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289B1 - 다용도 분리판 - Google Patents

다용도 분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289B1
KR101372289B1 KR1020120106528A KR20120106528A KR101372289B1 KR 101372289 B1 KR101372289 B1 KR 101372289B1 KR 1020120106528 A KR1020120106528 A KR 1020120106528A KR 20120106528 A KR20120106528 A KR 20120106528A KR 101372289 B1 KR101372289 B1 KR 101372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rium
convex portion
multipurpose
plate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순
Original Assignee
김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순 filed Critical 김경순
Priority to KR1020120106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족관 등에 설치되는 보호장치에 구비되며, 치어가 성어 서식공간으로부터 쉽게 이동하게 하고, 성어 서식공간으로의 재진입을 어렵게 하여 치어와 성어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키는 다용도 분리판에 관한 것이고, 또한, 수족관 물이 다수의 홀을 통해 여과필터에 공급됨으로써 수족관 물을 효과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는 다용도 분리판에 관한 것으로써, 복수의 볼록부와 홀이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는 동일 평면상에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분리판{THE MULTIPURPOSE SEPARATOR}
본 발명은 다용도 분리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족관 등에 설치되는 보호장치에 구비되며, 치어가 성어 서식공간으로부터 쉽게 이동하게 하고, 성어 서식공간으로의 재진입을 어렵게 하여 치어와 성어의 서식공간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키는 다용도 분리판에 관한 것이다. 또한, 수족관 물이 다수의 홀을 통해 여과필터에 공급됨으로써 수족관 물을 효과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는 다용도 분리판에 관한 것이다.
자연을 지배하고 싶은 인간의 갈망은 작은 자연환경을 자신의 가까이에 두고 관찰하는 것으로까지 발전하였다.
대표적으로 화원, 정원, 수족관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수족관은 물속에 사는 생물을 모아 놓고 기르는 설비로써, 물에 사는 생물을 그들의 생태 조건에 적합한 환경 속에서 기르고 진열하여 그들의 생태나 습성 따위를 여러 사람이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관상용 물고기는 인기가 높은 수중 생물 중에 하나로써 시중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으며 많은 사람이 기르고 있다.
그러나 수족관 또는 어항의 동일 공간에 치어와 성어가 서식하는 경우, 치어들이 성어로부터 공격당하거나 포식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서식생물의 개체수를 번식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6961호는 치어 보호용 어항을 소개하고 있는데, 상기 출원은 어항의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 측벽에 장착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분리막으로 이루어져 산란한 알 또는 치어를 다른 물고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치어 보호용 어항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8954호는 어항용 치어 보호실을 소개하고 있는데, 상기 출원은 어항에 부착되는 전면 판, 각각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배면 판, 밑면 판, 좌측 판, 우측 판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물고기가 유영하고 있는 어항 내에서 물고기로부터 치어를 보호하기 위한 치어 보호실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치어들이 상기 분리막 및 복수의 관통구멍을 통해 성어들이 서식하는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어, 성어로부터 공격받거나 포식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보호장치의 크기가 고정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환경, 즉 수족관이나 어항 크기의 변화에 따라 보호장치를 별도로 구매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되고 각 오목부에 홀이 형성된 다용도 분리판으로 치어 보호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치어가 성어 서식 공간으로부터 분리판 너머로 쉽게 이동하게 하고, 분리판을 통한 성어 서식공간으로의 재진입을 어렵게 하여 치어와 성어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키는 다용도 분리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어 보호장치를 이루는 다용도 분리판의 크기를 가변시킴으로써, 수족관 또는 어항 등의 크기에 따라 치어 보호장치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용도 분리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분리판은 복수의 볼록부와 홀이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는 동일 평면상에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분리판을 분리시키도록 격자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절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록부는 하부에서 상부로 테이퍼진 사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테이퍼진 사각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록부의 상부와 상기 절단선 사이에는 연결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볼록부 표면에 형성된 돌기 및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상기 볼록부 하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용도 분리판의 볼록부가 성어가 서식하는 공간으로 향하도록 치어 보호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오목한 곳을 향해 모이는 물고기의 습성을 통하여 성어들이 서식하는 공간의 치어들은 오목부의 홀을 통해 쉽게 분리판 너머로 이동하고, 분리판을 통한 성어 서식공간으로의 재진입은 볼록부로 인하여 어렵게 형성되므로, 성어들로부터 치어들이 공격받거나 포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치어 보호장치를 이루는 다용도 분리판에 연결부재와 절단선을 형성함으로써, 수족관 또는 어항 등의 환경에 따라 다용도 분리판의 크기를 조절하여 치어 보호장치의 크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수족관의 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조에 다용도 분리판을 설치함으로써, 수족관 물이 여과조에 살수되는 경우, 다수의 오목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골고루 여과필터에 공급되기 때문에 여과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분리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분리판의 지그재그 형태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록부와 볼록부의 결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분리판을 이용한 보호장치를 수족관에 설치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분리판을 이용한 보호장치를 수족관에 설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분리판을 이용한 보호장치를 수족관에 설치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수족관과 여과조 설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분리판을 이용한 여과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분리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분리판의 지그재그 형태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분리판(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볼록부(110)와, 치어가 이동할 수 있는 홀(121)이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볼록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서 상부로 테이퍼진 사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목부(120)는 상부에서 하부로 테이퍼진 사각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는 동일 평면상에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볼록부(110)의 폭이 넓은 하부와 오목부(120)의 폭이 넓은 상부가 동일 평면상에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볼록부(110)와 오목부(120)가 동일 평면상에 교대로 배치되어 판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용도 분리판(100)은 동일 평면상에 볼록부(110)로만 배치된 범위를 포함하는 부분과 오목부(120)로만 배치된 범위를 포함하는 부분의 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다용도 분리판(100)은 동일 평면상에 볼록부(110)가 연속적인 일렬로 배치되고, 다음 일렬에는 오목부(120)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현상이 반복적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다용도 분리판(100)은 볼록부(110)와 오목부(120) 사이에 구비되어, 다용도 분리판(100)을 분리시키도록 격자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절단선(15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절단선(150)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볼록부(110) 및 오목부(120) 단위의 크기로 다용도 분리판(100)을 절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록부와 볼록부의 결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볼록부(110)의 상부와 절단선(150) 사이에는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연결부재는 볼록부(110)의 튀어나온 표면에 형성된 돌기(130) 및 상기 돌기(130)에 대응하는 볼록부(110) 안쪽 면에 형성된 홈(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볼록부(110a)의 홈(140a)과 볼록부(110b)의 돌기(130b)를 연결하여, 두 개의 다용도 분리판(100)을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다용도 분리판(100)의 크기로 확장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용도 분리판(100)은 볼록부(110)가 돌출된 한 면과, 홀(121)이 형성된 오목부(120)가 돌출되는 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볼록부(110)와 오목부(120) 또는 볼록부(110)와 볼록부(110) 또는 오목부(120)와 오목부(120) 사이의 절단선(150)으로 다용도 분리판(100)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볼록부(110)에 형성된 돌기(130)와 다른 하나의 볼록부(110)에 형성된 홈(140)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다용도 분리판(100)의 크기를 확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분리판을 이용한 보호장치를 수족관에 설치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용도 분리판(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재질,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어 보호장치(300)의 안쪽에 서식하는 수상생물에까지 빛이 투과되기 쉽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수상생물의 용이한 관찰을 위해서 보호장치(300)의 전면 및 후면은 투명하고 평평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용도 분리판(100)이 적용된 보호장치(300)는 수족관의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보호장치(300)의 측면에 고정부재(200)를 형성하여 수족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장치(300)에 장착된 다용도 분리판(100)은 보호장치(300)의 내측에 볼록부(110)가 돌출되도록 면의 방향이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장치(300)의 내측에 존재하는 치어(12)들은 물고기의 습성에 의해 다용도 분리판(100)의 볼록부(110)보다 오목한 오목부(120)의 하부로 모여들어 오목부(120)의 홀(121)을 통과해서 보호장치(300)의 외측으로 빠져나가기 쉽다.
반면, 보호장치(300)의 외측에 존재하는 치어(12)들은 역시 물고기의 습성에 의해 오목부(120)보다 구석진 볼록부(110)의 상부로 모여들기 쉬우므로, 오목부(120)에 형성된 홀(121)을 통해 보호장치(300) 내측으로 들어가기 어렵다.
따라서, 치어(12)의 습성을 이용하여 보호장치(300)의 내측에서는 외측으로 통과하기 쉽고, 보호장치(300)의 외측에서는 내측으로 재진입하기 어려우므로 성어(11)로부터 치어(12)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보호장치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분리판을 이용한 보호장치를 수족관에 설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용도 분리판(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족관(10) 내를 수평하게 가로질러 수족관(1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볼록부(110)가 위쪽으로 형성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족관(10)은 다용도 분리판(100)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로 나뉠 수 있다.
따라서, 치어(12)는 물고기의 습성에 따라 수족관의 상부에서 볼록부(110)보다 오목부(120)에 모이기 쉬우므로, 오목부(120)에 형성된 홀(121)을 통해 수족관(10)의 하부로 이동하기 쉽고, 수족관(10)의 하부에서 치어(12)는 오목부(120)보다 볼록부(110)에 모이기 쉬우므로, 오목부(120)에 형성된 홀(121)을 통과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수족관(10)의 하부에는 치어(12)가 서식하고, 상부에는 성어(11)가 서식하여 치어(12)는 성어(11)로부터 다용도 분리판(100)으로 인하여 보호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분리판을 이용한 보호장치를 수족관에 설치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용도 분리판(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족관(10)의 내 쪽에 수직 방향으로 수족관(10)을 가로지르며 형성되어 좌측과 우측의 두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용도 분리판(1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200)가 다용도 분리판(200)의 일단에 형성되어 수족관(10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수족관(10)의 물은 다용도 분리판(100)을 넘지 않도록 하여 다용도 분리판(100)을 넘어 성어(11)와 치어(12)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족관(10)의 좌측에 볼록부가 돌출되도록, 우측에 오목부가 돌출되도록 하여 좌측에 성어(11)를 우측에 치어(12)를 서식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치어(12)는 물고기의 습성에 의해, 오목부(120)에 형성된 홀(121)을 수족관(10)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통과하기 어렵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통과하기 쉬우므로 좌측에 위치한 성어(11)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이상으로 상기의 내용에서는 다용도 분리판이 수족관의 내 쪽에 설치 및 보호장치에 구비되어 치어를 성어로부터 분리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이었다면, 이하의 내용은 여과조의 여과부에서 여과필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을 고르게 퍼지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용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수족관과 여과조 설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과조(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족관(1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수족관(1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여과하고, 이를 다시 수족관(10)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상생물에 유익한 호기성 박테리아 형성에 유리하도록 수족관(10)의 수질을 유지하여 수상생물의 서식 환경이 유익하도록 만들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분리판을 이용한 여과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과조(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410), 여과수조(420) 및 모터부(4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여과조(400)는 수족관(10)에서 배수된 물이 배수관(401)을 따라 여과부(410)에 도착하여 여과필터(411)를 지나 여과수조(420)에 모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렇게 여과수조(420)에 모이는 물을 모터부(430)의 모터(431)가 입수관(402)를 통해서 수족관(10)으로 다시 공급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용도 분리판(100)이 구성에서 빠진 여과조(400)의 경우를 고려해보면, 배수관(401)에서 여과필터(411)로 들어가는 물이 여과필터(411)의 상면 전체에 골고루 퍼지지 못하고 여과필터(411)의 일정 부분으로만 지속적으로 통과시켜 물을 여과하는 경우이므로, 여과가 효율적이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용도 분리판(100)을 적용함으로써, 여과부(410)에 도달하는 배수관(401)의 물이 여과필터(411)의 상면에 골고루 퍼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과필터(411)의 상부에서 여과부(410)와 다용도 분리판(100)의 틈으로 물이 새지 않도록 하고, 다수의 홀(121)이 형성된 다용도 분리판(100)의 오목부(120)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관(401)을 통해 다용도 분리판(100)의 상부에 도달하는 물이 좁은 홀(121)을 한꺼번에 통과하지 못하고 다용도 분리판(100)의 상부에서 넓게 퍼지게 된다. 그리고, 다용도 분리판(100)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홀(121)을 통해 물을 여과필터(411)의 상부에 공급되도록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여과부(410)에 다용도 분리판(100)을 설치함으로써, 다용도 분리판(100)의 오목부(120)에 형성된 홀(121)을 통해 물이 여과필터(411)의 상부에 골고루 공급되어 여과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분리판 110 : 볼록부
120 : 오목부 121 : 홀
130 : 돌기 140 : 홈
150 : 절단선 200 : 고정부재
300 : 보호장치 400 : 여과조
401 : 배수관 402 : 입수관
410 : 여과부 411 : 여과필터
420 : 여과수조 430 : 모터부
431 : 모터

Claims (6)

  1. 분리판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복수의 볼록부; 및
    홀이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는 동일 평면상에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분리판을 분리시키도록 격자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절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하부에서 상부로 테이퍼진 사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테이퍼진 사각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상부와 상기 절단선 사이에는 연결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볼록부 표면에 형성된 돌기 및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상기 볼록부 하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
KR1020120106528A 2012-09-25 2012-09-25 다용도 분리판 KR101372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528A KR101372289B1 (ko) 2012-09-25 2012-09-25 다용도 분리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528A KR101372289B1 (ko) 2012-09-25 2012-09-25 다용도 분리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289B1 true KR101372289B1 (ko) 2014-03-11

Family

ID=5064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528A KR101372289B1 (ko) 2012-09-25 2012-09-25 다용도 분리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2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3552A (zh) * 2019-09-19 2019-12-20 王舒怡 一种水产养殖用的鱼苗培养装置
CN113562848A (zh) * 2021-07-29 2021-10-29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城市硬质河道的微生态系统构建方法
KR102659041B1 (ko) * 2023-11-29 2024-04-18 김필원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372A (ja) 1999-10-18 2001-04-24 Tominaga Jushi Kogyosho:Kk 観賞飼育容器の仕切装置
KR20040072236A (ko) * 2003-02-10 2004-08-18 박병재 수족관 및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372A (ja) 1999-10-18 2001-04-24 Tominaga Jushi Kogyosho:Kk 観賞飼育容器の仕切装置
KR20040072236A (ko) * 2003-02-10 2004-08-18 박병재 수족관 및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3552A (zh) * 2019-09-19 2019-12-20 王舒怡 一种水产养殖用的鱼苗培养装置
CN110583552B (zh) * 2019-09-19 2021-06-22 佛山市湘华粤水产品有限公司 一种水产养殖用的鱼苗培养装置
CN113562848A (zh) * 2021-07-29 2021-10-29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城市硬质河道的微生态系统构建方法
KR102659041B1 (ko) * 2023-11-29 2024-04-18 김필원 치어 및 성어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어항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6950B1 (ja) 魚類卵回収具および魚類卵回収方法
USD735541S1 (en) Aquatic conservation cage
RU2006142660A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рыбы в поликультуре в садках
KR101372289B1 (ko) 다용도 분리판
Calle-Triviño et al. Assisted fertilization of threatened Staghorn Coral to complement the restoration of nurseries in Southeastern Dominican Republic
KR101327397B1 (ko) 해삼양식용 인공어초
CN111387104A (zh) 被养殖生物的养殖设施
CN107125186B (zh) 大型溞养殖采集池以及采集方法
KR101598322B1 (ko) 다기능 계단형 인공어초
JP5687382B1 (ja) 水槽
KR20140137512A (ko) 개체굴 양식용 부유망식 구조물
KR101716651B1 (ko) 저인망 어업 방지기능을 갖는 인공어초
KR20130031808A (ko) 해삼 및 전복 복합 가두리 양식장치
KR101941538B1 (ko) 다중 육면체 구조를 갖는 인공어초
KR20100086841A (ko) 수벌생산용 소초광
Kemp Abnormal development in embryos and hatchlings of the Australian lungfish, Neoceratodus forsteri, from two reservoirs in south-east Queensland
JP2016174580A (ja) 畜養具
JP3196564U (ja) 藻場礁及び生物捕獲部材
JP5793801B2 (ja) 水生生物用捕獲具
JP2012152126A (ja) 植生浮島における水生植物の根茎保護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植生浮島
CN203912975U (zh) 一种用于野生花鲈鲤驯养的隔音驯养池
KR20110087511A (ko) 치어 보호용 어항
CN202857549U (zh) 一种自动收集鱼卵的装置
KR101412045B1 (ko) 이중배수장치가 장착된 수서생물 다단시스템 사육용 유리수조
KR20090000182U (ko) 굴 패각 투석식 강제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