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827A - 실크 벽지 부착용 초배지 - Google Patents

실크 벽지 부착용 초배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827A
KR20090025827A KR1020070090960A KR20070090960A KR20090025827A KR 20090025827 A KR20090025827 A KR 20090025827A KR 1020070090960 A KR1020070090960 A KR 1020070090960A KR 20070090960 A KR20070090960 A KR 20070090960A KR 20090025827 A KR20090025827 A KR 20090025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paper
wall
attachment
adhesive
su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3557B1 (ko
Inventor
장경호
Original Assignee
장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호 filed Critical 장경호
Priority to KR1020070090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557B1/ko
Publication of KR20090025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Landscapes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지 부착용 초배지 및 이를 이용한 벽지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지를 부착하기 위해 벽면에 부착되는 초배지에 있어서, 상기 초배지(100)가 벽면에 대해 좌우로 배열되는 벽지(10)와 벽지(20)의 대응단부에 위치되도록 등간격 배열되도록 하고 상기 벽지(10)(20)가 상기 초배지(100)를 통해 벽면에 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초배지, 벽지

Description

벽지 부착용 초배지 및 이를 이용한 벽지 부착방법{A lining paper and the repaper method}
본 발명은 벽지 부착을 위한 초배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 또는 실크 벽지 등을 벽면에 부착시 양면에 벽면 부착용 접착재와 벽지 부착용 점착재를 갖는 초배지가 미리 벽면에 등간격 배열된 상태에서 벽지가 수분 만을 통해 초배지에 부착되도록 하는 벽지 부착용 초배지 및 이를 이용한 벽지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등의 벽면에 도배하는 경우 벽지의 접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초배지를 먼저 벽면에 바르고 그 위에 벽지를 부착시키게 된다. 또한, 실크 벽지의 경우 초배지를 사용하여 벽면에 벽지를 바를 때 실크 벽지의 특성 또는 벽면이 고르지 않을 경우 벽지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어 초배지와 벽지 사이에 공간 띄우기 도배작업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상기한 도배 작업은, 모두 벽지의 벽면 부착시 작업자가 직접 풀칠을 하게 되는데 이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따라 최근에는 풀칠을 위한 기구가 다수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풀칠을 빠르고 균일되게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이는 종이 벽지에만 가능할 뿐 실크 벽지의 풀칠 작업은 기구를 통해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즉, 기구를 통한 풀칠작업은 종이 벽지의 경우 전체면에 풀칠을 하게 되어 그 작업이 가능하지만, 실크 벽지는 폭방향 양측의 가장자리에만 풀칠을 하고 가운데 부위는 물칠을 하는 것으로 기구를 이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지를 부착하기 위해 벽면에 부착되는 초배지가 양쪽면에 각각 벽면 부착용 접착재와 벽지 부착용 점착재를 표면에 형성시키고 또한 벽면에 대해 좌우로 배열되는 벽지와 벽지의 대응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벽지가 풀칠 작업 없이 수분 만을 함침한 상태에서 초배지를 통해 벽면에 부착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지를 부착하기 위해 벽면에 부착되는 초배지에 있어서, 상기 초배지가 벽면에 대해 좌우로 배열되는 벽지와 벽지의 대응단부에 위치되도록 등간격 배열되도록 하고 상기 벽지가 상기 초배지를 통해 벽면에 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초배지는, 일측 표면의 폭방향 양쪽에 벽면 부착을 위한 벽면 부착용 접착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도포되고, 타측 표면의 중간부에 일정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벽지의 대응단부 표면이 각각 부착될 수 있도록 벽지 부착용 점착재가 도포되어 이루어진 것이 적용된다.
또한, 상기 벽면 부착용 접착재의 노출면에 분리 가능한 이형지가 부착되어 벽면 부착용 접착재를 보호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벽지 부착용 점착재는, 물 반응시 접착성을 갖는 공지의 점착성 소재로 적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벽면 부착용 접착재 또는 벽지 부착용 점착재가 상기 초배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벽면 부착용 접착재 사이의 상기 초배지 표면에 친환경 소재인, 숯, 황토, 활성광석, 맥반석, 게르마늄, 제올라이트 또는 은나노 광촉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성분이 코팅 형성됨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초배지는, 초배지의 일측면 양쪽에 제공된 이형지를 분리시켜 벽면 부착용 접착재를 통해 벽면에 등간격 부착시키는 초배지 부착단계와, 벽지에 수분을 침투시키는 벽지 수분 합침단계와, 벽면에 부착된 초배지와 초배지 사이에 수분이 침투된 벽지를 위치시킨 후 벽지의 대응단부가 초배지의 표면에 형성된 벽지 부착용 점착재에 부착되도록 하는 벽지 부착단계와, 초배지에 부착된 벽지와 벽지의 대응단부를 일치시켜 그림 또는 문자 등이 서로 일치되도록 하는 벽지 이음단계를 수행하여 벽지를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벽지 부착용 초배지는,
첫째로, 벽지를 통한 도배 작업시 풀칠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벽지와 벽지의 이음 작업시 이음 부위의 점착재가 외부로 나오지 않아 이음부위가 깨끗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로, 초배지가 롤 형태로 감겨진 상태로 공급될 수 있어 운반 작업 및 벽면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넷째로, 초배지에 숯, 황토, 활성광석, 맥반석, 제올라이트, 게르마늄 및 은나노 광촉매 등 친환경 소재가 합침되어 실내 환경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에 의하여 벽지(10)(20)를 부착하기 위해 벽면(S)에 부착되는 초배지(100)에 있어 상기 초배지(100)가 벽면(S)에 대해 좌우로 배열되는 벽지(10)와 벽지(20)의 대응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벽지(10)(20)가 상기 초배지(100)를 통해 벽면에 부착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초배지(100)는, 한지 등 종이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벽지(10)(20)의 폭에 대해 대략 50% 정도의 폭을 가지며 벽면(S)에 등간격 배열된다. 그리고 일측 표면의 폭방향 양쪽에는 벽면(S) 부착을 위한 벽면 부착용 접착재(110)(120)가 길이방향을 따라 도포되고, 타측 표면의 중간부에는 일정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벽지(10)(20)의 대응단부 표면이 각각 부착될 수 있도록 벽지 부착용 점착재(140)가 도포된다.
즉, 상기 초배지(100)의 표면에 상기 벽지 부착용 점착재(140)가 길이방향을 따라 도포되면 상기 초배지(100)의 양쪽 표면은 점착성이 없는 표면이 되며, 이는 벽지(10)(20)의 대응단부 배면의 접착부를 최소화 또는 상기 초배지(100)에 벽지(10)(20)가 간편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벽지(10)(20)는, 실내, 또는 건축 구조물의 벽면(S)에 부착되는 종이 벽지 또는 실크 벽지 등을 말한다.
상기 벽면 부착용 접착재(110)(120)는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벽면에 초배지(100)를 부착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초배지(100)에 대해 양쪽에만 부착시키는 것은 벽지(10)(20) 부착후 수축 팽창 발생시 팽창력을 보상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벽면 부착용 접착재(110)(120)의 노출면에 분리 가능한 이형지(130)가 부착되어 벽면 부착용 접착재(110)(120)를 보호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벽지 부착용 점착재(140)는, 일반적인 우표의 배면과 동일한 소재로 물 반응 후 경화시에 만 접착성을 갖는 공지의 점착성 소재가 적용되는 것으로 그 자세한 조성물을 생략한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벽면 부착용 접착재(110)(120) 또는 벽지 부착용 점착재(140)가 이형지(130)(150)를 통해 상기 초배지(10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벽면 부착용 접착재(110)(120) 사이의 상기 초배지(100) 표면에 친환경 코팅층(160)이 형성되며, 상기 친환경 코팅층(160)에는 친환경 소재인, 숯, 황토, 활성광석, 맥반석, 게르마늄, 제올라이트 또는 은나노 광촉매 등이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초배지(100)가 폭방향 양단부 대응면이 서로 부착되어 그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틈새가 형성되는 2겹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2겹의 초배지 양쪽면에 각각 벽면 부착용 접착재(110)(120)와 벽지 부착용 점착재(140)가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는, 상기 벽멱(S)에 초배지의 부착시 2개의 뛰우기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초배지를 통해 벽지를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배지(100)의 일측면 양쪽에 제공된 이형지(130)를 분리시켜 벽면 부착용 접착재(110)(120)를 통해 벽면(S)에 등간격 부착시키는 초배지 부착단계를 수행하고, 이후 벽지(10)(20)가 물에 잠기도록 한 다음 적정량의 수분이 벽지(10)(20)에 합침되도록 하는 벽지 수분 합침단계를 수행한다. 그런다음 벽면(S)에 등간격 부착된 초배지(100)와 초배지(100) 사이에 수분이 침투된 벽지(10)(20)를 위치시킨 후 벽지(10)(20)의 대응단부가 초배지(100)의 표면에 형성된 벽지 부착용 점착재(140)에 부착되도록 하는 벽지 부착단계를 수행하고, 연속해서 초배지(100)에 부착된 벽지(10)와 벽지(20)의 대응단부를 일치시켜 그림 또는 문자 등이 서로 일치되도록 하는 벽지 이음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벽지(10)(20)를 초배지(100)를 통해 벽면(S)에 부착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지 부착용 초배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초배지가 벽면에 부착된 후 벽지가 부착된 상태의 사용상태 정면 요부도,
도 3은 도 2의 평단면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벽면
10,20: 벽지
100: 초배지
110,120: 벽면 부착용 접착재 130: 이형지
140: 벽지 부착용 점착재

Claims (8)

  1. 벽지를 부착하기 위해 벽면에 부착되는 초배지에 있어서,
    상기 초배지(100)가 벽면에 대해 좌우로 배열되는 벽지(10)와 벽지(20)의 대응단부에 위치되도록 등간격 배열되도록 하고 상기 벽지(10)(20)가 상기 초배지(100)를 통해 벽면에 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부착용 초배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배지(100)가,
    일측 표면의 폭방향 양쪽에 벽면 부착을 위한 벽면 부착용 접착재(110)(120)가 길이방향을 따라 도포되고, 타측 표면의 중간부에 일정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벽지(10)(20)의 대응단부 표면이 각각 부착될 수 있도록 벽지 부착용 점착재(140)가 도포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부착용 초배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부착용 접착재(110)(120)의 노출면에 분리 가능한 이형지(130)가 부착되어 벽면 부착용 접착재(110)(120)를 보호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부착용 초배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배지(100)가 폭방향 양단부 대응면이 서로 부착되어 그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틈새가 형성되는 2겹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2겹의 초배지 양쪽면에 각각 벽면 부착용 접착재(110)(120)와 벽지 부착용 점착재(140)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부착용 초배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지 부착용 점착재(140)는, 물 반응 후 경화시 접착성을 갖는 점착성 소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부착용 초배지.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부착용 접착재(110)(120) 또는 벽지 부착용 점착재(140)가 상기 초배지(100)의 표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부착용 초배지.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부착용 접착재(110)(120) 사이의 상기 초배지(100) 표면에 친환경 소재인, 숯, 황토, 활성광석, 맥반석, 게르마늄, 제올라이트 또는 은나노 광촉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성분이 코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부착용 초배지.
  8. 초배지의 일측면 양쪽에 제공된 이형지를 분리시켜 벽면 부착용 접착재를 통해 벽면에 좌우로 등간격 부착시키는 초배지 부착단계;
    종이 벽지 또는 실크 벽지에 수분을 침투시키는 벽지 수분 합침단계;
    벽면에 부착된 초배지와 초배지 사이에 수분이 침투된 벽지를 위치시킨 후 벽지의 대응단부 표면이 상기 초배지의 표면에 형성된 벽지 부착용 점착재에 부착되도록 하는 벽지 부착단계;
    초배지에 부착된 벽지와 벽지의 대응단부를 일치시켜 그림 또는 문자 등이 서로 일치되도록 하는 벽지 이음단계;를 수행하여 벽지를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부착용 초배지를 이용한 벽지 부착방법.
KR1020070090960A 2007-09-07 2007-09-07 실크 벽지 부착용 초배지 KR100893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960A KR100893557B1 (ko) 2007-09-07 2007-09-07 실크 벽지 부착용 초배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960A KR100893557B1 (ko) 2007-09-07 2007-09-07 실크 벽지 부착용 초배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827A true KR20090025827A (ko) 2009-03-11
KR100893557B1 KR100893557B1 (ko) 2009-04-17

Family

ID=4069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960A KR100893557B1 (ko) 2007-09-07 2007-09-07 실크 벽지 부착용 초배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5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414B1 (ko) * 2008-12-30 2011-06-27 강귀금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1188A (ko) * 2015-06-26 2017-01-04 (주)엘지하우시스 Diy 벽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WO2018110733A1 (ko) * 2016-12-12 2018-06-21 문윤정 벽면 마감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마감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999B1 (ko) 2015-03-16 2015-11-25 신호현 이음매 보강 초배지를 이용한 벽지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600Y1 (ko) * 1999-07-29 2000-02-15 도상국 야광 천체벽지
KR100458900B1 (ko) * 2004-02-13 2004-12-03 고상남 기능성 초배지
KR20060129147A (ko) * 2006-11-27 2006-12-15 이종민 3분할 이형지가 부착된 점착식 벽지 및 도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414B1 (ko) * 2008-12-30 2011-06-27 강귀금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1188A (ko) * 2015-06-26 2017-01-04 (주)엘지하우시스 Diy 벽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WO2018110733A1 (ko) * 2016-12-12 2018-06-21 문윤정 벽면 마감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마감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3557B1 (ko) 200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68182A1 (en) Articles and methods for applying color on surfaces
WO2007015264A3 (en) Self adhesive material with a water soluble protective layer
WO2005002483A3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KR20040093666A (ko) 트러프-주연부를 갖는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TW200740591A (en) Film pasting-up method and film pasting-up apparatus
KR20090025827A (ko) 실크 벽지 부착용 초배지
EP2085218A3 (en) Machine for bonding film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nd the corresponding method
WO2010020537A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ndförmigen laminaten
ATE242355T1 (de) Verfahren zum beiderseitigen behandeln eines blattes
DE602006006167D1 (de) Verfahren zum Vorbereiten von einer Rolle mit Fussbodenbelag
DE202019104638U1 (de) Haftvermittler
JP2010089506A (ja) 天然木薄紙、その製法、その施工方法および金属化粧板
WO2018150013A1 (de) Abdeckmaterial für grossflächiges abkleben mit unterschiedlich stark klebenden bereichen
JP2004232286A (ja) 床材施工用両面粘着テープ、床材および床材施工方法
JPH04312671A (ja) 化粧板の接着方法
JP2008133646A (ja) 壁紙貼着施工方法
DK1654129T3 (da) Dekorativ, selvklæbende laminatplade
EP2177355A2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Trägerplatte und Trägerplatte
JP5015578B2 (ja) 壁面下地処理用シート及び塗り壁材の施工方法
JPS6021375Y2 (ja) 不連続状両面粘着剤
KR100981421B1 (ko) 작업 롤 상에서 절취선이 형성된 필름을 피착제에 부착시키는 필름 부착 장치
KR200439321Y1 (ko) 접착식 종이 벽지
EP3867443B1 (en) Method for applying a structured surface to a building surface and corresponding covering element
JP2010269605A (ja) 文化財用表打ち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文化財修復方法
KR20110068295A (ko) 재부착 용이한 벽지의 간편 제조 방법 및 벽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