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668B1 - 어항 - Google Patents

어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668B1
KR101071668B1 KR1020080087814A KR20080087814A KR101071668B1 KR 101071668 B1 KR101071668 B1 KR 101071668B1 KR 1020080087814 A KR1020080087814 A KR 1020080087814A KR 20080087814 A KR20080087814 A KR 20080087814A KR 101071668 B1 KR101071668 B1 KR 101071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tank
fish
water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8873A (ko
Inventor
배연재
이창석
장매희
김동건
김선이
Original Assignee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87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668B1/ko
Publication of KR20100028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를 안정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위치에 설치된 히터를 구비한 어항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이 담수되고 어류가 수용되도록 한 수조와, 상기 수조 내측 하부에 상기 수조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조 내 담수된 물을 순환시키면서 이물질 등이 여과되도록 하는 여과기와, 상기 여과기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기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관과, 상기 여과기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수조 내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관과, 상기 여과기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 및 상기 여과기 상측으로 수조에 수용되는 어류에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여과기의 상부면 전체 영역에 걸쳐 압력차에 의하여 물이 통과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미생물의 증식이 가능하도록 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필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어항을 제공한다.
어항, 여과기, 히터

Description

어항{Fishing Port}
본 발명은 어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히터가 내부에 설치되는 여과기를 구비한 어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항은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해수나 담수를 저장한 상태에서 물고기를 전시 또는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즉, 소정의 내부 공간이 구비된 투명한 재질의 수조 내부에 물을 저장하여 놓고 물고기가 살 수 있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수조 내부에 수상식물이나 램프 등도 설치하여 관상용은 물론 직접적으로 물고기가 살기에 유리한 환경이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어항 내부에 열대어를 키우려 하는 경우에는 어항 내부에 따로 히터를 설치하여 물의 온도가 열대어가 살기에 적당하도록 올릴 수도 있다.
그런데, 어항 내부에 단순히 물만 저장하여 놓고 물고기를 집어 넣은 경우에는 물고기의 배설물 및 이물질이 발생되고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쌓이게 되어 물 자체가 혼탁하여 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물고기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 및 이물질로부터 발생하는 가스 등에 의하여 물 자체도 점차 산성으로 변하게 되며, 이는 곧 물고기의 호흡곤란과 질병을 유발하게 되는 요인이 되며, 또한 물 자체가 탁해짐으로 인해 관상 자체에도 문제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면에 여과기를 설치하고, 상기 저면 여과기의 상부에는 소정의 필터층을 설치한 후 물을 담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종래 어항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항 등의 수조(10) 상단 일측에 제어부(2)가 내장되는 수조(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3)의 일측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 수조(10)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삽입부(4)에는 상기 수조(10)의 내측면에 수직 상태로 장착되는 수온 조절용 히터(5)의 상단부가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전원선과 제어선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수조(10)의 타측 하단에는 수조(10)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돌출부(6)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6)에는 상기 삽입부(4)와 돌출부(6)의 사이로 위치하는 수조(10)의 두께가 얇은 경우라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 볼트(7)가 나사 결합된다.
버들붕어나 열대어 등 일정 최소 수온을 필요로 하는 어종을 어항 내에 수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의 제어에 의해 히터(5)가 발열을 하여 수조(10) 내부의 담수된 물의 수온을 필요한 적정 온도로 상승시키게 된다.
특히, 버들붕어와 같은 경우에는 수온이 일정한 온도, 실험에 의하면 섭씨 28 도 씨 정도를 유지하여야 산란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검정말 등과 같은 식물을 어항 내부에 키워야 하므로 이러한 수중 식물의 성장을 위해서도 수온을 일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히터의 설치가 중요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어항의 경우는 상기 히터(5)의 설치가 복잡하며, 히터가 또한 물속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인해 수조(10) 내부의 물고기 등이 히터(5)와 접촉할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런 경우, 상기 히터(5)의 표면에서 발열하는 고열로 인해 어항 내부에 수용된 물고기가 일정부위에 피해를 입거나 심한 경우 감전사하게 되는 등 안전상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항 내 히터의 설치과정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어항을 제공하는데 있다.
둘째, 어항 내 설치되는 히터를 은폐시켜 어항 내 수용된 물고기에 피해가 가는 것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셋째, 상기와 같이 히터를 은폐시키면서도 필요한 수온의 온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있는 위치로 히터가 설치되도록 하는 데 있다.
넷째, 정전 및 고장 등으로 인하여 주전원에 이상이 발생 시에도 임시로 히터 등을 작동시킬 수 있는 어항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항 외관을 이루는 수조, 상기 수조에 설치되며 어항 내 물을 순환시키면서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하는 여과기, 상기 어항 외부의 공기를 어항 내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어항에 구비되는 공기유로부 및 상기 공기유로부 상에 구비되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어항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여과기는 상기 수조 하부에 설치되는 여과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는 상기 여과기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히터와 유, 무선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히터를 온/오프시키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와 유, 무선적으로 연결된 보조전원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와 유, 무선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는 설정수온을 유지하도록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온도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부는 설정 시간 동안만 히터가 작동하도록 하는 시간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조는 상기 수조 내부가 일정 조도하에 유지되도록 하는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기 상부에는 필터층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필터층은 솜일 수 있으며, 소정 높이 쌓인 모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필터층은 상기 여과기 상부에 구비되는 솜 및 상기 솜 상부로 소정 높이 쌓인 모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어항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과기 내부에 간단히 히터를 설치하면 되므로 그 설치작업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히터를 은폐시킨 구조를 이루어 어항 내 수용되는 어류와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어류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여과기 내부에 설치된 히터는 여과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및 물에 의하여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본 발명 어항 내 전 범위에 걸쳐 보다 빠른 열전달이 가능하게 되며, 일정 수온을 유지하는데 유리해지게 된다.
넷째, 보조전원장치를 구비하도록 하여 고장 또는 정전 등으로 인해 주전원이 공급이 안 되는 경우 히터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도 보조전원장치를 이용 임시적으로 히터 등을 작동시켜 겨울철과 같은 경우와 같이 주위환경에 의하여 수온이 급격히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소정의 물을 담수하고 관상용 등 여러 목적으로 어류를 수용하는 것은 어항 및 수족관 모두가 사용되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그 명칭을 어항으로 통일하여 사용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흐르는 물에 사는 어종이 담긴 어항의 경우에는 측면 여과기 등이 설치되며, 담수된 물 등에 사는 어종이 담긴 어항의 경우에는 저면 여과기가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버들붕어 등과 같은 담수된 물에 사는 어종을 위한 저면 여과기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어항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어항 외관을 이루는 수조(110)와 상기 수조(110)에 설치되며 어항 내 담수된 물을 순환시키면서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하는 여과기(17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조(110)는 투명 재질의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기(170)는 사각형의 박스 형태의 외관을 가지며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여과기의 상부면에는 여과기의 내, 외부가 관통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다수개의 관통홀(175)이 구비된다.
여기서, 일반적인 여과기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부분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여과기(170) 상부로는 솜(130)이 구비되며, 상기 솜(130)의 상부로는 소정높이 쌓인 모래로 구성된 필터층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층은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으며, 필터층의 상, 하부가 압력차를 발생 시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재질로도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여과기(170)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주입관(171)이 상기 여과기(170)의 일측으로 연결되고, 상기 여과기(170) 내부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관(172)이 여과기(170)의 타측으로 구비된다.
즉, 본 발명 어항(100)은 상기 어항 외부의 공기를 어항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유로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공기유로부는 상술한 공기주입관(171), 여과기(170) 및 공기배출관(172)으로 구성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공기주입관(171)에는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여과기(170) 내측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펌프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로부 상에는 전원의 공급 시 일정온도로 가열되는 히터(150)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150)의 내부에는 열선(151)이 구비되어 전원의 공급 시 발열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항(100)의 바닥면에 히터(150)가 설치되도록 한 후, 상기 히터(150) 외부를 덮는 구조로 여과기(170)가 설치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히터(150)가 은폐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히터(150)는 여과기 내부로 들어오게 되는 물과 접촉하게 되므로 소정의 방수처리가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도면 및 설명에서는 상기 히터(150)가 상기 여과기(170) 내측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공기주입관(171) 또는 공기배출관(172)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공기주입관(171)의 외부 입구부 측에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110)의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 수초의 광합성 및 수조(110) 내부를 시각적으로 보기 좋게 하도록 램프(19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 어항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어항(100)은 상기 히터(15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히터(150)와 유, 무선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의 의하여 히터(150)가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어항은 보조전원장치(200)가 구비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보조전원장치(200)는 상기 수조(110)의 일측으로 설치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전원장치(200)는 일종의 밧데리의 형태를 이루며, 정전이나 본 발명 어항의 전기적 장치에 이상이 발생 시에 보조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즉, 일상적인 경우에는 미리 충전을 하여 놓았다가 본 발명 어항의 주 전원공급장치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정전 시에 비상용으로 사용되도록 하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300)와 유, 무선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어항 내부에 담수되는 물의 수온 측정이 가능한 온도센서(40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조전원장치(200) 및 히터(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부(5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전원장치(200)와 컨트롤부(500) 및 온도센서(400)는 모두 상기 제어부(300)와 유, 무선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는 상기 컨트롤부(50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부(500)는 온도설정부(510)와 시간설정부(520) 두 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온도설정부(510)는 디스플레이부(511)와 온도조작버튼(5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온도조작버튼(512)은 미리 설정될 수온의 온도를 세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설정온도를 올리는 버튼과 설정온도를 내리는 버튼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작버튼에 의하여 설정되는 온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11)에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시간설정부(520)는 원하는 시간 대에 상기 히터(150)가 작동되도록 시간별 작동 선택 키(521)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원하는 시간 대에 히터가 작동되도록 하려면 상기 시간대별 구간의 작동 선택 키(521)를 온/오프 시켜 놓도록 하여, 해당 시간 대에 히터(150)가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어항의 설치 및 이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10)의 내측 저면에 히터(150)를 설치한 후, 상기 히터(150)의 외부를 덮는 형태로 여과기(170)를 설치한다. 첨부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여과기는 저면 여과기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여과기(170)에는 공기주입관(171) 및 공기배출관(172)을 연결하고, 상기 여과기(170)의 상측으로는 솜 및 모래나 자갈 등으로 이루어진 필터층을 일정 높이로 적층되게 깐 후, 물을 일정 높이까지 담수한다.
그리고, 검정말 등과 같은 풀을 심은 후 물고기를 물 속에 투입시킨다. 여기서, 검정말 등을 어항 내부에 심어 놓은 경우에는 물고기 특히 버들붕어와 같은 어종의 경우 검정말에 숨거나 산란을 유도할 수 있어 내부에 수용된 어류의 성장 및 안정에 도움을 주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공기주입관(171)을 통하여 펌프 등을 이용 외부공기를 일정 속도 및 일정 압력으로 상기 여과기(170) 내측으로 주입시키고 상기 공기배출관(172)을 통하여 빠르게 배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여과기(17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됨으로써, 상기 여과기의 상측으로 본 발명 어항 내부에 담수된 물이 모래(120) 또는 솜(130) 및 상기 관통홀(175)을 통과하여 여과기(170) 내측으로 들어오게 된다.
이와 같이 여과기 내부로 들어온 물은 소정 속도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상기 공기배출구(172)를 통하여 다시 수조(110) 내부로 공급되며, 이러한 순환과정을 여러 차례 되풀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 및 물의 순환과정을 거침과 동시에 히터(150)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배출관(172)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 및 여과된 물이 일정 온도 상승되어 배출된다.
결국,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히터(150)의 작동과 함께 물의 여과과정을 계속 시키게 되면 어항 내부의 수온이 차츰 올라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어항 내부의 물의 수온은 수용되는 어종 및 상황에 따라 적정하게 유지시켜야 할 것이다.
즉, 열대어 등 어종에 따라 설정될 수온이 달라지게 되며, 보다 구체적 예를 들면, 최근 많이 키우는 버들붕어와 같은 어종의 경우는 산란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도 수온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온도센서(40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시로 수온을 체크하고, 수온이 일정 온도 이상 및 이하가 되는 경우로 판단 시에는, 상기 제어부(300)의 작동에 의하여 히터(150)를 온/오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어항 내 물의 수온조절은 컨트롤부(500)를 이용 조절한다.
즉, 상기 온도설정부(510)의 온도설정버튼(512)을 이용하여 희망 온도를 맞추어 놓게 되며, 시간설정부(520)를 이용 원하는 시간대에 상기 히터(150)가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정한 후, 희망온도에 다다른 경우에는 온도센서(400)가 작동하여 제어부에 의하여 히터(150)가 오프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500)에 사용자가 세팅한 히터 작동 시간이 있더라도 이에 상관 없이 미리 희망한 설정온도에 다다른 경우에는 제어부에 의하여 히터가 오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는 보조전원장치(200)를 구비하여 주전원에 이상이 발생시에는 보조전원장치(200)를 통하여 상기 히터 및 그 외 어항에 설치된 전원장치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히터가 설치된 어항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항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항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및
도 5는 컨트롤부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어항 110: 수조
120: 모래 130: 솜
150: 히터 151: 열선
170: 여과기 171: 공기주입관
172: 공기배출관 175: 관통홀
200: 보조전원장치 300: 제어부
400: 온도센서 500: 컨트롤부
510: 온도설정부 520: 시간설정부

Claims (15)

  1. 내부에 물이 담수되고 어류가 수용되도록 한 수조;
    상기 수조 내측 하부에 상기 수조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조 내 담수된 물을 순환시키면서 이물질 등이 여과되도록 하는 여과기;
    상기 여과기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기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관;
    상기 여과기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수조 내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관;
    상기 여과기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 및
    상기 여과기 상측으로 수조에 수용되는 어류에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여과기의 상부면 전체 영역에 걸쳐 압력차에 의하여 물이 통과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미생물의 증식이 가능하도록 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필터층;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어항.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와 유, 무선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유, 무선적으로 연결된 보조전원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수조 내부가 일정 조도하에 유지되도록 하는 램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층은,
    상기 솜의 상부로 소정 높이 쌓인 모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15. 삭제
KR1020080087814A 2008-09-05 2008-09-05 어항 KR101071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814A KR101071668B1 (ko) 2008-09-05 2008-09-05 어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814A KR101071668B1 (ko) 2008-09-05 2008-09-05 어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873A KR20100028873A (ko) 2010-03-15
KR101071668B1 true KR101071668B1 (ko) 2011-10-11

Family

ID=4217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814A KR101071668B1 (ko) 2008-09-05 2008-09-05 어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6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177A (ko) * 2016-08-29 2018-03-08 박운용 수조 여과 시스템
KR102161399B1 (ko) * 2020-03-27 2020-10-05 조명민 다감각 치료용 물방울 기둥 장치
KR20210011531A (ko) 2019-07-22 2021-02-02 정영호 옹기 항아리를 이용한 환경친화적 어항
KR102659041B1 (ko) 2023-11-29 2024-04-18 김필원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897B1 (ko) * 2016-06-16 2017-02-23 주식회사 에너틱스 육상 양식용 수조
CN107637565A (zh) * 2017-11-16 2018-01-30 天津工业大学 一种鱼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1810A (en) 1977-05-16 1979-05-01 Wiggins Arthur R Aquarium with improved filter and temperature control system
JPH11276016A (ja) * 1998-03-27 1999-10-12 Sekisui Plastics Co Ltd 水槽用ヒータ装置およびヒータ付水槽
JP2005044740A (ja) 2003-07-25 2005-02-17 Taniguchi Heaters Kk 空焚きセンサー内蔵の液中用ヒータ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1810A (en) 1977-05-16 1979-05-01 Wiggins Arthur R Aquarium with improved filter and temperature control system
JPH11276016A (ja) * 1998-03-27 1999-10-12 Sekisui Plastics Co Ltd 水槽用ヒータ装置およびヒータ付水槽
JP2005044740A (ja) 2003-07-25 2005-02-17 Taniguchi Heaters Kk 空焚きセンサー内蔵の液中用ヒータ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177A (ko) * 2016-08-29 2018-03-08 박운용 수조 여과 시스템
KR101936203B1 (ko) * 2016-08-29 2019-01-16 주식회사 엘코스 수조 여과 시스템
KR20210011531A (ko) 2019-07-22 2021-02-02 정영호 옹기 항아리를 이용한 환경친화적 어항
KR102161399B1 (ko) * 2020-03-27 2020-10-05 조명민 다감각 치료용 물방울 기둥 장치
WO2021194226A1 (ko) * 2020-03-27 2021-09-30 조명민 다감각 치료용 물방울 기둥 장치
KR102659041B1 (ko) 2023-11-29 2024-04-18 김필원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873A (ko) 201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668B1 (ko) 어항
KR100898733B1 (ko) 살아있는 어패류 수송용 컨테이너
KR101399512B1 (ko) 수경재배기
KR20090043679A (ko) 어패류의 보관 및 양식할 수 있는 수조탱크
US8622024B2 (en) Sea cucumber cultivator
KR100926277B1 (ko) 살아있는 갑각류 유통 및 보관용 용기 또는 컨테이너
US8800496B1 (en) Self-cleaning pre-filter for a water circulation pump
KR101483606B1 (ko) 다층식 아파트형 입체수조
KR100916770B1 (ko) 재활용 자재의 수조를 이용하는 양어장
KR101698643B1 (ko) 수조용 올인원 여과 장치
US20150250134A1 (en) Closed system vivarium for use with an aquarium
CN106305569A (zh) 自洁净内循环控温型养殖系统
KR101021911B1 (ko) 전시용 해수어 수조 순환여과시스템
JP6087031B2 (ja) 多層式アパート型立体水槽
JP2018059299A (ja) 液体の保温及び凍結防止方法
KR101045817B1 (ko) 어항
CN110050607A (zh) 一种可智能调节绿植鱼缸生态系统的装置
KR102087606B1 (ko) 수질관리가 용이한 케이지를 갖는 사육장치
CN106359235A (zh) 一种鱼苗培育箱
KR101412045B1 (ko) 이중배수장치가 장착된 수서생물 다단시스템 사육용 유리수조
KR200372344Y1 (ko) 자동 벽걸이 수족관
JPH09109A (ja) 海洋生物飼育タンク
JPH03224424A (ja) 多段飼育水槽
CN208609701U (zh) 一种鱼苗培育养殖系统结构
KR101328528B1 (ko) 수생 생물 사육 시스템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