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128A -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프리즘 필름 및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프리즘 필름 및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128A
KR20090028128A KR1020070093459A KR20070093459A KR20090028128A KR 20090028128 A KR20090028128 A KR 20090028128A KR 1020070093459 A KR1020070093459 A KR 1020070093459A KR 20070093459 A KR20070093459 A KR 20070093459A KR 20090028128 A KR20090028128 A KR 20090028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resin composition
monomer
cur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남
홍승모
김기용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3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8128A/ko
Publication of KR20090028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12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5Light guides
    • G02B1/048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cladding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외선 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A), 분자내에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자외선 경화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1개 이상의 광개시제(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66666719-PAT00001
(X는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고 R1은 2내지 1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로서 히드록시가 존재할 수 있으며,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며 Ar은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이며, m은 0 또는 1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다.)
고굴절률, 프리즘,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Description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프리즘 필름 및 백라이트 유닛{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Prism Film, Prism Film And Backlight Unit}
본 발명은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급속하게 경화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프리즘 필름 및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174910/1995호는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의 정면밝기(front brightness)를 향상시키는 프리즘 시트(prism sheet)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프리즘 시트는 특정 굴절률을 갖는 투명물질로부터 특정 형상으로 성형된다. 프리즘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허는 특정범위의 굴절률을 갖는 투명유리를 사용하여 일체 성형하는 방법 및 UV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프리즘 형상을 성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174910/1995호에 의해 인정된 바와 같이, 상기 UV 경화성 수지에 의해 대표되는 플라스틱 물질은 내열성을 요구하는 용도에 제한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즉, 종래 UV 경화성 수지로부터 얻은 프리즘 시트의 대표적인 렌즈 시트가 고온 환경에서 사용된다면, 렌즈 시트의 일부는 백라이트의 표면상에서 융착되고, 끈적끈적한 흔적을 남긴다. 이는 제품의 광학적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치명적인 결점이다. 게다가, 곡면(曲面) 디스플레이 표면을 갖는 박형화 및 대형화 액정 셀을 제조하는 관점에서 종래 유리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필름을 기판으로서 사용한 액정표시소자에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필름이 기판으로 사용될 때, 기판의 외 표면은 쉽게 손상되어 외관을 손상시키고, 불규칙한 반사를 일으켜 손상을 입는다. 그럼으로써 액정표시소자의 광학적 특징에 악영향을 미친다. 상기 이유로, 기판의 표면상에 UV 경화성 수지의 코팅층을 부여하여 기판표면의 경도를 증가시켜서, 표면이 손상되기 어려운 액정표시소자를 얻는다.
그러나 상기 코팅층이 종래의 UV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된다면, 얻은 이미지는 불충분한 투명도, 내광착색성 등으로 인해 유리기판을 사용한 액정표시소자로부터 얻은 화상에 비해 화상이 어둡고, 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생산성이 우수하고, 투명성이 높고, 경화물의 굴절률이 높고, 표면경도가 높고, 치수 정밀도가 우수하고, 내열성이 우수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외선 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A), 분자내에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자외선 경화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1개 이상의 광개시제(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66666719-PAT00002
(X는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고 R1은 2내지 1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로서 히드록시가 존재할 수 있으며,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며 Ar은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이며, m은 0 또는 1의 정 수이며,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다.)
또한, 상기 자외선 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A)는 굴절률이 1.5이상이고, 25?에서의 점도가 5 내지 15000cps인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화학식1의 R1은 1,2-에틸일, 또는 2-히드록시-1,3-프로필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분자내에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자외선 경화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는 다이펜타에리스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스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릭 에스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클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다이올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다이올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렌글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클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프로필렌글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 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외선 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A) 10 내지 85 중량부, 분자내에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자외선 경화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5 내지 80 중량부, 및 광개시제(C) 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투명기재필름의 일면에 상기 경화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된 프리즘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프리즘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 한다. 하기의 구체적 설명은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이므로, 비록 한정적, 단정적 표현이 있더라도 특허청구범위로부터 정해지는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경화 수지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외선 경화형 (메 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A), 분자내에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자외선 경화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1개 이상의 광개시제(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자외선 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A)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A)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66666719-PAT00003
상기 식에서, X는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고 R1은 2내지 1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로서 히드록시가 존재할 수 있으며,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며 Ar은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이며, m은 0 또는 1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R1은 2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기 또는 히드록시알킬렌기, R2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인 것이 좋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A)는 굴절률이 1.5이 상이며 25℃에서의 점도가 5 내지 15000cps를 갖는 고굴절 물질로서 경화 후 프리즘층의 고굴절률을 유지시켜 주어 휘도 및 경화 후 경도가 향상 되고, 점도가 낮아 작업성이 우수하며 특히 기재필름과의 부착력이 증대되는 프리즘 필름의 프리즘층을 형성하는 물질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A)는 2-히드록시-3-(o-페닐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m-페닐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p-페닐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벤조에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페닐설파닐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A)는 조성물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8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굴절률 및 부착력의 향상 기대를 충족시키기 힘들고, 85 중량부 초과일 경우에는 점도 조절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분자내에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자외선 경화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B)는 다이펜타에리스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스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릭 에스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클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다이올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다이올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렌글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클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프로필렌글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B)는 조성물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80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표면경도 향상을 기대하기 힘들고, 80중량부 초과일 경우는 표면 경도가 높아 컬링이나 표면의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 광개시제(C)는 통상적인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포스핀 옥사이 드(phospine oxide)계, 프로파논(propanone)계, 케톤(ketone)계, 포르메이트(formate)계의 광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개시제(C)는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 디페닐케톤 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1-온, 4-히드록시 사이클로 페닐케톤, 디메톡시-2-페닐아테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크놀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광개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광개시제는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광경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블로킹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화 후 광개시제가 잔존하게 되어 장시간 방치 시 잔존 광개시제의 표면 석출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물질 이외에도 항산화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열적고분자화 금지제, 레블링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등이 상기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에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술된 중합성 조성물은 미세구조-포함 광학 물품(예 필름)과 같은 다른 광학 물질용으로 유리할 수 있다. 예시적 광학 물질 프레넬렌즈와 같은 광 학렌즈, 고굴절률 필름과 같은 광학필름, 예를 들면 완전 내부 반사 필름과 같은 미소반복형 필름, 또는 광도 강화 필름, 평판형 필름, 다층필름, 재귀반사 시트, 광섬유 또는 광학튜브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투명기재필름의 일면에 경화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된 프리즘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 필름을 제공한다. 프리즘 필름의 구성은 제한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경화 수지 조성물을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 광학용 고분자 기재 또는 상기 기재에 수분산 폴리우레탄 층이 1~2㎛ 프라이머 형식으로 코팅되어 있는 필름에 코팅할 수 있으며 필름의 두께는 10 ~ 1,000㎛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50 ~ 300㎛가 사용된다. 코팅방식으로는 그라비아 코팅, 롤코팅, 라이프 코팅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도포두께는 보통 1 ~ 200㎛이며, 바람직하게는 10~1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이다. 프리즘 형상을 만든 뒤 자외선으로 경화시킨다. UV광의 조사량은 약 0.1~2J/cm2이고, 바람직하게는 0.4~0.8J/cm2이며 파장은 365nm를 주 파장으로 하는 메탈 할라이드 계열의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프리즘 필름을 구비한 백라이트 장치를 제공한다. 백라이트 장치는 제한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일례로, LED 등의 광원과 광원의 광을 도광시키는 도광판과 도광판의 상면에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리즘 필름은 전술한 프리즘 필름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은 고굴절의 조성물로서, 프리즘 필름의 프리즘층을 형성하기에 용이한 점도 특성을 가지며, 프리즘 필름 형성 후 표면경도와 기재필름과의 접착력이 향상되고, 휘도가 우수한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실시예로서 각각의 조성 및 조성비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 표1 >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자외선경화형단량체 자외선경화형 단량체(a) 30 30 40 40 35
자외선경화형 단량체(b) 35 30 25 20 25 45 40
자외선경화형 단량체(c) 30 35 30 35 35
고굴절모노머(d) 40 45
고굴절모노머(e) 10 10
광개시제 광개시제(a) 2.5 2.5 2.5 2.5 2.5 2.5 2.5
광개시제(b) 2.5 2.5 2.5 2.5 2.5
자외선경화형단량체(a) : 2-히드록시-3-(o-페닐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자외선경화형단량체(b) : 2-페닐설파닐에틸 아크릴레이트
자외선경화형단량체(c) : 다이펜타에리스리톨펜타/헥사 아크릴레이트(니폰 가야쿠사, KAYARAD DPHA)
고굴절모노머(d) : 비스페놀 A 글리시딜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고굴절모노머(e) : 아크릴로일 모르폴린
광개시제(a) : Oxy-phenyl-acetic 2-[2-hydroxy-ethoxy]ethyl ester
광개시제(b) : Diphenyl(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상기 실시예에 대한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조성물의 점도 평가
25℃에서의 점도는 JIS K7117에 따른 회전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조성물의 굴절률 평가
조성물의 굴절률을 측정하기 위해 굴절계(모델명: 1T, 일본 ATAGO ABBE)를 사용하여 굴절률을 측정한다. 측정을 위한 광원은 589.3㎚의 D광선 나트륨램프를 이용한다.
(3) 접착력 평가(떨어진 개수/100)
투명 PET 기재필름에 조성물을 코팅한 후, 표면위에 표면이 매끈한 금속판을 겹쳐 두께 3㎛가 되도록 압력을 가한 후, 경화하여 금속판을 제거한 후, 경화된 두께만을 10×10㎟의 영역내에서 100개의 매트릭스 구조로 절개한 후, 그 위에 테이프를 접착하고 수직으로 강하게 이형하면서 떨어져 나온 매트릭스의 개수를 표기한다.
(4) 산갈림 현상
상기 2번과 같이 17인치 백라이트 유닛에 코팅된 필름을 장착한 후 분당 60회의 왕복운동을 하는 장치에 백라이트 유닛을 장착하고 10시간 동안 왕복운동을 하여 산갈림 현상이 1cm이상인 부분이 10곳 이상이면 매우 불량, 7~9곳 이면 불량, 4~6곳이면 보통, 1~3곳이면 양호, 없으면 매우 양호로 구분하여 표기하였다.
(4) 연필경도
연필경도 시험기(PHT, 한국 석보과학 사제)를 이용하여 500g 하중을 걸고 연필경도를 측정하였다. 연필은 미쯔비시 제품을 사용하고 한 연필 경도당 5회 실시하였다. 기스가 2개 이상이면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기스: 0 OK
기스: 1 OK
기스: 2 이상 NG
(6) 컬링
A4 사이즈(29.7X21.0cm)의 정방형 형상으로 절단한 시료를 평탄한 글라스 판 위에, 필름의 도포된 면을 위로해서 두고, 4각의 유리판으로부터의 떨어진 거리를 25℃, 50%RH에서 측정하여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하였다.
매우 양호: 0~15mm, 양호: 15~30mm, 불량: 30~50mm, 매우 불량: 50mm를 이상.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을 상술한 평가 결과 방법에 의하여 평가된 결과는 다음 표2와 같다.
< 표2 >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점도(cps/25oC) 770 856 900 800 750 692 562
굴절률 1.547 1.544 1.548 1.547 1.551 1.536 1.531
접착력 0/100 0/100 0/100 0/100 0/100 0/100 3/100
산갈림현상 매우양호 양호 양호 양호 매우양호 불량 불량
연필경도 3H 3H 2H 2H 2H 1H 1H
컬링 매우양호 양호 양호 양호 매우양호 불량 매우불량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외선 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A), 분자내에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자외선 경화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1개 이상의 광개시제(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66666719-PAT00004
    (X는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고 R1은 2내지 1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로서 히드록시가 존재할 수 있으며,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며 Ar은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이며, m은 0 또는 1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A)는 굴절률이 1.5이상이고, 25℃에서의 점도가 5 내지 15000cps인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R1은 1,2-에틸일, 또는 2-히드록시-1,3-프로필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내에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자외선 경화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는 다이펜타에리스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스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릭 에스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클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다이올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다이올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렌글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클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프로필렌글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외선 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A) 10 내지 85 중량부, 분자내에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자외선 경화형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5 내지 80 중량부, 및 광개시제(C) 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지 조성물.
  6. 투명기재필름의 일면에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경화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된 프리즘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 필름.
  7. 제6항의 프리즘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070093459A 2007-09-14 2007-09-14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프리즘 필름 및백라이트 유닛 KR20090028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459A KR20090028128A (ko) 2007-09-14 2007-09-14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프리즘 필름 및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459A KR20090028128A (ko) 2007-09-14 2007-09-14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프리즘 필름 및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128A true KR20090028128A (ko) 2009-03-18

Family

ID=40695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459A KR20090028128A (ko) 2007-09-14 2007-09-14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프리즘 필름 및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81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0513B2 (ja) 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9056935B2 (en)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method of fabricating optical film using the same, and optical film including the same
US10774222B2 (en) Photocurable coating composition and application thereof
JP2008298962A (ja) 光学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TWI488738B (zh) 光學膜、包括其的背光單元和包括其的光學顯示設備
KR20150120627A (ko) 도광판 미세 패턴 형성용 광경화형 임프린팅 조성물 및 그 임프린팅 도광판과,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94553B1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7248429B2 (ja) 光硬化性組成物、積層体及びその製法、ディスプレイ用導光板
JPWO2014189075A1 (ja) 積層体
KR20130042393A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JP2008180754A (ja) 光学シート、及び該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057352B1 (ko) 플루오렌 에폭시 변성 아크릴레이트, 이를 포함하는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광학필름
KR20090028128A (ko)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프리즘 필름 및백라이트 유닛
JP2014076556A (ja) 微細凹凸構造を有する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51364B1 (ko)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KR20120131419A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65260B1 (ko) 프리즘 필름 또는 프리즘 기능성 복합필름의 프리즘층형성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리즘필름 및 액정표시장치
KR20100053275A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69257B1 (ko)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학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6299079B2 (ja) 微細構造形成用光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CN112654685B (zh) 自由基系粘接剂组合物、粘接剂层、偏振片和影像显示装置
JP2008150547A (ja) 透明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透明複合体からなる表示素子用樹脂基板
KR20100053276A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26035A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KR20090045836A (ko) 프리즘층 형성용 경화 수지 조성물 및 프리즘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