로 유입된다. 이 상태에서, 수용공간(212)내의 유체의 온도가 상승하여 압력이 높아지거나, 유체의 온도가 하강하여 압력이 낮아지면서 동결될 경우, 그 팽창 압력은 그믈철망(222)내의 각 완충볼(228)에 가해진다. 이때, 팽창압력은 완충볼(228)의 중공(228a)에 주입된 기체의 부피가 줄어들게 하여 완충 작용을 수행한다. 즉, 완충볼(228)은 팽창압력만큼 찌그러지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수용공간(212)내의 유체의 온도가 정상적으로 회복되거나 얼었던 유체가 해빙되면, 수용공간(212)내의 유체의 부피가 감소되면서 완충볼(228)의 중공(228a)내의 기체 부피가 증가함으로써, 찌그러졌던 완충볼(228)은 팽창되어 원상태로 회복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 제 2파손방지장치(230)는 그믈철망(222)과 다수의 완충볼(228) 대신 고무튜브(232)로 형성될 수 있다. 고무튜브(232)의 내부에는 중공(228a)이 형성된다. 제 2기체 주입구(236)는 중공(228a)과 연이어 통하도록 고무튜브(232)의 일측에 설치된다. 고무튜브(232)는 수용공간(212)내의 하우징(210) 바닥에 위치되거나 별도의 결합수단(예;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한다. 고무튜브(232)의 중공(228a)내에는 제 2기체 주입구(236)를 통해 기체가 주입된다.
여기서, 고무튜브(232)는 반복 사용하는 도중 주입된 기체가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그러면, 앞서와 같이 제 2기체 주입구(236)를 통해 중공(228a)내로 기체를 주입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손방지장치가 구비된 유체탱크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유체는 하우징(210)이 입구관(214)을 통해 수용공간(212)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유체는 하우징(210)의 출구관(21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이다. 이 상태에서, 수용공간(212)내의 유체의 온도가 상승하여 압력이 높아지거나, 유체의 온도가 하강하여 압력이 낮아지면서 동결될 경우, 그 팽창 압력은 고무튜브(232)에 가해진다. 이때, 팽창압력은 고무튜브(232)의 저장실(234)에 주입된 기체의 부피가 줄어들게 하여 완충 작용을 수행한다. 즉, 고무튜브(232)는 팽창압력 만큼 찌그러지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수용공간(212)내의 유체의 온도가 정상적으로 회복되거나 얼었던 유체가 해빙되면, 수용공간(212)내의 유체의 부피가 감소되면서 고무튜브(232)의 저장실(234)내의 기체 부피가 증가함으로써, 찌그러졌던 고무튜브(232)는 팽창되어 원상태로 회복된다.
다른 한편으로, 본 고안의 변형예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관(214)의 중간 부위가 절단되고, 그 절단된 입구관(214) 사이에는 제 3파손방지장치(240)가 설치된다. 제 3파손방지장치(240)는 제 1바디(242) 내에 그믈망(244)을 사이에 두고 제 1내부통로(248)와 제 1중공(228a)이 형성된. 제 1중공(228a)에는 다수의 완충볼(228)이 채워진다. 그믈망(244)에는 다수의 제 2통공(244a)이 관통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유체는 입구관(214)과 제 1내부통로(248)를 따라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유체가 제 1내부통로(248)에 위치했을 때, 온도 변화에 따라 발생된 팽창 압력은 그믈망(244)의 제 2통공(244a)을 통과하여 완충볼(228)에 전달된다. 그러면, 완충볼(228)은 제 1중공(228a)의 방향으로 찌그러지면서 팽창 압력을 흡수한다. 반대로, 제 1내부통로(248) 내의 유체의 압력이 낮아지면, 찌그러졌던 완충볼(228)은 원상태로 팽창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고안의 다른 변형예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입구관(214)들 사이에는 제 4파손방지장치(250)를 설치할 수 있다. 제 4파손방지장치(250)는 탄성판(254)을 사이에 두고 제 2내부통로(258)와 제 2중공(256)이 형성된다. 제 3기체 주입구(259)는 제2바디(252)의 일측에 설치된다. 기체는 제 3기체 주입구(259)를 이용하여 제 2바디(252)의 제 2중공(256)에 충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유체는 입구관(214)과 제 2내부통로(258)를 따라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유체가 제 1내부통로(248)에 위치했을 때, 온도 변화에 따라 발생된 팽창 압력은 탄성판(254)으로 전달되고, 탄성판(254)은 제 2중공(256)의 방향으로 밀리면서 팽창 압력을 흡수한다. 반대로, 제 2내부통로(258)로 내의 유체의 압력이 낮아지면, 밀려져 있던 탄성판(254)은 원상태로 펴진다.
여기서, 제 3파손방지장치(240)와 제 4파손방지장치(250)는 입구관(214)에 설치한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출구관(216)이나 그 밖의 관체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파손방지장치가 구비된 유체탱크는 유체탱크 또는 관체(예; 입구관과 출구관 등)에 완충볼과 그믈철망이나, 완충튜브로 이루어진 파손방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유체탱크 또는 관체 내에 보관되거나 흐르는 유체의 온도상승 및 하강동결에 따른 부피의 팽창 압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일정 압력을 꾸준히 유지함에 따라, 유체탱크나 관체 등의 파손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상기한 실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통상의 지식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2)

  1.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배치된 유체탱크의 파손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완충실(224)이 형성되고, 사방 측면에는 다수의 제 1통공(226)이 관통되는 그믈철망(222);
    상기 그믈철망(222)의 완충실(224)에 채워지고, 내부에는 기체의 중공(228a)이 형성되는 다수의 완충볼(228); 및
    상기 완충볼(228)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228a)에 기체를 주입시키기 위한 제 1기체 주입구(22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탱크의 파손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방지장치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기체의 저장실(234)이 형성되는 고무튜브(232); 및
    상기 고무튜브(232)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234)에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제 2기체 주입구(23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탱크의 파손방지장치.
KR2020020023635U 2002-03-13 2002-08-07 유체탱크의 파손방지장치 KR200293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3248151A AU2003248151A1 (en) 2002-08-07 2003-08-07 Apparatus for absorbing a volume expansive force of a liquid
PCT/KR2003/001585 WO2004014763A1 (en) 2002-08-07 2003-08-07 Apparatus for absorbing a volume expansive force of a liqu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455 2002-03-13
KR20020007455 2002-03-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485Y1 true KR200293485Y1 (ko) 2002-10-31

Family

ID=7308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635U KR200293485Y1 (ko) 2002-03-13 2002-08-07 유체탱크의 파손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4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83662U (zh) 一种具有防冻裂功能的过滤器
JP5633079B2 (ja) 自動吸排気バルブ装置
KR200424367Y1 (ko)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200293485Y1 (ko) 유체탱크의 파손방지장치
KR20090028175A (ko)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KR20140140452A (ko) 수격흡수기
KR101297362B1 (ko) 하이드로포 탱크 및 이를 적용한 하이드로포 시스템
JP2007290774A (ja) 液体槽浮き屋根揺動防止装置
KR200353617Y1 (ko)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장치
KR101987984B1 (ko) 선박의 침수 저감 장치
KR100614924B1 (ko) 수격 방지 장치
JP5041887B2 (ja) ポンツーン用袋体
KR200251157Y1 (ko) 동파방지용 배수장치
CN105782569B (zh) 一种页岩气输送管道系统
JP2007308992A (ja) 凍結破裂防止機能付き水道管ユニットおよび水道管ユニットの凍結破裂を防止する方法。
KR20140026160A (ko) 탄성볼이 구비된 밀폐형 팽창탱크
KR20140026161A (ko) 격막의 팽창을 감지하는 밀폐형 팽창탱크
JP2002115649A (ja) 水撃圧の減少装置
CN210740775U (zh) 一种具有密封连接组件的冷水机组
KR20050073399A (ko)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KR102523554B1 (ko) 동파 방지 수도계량기
KR200344581Y1 (ko) 수격방지구를 갖는 냉, 온수 분배관
KR20100012460A (ko) 대용적 수격방지기
KR200324483Y1 (ko) 액체의 체적팽창압력 흡수장치
KR100558095B1 (ko) 동파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422

Effective date: 2008092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1023

Effective date: 2009090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