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773B1 -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773B1
KR101186773B1 KR1020100065963A KR20100065963A KR101186773B1 KR 101186773 B1 KR101186773 B1 KR 101186773B1 KR 1020100065963 A KR1020100065963 A KR 1020100065963A KR 20100065963 A KR20100065963 A KR 20100065963A KR 101186773 B1 KR101186773 B1 KR 101186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late
upper housing
housing
ai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219A (ko
Inventor
강흥묵
Original Assignee
강흥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흥묵 filed Critical 강흥묵
Publication of KR20110005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0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or excess pressure or insufficient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입공과 유출공을 갖는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임펠러를 구비하는 하부 하우징을 갖추어 유체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유량부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유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수도계량기에 구비되는 동파방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와 하부 하우징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에 구비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 배치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부면에 구비된 인출공을 통해 외부인출되는 공기 주입구를 구비하는 에어백 ;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단에 조립되어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 차단판과, 상기 상부 차단판 또는 상부 하우징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상부 차단판 또는 상부 하우징에 조립되고, 상기 임펠러부터 연장되는 회전축이 삽입배치되는 중공관을 갖추어 상기 에어백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 배치된 에어백을 고압으로 공기압축시킨다.

Description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Assembly for Preventing the Winter-Sowing Destruction of Water-Meter}
본 발명은 수도 계량기에 구비되는 동파방지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수도 계량기 내부에 걸리는 수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으로 공기가 채워진 에어백을 배치하여 물의 동결시 발생한 부피팽창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및 산업설비에는 독립개체별로 공급되는 용수의 사용 상태를 검침하고, 그 검침량에 따라 사용요금을 산출 및 부과하기 위해 수도 계량기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수도계량기는 물을 일정량씩 담아서 측정하는 실측식과, 유체의 속도 또는 임펠러의 회전속도에 따라 실제의 유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추측식으로 분류되는데 상기한 추측식 수도계량기 중에서 임펠러형 수도미터는 단갑식과 복갑식으로 세분되며, 여기에서도 측정되는 유수인 수돗물이 적산 표시부의 눈금판까지 유입되는 습식 수도 계량기와, 유수인 수돗물이 적산 표시부의 눈금판까지 유입되지 않는 건식 수도계량기로 분류된다.
도 23은 일반적인 수도 계량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계량기(1)는 일방향으로 유입되어 흐르는 수돗물의 유체흐름에 의해서 회전되는 임펠러(14)를 구비하는 유량부(10)와, 상기 유량부(10)의 상측에 조립되어 임펠러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유량을 표시하는 표시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유량부(10)는 유체가 유입되고 출수되는 입수공(11)과 출수공(12)을 갖추어 유체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외부 하우징(13)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임펠러(14)를 갖는 회전축(15)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하우징(16)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20)는 임펠러와 더불어 회전되는 회전축(15) 상단에 구비되는 마그네트(15a)의 자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눈금(21)을 갖추어 유량부내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량을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량부(10)와 표시부(20)사이에는 유량부내의 물이 표시부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상기 외부하우징(13)의 상단에 조립되는 차단부(30)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20)에는 상기 눈금을 외부노출시킬 수 있도록 표시창(25)을 갖는 덮개부(26)를 구비한다.
한편, 겨울철 영하의 온도조건에서 외부 노출되는 수도 계량기(1)는 수돗물이 표시부(20)에 전혀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수돗물이 표시부까지 유입되는 습식 수도계량기에 비하여 동파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유량부내의 물이 동결될때 발생하는 부피팽창압력에 의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이 파손되어 수도 계량기가 동파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표시부의 손상 또는 변형을 유발하여 통과유량에 대한 적산이 부정확해지는 제품불량을 초래하고 이로 인하에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따라, 겨울철에 수도 계량기 내부의 온도 하강 동결에 따른 부피의 팽창압력을 흡수하여 수도 계량기의 동파를 방지하고, 제품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의 개량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 중 대표적인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0717호(2004.09.01.등록일)와 같은 에어백 고정판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수도 계량기는 중공의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부로 차례로 설치되는 제1 내부 하우징 및 제2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에는 에어백이 고정판에 의해 고정 지지되고, 상기 고정판은 제1 내부 하우징의 내벽으로 돌출된 고정돌기에 의해서 상부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 구성이다.
이러한 수도 계량기의 제1내부 하우징에 에어백을 구비함으로써, 수도 계량기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얼어서 얼음으로서 상변화될 때 팽창되는 부피변화를 흡수함으로써 수도 계량기의 동파를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에어백의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 팽창된 상태에서 제1내부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한 다음, 작업자가 고정판을 직하부로 눌러 부피팽창된 에어백을 압축시키면서 조립완성해야만 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가중시키고,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판의 조립시 부피팽창되어 있던 에어백의 수축에 의해서 동결시 팽창되는 부피변화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여 수도 계량기의 동파를 완벽하게 방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의 주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한 다음, 상기 주입구를 완벽하게 실링처리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불완전하게 실링 처리된 주입구를 통하여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고, 이로 인하여 에어백에 의한 동파방지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도 계량기의 내부에 걸리는 수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으로 공기가 채워진 에어백을 배치하여 물의 동결시 발생한 부피팽창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공기가 주입된 에어백의 주입구를 완벽하게 실링 처리하여 에어백의 공기 유출에 의하여 동파방지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에어백을 조립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유입공과 유출공을 갖는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임펠러를 구비하는 하부 하우징을 갖추어 유체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유량부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유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수도계량기에 구비되는 동파방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와 하부 하우징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에 구비되는 상부 하우징 ; 상기 상부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 배치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부면에 구비된 인출공을 통해 외부인출되는 공기 주입구를 구비하는 에어백 ;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단에 조립되어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 차단판과, 상기 상부 차단판 또는 상부 하우징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상부 차단판 또는 상부 하우징에 조립되고, 상기 임펠러부터 연장되는 회전축이 삽입배치되는 중공관을 갖추어 상기 에어백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 배치된 에어백을 고압으로 공기압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차단판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된 중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관의 하부단에 형성된 상부 수나사부 또는 상부 조립턱과 결합되는 하부 암나사부 또는 하부 조립홈을 상기 상부 하우징의 원형공 내부면에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일정길이 연장된 중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관의 상부단에 형성된 하부 수나사부 또는 하부 조립턱과 결합되는 상부 암나사부 또는 상부 조립홈을 상기 상부 차단판의 하부면에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공과 유출공을 갖는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임펠러를 갖는 하부 하우징을 갖추어 유체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유량부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유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수도계량기에 구비되는 동파방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와 하부 하우징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에 구비되는 상부 하우징 ; 상기 상부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 배치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부면에 구비된 인출공을 통해 외부인출되는 공기 주입구를 구비하는 에어백 ; 및 상기 상부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 차단판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원형공을 덮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하부 차단판 및 상기 상부 차단판 또는 하부 차단판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상부 차단판 또는 하부 차단판에 조립되고, 상기 임펠러부터 연장되는 회전축이 삽입배치되는 중공관을 갖추어 상기 에어백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 배치된 에어백을 고압으로 공기압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차단판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된 중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관의 하부단에 형성된 상부 수나사부 또는 상부 조립턱과 결합되는 하부 암나사부 또는 하부 조립홈을 상기 하부 차단판의 중앙공 내부면에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 차단판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일정길이 연장된 중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관의 상부단에 형성된 하부 수나사부 또는 하부 조립턱과 결합되는 상부 암나사부 또는 상부 조립홈을 상기 상부 차단판의 하부면에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공과 유출공을 갖는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임펠러를 갖는 하부 하우징을 갖추어 유체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유량부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유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수도계량기에 구비되는 동파방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와 하부 하우징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에 구비되는 상부 하우징 ; 상기 상부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 배치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부면에 구비된 인출공을 통해 외부인출되는 공기 주입구를 구비하는 에어백 ; 및 상기 상부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에 조립되는 상부 차단판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원형공에 조립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하부 차단판 및 상기 상부 차단판에 형성된 중앙공에 상단이 걸림조립되고, 상기 하부 차단판에 형성된 중앙공에 하단이 조립되고, 상기 임펠러부터 연장되는 회전축이 삽입배치되는 중공관을 갖추어 상기 에어백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 배치된 에어백을 고압으로 공기압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차단판의 중앙공에 형성된 단턱에 걸리는 돌출턱을 상단에 형성하여 상기 중앙공으로 삽입되는 일정길이의 중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관의 하부단에 형성된 상부 수나사부 또는 상부 조립턱과 결합되는 하부 암나사부 또는 하부 조립홈을 상기 하부 차단판의 중앙공 내부면에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차단판은 상기 표시부에 구비되는 피마그네트와 대응하도록 회전축의 상단에 조립된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지지축을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차단판은 상기 표시부에 구비되는 감속기어와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형성한 회전축의 상단을 상기 표시부에 노출시키도록 관통형성되는 축통과홀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차단판은 상기 표시부가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외측테두리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는 외벽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관은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물유출입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하우징은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의 물유출입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차단판은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유출입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차단판의 외측테두리에 형성된 제1결합턱이 삽입조립되는 제1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차단판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원형공 외측테두리에 형성된 제2결합턱이 삽입조립되는 제2결합홈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어백은 상하 적층된 상,하부 외피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열융착하고, 상기 중공관이 통과하도록 일정크기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단에 공기를 강제 주입한 다음 밀봉처리되는 공기 주입구를 포함하여 상기 유량부내의 수압보다 높은 공기압으로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에어백은 외부면에 우레탄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탄성 코팅층을 구비하거나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면에 우레탄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탄성 코팅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주입구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공기 주입구가 외부인출되는 인출공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한쌍의 슬릿과, 상기 슬릿에 의해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편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편은 상기 인출공의 경사진 바닥면과 나란하도록 하부단이 경사지게 구비되거나 상기 인출공의 계단형 바닥면과 대응하도록 하부단이 계단형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주입구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공기 주입구와 더불어 인출공을 통해 외부인출되는 당김라인과, 상기 당김라인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인출공으로 삽입되는 내부 쐐기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주입구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어 인출공으로 삽입되는 외부 쐐기부재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쐐기부재 또는 내부쐐기부재는 삼각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강성부재 또는 수축팽창력을 갖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주입구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추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공기 주입구가 외부인출되는 인출공의 측방 또는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기주입구가 측방 또는 수직으로 이동되어 억지끼움되는 끼움슬릿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주입구가 측방 또는 수직으로 이동되어 개방되는 인출공은 밀봉부재에 의해서 밀봉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주입구가 측방 또는 수직으로 이동되어 개방되는 인출공은 상기 공기주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공과 더불어 끼움슬릿을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보조판에 의해서 덮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주입구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추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공기 주입구의 주입측에 구비되어 주입유로를 통해 상기 에어백내로 공기를 주입하고 주입완료된 공기의 내부압에 의해서 주입유로가 밀폐되는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부와 하부 하우징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에어백을 배치하고, 상부 하우징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외부인출되는 공기 주입구를 통하여 에어백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백을 공기가 고압으로 압축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공기압축된 에어백을 상부 차단판과 상부하우징간의 조립 또는 상,하부차단판과 상부하우징간의 결합에 의해서 상부하우징내에 확고히 위치고정함으로써, 수도 계량기의 유량부 내부에 걸리는 수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으로 에어백의 내부공기압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동절기 물의 동결시 발생한 부피팽창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어 수도 계량기의 동파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제조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공기가 주입된 에어백의 공기 주입구를 완벽하게 실링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가 충진된 에어백의 공기 유출에 의하여 동파방지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에어백을 조립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시간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백의 외부면 또는 상부하우징의 내면에 탄성코팅층을 구비함으로써 기체가 고압으로 주입되어 공기압축된 에어백이 강제 주입된 기체압력에 의해 상부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어 에어가 누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에어백 내부의 압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구성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구성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2(a)(b)(c)(d)(e)(f)(g)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에 채용되는 실링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일반적인 수도 계량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동파방지 조립체(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공(11)과 유출공(12)을 갖는 외부 하우징(13)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임펠러(14)를 구비하는 하부 하우징(16)을 갖추어 유체가 유입공(11)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유출공(12)을 통해 빠져나가도록 일방향으로 흐르는 유량부(10)와, 상기 임펠러(16)의 회전축(15)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통과유량을 적산하여 표시하는 표시부(20)를 구비하는 수도 계량기(1)와 같은 유량계에서 상기 유량부(10)와 표시부(20)사이에 배치되어 상기유량부(10)내의 유체인 물 동결시 발생하는 부피팽창력을 흡수하는 것으로, 이는 상부 하우징(110), 에어백(120) 및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110)은 상기 표시부(20)와 하부 하우징(16)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16)의 상부에 적층되어 외부 하우징(13)에 구비되고, 상부로 개방된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다.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임폘러(14)의 회전축(15)과 대응하는 영역에 일정크기의 원형공(112)을 관통형성하며, 외부면에는 상기 에어백(120)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기 주입구(124)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관통형성된 인출공(114)을 구비한다.
이러한 원형공(112)의 내부면에는 후술하는 상부 차단판의 하부면 중앙 영역으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관(134)의 하부단에 형성된 상부 수나사부(135)가 체결되어 조립되는 하부 암나사부(11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유량부(10)내의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유출입공(11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120)은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된 인출공(114)을 통하여 외부인출되는 공기 주입구(124)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주입구(124)를 통해 강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부피가 팽창된 후 공기압축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에어백(120)은 상하 적층된 상,하부 외피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열융착한 몸체(122)와, 상기 몸체(122)의 일측단에 공기를 강제 주입한 다음 강제 주입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처리되는 공기 주입구(124)를 포함하며, 이러한 몸체(122)는 상기 중공관(134)과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중공관이 통과하도록 관통형성되는 개구부(126)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주입구(124)를 통해 강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서 부피가 서서히 커지게 되면서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내부면과 더불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를 덮도록 조립되는 상부 차단판(132)의 내부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공기주입이 완료된 에어백(120)의 전체부피는 상기 상부 하우징(110) 및 상부 차단판(132)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공간과 같거나 크도록 하여 에어백의 외부면이 상부 하우징(110)과 상부 차단판(132)의 내부면에 항상 접하여 밀착됨으로써 상기 에어백의 과도한 팽창압력에 의해서 에어백 내부에 충진된 공기가 팽창된 몸체의 외피를 통하여 외부로 미세하게 누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팽창된 공기압력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120)의 외부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부 차단판(132)과의 밀착성을 높여 팽창 후 확장된 몸체의 외피표면을 통한 미세한 공기배출을 장시간 가일층 억제할 수 있도록 우레탄 또는 실리콘 소재의 탄성 코팅층(125)을 적어도 한 층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되어 팽창된 에어백(120)이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부(130)는 상부차단판(132)과 중공관(134)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차단판(132)은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된 에어백(120)의 외부면과 면접하는 판부재이며, 이러한 상부 차단판(132)은 외측테두리에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상단 외주테두리에 형성된 수나사부(115)와 나사결합되어 체결되는 암나사부(133)를 구비하며, 상기 중공관(134)의 하부단에는 상부 하우징(110)의 하부 암나사부(113)와 나사결합되는 상부 수나사부(135)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부 차단판(132)은 나사결합에 의해서 일체로 조립된다.
상기 중공관(134)은 상기 상부 차단판(110)의 몸체 하부면 중앙영역으로부터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부단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바닥면 중앙영역에 관통형성된 원형공(112)의 하부 암나사부(113)와 나사결합되도록 상부 수나사부(135)를 구비하며, 길이 중간에는 상기 유량부(10)내의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유출입공(136)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차단판(132)의 암나사부(133)는 상기 상부 차단판(132)의 외측테두리로부터 직하부로 연장되는 환고리형 돌출턱의 내부면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하우징(110)과 상부 차단판(132)은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수나사부(115)와 상부 차단판(130)의 암나사부(133)간의 나사결합 및 상기 중공관(134)의 하부단에 형성된 상부 수나사부(135)와 상부 하우징(110)의 원형공(112)에 형성된 하부 암나사부(113)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서로 일체로 조립되고, 상기 상부 차단판(132)과의 조립 전에 상기 상부 하우징(120)내에 배치된 에어백(120)의 공기주입구(124)는 인출공(114)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에어백(120)은 상기 공기 주입구(124)를 통해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부피팽창되면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되어 상부 하우징(110)과 상부 차단판(130)의 내면에 밀착되고, 수도 계량기 내부에 걸리는 수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까지 조립체의 파손없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겨울철 영하의 온도조건으로 수도 계량기(1)의 유량부(10)내에 수돗물이 동결되는 경우, 상기 유량부 내에서의 물의 동결시 발생하는 부피팽창압력은 상기 수도 계량기 내부에 걸리는 수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까지 공기가 강제주입된 에어백(120)에 의해서 흡수되기 때문에 표시부 및 이에 인접하는 부품이 파손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동파방지 조립체(2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 하우징(210), 에어백(220) 및 고정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210)은 상기 표시부(20)와 하부 하우징(16)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16)의 상부에 적층되어 외부 하우징(13)에 구비되고, 상부로 개방된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다.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임폘러(14)의 회전축(15)과 대응하는 영역에 일정크기의 원형공(212)을 관통형성하며, 외부면에는 상기 에어백(220)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기 주입구(224)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관통형성된 인출공(214)을 구비한다.
이러한 원형공(212)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상부 차단판(232)의 하부면 중앙영역에 형성된 상부 암나사부(231)와 체결되어 조립되는 하부 수나사부(235)를 상단부에 구비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상측으로 연장되는 중공관(234)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유량부(10)내의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유출입공(21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220)은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된 인출공(214)을 통하여 외부인출되는 공기 주입구(224)를 구비하여 상기 공기주입구(224)를 통해 강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부피가 팽창된 후 공기압축상태를 유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에어백(220)은 상하 적층된 상,하부 외피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열융착한 몸체(222)와, 상기 몸체(222)의 일측단에 공기를 강제 주입한 다음 강제 주입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처리되는 공기 주입구(224)를 포함하며, 이러한 몸체(222)는 상기 중공관(234)과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중공관이 통과하도록 관통형성되는 개구부(226)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주입구(224)를 통해 강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내부공간에서 부피가 서서히 커지게 되면서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내부면과 더불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를 덮도록 조립되는 상부 차단판(232)의 내부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공기주입이 완료된 에어백(220)의 전체부피는 상기 상부 하우징(210) 및 상부 차단판(232)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공간과 같거나 크도록 하여 에어백의 외부면이 상부 하우징(210)과 상부 차단판(232)의 내부면에 항상 접하여 밀착됨으로써 상기 에어백의 과도한 팽창압력에 의해서 에어백 내부에 충진된 공기가 팽창된 몸체의 외피를 통하여 외부로 누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팽창된 공기압력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220)의 외부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210)과 상부 차단판(232)과의 밀착성을 높여 팽창 후 확장된 몸체의 외피표면을 통한 미세한 공기배출을 장시간 가일층 억제할 수 있도록 우레탄 또는 실리콘 소재의 탄성 코팅층(225)을 적어도 한층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내부공간에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된 에어백(220)이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부(230)는 상부 차단판(232)과 중공관(234)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차단판(232)은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된 에어백(220)의 외부면과 면접하는 판부재이며, 이러한 상부 차단판(232)은 외측테두리에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상단 외주테두리에 형성된 수나사부(215)와 나사결합되어 체결되는 암나사부(233)를 구비하며, 상기 중공관(234)의 상부단에는 상부 차단판의 상부 암나사부(231)와 나사결합되는 하부 수나사부(235)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하우징(210)과 상부 차단판(232)은 나사결합에 의해서 일체로 조립된다.
상기 중공관(234)은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바닥면 중앙영역으로부터 직상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부재로 이루어지며, 상부단에는 상기 상부 차단판(232)의 하부면 중앙영역에 형성된 상부 암나사부(231)와 나사결합되도록 하부 수나사부(235)를 구비하며, 길이 중간에는 상기 유량부(10)내의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물유출입공(236)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차단판(232)의 암나사부(233)는 상기 상부 차단판(232)의 외측테두리로부터 직하부로 연장되는 환고리형 돌출턱의 내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암나사부(231)는 상기 상부 차단판(232)의 중앙영역 하부면으로부터 직하부로 연장되는 환고리형 돌출턱의 내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하우징(210)과 상부 차단판(232)은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수나사부(215)와 상부 차단판(230)의 암나사부(233)간의 나사결합 및 상기 중공관의 상부단에 형성된 하부 수나사부(235)와 상부 차단판에 형성된 상부 암나사부(231)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서로 일체로 조립되고, 상기 상부 차단판(232)과의 조립 전에 상기 상부 하우징(220)내에 배치된 에어백(220)의 공기주입구(224)는 인출공(214)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에어백(220)은 상기 공기 주입구(224)를 통해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부피팽창되면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되어 상부 하우징(210)과 상부 차단판(230)의 내면에 밀착되고, 수도 계량기 내부에 걸리는 수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까지 조립체의 파손없이 공기를 충분히 주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겨울철 영하의 온도조건으로 수도 계량기(1)의 유량부(10)내에 수돗물이 동결되면, 상기 유량부 내에서의 물의 동결시 발생하는 부피팽창압력은 상기 수도 계량기 내부에 걸리는 수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까지 공기가 강제주입된 에어백(220)에 의해서 흡수하기 때문에 표시부 및 이에 인접하는 부품이 파손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동파방지 조립체(30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 하우징(310), 에어백(320) 및 고정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310)은 상기 표시부(20)와 하부 하우징(16)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16)의 상부에 적층되어 외부 하우징(13)에 구비되고, 상부로 개방된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다.
상기 상부 하우징(3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임폘러(14)의 회전축(15)과 대응하는 영역에 일정크기의 원형공(312)을 관통형성하며, 외부면에는 상기 에어백(320)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기 주입구(324)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관통형성된 인출공(314)을 구비한다.
이러한 원형공(312)의 내부면에는 후술하는 상부 차단판의 하부면 중앙 영역으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관(334)의 하부단 외부면에 형성된 상부 조립턱(335)이 삽입되어 걸림조립되는 하부 조립홈(313)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3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유량부(10)내의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유출입공(31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320)은 상기 상부 하우징(3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310)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된 인출공(314)을 통하여 외부인출되는 공기 주입구(324)를 구비하여 상기 공기주입구(324)를 통해 강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부피가 팽창된 후 공기압축상태를 유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에어백(320)은 상하 적층된 상,하부 외피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열융착한 몸체(322)와, 상기 몸체(322)의 일측단에 공기를 강제 주입한 다음 강제 주입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처리되는 공기 주입구(324)를 포함하며, 이러한 몸체(322)는 상기 중공관(334)과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중공관이 통과하도록 관통형성되는 개구부(326)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주입구(324)를 통해 강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상기 상부 하우징(310)의 내부공간에서 부피가 서서히 커지게 되면서 상기 상부 하우징(310)의 내부면과 더불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를 덮도록 조립되는 상부 차단판(332)의 내부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공기주입이 완료된 에어백(320)의 전체부피는 상기 상부 하우징(310) 및 상부 차단판(332)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공간과 같거나 크도록 하여 에어백의 외부면이 상부 하우징과 상부 차단판의 내부면에 항상 접하여 밀착됨으로써 상기 에어백의 과도한 팽창압력에 의해서 에어백 내부에 충진된 공기가 팽창된 몸체의 외피를 통해 통하여 외부로 미세하게 누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팽창된 공기압력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320)의 외부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310)과 상부 차단판(332)과의 밀착성을 높여 팽창 후 확장된 몸체의 외피표면을 통한 미세한 공기배출을 장시간 가일층 억제할 수 있도록 우레탄 또는 실리콘 소재의 탄성 코팅층(325)을 적어도 한층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330)는 상기 상부 하우징(310)의 내부공간에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되어 팽창된 에어백(120)이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부(330)는 상부차단판(332)과 중공관(334)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차단판(332)은 상기 상부 하우징(3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310)의 내부에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된 에어백(320)의 외부면과 면접하는 판부재이며, 이러한 상부 차단판(332)은 외측테두리에 상기 상부 하우징(310)의 상단 외주테두리에 형성된 조립턱(315)과 조립되는 조립홈(333)을 구비하며, 상기 중공관(334)의 하부단에는 상부 하우징의 하부 조립홈(313)과 대응결합되는 상부 조립턱(335)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하우징(310)과 상부 차단판(332)은 하부조립홈, 조립홈과 상부 조립턱, 조립턱의 대응결합된 후 일방향 회전되는 것에 의해서 상하분리이탈이 곤란하도록 일체로 조립된다.
상기 중공관(334)은 상기 상부 차단판(310)의 몸체 하부면 중앙영역으로부터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부단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310)의 바닥면 중앙영역에 관통형성된 원형공(312)의 하부 조립홈(313)과 대응조립되도록 상부 조립턱(335)을 구비하며, 길이 중간에는 상기 유량부내의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물유출입공(336)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차단판(332)의 조립홈(333)는 상기 상부 차단판(332)의 외측테두리로부터 직하부로 연장되는 환고리형 돌출턱의 내부면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하우징(310)과 상부 차단판(332)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조립턱(315)과 상부 차단판의 조립홈(333)간의 대응결합 및 상기 중공관(334)의 하부단에 형성된 하부 조립턱(335)과 상부 하우징의 원형공에 형성된 하부 조립홈(313)간의 대응결합에 의해서 서로 일체로 조립되고, 상기 상부 차단판(332)과의 조립 전에 상기 상부 하우징(320)내에 배치된 에어백(320)의 공기주입구(324)는 인출공(314)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3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에어백(320)은 상기 공기 주입구(324)를 통해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부피팽창되면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되어 상부 하우징(310)과 상부 차단판(130)의 내면에 밀착되고, 수도 계량기 내부에 걸리는 수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까지 조립체의 파손없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겨울철 영하의 온도조건으로 수도 계량기(1)의 유량부내에 수돗물이 동결되는 경우, 상기 유량부 내에서의 물이 동결시 발생하는 부피팽창압력은 상기 수도 계량기 내부에 걸리는 수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까지 공기가 강제주입된 에어백(320)에 의해서 흡수되기 때문에 표시부 및 이에 인접하는 부품이 파손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동파방지 조립체(40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 하우징(410), 에어백(420) 및 고정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410)은 상기 표시부(20)와 하부 하우징(16)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16)의 상부에 적층되어 외부 하우징(13)에 구비되고, 상부로 개방된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다.
상기 상부 하우징(4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임폘러(14)의 회전축(15)과 대응하는 영역에 일정크기의 원형공(412)을 관통형성하며, 외부면에는 상기 에어백(420)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기 주입구(424)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관통형성된 인출공(414)을 구비한다.
이러한 원형공(412)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상부 차단판(432)의 하부면 중앙영역에 형성된 상부 조립홈(431)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하부 조립턱(435)을 상단부에 구비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4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상측으로 연장되는 중공관(434)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4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유량부(10)내의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유출입공(41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420)은 상기 상부 하우징(4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410)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된 인출공(414)을 통하여 외부인출되는 공기 주입구(424)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주입구(424)를 통해 강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부피가 팽창된 후 공기압축상태를 유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에어백(420)은 상하 적층된 상,하부 외피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열융착한 몸체(422)와, 상기 몸체(422)의 일측단에 공기를 강제 주입한 다음 강제 주입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처리되는 공기 주입구(424)를 포함하며, 이러한 몸체(422)는 상기 중공관(434)과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중공관이 통과하도록 관통형성되는 개구부(426)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주입구(424)를 통해 강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상기 상부 하우징(410)의 내부공간에서 부피가 서서히 커지게 되면서 상기 상부 하우징(410)의 내부면과 더불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를 덮도록 조립되는 상부 차단판(432)의 내부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공기주입이 완료된 에어백(420)의 전체부피는 상기 상부 하우징(410) 및 상부 차단판(432)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공간과 같거나 크도록 하여 에어백의 외부면이 상부 하우징과 상부 차단판의 내부면에 항상 접하여 밀착됨으로써 상기 에어백의 과도한 팽창압력에 의해서 에어백 내부에 충진된 공기가 외부로 미세하게 누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팽창된 공기압력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420)의 외부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410)과 상부 차단판(432)과의 밀착성을 높여 팽창 후 확장된 몸체의 외피표면을 통한 미세한 공기배출을 장시간 가일층 억제할 수 있도록 우레탄 또는 실리콘 소재의 탄성 코팅층(425)을 적어도 한층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430)는 상기 상부 하우징(410)의 내부공간에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되어 팽창된 에어백(420)이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부(430)는 상부차단판(432)과 중공관(434)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차단판(432)은 상기 상부 하우징(4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410)의 내부에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된 에어백(420)의 외부면과 면접하는 판부재이며, 이러한 상부 차단판(432)은 외측테두리에 상기 상부 하우징(410)의 상단 외주테두리에 형성된 조립턱(415)이 삽입되어 조립되는 조립홈(433)를 구비하며, 상기 중공관(434)의 상부단에는 상부 차단판의 상부 조립홈(431)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하부 조립턱(435)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하우징(410)과 상부 차단판(432)은 상부조립홈, 조립홈과 하부조립턱, 조립턱의 대응 조립에 의해서 일체로 조립된다.
상기 중공관(434)은 상기 상부 하우징(410)의 바닥면 중앙영역으로부터 직상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부재로 이루어지며, 상부단에는 상기 상부 차단판(432)의 하부면 중앙영역에 형성된 상부 조립홈(431)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하부 조립턱(435)을 구비하며, 길이 중간에는 상기 유량부내의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물유출입공(436)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차단판(432)의 조림홈(433)은 상기 상부 차단판(432)의 외측테두리로부터 직하부로 연장되는 환고리형 돌출턱의 내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중공관(434)의 하부 조립턱(435)은 상기 중공관(434)의 상부단 외측테두리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하우징(410)과 상부 차단판(432)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조립턱(415)과 상부 차단판의 조립홈(433)간의 대응결합 및 상기 중공관(434)의 상부단에 형성된 하부 조립턱(435)과 상부 차단판(432)에 형성된 상부 조립홈(431_간의 대응결합에 의해서 서로 일체로 조립되고, 상기 상부 차단판(432)과의 조립 전에 상기 상부 하우징(420)내에 배치된 에어백(420)의 공기주입구(424)는 인출공(414)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4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에어백(420)은 상기 공기 주입구(424)를 통해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부피팽창되면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되어 상부 하우징과 상부 차단판의 내면에 밀착되고, 수도 계량기 내부에 걸리는 수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까지 조립체의 파손없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겨울철 영하의 온도조건으로 수도 계량기(1)의 유량부(10)내에 수돗물이 동결되는 경우, 상기 유량부 내에서의 물의 동결시 발생하는 부피팽창압력은 상기수도 계량기 내부에 걸리는 수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까지 공기가 강제주입된 에어백(420)에 의해서 흡수되기 때문에 표시부 및 이에 인접하는 부품이 파손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5실시예>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동파방지 조립체(500)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 하우징(510), 에어백(520), 고정부(530) 및 하부 차단판(54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510)은 상기 표시부(20)와 하부 하우징(16)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16)의 상부에 적층되어 외부 하우징(13)에 구비되고, 상부로 개방된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다.
상기 상부 하우징(5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임폘러(14)의 회전축(15)과 대응하는 영역에 일정크기의 원형공(512)을 관통형성하며, 외부면에는 상기 에어백(520)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기 주입구(524)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관통형성된 인출공(514)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부하우징(510)의 하부면에는 후술하는 하부 차단판(540)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된 제1결합턱(546)과 대응조립되는 제1결합홈(516)을 구비하며, 상기 제1결합턱(546)의 내측에 함몰형성된 제2결합홈(547)과 대응조립되는 제2결합턱(517)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차단판(540)은 중공관(534)의 하부단에 형성된 상부 수나사부(535)와 중앙공(541)에 형성된 하부 암나사부(542)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상기 상부하우징(510)과 더불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턱과 제1결합홈 그리고 제2결합홈과 제2결합턱간의 결합에 의해서 하부 차단판(540)은 상부 하우징의 하부면에 밀착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510) 또는 하부 차단판(540)의 바닥면에는 상기 유량부(10)내의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유출입공(543)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520)은 상기 상부 하우징(5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510)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된 인출공(514)을 통하여 외부인출되는 공기 주입구(524)를 구비하여 상기 공기주입구(524)를 통해 강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부피가 팽창된 후 공기압축상태를 유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에어백(520)은 상하 적층된 상,하부 외피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열융착한 몸체(522)와, 상기 몸체(522)의 일측단에 공기를 강제 주입한 다음 강제 주입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처리되는 공기 주입구(524)를 포함하며, 이러한 몸체(522)는 상기 중공관(534)과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중공관이 통과하도록 관통형성되는 개구부(526)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주입구(524)를 통해 강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상기 상부 하우징(510)의 내부공간에서 부피가 서서히 커지게 되면서 상기 상부 하우징(510), 하부 차단판(540)의 내부면과 더불어 상기 상부 하우징(510)의 상부를 덮도록 조립되는 상부 차단판(532)의 내부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공기주입이 완료된 에어백(520)의 전체부피는 상기 상부 하우징(510) 및 상,하부 차단판(532,540)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공간과 같거나 크도록 하여 에어백의 외부면이 상부 하우징과 상,하부 차단판의 내부면에 항상 접하여 밀착됨으로써 상기 에어백의 과도한 팽창압력에 의해서 에어백 내부에 충진된 공기가 팽창된 몸체의 외피를 통하여 외부로 미세하게 누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팽창된 공기압력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520)의 외부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510)과 상,하부 차단판(532,540)과의 밀착성을 높여 팽창 후 확장된 몸체의 외피표면을 통한 미세한 공기배출을 장시간 가일층 억제할 수 있도록 우레탄 또는 실리콘 소재의 탄성 코팅층(525)을 적어도 한층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530)는 상기 상부 하우징(510)의 내부공간에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되어 팽창된 에어백(520)이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부(530)는 상부차단판(532), 중공관(534) 및 하부 차단판(54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차단판(532)은 상기 상부 하우징(5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510)의 내부에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된 에어백(520)의 외부면과 면접하는 판부재이며, 이러한 상부 차단판(532)은 외측테두리에 상기 상부 하우징(510)의 상단 외주테두리에 형성된 수나사부(515)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533)를 구비하며, 상기 중공관(534)의 하부단에는 하부 차단판(540)의 중앙공(541)에 형성된 하부 암나사부(542)와 나사결합되는 상부 수나사부(535)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하우징(510)과 상부 차단판(532)은 수나사부(515)와 암나사부(533)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일체로 조립되고, 상기 상부 차단판(532)과 하부 차단판(540)은 상부 수나사부(535)와 하부 암나사부(542)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일체로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하우징(510)과 상부 차단판(532)간의 조립 및 상기 중공관(534)과 하부 차단판(540)간의 결합은 나사결합에 의해서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실시예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510)의 상단 외측테두리에 형성되는 조립턱과 상기 상부 차단판(532)의 외측테두리에 형성되는 조립홈간의 대응결합에 의해서 일체로 조립되고, 상기 중공관(534)의 하부단에 형성되는 상부 조립턱과 상기 하부 차단판(540)의 중앙공(541)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하부 조립홈간의 대응결합에 의해서 일체로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중공관(534)은 상기 상부 차단판(510)의 몸체 하부면 중앙영역으로부터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부단에는 상기 하부 차단판(540)의 바닥면 중앙영역에 관통형성된 중앙공(541)의 하부 암나사부(542) 또는 하부 조립홈과 대응조립되도록 상부 수나사부(535) 또는 상부 조립턱을 구비하며, 길이 중간에는 상기 유량부내의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물유출입공(536)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차단판(532)의 암나사부(533)는 상기 상부 차단판(532)의 외측테두리로부터 직하부로 연장되는 환고리형 돌출턱의 내부면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하우징(510)과 상부 차단판(532)은 수나사부(515)와 암나사부(533)간의 나사결합 및 상기 상부 차단판(532)과 하부 차단판(540)은 중공관(534)의 하부단에 형성된 상부 수나사부(535)와 하부 차단판(540)의 중앙공에 형성된 하부 암나사부(542)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서로 일체로 조립되고,상기 상부 차단판(532)과의 조립 전에 상기 상부 하우징(520)내에 배치된 에어백(520)의 공기주입구(524)는 인출공(514)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5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에어백(520)은 상기 공기 주입구(524)를 통해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부피팽창되면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되어 상부 하우징(510)과 상,하부 차단판(532,540)의 내면에 밀착되고, 수도 계량기 내부에 걸리는 수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까지 조립체의 파손없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겨울철 영하의 온도조건으로 수도 계량기(1)의 유량부(10)내에 수돗물이 동결되는 경우, 상기 유량부 내에서의 물의 동결시 발생하는 부피팽창압력은 상기 수도 계량기 내부에 걸리는 수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까지 공기가 강제주입된 에어백에 의해서 흡수되기 때문에 표시부 및 이에 인접하는 부품이 파손되고, 수도계량기의 동파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동파방지 조립체(600)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5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 하우징(610), 에어백(620) 및 고정부(6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610)은 상기 표시부(20)와 하부 하우징(16)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16)의 상부에 적층되어 외부 하우징(13)에 구비되고, 상부로 개방된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다.
상기 상부 하우징(6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임폘러(14)의 회전축(15)과 대응하는 영역에 일정크기의 원형공(612)을 관통형성하며, 외부면에는 상기 에어백(620)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기 주입구(624)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관통형성된 인출공(614)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부 하우징(610)의 하부면에는 후술하는 하부 차단판(640)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된 제1결합턱(646)과 대응조립되는 제1결합홈(616)을 구비하며, 상기 제1결합턱(646)의 내측에 함몰형성된 제2결합홈(647)과 대응조립되는 제2결합턱(617)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차단판(640)은 중공관(644)의 상부단에 형성된 하부 수나사부(645)와 상부 차단판(632)에 형성된 상부 암나사부(631)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더불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턱(646)과 제1결합홈(616) 그리고 제2결합홈(647)과 제2결합턱(617)간의 결합에 의해서 하부 차단판(640)은 상부 하우징(610)의 하부면에 밀착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차단판(640)의 바닥면에는 상기 유량부(10)내의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유출입공(643)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620)은 상기 상부 하우징(6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610)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된 인출공(614)을 통하여 외부인출되는 공기 주입구(624)를 구비하여 상기 공기주입구(624)를 통해 강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부피가 팽창된 후 공기압축상태를 유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에어백(620)은 상하 적층된 상,하부 외피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열융착한 몸체(622)와, 상기 몸체(622)의 일측단에 공기를 강제 주입한 다음 강제 주입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처리되는 공기 주입구(624)를 포함하며, 이러한 몸체(622)는 상기 중공관(634)과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중공관이 통과하도록 관통형성되는 개구부(626)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주입구(624)를 통해 강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상기 상부 하우징(610)의 내부공간에서 부피가 서서히 커지게 되면서 상기 상부 하우징(610),하부 차단판(640)의 내부면과 더불어 상기 상부 하우징(610)의 상부를 덮도록 조립되는 상부 차단판(632)의 내부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공기주입이 완료된 에어백(620)의 전체부피는 상기 상부 하우징(610) 및 상,하부 차단판(632,640)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공간과 같거나 크도록 하여 에어백의 외부면이 상부 하우징과 상,하부 차단판의 내부면에 항상 접하여 밀착됨으로써 상기 에어백의 과도한 팽창압력에 의해서 에어백 내부에 충진된 공기가 팽창된 몸체의 외부피를 통하여 외부로 미세하게 누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팽창된 공기압력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620)의 외부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610)과 상,하부 차단판(632,640)과의 밀착성을 높여 팽창 후 확장된 몸체의 외피표면을 통한 미세한 공기배출을 장시간 가일층 억제할 수 있도록 우레탄 또는 실리콘 소재의 탄성 코팅층(625)을 적어도 한 층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630)는 상기 상부 하우징(610)의 내부공간에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되어 팽창된 에어백(620)이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부(630)는 상부차단판(632), 중공관(634) 및 하부 차단판(54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차단판(632)은 상기 상부 하우징(6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610)의 내부에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된 에어백(620)의 외부면과 면접하는 판부재이며, 이러한 상부 차단판(632)은 외측테두리에 상기 상부 하우징(610)의 상단 외주테두리에 형성된 수나사부(615)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633)를 구비하며, 상기 중공관(634)의 상부단에는 상부 차단판(632)에 형성된 상부 암나사부(631)와 나사결합되는 하부 수나사부(645)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하우징(610)과 상부 차단판(632)은 수나사부(615)와 암나사부(633)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일체로 조립되고, 상기 상부 차단판(632)과 하부 차단판(640)은 상부 암나사부(631)와 하부 수나사부(645)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일체로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하우징(610)과 상부 차단판(632)간의 조립 및 상기 상부 차단판(632)과 하부 차단판(640)간의 결합은 나사결합에 의해서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4실시예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610)의 상단 외측테두리에 형성되는 조립턱과 상기 상부 차단판(632)의 외측테두리에 형성되는 조립홈간의 대응결합에 의해서 일체로 조립되고, 상기 중공관(634)의 상부단에 형성되는 상부 조립턱과 상기 상부 차단판(632)의 중앙영역에 형성되는 하부 조립홈간의 대응결합에 의해서 일체로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중공관(634)은 상기 하부 차단판(640)의 중앙영역에 관통형성된 중앙공(641)으로부터 직상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부재로 이루어지며, 상부단에는 상기 상부 차단판(632)의 하부면 중앙영역에 형성된 상부 암나사부(631) 또는 상부 조립홈과 대응조립되도록 하부 수나사부(645) 또는 하부 조립턱을 구비하며, 길이 중간에는 상기 유량부내의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물유출입공(642)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차단판(632)의 암나사부(633)는 상기 상부 차단판(632)의 외측테두리로부터 직하부로 연장되는 환고리형 돌출턱의 내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암나사부(631)은 상부 차단판의 하부면으로부터 직하부로 연장되는 환고리형 돌출턱의 내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하우징(610)과 상부 차단판(632)은 수나사부와 암나사부간의 나사결합 및 상기 상부 차단판(632)과 하부 차단판(640)은 중공관의 상부단에 형성된 하부 수나사부와 상부 차단판의 하부면 중앙영역에 형성된 상부 암나사부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서로 일체로 조립되고, 상기 상부 차단판(632)과의 조립 전에 상기 상부 하우징(620)내에 배치된 에어백(120)의 공기주입구(124)는 인출공(614)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6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에어백(620)은 상기 공기 주입구(624)를 통해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부피팽창되면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되어 상부 하우징(610)과 상,하부 차단판(632,640)의 내면에 밀착되고, 수도 계량기 내부에 걸리는 수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까지 조립체의 파손없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겨울철 영하의 온도조건으로 수도 계량기(1)의 유량부(10)내에 수돗물이 동결되는 경우, 상기 유량부 내에서의 물의 동결시 발생하는 부피팽창압력은 상기 수도 계량기 내부에 걸리는 수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까지 공기가 강제주입된 에어백(620)에 의해서 흡수되기 때문에 표시부 및 이에 인접하는 부품이 파손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현상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1 실시예에 내지 제 6실시예에 개시된 상부 차단판(132,232,332,432,532,632)은 상기 중공관과 대응하는 하부면 중앙영역에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지지축(137,237,337,437,537,637)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축의 하부단은 임펠러(14)와 연결되어 중공관(134,234,334,434,535,634)내에 삽입배치되는 회전축(15)의 상단에 조립된 마그네트(15a)과 접하여 회전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마그네트(15a)는 상기 표시부(20)에 구비되는 피마그네트(미도시)와 대응되고, 상기 임폐럴러의 회전시 회전축(15)과 더불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피마그네트는 회전되는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서 동일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유량부(10)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량에 따라 회전하는 피마그네트의 회전량을 근거로 하여 유량부를 통과하는 유량을 적산하거나 회전되는 마그네트의 자극변화를 검출하여 유량부를 통과하는 유량을 적산할 수 있는 것이다.
<제7실시예>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동파방지 조립체(700)는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 하우징(710), 에어백(720), 고정부(730) 및 하부 차단판(74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710)은 상기 감속기어(29)를 포함하는 표시부(20')와 하부 하우징(16)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16)의 상부에 적층되어 외부 하우징(13)에 구비되고, 상부로 개방된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다.
상기 상부 하우징(7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임폘러(14)의 회전축(15)과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하부 차단판(740)이 조립되는 일정크기의 원형공(712)을 관통형성하며, 외부면에는 상기 에어백(720)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기 주입구(724)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관통형성된 인출공(714)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부하우징(710)의 하부면에는 후술하는 하부 차단판(540)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된 제1결합턱(746)과 대응조립되는 제1결합홈(716)을 구비하며, 중앙영역에는 중공관(734)의 하부단에 형성된 상부 수나사부(735)와 나사결합되는 하부 암나사부(742)를 형성하여 상기 원형공(712)에 삽입배치되는 제2결합턱(747)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차단판(740)은 상기 중공관(734)의 하부단에 형성된 상부 수나사부(735)와 중앙공(741)에 형성된 하부 암나사부(742)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상기 상부하우징(710)과 더불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턱(746)과 제1결합홈(717)간의 결합 그리고 상부 수나사부(735)와 하부 암나사부(742)간의 나사에 의해서 하부 차단판(740)은 상부 하우징(710)의 하부면에 밀착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710) 또는 하부 차단판(740)에는 상기 유량부(10)내의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유출입공(71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720)은 상기 상부 하우징(7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710)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된 인출공(714)을 통하여 외부인출되는 공기 주입구(724)를 구비하여 상기 공기주입구(724)를 통해 강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부피가 팽창된 후 공기압축상태를 유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에어백(720)은 상하 적층된 상,하부 외피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열융착한 몸체(722)와, 상기 몸체(722)의 일측단에 공기를 강제 주입한 다음 강제 주입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처리되는 공기 주입구(524)를 포함하며, 이러한 몸체(722)는 상기 중공관(734)과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중공관이 통과하도록 관통형성되는 개구부(726)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주입구(724)를 통해 강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상기 상부 하우징(710)의 내부공간에서 부피가 서서히 커지게 되면서 상기 상부 하우징(710)의 내부면과 더불어 상기 상부 하우징(710)의 상부를 덮도록 조립되는 상부 차단판(732)의 내부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공기주입이 완료된 에어백(720)의 전체부피는 상기 상부 하우징(710) 및 상부 차단판(732)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공간과 같거나 크도록 하여 에어백의 외부면이 상부 하우징과 상,하부 차단판의 내부면에 항상 접하여 밀착됨으로써 상기 에어백의 과도한 팽창압력에 의해서 에어백 내부에 충진된 공기가 팽창된 몸체의 외피를 통하여 외부로 미세하게 누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팽창된 공기압력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720)의 외부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510)과 하부 차단판(740)과의 밀착성을 높여 팽창 후 확장된 몸체의 외피표면을 통한 미세한 공기배출을 장시간 가일층 억제할 수 있도록 우레탄 또는 실리콘 소재의 탄성 코팅층(525)을 적어도 한층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730)는 상기 상부 하우징(710)의 내부공간에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되어 팽창된 에어백(720)이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부(730)는 상부차단판(732), 중공관(734) 및 하부 차단판(74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차단판(732)은 상기 상부 하우징(710)의 개방된 상부에 중공관(734)과 더불어 조립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710)의 내부에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된 에어백(720)의 외부면과 면접하는 판부재이며, 이러한 상부 차단판(732)은 외측테두리에 상기 상부 하우징(710)의 상단 외주테두리에 형성된 수나사부(715)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733)를 구비하고, 중앙영역에는 상기 중공관(734)이 관통배치되는 중앙공(739)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공(739)의 내주면에는 상기 중공관(734)의 하부이탈이 곤란하도록 상단에 형성된 돌출턱(734a)이 걸림배치되는 단턱(739a)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하우징(710)과 상부 차단판(732)은 수나사부(715)와 암나사부(733)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일체로 조립되고, 상기 중공관(734)과 하부 차단판(740)은 상부 수나사부(735)와 하부 암나사부(742)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일체로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하우징(710)과 상부 차단판(732)간의 조립 및 상기 중공관(734)과 하부 차단판(740)간의 결합은 나사결합에 의해서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실시예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710)의 상단 외측테두리에 형성되는 조립턱과 상기 상부 차단판(732)의 외측테두리에 형성되는 조립홈간의 대응결합에 의해서 일체로 조립되고, 상기 중공관(734)의 하부단에 형성되는 상부 조립턱과 상기 하부 차단판(740)의 중앙공(741)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하부 조립홈간의 대응결합에 의해서 일체로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중공관(534)은 상기 상부 차단판(510)의 중앙영역에 관통형성된 중앙공(739)에 걸리도록 조립되어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부단에는 상기 하부 차단판(740)의 바닥면 중앙영역에 관통형성된 중앙공(741)의 하부 암나사부(742) 또는 하부 조립홈과 대응조립되도록 상부 수나사부(735) 또는 상부 조립턱을 구비하며, 길이 중간에는 상기 유량부내의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물유출입공(736)을 구비하고, 상기 중공관(534)의 상단에는 상부 차단판(732)의 중앙공에 형성된 단턱에 걸림배치되는 돌출턱(734a)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차단판(732)의 암나사부(733)는 상기 상부 차단판(732)의 외측테두리로부터 직하부로 연장되는 환고리형 돌출턱의 내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차단판(732)의 외측테두리에는 감속기어(29)를 포함하는 표시부(20')가 배치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정높이의 외벽(738)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하우징(710)과 상부 차단판(732)은 수나사부(715)와 암나사부(733)간의 나사결합 및 상기 상부차단판(732)에 결합된 중공관(732)과 상기 상부하우징(710)에 결합된 하부 차단판(740)은 중공관(734)의 하부단에 형성된 상부 수나사부(735)와 하부 차단판(740)의 중앙공에 형성된 하부 암나사부(742)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서로 일체로 조립되고, 상기 상부 차단판(732)과의 조립 전에 상기 상부 하우징(720)내에 배치된 에어백(720)의 공기주입구(724)는 인출공(714)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7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에어백(720)은 상기 공기 주입구(724)를 통해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부피팽창되면서 고압으로 공기압축되어 상부 하우징(710)과 상부 차단판(732)의 내면에 밀착되고, 수도 계량기 내부에 걸리는 수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까지 조립체의 파손없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겨울철 영하의 온도조건으로 수도 계량기(1')의 유량부(10)내에 수돗물이 동결되는 경우, 상기 유량부 내에서의 물의 동결시 발생하는 부피팽창압력은 상기 수도 계량기 내부에 걸리는 수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까지 공기가 강제주입된 에어백에 의해서 흡수되기 때문에 표시부 및 이에 인접하는 부품이 파손되고, 수도계량기의 동파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실시예에 내지 제 6실시예에 개시된 수도계량기(1)에 구비되는 상부 차단판(132,232,332,432,532,632)은 상기 중공관(134)내에 삽입배치되는 회전축(15)의 상단에 조립된 마그네트(15a)과 하부단이 접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면 중앙영역에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지지축(137)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15a)는 상기 표시부(20)에 구비되는 피마그네트와 대응되고, 상기 회전축(15)과 더불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피마그네트는 회전되는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서 동일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유량부(10)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량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량을 근거로 하여 유량을 적산하거나 회전되는 마그네트의 자극변화를 검출하여 유량을 적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7실시 예에 개시된 수도계량기(1')에 구비되는 상부 차단판(732)과 조립되는 중공관(734)은 회전축(15)의 상단에 형성된 구동기어(15b)가 표시부(20')에 노출되어 감속기어(29)와 기어물림되도록 회전축과 조립됨으로서, 상기 감속기어에 연결된 눈금은 회전축과 더불어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맞물린 감속기어에 의해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유량부(10)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량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기어의 회전량을 근거로 하여 유량부를 통과하는 유량을 적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실시예에 내지 제 6실시예에 개시된 수도계량기(1)에 구비되는 상부 차단판(132,232,332,432,532,632)은 상기 중공관과 대응하는 중앙영역에 임펠러(14)와 연결되어 중공관(134,234,334,434,535,634)내에 삽입배치되는 회전축(15)의 상단이 통과하면서 유량부의 물과 표시부의 물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축통과홀(H)을 관통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축통과홀(H)을 통해 상기 표시부에 노출되는 회전축의 상단에 형성된 구동기어(15b)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20')에 구비되는 감속기어(29)와 연결되도록 기어물림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구동기어(15b)는 상기 표시부(20)에 구비되는 감속기어(29)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감속기어에 연결된 눈금은 회전축과 더불어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맞물린 감속기어에 의해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유량부(10)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량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기어의 회전량을 근거로 하여 유량부를 통과하는 유량을 적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실시예에 내지 제 6실시예에 개시된 수도계량기(1)에 구비되는 상부 차단판(132,232,332,432,532,632)의 외측테두리에도 상기 표시부를 내부공간에 배치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외벽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2(a)(b)(c)(d)(e)(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100,200,300,400,500,600)에 구비되는 실링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인출공을 통하여 공기 주입구가 외부로 인출되는 에어백은 공기 주입구를 통한 에어백의 공기 주입이 완료된 후 상기 공기주입구의 입구단을 열융착에 의해서 밀봉처리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에어백에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공기주입구를 실링하는 별도의 실링부(15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링부(150)는 제1실시예의 상부하우징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내지 7실시예의 각 상부 하우징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부(150)는 도 2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주입구가 외부인출되는 인출공(114)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한쌍의 슬릿(151a)과, 상기 슬릿(151a)에 의해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편(151b)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백(120)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작업은 도 2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릿에 의해서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편(151b)을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강제로 밀게 되면, 상기 탄성편(151b)의 하부단이 인출공(114)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인출공(114)의 입구를 넓게 확보하여 이를 통해 외부인출되는 공기 주입구(124)에 대한 구속력이 해제되기 때문에 상기 공기 주입구(124)를 통한 공기 주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공기 주입구(124)를 통한 공기 주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도 2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편(151b)을 내측으로 미는 외력을 제거하여 상기 탄성편(151b)을 수직상태로 복원시키게 되면, 상기 탄성편(151b)의 하부단은 인출공(114)의 내면과 접하도록 근접하면서 상기 인출공(114)의 입구면적을 좁게 하여 이를 통해 외부인출되는 공기 주입구(124)는 인출공(114)의 내면과 탄성편(151b)의 하부단사이에 끼워지면서 밀착되어 공기 주입구의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상기 공기 주입구(124)를 통한 공기유출 및 공기주입이 불가능하도록 완전 실링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하우징(110)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 주입구(124)의 나머지 부분을 절단제거하여 마감처리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탄성편(151b)의 하부단은 상기 인출공을 통해 인출되는 공기주입구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인출공의 경사진 바닥면과 나란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인출공의 계단형 바닥면 또는 일자형 바닥면과 대응하도록 하부단이 계단형 또는 일자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탄성편(151b)의 하부단과 상기 인출공(114)의 내부 바닥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은 상기 공기주입구의 두께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링부(150)는 도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주입구(124)가 외부인출되는 인출공(114)을 통해 상기 공기주입구와 더불어 외부인출되는 당김라인(152a)과, 상기 당김라인(152a)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당김라인의 당김시 상기 인출공(114)의 바닥면과 공기 주입구(124)와의 사이에 억지끼움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쐐기부재(152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백(120)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작업은 도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당김라인(152a)이 공기주입구와 더불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내부 쐐기부재(152b)는 상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인출공(114)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인출공(114)의 입구를 충분히 넓게 확보하여 이를 통해 외부인출되는 공기 주입구(124)에 대한 구속력이 해제되기 때문에 상기 공기 주입구(124)를 통한 공기 주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공기 주입구(124)를 통한 공기 주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도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당김라인(152a)을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쐐기부재(152b)는 인출공(114)으로 서서히 삽입되면서 상기 인출공(114)의 입구면적으로 좁게 하면서 이를 통해 외부인출된 공기 주입구(124)가 인출공(114)과 쐐기부재(1522b)사이에 밀착되어 공기주입구의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상기 공기 주입구를 통한 공기유출 및 공기주입이 불가능하도록 완전 실링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하우징(110)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 주입구(124)의 나머지 부분은 당김라인과 더불어 절단제거하여 마감처리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내부 쐐기부재(152b)는 삼각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강성부재 또는 수축팽창력을 갖도록 고무, 실리콘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150)는 도 2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인출공(114)과 공기 주입구(124)와의 사이로 억지끼움되는 외부 쐐기부재(15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백(120)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작업은 도 2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당김라인(152a)이 공기주입구와 더불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외부 쐐기부재(153)는 상부 하우징(1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으면, 상기 인출공(114)의 입구를 충분히 넓게 확보하여 이를 통해 외부인출되는 공기 주입구(124)에 대한 구속력이 전혀 없기 때문에 상기 공기 주입구(124)를 통한 공기 주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공기 주입구(124)를 통한 공기 주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도 2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출공(114)에 대응배치된 외부 쐐기부재(153)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강하게 밀면, 상기 외부 쐐기부재(153)는 인출공(114)으로 서서히 삽입되면서 상기 인출공(114)의 입구면적으로 좁게 하면서 이를 통해 외부인출된 공기 주입구(124)가 인출공(114)과 쐐기부재(152b)사이에 밀착되어 공기주입구의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상기 공기 주입구를 통한 공기유출 및 공기주입이 불가능하도록 완전 실링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하우징(110)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 주입구(124)의 나머지 부분은 외부 쐐기부재와 더불어 절단제거하여 마감처리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쐐기부재(153)는 내부 쐐기부재와 마찬가지로 삼각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강성부재 또는 수축팽창력을 갖도록 고무, 실리콘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150)는 도 22(d)와 2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주입구(124)가 외부인출되는 인출공(114)의 측방 또는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기주입구가 측방 또는 수직으로 이동되어 억지끼움되는 끼움슬릿(154a,154b)을 포함하며, 이러한 끼움슬릿(154a 154b) 중 측방으로 연장되는 끼움슬릿은 상기 공기 주입구가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주입구의 두께와 같거나 작은 입구높이를 갖추어야 하며, 수직으로 연장되는 끼움슬릿은 상기 공기주입구가 반으로 포개진 두께와 같거나 작은 입구폭을 갖추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백(120)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작업은 도 22(d)(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출공에 배치된 공기 주입구(124)를 통한 공기 주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 상태에서, 상기 인출공에 있던 공기 주입구(124)를 상기 끼움슬릿(154a,154b)측으로 강제 이동시켜 상기 끼움슬릿에 공기주입구(124)가 강제로 끼워지도록 하면, 상기 공기 주입구(124)의 두께가 수축되면서 끼움슬릿에 밀착되어 공기 주입구의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상기 공기 주입구(124)를 통한 공기유출 및 공기주입이 불가능하도록 완전하게 실링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하우징(110)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 주입구(134)의 나머지 부분을 절단제거하여 마감 처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주입구(124)가 배치되어 있던 인출공(114)은 상기 공기주입구(124)의 위치이동에 의해서 개방되어 고압으로 공기압축된 에어백이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공기 주입구의 위치이동 후 개방되는 인출공(114)은 별도의 밀봉부재(154)에 의해서 밀봉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주입구의 위치이동후 개방되는 인출공(114)은 도 22(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주입구(124)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공과 더불어 끼움슬릿을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보조판(155)에 의해서 덮어져 밀봉처리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보조판(155)은 상기 공기주입구가 삽입되어 외부인출될 수 있도록 몸체중앙에 조립공(155a)을 관통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150)는 도 22(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주입구(124)의 주입측에 구비되어 주입유로(156b)를 통해 상기 에어백(130)내로 공기를 주입하고 주입완료된 공기의 내부압에 의해서 주입유로가 밀폐되는 체크밸브(156)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체크밸브(156)는 상,하부 시트가 상하 적층되는 밸브몸체(156a)와, 상기 상,하부시트를 일체화하면서 상기 밸브몸체(156a)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입유로(156b)를 형성하도록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융착라인(156c)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백(120)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작업은 도 22(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주입구(124)의 주입측으로부터 몸체일부가 외부노출된 체크밸브(156)의 주입유로에 미도시된 공기주입관을 삽입하여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주입유로를 통한 공기 주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 주입관을 분리하면 에어백내로 주입완료된 공기의 내부압에 의해서 상,하부시트가 밀착되어 주입유로가 밀폐되면서 상기 공기 주입구의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상기 공기 주입구(124)를 통한 공기유출 및 공기주입이 불가능하도록 완전실링처리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10,210,310,410,510,610,710 : 상부 하우징
114,214,314,414,514,614,714 : 인출공
120,220,320,420,520,620,720 : 에어백
124,224,324,424,524,624,724 : 공기주입구
130,230,330,430,530,630,730 : 고정부
132,232,332,432,532,632,732 : 상부 차단판
134,234,334,434,534,634,734 : 중공관
137,237,337,437,537,637 : 지지축
540,640, 740 : 하부 차단판 150 : 실링부

Claims (2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유입공과 유출공을 갖는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임펠러를 갖는 하부 하우징을 갖추어 유체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유량부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유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수도계량기에 구비되는 동파방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와 하부 하우징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에 구비되는 상부 하우징 ;
    상기 상부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 배치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부면에 구비된 인출공을 통해 외부인출되는 공기 주입구를 구비하는 에어백 ; 및
    상기 상부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 차단판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원형공을 덮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하부 차단판 및 상기 상부 차단판 또는 하부 차단판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상부 차단판 또는 하부 차단판에 조립되고, 상기 임펠러부터 연장되는 회전축이 삽입배치되는 중공관을 갖추어 상기 에어백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차단판의 외측테두리에 형성된 제1결합턱이 삽입조립되는 제1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차단판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원형공 외측테두리에 형성된 제2결합턱이 삽입조립되는 제2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 배치된 에어백을 고압으로 공기압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차단판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된 중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관의 하부단에 형성된 상부 수나사부 또는 상부 조립턱과 결합되는 하부 암나사부 또는 하부 조립홈을 상기 하부 차단판의 중앙공 내부면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 차단판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일정길이 연장된 중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관의 상부단에 형성된 하부 수나사부 또는 하부 조립턱과 결합되는 상부 암나사부 또는 상부 조립홈을 상기 상부 차단판의 하부면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7. 유입공과 유출공을 갖는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임펠러를 갖는 하부 하우징을 갖추어 유체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유량부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유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수도계량기에 구비되는 동파방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와 하부 하우징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에 구비되는 상부 하우징 ;
    상기 상부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 배치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부면에 구비된 인출공을 통해 외부인출되는 공기 주입구를 구비하는 에어백 ; 및
    상기 상부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에 조립되는 상부 차단판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원형공에 조립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하부 차단판 및 상기 상부 차단판에 형성된 중앙공에 상단이 걸림조립되고, 상기 하부 차단판에 형성된 중앙공에 하단이 조립되고, 상기 임펠러부터 연장되는 회전축이 삽입배치되는 중공관을 갖추어 상기 에어백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차단판의 중앙공에 형성된 단턱에 걸리는 돌출턱을 상단에 형성하여 상기 중앙공으로 삽입되는 일정길이의 중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관의 하부단에 형성된 상부 수나사부 또는 상부 조립턱과 결합되는 하부 암나사부 또는 하부 조립홈을 상기 하부 차단판의 중앙공 내부면에 구비하며,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 배치된 에어백을 고압으로 공기압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8. 삭제
  9.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차단판은 상기 표시부에 구비되는 피마그네트와 대응하도록 회전축의 상단에 조립된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지지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10.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차단판은 상기 표시부에 구비되는 감속기어와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형성한 회전축의 상단을 상기 표시부에 노출시키도록 관통형성되는 축통과홀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11.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차단판은 상기 표시부가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외측테두리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는 외벽을 구비함을 특징을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12.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은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물유출입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13.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의 물유출입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14.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차단판은 물이 자유롭게 유출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의 물유출입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15. 삭제
  16.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상하 적층된 상,하부 외피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열융착하고, 상기 중공관이 통과하도록 일정크기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단에 공기를 강제 주입한 다음 밀봉처리되는 공기 주입구를 포함하여 상기 유량부내의 수압보다 높은 공기압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외부면에 우레탄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탄성 코팅층을 구비하거나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면에 우레탄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탄성 코팅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18.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공기 주입구가 외부인출되는 인출공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한쌍의 슬릿과, 상기 슬릿에 의해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인출공의 경사진 바닥면과 나란하도록 하부단이 경사지게 구비되거나 상기 인출공의 계단형 바닥면과 대응하도록 하부단이 계단형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20.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공기 주입구와 더불어 인출공을 통해 외부인출되는 당김라인과, 상기 당김라인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인출공으로 삽입되는 내부 쐐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21.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어 인출공으로 삽입되는 외부 쐐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쐐기부재는 삼각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강성부재 또는 수축팽창력을 갖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23.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추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공기 주입구가 외부인출되는 인출공의 측방 또는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기주입구가 측방 또는 수직으로 이동되어 억지끼움되는 끼움슬릿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가 측방 또는 수직으로 이동되어 개방되는 인출공은 밀봉부재에 의해서 밀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가 측방 또는 수직으로 이동되어 개방되는 인출공은 상기 공기주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공과 더불어 끼움슬릿을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보조판에 의해서 덮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26.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추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공기 주입구의 주입측에 구비되어 주입유로를 통해 상기 에어백내로 공기를 주입하고 주입완료된 공기의 내부압에 의해서 주입유로가 밀폐되는 체크밸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쐐기부재는 삼각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강성부재 또는 수축팽창력을 갖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KR1020100065963A 2009-07-09 2010-07-08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KR101186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62504 2009-07-09
KR1020090062504 2009-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219A KR20110005219A (ko) 2011-01-17
KR101186773B1 true KR101186773B1 (ko) 2012-09-27

Family

ID=43612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963A KR101186773B1 (ko) 2009-07-09 2010-07-08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7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153B1 (ko) * 2013-06-03 2014-02-05 주식회사 아셀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253B1 (ko) * 2012-03-08 2013-03-06 (주)대한계기정밀 동파방지용 수도미터기
KR101274600B1 (ko) * 2013-03-22 2013-06-13 청호이엔씨 주식회사 수도계량기
KR101511246B1 (ko) * 2013-05-30 2015-04-10 청호이엔씨 주식회사 수도계량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2598A (ja) 2007-10-11 2009-04-30 Tokyo Metropolis 水道メ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2598A (ja) 2007-10-11 2009-04-30 Tokyo Metropolis 水道メ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153B1 (ko) * 2013-06-03 2014-02-05 주식회사 아셀 배리어성 커버체와 보형물의 이중 구조로 조합된 수도 계량기 동파방지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219A (ko) 2011-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773B1 (ko)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EP2364226B1 (en) Pipeline pig with internal flow cavity
CN213120995U (zh) 一种检测在线压力管道泄漏的装置
ES2513402T3 (es) Válvula de cierre de emergencia para uso en un sistema de dispensación de carburante
CN101173722A (zh) 用在燃料分配系统中的紧急断流阀
KR101740514B1 (ko) 합성수지 파형관용 하자구간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자구간 검출공법
WO2012168736A1 (en) Leak detection apparatus and plug for use with leak detection apparatus
CN115683471A (zh) 一种管道密封检测装置
DK178422B1 (da) Fremgangsmåde til in-situ reparation af et hul i rør-i-rør rørelementer
KR101290447B1 (ko) 에어백이 구비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KR101009206B1 (ko) 수도 계량기의 동파방지 조립체
CN106461447A (zh) 用于更换过程测量仪器的方法
KR100914748B1 (ko) 진공을 이용한 하수관 부분 보수 시험장치 및 방법
JP5546266B2 (ja) ガス用分岐管の封止工具、気密試験方法、気密試験装置及び撤去方法
ES2251581T3 (es) Cabeza extensora, particularmente para extender material termoplastico.
EP2807313B1 (en) Flood protection device
KR101795436B1 (ko) 에어컨의 배수관 누수 시험 장치
KR101562439B1 (ko) 누출차단 기능을 갖는 저장 탱크
JP5869710B1 (ja) 満水試験方法
CN110886280B (zh) 一种冻胀压力盒固定装置及加工方法
JP4541855B2 (ja) 既設流体管の流路開閉装置
KR101369585B1 (ko) 동파방지용 수도계량기
JP4368636B2 (ja) 液化石油ガス貯槽
KR100884546B1 (ko) 유체압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용 강관의 안정성 평가장치
KR100697618B1 (ko) 자동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