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153B1 -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153B1
KR101357153B1 KR1020130063329A KR20130063329A KR101357153B1 KR 101357153 B1 KR101357153 B1 KR 101357153B1 KR 1020130063329 A KR1020130063329 A KR 1020130063329A KR 20130063329 A KR20130063329 A KR 20130063329A KR 101357153 B1 KR101357153 B1 KR 101357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layer
resin layer
absorbing member
co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셀
Priority to KR1020130063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0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or excess pressure or insufficient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 투습 차단성과 가스 투과 차단성이 우수한 배리어층과 그외 요구 특성을 만족하기 위한 수지층으로 조합된 복합필름 형태의 배리어성 커버체를 구비하고, 탄력 복원성과 다른 요구 특성을 겸비한 복합필름 형태의 튜브형 보형물을 구비한 후 이들 커버체와 보형물을 이중으로 결합 성형하여 체적팽창 흡수부재로 적용 실시함으로서 계량기 동파방지 효율과 품질안정성 및 기능적 발란스를 가일층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곽둘레 및 중앙 끼움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열 융착부와 내부 공간에 공기를 가압 충진하기 위한 에어 유입구가 일측으로 구비되어진 수도 계량기용 채적팽창 흡수부재를 물과 가스를 차단하기 위한 배리어층과 상기 배리어층에 적층되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배리어성 커버체와, 열가소성 수지물로 이루어진 튜브형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하여 성형 된 특징을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Barrier Star covers the implant body and the combination of the dual structure of water meters freeze-proof volume expansion absorbing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습성과 가스배리어성이 우수한 복합필름 형태의 커버체와 압축 및 팽창에 따른 탄력 복원성이 우수한 다기능 복합필름 형태의 튜브형 보형물을 이중으로 조합하여 이를 수도 계량기 체적팽창 흡수부재로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의 사용 량을 검침하기 위한 수도 계량기는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 일측의 입구(11)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이 유입공(12)을 통해 수류형성부(13)로 진입하여 유출공(14)을 거쳐 출구(15)로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임펠러(16)를 회전시키게 되고, 임펠러 상측에 구비된 유량 변환기(17)에서 임펠러의 회전수를 계수하여 물 사용량을 표시하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구조를 갖는 계량기는 겨울철과 같은 혹한기에 기온이 떨어져 영하의 날씨가 지속 되면 내부에 수용된 물이 얼기 시작하여 필연적으로 부피팽창이 수반되지만 계량기 내부 공간은 이러한 부피팽창에 상응하여 팽창하지 못하므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동파되어 수도 계량기 전체를 교환해야 함은 물론, 계량기 교체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는 것이다.
이에, 수도 계량기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허등록 제0582755호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바 있는데, 위 선행기술은 열가소성 수지 계열의 폴리우레탄 필름을 단일기재로 하여 성형한 후 내부에 공기를 가압 충진하여 튜브형 에어백으로 제조한 다음 계량기 내부에 설치함으로서 물이 얼음으로 변화면서 발생하는 부피팽창을 흡수하여 수도 계량기의 동파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위 실시예에 관한 에어백을 수도 계량기의 동파 방지를 위한 체적팽창 흡수부재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물 투습 및 산소 투과를 효율적으로 차단(물ㆍ산소 차단성)할 수 있는 특성을 만족해야 하는 것이나, 선행의 에어백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필름을 단일 기재로 하여 성형 된 것이므로 필름 고유의 특성에 따라 내열성/내마모성/내약품성/탄력성/열 봉함강도/내수성은 양호하나, 물과 산소의 투습 및 투과 차단성(방습성)은 좋지 못한 것이다.
따라서, 계량기 내부에 게재된 폴리우레탄 기재의 에어백은 수돗물의 투습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에는 부족하여 가압 충진 된 압축공기가 투습 영향에 따라 급속히 유출되면서 설계된 체적을 유지할 수 없으며, 이러한 체적변화는 압축 및 팽창의 반복 과정에서 탄력복원 효율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여 계량기 내의 팽창된 부피를 즉시 대응하여 흡수할 수 없어 계량기 동파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것이며, 시간이 경과 하면서 압축 공기의 유출 현상이 지속화되면 체적팽창 흡수부재로서의 기능을 전혀 발휘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위 실시예의 에어백은 수돗물의 투습에 따라 팽윤하거나 연화 현상이 두드러져 분자의 조밀도가 빠르게 약화 되면서 압축공기 유출의 가속화를 막을 수 없어 체적팽창 흡수부재로 적용하기에는 매우 적합하지 못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 투습 차단성과 가스 투과 차단성이 우수한 배리어층과 그외 요구 특성을 만족하기 위한 수지층으로 조합된 복합필름 형태의 배리어성 커버체를 구비하고, 탄력 복원성과 다른 요구 특성을 겸비한 복합필름 형태의 튜브형 보형물을 구비한 후 이들 커버체와 보형물을 이중으로 결합 성형하여 체적팽창 흡수부재로 적용 실시함으로서 계량기 동파방지 효율과 품질안정성 및 기능적 발란스를 가일층 향상시킴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커버체의 배리어층 일면 또는 양면에 동종의 수지층이나 이종의 수지층을 단층 내지는 다층으로 선택 적층하고, 튜브형 보형물 역시 동종 또는 이종의 수지물을 단층 내지는 다층으로 복합 적층함으로서 체적팽창 흡수부재의 기능성과 제품 다양성을 만족스럽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향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곽둘레 및 중앙 끼움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열 융착부와 내부 공간에 공기를 가압 충진하기 위한 에어 유입구가 일측으로 구비되어진 수도 계량기용 채적팽창 흡수부재를 물과 가스를 차단하기 위한 배리어층과 상기 배리어층에 적층되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배리어성 커버체와; 열가소성 수지물로 이루어진 튜브형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 성형 된 특징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 배리어성 커버체는 체정팽창 흡수부재의 상측에 배치되어 외피로 적용되고, 튜브형 보형물은 배리어성 커버체의 내측으로 배치되어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리어성 커버체의 수지층을 배리어층 일면 또는 양면에 동종 또는 이종으로 하여 단층 내지는 다층으로 적층 한 특징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튜브형 보형물은 열 가소성 수지물을 단층으로 하여 구성하거나, 다층의 수지층을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리어층과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성 커버체를 복합필름의 형태로 적층하는 단계와, 열 융착부와 에어 주입구와 끼움공을 갖는 튜브형 보형물을 열가소성 수지물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적층단계를 수행한 배리어성 커버체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한 후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열 융착하여 포켓형태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단계를 수행한 배리어성 커버체 내부에 보형물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삽입단계를 수행한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 사이의 공기를 진공상태로 제거함과 동시에 개봉부위를 열 융착 밀봉하여 체적팽창 흡수부재(T)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단계를 거친 체적팽창 흡수부재의 중앙을 열 융착 천공하여 끼움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를 갖는 체적팽창 흡수부재로 제조되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방습성과 가스 배리어성이 매우 우수한 알루미늄 포일이나 알루미늄증착필름을 기재로 한 배리어층과, 그 외 특성(유연성, 탄력복원성, 열 봉함성, 내한성, 내수성, 내충격성, 내스크레치성)을 만족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층의 복합 적층구조를 갖는 배리어성 커버체와 열가소성 수지물로 성형 된 튜브형 보형물을 이중으로 조합하여 체적팽창 흡수부재로 적용함으로서 투습에 따른 체적팽창 흡수부재의 팽윤과 연화 현상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제품의 품질 안정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또한, 수돗물과 오랜 기간 접촉하더라도 완벽한 방습성을 유지함으로서 가압 충진 된 압축공기의 유출로 인한 체적 변화를 방지하여 압축 및 팽창의 반복 과정에서도 탄력복원 효율을 만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량기 내의 팽창된 부피를 즉시 대응 흡수하여 계량기 동파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도 계량기의 구조를 살펴보기 위한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체적팽창 흡수부재 구조 및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성 커버체 적층 예시도
도 4a 내지 도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배리어성 커버체 적층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보형물 적층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체적팽창 흡수부재 제조 단계별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형물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의 구성 및 제조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체적팽창 흡수부재의 구조 및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성 커버체 적층 예시도로서, 부호 T는 수도 계량기 내부에 게재되는 체적팽창 흡수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의 체적팽창 흡수부재(T)는 외곽둘레 및 중앙 끼움공(Tb)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열 융착부(Ta)를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는 압축공기가 가압 충진되어 구성되어지되, 상기 체적팽창 흡수부재는 물과 가스를 차단하기 위한 배리어층(a)과 상기 배리어층에 적층되는 수지층(b)(b1)(c)(c1)으로 이루어진 배리어성 커버체(100)(100a)와 열가소성 수지물로 이루어진 튜브형 보형물(200)을 이중으로 결합하여 성형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배리어성 커버체는 체적팽창 흡수부재의 상측에 배치되어 외피로 적용되고 튜브형 보형물은 배리어성 커버체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위 실시 예에 있어 배리어성 커버체(100)(100a)는 물과 산소를 차단하기 위한 배리어층(a)과 수지층(b)(b1)(c)(c1)의 조합된 복합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 배리어성 커버체의 배리어층(a)은 알루미늄 포일이나, 알루미늄증착필름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인데, 주지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포일은 포장부재 또는 기밀부재로서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소재이며, 대표적인 특성으로 습기를 차단하는 방습성과 가스 배리어성과 내수성, 내유성, 내한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는 것이다.
또한, 알루미늄증착필름은 베이스재료인 플라스틱 수지필름(폴리에스테르필름, 폴리프로필렌필름, 나일론필름, 폴리에틸렌필름, 폴리염화비닐필름, 폴리카보네이트필름 등등) 표면에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물을 가열 증발시켜 얇은 층으로 증착하여 얻어지는 소재로서, 단일 형체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포일과 거의 동등한 방습성, 가스배리어성을 지니며, 플라스틱 필름과 알루미늄 포일 양쪽의 특성을 모두 지니고 있어 열 융착 접합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배리어성 커버체를 구성하는 배리어층(a)은 위에서 나열한 단일 형체의 알루미늄 포일이나 알루미늄증착필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채용하여 물 투습 및 산소 투과를 효율적으로 차단하고, 물과 접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팽윤 및 연화 현상 또한 근본적으로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알루미늄 포일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6㎛ ~ 12㎛ 정도로서 6㎛ 미만에서는 생산성과 경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12㎛ 초과 범위 내에서는 성형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시한 배리어성 커버체의 수지층(b)(b1)(c)(c1)은 탄력성과 열 접착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알루미늄 포일을 보호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시키고, 방습성과 가스배리어성에 더하여 체적팽창 흡수부재가 갖추어야할 다른 특성을 보완하기 위한 용도로 적층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배리어성 커버체의 수지층(b)(b1)(c)(c1)은 열가소성 수지물로서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리덴으로 이루어 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단독 또는 2개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좀더 구체적으로 나열하면 폴리올레핀 계열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메탈로센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IPP), 에틸렌ㆍ프로필렌고무(EPM), 에틸렌ㆍ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ㆍ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EEA), 아이오노머(IO),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스티렌 계열의 폴리스티렌(PS),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PS), 스티렌ㆍ부타디엔ㆍ스티렌ㆍ블록 공중합체(SBS), 폴리염화비닐 계열의 경질/연질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PA), 폴리우레탄(PUR), 에틸렌ㆍ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등으로 적용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배리어성 커버체의 배리어층(a)과 수지층(b)(b1)(c)(c1)은 그 사이에 도포 코팅된 2액형 우레탄계 접착제(s)(강남화성에서 생산된 모델명 KUB 385)를 이용하여 접합 되는 것으로서, 커버체의 배리어층(a)과 수지층(b)(b1)(c)(c1)을 필름형태로 각각 제작한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팅하거나, 배리어층 일면에 수지층을 용융상태에서 압출 코팅하여 접합하는 가공법 중 택일 된 어느 하나의 가공법으로 적층 구성하여 단일 형체의 배리어성 커버체가 완성되는 것이다.
다음의 설명은 배리어층과 수지층으로 조합되어진 배리어성 커버체의 다양한 적층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성 커버체 적층 예시도 이고, 도 4a 내지 도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배리어성 커버체 적층도 이다.
<배리어성 커버체의 실시예 1>
도시된 실시예의 배리어성 커버체(100)는 기본적인 층 구조가 배리어층(a)/수지층(b), 배리어층(a)/수지층(b)/수지층(b1), 배리어층(a)/수지층(b)/수지층(c), 배리어층(a)/수지층(b)/수지층(c)/수지층(b1)/수지층(c1) 과 같은 것으로서, 알루미늄 포일이나 알루미늄증착필름 중 택일 된 어느 하나의 기재로 이루어진 배리어층(a)과 그 일면에 적층 된 수지층(b)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각종 요구 특성에 따라 동종 또는 이종의 열가소성 수지물을 단층 내지는 다층으로 하여 상기 수지층에 더 적층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배리어층(a)은 바람직하게 배리어성 커버체의 표층으로 적용되고, 수지층(b)은 열 융착을 위한 기층으로 배치되는 것이며, 접착제에 관한 적층 설명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A)와 같이 방습성과 가스배리어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포일을 기재로 한 배리어층(a) 하측에 탄력성과 열 봉함성 및 그외 특성을 갖춘 수지층(b)을 단층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배리어성 커버체(100)를 체적팽창 흡수부재(T)의 외피로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위 실시예의 표층으로 적용되는 배리어층(a)은 알루미늄 포일 일 수 있고 기층으로 적용되는 수지층(b)은 열 융착 접합성 및 열 봉함강도 등의 특성이 양호한 저밀도 폴리에틴렌(LDPE), 중밀도 폴리에틴렌(M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메탈로센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 에틸렌ㆍ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IPP) 중 택일 된 어느 하나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B)는 위 실시예의 변형 예로서 수지층(b) 하측에 동종의 수지층(b1) 내지는 동종계열의 수지층을 복층으로 하여 더 적층 형성한 것으로서, 배리어층(a) 일면에 부착된 수지층(b)이 메탈로센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 일 경우 추가 적층 되는 수지층(b1) 또한 메탈로센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 수지물로 적용하거나, 동종 계열의 수지물인 저밀도 폴리에틴렌(LDPE) 수지물로 치환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C)는 위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 예로서 배리어층(a) 일면에 적층 된 수지층(b)이 메탈로센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 일 경우 추가 적층 되는 수지층(c)을 이종의 수지물인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수지물로 치환하여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3 (D)와 같이 배리어층(a) 일면에 적층 된 수지층(b)이 메탈로센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일 경우 그 하측으로 이종의 수지물인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수지층(c)을 적층하고 이어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층(b1)과 무연신 폴리프로필렌(IPP) 수지층(c1)을 복층으로 혼합하여 배열 적층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배리어성 커버체의 실시예 2>
도시된 실시예의 배리어성 커버체(100a)는 기본적인 층 구조가 수지층(b)/배리어층(a)/수지층(b), 수지층(b1)/수지층(b)/배리어층(a)/수지층(b), 수지층(b)/배리어층(a)/수지층(b)/수지층(b1), 수지층(b1)/수지층(b)/배리어층(a)/수지층(b)/수지층(b1), 수지층(c)/배리어층(a)/수지층(b), 수지층(c)/배리어층(a)/수지층(b)/수지층(b1), 수지층(c1)/수지층(c)/배리어층(a)/수지층(b), 수지층(b1)/수지층(c)/배리어층(a)/수지층(b)/수지층(c1) 과 같은 것으로서, 알루미늄 포일이나 알루미늄증착필름 중 택일 된 어느 하나의 기재로 이루어진 배리어층(a)과 그 양면에 적층 된 수지층(b)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각종 요구 특성에 따라 동종 또는 이종의 열가소성 수지물을 단층 내지는 다층으로 하여 상기 수지층에 다양하게 적층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배리어층(a)은 배리어성 커버체의 중간층으로 적용되고, 배리어층 상측에 적층 된 수지층은 표층으로 적용되며, 배리어층 하측에 적층 된 수지층은 열 융착을 위한 기층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도 4a의 (A)와 같이 방습성과 가스배리어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포일을 기재로 한 배리어층(a) 상측과 하측에 내한성과 탄력성과 열 봉함성 및 그외 특성을 고루 갖춘 수지층(b)을 단층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배리어성 커버체(100a)를 체적팽창 흡수부재(T)의 외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위 실시예의 중간층으로 적용되는 배리어층(a)은 알루미늄 포일 일 수 있고 기층으로 적용되는 수지층은 열 융착 접합성 및 열봉함강도 등의 특성이 양호한 저밀도 폴리에틴렌(LDPE), 중밀도 폴리에틴렌(M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메탈로센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 에틸렌ㆍ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IPP) 중 택일 된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으며, 표층으로 적용되는 수지층은 내충격성, 내한성, 내열성 등의 특성이 양호한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아미드(PA) 중 택일 된 어느 하나로 채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a의 (B)는 위 실시예의 변형 예로서 배리어층(a) 상측에 적층 된 수지층(b)에 동종 계열의 수지층(b1)을 복층으로 하여 더 적층 형성한 것으로서, 배리어층(a) 상측에 적층 된 수지층(b)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일 경우 추가 적층 되는 수지층 또한 동종 계열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층(b1)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a의 (C)는 위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 예로서 배리어층(a) 하측에 적층 된 수지층(b)이 메탈로센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 일 경우 추가 적층 되는 수지층(b1)을 동종 계열의 저밀도 폴리에틴렌(LDPE) 수지물로 치환하여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4a의 (D)와 같이 배리어층(a) 상측과 하측에 적층 된 수지층(b)에 동종의 수지층(b1)들을 적어도 2층 이상 복층으로 배열 적층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리어성 커버체(100a)를 도 4b의 (A), (B), (C), (D)와 같이 이종의 수지층을 배리어층 상측과 하측에 단층 내지는 복층의 형태로 다양하게 적층하여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인데, 알루미늄 포일로 이루어진 배리어층(a)의 상측 수지층(c)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층으로 적용하고 배리어층 하측의 수지층(b)을 메탈로센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 수지물로 하여 이종의 단층 구조로 적층 하거나, 상측과 하측의 이종 수지층(b)(c)에 동종 계열의 수지층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와 저밀도 폴리에틴렌(LDPE) 을 적어도 2층 이상 복층으로하여 배열 적층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를 통한 다층 구조의 배리어성 커버체(100)(100a)를 체적팽창 흡수부재의 외피로 적용함으로서 체적팽창 흡수부재로서 요구되는 방습성과 가스 배리어성을 만족스럽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의 설명은 배리어성 커버체의 하측에 배치되어진 튜브형 보형물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보형물(200)은 체적팽창 흡수부재의 전체적인 형상 유지 및 탄력성을 제공하기 위한 역할과 함께 물 투습 및 가스 투과를 완벽하게 차단하기 위한 배리어성 커버체가 취부 과정이나 사용과정에서 손상을 입어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의 보형물(200)은 열가소성 수지물을 이용하여 단일 층 내지 다층으로 적층하여 복합필름으로 제조한 후 이를 가지고 도넛 형상의 튜브형태로 성형하여서 구성되는 것이며, 성형 과정에서 일측으로 에어 주입구(202)와 열 융착부(201)와 끼움공(203)이 형성되는 것이다.
위 실시예의 튜브형 보형물(200)은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올레핀 계열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메탈로센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IPP), 에틸렌ㆍ프로필렌고무(EPM), 에틸렌ㆍ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ㆍ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EEA), 아이오노머(IO),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스티렌 계열의 폴리스티렌(PS),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PS), 스티렌ㆍ부타디엔ㆍ스티렌ㆍ블록 공중합체(SBS), 폴리염화비닐 계열의 경질/연질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PA), 폴리우레탄(PUR), 에틸렌ㆍ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폴리염화비닐리덴(PVDC)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2 이상을 조합하여 성형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튜브형 보형물을 제1수지층(1)과 제2수지층(2)으로 적층하여 구성하거나, 필요할 경우 제1수지층과 제2수지층과 제3수지층(3)의 다층으로 적층 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수지층(1)을 표층으로 하고, 제2수지층(2)을 기층으로 하며, 제3수지층(3)을 중간층으로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 튜브형 보형물의 제1수지층(1)은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택일 된 단독 또는 1 이상으로 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수지층(2)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메탈로센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 에틸렌ㆍ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IP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택일 된 단독 또는 1 이상으로 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제3수지층(3)은 에틸렌ㆍ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폴리아미드(PA),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PA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택일 된 단독 또는 1 이상으로 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보형물의 표층으로 적용되는 제1수지층(1)은 외부 충격을 흡수 분산하기 위한 특성을 지니고, 기층으로 배치된 제2수지층(2)은 열 융착 및 봉함강도의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며, 중간층으로 적용되는 제3수지층(3)은 방습성과 가스배리어성의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튜브형 보형물의 제1수지층과 제2수지층과 제3수지층 사이에 접착 친화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앵커코트층(sa)을 적층하되, 상기 앵커코트층은 유기 티타늄 화합물인 알킬티타네이트, 티탄아시레이트, 티탄키레이트,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부타디엔 폴리머 군으로부터 택일 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튜브형 보형물의 다양한 적층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튜브형 보형물(200)을 도 5 (A)와 같이 열 가소성 수지물 중 택일 된 어느 하나의 수지물을 단일 수지층으로 하여 성형할 수 있는 것인데, 이러한 단층 구조가 본 발명 튜브형 보형물의 가장 기본이 되는 층 구조라 할 것이다.
또한, 상기한 튜브형 보형물은 제1수지층(1) 내지 제3수지층(3)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며, 도 5 (B)와 같이 표층으로 적용되는 제1수지층(1)과 기층으로 적용되는 제2수지층(2)을 적층하여 구성하거나, 도 5 (C)와 같이 제1수지층(1)과 제2수지층(2) 사이에 중간층으로 적용되는 제3수지층(3)을 더 적층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튜브형 보형물의 제1수지층 내지 제3수지층 사이에 이들의 접착력과 접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앵커코트층(sa)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다양한 적층 예를 갖는 본 발명의 튜브형 보형물(200)은 바람직하게는 내열성과 내한성 및 외부 충격을 흡수 분산하기에 적합한 폴리아미드(PA-나일론)를 제1수지층(1)으로 적용하고, 열 융착 접합특성 및 탄력성이 우수한 메탈로센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을 제2수지층(2)으로 적용하며, 방습성과 가스 배리어성의 특성을 지닌 에틸렌ㆍ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를 제3수지층(3)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의 설명은 위와 같은 적층 구조를 갖는 배리어성 커버체(100)(100a)와 튜브형 보형물(200)의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체적팽창 흡수부재의 제조 과정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며,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적으로 배리어성 커버체(100)(100a)를 구성하는 배리어층(a)과 수지층(b)(b1)(c)(c1)을 단일 형체의 복합필름 형태로 적층하는 단계를 수행하되, 물 투습과 가스 투과를 차단하기 위한 알루미늄 포일을 기재로 한 배리어층(a)과 열 가소성 수지층(b)(b1)(c)(c1)을 필름 형태로 각각 제작한 후 접착제(s)를 이용하여 적층 하거나, 알루미늄 포일에 용융상태의 수지층들을 압출 코팅하여 적층 하는 가공법 중 택일 된 어느 하나의 가공법을 이용하여 배리어성 커버체로 적용하기 위한 다층 구조의 복합필름(F1)(F2)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배리어층에 적층 되는 수지층(b)(b1)(c)(c1)은 배리어층 일면 내지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동종의 수지물이나 이종의 수지물을 단층 내지는 다층으로 적층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다음 도 7과 같이 배리어성 커버체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튜브형 보형물(200)을 성형하는 단계를 이어서 수행하는 것이며, 상기 성형 단계에서 보형물은 열 융착부(201)와 에어 주입구(202)와 끼움공(203)을 갖는 튜브형태로 성형 되는 것이다.
좀더 부연하여 설명하면, 열 가소성 수지필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지필름을 단독 기재로 하여 일정한 크기로 재단한 후 얻어진 수지필름 2 장을 서로 포개어 고주파 또는 열 융착을 통해 일측으로 에어 주입구(202)와 열 융착부(201)와 끼움공(203)이 형성된 도넛 형상의 튜브형태로 성형하고, 이어서 에어 주입구에 에어를 가압 충진 한 다음 주입구를 열 융착 봉합함으로서 튜브형 보형물이 제조되는 것이다.
또한, 튜브형 보형물은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물로서 표층으로 적용되는 제1수지층(1)과 기층으로 적용되는 제2수지층(2)과 중간층으로 적용되는 제3수지층(3)을 복수개의 압출기와 서클다이로 조합된 공압출 성형 래미네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단일 형체의 다층 복합필름으로 성형한 후 일정한 크기로 재단한 다음 복합필름 2 장을 서로 포개어 고주파 또는 열 융착을 통해 일측으로 에어 주입구(202)와 열 융착부(201)와 끼움공(203)이 형성된 도넛 형태의 튜브 형태로 성형하고, 이어서 에어 주입구에 에어를 가압 충진하여 주입구를 열 융착 봉합함으로서 제조될 수도 있는 것이다.
위 단계들을 수행한 후에는 복합필름 형태의 배리어성 커버체(100)(100a)를 포켓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인데, 도 6과 같이 배리어성 커버체로 적용되는 복합필름 2장을 일정한 크기로 각각 재단한 후 서로 맞대어 포개놓고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열 융착함으로서 포켓 형태의 배리어성 커버체가 준비되는 것이며, 이때 포켓형 커버체(100)(100a)의 하측을 원형의 보형물과 동심원을 그리는 반구형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이후, 포켓형 배리어성 커버체(100)(100a) 내부에 보형물(200)을 삽입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이어서 배리어성 커버체 내부의 공기를 진공상태로 제거함과 동시에 개봉부위를 열 융착 봉합함으로서 이중 구조의 체적팽창 흡수부재(T)가 성형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최종적으로 체적팽창 흡수부재의 중앙을 열 융착하여 천공함으로서 끼움공(Tb)을 갖는 흡수부재가 완성되는 것이며, 상기 끼움공은 수도 계량기 내부에 흡수부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임펠러 구동축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물 투습 및 가스 투과 차단효율이 우수한 배리어성 커버체와 탄력 복원력이 우수한 튜브형 보형물의 이중 결합 구조로 갖는 체적팽창 흡수부재(T)는 방습성과 가스 배리어성 및 그 외 모든 특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어 수돗물과 오랜 기간 접촉하여도 압축공기가 유출되지 않아 설계된 체적을 항시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압축 및 팽창의 반복 과정에서도 탄력복원 효율이 떨어지지 않아 계량기 내의 팽창된 부피를 즉시 대응하여 흡수함으로서 계량기 동파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품질 안정성과 기능적 발란스를 향상시켜 계량기 동파방지 기술로서 매우 유용하게 적용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 체적팽창 흡수부재, Ta: 열 융착부,
Tb: 끼움공, 100,100a: 배리어성 커버체,
200: 튜브형 보형물, 201: 열 융착부,
202: 에어 주입구, 203: 끼움공,
a: 배리어층, b,b1,c,c1: 수지층,
s: 접착제, sa: 앵커코트층,
1: 제1수지층(표층), 2: 제2수지층(기층),
3: 제3수지층(중간층)

Claims (21)

  1. 외곽둘레 및 중앙 끼움공(Tb)의 내주면에 열 융착부(Ta)를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는 압축 공기가 충진되며 일측으로 에어 주입구가 형성된 수도 계량기용 체적팽창 흡수부재(T)에 있어서, 상기 체적팽창 흡수부재는 물과 가스를 차단하기 위한 알루미늄 포일의 배리어층(a)과 상기 배리어층에 적층되는 수지층(b)(b1)(c)(c1)으로 이루어진 배리어성 커버체(100)(100a)와, 열가소성 수지물로 이루어진 튜브형 보형물(200)을 이중으로 결합하여 성형하되, 상기 배리어성 커버체(100)(100a)는 체정팽창 흡수부재의 상측에 배치되어 외피로 적용되고, 상기 튜브형 보형물(200)은 배리어성 커버체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성 커버체(100)(100a)의 수지층(b)(b1)(c)(c1)을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올레핀 계열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에틸렌ㆍ프로필렌고무, 에틸렌ㆍ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ㆍ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계열의 폴리스티렌,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스티렌ㆍ부타디엔ㆍ스티렌ㆍ블록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계열의 경질/연질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에틸렌ㆍ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리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1 이상으로 적층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성 커버체의 수지층(b)(b1)(c)(c1)을 알루미늄 포일의 배리어층(a) 일면에 형성하되, 동종 또는 이종의 수지층을 단층 내지는 다층으로 하여 적층 한 것을 특징으로 한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성 커버체의 수지층(b)(b1)(c)(c1)을 알루미늄 포일의 배리어층(a) 양면에 형성하되, 동종 또는 이종의 수지층을 단층 내지는 다층으로 하여 적층 한 것을 특징으로 한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성 커버체(100)의 알루미늄 포일 배리어층(a)을 커버체의 표층으로 배열하고, 상기 배리어층에 적층 된 수지층(b)(b1)(c)(c1)은 커버체의 기층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성 커버체(100a)의 알루미늄 포일 배리어층(a)을 커버체의 중간층으로 배열하고, 상기 배리어층에 적층 된 수지층(b)(b1)(c)(c1)은 표층과 기층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보형물(200)은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올레핀 계열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에틸렌ㆍ프로필렌고무, 에틸렌ㆍ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ㆍ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계열의 폴리스티렌,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스티렌ㆍ부타디엔ㆍ스티렌ㆍ블록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계열의 경질/연질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에틸렌ㆍ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리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성형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보형물(200)을 제1수지층(1)과 제2수지층(2)으로 적층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수지층을 표층으로 하고, 제2수지층은 기층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보형물(200)을 제1수지층(1)과 제2수지층(2)과 제3수지층(3)으로 적층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수지층을 표층으로 하고, 제2수지층을 기층으로 하며, 제3수지층을 중간층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보형물의 제1수지층(1)과 제2수지층(2)과 제3수지층(3) 사이에 접착 친화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앵커코트층(sa)을 적층하되, 상기 앵커코트층은 유기 티타늄 화합물인 알킬티타네이트, 티탄아시레이트, 티탄키레이트,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부타디엔 폴리머 군으로부터 택일 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11. 배리어층(a)과 수지층(b)(b1)(c)(c1)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성 커버체(100)(100a)를 복합필름의 형태로 적층하는 단계와; 열 융착부(201)와 에어 주입구(202)와 끼움공(203)을 갖는 튜브형 보형물(200)을 열가소성 수지물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적층단계를 수행한 배리어성 커버체(100)(100a)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한 후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열 융착하여 포켓형태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단계를 수행한 배리어성 커버체(100)(100a) 내부에 보형물(200)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삽입단계를 수행한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 사이의 공기를 진공상태로 제거함과 동시에 개봉부위를 열 융착 밀봉하여 체적팽창 흡수부재(T)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단계를 거친 체적팽창 흡수부재의 중앙을 열 융착 천공하여 끼움공(Tb)을 형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서 된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성 커버체(100)(100a)의 적층단계는 물과 가스를 차단하기 위한 배리어층(a)의 일면 또는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물로 이루어진 수지층(b)(b1)(c)(c1)을 복합필름의 형태로 적층 하되, 상기 배리어층(a)과 수지층(b)(b1)(c)(c1)을 각각 별개로 제작한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거나, 배리어층 일면에 수지층을 용융상태에서 압출 코팅하여 접합하는 가공법 중 택일 된 어느 하나의 가공법을 이용하여 적층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보형물(200)의 성형단계는 열가소성 수지필름을 단독으로 하여 일정한 크기로 재단한 후 수지필름 2 장을 서로 포개어 고주파 또는 열 융착을 통해 일측으로 에어 주입구(202)와 열 융착부(201)와 끼움공(203)이 형성된 도넛 형상의 튜브형태로 성형하고, 이어서 에어 주입구(202)에 에어를 가압 충진 한 다음 주입구를 열 융착 봉합하여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제조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보형물(200)의 성형단계는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물로서 표층으로 적용되는 제1수지층(1)과 기층으로 적용되는 제2수지층(2)과 중간층으로 적용되는 제3수지층(3)을 복수개의 압출기와 서클다이로 조합된 공압출 성형 래미네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단일 형체의 다층 복합필름으로 성형한 후 일정한 크기로 재단한 다음 복합필름 2 장을 서로 포개어 고주파 또는 열 융착을 통해 일측으로 에어 주입구(202)와 열 융착부(201)와 끼움공(203)이 형성된 도넛 형태의 튜브 형태로 성형하고, 이어서 에어 주입구에 에어를 가압 충진하여 주입구를 열 융착 봉합하는 것으로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제조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성 커버체(100)(100a)를 포켓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에서 커버체의 하측을 보형물(200)과 동심원을 그리는 반구형으로 성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제조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30063329A 2013-06-03 2013-06-03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57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329A KR101357153B1 (ko) 2013-06-03 2013-06-03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329A KR101357153B1 (ko) 2013-06-03 2013-06-03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153B1 true KR101357153B1 (ko) 2014-02-05

Family

ID=50269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329A KR101357153B1 (ko) 2013-06-03 2013-06-03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1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767A (ko) * 2015-07-31 2017-02-09 주식회사 아셀 산화 억제수단을 구비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30698B1 (ko) * 2015-01-19 2017-04-27 강흥묵 동파방지용 에어백 제조방법
CN116878602A (zh) * 2023-09-07 2023-10-13 威海道亨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多路水表集中安装计量采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175A (ko) * 2007-09-14 2009-03-18 강흥묵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KR20110109816A (ko) * 2010-03-28 2011-10-06 김원준 다용도 방수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1186773B1 (ko) * 2009-07-09 2012-09-27 강흥묵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175A (ko) * 2007-09-14 2009-03-18 강흥묵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구조물
KR101186773B1 (ko) * 2009-07-09 2012-09-27 강흥묵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KR20110109816A (ko) * 2010-03-28 2011-10-06 김원준 다용도 방수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698B1 (ko) * 2015-01-19 2017-04-27 강흥묵 동파방지용 에어백 제조방법
KR20170015767A (ko) * 2015-07-31 2017-02-09 주식회사 아셀 산화 억제수단을 구비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09949B1 (ko) * 2015-07-31 2017-02-27 주식회사 아셀 산화 억제수단을 구비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CN116878602A (zh) * 2023-09-07 2023-10-13 威海道亨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多路水表集中安装计量采集装置
CN116878602B (zh) * 2023-09-07 2023-12-08 威海道亨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多路水表集中安装计量采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13364B (zh) 全塑型锂电池用复合膜
JP6276047B2 (ja) 包装材、包装材の製造方法及び成形ケース
US10773491B2 (en) Laminate, packaging bag, packaging bag with plug, and packaging bag with plug with hydrogenous-water
KR101357153B1 (ko)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60306B1 (ko) 가스 차단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재용 다층형 슈퍼 배리어 봉지 부재
JP4662444B2 (ja) チューブ容器の肩部および口頸部に一体化成形して用いる上部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で製造された上部部材を用いたチューブ容器
CN103946018B (zh) 金属化的聚乙烯层压体
KR101357147B1 (ko) 다기능 복합필름으로 이루어진 수도 계량기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79800B1 (ko) 인몰드 라벨 용기
KR101357151B1 (ko) 배리어성 복합필름을 외피재로 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CN202214840U (zh) 真空绝热建筑保温板用防护隔气复合膜
CN109398910B (zh) 面膜袋材料、生产工艺及面膜包装袋
JP2012111229A (ja) 包装フィルムおよび包装袋
CN202248331U (zh) 防鼓胀真空绝热建筑保温板
KR101730698B1 (ko) 동파방지용 에어백 제조방법
JP2002012240A (ja) 複合フォイルの管状包袋
KR101357155B1 (ko) 배리어성 커버체와 고탄성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6984136B2 (ja) 電池用包装材料、その製造方法、及び電池
US20140370212A1 (en) Packaging film with superior seal, barrier, and flex crack resistance
KR102225797B1 (ko) 인 몰드 라벨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709949B1 (ko) 산화 억제수단을 구비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00932A (ko) 진공 포장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634576B1 (ko) 식품 포장 방법
CN112060707B (zh) 一种复合耐高温膜及其制备工艺
JP6790679B2 (ja) 包装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