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2236A - 수족관 및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 및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2236A
KR20040072236A KR1020030008222A KR20030008222A KR20040072236A KR 20040072236 A KR20040072236 A KR 20040072236A KR 1020030008222 A KR1020030008222 A KR 1020030008222A KR 20030008222 A KR20030008222 A KR 20030008222A KR 20040072236 A KR20040072236 A KR 20040072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rium
partition plate
aquarium body
inner spac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재
Original Assignee
박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20030008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2236A/ko
Publication of KR20040072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2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족관 및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족관본체와; 상기 수족관본체 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부 공간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 및 방법만으로도 수족관본체 내부를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여러 개의 수족관을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 및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족관 및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Aquarium and partition for aquarium}
본 발명은, 수족관 및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 및 방법만으로도 수족관본체 내부를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여러 개의 수족관을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 및 번거로움을 해소시킨 수족관 및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수족관은 유리재질로 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원기둥 형상으로 기립배치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수족관은 가정이나 회사, 혹은 카페 등과 같이, 일정한 내부 공간에서 물고기나 어패류를 기르기 위해 사용된다.
종전만 하더라도, 수족관 내에 빛깔과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금붕어만을 기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근자에 들어서는 일정 크기의 금붕어 외에도, 몸집이 아주 작은 열대어나 자라, 혹은 소라 및 조개와 같은 어패류를 기르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만일, 물고기나 어패류에 좀 더 관심이 많고 비교적 큰 수족관을 준비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여과시스템, 히터 및 공기펌프 등을 구비해 놓고 실제 바다 속과같이 다양하고도 많은 종류의 물고기나 어패류를 기르고자 할 것이다.
그런데, 관상용으로 기르는 이들 물고기 및 어패류 역시, 서로 서로간에는 생존에 따른 사슬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제로 이들을 분리해 놓지 않게 되면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의 먹이가 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한 공간 내에 자라와 금붕어를 함께 넣어 두면, 금붕어는 자라의 먹이가 될 수밖에 없다. 이는 잉어나 금붕어와 함께 열대어를 같이 넣어 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열대어, 금붕어, 잉어 및 자라 등 사슬구조에 놓은 다른 종류의 물고기 및 어패류를 모두 기르면서 관상하고자 한다면, 여러 개의 수족관을 준비하고 이들을 서로 격리시켜야 할 것이다.
그런데, 하나의 수족관 내에서 같은 종류의 물고기만을 기르는 경우일지라도 일정 기간이 되면 산란기가 도래하여 알을 낳게 되는데, 알을 낳게 되면 다른 물고기들의 먹이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알은 낳는 산란기에는 마땅히 다른 물고기와 격리시켜야만 하나, 산란기간을 위해, 별도의 수족관을 더 준비한다는 것은 번거롭고도 귀찮은 일이 될 것이다.
이에, 별도의 수족관을 따로 구비하지 않고서도 하나의 수족관 내부를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하나의 공간에는 산란기가 도래한 물고기나 혹은 먹이로 제공될 치어 등을 넣어두고, 다른 공간에는 일반 관상용 물고기나 어패류 등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 및 방법만으로도 수족관본체 내부를 두 개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여러 개의 수족관을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 및 번거로움을 해소시킨 수족관 및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수족관 내부 공간을 임의적으로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더라도 예를 들어 여과시스템, 히터 및 공기펌프 등과 같은 수족관에 필요한 부속장치를 이중으로 구비해야 하는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한 수족관 및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절취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부분 절취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 : 수족관본체 20,120 : 구획판
21,121 : 관통공 30 : 지지판
40,40a : 안내부 41 : 흡착부재
42 : 레일부재 44 : 슬라이딩홈
48 : 레일블럭 130 : 행거
130a : 돌출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수족관본체와; 상기 수족관본체 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부 공간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족관본체가 사각통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구획판의 양측면 중 어느 일면에는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벽에 접촉지지되어 상기 구획판을 상기 수족관본체 내의 소정 위치로 유지시키는 지지판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상기 구획판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이 상기 수족관본체 내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벽 중 어느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획판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내부는, 상기 구획판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벽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흡착부재와; 일단은 상기 흡착부재에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구획판의 측면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레일부재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레일부재는 부분적으로 분할 가능하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구획판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벽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흡착부재와; 일단은 상기 흡착부재에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구획판의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레일이 형성된 레일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구획판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벽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흡착부재와; 상기 구획판의 측면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이격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기 흡착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블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수족관본체가 기립배치되는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구획판을 상기 원기둥형상으로 된 수족관본체 내에서 위치유지시키는 위치유지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유지부는, 일단이 상기 구획판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족관본체의 단부에 걸려 상기 원기둥형상의 수족관본체 내부에서 상기 구획판을 가로방향으로 위치유지시키는 행거로 채용할 수도 있고, 상기 원기둥형상의 수족관본체의 내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구획판의 하향 이동을 저지하는 돌출부로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구획판의 판면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획판은 투명재질, 반투명재질 및 불투명재질 중 어는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수족관본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수족관의 내부공간 구획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족관본체 내에 삽입되어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부 공간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의 양측면 중 어느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벽에 접촉지지되어 상기 구획판을 상기 수족관본체 내의 소정 위치로 유지시키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수족관본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수족관의 내부공간 구획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족관본체 내에 삽입되어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부 공간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이 상기 수족관본체 내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벽 중 어느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획판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각 실시예의 설명 중,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족관본체(10)와, 수족관본체(10)의 내부공간을 두 개의 공간(R1,R2)으로 구획하는 구획판(20)을 갖는다.
제1실시예에 따른 수족관본체(10)는 그 측면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가로방향을 따라 직사각형 형상으로 된 것을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구획판(20)은 비교적 얇은 사각 형상의 판상체로 형성되는데, 투명재질이나 반투명재질, 혹은 불투명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획판(20)의 판면에는 복수의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1)은 구획판(20)으로 구획된 수족관본체(10) 내의 두 공간 사이로 물이나 먹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여과시스템, 히터 및 공기펌프 등과 같이 일측에 장착해 놓은 수족관에 필요한 부속장치를 두 공간(R1,R2)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때, 관통공(21)은 수족관본체(10) 내에서 기르는 물고기 및 어패류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할 것이다.
구획판(20)의 양측면에는 수족관본체(10)의 내벽에 접촉지지되어 구획판(20)을 수족관본체(10) 내의 소정 위치로 유지시키는 지지판(30)이 마련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판(20)의 양측에는 구획판(20)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평면투영시 구획판(20)과 함께 "H"형상을 이루는지지판(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판(30)은 구획판(20)과는 별도로 제조되어 구획판(20)의 양측에 결합될 수도 있고 구획판(20)과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에, 수족관본체(10) 내에 물고기를 넣어 기르다가, 어느 하나의 물고기가 산란기에 도래하거나 혹은 먹이사슬 상위에 위치한 다른 종류의 물고기 및 어패류를 수족관본체(10) 내에 투입할 경우, 수족관본체(10) 내로 지지판(30)이 마련된 구획판(20)을 삽입한다. 그러면, 지지판(30)의 넓은 면이 수족관본체(10)의 대향하는 양측면에 각각 접촉지지되기 때문에 수족관본체(10)의 내부 공간은 간단하게 두 개의 공간(R1,R2)으로 구획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구획판(20)을 알루미늄과 같이 탄성력을 갖는 얇은 판상체로 제조하면서 그 가로길이(H2)를 수족관본체(10)의 대향하는 내벽간의 길이(H1)보다 좀 더 길게 제조한다면, 한 쌍의 지지판(30)이 수족관본체(10)의 대향하는 내벽에 각각 지지될 경우, 구획판(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구획판(20)은 수족관본체(10) 내에서 좀 더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
제2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부분 절취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족관 역시, 수족관본체(10)와, 수족관본체(10)의 내부공간을 두 개의 공간(R1,R2)으로 구획하는 구획판(20)을 갖는다.
제2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구획판(20)이 수족관본체(10) 내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수족관본체(10)의 내벽 중 어느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구획판(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40)를 더 마련하여 구획판(20)을 수족관본체(10) 내부로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있다.
제2실시예에 마련된 안내부(40)는,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판(20)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수족관본체(10)의 내벽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흡착부재(41)와, 일단은 흡착부재(41)에 결합되는 결합홈(43)이 형성되고 타단은 구획판(20)의 양측면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44)이 형성된 레일부재(42)를 포함한다.
흡착부재(41)는, 메모꽂이나 화장실의 비누걸이대 등을 공기압축방식으로 결합시키고자 할 때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레일부재(42)는 수족관본체(10)의 높이와 거의 엇비슷한 길이를 갖는 긴 막대형상으로 제조되며, 수족관본체(10)의 대향하는 양측벽에 흡착부재(41)에 의해 각각 결합된다.
이에, 도 2에서와 같이, 흡착부재(41)를 레일부재(42)의 결합홈(43)에 각각 끼워 넣고, 수족관본체(10)의 대향하는 양측벽에 각각 흡착시킨다. 그리고 나서, 한 쌍의 레일부재(42)에 형성된 슬라이딩홈(44)으로 구획판(20)의 양측면을 끼워 슬라이딩 삽입함으로써 간단하게 구획판(20)을 수족관본체(10) 내에 장착하여 수족관본체(10) 내부의 공간의 두 개의 공간(R1,R2)으로 구획할 수 있게 된다.
제3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의 분해 사시도로써, 그 전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제2실시예에서 보면, 레일부재가 수족관본체(10)의 높이와 거의 엇비슷한 막대형상으로 제조되는 반면, 제3실시예에서는, 레일부재(42)가 부분적으로 분할된 단위부분(42a,42b)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수족관본체(10)의 내벽에 두 개의 흡착부재(41)와 이에 대응한 2개의 단위부분(42a,42b)만을 마련하면 되며, 이렇게 구성하더라도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수족관본체(10) 내부의 공간의 두 개의 공간(R1,R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전술한 제2 및 제3실시예에서 보면, 레일부재(42)에 슬라이딩홈(44)이 마련되어 있고, 이 슬라이딩홈(44)으로 구획판(20)의 양측면이 슬라이딩되면서 수족관본체(10) 내로 삽입된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구획판(20)의 양측면에 슬라이딩홈(20a)을 마련하고, 흡착부재(41)에 의해 수족관본체(10) 내에 부착되는 레일부재(42)에는 슬라이딩홈(20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레일(45)을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5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부분 절취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은,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족관본체(10)와, 수족관본체(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20)과, 구획판(20)이 수족관본체(10) 내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수족관본체(10)의 내벽 중 어느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구획판(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40a)를 갖는다.
제5실시예에서 안내부(40a)는, 구획판(20)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수족관본체(10)의 내벽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흡착부재(41)와, 구획판(20)의 측면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이격간격(H)을 사이에 두고 흡착부재(41)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블럭(48)을 갖는다.
즉, 제2 및 제3실시예에서는, 레일부재(42)에 슬라이딩홈(44)을 형성하고 있지만 제5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레일블럭(48)을 구획판(20)의 두께만큼 이격(H)되게 배치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일블럭(48)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H)이 제2 및 제3실시예의 슬라이딩홈(44, 도 3 참조) 역할을 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레일블럭(48) 역시, 도 6처럼 길게 일체로 마련할 수도 있고, 작게 형성하여 제3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채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6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보면 전술한 제1 내지 제5실시예와는 달리, 수족관본체(110)가 기립배치되는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수족관본체(110)가 소정의 지지체(110)에 의해 원기둥형상으로 기립배치될 경우, 관통공(121)이 형성된 구획판(120)은 전술한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수족관본체(110) 내에 삽입되어 그 위치를 유지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제6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은, 구획판(120)을 원기둥형상으로 된 수족관본체(110) 내에서 위치유지시키는 위치유지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제6실시예에서 위치유지부로는, 일단이 구획판(120)에 결합되고 타단은 수족관본체(110)의 단부에 걸려 원기둥형상의 수족관본체(110) 내부에서 구획판(120)을 가로방향으로 위치유지시키는 복수의 행거(130)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비교적 얇은 철사를 이용하여 구획판(120)을 매달아 둠으로써 구획판(120)을 수족관본체(110) 내에 마련하여, 수족관본체(110)의 내부 공간은 상하 두 개의 공간(R1,R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7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수족관 역시, 전술한 제6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지지체(110)에 의해 원기둥형상으로 기립배치된 수족관본체(110)와, 수족관본체(110)의 내부 공간을 두 개의 공간(R1,R2)으로 구획하는 구획판(120)과, 구획판(120)을 수족관본체(110) 내에서 위치유지시키는 위치유지부를 포함한다.
제7실시예에서는 위치유지부로, 수족관본체(110)의 내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구획판(120)의 하향 이동을 저지하는 돌출부(130a)로 채용하고 있다. 이 때, 돌출부(130a)는, 사용자가 원하는 수족관본체(110) 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전술한 흡착부재(41)와 같은 방식이나 혹은, 접착제 및 테이프가 마련되어 수족관본체(110)의 내벽에 달라붙게 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에, 도 10과 같이, 수족관본체(110)의 일정한 위치에 돌출부(130a)를 마련하고 구획판(120)을 넣게 되면, 구획판(120)의 둘레면이 돌출부(130a)에 걸림유지됨으로써 더 이상의 하향이동은 저지된다. 따라서, 수족관본체(110)는 구획판(120)을 사이에 두고 상부와 하부의 두 개의 공간(R1,R2)으로 간단히 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족관본체(10,110)의 내부 공간을 두 개의 공간(R1,R2)으로 구획함으로써 물고기의 산란기나 혹은 서로 다른 크기 및 종류의 물고기나 어패류를 하나의 수족관 내에서 수용시켜 관상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개의 수족관을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 및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처럼 수족관본체(10,110) 내부 공간을 임의적으로 두 개의 공간(R1,R2)으로 구획하더라도 구획판(20,120)에 관통공(21,12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여과시스템, 히터 및 공기펌프 등과 같은 수족관에 필요한 부속장치를 이중으로 구비해야 하는 부담을 덜 수 있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하나의 구획판을 사용함으로써 수족관본체 내의 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시키는 것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수족관본체 내의 공간을 3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고자 한다면 구획판을 2개 이상 사용하면 되는 바, 이에 대해서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구획판에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획판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구획판의 양측에 지지판을 각각 마련하고 있지만, 지지판은 구획판의 일측에만 마련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지지판의 재질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지지판의 노출면에 고무와 같은 재질을 부착한다면 수족관본체의 내벽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추가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제2실시예에서는, 안내부로 공기압축방식의 흡착부재와 레일부재로 소개하였다. 그러나, 흡착부재는 반드시 전술한 공기압축방식의 흡착부재일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레일부재의 일면에 양면테이프나 접착제를 붙여 두고 이 레일부재만을 수족관본체의 내벽에 붙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흡착부재는 양면테이프나 접착제가 될 것이다.
전술한 제2실시예에서는, 레일부재를 수족관본체의 대향하는 내벽에 각각 마련하고 있지만 수족관본체의 대향하는 내벽 중 일측에만 레일부재를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제2 및 제3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홈이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도브테일형상으로 슬라이딩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마땅히 구획판의 양측면 형상도 이에 대응하도록 도브테일형상으로 제조해야 할 것이다.
전술한 제2 및 제3실시예에서는 흡착부재와 레일부재를 분리시켜 놓고 있으나, 이들은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수족관을 그 예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수족관이 이미 갖춰져 있는 상태라면 구획판과 구획판을 수족관본체에 지지시키기 위한 전술한 수단들, 예를 들어 전술한 지지판, 안내부 등을 갖추면 될 것이다.
따라서, 하기의 청구범위 독립항 제14항 및 제15항에 기재된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할 것이다. 이 때의 구획장치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구획판과 지지판, 구획판과 안내부 등 구획판과 구획판을 수족관본체에 지지시키기 위한 각각의 수단들을 포함할 것이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 및 방법만으로도 수족관본체 내부를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여러 개의 수족관을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 및 번거로움을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수족관 내부 공간을 임의적으로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더라도 예를 들어 여과시스템, 히터 및 공기펌프 등과 같은 수족관에 필요한 부속장치를 이중으로 구비해야 하는 부담을 덜 수 있다.

Claims (15)

  1. 수족관본체와;
    상기 수족관본체 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부 공간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족관본체는 사각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획판의 양측면 중 어느 일면에는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벽에 접촉지지되어 상기 구획판을 상기 수족관본체 내의 소정 위치로 유지시키는 지지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구획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이 상기 수족관본체 내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벽 중 어느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획판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구획판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벽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흡착부재와; 일단은 상기 흡착부재에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구획판의 측면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레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는 부분적으로 분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구획판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벽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흡착부재와; 일단은 상기 흡착부재에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구획판의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레일이 형성된 레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구획판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벽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흡착부재와; 상기 구획판의 측면이 삽입되어슬라이딩되는 이격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기 흡착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족관본체는 기립배치되는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획판을 상기 원기둥형상으로 된 수족관본체 내에서 위치유지시키는 위치유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유지부는, 일단이 상기 구획판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족관본체의 단부에 걸려 상기 원기둥형상의 수족관본체 내부에서 상기 구획판을 가로방향으로 위치유지시키는 행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유지부는, 상기 원기둥형상의 수족관본체의 내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구획판의 하향 이동을 저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의 판면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투명재질, 반투명재질 및 불투명재질 중 어는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14. 수족관본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수족관의 내부공간 구획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족관본체 내에 삽입되어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부 공간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의 양측면 중 어느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벽에 접촉지지되어 상기 구획판을 상기 수족관본체 내의 소정 위치로 유지시키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
  15. 수족관본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수족관의 내부공간 구획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족관본체 내에 삽입되어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부 공간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이 상기 수족관본체 내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족관본체의 내벽 중 어느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획판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
KR1020030008222A 2003-02-10 2003-02-10 수족관 및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 KR20040072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222A KR20040072236A (ko) 2003-02-10 2003-02-10 수족관 및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222A KR20040072236A (ko) 2003-02-10 2003-02-10 수족관 및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236A true KR20040072236A (ko) 2004-08-18

Family

ID=37359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222A KR20040072236A (ko) 2003-02-10 2003-02-10 수족관 및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2236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109B1 (ko) * 2010-01-27 2012-03-20 남다겸 신축되는 치어 보호용 분리막 장치
KR101272500B1 (ko) * 2012-11-19 2013-06-11 대한민국 회전식 탈부착 칸막이형 수조
KR101372289B1 (ko) * 2012-09-25 2014-03-11 김경순 다용도 분리판
KR20190001235U (ko) * 2017-11-17 2019-05-27 심규운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수족관
CN110999847A (zh) * 2019-12-31 2020-04-14 广东潮汇水产有限公司 一种资源化水产品分类的活性暂养设备
KR20200001359U (ko) * 2018-12-14 2020-06-24 정계환 수조겸용 테이블
WO2022076292A1 (en) * 2020-10-06 2022-04-14 Spectrum Brands, Inc. Aquarium having multiple compartments and panel arrangement(s) between the compartments
KR102438266B1 (ko) * 2021-12-08 2022-08-30 정재우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
USD968715S1 (en) 2020-10-06 2022-11-01 Spectrum Brands, Inc. Aquarium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109B1 (ko) * 2010-01-27 2012-03-20 남다겸 신축되는 치어 보호용 분리막 장치
KR101372289B1 (ko) * 2012-09-25 2014-03-11 김경순 다용도 분리판
KR101272500B1 (ko) * 2012-11-19 2013-06-11 대한민국 회전식 탈부착 칸막이형 수조
KR20190001235U (ko) * 2017-11-17 2019-05-27 심규운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수족관
KR20200001359U (ko) * 2018-12-14 2020-06-24 정계환 수조겸용 테이블
CN110999847A (zh) * 2019-12-31 2020-04-14 广东潮汇水产有限公司 一种资源化水产品分类的活性暂养设备
WO2022076292A1 (en) * 2020-10-06 2022-04-14 Spectrum Brands, Inc. Aquarium having multiple compartments and panel arrangement(s) between the compartments
USD968715S1 (en) 2020-10-06 2022-11-01 Spectrum Brands, Inc. Aquarium
USD1010943S1 (en) 2020-10-06 2024-01-09 Spectrum Brands, Inc. Aquarium
KR102438266B1 (ko) * 2021-12-08 2022-08-30 정재우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7305A (en) Wall hanging
KR20040072236A (ko) 수족관 및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
US6543386B1 (en) Separator for a fish display tank
US20070011939A1 (en) Storage systems
US5857430A (en) Magnetic display apparatus for aquarium
EP1427081A3 (en) System for fastening cable mesh trays on support sections
US3735738A (en) Wall mountable aquarium
US20160128301A1 (en) Modular containment system
KR200441498Y1 (ko)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US7044081B1 (en) Bifurcated habitat for animals
CN108703100B (zh) 水族箱和非破坏性过滤系统
JP6714250B1 (ja) 浄水装置及び濾過ブロック
US6866006B1 (en) Aquarium system
KR20150134015A (ko) 어항용 탈부착식 분리 칸막이
JP2007068455A (ja) 観賞用水槽
KR20190121624A (ko) 어항용 분리 칸막이
US6279762B1 (en) Knockdown frame storage system
US20190254253A1 (en) Universal sill mountable device
US6029936A (en) Decorative fishbowl stand
JP2530373Y2 (ja) インテリア水槽ユニット
US20060130773A1 (en) Wall mounted flat screen aquarium w/interchangeable frames and mountings for pictures/art work
KR200492702Y1 (ko) 수조겸용 테이블
KR102210110B1 (ko) 거치용 식물 재배 장치
KR102360500B1 (ko) 거치용 식물 재배 장치
KR200281857Y1 (ko) 수족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