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6869A - 살아있는 어패류 수송용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살아있는 어패류 수송용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6869A
KR20090026869A KR1020070091918A KR20070091918A KR20090026869A KR 20090026869 A KR20090026869 A KR 20090026869A KR 1020070091918 A KR1020070091918 A KR 1020070091918A KR 20070091918 A KR20070091918 A KR 20070091918A KR 20090026869 A KR20090026869 A KR 20090026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shellfish
fish
live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8733B1 (ko
Inventor
이현철
이왕일
Original Assignee
이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철 filed Critical 이현철
Priority to KR1020070091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733B1/ko
Publication of KR20090026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2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oxic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어패류 등을 살아있는 상태로 이동하고, 이동한 상태로 검역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일정 높이로 물을 담은 상태에서 출입문을 열고 닫을 수 있고, 출입문을 통해서 들어가 관리 및 검역이 가능하도록 설계 제작된 컨테이너 또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는 붕어, 장어, 낙지, 활어, 상어 및 다양한 종류의 어패류들을 살아있는 상태로 이동하고 컨테이너에서 검역할 수 있도록 출입문을 열 경우에 일정 높이까지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고, 물의 상부에는 관리자 또는 검역자들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가 설치되며, 어패류의 검역 및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조명장치가 설치되고, 물속에 산소를 공급하는 액체산소공급기와 물을 교환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며, 어패류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수온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온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내부로 들어가 관리자 및 검역자들이 이동할 수 있으므로 관리 및 검사를 위하여 별도의 장소로 이동하여 옮길 필요가 없어서 어패류를 수출 및 수입 시에 통관이 용이하고 어패류를 손상을 크게 줄여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컨테이너, 물막이, 이동통로, 어패류, 통관, 이동레일

Description

살아있는 어패류 수송용 컨테이너{A Container for Transportation of Living Fish and Shellfish}
본 발명은 낙지, 활어, 상어, 붕어, 장어, 메기, 게 및 다양한 종류의 어패류들을 살아있는 상태로 이동하고, 컨테이너 내부로 들어가 검역할 수 있도록 출입문을 열 경우에 일정 높이까지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물의 상부에는 관리자 또는 검역자들이 이동할 수 있는 고무튜브 및 다리 등의 형상으로 이동통로가 설치되고, 어패류의 검역 및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조명장치가 설치되며, 물속에 액체산소를 공급하는 액체산소공급기와 물을 교환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어패류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수온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온제어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장기간 어패류를 보관 및 유통이 가능하므로 살아있는 어패류의 이동, 수출, 수입 및 보관이 편리한 컨테이너 또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낙지, 활어, 상어, 붕어, 장어, 메기, 게 및 다양한 종류의 어패류를 살아있는 상태로 이송하고 보관할 수 있는 컨테이너 또는 이동을 위한 용기가 없어서 수입, 수출 및 검역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또는 용기로부터 또 다 른 장소 또는 용기로 이동시켜서 검역 통관한 후, 다시 이동을 위한 별도의 컨테이너 또는 용기로 옮겨야 하므로 번거러움과 불편함은 물론이고, 이때 살아있는 어패류들이 손상하기 쉽고 시간적 및 경제적인 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살아있는 어패류들을 이동하는 다양한 수단으로 컨테이너 또는 국내에서 단거리를 이동하여 음식점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박스구조로 제작된 용기를 사용하여 운송하고 있으나, 상부에 일정크기의 구멍을 형성하여 어패류를 꺼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컴컴한 컨테이너 내부에 위치한 살아있는 어패류의 상태 및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고 오래 동안 유통 및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살아있는 어패류들을 이동하는 다양한 수단으로 컨테이너 또는 다양한 구조로 제작된 용기들은 장기간 보관하거나 다양한 종류의 어패류를 이동하거나 보관하기 위한 것이 아니므로 물을 순환하기 위한 주입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물의 온도, 용존산소의 농도, pH, 탁도 및 컨테이너의 내부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센서와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살아있는 어패류를 장기간 유통 및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낙지, 활어, 참치, 상어, 붕어, 장어, 메기, 게 및 다양한 종류의 어패류를 살아있는 상태로 장기간 유통 및 보관할 수 있는 컨테이너 또는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낙지, 활어, 참치, 상어, 붕어, 장어, 메기, 게 및 다양한 종류의 어패류를 살아있는 상태로 장기간 이송하고 보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출 및 수입을 위하여 반듯이 거쳐야 하는 통관절차의 하나인 검역 시에 검역자들이 컨테이너 내부에 직접 들어가서 이동하면서 검역 업무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낙지, 활어, 참치, 상어, 붕어, 장어, 메기, 게 및 다양한 종류의 어패류를 살아있는 상태로 장기간 이송하고 보관할 수 있도록 용존산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액체산소를 공급하고,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수온으로 제어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물의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컨테이너의 내부에 견고한 보강대 및 격벽을 고정 설치하여 수압 및 물의 출령거림에 견딜 수 있도록 하고, 상부에 이동레일을 고정 설치하여 물품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카메라, 표시패널,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 및 컨테이너 제어부를 연동시켜 외부에서 컨테이너의 내부의 어패류 의 상태 및 컨테이너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고, 수온 및 산소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자체적으로 물을 순환시킴과 동시에 배설물을 등의 부유물을 여과하기 위한 스키머 및 정수필터를 사용하여 물을 깨끗하게 하고, 자외선램프로 세균을 멸균하며, 공기를 주입하여 이물질을 부유시켜 제거하여 내부 물을 자체적으로 정화하여 깨끗하게 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내부에 pH, 수위 및 염분농도를 측정하여 어패류의 생존에 적당한 값으로 제어하여 유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은 낙지, 활어, 상어, 붕어, 장어, 메기, 게 및 다양한 종류의 어패류들을 살아있는 상태로 이동하고 검역할 수 있도록 뒤쪽 및/또는 앞쪽에 설치된 출입문을 열 경우에 일정 높이까지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고, 물의 상부에는 관리자 또는 검역자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고무튜브 및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컨테이너 내부에 관리자 및 검역자들이 관리 및 검역을 위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함으로써 살아있는 어패류를 차량, 선박 및 비행기로 이동이 가능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또 다른 해결수단은 어패류의 검역 및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조명장치가 설치되고, 수위, 수온, 용존산소(DO, Dissolved Oxygen), pH, 염분의 농도 및 탁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하고, 이들 센서와 연동하거나 측정값에 기초하여 산소공급기를 동작시키거나 물을 교환할 수 있도록 물 배출 및 주입하기 위한 흡입펌프를 구비하며, 냉동 및 난방장치들이 수온계와 서로 연동하여 컨테이너 내부 물의 온도를 제어하여 컨테이너에 보관되어 있는 살아있는 어패류들에 최적의 생존 조건을 유지시키거나 수면상태를 유지시켜 장기간의 유통하거나 보관하더라도 손상되지 않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또 다른 해결수단은 물의 압력과 이동시에 출령이는 파도에 견딜 수 있도록 컨테이너의 내부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보강대가 고정 설치되며, 보강대에는 격벽을 설치하여 물의 출령거림을 최소화하고 컨테이너가 기울어질 경우에 물이 한 곳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또 다른 해결수단은 컨테이너의 내부의 상부 및/또는 수중에 카메라 또는 수중카메라를 설치하고, 내부에 설치된 조명장치와 연동하여 상부 및/또는 수중에 설치된 카메라로 촬영 전송하여 외부에서 어패류의 현재상태 및 컨테이너의 내부를 컨테이너의 외부에 고정 설치된 표시패널이나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서 수시로 관찰하고, 수위, 수온, pH, 염분의 농도 및 용존산소 등의 컨테이너의 내부의 조건을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또 다른 해결수단은 자체적으로 물을 순환시켜 정화할 수 있도록 순환펌프와 배관을 고정 설치하여 통상의 정수필터를 사 용하여 정수시키고 정수된 물을 자외선램프로 멸균시켜 다시 주입하므로 깨끗한 물이 유지하도록 하며, 일측에 공기 브로와 스키머를 설치하여 어패류의 먹이 및 배설물에서 녹아나오는 단백질을 제거하여 어패류가 생존하는데 알맞은 조건으로 유지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장기간 어패류들이 생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어종의 생존환경과 동일한 조건을 만들 수 있도록 용존산소의 보존을 위하여 물속에 액체산소를 공급하는 액체산소공급기와 수온을 제어하는 수단 및 탁도가 좋지 않은 물을 교환할 수 있는 수단을 컨테이너의 내부에 고정 설치하여 낙지, 활어, 참치, 상어, 붕어, 장어, 메기, 게 및 다양한 종류의 어패류를 살아있는 상태로 장기간 유통 및 보관할 수 있는 컨테이너 또는 용기를 제공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컨테이너의 뒤쪽 및/또는 앞쪽에 설치된 출입문을 열 경우에도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일정높이까지 방수 구조물을 설치하고, 컨테이너 물의 상부에 관리자 및 검역자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고무튜브 및 이동 가능한 이동통로와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검역 시에 다른 장소나 용기로 이동시킴이 없이 관리자 및 검역자들이 컨테이너 내부에 직접 들어가서 이동하면서 검역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물의 압력, 물의 쏠림 및 출령거림에 견딜 수 있도록 컨테이너의 내부에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좌우측 벽에 보강대 및 격벽을 고정 설치하므로 강한 수압, 기울어짐에 따른 물의 쏠림 및 출령거림에 견딜 수 있도 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컨테이너의 내부 상부 및/또는 수중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내부에 설치된 조명장치가 연동하여 수상 및/또는 수중 카메라를 촬영 전송하여 컨테이너 외부 일측에 설치된 표시패널에서 어패류의 현재상태 및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를 수시로 관찰하고, 수온, 염분의 농도, pH 및 용존산소의 농도 등의 컨테이너의 내부의 조건을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무선통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물을 순환시킴과 동시에 배설물을 등의 부유물을 정수필터 및 자외선램프를 사용하여 여과시켜 깨끗하게 자체 정화하고 멸균하여 장기간 유통할 수 있고 보관할 수 있는 컨테이너 또는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은 낙지, 활어, 상어, 붕어, 장어, 메기, 게 및 다양한 종류의 어패류들을 살아있는 상태로 장기간 유통할 수 있고 검역할 수 있도록 앞뒤 쪽 또는 좌우측 벽의 일측에 설치된 출입문을 열 경우에 일정 높이까지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으며, 물의 상부에는 관리자 또는 검역자들이 이동하면서 관리 및/또는 검역을 할 수 있도록 고무튜브 및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로를 설치하여 컨테이너 내부에 관리자 및 검역자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살아있는 어패류를 장기간 동안 배, 항공 및 육로 이동하거나 보관이 가능한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 며, 도면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도면을 살펴본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출입문과 물막이 구성도의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뒤쪽 및/또는 앞쪽에 설치된 출입문을 열 경우에 내부의 물높이와 관리 및 검역 시에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고려하여 일정 높이까지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고, 물의 상부에는 관리자 또는 검역자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고무튜브 및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로를 설치하여 어패류의 검역 및 관리할 수 있으며, 내부를 밝히는 조명장치가 컨테이너의 상부 및 수중에 설치되고, 장기간 어패류들이 생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어패류의 생존환경과 동일한 조건을 만들 수 있도록 물속에 산소를 공급하는 액체산소공급기와 물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온계 및 냉동 및 난방장치를 구비하며, 배설물에 의한 물의 탁도 및 BOD를 측정하여 일정 수준이상이 되면 내부물의 배출하고 외부의 깨끗한 물을 주입하여 교환할 수 있는 흡입펌프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어패류들을 장기간 유통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본 발명은 수위, 수온, 용존산소(DO, Dissolved Oxygen), pH, 염분의 농도 및 탁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을 컨테이너의 수중에 설치하여 컨테이너 내부에 살아있는 어패류들이 최적의 활동조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장 기간 유통하거나 보관하더라도 어패류가 손상되지 않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본다.
[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살펴본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구성요소에 대하여 살펴본다. 통상적인 컨테이너의 크기는 폭이 2.348m이고, 높이가 2.390m내지 2.696m 이며, 길이가 5.899m내지 13.555m 이며, 본 발명에 따른 살아있는 어패류를 담는 컨테이너 및/또는 용기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컨테이너는 기본적으로 낙지, 활어, 상어, 붕어, 장어, 메기, 게, 조개류 및 다양한 종류의 어패류들을 살아있는 상태로 장기간 유통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컨테이너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뒤, 앞 또는 좌우측 벽에 설치된 출입문(11)을 열 경우에 일정 높이까지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내부에 물박이(12)가 설계 제작되어 있으며, 물의 상부에는 관리자 또는 검역자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고무튜브 및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로(13)를 설치하여 어패류의 검역 및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조명장치(24)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는 장기간 어패류들이 생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어패류의 생존환경과 동일한 조건을 만들기 위하여 물속에 존재하는 용존산소의 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산소를 공급하는 액체산소 또는 산소공급기(19)와 배설물 및 어패류의 먹이 등에 의하여 혼탁해진 물의 탁도를 탁도 센서(30)로 측정하여 물을 교환할 수 있도록 제작된 흡입펌프(18)로 깨끗한 물로 교환하여 물속에 있는 어패류들이 생존하기에 적당한 조건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수단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수온계(27) 및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28)를 구비하여 냉동 및 난방장치(26)와 연동하여 메모리에 설정 저장된 수온을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수위를 수위센서(28)로 감지하여 컨테이너에 적당한 수위가 유지되도록 흡입펌프(18)를 사용하여 필요시에 물을 채워 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어패류들을 장기간 유통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뒤쪽 및/또는 앞쪽에는 통상의 컨테이너와 동일하게 양쪽 또는 일측으로 열수 있는 출입문(11)을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출입문(11)의 내부에는 출입문(11)을 열 경우에도 일정 높이까지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내부에 물막이(12)가 설계 제작되어 있다. 상기 양측 또는 일측으로 열수 있도록 구성된 출입문(11)에는 출입문(11)의 프레임으로부터 일정 간격(공간)을 두고, 물의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고무 또는 비닐재질의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여 제작한 공기가 주입된 물막이(12)를 고정 설치하거나, 물막이(12) 외측에는 나무 또는 철재 프레임으로 컨테이너의 좌우측벽 또는 물이 열린 출입문(11)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물막이프레임을 고정 설치하고, 물막이프레임 내부에는 합성수지, 비닐 또는 고무재질로 상기 외부 프레임에 부착 설치하여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밀폐되도록 설계 제작할 수도 있고,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물이 유출되지 않는 구 조로 설계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출입문(11)이 위치한 장소에 위치하여 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물막이(12)의 높이는 내부의 어패류의 량과 종류에 따라 달리할 수 있고, 또한 관리자 또는 검역자들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고려하여 설계 제작되어 어패류를 장기간 유통하거나 보관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검역 또는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막이(12)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통상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면서 수압에 견딜 수 있는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제작하여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설계 제작할 수 있다.
어패류를 저장하는 컨테이너의 내부 좌우측 벽에는 수압 또는 출령거릴 때 발생하는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컨테이너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보강대(16)가 일정 높이로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며, 또한 보강대(16)는 이동시에 물이 기울어져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출령거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동통로(13)의 높이 및 수위를 고려하여 격벽(31)을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강대는 컨테이너 내부에 격벽과 같이 또는 별도로 설치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 내부 및/또는 외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다.
격벽(31)에는 컨테이너가 수평인지 아닌지를 감지하여 수평일 경우에는 물이동밸브(15)를 열어서 물이 서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어느 정도 이상 기우러지면 물이동밸브(15)를 닫아서 물의 이동을 방지하여 물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31)과 격벽(31)사이에는 물 넘침 방지구 조물(37)을 설치하여 필요시에 체결하여 사용하고 관리 및 검역 시에는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지퍼와 방수 재질의 천 또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컨테이너 내부에 존재하는 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관리자 또는 검역자의 이동통로(13)는 고무 또는 비닐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설치된 물막이(12)의 일측과 내벽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필요시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그 위로 관리자 및/또는 검역자들이 컨테이너 내부로 들어가 이동하면서 필요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물에 부상하는 물체를 이용하여 징검다리 형상으로 서로 체결 구성하여 관리자 또는 검역자들이 필요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또는 검역자들이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13)는 컨테이너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동통로(13)를 고정 설치하거나 물의 높이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고무 또는 비닐재질로 사각 또는 원형으로 구성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구성하거나 통상의 부력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 체결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이동통로(13)를 설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또는 검역자들이 들어가서 이동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출입문(11)은 수압 및 컨테이너의 견고성을 고려하여 컨테이너의 앞쪽 및/또는 뒤쪽에 고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컨테이너의 좌측, 우측 벽 및 천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일측에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설치된 격벽(31)은 경사진 도로를 이동시에 물이 기울어진 아래 측 부분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동시에 물이 심하게 출령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격벽(31)은 서로 다른 종류의 어패류들을 격리하여 동시에 이송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격리된 공간마다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어패류에 알맞은 수온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격벽(31)은 컨테이너의 좌우측 벽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보강대(16)를 이용하여 필요한 높이까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보강대(31)의 높이보다 낮게 설치된 위치보다는 더 좁게 또는 더 넓게 형성할 수도 있고, 격벽(31)과 격벽(31)을 서로 체결하여 작은 공간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는 통상의 컨테이너와 동일하게 컨테이너 상부에 어패류의 상태를 수시로 관리하거나 어패류를 쉽게 담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원형, 사각형 또는 다양한 형태의 구멍(36)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형성된 구멍(36)으로 작업자 또는 관리자들이 출입할 수도 있다.
컨테이너의 내부의 수중 및/또는 상부 일측에는 통상의 카메라(23) 및/또는 수중카메라를 하나이상 고정 설치하고, 컨테이너 내부의 수상 및/또는 수중에 설치된 하나이상의 조명장치와 연동하여 수상 및/또는 수중 카메라로 컨테이너 내부의 영상을 촬영 전송하여 살아있는 어패류의 현재상태, 수위 및 컨테이너 내부 상태를 컨테이너의 외부 일측에 부착 설치된 표시패널(25) 또는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35)에 표시하여 수시로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는 수위, 수온, 용존산소(DO, Dissolved Oxygen)의 농도, pH, 염분의 농도 및 탁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이 수중 및 컨테이너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 설치된 각각의 센서들로부터 측정된 데이터가 컨테이너 제어부(32)로 전송되어 컨테이너 외부의 일측에 설치된 표시패널(25) 또는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35)의 표시패널에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거나, 용존산소의 농도, 수위 및 수온 중에서 하나 이상이 일정기준치를 벗어날 경우에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35)로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문자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컨테이너 내부 일측에는 컨테이너 제어부(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컨테이너 제어부(32)는 컨테이너 내부물의 수온, 수위, 염분의 농도, 용존산소(DO, Dissolved Oxygen) 농도, pH, 염분의 농도 및 물의 탁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과 연동하여 컨테이너의 일측에 설치된 액체산소 또는 산소공급기(19)로부터 산소를 물속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pH, 염분의 농도 및 물의 탁도 등을 측정하여 물속의 어패류들이 활동하는데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흡입펌프(18)를 구동하여 외부의 물로 교환할 수 있으며,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외부로부터 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 및 주입구는 각각의 격리된 공간마다 분리하여 설치하거나 하나이상을 설치하여 상기 격벽(31)에 설치된 물이동밸브(15)를 열어서 물이 서로 이동하여 교환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배출구 및 주입구의 배관 일측에는 자동제어 밸브를 설치하여 자동 또는 수 동으로 동작할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하나이상의 흡입펌프(18)를 가동하여 해당하는 밸브를 열어서 물을 배출하거나 주입할 수 있으며, 각각의 흡입펌프(18)를 별도로 설치하여 물의 배출 및/또는 주입을 수행할 수 있고, 이때 수위는 수위 센서(28)와 연동하여 필요한 수위까지 배출하거나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테이너 내부 일측에는 통상의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 브로와(17)를 설치하여 공기를 물속으로 주입하여 공기 중의 산소를 물속으로 공급할 뿐만 아니라 침전된 부유물을 공기방울로 부양시켜 공기방울을 공기 브로(17)와 연동하는 스키머(22)로 먹이 및 배설물 등에 포함되어 물에 녹아있는 단백질을 제거하여 내부의 물을 최대한 오래 동안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테이너 일측에 배관 및 순환펌프14)가 고정 설치되어 컨테이너 내부의 물을 배관으로 순환시켜 여과 정화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 내부의 물을 배관을 통해서 순환펌프(140로 흡입하여 배관 상에 설치된 카트리지 여과기, 활성탄 필터 및 다양한 종류의 통상의 정수필터(20)를 하나 이상을 선택 사용하여 여과시켜 정화하고, 상기 정수필터(20)에 의하여 여과 정수된 물이 통과하는 투명배관 일측 또는 정수된 물속에 존재하는 세균을 멸균하기 위한 자외선램프(21)가 고정 설치되어 자외선으로 멸균 소독된 물을 공급해주어 내부의 물을 깨끗하게 유지하여 준다.
상기 물을 순환시켜 정화 및 멸균시키기 위한 구성은 격벽(31)에 의하여 격리된 공간마다 고정 설치하여 정수하거나 하나 이상을 컨테이너 내부의 일측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격벽에 설치된 밸브를 열어서 정수 및 멸균된 물이 서로 이동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컨테이너 내부 일측에는 물의 온도를 설정하여 제어하기 위하여 수온계(27)와 통상의 냉동 및 난방장치(2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물속에 설치된 일정 직경을 가진 배관을 통해서 차가운 물 또는 더운 물을 제어밸브를 통해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컨테이너내부 물속에 고정 설치된 수온을 측정하는 수온계(27)와 연동하여 어패류의 종류에 따라 관리자가 수온을 입력하여 메모리에 설정 저장시키고 설정된 수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어패류의 체온을 떨어뜨려 수면상태에서 장시간 유통 및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의 온도를 제어하는 구성은 냉각수 또는 따뜻한 물을 배관으로 흘러 보내서 물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찬 공기 또는 더운 공기를 배관으로 공급하여 수온을 제어할 수도 있다.
컨테이너의 천정에는 필요한 물품 및 어패류들을 컨테이너 내부 또는 외부로 편리하기 이동하기 위하여 이동레일(33)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이동레일(33)은 필요시에 외부로 일정 길이로 빼내어 필요한 물품을 외부로 이동시키고, 이동 후에는 내부로 밀어 넣어서 출입문(11)을 닫을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된 장치에 공급되는 전원(34)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정전 등에 의한 전원 공급의 중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가 발전을 위하여 자가 발전기가 고정 설치되어 있거나, 백업 배터리가 컨테이너 일측에 내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된 상기 컨테이너 제어부(32)는 상기 수온, 수위, 용존산소(DO, Dissolved Oxygen), pH, 염분의 농도 및 탁도 등을 측정 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와, 물배출구 및 물주입구에 설치된 제어밸브 및 수온계와 연동하는 제어용 밸브들이 서로 연동하여 밸브 및 장치들을 설정된 수치로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 제어부(32)에는 상기 다양한 센서, 제어밸브 및 장치와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고, 수온 및 용존산소의 농도 등의 수치를 입력하여 설정 저장하기 위한 입력버튼과, 컨테이너 내부의 조명장치, 카메라 및 다양한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버튼과,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컨테이너 제어부(32)에서 입력되는 정보 및 제어 상태를 볼 수 있도록 표시패널(25)이 컨테이너의 내부 및/또는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35)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도록 무선모뎀을 구비하고 있다.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35)에는 수중카메라 및/또는 카메라(23)에서 촬영한 수중영상 및 컨테이너의 내부 모습을 무선통신으로 전송되어 볼 수 있고, 무선으로 수온 및 산소공급 등을 원하는 수치로 입력 저장하고, 필요한 장치를 온ㆍ오프하는 등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는 낙지, 활어, 상어, 붕어, 장어, 메기, 게 및 다양한 종류의 어패류들을 살아있는 상태로 이동하고 검역할 수 있도록 출입문(11)을 열 경우에 일정 높이까지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고, 물의 상부에는 관리자 또는 검역자들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가 설치되며, 어패류의 검역 및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조명장치가 설치되고, 물속에 용존산소를 공급하는 산 소공급기와 물을 교환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며, 어패류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수온으로 설정 저장하여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컨테이너 내부에 관리자 및/또는 검역자들이 이동하면서 관리 및/또는 검사를 할 수 있으므로 여러 장소로 어패류들을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어패류를 수출 및 수입이 용이하고 어패류를 손상을 크게 줄여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도1: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전체적인 개략도
도2: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출입문과 물막이 구성도의 하나의 실시 예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 출입문 12; 물막이
13; 이동통로 14; 순환펌프
15; 물 이동밸브 16 보강대
17; 공기 브로와 18; 흡입펌프
19; 액체산소 또는 산소공급기 20; 정수필터
21; 자외선램프 22; 스키머
23; 카메라 24; 조명장치
25; 표시패널 26; 냉동 및 난방장치
27; 수온계 28; 수위센서
29; 용존산소센서 30; 탁도센서
31; 격벽 32; 컨테이너 제어부
33; 이동레일 34; 전원 및 자가발전기
35; 이동통신단말기 36; 구멍
37; 물 넘침 방지 구조물

Claims (17)

  1. 살아 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에 있어서,
    컨테이너의 일측에는 관리 및 검역을 위하여 출입할 수 있는 고정 설치된 출입문;
    상기 출입문에서 인접한 컨테이너의 내측에는 컨테이너에 담겨 있는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일정높이를 가진 물막이;
    상기 물막이와 고정 체결되어 물의 상부에 위치하여 관리자 또는 검역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 및
    물속으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기를 구비한 살아 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2. 살아 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에 있어서,
    컨테이너의 일측에는 관리 및 검역을 위하여 출입할 수 있도록 고정 설치된 출입문;
    상기 출입문에 인접한 컨테이너의 내측에는 컨테이너에 담겨 있는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일정높이를 가진 물막이;
    상기 물막이와 고정 체결되어 물의 상부에 위치하여 관리자 또는 검역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
    컨테이너가 기울러질 경우에 물의 쏠림을 방지하거나 이동시에 물의 출령거 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격벽; 및
    물속으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기를 구비한 살아 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3. 살아 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에 있어서,
    컨테이너의 일측에는 관리 및 검역을 위하여 출입할 수 있도록 고정 설치된 출입문;
    상기 출입문에 인접한 컨테이너의 내측에는 컨테이너에 담겨 있는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일정높이를 가진 물막이; 및
    물속으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기를 구비한 살아 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4. 청구항1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과 물이 출령거림에 의한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내부 벽을 지지해주기 위하여 내부 좌우측 벽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보강대를 더 구비한 살아 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5. 청구항1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일측에는 내부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 내부를 밝히는 조명장치를 더 부가하여 제작된 살아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와 연동하여 어패류의 현재상태 및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물속 및/또는 컨테이너 상부에 수중카메라 및/또는 카메라를 설치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컨테이너 내부의 영상을 전송하여 컨테이너의 외부 일측에 설치된 표시패널 또는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아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7. 청구항1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수온은 어패류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수온을 입력 설정할 수 있는 입력부를 구비하며, 컨테이너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 냉동 및 난방장치에서 냉각 또는 가열된 물 또는 공기를 물속에 설치된 배관을 통해서 공급하여 물의 수온이 제어되도록 설계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아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8. 청구항1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는 수온, 수위, 용존산소, pH 및 탁도를 측정하는 센서들을 설치하고,
    상기 용존산소를 측정하는 센서와 연동하여 컨테이너의 일측에 설치된 산소공급기로부터 산소를 물속으로 공급하며,
    pH 및 물의 탁도를 센서로 측정하여 물이 어패류들이 활동하는데 적절하지 않을 경우에 물을 교환할 수 있도록 흡입펌프, 배출구 및 주입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아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9. 청구항1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일측에는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고, 수치입력 및 장치 제어를 위한 입력버튼 및 제어버튼을 구비하고, 입력 및 제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패널이 컨테이너 내부 및/또는 외부 일측에 설치되며,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무선모뎀을 구비한 컨테이너 제어부가 더 부가된 살아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10. 청구항9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제어부에는 물의 온도 및 용존 농도를 설정 입력할 수 있도록 수치입력버튼과 내부에 설치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설정 저장된 물의 온도 및 용존산소농도를 유지하도록 냉동 및 난방장치와 산소공급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아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11. 청구항1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는 관리자 또는 검역자들이 필요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출입문에 인접하여 설치된 물막이에 고정 설치하되, 물의 높이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비닐재질로 구성하여 공기를 주입하여 설계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아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12. 청구항1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에는 자체 물을 배관을 통해서 순환펌프로 순환시켜 정수할 수 있도록 활성탄 필터, 카트리지 여과기 및 정수필터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배관 상에 설치하여 순환펌프로 물을 순환시켜 정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아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13. 청구항12에 있어서,
    상기 정수된 물을 멸균하기 위하여 정수된 수면 위 또는 정수를 위한 배관 일측에 투명한 배관 상에 자외선램프가 더 부가된 살아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14. 청구항1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천정에는 물품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천정에 고정 설치된 이동레일을 더 구비한 살아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15. 청구항1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에는 먹이 및 배설물에 포함되어 물에 녹아있는 단백질을 제거하여 내부의 물을 오래 동안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부유물을 부유시켜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 브로와와 스키머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아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16. 청구항1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에는 정전에 의한 전원 공급의 중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가 발전기 또는 백업 배터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아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17.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부에는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 넘침 방지 구조물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아있는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KR1020070091918A 2007-09-11 2007-09-11 살아있는 어패류 수송용 컨테이너 KR100898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918A KR100898733B1 (ko) 2007-09-11 2007-09-11 살아있는 어패류 수송용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918A KR100898733B1 (ko) 2007-09-11 2007-09-11 살아있는 어패류 수송용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869A true KR20090026869A (ko) 2009-03-16
KR100898733B1 KR100898733B1 (ko) 2009-05-20

Family

ID=4069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918A KR100898733B1 (ko) 2007-09-11 2007-09-11 살아있는 어패류 수송용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733B1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277B1 (ko) * 2009-07-02 2010-02-25 주식회사 대일 활어수송 컨테이너용 수조어셈블리
KR100944276B1 (ko) * 2009-07-02 2010-02-25 주식회사 대일 프로틴스키머와 거품저장조가 내장된 활어수송용 컨테이너
CN102469774A (zh) * 2009-07-02 2012-05-23 株式会社大日 具有用于运输活鱼的干式过滤设备的集装箱
CN103210873A (zh) * 2013-05-10 2013-07-24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池塘现场实验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394991B1 (ko) * 2013-06-25 2014-05-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형 정수 시스템 및 이를 장착한 이동형 정수 차량
KR101414336B1 (ko) * 2013-12-11 2014-08-07 박태일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CN107006407A (zh) * 2017-06-05 2017-08-04 黄世强 花鳗养殖方法
CN107182855A (zh) * 2017-06-05 2017-09-22 黄世强 高成活率的花鳗养殖方法
CN107182856A (zh) * 2017-06-05 2017-09-22 黄世强 结合养殖架的花鳗养殖方法
CN107410110A (zh) * 2017-06-05 2017-12-01 黄世强 花鳗的人工养殖方法
CN107466935A (zh) * 2017-09-08 2017-12-15 岭南师范学院 一种乌贼养殖用新型室内养殖池
CN108040956A (zh) * 2017-12-14 2018-05-18 广西小藻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草鱼运输销售的盛装装置
US10104876B2 (en) 2012-12-18 2018-10-23 Clearwater Seafoods Limited Partnership Emersed shellfish storage
CN111919806A (zh) * 2020-08-17 2020-11-13 华中农业大学 一种可自由组合的生态养殖箱
CN113455461A (zh) * 2021-08-13 2021-10-01 珠海海润农业有限公司 一种养殖池塘自动化移动吸污装置
KR20220005841A (ko) *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아라에프앤디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KR102399696B1 (ko) * 2021-09-06 2022-05-19 주식회사 혜성마린텍 활어 운송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02357B1 (ko) * 2021-11-16 2022-05-30 어업회사법인주식회사블루젠 사육수 정화 및 여과장치를 이용한 수입 수산물 검역시행장치
US20220201989A1 (en) * 2019-05-16 2022-06-30 Total Betong As Tank provided with a hatch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the tank
CN116076378A (zh) * 2023-03-09 2023-05-09 广东春盛生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nfc开关的实验动物笼具系统及其控制方法
CN116494858A (zh) * 2023-05-25 2023-07-28 盐城发特集团公司 一种智能化鲜活水产品冷藏运输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1848A (zh) * 2013-02-07 2013-05-08 刘富来 鱼类休眠诱导的无水运输装置及其实施方法
CN106305576B (zh) * 2016-08-18 2021-06-04 马山县三和龟鳖养殖基地 水下喂食龟鳖养殖装置
WO2018182158A1 (ko) * 2017-03-31 2018-10-04 사단법인 거제어류양식협회 Ict 융합 품질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
KR101824358B1 (ko) 2017-03-31 2018-01-31 주식회사 아라에프앤디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
CN110692588A (zh) * 2019-11-14 2020-01-17 徐州市贾汪区佳顺水产养殖专业合作社 一种充氧运鱼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736Y1 (ko) * 2000-01-20 2000-06-15 정진권 활어운송용 컨테이너
KR100410652B1 (ko) * 2001-11-05 2003-12-18 최순남 미생물을 이용한 수산생물의 장기보관용 해수의조성방법과 활어 운송용 컨테이너
KR200412497Y1 (ko) * 2006-01-09 2006-03-28 한승호 활어운반차량용 적재탱크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277B1 (ko) * 2009-07-02 2010-02-25 주식회사 대일 활어수송 컨테이너용 수조어셈블리
KR100944276B1 (ko) * 2009-07-02 2010-02-25 주식회사 대일 프로틴스키머와 거품저장조가 내장된 활어수송용 컨테이너
WO2011002255A2 (ko) * 2009-07-02 2011-01-06 주식회사 대일 프로틴스키머와 거품저장조가 내장된 활어수송용 컨테이너
WO2011002255A3 (ko) * 2009-07-02 2011-04-21 주식회사 대일 프로틴스키머와 거품저장조가 내장된 활어수송용 컨테이너
CN102469774A (zh) * 2009-07-02 2012-05-23 株式会社大日 具有用于运输活鱼的干式过滤设备的集装箱
US11337408B2 (en) 2012-12-18 2022-05-24 Clearwater Seafoods Limited Partnership Emersed shellfish storage
US10104876B2 (en) 2012-12-18 2018-10-23 Clearwater Seafoods Limited Partnership Emersed shellfish storage
CN103210873A (zh) * 2013-05-10 2013-07-24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池塘现场实验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394991B1 (ko) * 2013-06-25 2014-05-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형 정수 시스템 및 이를 장착한 이동형 정수 차량
WO2014208871A1 (ko) * 2013-06-25 2014-12-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형 정수 시스템 및 이를 장착한 이동형 정수 차량
KR101414336B1 (ko) * 2013-12-11 2014-08-07 박태일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CN107410110A (zh) * 2017-06-05 2017-12-01 黄世强 花鳗的人工养殖方法
CN107182856A (zh) * 2017-06-05 2017-09-22 黄世强 结合养殖架的花鳗养殖方法
CN107182855A (zh) * 2017-06-05 2017-09-22 黄世强 高成活率的花鳗养殖方法
CN107006407A (zh) * 2017-06-05 2017-08-04 黄世强 花鳗养殖方法
CN107466935A (zh) * 2017-09-08 2017-12-15 岭南师范学院 一种乌贼养殖用新型室内养殖池
CN108040956A (zh) * 2017-12-14 2018-05-18 广西小藻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草鱼运输销售的盛装装置
US20220201989A1 (en) * 2019-05-16 2022-06-30 Total Betong As Tank provided with a hatch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the tank
KR20220005841A (ko) *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아라에프앤디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CN111919806A (zh) * 2020-08-17 2020-11-13 华中农业大学 一种可自由组合的生态养殖箱
CN113455461A (zh) * 2021-08-13 2021-10-01 珠海海润农业有限公司 一种养殖池塘自动化移动吸污装置
KR102399696B1 (ko) * 2021-09-06 2022-05-19 주식회사 혜성마린텍 활어 운송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02357B1 (ko) * 2021-11-16 2022-05-30 어업회사법인주식회사블루젠 사육수 정화 및 여과장치를 이용한 수입 수산물 검역시행장치
CN116076378A (zh) * 2023-03-09 2023-05-09 广东春盛生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nfc开关的实验动物笼具系统及其控制方法
CN116494858A (zh) * 2023-05-25 2023-07-28 盐城发特集团公司 一种智能化鲜活水产品冷藏运输车
CN116494858B (zh) * 2023-05-25 2024-03-01 盐城发特集团公司 一种智能化鲜活水产品冷藏运输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733B1 (ko)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733B1 (ko) 살아있는 어패류 수송용 컨테이너
KR100906732B1 (ko) 어패류의 보관 및 양식할 수 있는 수조탱크
KR100926277B1 (ko) 살아있는 갑각류 유통 및 보관용 용기 또는 컨테이너
US5054424A (en) Aquarium ecosystem
KR100962365B1 (ko) 활어수송용 컨테이너
JP5210042B2 (ja) 水中生物飼育システムおよび水槽用浄化ユニット
ES2290338T3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transportar pescado y marisco vivo.
KR101464728B1 (ko) 컨테이너용 활어 수송장치
KR101698643B1 (ko) 수조용 올인원 여과 장치
AU2002339753A1 (en) A technical arrangement for transporting live fish or shellfish
CN108935282A (zh) 一种活鱼运输系统及方法
KR101071668B1 (ko) 어항
KR101045817B1 (ko) 어항
JP4102737B2 (ja) 海洋生物の付着及び成長を抑制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414336B1 (ko)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KR20160142493A (ko) 이염화이소시아눌산나트륨을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101921556B1 (ko)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JP4102736B2 (ja) 海洋生物の付着及び成長を抑制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7222700A (ja) し尿浄化システム
JP2019037141A (ja) 魚介類養殖システム
KR20080006930A (ko) 간이 상수도의 염소소독제 공급 장치
WO2018182158A1 (ko) Ict 융합 품질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
JP5242602B2 (ja) 壁掛け水槽
JP2005176833A (ja) 循環濾過式養殖装置
JPH08214726A (ja) 魚介類飼育用水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