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3001A - 반육생, 반수생 동물의 실내 사육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육생, 반수생 동물의 실내 사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001A
KR20150093001A KR1020140013722A KR20140013722A KR20150093001A KR 20150093001 A KR20150093001 A KR 20150093001A KR 1020140013722 A KR1020140013722 A KR 1020140013722A KR 20140013722 A KR20140013722 A KR 20140013722A KR 20150093001 A KR20150093001 A KR 20150093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eding
semi
water
tan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계명찬
박찬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3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3001A/ko
Publication of KR20150093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서류를 비롯한 반육생, 반수생 동물의 사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육생, 반수생 동물을 서식지외, 특히 실내에서 연중 안정적으로 사육관리하고, 수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사육동물의 사육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병원균 전파를 차단함과 동시에 육상환경을 효율적으로 조성하고, 공급된 먹이곤충의 폐사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별 사육조가 모듈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어 사육조의 교체, 이동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사육수의 교체주기, 교체량, 사육조 내 수위, 사육모듈의 규모를 관리자가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사육여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육생, 반수생 동물의 실내 사육 시스템{Indoor breeding system for semi-terrestrial and semi-aquatic animals}
본 발명은 사육조 내 공극재 지지체를 포함하는 반육생, 반수생 동물의 실내 사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생종을 서식지외에서 사육관리하고 이를 생물자원으로서 이용하려는 전 세계적인 움직임이 활발하다. 일본의 경우 히로시마대학 내 양서류센터에서 일본에 서식하는 모든 종을 실내 사육하며, 번식학, 발생학, 환경학, 분자생물학 등의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 국내에서도 자생 양서류를 보존하고 증식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지만 이를 위한 기술 및 설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종래 발생학 및 독성학 연구분야에서 주로 이용되어 오던 양서류 실험동물은 제노푸스(Xenopus) 속의 외래종이었다. 미국의 Nasco사에서는 이러한 제노푸스 뿐만 아니라 이를 사육하기 위한 시스템을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는 수생양서류(연중 물속에서 서식 및 먹이활동을 하는 무미 또는 유미양서류) 전반에 걸쳐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아울러 이와 같은 특별한 장치 없이도 어류를 사육하는 방식으로도 수생양서류의 사육이 가능하다. 그러나 국내에 서식하는 양서류 중에는 수생양서류가 없으며, 모든 종이 반육생(무당개구리, 청개구리 등) 또는 반수생(물두꺼비, 옴개구리 등)으로만 구분된다. 따라서 국외에서 개발된 사육설비 및 기술을 국내에 도입할 수 없는 상황이며, 국내에 서식하는 종들의 생활특성에 적합한 사육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반육생 및 반수생 양서류 사육의 가장 큰 문제점은 육상환경과 수중환경을 함께 조성해주어야 하며, 동시에 육상의 토양이나 사육수가 오염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제노푸스 속의 양서류와는 달리 살아 움직이는 먹이만 섭식하는 자생 양서류의 특성을 반영하여 살아있는 먹이를 공급하고 공급한 먹이의 사육장 내에서의 폐사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반육생 양서류를 사육하고자하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지만 사육환경 유지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재까지 전무한 실정이다.
국내 양서류 사육과 관련한 종래 기술은 주로 식용양서류 사육기술로서 주로 야외에서 산개구리류를 대량 사육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생리학적으로 동일한 특성을 갖는 개체를 필요로 하는 실험 동물분야에는 사용될 수 없으며, 자연재해의 위험과 연중 안정적인 사육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야외사육기술로서 특정한 온도조건을 요구하는 관상용 양서류를 사육하기 위한 기술로서는 사용될 수 없다. 특히, 설비의 규모 측면에서 야외 사육공간이 없는 학교, 연구소, 펫샵 등에 적용이 불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국내에 서식하는 반육생, 반수생 양서류를 서식지외에서 연중 안정적으로 사육관리하고, 수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병원균 전파를 차단함과 동시에 육상환경을 효율적으로 조성하고, 공급된 먹이곤충의 폐사율을 최소화함으로써 양서류 사육관리 노동력을 절감하기 위한 새로운 사육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반육생 또는 반수생 동물을 연중 실내에서 효율적으로 사육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공극재로 이루어진 지지체를 이용하여 육상 환경을 조성할 경우 사육수가 사육 동물의 생육에 이상적인 상태로 유지되며, 질병 전파가 최소화되고, 공급되는 먹이 곤충의 폐사율이 최소화되어 결과적으로 수질관리 및 개체관리에 소요되는 노동과 비용이 크게 절감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육생 또는 반수생 동물의 사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닥면 및 바닥면을 둘러싼 측벽면을 구비한 사육조; 및 사육조 내부의 육상 환경 형성을 위한 공극재 지지체를 포함하는 반육생 또는 반수생 동물의 사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반육생 또는 반수생 동물을 연중 실내에서 효율적으로 사육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공극재로 이루어진 지지체를 이용하여 육상 환경을 조성할 경우 사육수가 사육 동물의 생육에 이상적인 상태로 유지되며, 질병 전파가 최소화되고, 공급되는 먹이 곤충의 폐사율이 최소화되어 결과적으로 수질관리 및 개체관리에 소요되는 노동과 비용이 크게 절감됨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반육생 또는 반수생 동물(semi-terrestrial or semi-aquatic animal)"은 생활 주기의 일부가 수중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동물을 의미하며, 예들 들어 육지에서 활동하면서 생명유지 또는 번식에 필수적인 활동(예를 들어 먹이 섭취 또는 수정)을 수중에서 수행하는 모든 생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육장치는 반육생 또는 반수생 동물이라면 포유류, 절지동물, 양서류 및 파충류 모두에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사육장치가 적용되는 반육생 또는 반수생 동물은 파충류 또는 양서류이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양서류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공극재 지지체"는 공극을 가지는 물질(porous material)로 이루어져 본 발명의 반육생 또는 반수생 동물의 육상 생활 주기를 위한 육상 환경을 제공하는 지지체(support)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육상 환경의 제공을 위하여 공극재 지지체를 이용한다는 점이다.
종래에는 양서류 등의 반육생 또는 반수생 동물을 사육함에 있어 흙, 마사토, 자갈 등을 사용하여 육지부를 조성하였으나, 이는 사육수의 효율적인 교환이 어렵고 박테리아 및 배양동물의 배설물에 의한 오염, 먹이곤충의 폐사 및 개체 간 질병 전파 등으로 인하여 사육조 내 환경을 이상적으로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극재 지지체를 활용함으로써 지지체 내 공극에 의해 자연스럽게 조성되는 호기성 미생물의 정화작용을 통해 사육동물의 배설물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한 오염을 감소시키고, 먹이 곤충의 익사를 방지하여 사육동물의 먹이섭식 효율을 높이며, 폐사곤충으로 인한 수질오염을 방지할 뿐 아니라, 육상부의 교체 및 사육수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공극재 지지체는,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공극재로서 어류 사육 시 여과목적으로 사용하는 스펀지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공극재 지지체의 공극 크기 및 공극률은 사육되는 반육생 또는 반수생 동물의 종류 및 특성, 먹이로 공급되는 곤충 등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육수가 용이하게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퇴적되지 않을 정도로 일정 크기 이상의 공극 크기를 가지면서, 먹이 곤충이 진입하지 못할 정도로 일정 직경 이하의 공극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공극재 지지체는 1-5 mm의 공극을 가진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공극재 지지체는 50-80%의 공극률을 가진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공극재 지지체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에테르(polyether),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및 셀룰로오스(cellulo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탄성 다공성 물질(elastic porous material)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는 사육조 내로 사육수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사육조의 일면에 형성된 유입구; 및 사육조 내의 사육수를 사육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사육조의 일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 상 특징은, 사육조 내로 사육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구 및 유입된 사육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각각 포함하여 사육수의 원활한 교환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수상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사육수는 사육동물의 배설물을 비롯한 오염물질로 인하여 pH가 상승하고, 조류의 번식 등으로 인해 사육조 벽면 및 육상부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될 뿐 아니라, 개체 간 질병 전파의 매개가 되므로, 사육수의 원활한 교체는 반육생 또는 반수생 동물의 효율적인 사육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사육 장치는 유입구를 통해 사육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사육수가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배출되어 수상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사육수의 배출은 사육조 측면에 설치된 배출구를 개방하여 사육수 수위가 배출구가 설치된 높이를 초과하면 자동으로 배출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사육수는 사육조를 통과하는 동시에 사육조를 세척하며 일정수위 이상의 물은 배출구를 통해 밖으로 빠져나간다. 또한, 배출구가 사육조 측면 또는 바닥면에 폐쇄된 채로 설치되어 관리자가 수동으로 개방하거나 또는 타이머를 통해 일정 주기로 개방하여 배출할 수 있다. 사육수의 양은 유입구 및 배출구에 설치된 밸브를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개폐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으며, 사육수의 유입 및 배출은 동시에 수행하거나 또는 시간차를 두고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사육조와 유입구 및 배출구의 배관의 연결 및 분리를 쉽게 하기 위해 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결된 배관을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수조를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사육조간의 사육수를 매개로한 질병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빠져나가는 물은 다른 사육조에 섞이지 않게 하며, 각 사육조들의 배출구와 연결된 물받이에 모여 동시에 배수구로 유입된다. 따라서 실내공간에서 사육조 밖으로 물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주변을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사육수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사육조 내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량과 동일한 배출량으로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는 유입되는 사육수를 여과하는 여과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과부는 예를 들어 프리필터, 염소제거필터, 카본필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과부는 유입부와 연결되어 유입부와 사육조 사이에 설치되거나 유입부 및 사육조와 이격되어 설치되어 여과된 사육수가 사육조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유입부 및 사육조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 예를 들어 후술하는 사육부 저장부에 설치되어 여과된 상태로 사육부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는 유입구와 연결되어 사육수를 제공하는 사육수 저장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사육수 저장부는 볼탭을 설치하여 일정수위 이하가 되면 물이 유입되고 일정수위에 도달하면 벨브가 닫혀 물이 유입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사육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육을 위한 온도조건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육수 저장부에 냉각기 또는 히터를 설치함으로서 사육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사육수 저장부는 물탱크의 형태로 사육조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단에 설치함으로써 수중모터의 등의 전력소모 없이 사육수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사육수 저장부 또는 상기 사육조 내부에 폭기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사육수 저장부 또는 사육조 내부에 폭기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항상 높은 수준의 용존산소를 유지할 수 있으며, 타이머를 통해 공급주기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양서류를 비롯한 반육생, 반수생 동물의 사육 장치를 제공한다.
(b) 본 발명은 반육생, 반수생 동물을 서식지외, 특히 실내에서 연중 안정적으로 사육관리하고, 수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사육동물의 사육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c) 본 발명은 병원균 전파를 차단함과 동시에 육상환경을 효율적으로 조성하고, 공급된 먹이곤충의 폐사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d) 본 발명은 개별 사육조가 모듈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어 사육조의 교체, 이동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사육수의 교체주기, 교체량, 사육조 내 수위, 사육모듈의 규모를 관리자가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사육여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다.
도 1은 양서류 사육조 조건에 따른 사육수의 pH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양서류 사육조 조건에 따른 먹이곤충의 사멸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양서류 사육조 종류에 따른 미생물 증가율 차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양서류 사육조 조건에 따른 미생물 농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a는 사육수 내 미생물 배양 사진을, 도 4b는 이에 대한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콜로니 측정 결과를 각각 보여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실제 사육모듈을 설치한 후 1회/1일 15분간 수중모터가 작동하도록 설정하여 20일간 운용하였다. 또한, 사육수가 자동으로 교체되지 않는 사육조는 처음 설치 후 마찬가지로 20일간 운용하였다.
아래에서'자동환수사육조'는 본 발명을 의미하며, '폐쇄형사육조'는 기존의 양서류 사육방식으로 자동환수장치 없이 육지부를 마사토로 조성한 사육조를 의미한다. 두 사육조의 육지부와 수중부의 비율은 동일하게 조성하였다 (육상부 비율 9/10). 육상부 조성에 사용된 마사토는 120℃에서 20분간 멸균하여 건조 후 사용하였으며, 스펀지는 수돗물로 세척 후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모든 사육조는 동일한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하였다.
사육조 내 pH 변화
양서류의 배설물로 인한 수질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사육수의 pH를 측정하였다. 5마리의 양서류 개체를 사육하고 있는 자동순환사육조 및 폐쇄형 사육조 각각에서 사육수를 50mL 씩 채취하여 20일간 매일 pH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 시작 시 두 수조는 새롭게 설치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수돗물의 pH를 측정하였다.
양서류는 포유류와 같이 약염기성의 요소를 배출하며, 배설물에 의한 수질의 부영양화는 중성-염기성의 pH 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이러한 환경에서는 조류 (algea)의 번식이 원활하여, 사육조의 벽면이나 육지부를 구성하고 있는 바닥재에 물이끼가 쉽게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수돗물은 6.8-7.0의 pH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자동환수사육조 내의 사육수는 7.0-7.1 pH 범위를 보였다. 그러나 폐쇄형 사육조 내부 사육수의 경우 pH가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수질관리 측면에서 자동환수방식이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
먹이곤충 폐사율
귀뚜라미를 양서류 한 개체당 2마리, 1회/2일 먹이로서 공급하고 공급 시 사육조 내에서 폐사한 귀뚜라미 개체수를 기록하였다. 자동순환사육조 5개, 기존의 폐쇄형 사육조 5개에서 관찰하였으며, 모든 사육조에는 무당개구리를 5마리씩 배치하였다. 결과는 5개 사육조의 평균으로 나타내었다. 20일간 양서류 사육조에 공급한 먹이곤충의 폐사율을 확인한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펀지로 육지부를 조성한 자동환수사육조 내에서는 4% 미만의 개체만이 사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폐쇄형 사육조 내에서는 최저 6%, 최대 10%의 먹이곤충이 사멸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폐쇄형 사육조 내에서 양서류 개체의 먹이섭식 효율이 낮은 것을 의미하며, 나아가 폐쇄형 사육조 내에서 먹이곤충의 부패로 인한 수질저하 및 양서류 감염의 위험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서류 사육시 개체 건강도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육조 내 미생물 오염
사육조 수질을 분석하기 위해 20일 경과 시 사육조 내부의 사육수를 채취하여 미생물 배양 배지(LB배지)에 도말하여 미생물 수를 확인하였다. 사육수 내 박테리아 농도를 분석하기 위해 자동환수 사육조 및 기존의 폐쇄형 사육조 내 사육수를 5일 간격으로 채취하였다. 각 사육조에는 동일한 개체수의 양서류를 배치하였으며, 1회/2일 동량의 귀뚜라미를 먹이로 공급하였다. 채취한 사육수는 1/100 농도로 액체 LB배지에 희석하였으며, 고체 LB배지에 20 μl를 접종하고 도말하여 1일간 배양하였다. 1일 경과 후 배양접시를 회수하여 형성된 콜로니 수를 측정하고, 여기에 희석배수를 곱해 mL당 미생물 수로 환산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쇄형 사육조 내에서는 미생물 농도가 점차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자동환수사육조 내에서는 20일간 미생물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체 LB배지 상에 형성된 콜로니의 형태를 살펴본 결과 자동환수 사육조군에서는 일정한 형태의 콜로니가 관찰된 반면, 폐쇄형 사육조군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콜로니가 관찰되어(도 4), 사육조 내 미생물의 조성 역시 폐쇄형에서 더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결과로서 자동환수사육조는 일정한 미생물 농도를 유지하여 양서류의 질병 유발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양서류 개체 폐사
자동환수형 및 폐쇄형 사육조(각 5개 사육조)내에서 2달간 사육된 양서류 개체의 폐사율을 관찰한 결과, 자동환수형 사육조 내에서는 총 25마리 개체(5마리/사육조) 중 단 한 마리도 폐사하지 않았다. 그러나 5개의 폐쇄형 사육조 중 한 사육조에서 37일 경과 시 3 개체가 폐사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동일 사육조 내에서 생존 한 2마리 역시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이 느려 건강상태가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폐쇄형 사육조 내에서 양서류의 감염이 더 쉽게 발생하며, 더 쉽게 확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공사육 대상 양서류 개체들의 건강도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바닥면 및 바닥면을 둘러싼 측벽면을 구비한 사육조; 및
    사육조 내부의 육상 환경 형성을 위한 공극재 지지체를 포함하는 반육생 또는 반수생 동물의 사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육조 내로 사육수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사육조의 일면에 형성된 유입구; 및
    사육조 내의 사육수를 사육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사육조의 일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수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사육조 내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량과 동일한 배출량으로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유입되는 사육수를 여과하는 여과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유입구와 연결되어 사육수를 제공하는 사육수 저장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사육수 저장부 또는 상기 사육조 내부에 폭기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재 지지체는 1-5 mm의 공극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재 지지체는 50-80%의 공극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재 지지체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에테르(polyether),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및 셀룰로오스(cellulo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탄성 다공성 물질(elastic porous materi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육생 또는 반수생 동물은 반육생 또는 반수생 양서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40013722A 2014-02-06 2014-02-06 반육생, 반수생 동물의 실내 사육 시스템 KR20150093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722A KR20150093001A (ko) 2014-02-06 2014-02-06 반육생, 반수생 동물의 실내 사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722A KR20150093001A (ko) 2014-02-06 2014-02-06 반육생, 반수생 동물의 실내 사육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204A Division KR101802309B1 (ko) 2016-10-18 2016-10-18 반육생, 반수생 동물의 실내 사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001A true KR20150093001A (ko) 2015-08-17

Family

ID=5405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722A KR20150093001A (ko) 2014-02-06 2014-02-06 반육생, 반수생 동물의 실내 사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30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60024A (zh) * 2015-10-23 2016-03-02 舒城县万佛湖渔业总公司 一种田螺的养殖方法
CN105409890A (zh) * 2015-11-30 2016-03-23 刘心元 一种蝎蝽养殖方法
CN112674032A (zh) * 2020-12-29 2021-04-20 贵州省畜牧兽医研究所 一种高产乌骨鸡的培育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60024A (zh) * 2015-10-23 2016-03-02 舒城县万佛湖渔业总公司 一种田螺的养殖方法
CN105409890A (zh) * 2015-11-30 2016-03-23 刘心元 一种蝎蝽养殖方法
CN112674032A (zh) * 2020-12-29 2021-04-20 贵州省畜牧兽医研究所 一种高产乌骨鸡的培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631B1 (ko) 바이오 플락을 이용한 빌딩양식용 복합양식수조
JP5610296B2 (ja) 二枚貝等の底棲生物の多段式養殖装置及び養殖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バイオフィルター
JP5629288B2 (ja) 魚介類養殖装置並びに養殖方法
KR20180011533A (ko) 관상생물 양식용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JP2017148007A (ja) 魚類種苗の育成システム
KR101397889B1 (ko) 회류식 다층 복합양식수조
KR100915037B1 (ko) 해양오염이 방지되는 어류와 해삼의 복합 양식 방법 및 그장치
CN203661815U (zh) 一种室内海水养殖生态循环系统
KR102035095B1 (ko) 다목적 양식장
KR101170304B1 (ko) 양식어류와 갯지렁이의 복합양식 시스템 및 방법
CN100393200C (zh) 高原盐碱水域西伯利亚鲟鱼养殖
KR20170058652A (ko) 기생충 및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어류 양식용 수조
KR20150093001A (ko) 반육생, 반수생 동물의 실내 사육 시스템
US10264767B2 (en) Multi-level apartment type three-dimensional water tank
CN109892261B (zh) 巴布亚硝水母人工养殖方法
CN113197133A (zh) 一种用于浮游动物孵化增殖的一体化培养装置
KR20190033819A (ko) 정수 시스템이 결합 된 수경 재배 및 양어 장치
KR101580435B1 (ko) 트랩을 이용한 바이오플락 시스템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어 장치
US20130186347A1 (en) Cultivation of sustainable aquatic organisms using multitrophic closed systems
KR101270650B1 (ko) 패류 빌딩양식을 위한 먹이생물 공급장치
KR101802309B1 (ko) 반육생, 반수생 동물의 실내 사육 시스템
CN213939377U (zh) 一种分散式循环水工厂化智能化的海水养殖装置
CN214385600U (zh) 一种高密度标苗后土塘养大的淡水养殖装置
CN214385597U (zh) 一种分散式循环水标粗后土塘养大的海水养殖装置
Heasman et al. Manual for intensive hatchery production of abal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96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019

Effective date: 201809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AMND Amendment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97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612

Effective date: 2019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