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7995A - 이미지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7995A
KR20090027995A KR1020070093237A KR20070093237A KR20090027995A KR 20090027995 A KR20090027995 A KR 20090027995A KR 1020070093237 A KR1020070093237 A KR 1020070093237A KR 20070093237 A KR20070093237 A KR 20070093237A KR 20090027995 A KR20090027995 A KR 20090027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utput
original image
outputting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4529B1 (ko
Inventor
김원정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3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5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27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93Enlarging or reducing
    • H04N1/3935Enlarging or reducing with modification of image resolution, i.e. determining the values of picture elements at new relative pos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2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splay device, e.g. CRT or LCD moni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85Image output
    • H04N1/00188Printing, e.g. prints or re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전자 액자나 전자 앨범 등을 통하여 표시되는 편집된 수정 이미지를 프린터로 인쇄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로 표시하고자 할 때, 인쇄 품질 및 화상 품질을 높이고 사용자의 번거로운 조작을 덜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정 이미지를 출력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상기 수정 이미지를 출력할 것인지 상기 수정 이미지의 수정 전 원 이미지를 출력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수정 이미지 또는 상기 원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전자 액자, 인쇄, 수정 이미지, 원 이미지, 이미지 화소수

Description

이미지 출력 방법{Method for outputting an image}
본 발명은 이미지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이미지를 취급하는 전자정보기기에서 수정 이미지를 보다가 인쇄 등을 하려고 할 때 수정 전 원 이미지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앨범이나 전자 액자는 디지털 형태의 이미지를 저장하고 표시한다. 전자 앨범이나 전자 액자에 저장 가능한 저장 용량 및 이미지 다운로드를 위한 유/무선 통신시 소요되는 전송시간을 고려하여 전자 앨범이나 전자 액자에는 통상적으로 원 이미지의 화소수를 줄인 수정 이미지들을 다운로드하게 된다.
전자 앨범이나 전자 액자에 표시된 이미지를 프린터로 직접 출력하거나 다른 영상기기, 예를 들면 IP-TV에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전자 앨범이나 전자 액자에 표시된 이미지는 주로 화소수를 줄인 수정된 이미지로서, 화소수가 낮아서 프린터로 인쇄하였을 때 적정한 인쇄 품질을 얻지 못하거나 IP-TV로 연결하였을 때 깨끗한 화상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이런 경우에, 종래에는 사용자가 일일이 수정 전의 원 이미지를 찾아서 출력해야만 하거나 낮은 해상도의 화상 이미지를 그대로 인쇄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액자나 전자 앨범에 표시되는 수정된 이미지에 수정 전의 원 이미지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여 둠으로써 이미지를 프린터로 인쇄하거나 다른 영상기기에 화상 표시할 때 인쇄 품질이나 화상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정 이미지에 대한 출력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선택된 수정 이미지를 출력할 것인지 상기 수정 이미지의 원 이미지를 출력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수정 이미지 또는 상기 원 이미지 중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을 개시한다.
이미지 출력은 인쇄 장치에 의한 이미지의 인쇄일 수도 있고,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화상을 표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수정 이미지가 상기 원 이미지의 화소수를 줄인 이미지인 경우,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며, 상기 수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출력 단계에서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하는 반면, 상기 수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상기 수정 이미지를 그대로 출력한다. 따라서 인쇄할 때 또는 디스플레이에 화상을 할 때 선명한 인쇄 품질 또는 화상 품질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수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수정 이미지로부터 상기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위치 정보의 획득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정 이미지를 출력하며,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위치 정보의 획득에 성공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 장치로 불러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상기 원 이미지를 상기 출력 장치로 불러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 이미지를 상기 출력 장치로 불러올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정 이미지를 출력하며, 상기 원 이미지를 상기 출력 장치로 불러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 장치로 불러올 수 있는 경우에는 불러들여온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한다. 이때, 수정 이미지는 수정 전의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간직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쇄를 하고자 하거나 IP-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상을 표시하고자 할 때 사용자의 번거로운 조작 없이도 필요한 경우 원 이미지를 가져와서 출력하기 때문에 인쇄 품질 및 화상 품질이 우수하고 편리하다.
한편, 상기 수정 이미지가 상기 원 이미지에 문자나 도형을 추가한 이미지인 경우,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출력 대상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판단하며, 사용자가 수정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정 이미지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한다. 따라서 인쇄할 때 또는 디스플레이에 화상을 표시할 때 사용자의 별도의 번거로운 조작 없이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자유롭게 결합 전 원 이미지만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수정 이미지로부터 상기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위치 정보의 획득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정 이미지를 출력하며, 그렇지 않고 상기 위치 정보의 획득에 성공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 장치로 불러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상기 원 이미지를 상기 출력 장치로 불러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 이미지를 상기 출력 장치로 불러올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정 이미지를 출력하며, 그렇지 않고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 장치로 불러올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한다. 따라서 화상 이미지와 문자 이미지가 결합한 수정 이미지에서 원래 화상 이미지만 사용자가 인쇄를 하고자 하거나 IP-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상을 표시하고자 할 때 사용자의 번거로운 조작 없이도 필요한 경우 원래 화상 이미지만을 가져와서 출력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인쇄 품질 및 화상 품질이 저하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수정 이미지가 복수 개의 원 이미지들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합성한 꼴라쥬(collage) 이미지인 경우,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출력 대상으로 설정된 영역의 설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며,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설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설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상기 설정 이미지를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때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꼴라쥬 합성 전의 원 이미지를 높은 인쇄 품질 및 화상 품질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수정 이미지로부터 상기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위치 정보의 획득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설정 이미지를 출력하며, 상기 위치 정보의 획득에 성공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 장치로 불러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상기 원 이미지를 상기 출력 장치로 불러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 이미지를 상기 출력 장치로 불러올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설정 이미지를 출력하며,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 장치로 불러올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한다. 따라서 여러 화상 이미지들이 동시에 한 이미지에 표시된 꼴라쥬 수정 이미지에서 원래의 특정 화상 이미지만 사용자가 인쇄를 하고자 하거나 IP-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상 을 표시하고자 할 때 원 이미지를 찾아가는 사용자의 번거로운 조작 없이도 필요한 경우 원래의 특정 화상 이미지만을 가져와서 출력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인쇄 품질 및 화상 품질이 저하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수정 이미지를 프린터로 인쇄하거나 IP-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상을 표시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원 이미지를 찾아가는 별도의 조작 없이도 높은 인쇄 품질 또는 화상 품질로 인쇄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웹 서버와 프린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을 구현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웹 서버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을 구현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인터넷의 웹 사진 서버(100)는 사용자가 원래의 화상 이미지들을 저장하기도 하고 웹 사진 서버(100) 상의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원 이미지를 편집한 후 편집된 수정 이미지를 저장하기도 하는 공간이다. 이러한 원 이미지 또는 수정 이미지들은 웹 사진 서버(100)의 온라인 앨범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200)를 통하여 웹 사진 서버(100)에 이미지들을 업로드하고 웹 사진 서버(100)로부터 이미지들을 다운로드 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사용자가 전자 액자(300)에 들어갈 수 있도록 이미지의 크기 등을 편집한 수정 이미지를 유/무선 통신 또는 저장 매체,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를 통하여 전자 액자(300)로 가져오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수정 이미지들이 웹 사진 서버(100)에서 통신 회선 등을 통하여 곧바로 전자 액자(300)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그러면, 전자 액자(300)에는 가져온 수정 이미지들이 소정의 방식, 예를 들면 슬라이드 쇼로 표시된다.
이때, 전자 액자(300)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화소수는 통상적으로 640×480으로도 디스플레이에 충분한 화질을 얻을 수 있는 반면, 전자 앨범이나 전자 액자에 저장 가능한 저장 용량 및 이미지 다운로드를 위한 유/무선 통신시 소요되는 전송시간을 고려하여 전자 앨범이나 전자 액자에는 통상적으로 원 이미지의 화소수를 줄인 수정 이미지들을 다운로드하기 때문에 수정 이미지는 원 이미지의 화소수를 줄인 이미지인 경우가 많다. 그 외에도 수정 이미지는 원래의 화상 이미지에 특별한 문자나 도형 등을 추가한 이미지라든가 여러 장의 화상 이미지들을 겹치지 않도록 하나의 이미지에 붙여 넣은 꼴라쥬(collage) 이미지일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전자 액자(300)에 표시되는 이러한 수정 이미지들을 사용자가 인쇄하고 싶은 경우, 전자 액자(300)는 프린터(400)에 인쇄하고자 하는 수정 이미지를 전송한다. 그런데, 프린터(400)에는 인쇄에 권장되는 이미지의 최소 화소수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수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상기 최소 화소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수정 이미지를 그대로 인쇄하면 인쇄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수정 이미지의 수정 전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위치를 파악하고 원 이미지를 프린터(400)로 가져온 후 수정 이미지 대신에 원 이미지를 인쇄한다. 예를 들면 원 이미지가 웹 사진 서버(100)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프린터(400)는 사용자의 별도의 번거로운 조작 없이도 웹 사진 서버(100)로부터 원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원 이미지를 인쇄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전자 액자(300)에 표시되는 이러한 수정 이미지들을 사용자가 IP-TV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500)에 표시하고 싶은 경우, 전자 액자(300)는 표시하고자 하는 수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패널(500)에 전송한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패널(500)에는 표시에 권장되는 이미지의 최소 화소수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수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상기 최소 화소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수정 이미지를 그대로 표시하면 화상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수정 이미지로부터 수정 전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위치를 파악하고 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패널(500)에 가져온 후 수정 이미지 대신에 원 이미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원 이미지가 웹 사진 서버(100)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500)은 사용자의 별도의 번거로운 조작 없이도 웹 사진 서버(100)로부터 원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홈 네트워크와 프린터(4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을 구현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홈 네트워크와 디스플레이 패널(50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을 구 현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컴퓨터(200) 사진 서버, 전자 액자(300) 및 프린터(400)가 홈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컴퓨터(200) 사진 서버는 사용자가 원래의 화상 이미지들을 저장하기도 하고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원 이미지를 편집한 후 편집된 수정 이미지를 저장하기도 하는 공간이다.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를 통하여 컴퓨터(200) 사진 서버로부터 전자 액자(300)로 수정 이미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그러면, 전자 액자(300)에는 컴퓨터(200) 사진 서버로부터 전송된 수정 이미지들이 소정의 방식, 예를 들면 슬라이드 쇼로 표시된다.
이때, 전자 액자(300)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화소수는 통상적으로 640×480으로도 디스플레이에 충분한 화질을 얻을 수 있는 반면, 전자 앨범이나 전자 액자에 저장 가능한 저장 용량 및 이미지 다운로드를 위한 유/무선 통신시 소요되는 전송시간을 고려하여 전자 앨범이나 전자 액자에는 통상적으로 원 이미지의 화소수를 줄인 수정 이미지들을 다운로드하기 때문에 수정 이미지는 원 이미지의 화소수를 줄인 이미지인 경우가 많다.
그 외에도 수정 이미지는 원래의 화상 이미지에 특별한 문자나 도형 등을 추가한 이미지라든가 여러 장의 화상 이미지들을 겹치지 않도록 하나의 이미지에 붙여 넣은 꼴라쥬 이미지일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자 액자(300)에 표시되는 이러한 수정 이미지들을 사용자가 인쇄하고 싶은 경우, 전자 액자(300)는 프린터(400)에 인쇄하고자 하는 수정 이미지를 전송한다. 그런데, 프린터(400)에는 인쇄에 권장되는 이미지의 최소 화소 수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수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상기 최소 화소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수정 이미지를 그대로 인쇄하면 인쇄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수정 이미지로부터 수정 전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위치를 파악하고 원 이미지를 프린터(400)로 가져온 후 수정 이미지 대신에 원 이미지를 인쇄한다. 예를 들면 원 이미지가 컴퓨터(200) 사진 서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프린터(400)는 사용자의 별도의 번거로운 조작 없이도 컴퓨터(200) 사진 서버로부터 원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원 이미지를 인쇄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전자 액자(300)에 표시되는 이러한 수정 이미지들을 사용자가 IP-TV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500)에 표시하고 싶은 경우, 전자 액자(300)는 표시하고자 하는 수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패널(500)에 전송한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패널(500)에는 표시에 권장되는 이미지의 최소 화소수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수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상기 최소 화소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수정 이미지를 그대로 표시하면 화상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수정 이미지로부터 수정 전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위치를 파악하고 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패널(500)에 가져온 후 수정 이미지 대신에 원 이미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원 이미지가 컴퓨터(200) 사진 서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500)은 사용자의 별도의 번거로운 조작 없이도 컴퓨터(200) 사진 서버로부터 원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원 이미지와 상기 원 이미지의 화소수를 줄인 수정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수정 이미지가 원 이미지의 화소수를 줄인 이미지인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수정 이미지가 원 이미지의 화소수를 줄인 이미지인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인터넷 상에 "http://www.samsung.com/customer1Album"과 같은 주소의 앨범 서버가 있다고 가정하자. 해당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편집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원래의 이미지(http://www.samsung.com/customerAlbum/scenery.jpg)의 크기를 줄이면서 편집된 수정 이미지(http://www.samsung.com/customerAlbum/scenery2.jpg)로 바꾸어 저장하였다고 가정하자.
수정 이미지는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는 예를 들면,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의해 나타내어 질 수 있다. 원 이미지의 URL은 수정 이미지 파일의 EXIF 헤더에 저장될 수 있다. EXIF에는 디지털 이미지 파일 안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화상 데이터와 함께 카메라 제조사, 카메라 모델,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 사진 보정 날짜, 버전, 촬영 날짜, 웹에 올려진 사진의 실제 크기, 노출 시간, 촬영 프로그램, 렌즈 초점 길이, 조리개 개방 수치, 플래시 사용 여부, GPS 위치 정보 등 세부적인 부가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EXIF 헤더에는 메이커 노트(Maker Note)라는 빈 공간이 할당되어 있으며, 여기에 원 이미지의 URL을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원 이미지의 URL은 EXIF 헤더 외의 다른 공간에 기록될 수도 있으며,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는 반드시 URL로 나 타낼 필요는 없다.
편집 후 사용자는 수정 이미지인 scenery2.jpg를 컴퓨터(200)에 다운로드하여 메모리 카드에 저장할 수 있고, 이후 메모리 카드를 통하여 수정 이미지는 전자 액자(300)에 넣어지고 표시되게 된다.
사용자가 전자 액자(300)를 통해 표시되는 수정 이미지를 사용자가 프린터(400)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500)로 출력하도록 명령을 내리면(S10), 프린터(400)나 디스플레이 패널(500)에는 출력 대상이 되는 수정 이미지가 불러진다.(S20) 전자 액자(300)와 프린터(400) 또는 전자 액자(300)와 디스플레이 패널(500) 사이의 이미지 전송은 USB(universal serial bus)나 무선 통신, 또는 홈 네트워킹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수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작은지 판단된다.(S30)
이때 이미지의 화소수란 가로 측의 화소수와 세로 측의 화소수를 곱한 화소수를 의미할 수도 있고, 가로 또는 세로의 어느 한 측의 화소수를 의미할 수도 있다. 즉, 전체 화소수를 기준으로 수정 이미지의 화소수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의 대소를 비교할 수도 있으며, 가로 또는 세로의 어느 한 측의 화소수를 기준으로 수정 이미지의 화소수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의 대소를 비교할 수도 있다. 따라서 어느 경우도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만약, 수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수정 이미지를 그대로 인쇄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500)에 표시하여도 인쇄 및 화상 품질이 양호할 것이기 때문에 수정 이미지를 출력한다.(S80) 이와 달 리, 수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수정 이미지를 그대로 인쇄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500)에 표시하면 인쇄 및 화상 품질이 불량할 것이기 때문에 원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설정된다. 이를 위하여 수정 이미지인 scenery2.jpg의 EXIF 정보 중 MakerNote 상에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 판단한다.(S40)
수정 이미지에서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없다고 판단되면 수정 이미지를 출력한다. 이와 달리, 수정 이미지에서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우에는 해당 URL로 접속하여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출력 장치, 즉 프린터(400)나 디스플레이 패널(500)로 가져올 수 있는지 판단한다.(S50)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가 파악되더라도 통신 사정 등으로 원 이미지를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정 이미지를 출력한다.(S80) 이와 달리, 원 이미지를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면(S70) 전송받은 원 이미지를 프린터(400)로 인쇄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500)에 표시한다.(S70)
이와 같이, 사용자가 수정 이미지를 프린터(400)로 인쇄하거나 IP-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하고자 할 때 수정 이미지에 기록된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원 이미지를 가져와서 출력하기 때문에 인쇄 품질 및 화상 품질이 우수하다. 또한, 원 이미지를 여러 번 합성하거나 편집하여 수정하였더라도 사용자가 일일이 원 이미지의 저장 위치를 찾아서 가져오지 않더라도 원 이미지를 손쉽게 가져와서 출력할 수 있으므로 출력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7은 원 이미지와 상기 원 이미지에 문자를 추가한 수정 이미지를 보여주 는 도면이고, 도 8은 수정 이미지가 원 이미지에 문자를 추가한 이미지인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여 수정 이미지가 원 이미지와 프레임(문자 프레임 또는 화상 프레임) 이미지를 합성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에는 원래의 화상 이미지에 가을 소풍 풍경이라는 문자 프레임이 추가된 수정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 액자(300)를 통해 표시되는 수정 이미지를 사용자가 프린터(400)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500)로 출력하도록 명령을 내리면(S110), 프린터(400)나 디스플레이 패널(500)에는 출력 대상이 되는 수정 이미지가 불러진다.(S120) 그리고 나서 문자 프레임이 추가되기 전의 원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선택하였는지 판단한 후(S130), 수정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선택한 경우에는 그대로 수정 이미지를 출력한다.(S180) 이와 달리, 원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선택한 경우에는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 판단한다.(S140)
수정 이미지에서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없다고 판단되면 수정 이미지를 출력한다.(S180) 이와 달리, 수정 이미지에서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위치 정보를 출력 장치, 즉 프린터(400)나 디스플레이 패널(500)로 가져올 수 있는지 판단한다.(S150)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가 파악되더라도 통신 사정 등으로 원 이미지를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정 이미지를 출력한다.(S180) 이와 달리, 원 이미지를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면(S160) 전송받은 원 이미지를 프린터(400)로 인쇄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500)에 표시한다.(S170)
이와 같이, 사용자가 수정 이미지를 프린터(400)로 인쇄하거나 IP-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수정 전의 원 이미지를 불러오는 별도의 조작 없이도 수정 이미지에 기록된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원 이미지를 가져와서 출력하기 때문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9는 복수 개의 원 이미지들을 겹치지 않도록 합성한 수정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수정 이미지가 복수 개의 원 이미지들을 겹치지 않도록 합성한 이미지인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수정 이미지가 여러 장의 원 이미지들이 한 이미지에 표시되도록 합성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자 액자(300)를 통해 표시되는 수정 이미지를 사용자가 프린터(400)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500)로 출력하도록 명령을 내리면(S210), 프린터(400)나 디스플레이 패널(500)에는 출력 대상이 되는 수정 이미지가 불러진다.(S220) 그리고 나서 출력 대상으로 설정된 영역의 설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적은지를 판단한 후(S230), 만약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큰 경우에는 그대로 수정 이미지를 출력한다.(S280) 이와 달리,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 판단한다.(S240)
이때 수정 이미지의 EXIF 헤더에는 네 개의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가 각각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된 원 이미지에 따라서 그 위치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한지 판단된다.
수정 이미지에서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없다고 판단되면 수정 이미지를 출력한다.(S280) 이와 달리, 수정 이미지에서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위치 정보를 출력 장치, 즉 프린터(400)나 디스플레이 패널(500)로 가져올 수 있는지 판단한다.(S250)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가 파악되더라도 통신 사정 등으로 원 이미지를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정 이미지를 출력한다.(S280) 이와 달리, 원 이미지를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면(S260) 전송받은 원 이미지를 프린터(400)로 인쇄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500)에 표시한다.(S270)
이와 같이, 여러 화상 이미지들이 동시에 한 이미지에 표시된 꼴라쥬 수정 이미지에서 원래의 특정 화상 이미지만 사용자가 인쇄를 하고자 하거나 IP-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상을 표시하고자 할 때 수정 이미지에 각각 기록된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원 이미지의 위치를 찾아가는 조작 없이도 필요한 경우 원래의 특정 화상 이미지만을 가져와서 출력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인쇄 품질 및 화상 품질이 저하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이미지를 취급하는 전자 통신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웹 서버와 프린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을 구현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웹 서버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을 구현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홈 네트워크와 프린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을 구현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홈 네트워크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을 구현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원 이미지와 상기 원 이미지의 화소수를 줄인 수정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수정 이미지가 원 이미지의 화소수를 줄인 이미지인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원 이미지와 상기 원 이미지에 문자를 추가한 수정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수정 이미지가 원 이미지에 문자를 추가한 이미지인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복수 개의 원 이미지들을 겹치지 않도록 합성한 수정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수정 이미지가 복수 개의 원 이미지들을 겹치지 않도록 합성한 이미 지인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웹 사진 서버 200: 컴퓨터
300: 전자 액자 400: 프린터
500: 디스플레이 패널

Claims (9)

  1. 수정 이미지를 출력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상기 수정 이미지를 출력할 것인지 상기 수정 이미지의 수정 전 원 이미지를 출력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수정 이미지 또는 상기 원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인쇄 장치에 의한 인쇄인 이미지 출력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화상을 표시하는 것인 이미지 출력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이미지가 상기 원 이미지의 화소수를 줄인 이미지인 경우,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작은지에 대한 판단이 수행되며,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수정 이미지의 화소수 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상기 수정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수정 이미지로부터 상기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위치 정보의 획득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정 이미지를 출력하며,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위치 정보의 획득에 성공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 장치로 가져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 이미지를 상기 출력 장치로 가져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 이미지를 상기 출력 장치로 가져올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정 이미지를 출력하며,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 장치로 가져올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이미지가 상기 원 이미지에 문자나 도형을 추가한 이미지인 경우,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출력 대상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판단하며,
    사용자가 수정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정 이미지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수정 이미지로부터 상기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위치 정보의 획득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정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위치 정보의 획득에 성공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 장치로 가져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 이미지를 상기 출력 장치로 가져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 이미지를 상기 출력 장치로 불러올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정 이미지를 출력하며,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 장치로 불러올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이미지가 복수 개의 원 이미지들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합성한 꼴라쥬(collage) 이미지인 경우,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출력 대상으로 설정된 영역의 설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며,
    상기 설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설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설정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이미지의 화소수가 출력에 필요한 최소 화소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수정 이미지로부터 상기 원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위치 정보의 획득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설정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위치 정보의 획득에 성공한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 장치로 가져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 이미지를 상기 출력 장치로 가져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에서 상기 원 이미지를 상기 출력 장치로 가져올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설정 이미지를 출력하며,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 장치로 가져올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
KR1020070093237A 2007-09-13 2007-09-13 이미지 출력 방법 KR101464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237A KR101464529B1 (ko) 2007-09-13 2007-09-13 이미지 출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237A KR101464529B1 (ko) 2007-09-13 2007-09-13 이미지 출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995A true KR20090027995A (ko) 2009-03-18
KR101464529B1 KR101464529B1 (ko) 2014-11-24

Family

ID=4069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237A KR101464529B1 (ko) 2007-09-13 2007-09-13 이미지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0823A (zh) * 2017-04-26 2017-08-11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智能电视的电子相册显示方法及智能电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6917A1 (de) * 2021-05-04 2022-11-09 Scholz, Alexander Computerimplementiertes verfahren zur analyse von medizinischen 3d-bilddaten, verwendung des verfahrens, computerprogramm und system zur analyse von medizinischen 3d-bilddat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531B1 (ko) * 2002-11-21 2005-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앨범 기능을 갖는 티브이 및 그 데이터 조작방법
KR100565054B1 (ko) * 2003-07-30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파일 편집방법 및 장치와 이를 채용한 칼라화상형성시스템
JP2007011472A (ja) 2005-06-28 2007-01-18 Canon Inc 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可読メモリ
JP2007048057A (ja) 2005-08-10 2007-02-2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0823A (zh) * 2017-04-26 2017-08-11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智能电视的电子相册显示方法及智能电视
CN107040823B (zh) * 2017-04-26 2020-02-28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智能电视的电子相册显示方法及智能电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529B1 (ko) 201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091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연사촬영 이미지의 제어방법
US8279481B2 (en) Update control of image processing control data
US898239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printing system, image combining and outputting method, and computer product
US8063953B2 (en) Image display controlling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belonging to a file image group, imaging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belonging to a file image group, and image display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belonging to a file image group
US90193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3009075A (ja) 画像ファイルの生成
US7864224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ickup method
JP2007188238A (ja) プリント注文システム及び注文受付サーバ並びに画像処理方法
KR101464529B1 (ko) 이미지 출력 방법
US20090303344A1 (en) Recording midium of digital photo file and method of generating digital photo file
JP4353467B2 (ja) 画像サーバ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232360B2 (ja) 画像ファイル生成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ファイル編集装置
JP4807399B2 (ja) 画像ファイル生成装置および画像ファイル生成方法
JP2010267270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印刷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合成出力方法
JP4400301B2 (ja) 画像読込み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読込み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27292A (ja) 画像データ構造、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再生システム
JP2006279459A (ja) 画像撮影装置、画像撮影方法、画像撮影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4120280A (ja) 画像処理装置
JP2005236483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027021A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JP4752894B2 (ja) 画像編集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3274237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1359041A (ja) 電子機器
JP4735678B2 (ja) 画像ファイルの生成
JP2007306610A (ja) デジタ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