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235U -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수족관 - Google Patents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235U
KR20190001235U KR2020170005883U KR20170005883U KR20190001235U KR 20190001235 U KR20190001235 U KR 20190001235U KR 2020170005883 U KR2020170005883 U KR 2020170005883U KR 20170005883 U KR20170005883 U KR 20170005883U KR 20190001235 U KR20190001235 U KR 201900012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rium
insert hole
water tank
hemispherical hea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411Y1 (ko
Inventor
심규운
Original Assignee
심규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규운 filed Critical 심규운
Priority to KR2020170005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11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2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2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배지 몸체를 접착시킨 베이스의 배면에 구비된 다수의 흡착구에 의해서 수초가 생육되는 배지 몸체를 수족관 벽체나 격벽에 용이하게 배치 및 수족관 인테리어를 사용자의 선택사양에 맞춰서 편리하게 조성할 수 있는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수족관에 관한 것이며,
수초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심어 수조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벽체 일측에 조립하기 위한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에 있어서,
수조의 물 흐름을 허용하는 다수의 통공부를 구비하며, 수생식물을 배지 몸체의 전면 일측에 구속시키는 배지 몸체;
상기 배지 몸체의 배면 일측을 고정하는 배지망 접착층과, 상기 배지망 접착층에 대향되는 몸체 후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인서트 홀을 구비한 마운팅부; 및
상기 벽체의 일측에 오목 내면이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접지부와, 상기 접지부의 상부로 돌출 연장되는 반구형 헤드를 구비하며, 조립시 상기 반구형 헤드가 상기 인서트 홀 내측으로 삽입되는 흡착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수족관{Base Module Apparatus For assembling Aquatic Plant and Aquarium utilizing therewith}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동력수생식물 배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수족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수족관 벽체나 격벽에 탈부착이 용이하며 수초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의 셋팅 성능 및 수족관 내부의 유기물 분해 성능이 개량된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음식점, 학교나 병원과 같은 공공시설 또는, 관상어 판매점 등에서는 실내환경을 자연친화적으로 조성한다거나 인테리어 효과와 함께 실내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어항이나 수족관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한 수족관은 통상적으로 가정 수족관(home aquarium)이나 열대어 수족관(tropical aquarium), 테라리엄(terrarium) 수조 및 사육수조(rearing aquarium)로 활용되고 있으며, 금붕어 및 열대어와 같은 관상용 어류의 사육과 더불어 수족관 내부에서 수초와 같은 수생식물이 함께 생육되도록 구비된다.
종래에 잘 알려진 수족관으로서, 한국특허등록 제10-1416489호(2014년 07월 01일자 등록)는 본 출원인이 연구 개발을 통하여 다수의 여과조를 구비한 수족관으로서 특허등록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는 수조 내부에 관상용 어류를 사육할 수 있으며 수조 바닥에 소일을 포함하는 배지를 미리 설치하여 수초를 생육할 수 있으며, 수초가 미리 세팅된 수족관을 판매 및 이동할 수 있는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수초를 증식 및 생육시키기 위해 식물체의 절간(stem node)이나 식물체의 조직 또는 기관을 일부 잘라 고상의 영양배지에 치상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증식 기간을 단축하고 생산과정을 단순화시킨 액상배지를 활용하는 방법도 한국특허등록 제10-1273385호(2013년 06월 04일자 등록)로 개시된 바 있다.
전술한 고상배지나 액상배지는 수생식물의 조직 배양 및 증식에 요구되는 배지에 글루코스 (Glucose) 등의 단당류 또는 수크로스(Sucrose) 등의 이당류 등 탄수화물을 포함하는 양분을 제공해 관리하여야 하며, 수족관에 적용하는데 기술적인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수족관의 수질에 유익한 박테리아는 호기성으로 물속에 녹아있는 용존산소량이 풍부하고, 박테리아가 부착될 수 있는 여과면적이 클 때 수족관이나 어항과 같은 수조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인 유기물을 생물학적으로 분해한다. 그러한 박테리아에 의해서 유기물의 농도가 낮고, 부유물질이 적은 수조 내부의 물은 관상용 어류들이 생존할 수 있는 유익한 생태환경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하지만, 장기간 사용시에 수족관의 물에는 사료찌꺼기와 물고기들이 배설하는 배설물 및 물속 미생물들의 잔재 또는 먼지와 같은 기타 오염물질들이 상존하게 되며, 자연상태에서와는 달리 수족관 내의 오염물질은 자연적으로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오염물질들은 분해되어 암모니아에서 아질산염 그리고 질산염으로 변하면서 독성물질이 되어 어류들의 생존환경에 위협적인 요소가 되므로, 관상용 어류의 양호한 생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수조물의 물갈이 및 오염물질을 제거시켜야 하며 특히 수초의 생육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그러한 문제점을 고려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종래의 수생식물 설치용 배치 모듈로 활용되도록 어항과 식물 배양병을 결합한 기술이 한국특허등록 제10-0730747호(2007년 06월 14일자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는 다수개의 배양병을 어항내에 고정시켜서 수생 식물을 배양 및 생육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생식물 설치용 배치 모듈로서 수족관내 수생 식물 배양장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2)의 바닥에 식물배양용기(1)의 바닥부가 고정되는 구조이다.
수조 내에서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된 식물배양용기(1)의 하부에 구비된 배지에 수초가 고정 및 생육되기 때문에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항시적으로 용기를 수조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함으로서 수족관 내부에서 다양하게 수초 인테리어를 셋팅 및 조성하는데 기술적 한계가 있다.
또한, 수조 내에서 관상용 어류의 배설물 등의 유기물이 부유되어 식물배양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수조물의 혼탁 및 미관을 저해함은 물론 수조물의 여과 성능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 한국특허등록 제10-0730747호(2007년 06월 14일자 등록) - 한국특허등록 제10-1273385호(2013년 06월 04일자 등록)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초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의 셋팅시에 수족관 벽체나 격벽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으며, 수조의 흐름이 배지 모듈을 통과되도록 함으로서 관상용 어류의 배설물과 같은 유기물의 생물학적 분해를 촉진하여 수초에 유익한 환경을 조성하는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수족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기술적 특징으로서,
수초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심어 수조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벽체 일측에 조립하기 위한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에 있어서,
수조의 물 흐름을 허용하는 다수의 통공부를 구비하며, 수생식물을 몸체의 전면 일측에 구속시키는 배지 몸체;
상기 배지 몸체의 배면 일측을 고정하는 배지망 접착층과, 상기 배지망 접착층에 대향되는 몸체 후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인서트 홀을 구비한 마운팅부; 및
상기 벽체의 일측에 오목 내면이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접지부와, 상기 접지부의 상부로 돌출 연장되는 반구형 헤드를 구비하며, 조립시 상기 반구형 헤드가 상기 인서트 홀 내측으로 삽입되는 흡착구;를 포함하되,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인서트 홀의 내벽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인서트 홀의 입구보다 적은 직경이 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지지턱을 구비하는 고정홀을 포함하며,
상기 반구형 헤드가 상기 인서트 홀에 끼움된 후 상기 고정홀의 내측으로 이동시에 상기 지지턱에 걸림되어 상기 배지 몸체의 움직임이 상기 벽체의 일측에 구속되는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을 제공한다.
개시된 내용은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서, 상기 배지 몸체가 제1 미세망과 제2 미세망이 교차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을 제공한다.
개시된 내용은 또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서, 상기 배지 몸체가 소직경 통공부와 상기 소직경 통공부보다 큰 대직경 통공부를 랜덤하게 형성시킨 통공구조를 포함하는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을 제공한다.
개시된 내용은 또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서, 상기 흡착구는 고무재로 형성되어 일체로 구성되는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을 제공한다.
개시된 내용은 또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서,
상면이 개구된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격판에 의해 구획되는 메인 여과조;
상기 메인 여과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배수관과 연결되는 펌프; 및
상기 격판의 하부 일측 소정 위치에 구성되며, 상기 수조에서 유동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1차적으로 여과하는 보조 여과조;
수조의 물 흐름을 허용하는 다수의 통공부와, 몸체의 배면 일측을 고정하는 배지망 접착층을 구비하며, 수생식물을 몸체의 전면 일측에 구속시키는 배지 몸체;
상기 배지망 접착층에 대향되는 몸체 배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인서트 홀과, 상기 인서트 홀의 내벽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인서트 홀의 입구보다 적은 직경이 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지지턱을 구비하는 고정홀을 구비한 마운팅부가 형성된 베이스; 및
상기 벽체의 일측에 오목 내면이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접지부와, 상기 접지부의 상부로 돌출 연장되는 반구형 헤드를 구비하며, 조립시 상기 반구형 헤드가 상기 인서트 홀 내측으로 삽입되는 흡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생식물 배지 모듈을 구비한 수족관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배지 몸체를 접착시킨 베이스의 배면에 구비된 다수의 흡착구에 의해서 수초 및 이끼류가 생육되는 배지 몸체를 수족관 벽체나 격벽에 용이하게 배치 및 사용자의 다양한 선택사양에 맞춰서 수족관 인테리어를 편리하게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관상용 어류의 배설물과 같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수조의 흐름을 따라 배지 몸체를 통과하도록 하여 여과 및 생물학적 분해가 촉진되어 수조의 생육은 물론 수조내에서 관상용 어류 및 양서류에 유익한 환경이 조성되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생식물 설치용 배치 모듈로서 수족관내 수생 식물 배양장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생식물 배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수족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표시한 A-A 단면선을 따른 일부 단면을 토대로 흡착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a는 도 2에 'B'로 표기된 배지 몸체의 부분 확대도,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지 몸체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수조에 설치된 수생식물 배지 모듈의 조립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배지 모듈이 조립된 테라리엄 수조의 도면대용 사진,
이하에는,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수생식물 설치용 배치 모듈로서 수족관내 수생 식물 배양장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생식물 배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수족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표시한 A-A 단면선을 따른 일부 단면을 토대로 흡착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a는 도 2에 'B'로 표기된 배지 몸체의 부분 확대도,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지 몸체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수조에 설치된 수생식물 배지 모듈의 조립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개시된 본 고안은 수초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심어 수조(2)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벽체(4) 일측에 조립하기 위한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에 적용된다.
배지 몸체(30)는 수조(2)의 물 흐름이 몸체를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다수의 통공부(H)와 배지망 접착층(26)을 구비하며, 상기 배지망 접착층(26)을 통해서 후술하는 베이스(20)의 전면에 접착된다. 수초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은 상기 배지 몸체(30)의 전면 일측에 구속되어 생육된다.
상기 배지 몸체(3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미세망(31)과 상기 제1 미세망(31)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 미세망(33)이 교차되는 구조로서 생육을 위하여 수초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의 일측을 고정 혹은 심지시킴과 더불어 수조 내에서 유동하는 이물질, 예를 들면 관상용 어류의 배설물이 다수의 통공부(H)를 통과할 때 이를 분해 및 여과시키는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미세망(31)과 상기 제2 미세망(33)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중첩 혹은 연결되는 압착된 미세망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수초의 고정 및 이물질의 여과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적인 변형을 가질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지 몸체(30)는 대직경 통공부(31a)와 상기 대직경 통공부 보다 적은 소직경 통공부(33a)를 랜덤하게 형성시킨 통공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대직경 통공부 및 소직경 통공부(31a, 33a) 각각의 내부는 몸체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통되어 수조 내에서 이뤄지는 물의 흐름 및 이물질의 유동에 대한 생물학적 분해를 촉진한다.
개시된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은, 상기 배지망 접착층(26)에 대향되는 몸체 배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인서트 홀(22)을 구비한 마운팅부(20a)를 갖는 베이스(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수조(2)를 구성하는 재질, 예를 들면 투명 아크릴이나 플라스틱 자재에 상응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장방형의 4각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혹은 외관단부에서 원호 및 절곡 구조를 갖는 웨이브 가드(20b)를 포함하는 장방형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0)의 웨이브 가드(20b)는 실 및 끈을 포함하는 고정부재(31a)들이 감합되도록 지지하며, 상기 배지 몸체(30) 및 성장하는 수생식물 혹은 이끼류을 활착시킨다. 그에 따라, 상기 배지 몸체(30)의 전방측에서 활착된 수생식물 혹은 이끼류가 몸체 내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기물 및 분해 유기물을 흡수하여 생육과 더불어 수질을 정화시키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배지몸체(30)에 활착된 수생식물 혹은 이끼류는 수분이 유지되어 마르지 않고 그 뿌리가 배지몸체(30) 내측에 활착되어 건강하게 생육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수조를 포함하는 수족관의 인테리어를 고려하여 다양한 기하학적 변형을 가질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은 개시된 내용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흡착구(42)는, 상기 벽체(4)의 일측에 오목 내면이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접지부(41)와, 상기 접지부(41)의 상부로 돌출 연장되는 반구형 헤드(43)를 구비하며, 조립시 상기 반구형 헤드(43)가 상기 인서트 홀(22) 내측으로 삽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인서트 홀(22)의 내벽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인서트 홀(22)의 입구보다 적은 직경이 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지지턱(24)을 구비하는 고정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반구형 헤드(43)가 상기 인서트 홀(22)에 끼움된 후 상기 고정홀(23)의 내측으로 이동시에 상기 지지턱(24)에 걸림되어 상기 베이스(20)의 몸체 전면에 접착된 상기 배지 몸체(30)의 움직임이 상기 벽체(4)의 일측에 구속된다.
상기 흡착구(42)는 고무재로 형성되어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돌출헤드(43)는 서포트(44)에 의해 상기 접지부(41)의 상부에 돌출된 기립자세로 지지된다.
개시된 본 고안은 가정 수족관(home aquarium)이나 열대어 수족관(tropical aquarium), 양서류 사육용 수족관, 테라리엄수조 및 사육수조(rearing aquarium) 등을 포함하는 수족관의 수조 내벽이나 격벽을 포함하는 벽체에 탈부착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수조(2)의 상면은 개구된 개방 구조로 형성된다.
메인 여과조(5)는 상기 수조(2)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벽체 혹은 격판(4)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메인 여과조(5)는 수조(2) 내부의 물 중에 포함된 이물질 및 수조의 내부에서 사육되는 관상어에서 배출되는 배설물이 침전되는 침전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여과조(5)의 내부 소정 위치에는 배수관(7)과 연결되는 펌프(P)가 설치되며, 보조 여과조(8)는 상기 격판 혹은 벽체(4)의 하부 일측 소정 위치에 구성되어 상기 수조(2)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1차적으로 여과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조립과정에서,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은, 흡착구(42)의 하부에 형성된 접지부(41)가 수조의 벽체(4)에 밀착된다. 이때, 접지부(41)의 오목면이 탄성적으로 편평하게 변형되면서 수조의 벽체(4) 표면에 흡착된다. 그에 따라서, 흡착구(42)의 헤드(43) 상에 끼움된 베이스(20) 및 상기 베이스(20)의 몸체 전면에 접착된 배지 몸체(30)가 수조의 벽체(4)의 표면 상에 고정된다.
비록 도 5에 2열의 배지 몸체 배열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배지 몸체(30)는 상기 벽체(4)의 표면상에서 복수의 배열으로 변형된 다수의 배열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수조 내부의 물 흐름은 통상적으로 펌프(P)에서 토출되는 압력에 의존하여 형성되며, 상기 압력에 의해 수조 내부의 물은 배지 몸체(30)의 미세망 구조를 통과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술한 수조 내부의 물은 1차적으로 상기 배지 몸체(30)의 제1 미세망(31)의 가드(32)에 의해 형성되는 미세한 통공 구조를 지나며, 이후 제2 미세망(33)의 가드(34)에 의해 형성되는 다른 미세망 통공 구조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1 미세망(31)과 제2 미세망(33)이 상호 교차되는 구조에 의해서 물에 부유되는 이물질, 예를 들면 관상용 어류의 배설물이나 유기물은 제1 미세망(31)과 제2 미세망(33)에 걸림 및 분해되며, 또한 수초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의 뿌리에 양분으로 제공된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전술한 수조 내부의 물은 대구경 통공부(31a) 및 소구경 통공부(33a)을 통과하며, 내부 연통 구조를 지나는 과정에서 물에 부유되는 이물질이 분해되며, 또한 수초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의 뿌리에 양분으로 제공되고, 수족관 내부에서 이끼류의 서식을 위한 양분으로 조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배지 모듈이 조립된 테라리엄 수조의 도면대용 사진이다.
본 고안의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은, 거북이나 개구리 등을 포함하는 양서류를 관상용으로 생육시킬 수 있는 테라리엄 수조의 벽체(2) 일측에 탈부착 방식으로 조립되어 사용할 경우, 전술한 작동원리는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은, 관상용 어류나 양서류 등의 생물학적 배설물과 같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수조의 흐름을 따라 배지 몸체를 통과하도록 하여 여과 및 생물학적 분해가 촉진되어 수조의 생육은 물론 수조내에서 관상용 어류 및 양서류에 유익한 환경을 조성ㅎ한다.
또한, 배지 몸체를 접착시킨 베이스의 배면에 구비된 다수의 흡착구에 의해서 수초가 생육되는 배지 몸체를 수족관 벽체나 격벽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다양한 선택사양에 맞춰서 수족관 인테리어를 편리하게 셋팅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내용은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 수조
4: 벽체
5: 메인 여과조
6: 보조 여과조
20: 베이스
30: 배지 몸체
31, 33 : 배지 몸체의 미세망
42: 흡착구

Claims (5)

  1. 수초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심어 수조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벽체 일측에 조립하기 위한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에 있어서,
    수조의 물 흐름을 허용하는 다수의 통공부와 몸체의 배면 일측을 고정시키는 배지망 접착층을 구비하며, 수생식물을 몸체의 전면 일측에 구속시키는 배지 몸체;

    몸체 후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인서트 홀을 구비한 마운팅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벽체의 일측에 오목 내면이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접지부와, 상기 접지부의 상부로 돌출 연장되는 반구형 헤드를 구비하며, 조립시 상기 반구형 헤드가 상기 인서트 홀 내측으로 삽입되는 흡착구;를 포함하되,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인서트 홀의 내벽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 홀의 입구보다 적은 직경이 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지지턱을 구비하는 고정홀을 포함하며,
    상기 반구형 헤드가 상기 인서트 홀에 끼움된 후 상기 고정홀의 내측으로 이동시에 상기 지지턱에 걸림되어 상기 배지 몸체의 움직임이 상기 벽체의 일측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몸체는 제1 미세망과 제2 미세망이 교차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몸체는 소직경 통공부와 상기 소직경 통공부보다 큰 대직경 통공부를 랜덤하게 형성시킨 통공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구는 고무재로 형성되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
  5. 상면이 개구된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격판에 의해 구획되는 메인 여과조;
    상기 메인 여과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배수관과 연결되는 펌프; 및
    상기 격판의 하부 일측 소정 위치에 구성되며, 상기 수조에서 유동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1차적으로 여과하는 보조 여과조;
    수조의 물 흐름을 허용하는 다수의 통공부와, 몸체의 배면 일측을 고정하는 배지망 접착층을 구비하며, 수생식물을 몸체의 전면 일측에 구속시키는 배지 몸체;
    상기 배지망 접착층에 대향되는 몸체 배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인서트 홀과, 상기 인서트 홀의 내벽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인서트 홀의 입구보다 적은 직경이 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지지턱을 구비하는 고정홀을 구비한 마운팅부가 형성된 베이스; 및
    상기 벽체의 일측에 오목 내면이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접지부와, 상기 접지부의 상부로 돌출 연장되는 반구형 헤드를 구비하며, 조립시 상기 반구형 헤드가 상기 인서트 홀 내측으로 삽입되는 흡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 배지 모듈을 구비한 수족관.
KR2020170005883U 2017-11-17 2017-11-17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수족관 KR2004914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883U KR200491411Y1 (ko) 2017-11-17 2017-11-17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수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883U KR200491411Y1 (ko) 2017-11-17 2017-11-17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수족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35U true KR20190001235U (ko) 2019-05-27
KR200491411Y1 KR200491411Y1 (ko) 2020-04-03

Family

ID=6665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883U KR200491411Y1 (ko) 2017-11-17 2017-11-17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수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11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3856U (ja) * 1991-11-14 1993-06-15 邑治 鈴木 水槽の仕切板取付け構造
KR20040072236A (ko) * 2003-02-10 2004-08-18 박병재 수족관 및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
KR100730747B1 (ko) 2006-02-22 2007-06-20 김학현 조직배양용 어항
KR100934787B1 (ko) * 2009-05-22 2009-12-31 김준선 식생보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연녹화시스템
KR101273385B1 (ko) 2010-12-07 2013-06-11 화이젠 주식회사 식물체 재분화 촉진 배지 및 이를 이용한 식물체 재분화 촉진 방법
KR101416489B1 (ko) * 2012-11-12 2014-07-10 심규운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3856U (ja) * 1991-11-14 1993-06-15 邑治 鈴木 水槽の仕切板取付け構造
KR20040072236A (ko) * 2003-02-10 2004-08-18 박병재 수족관 및 수족관용 내부공간 구획장치
KR100730747B1 (ko) 2006-02-22 2007-06-20 김학현 조직배양용 어항
KR100934787B1 (ko) * 2009-05-22 2009-12-31 김준선 식생보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연녹화시스템
KR101273385B1 (ko) 2010-12-07 2013-06-11 화이젠 주식회사 식물체 재분화 촉진 배지 및 이를 이용한 식물체 재분화 촉진 방법
KR101416489B1 (ko) * 2012-11-12 2014-07-10 심규운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411Y1 (ko) 2020-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04854B (zh) 鱼菜共生系统与使用该系统的水产类饲养方法及植物栽培方法
US7934471B2 (en) Vivarium and filtration system
US9027510B2 (en) Multi-level aquaculture device for benthic organisms such as bivalves, aquaculture method, and biofilter using same
US11606937B2 (en) Turnkey aquaponics system
KR20180011533A (ko) 관상생물 양식용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EP1321031A2 (en) Aquarium cleaning system
US20020148409A1 (en) Viquarium
US20150040477A1 (en) Aquaponic growth bucket
CN108203212A (zh) 一种生态自净一体式观赏鱼循环水养殖系统
KR200462881Y1 (ko) 수족관이 결합된 수경재배 정원
KR101085597B1 (ko) 다중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KR102143415B1 (ko) 고순도 순환여과시스템을 이용한 아쿠아포닉스장치
KR102161896B1 (ko) 바이오플락 사육수를 이용한 수경재배 시스템
KR20190001235U (ko) 수족관용 수생식물 배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수족관
CN113473847A (zh) 净水装置以及过滤块
US20140263009A1 (en) Low water footprint re-circulating aquatic system for the sustainable cultivation of aquatic organisms and plants
TWM473049U (zh) 直立式魚菜共生裝置
KR20150093001A (ko) 반육생, 반수생 동물의 실내 사육 시스템
KR102060828B1 (ko)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
CN210120854U (zh) 双鱼塘循环水生态养殖系统
WO2016187606A1 (en) A turnkey aquaponics system
KR20220086818A (ko) 여과기 겸용 식물 포트 및 이러한 식물 포트를 구비한 양어 수경 재배 장치
RU2290784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эффективности эксплуатации рыбоводных водоемов
JP2002058387A (ja) 水棲生物飼育装置
CN215684258U (zh) 一种水体循环式养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