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041B1 -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 - Google Patents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9041B1 KR102659041B1 KR1020230169267A KR20230169267A KR102659041B1 KR 102659041 B1 KR102659041 B1 KR 102659041B1 KR 1020230169267 A KR1020230169267 A KR 1020230169267A KR 20230169267 A KR20230169267 A KR 20230169267A KR 102659041 B1 KR102659041 B1 KR 1026590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y
- fish tank
- fish
- space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76427 Poecilia reticu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0195628 Chlor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NHNBFGGVMKEFGY-UHFFFAOYSA-N Nitrate Chemical compound [O-][N+]([O-])=O NHNBFGGVMKEFG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OVCWXUNBOPUCH-UHFFFAOYSA-M Nitrite anion Chemical compound [O-]N=O IOVCWXUNBOPU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826 nitri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96 partu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135756 Alphaproteo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35755 Betaproteo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651 NO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23 nit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사용이 용이하고, 치어를 성어로부터 안전하게 분리하여 보호할 수 있는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를 개시한다.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둘레에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를 포함하고, 내부에 물과, 성어 및 치어가 수용되는 어항본체 및 어항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어항본체의 내부공간을 성어가 수용되는 제1 공간 및 치어가 수용되는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판을 포함하고, 분리판은 제1 공간과 제2 공간을 연통하고, 제1 공간에 수용된 치어를 제2 공간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둘레에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를 포함하고, 내부에 물과, 성어 및 치어가 수용되는 어항본체 및 어항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어항본체의 내부공간을 성어가 수용되는 제1 공간 및 치어가 수용되는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판을 포함하고, 분리판은 제1 공간과 제2 공간을 연통하고, 제1 공간에 수용된 치어를 제2 공간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상어(觀賞魚)는 열대어 등 수계(水界)에 서식하는 생물 중 보고 즐기는 것을 목적으로 일정한 공간에서 사육 가능한 생물을 말한다.
관상어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세계적으로 가장 대중적인 관상어로는 구피(Guppy)가 있다.
구피는 몸길이가 3~4cm로 다른 관상어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고, 사육이 용이하여 작은 어항에서도 쉽게 사육이 가능하다.
한편, 구피는 뱃속에서 알을 부화시켜 출산하는 난태생 어종으로, 알이 아닌 치어상태의 새끼로 출산하게 된다.
하지만, 구피는 다양한 이유로 인해 갓 태어난 치어를 먹잇감으로 인식해 치어를 잡아먹는 습성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어항 안에 공간이 구획된 부화통을 별도 설치하고, 출산에 임박한 구피들을 어항에서 따로 골라내어 부화통에 넣어준 뒤 출산 후 치어를 성어로부터 분리하여 치어를 보호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방법은 어항을 관리하는 사용자가 직접 출산에 임박한 구피를 식별하여 분리해야 하는데, 구피 사육이 미숙한 사용자의 경우 출산에 임박한 구피를 식별해내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렵고, 사용자가 매번 구피의 상태를 보고 출산여부를 가늠한 후, 출산 징후가 보이는 구피를 분리해 내어 부화통에 넣어야 함에 따라, 관리가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부화통을 매번 어항에 탈부착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어항은 별도의 환수장치를 통해 어항내 물을 자주 환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용이하고, 치어를 성어로부터 안전하게 분리하여 보호할 수 있는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산에 임박한 성어를 별도의 공간으로 옮길 필요 없이 자동적으로 치어를 성어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성어로부터 분리된 치어를 손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물학적 여과수단을 통하여 환수과정 없이 어항본체 내부의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생식물의 재배가 가능한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둘레에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를 포함하고, 내부에 물과, 성어 및 치어가 수용되는 어항본체; 및 상기 어항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어항본체의 내부공간을 상기 성어가 수용되는 제1 공간 및 상기 치어가 수용되는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은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하고, 상기 제1 공간에 수용된 상기 치어를 상기 제2 공간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리판은, 상기 어항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치어가 유동되는 복수의 치어 유동홀이 형성되는 판 본체부; 및 상기 판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복수의 치어 유동홀을 통과하여 아래로 이동된 상기 치어를 상기 제2 공간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퍼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바닥판의 중심부와 연통되는 드레인 관; 및 상기 드레인 관에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 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된 상기 치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은 상기 드레인 관이 연결된 중심부를 향하여 폭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퍼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항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드레인 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 관을 통해 배출된 물과 상기 치어가 수용되는 보조어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둘레에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를 포함하고, 내부에 물과, 성어 및 치어가 수용되는 어항본체; 상기 어항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어항본체의 내부공간을 상기 성어가 수용되는 제1 공간 및 상기 치어가 수용되는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판; 및 상기 어항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분리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어항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여과하는 복수의 여과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여과재는 상기 어항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생물학적으로 여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여과재는, 각각, 물이 유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류 유동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둘레에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를 포함하고, 내부에 물과, 성어 및 치어가 수용되는 어항본체; 상기 어항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어항본체의 내부공간을 상기 성어가 수용되는 제1 공간 및 상기 치어가 수용되는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판; 상기 어항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분리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어항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여과하는 복수의 여과재; 및 상기 어항본체에 저장된 물에 부유되고, 수생식물이 배양되는 식물 배양 포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어항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생식물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생식물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항본체의 내부에 어항본체의 내부공간을 복수로 구획하고, 치어가 출산되면 낙하되는 치어를 성어로부터 자동 분리하는 분리판이 배치되므로, 치어를 성어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화통을 설치하거나, 출산에 임박한 성어를 부화통으로 옮길 필요 없으므로, 사용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성어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어항본체의 하부에 드레인 관, 드레인 밸브 및 보조어항이 배치되므로, 성어로부터 분리된 치어를 손쉽게 외부로 배출 및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분리판의 상부에 물을 생물학적으로 여과하는 복수의 여과재가 배치되므로, 환수과정 없이 어항본체 내부의 물을 쉽게 여과할 수 있고, 물 내의 암모니아(NH4), 아질산염(NO2) 및 질산염(NO3)을 제거하고, 물의 백탁현상과 녹조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여과장비나 환수장비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어항의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어항본체에 수생식물이 배양되는 식물 배양 포트 및 수생식물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모듈이 배치되므로, 관상어와 식물이 어울리는 어항 환경을 조성하여 심미성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항 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판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밸브가 개방되어 어항본체에서 보조어항으로 치어가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판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밸브가 개방되어 어항본체에서 보조어항으로 치어가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항 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1000)(이하 '어항 세트(1000)'라 함)는 어항본체(1) 및 분리판(2)을 포함한다.
어항본체(1)는 바닥판(11)과, 바닥판(11)의 둘레에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12)를 포함한다.
어항본체(1)의 내부에는 물과, 성어(AF) 및 치어(F)가 수용된다.
어항본체(1)는 내부에 수용된 물의 수질, 성어(AF) 및 치어(F)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판(2)은 어항본체(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어항본체(1)의 내부공간을 성어(AF)가 수용되는 제1 공간(S1) 및 치어(F)가 수용되는 제2 공간(S2)으로 구획한다.
분리판(2)은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을 연통하고, 제1 공간(S1)에 수용된 치어(F)를 제2 공간(S2)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판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분리판(2)은 판 본체부(21) 및 복수의 퍼널(funnel)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판 본체부(21)는 어항본체(1)의 내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어항본체(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판 본체부(21)의 내부에는 치어(F)가 유동되는 복수의 치어 유동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치어 유동홀(211)은 원형,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양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치어 유동홀(211)은 성어(AF)는 통과할 수 없고, 치어(F)는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퍼널부(22)는 판 본체부(21)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퍼널부(22)는 복수의 치어(F) 유동홀(211)을 통과하여 아래로 이동된 치어(F)를 제2 공간(S2)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어 유동홀(211)의 측벽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유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산된 치어(F)들은 자중에 의해 어항 아래 쪽으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분리판(2)은 복수의 유도 경사면(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유도 경사면은 판 본체부(21)의 상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치어 유동홀(2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유도 경사면은 상부를 향하여 폭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유도 경사면은 상부로 낙하되는 치어(F)를 복수의 치어 유동홀(211)로 유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밸브가 개방되어 어항본체에서 보조어항으로 치어가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어항 세트(1000)는 드레인 관(3) 및 드레인 밸브(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관(3)은 바닥판(11)의 하부에 결합되고, 바닥판(11)의 중심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바닥판(11)은 드레인 관(3)이 연결된 중심부를 향하여 폭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퍼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밸브(4)는 드레인 관(3)에 설치되고, 드레인 관(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제2 공간(S2)에 수용된 치어(F)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드레인 밸브(4)는 제2공간(S2)에 담긴 물의 배출 여부를 단속한다. 드레인 밸브(4)가 개방되면 제2공간(S2)의 물과 함께 내부의 치어가 보조어항(5)쪽으로 유출된다. 이때 치어 뿐만 아니라 어항본체(1) 하부의 이물질, 물고기 배설물 등의 오염물도 함께 배출된다.
드레인 밸브(4)는 도시된 방식의 플레이트 밸브 뿐만 아니라, 볼 밸브, 자석밸브 및 전자식 밸브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어항 세트(1000)는 보조어항(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어항(5)은 어항본체(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드레인 관(3)의 하부에 배치되고, 드레인 관(3)을 통해 배출된 물과 치어(F)가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어항 세트(1000)는 개폐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판은 분리판(2)의 상부에 배치되고, 분리판(2)에 형성된 복수의 치어 유동홀(211)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드레인 밸브(4)의 개방 시 복수의 치어 유동홀(211)을 폐쇄하여 제1 공간(S1)의 물이 제2 공간(S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2 공간(S2)에 수용된 물과 치어(F)를 완전히 배출할 수 있다.
이때, 개폐판에는 외부공간과 연통되는 관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치어 유동홀(211)이 폐쇄될 경우에도 제2 공간(S2)이 외부공간과 연통되어 제2 공간(S2)에 수용된 물과 치어(F)가 완전히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판은 분리판(2)의 상면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판의 내부에는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개폐판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일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복수의 연통홀이 복수의 치어 유동홀(211)에 연통되어 복수의 치어 유동홀(211)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판이 타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타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개폐판이 복수의 치어 유동홀(211)을 차폐하여 복수의 치어 유동홀(211)이 폐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어항 세트(1000)는 복수의 여과재(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여과재(6)는 어항본체(1)의 내부에 수용되어 분리판(2)의 상면에 배치되고, 어항본체(1)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여과한다.
복수의 여과재(6)는 어항본체(1)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생물학적으로 여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여과재(6)는 미세기공을 가지며, 물이 닿는 모든 표면에 박테리아가 서식되는 다공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여과재(6)는 구형, 다면체형, 기둥형, 관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여과재(6)는 활성탄, 세라믹 및 천매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여과재(6)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여과재(6)에 서식하는 박테리아는 니트로소모나즈(Nirosomonas)를 비롯한 질소박테리아 뿐만 아니라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Alphaproteobacteria), 베타프로테오박테리아(Betaproteobacteria) 등 수질유지 역할을 하는 박테리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여과재(6)는 물 내의 암모니아(NH4), 아질산염(NO2) 및 질산염(NO3)을 제거하고, 물의 백탁현상과 녹조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여과재(6)는, 각각, 물이 유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류 유동홀(6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류 유동홀(61)은 단면이 원형인 형상을 갖고 있으나, 수류 유동홀(61)의 단면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각형, 그외 다각형 또는 심미성이 부여된 물고기, 동물 형상 등 다양할 있다.
예를 들어, 수류 유동홀(61)은 여과재(6)의 중심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여과재(6)는, 각각, 여과재(6)의 외면에 함몰 형성되어, 치어(F)가 유동 가능한 복수의 치어 유동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여과재(6)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경우에도 복수의 여과재(6) 사이에 복수의 치어 유동홈이 치어(F)가 유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여 치어(F)가 안전하게 분리판(2)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여과재(6)는 물 내에 입자가 큰 유기물을 여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여과재(6)는, 각각, 수류 유동홀(61)에 삽입되어 물 내에 유기물을 여과하는 물리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여과재(6)는 분리판(2) 위에 놓여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여과재(6)는 분리판(2)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하여 분리판(2)에 여과재(6) 체결을 위한 홈 형상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어항 세트(1000)는 식물 배양 포트(7)를 더 포함한다.
식물 배양 포트(7)는 어항본체(1)에 저장된 물에 부유되고, 내부에 수생식물(P)이 배양된다.
예를 들어, 식물 배양 포트(7)는 내부에 수생식물(P)이 지지되거나, 식재되는 배양 포트 본체와, 배양 포트 본체에 부착되고, 물에 부유되어 배양 포트 본체를 지지하는 부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식물 배양 포트(7)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식물 배양 포트(7)는 수면에 부유하는 형태로 설치되거나 또는 벽체(12) 내벽에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벽체(12)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레일(15) 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배양 포트(7)는 필요에 따라 다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들 들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양 포트(7) 위 상부 공간에 보조 배양 포트(7A)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보조 배양 포트(7A)는 수면에 부유하지 않고 상부 공간 상에 설치되므로 보조 배양 포트(7A)에서 배양될 수 있는 식물은 수생 식물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보조 배양 포트(7A)에 수생 식물을 배양하는 경우는 필요에 따라 보조 배양 포트(7A)에 물을 공급하는 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어항 세트(1000)는 조명모듈(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모듈(8)은 어항본체(1)에 결합되어 수생식물(P)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생식물(P)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조명모듈(8)은 발열로 인한 수생식물(P)의 수분증발 또는 온도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생식물(P)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모듈(8) 태양광과 유사한 광스펙트럼을 가지는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와, 어항본체(1)에 결합되어 광원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모듈(8)에 사용되는 광원부는 예를 들어 LED 모듈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가 배양 포트(7A)가 설치되는 경우, 그에 따른 보조 조명모듈(8A)이 부가될 수 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항본체(1)의 측벽을 이루는 벽체(12)는 다단계가 조합된 구조일 수 있다. 즉, 벽체(12)는 그 아래 부분부터 제1벽체부(12A), 제2벽체부(12B), 제3벽체부(12C), 및 제4벽체부(12D)가 순차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인접되는 벽체부(12A, 12B, 12C, 12D)는 서로 기밀이 유지되도록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어항본체(1)가 원통형인 경우 벽체부(12A, 12B, 12C, 12D)들은 서로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어항본체(1)가 육면체인 경우는 도1의 제3벽체부(12C)와 제4벽체부(12D)가 결합되어 있는 형태와 같이 요철홈 형상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벽체(12)는 다단계로 조합됨으로써 전체적인 높이가 가변될 수 있으며, 각 기능별로 모듈화 될 수 있다.
한편, 제4측벽부(12D)는 수면 위 상부 공간에 설치되므로 통기성이 확보되도록 개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항본체(1)의 내부에 어항본체(1)의 내부공간을 복수로 구획하고, 치어(F)가 출산되면 낙하되는 치어(F)를 성어(AF)로부터 자동 분리하는 분리판(2)이 배치되므로, 치어(F)를 성어(AF)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화통을 설치하거나, 출산에 임박한 성어(AF)를 부화통으로 옮길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성어(AF)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어항본체(1)의 하부에 드레인 관(3), 드레인 밸브(4) 및 보조어항(5)이 배치되므로, 성어(AF)로부터 분리된 치어(F)를 손쉽게 외부로 배출 및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분리판(2)의 상부에 물을 생물학적으로 여과하는 복수의 여과재(6)가 배치되므로, 환수과정 없이 어항본체(1) 내부의 물을 쉽게 여과할 수 있고, 물 내의 암모니아(NH4), 아질산염(NO2) 및 질산염(NO3)을 제거하고, 물의 백탁현상과 녹조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여과장비나 환수장비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어항의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어항본체(1)에 수생식물(P)이 배양되는 식물 배양 포트(7) 및 수생식물(P)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모듈(8)이 배치되므로, 관상어와 식물이 어울리는 어항 환경을 조성하여 심미성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어항 세트
1. 어항본체
S1. 제1 공간
S2. 제2 공간
11. 바닥판
12. 벽체
2. 분리판
21. 판 본체부
211. 복수의 치어 유동홀
22. 복수의 퍼널부
3. 드레인 관
4. 드레인 밸브
5. 보조어항
6. 복수의 여과재
61. 수류 유동홀
7. 식물 배양 포트
8. 조명모듈
AF. 성어
F. 치어
P. 수생식물
1. 어항본체
S1. 제1 공간
S2. 제2 공간
11. 바닥판
12. 벽체
2. 분리판
21. 판 본체부
211. 복수의 치어 유동홀
22. 복수의 퍼널부
3. 드레인 관
4. 드레인 밸브
5. 보조어항
6. 복수의 여과재
61. 수류 유동홀
7. 식물 배양 포트
8. 조명모듈
AF. 성어
F. 치어
P. 수생식물
Claims (10)
-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둘레에 설치되는 벽체에 의해 관상어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어항본체와,
상기 어항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어항본체 내부공간을 성어가 수용되는 제1공간 및 치어가 수용되는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판과,
상기 바닥판의 중앙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의 중심부와 연통되는 드레인 관과,
상기 드레인 관에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 관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제2공간의 치어를 물과 함께 배출하는 드레인 밸브와,
상기 어항 본체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드레인 관에서 배출되는 물과 치어를 수용하는 보조 어항과,
상기 어항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분리판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어항본체 내부의 물을 여과하는 여과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은 상기 어항본체의 내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어항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 본체부와, 상기 판 본체부 상에 형성되며 성어는 통과하지 못하고 치어만 통과 가능한 크기를 갖는 치어 유동홀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은 중심부를 향하여 폭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퍼널구조를 가지며,
상기 여과재는 구형, 다면체형, 기둥형 또는 관형의 형상을 가지며 물이 유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류 유동홀을 포함하고,
상기 벽체는 둘 이상의 벽체부가 상하 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다단계로 조합됨으로써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 어항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항 세트는 수생식물을 배양하는 식물 배양 포트와,
상기 식물 배양 포트에서 배양되는 수생식물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물 배양 포트는 상기 벽체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레일 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항 세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어 유동홀의 측벽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유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판은 상기 판 본체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치어 유동홀을 통과한 치어를 상기 제2공간으로 안내하는 퍼널부를 더 포함하는 어항 세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항 세트는 상기 분리판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리판에 형성된 상기 치어 유동홀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개폐판을 더 포함하는 어항 세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는 활성탄, 세라믹 또는 천매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되며, 미세 기공을 갖는 다공성 매체로써 물과 접촉되는 표면에 수질 유지 작용을 하는 박테리아가 서식하는 어항 세트.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69267A KR102659041B1 (ko) | 2023-11-29 | 2023-11-29 |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69267A KR102659041B1 (ko) | 2023-11-29 | 2023-11-29 |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59041B1 true KR102659041B1 (ko) | 2024-04-18 |
Family
ID=90844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69267A KR102659041B1 (ko) | 2023-11-29 | 2023-11-29 |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9041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2310Y1 (ko) * | 2000-09-05 | 2001-02-15 | 김학준 | 태생치어의 포획장치 |
KR20100012901A (ko) * | 2008-07-30 | 2010-02-09 | 조규호 | 수족관 |
KR101071668B1 (ko) | 2008-09-05 | 2011-10-11 |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어항 |
KR20130005138U (ko) * | 2012-02-21 | 2013-08-29 | 전병순 | 치어 번식용 어항 |
KR101372289B1 (ko) * | 2012-09-25 | 2014-03-11 | 김경순 | 다용도 분리판 |
KR101691767B1 (ko) * | 2016-03-21 | 2016-12-30 | 김신평 | 저면 배출식 리빙박스용 어항 |
-
2023
- 2023-11-29 KR KR1020230169267A patent/KR1026590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2310Y1 (ko) * | 2000-09-05 | 2001-02-15 | 김학준 | 태생치어의 포획장치 |
KR20100012901A (ko) * | 2008-07-30 | 2010-02-09 | 조규호 | 수족관 |
KR101071668B1 (ko) | 2008-09-05 | 2011-10-11 |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어항 |
KR20130005138U (ko) * | 2012-02-21 | 2013-08-29 | 전병순 | 치어 번식용 어항 |
KR101372289B1 (ko) * | 2012-09-25 | 2014-03-11 | 김경순 | 다용도 분리판 |
KR101691767B1 (ko) * | 2016-03-21 | 2016-12-30 | 김신평 | 저면 배출식 리빙박스용 어항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20048B1 (ko) | 다층 생장 장치 | |
JP3146088U (ja) | 飼育水槽装置 | |
KR101414261B1 (ko) | 조립식 수직 아쿠아포닉시스템 | |
US20180116138A1 (en) | Vertical indoor eco-system | |
US9155288B1 (en) | Fish tank with a function of discharging waste water from a bottom thereof | |
KR20160091052A (ko) |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 |
KR20150033253A (ko) | 순환식 여과조가 구비되는 수족관 | |
CN106305569A (zh) | 自洁净内循环控温型养殖系统 | |
CN114680070A (zh) | 一种养殖装置、养殖系统及其养殖方法 | |
KR102659041B1 (ko) |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 | |
KR101062017B1 (ko) | 수경 수족관 | |
WO2003096803A1 (fr) | Procede et systeme de reproduction d'alevins | |
KR102363047B1 (ko) | 다공질 여과재를 구비하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 |
KR102608604B1 (ko) | 아쿠아포닉스 설비의 수조 칸막이장치 | |
CN206453008U (zh) | 水族观赏缸结构 | |
KR100764483B1 (ko) | 여과식 멸균장치를 이용한 어란부화시스템 | |
KR101587853B1 (ko) |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수조장치 | |
CN203827882U (zh) | 一种驯养水培植物的水族箱 | |
CN210143603U (zh) | 萤火虫养殖装置 | |
US5753114A (en) | Device for purifying water by means of water fleas | |
KR101412045B1 (ko) | 이중배수장치가 장착된 수서생물 다단시스템 사육용 유리수조 | |
KR101898818B1 (ko) |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 |
CN206078639U (zh) | 可分离水体中蛋白质和排泄物的鱼缸 | |
KR102642934B1 (ko) |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 |
US9334184B2 (en) | Upflow algae scrubber embodiments: gas bubble divi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