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10733A1 - 벽면 마감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마감 방법 - Google Patents

벽면 마감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마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10733A1
WO2018110733A1 PCT/KR2016/014682 KR2016014682W WO2018110733A1 WO 2018110733 A1 WO2018110733 A1 WO 2018110733A1 KR 2016014682 W KR2016014682 W KR 2016014682W WO 2018110733 A1 WO2018110733 A1 WO 201811073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ll
coating
finishing
attached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468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문윤정
Original Assignee
문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윤정 filed Critical 문윤정
Publication of WO201811073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1073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3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between ceiling and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59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thod
    • E04F19/0477Plinths fixed by means of adhesiv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4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covering strip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finishing tape and a wall finish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seam or crack of a finishing material such as gypsum board, MDF, CRC board, etc. to finish the interior wall surface, gypsum board and plywood, etc. contac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finishing tape and a wall finishing method using the same to close or prevent dissimilar materials or cracks or cracks and steps occurring on concrete walls.
  • Gypsum board is used for finishing walls or ceilings of conventional buildings and as a building material in which gypsum is crystallized in a stable crystal state between two strong board bases. Since it is a standardized product, it is used by assembling and combining it horizontally or vertically on a wall surface, so that the unevenness of the seam always appears on the wall as it is or the shrinkage of gypsum board due to the change of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in summer or winter.
  •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83081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and is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rass medium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edges of both widths of the first grass medium with adhesive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It consists of a second super medium, and both edges of the first super medium to form a structure bonded to the second super medium so that a non-adhesiv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uper medium and the second super medium.
  • the non-adhesive space may prevent the super badge from sinking or tearing.
  • the super badge is filled with moisture in the gypsum board seam, but absorbs it to form a smooth surface, when dri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per medium finished on the seam is lifted or sag.
  •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21861 is a super medium produced by rolling in the form of a roll with an adhesive applied to one side, and is made by applying a reinforcement paper on both sides of the surface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to produce a roll form. It is effective to apply reinforcement paper to the seam only by applying super badge. However, such super-badge is a reinforcement only, but there is a problem with respect to moisture and failing to secure sufficient strength.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pair not only gypsum board seams, but also various cracks formed on the wall, in particular can prevent deformation by moisture, water-based coating material To provide a wall finishing tape and a wall finishing method using the same.
  • the wall finishing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ll finishing tape attached to a stepped or cracked portion formed on a wall, and finished with a pap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on the wall surface. Bonded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rface of the paper to be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so as to be attached to the formed step or crack portion and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paper on which the adhesive portion is formed,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ep or crack portion formed on the wall surface It includes a coating formed on.
  • the coating part may be formed by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n acrylic resin.
  • Wall finishing method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inlay by using a paper paste to the cracks or seams formed on the wall primarily, the wall surface so that the adhesive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portion to which the inlay is attached
  • Attaching a finishing tape and applying a paint after attaching the wall finishing tape wherein the wall finishing tape is formed on a base pap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a step or crack formed on the wall surface.
  • Bonding par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rface of the paper to be attached to the wall to be attached and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paper on which the adhesive is formed, and includes a coating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ep or crack formed on the wall do.
  • the inlay may be formed with a coating layer on the back.
  • th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by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n acrylic resin.
  • Wall finishing method is the process of sanding the cracks generated on the wall surface, the process of applying a middle agent to the sanded crack portion, so that the adhesive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portion to which the middle agent is applied Attaching a wall finishing tape and applying a paint after attaching the wall finishing tape, wherein the wall finishing tape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of a base paper, and a step or crack portion formed on the wall surface Bonding par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rface of the paper to be attached to the wall to be attached to the wall and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paper on which the adhesive is formed, the coating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ep or crack formed on the wall Include.
  • the inlay may be formed with a coating layer on the back.
  • th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by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n acrylic resin.
  • the wall finishing tape and the wall finishing method using the same can prevent deformation caused by moisture generated in the room to be constructed.
  • the crack can be repaired in a simpler way,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uper medium for gypsum board.
  •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a conventional super medium for gypsum board.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l finishing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finishing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finishing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chart of a wall finis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low chart of the wall finish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ventional super medium for gypsum board has a coating part 1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aper 11, and an adhesive part 13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oating part 12.
  • the coating part 12 plays a key role and corresponds to a part having flexibility, elasticity and elasticity as the gypsum board relaxes and contracts.
  • This coating part is a part formed of a coating liquid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base paper.
  •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a conventional super medium for gypsum board.
  • a step may occur in the wall surface W on which the plasterboard is constructed. If putty work or paint work is performed directly on the step, the step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it does not look good.
  • the inlay 20 is first attached to a portion where the step of the wall is formed using a pool. The first step is to avoid exposing the step to the outside. Since the gypsum board super medium 10 is attached to the stepped portion. In the stepped portion, the coating part 12 is positioned and attached to the wall by the adhesive part 1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aper 11.
  • a certain tension is activated by the coating part 12 of the gypsum board super medium 10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space in the part where the coating part 12 and the step are formed. Therefore, the step is firstly reduced by the inlay, and secondly, the step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coating part 12 is eliminated.
  • This super medium for gypsum board may be exposed by moisture after construct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a lot of moisture generated toilet is affected by the internal moisture that can be formed in the gap between the gypsum board and the external moisture generated in the room.
  • the base paper is affected by the moisture generated from the lower part, and a problem of falling down in the direction of gravity may occur. As such, the base paper contains moisture due to moisture, and thus, the super badge is crying outward when the paint is coated or the paper is coated, so that a surface that is not smooth is generated and needs to be repaired again.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emplating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coating part to the indoor side so as to cope with moisture generated from the indoor side can minimize the influence of moisture in this case.
  • the wall finishing tape 100 is a tape attached to and finished on a stepped or cracked portion formed on a wall, and a base paper 110, an adhesive part 130, and a coating part 120. ).
  • the wall surface includes a certain surface such as a wall, a ceiling, and a floor formed inside the building.
  • the step is formed on the wall means the height difference formed on the surface by the part connected by the other parts or the concrete construction, etc., the height formed by the portion connecting the interior material for the wall construction means.
  • the crack may be a gap, a broken part occurring between the gypsum board to be constructed, and may be various types of gold in the interior generated by the external force of the building. It can be used as long as the portion is formed between a certain amount of gold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place.
  • the base paper 110 is for constituting the basic shape of the wall finishing tape 100.
  • Various types of paper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use as a form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 the thicker the base paper 110 the lower the level of exposure of the step or crack on the wall to the outside, but the thickness of the base paper may be fixed since the tape form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the painting of the paint or after the wallpaper is attached. It should be kept at a level.
  • the base paper 110 may be a resin treated paper.
  • the resin treatment of the base paper 110 has the water resistance and the resistance of the super medium to prevent the tearing or deformation after finishing the seam of the wall, and it is possible to adsorb the paint on the upper surface with moisture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paper on the upper surface. This is to prevent the wall or ceiling from being lifted.
  • the coating part 120 is a part that plays a key role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art having constant flexibility, elasticity, and water repellency. Also, the coating part 120 is used to prevent deformation from occurring due to moisture. Is formed by. In particular, when formed with a coating liquid having a hydrophobicity it can be prevented from deformation of the base paper by the moisture generated in the room.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base paper 110 by application of heavy and large particles such as plaster plaster and putty.
  • the coating solution preferably includes an acrylic resin.
  • Acrylic resin provides the basic mechanical strength of the coating part of the wall finishing tape, and it has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so when the wall is finished by the wall finishing tape later, even after changing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the wall finishing tap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 the content of the acrylic resin contained in the coating liquid is preferably 20 to 60% by weight.
  • the content of acrylic resin is less than 20% by weight, the anti-strain effect against environmental changes is insignificant, and when the content of acrylic resin is more than 60% by weight, the increase of the anti-deformation effect is higher than the increase in content. Not limited to the above range.
  • toluene contained serves to disperse the acrylic resin evenly on the surface of the base and to allow the blended resin to be absorbed into the base.
  • Toluene is a colorless volatile liquid, and it is essential to seal when storing it,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liquid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toluene.
  • Toluene can be adjusted as necessary, but is preferably 40 to 80% by weight.
  • the coating liquid may have a high viscosity, resulting in difficulty in coating, and the coating layer may be unevenly formed.
  •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liquid is low due to the high content of toluene, the coating may not be performed. Since the surface may occur, the strength of the wall finishing tape may not be maintained and thus may not serve as a wall finishing tape.
  • the coating solution may include an acrylic resin, toluene, as well as additives as necessary.
  • Silicone oil (KF96) is excellent in releasability and water repellency, it may be included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paper paste paste to adhere to the coating layer.
  • the silicone oil (KF96) can prevent the stepped over and formed wall breakage or tearing by the non-adhesive space between the wall finishing tape and the wall surface.
  • the silicone oil (KF96) may be added 5 to 15% by weight.
  • the content of the silicone oil (KF96) is less than 5% by weight may not appear releasable, water-repellent functionality, if the content of the silicone oil (KF96) is more than 15% by weight may be difficult to dissolve with other materials.
  • a wax may be further added to perform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the silicone oil KF96.
  • the wax is added to the coating solution, the coated paper is dried well and serves as a release ag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addition amount of a wax is 5-15 weight%. If the wax is added in excess, the adhesion with the paper paste may be caused to stick to the wall.
  • Adhesive parts 13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dhesive part 130 so as to form the adhesive parts 130 on opposite sides of the coating part 120. Due to this adhesive portion 130, no additional adhesive is required, and the finished part is finished straight, so that the finishing work can be done in a short time without damaging the aesthetics by using paint directly on the wall finishing tape, thereby avoid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time can be shortened.
  • Such an adhesive portion may be generally formed by a papering paste or flour paste,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adhesive. In particular, when dried for convenience of use does not have an adhesive force, but when water is adde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n adhesive portion using an adhesive that can be used to regenerate and use the adhesive force.
  • a sheet of paper is prepared to prepare a tape for wall finishing.
  • the base paper used at this time may be a resin treated paper.
  • a coating solution containing an acrylic resin (Acrylic resin) i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liquid based on room temperature (25 degrees Celsius) is preferably about 30 seconds on the basis of the Ford Cup (Viscosity) Viscometer.
  •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liquid is fluid with a value between 25 and 35 seconds depending on the resin treated paper state, humidity,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ating equipment.
  • the viscosity to be adjusted may be adjusted by the amount of toluene contained, and when the temperature is high, the viscosity may be slightly increas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lvent having high volatility.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keep the coating liquid in a sealed container to keep the viscosity constant.
  • This drying process may be made of natural drying to dry at room temperature using natural wind, heat drying to dry through a hot roll, and cold drying to dry through the roll at room temperature.
  • Natural drying is the first step in which coated paper rolls over several rolls and is dried at room temperature through a fan or the like that can generate a constant wind.
  • the primary paper thus dried is passed through a drying roll maintaining a temperature of about 90 ⁇ 100 degrees to heat the back of the coating portion to dry the paper secondary.
  • the acrylic resin is thermoset to have the necessary strength of the coating part.
  • the moving speed of the paper is about 26 ⁇ 30 M / min.
  • the heat-dried base paper is cold dried through a roll of room temperature where no heat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coating part of the base paper is completely dried and does not stick together even if the base paper is dried.
  • Finished paper is cut according to the required size.
  • Super medium usually used for gypsum board seams, can be cut into two types, 12 cm wide and 15 cm wide.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coating is about 9 cm, 12 cm.
  • the cut base paper is coated with adhesive on both sides to form an adhesive part on both sides of the opposite side on which the coating part is formed.
  • These adhesives eliminate the need for additional adhesives, and the finished parts are finished in a straight line and can be finished using paints directly on the wall finishing tape to finish quickly without damaging the aesthetics. It can be shortened.
  • Such adhesives can also typically be used for papering paste or flour paste.
  • the base paper is dried can be further compressed by a machine to improve the smoothness of the coating liquid.
  • the base paper is dried can be further compressed by a machine to improve the smoothness of the coating liquid.
  • the coating liquid by minimizing the variation in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earing or damage when the wall is attached to the wall as a wall finishing tape.
  •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finishing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tep is formed on the wall surface (W) on which the gypsum board is formed.
  • the inlay may be attached to a portion where the step is formed on the wall surface W to reduce the step.
  • the wall finishing tape 100 is attached to the stepped portion, wherein the coating portion 120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base paper 110, which is not the stepped portion.
  • the adhesive part 130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where the coating part 120 is formed.
  • the inlay is attach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seam or crack surface of the wall and the non-bonding between the inlay and the base without adhesive force to form a fine space.
  • the inlay may be attached to the gypsum board stepped part separately, but may also be attached to the wall finishing tape woun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f the inlay is placed between the adhesive portions of the wall finishing tape and then wound, it is possible to attach the inlay to the stepped portion at the same time when the wall finishing tape is attached.
  • the base paper 110 When attached to the wall (W) in this form, the base paper 110 is not directly exposed to the moisture gener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Moisture is prevented from being absorbed by the base paper 110 by the coating portion 12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per 110, the portion exposed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adhesive portion 130 is the wall (W) and the adhesive portion 130 Since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paper 1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even when exposed to moisture generated from the bottom.
  • 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finishing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lay 200 attached to the stepped portion so that the coating layer 220 is formed on the paper layer 210.
  • the coating layer 220 formed on the inlay 200 to be attached is formed by the coating liquid similarly to the coating part 120 formed on the wall finishing tape 100, and the details thereof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oating part of the wall finishing tape. .
  • the coating layer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inlay, it plays a role of preventing the inlay from being deformed by moisture generated at the side where the step is formed.
  • the wall finishing ta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ed in a place where a lot of moisture is generated in the room, the tape itself is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by moisture in the room, thereby maintaining the construction state for a long time.
  • an uncomfortable process such as performing a plurality of putty work can be omitted,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 FIG. 6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a wall finis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all surface finis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inlay by using the pull paper first to the crack or seam formed on the wall (S11), both sides of the inlay portion And attaching the wall finishing tape so that the adhesive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ortion (S12) and applying the paint after attaching the wall finishing tape (S13).
  • the inlay is attached to the cracks or seams formed on the wall using a paper paste.
  • Cracks or seams here correspond to parts formed by combining interior materials such as gypsum board.
  • the inlay may be formed of a coating layer as well as a paper material generally used as described above.
  • the step can be reduced primarily. Attach the wall finishing tape so that the adhesive par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inlayed part.
  • the wall finishing tape is a base pap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the adhesive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rface of the paper attached to the wall to be attached to the step or crack portion formed on the wall and the base paper formed with the adhesive portion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nd includes a coating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ep or crack portion formed on the wall.
  • the wall surface finis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rocess of sanding the crack portion generated on the wall (S21), the process of applying a middle agent to the sanded crack portion (S22), the middle agent And attaching the wall finishing tape so that the adhesive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coated portion (S23) and applying the paint after attaching the wall finishing tape (S24).
  • the cracks generated on the wall may be cracks generated by the load of the building itself, and target cracks of various types.
  • the surface of the cracks which are not uniform, is used for sanding by using sanding paper to flatten it.
  • a middle agent is applied to the cracked portion.
  • the intermediate agent forms a uniform coating layer on the wall to prevent dropping of the wall finishing tape due to moisture, and serves to strengthen the adhesion by the adhesive part of the wall finishing tape more strongly and last a long time.
  • the middle agent can be used a variety of commercially available middle agent.
  • the tape for wall finishing is attached so that the adhesive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middle part.
  • the wall finishing tape is a base pap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the adhesive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rface of the paper attached to the wall to be attached to the step or crack portion formed on the wall and the base paper formed with the adhesive portion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nd includes a coating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ep or crack portion formed on the wall.
  • paint is applied to finish the wall. Cracks that are finished in this way are formed on the ceiling or walls of the building and are targeted at places with aesthetic problems that are not related to safety. In this way, the cracked wall surface can be easily repaired smoothly when finis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테이프는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 부분에 부착되어 마감하는 벽면 마감용 테이프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원지, 상기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 부분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에 부착되는 원지의 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가 형성되는 원지의 반대면에 형성되며, 상기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벽면 마감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마감 방법
본 발명은 벽면 마감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마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벽면 등을 마감하는 석고보드, MDF, CRC보드 등과 같은 마감재의 이음새 또는 크랙, 석고보드와 합판 등이 접촉하는 이질재 연결부위 또는 크랙, 또는 콘크리트 벽면에 발생하는 크랙 및 단차를 마감 또는 방지하기 위한 벽면 마감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마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정을 마감하는 동시에 건축용 내장재로서 석고보드는 두 장의 강인한 보드용 원지 사이에 석고가 안정된 결정상태로 결정화되어 있는 내장재로서 불연성, 단열성, 차음성이 좋아 많이 쓰이고 있으나, 상하좌우 소정 크기로 규격화된 제품이기 때문에 벽면 등에 깔아 가로 또는 세로로 평면상 연속적으로 조립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천장 및 벽체에는 항상 이음매의 요철이 그대로 벽면에 나타나거나 하절기 또는 동절기 열팽창계수 변화에 따른 석고보드의 수축, 이완에 의한 들뜸이나 뒤틀림 현상으로 이음매 부분의 균열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통상의 이음매 마감재(joint compound)나 종이 재질의 초배지, 한냉사 등의 직포, 망사형 유리 섬유 테이프, 풀이나 접착제 등에 점토형 경화성 퍼티를 이용하여 틈새를 메워 벽면 등을 고르게 한 다음 도장작업이나 도배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 도장작업이 어렵거나 도장 작업을 시공하였다 하더라도 시공 후 이음매 부분의 요철이 그대로 노출되어 미관이 아름답지 못하고 균열(크랙)이 발생하여 도막층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0-0283081호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양끝 단에 접착부가 형성된 제1초배지의 폭 양측 가장자리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제1초배지의 윗면에 접착되는 제2초배지로 구성되며, 제1초배지와 제2초배지 사이에 비접착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1초배지의 양측 가장자리가 제2초배지에 접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경우 비접착 공간이 형성되어 석고보드의 이완 또는 수축을 할 경우 비접착공간으로 인하여 초배지가 함몰되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초배지가 석고보드 이음새에 습기가 차오를 경우 이를 흡수하여 매끈한 면을 이루고 있겠지만 건조할 경우 이음새에 마감된 초배지가 들뜨거나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20-0321861호에는 일측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롤 형태로 말려져 제작되는 초배지로서,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양측으로 접착제가 노출되게 보강지를 덧 대어 롤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초배지를 바르는 동작만으로 이음새 부분에 보강지를 덧 붙여주는 효과가 있다. 다만 이러한 초배지는 보강지만으로는 습기에 대한 문제와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석고보드 이음새뿐 만 아니라 벽면에 형성되는 각종 크랙을 보수할 수 있으며, 특히 습기, 수성 도장재료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벽면 마감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마감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테이프는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 부분에 부착되어 마감하는 벽면 마감용 테이프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원지, 상기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 부분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에 부착되는 원지의 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가 형성되는 원지의 반대면에 형성되며, 상기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부는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코팅액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방법은 벽면에 형성된 크랙 또는 이음새 부분에 1차적으로 도배풀을 이용하여 이용하여 속지를 부착하는 과정, 상기 속지가 부착된 부분의 양측 부분에 접착부가 밀착되도록 벽면마감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 및 상기 벽면마감용 테이프를 부착시킨 후 페인트를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벽면마감용 테이프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원지, 상기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 부분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에 부착되는 원지의 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가 형성되는 원지의 반대면에 형성되며, 상기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한다.
상기 속지는 부착되는 후면에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코팅액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방법은 벽면에 발생된 크랙 부분을 샌딩하는 과정, 상기 샌딩된 크랙 부분에 중도제를 도포하는 과정, 상기 중도제가 도포된 부분의 양측 부분에 접착부가 밀착되도록 벽면마감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 및 상기 벽면 마감용 테이프를 부착시킨 후 페인트를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벽면마감용 테이프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원지, 상기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 부분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에 부착되는 원지의 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가 형성되는 원지의 반대면에 형성되며, 상기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한다.
상기 속지는 부착되는 후면에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코팅액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벽면마감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마감 방법에 따르면 시공되는 실내에서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발생되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크랙을 보수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석고보드용 초배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석고보드용 초배지를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테이프를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테이프를 시공한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방법의 순서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벽면마감용 테이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석고보드용 초배지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석고보드용 초배지는 기본적인 원지(11)에 중앙부에 코팅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코팅부(12)의 양측에 접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석고보드용 초배지는 석고보드를 설치할 때,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단차 또는 크랙 부분을 보완하여 후에 부착되는 도배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코팅부(12)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석고보드의 이완, 수축에 따라 유연성과 탄력성 및 신축성을 가지게 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러한 코팅부는 원지를 목적에 맞는 코팅액으로 형성한 부분이다.
도 2는 종래의 석고보드용 초배지를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석고보드를 시공한 벽면(W)에는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차 위에 바로 퍼티 작업이나 페인트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단차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외관상 보기 좋지 않게 된다. 이러한 벽면(W)의 단차를 메우기 위해서는 우선 속지(20)를 풀을 이용하여 벽면의 단차가 형성된 부분에 부착시킨다. 일차적으로 단차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석고보드용 초배지(10)를 단차 부분에 부착하게 된다. 단차 부분에는 코팅부(12)가 위치하게 되고 원지(11)의 양측에 형성된 접착부(13)에 의해 벽면에 부착된다. 석고보드용 초배지(10)의 코팅부(12)에 의해 일정한 텐션이 작동하게 되어 코팅부(12)와 단차가 형성된 부분에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속지에 의해 단차가 줄어 들게 되고, 2차적으로 코팅부(12)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단차가 없어지게 된다.
이러한 석고보드용 초배지는 시공한 후에 습기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특히 습기가 많이 발생하는 화장실의 경우에는 석고보드 사이의 틈에서 형성될 수 있는 내부 습기와 실내에서 발생되는 외부습기의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벽면이 천정인 경우에는 하부에서 발생하는 습기에 의해 원지가 영향을 받게 되고, 중력 방향인 아래로 쳐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습기에 의해 원지가 수분을 포함하게 되어 페인트 칠이 되거나 도배지가 발린 외측으로 초배지가 울게 되어 매끄럽지 못한 표면이 발생하여 다시 보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실내 측에서 발생하는 습기에도 대처가 가능하도록 코팅부의 위치를 실내 측으로 하여 시공함으로써 이 경우 습기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테이프(100)는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 부분에 부착되어 마감하는 테이프로서, 원지(110), 접착부(130), 코팅부(12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벽면이란 건축물의 내부의 벽, 천정, 바닥 등 일정한 표면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란 벽면 시공을 위한 내장재를 연결한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높낮이가 다른 부분 또는 콘크리트 시공 등에 의해 연결되는 부분에 의해 표면에 높이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 뿐만 아니라, 실내에 페인트, 도배지로 마감이 필요한 모든 부분에 다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크랙이란 시공되는 석고보드 사이에 발생하는 틈, 파손된 부분 일 수 있으며, 건축물의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의 다양한 형태의 금일 수 있다. 양 사이가 떨어져 일정한 금이 형성된 부분이라면 사용가능하며, 어느 특정한 곳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지(110)는 벽면마감용 테이프(100)의 기본 형태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형태로서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이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원지(110)의 두께는 두꺼울수록 벽면의 단차나 크랙이 외부로 노출되는 정도를 낮출 수 있으나, 페인트의 도색 후 또는 벽지를 부착한 후에 테이프 형태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원지의 두께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원지(110)는 수지 처리된 원지가 사용될 수 있다. 원지(110)의 수지처리는 초배지의 내수성 및 내형성을 갖도록 하여 벽면의 이음새를 마감 후, 찢김이나 변형을 방지하며, 기온 차에 따른 습기를 머금어 윗면에 페인트 흡착이 가능하고, 윗면에 도배지로 도배된 벽면이나 천장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코팅부(120)는 본 발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일정한 유연성과 탄력성 및 발수성을 가지게 되는 부분이다, 또한 습기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벽면에 부착되는 면의 반대면에 코팅액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소수성을 가지는 코팅액으로 형성되는 경우 실내에서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원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페인트 외 석고미장, 퍼티 등의 무겁고 큰 입자의 도포에 의한 원지(1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코팅액은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는 벽면마감용 테이프의 코팅부의 기본적인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고, 내후성이 뛰어나 추후 벽면마감용 테이프에 의해 벽면을 마감할 때, 마감 후에도 습도, 온도 등의 변화에도 벽면마감용 테이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코팅액에 함유되는 아크릴 수지의 함량은 20~6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환경 변화에 대한 변형방지 효과가 미미하며,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의 함량이 60중량%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비해 변형방지 효과의 상승 정도가 많지 않아 상기 범위로 한정한다.
또한, 함유되는 톨루엔(Toluene)은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가 원지 표면에 고루 펴지게 끔 분산시키는 역할과 배합된 수지가 적당량 원지에 흡수될 수 있게끔 하는 역할을 한다. 톨루엔(Toluene)은 무색의 휘발성 액체로 보관 시에 밀폐가 필수 적이며, 톨루엔(Toluene)의 함량을 조절하여 코팅액의 점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톨루엔(Toluene)은 필요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나, 40 ~ 8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톨루엔(Toluene)의 함량이 낮을 경우는 코팅액의 점도가 높아 코팅 시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코팅층이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톨루엔(Toluene)의 함량이 높아 코팅액의 점도가 낮은 경우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는 면이 발생할 수 있어 벽면마감용 테이프의 강도가 유지되지 못하여 벽면마감용 테이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코팅액은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톨루엔(Toluene)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첨가물이 부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실리콘 오일(KF96)은 이형성 및 발수성이 뛰어나, 도배풀 등 이물질이 코팅층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실리콘 오일(KF96)은 벽면마감용 테이프와 벽면 사이의 비접착공간에 의해 형성된 단차의 극복 및 벽지 함몰 또는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실리콘 오일(KF96)은 5 ~ 15 중량%가 첨가될 수 있다. 실리콘 오일(KF96)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이형성, 발수성의 기능성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실리콘 오일(KF96)의 함량이 15 중량% 초과인 경우 다른 물질과의 용해가 어려워질 수 있다.
그리고, 실리콘 오일(KF96)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왁스(Wax)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왁스를 코팅액에 첨가하는 경우 코팅된 원지의 건조가 잘 이루어지며 이형제 역할을 수행하기 있게 된다. 왁스는 첨가량은 5 ~ 1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왁스가 초과되어 첨가되는 경우 도배풀과 접착이 잘되어 벽면에 들러붙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잇다.
코팅부(120)가 형성된 반대면의 양측부에 접착부(130)를 형성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접착부(13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접착부(130)로 인하여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하지 않게 되며, 마감된 부분이 곧게 마감되어 벽면마감용 테이프 위에 바로 페인트를 사용하여 도장작업을 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고 빠른 시간 내에 마감할 수 있어 시공비용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부는 통상적으로 도배용 풀이나 밀가루 풀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특정한 접착제로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사용의 편리를 위해 건조되었을 경우 접착력을 갖지 않지만 물을 부가하는 경우에 접착력이 발생하여 접착력을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잇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벽면마감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해서 원지를 준비한다. 이 때 사용되는 원지는 수지처리된 원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준비된 원지에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코팅하여 코팅부을 형성시킨다. 코팅액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준비하게 된다. 코팅액을 롤에 묻혀 원지를 통과시키면 연속적으로 코팅층을 원지에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실온(섭씨 25도) 기준으로 코팅액의 점도는 포드컵(Ford Cup) 점도 측정기 기준으로 약 30초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수지처리된 원지 상태, 습도, 코팅장비의 온도에 따라 코팅액의 점도는 25~35초 사이의 값으로 유동적이다. 이때 조절되는 점도는 함유되는 톨루엔(Toluene)의 양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휘발성이 높은 용매의 특성으로 인하여 점도가 다소 높아질 수 있다. 이 경우 밀폐용기에 코팅액을 보관하여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코팅액이 원지에 코팅되고 나면 원지를 건조시킨다. 이러한 건조공정은 자연풍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건조하는 자연건조, 고온의 롤을 통과시켜 건조하는 열건조, 실온에 롤을 통과시켜 건조하는 냉건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연건조는 코팅된 원지가 여러 롤을 거지는 과정의 첫번째로서 일정한 바람을 발생할 수 있는 선풍기 등을 통하여 실온에서 건조된다. 이렇게 일차적으로 건조된 원지는 약 90~100도의 온도를 유지하는 건조롤을 통과시켜 코팅부의 뒷면에 열을 가해 원지를 2차로 건조시킨다. 이때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은 열경화되어 코팅부의 필요한 강도를 갖추게 된다. 이때 원지의 이동속도는 약 26 ~ 30 M/min 이다. 열건조된 원지는 열이 제공되지 않는 실온의 롤을 거쳐 냉건조된다. 이 때 원지의 코팅부는 완전히 건조되게 되며 원지가 말리더라도 서로 달라붙지 않게 된다.
건조가 완료된 원지는 필요한 크기에 따라 재단한다. 보통 석고보드 이음새용으로 사용되는 초배지는 폭을 12 cm, 15 cm으로 2종으로 재단될 수 있다. 이때 코팅부의 폭은 9 cm, 12 cm 정도이다. 재단된 원지는 코팅부가 형성된 반대면의 양측부에 접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접착제를 바르게 된다. 이러한 접착부로 인하여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하지 않게 되며, 마감된 부분이 곧게 마감되어 벽면마감용 테이프 위에 바로 페인트를 사용하여 도장작업을 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고 빠른 시간 내에 마감할 수 있어 시공비용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도배용 풀이나 밀가루 풀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건조가 완료된 원지는 기계로 추가적으로 압축하여 코팅액의 평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코팅부의 두께의 편차를 발생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후에 벽면마감용 테이프로서 벽면에 부착될 때 찢김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테이프를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석고보드가 형성된 벽면(W)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를 줄이기 위해 속지를 풀을 이용하여 벽면(W)에 단차가 형성된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단차 부분에 벽면마감용 테이프(100)가 부착되는 데, 이 때 코팅부(120)는 단차부분인 아닌 원지(110)의 반대면에 형성된다. 코팅부(120)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면에 접착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속지는 벽면의 이음새 또는 크랙면의 전체면에 부착되고 속지와 원지 사이는 접착력이 없이 비접착되어 미세한 공간을 형성한다. 일차적으로 속지에 의해 단차의 움직임 고정, 석고보드 상부에서 내려오는 습기를 방지하고, 2차적으로 속지와 코팅부와의 비접착부를 통한 미세한 공간을 형성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단차가 없어지게 하며, 석고보드 단차의 움직임에 의한 마감재 크랙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속지는 별도로 석고보드 단차부분에 부착시킬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테이프에 함께 감긴 형태로 부착시킬 수도 있다. 즉, 벽면마감용 테이프의 접착부 사이에 속지를 위치 시킨 후에 이를 감게 되면 벽면마감용 테이프를 부착시킬 때 동시에 속지를 단차부분에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로 벽면(W)에 부착되면, 아래 방향에서 발생하는 습기에 대하여 원지(110)가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원지(110)의 아랫면에 형성된 코팅부(120)에 의해 습기가 원지(110)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접착부(130)의 반대면에 노출된 부분은 벽면(W)과 접착부(130)에 의해 밀착되기 때문에 하부에서 발생되는 습기에 노출되더라도 원지(1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테이프를 시공한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차 부분에 일차적으로 부착되는 속지(200)를 종이층(210)에 코팅층(220)이 형성되도록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착되는 속지(200)에 형성되는 코팅층(220)은 벽면마감용 테이프(100)의 형성되는 코팅부(120)와 마찬가지로 코팅액에 의해 형성되며, 자세한 내용은 벽면마감용 테이프의 코팅부의 설명과 같다. 속지에 부가적으로 코팅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차가 형성된 측에서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속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내에 습기가 많이 발생하는 장소에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테이프를 시공하게 되면 실내의 습기에 의해 테이프 자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시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벽면마감용 테이프로 벽면을 마감 후에 도장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다수의 퍼티 작업을 수행하는 등의 불편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방법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방법은 벽면에 형성된 크랙 또는 이음새 부분에 1차적으로 도배풀을 이용하여 속지를 부착하는 과정(S11), 상기 속지가 부착된 부분의 양측 부분에 접착부가 밀착되도록 벽면마감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S12) 및 상기 벽면마감용 테이프를 부착시킨 후 페인트를 도포하는 과정(S13)을 포함한다.
우선 벽면에 형성된 크랙 또는 이음새 부분에 1차적으로 도배풀을 이용하여 속지를 부착한다. 여기서 크랙이나 이음새 부분은 석고보드와 같은 내장재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속지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이 재질 뿐만 아니라 코팅층이 형성된 것도 사용될 수 있다. 속지에 의해 단차를 1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속지가 부착된 부분의 양측 부분에 접착부가 밀착되도록 벽면마감용 테이프를 부착한다. 이때, 벽면마감용 테이프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원지, 상기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 부분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에 부착되는 원지의 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가 형성되는 원지의 반대면에 형성되며, 상기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한다. 상기 벽면 마감용 테이프를 부착시킨 후 페인트를 도포하여 벽면을 마감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방법은 벽면에 발생된 크랙 부분을 샌딩하는 과정(S21), 상기 샌딩된 크랙 부분에 중도제를 도포하는 과정(S22), 상기 중도제가 도포된 부분의 양측 부분에 접착부가 밀착되도록 벽면마감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S23) 및 상기 벽면 마감용 테이프를 부착시킨 후 페인트를 도포하는 과정(S24)을 포함한다.
우선 벽면에 발생되는 크랙은 건축물의 자체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크랙일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크랙을 대상으로 한다. 특히 표면이 일정하지 않은 크랙 부분에 샌딩페이퍼 등을 활용하여 샌딩작업을 하여 평탄화한다. 샌딩작업에 의해 평탄화가 이루어진 후에 크랙 부분에 중도제를 도포한다. 중도제는 벽면에 일정한 코팅층을 형성하여 습기에 의한 벽면마감용 테이프의 탈락을 방지하고, 벽면마감용 테이프의 접착부에 의한 접착력을 더욱 강하고, 오래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중도제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다양한 중도제가 사용될 수 있다.
중도제를 도포한 후에 중도제가 도포된 부분의 양측 부분에 접착부가 밀착되도록 벽면마감용 테이프를 부착한다. 이때, 벽면마감용 테이프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원지, 상기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 부분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에 부착되는 원지의 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가 형성되는 원지의 반대면에 형성되며, 상기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한다. 상기 벽면 마감용 테이프를 부착시킨 후 페인트를 도포하여 벽면을 마감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마감 작업이 수행되는 크랙은 건물의 천정이나 벽에 형성되는 것이고 안전과 관련되지 않은 미관상의 문제가 있는 곳을 대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크랙이 형성된 벽면은 마감하게 되면 손쉽게 표면을 매끄럽게 보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 부분에 부착되어 마감하는 벽면 마감용 테이프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원지;
    상기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 부분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에 부착되는 원지의 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가 형성되는 원지의 반대면에 형성되며, 상기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하는 벽면마감용 테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코팅액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마감용 테이프.
  3. 벽면에 형성된 크랙 또는 이음새 부분에 1차적으로 도배풀을 이용하여 속지를 부착하는 과정;
    상기 속지가 부착된 부분의 양측 부분에 접착부가 밀착되도록 벽면마감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 및
    상기 벽면마감용 테이프를 부착시킨 후 페인트를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벽면마감용 테이프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원지, 상기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 부분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에 부착되는 원지의 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가 형성되는 원지의 반대면에 형성되며, 상기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하는 벽면 마감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속지는 부착되는 후면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마감 방법.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코팅액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마감 방법.
  6. 벽면에 발생된 크랙 부분을 샌딩하는 과정
    상기 샌딩된 크랙 부분에 중도제를 도포하는 과정
    상기 중도제가 도포된 부분의 양측 부분에 접착부가 밀착되도록 벽면마감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
    상기 벽면 마감용 테이프를 부착시킨 후 페인트를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벽면마감용 테이프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원지, 상기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 부분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에 부착되는 원지의 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가 형성되는 원지의 반대면에 형성되며, 상기 벽면에 형성된 단차 또는 크랙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하는 벽면 마감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속지는 부착되는 후면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마감 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코팅액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마감 방법.
PCT/KR2016/014682 2016-12-12 2016-12-15 벽면 마감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마감 방법 WO201811073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637A KR20180067176A (ko) 2016-12-12 2016-12-12 벽면 마감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마감 방법
KR10-2016-0168637 2016-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0733A1 true WO2018110733A1 (ko) 2018-06-21

Family

ID=6255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4682 WO2018110733A1 (ko) 2016-12-12 2016-12-15 벽면 마감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마감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67176A (ko)
WO (1) WO20181107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9393A (zh) * 2020-12-29 2021-04-27 苏州德达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韧釉薄板及其制备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406B1 (ko) * 2019-01-07 2019-08-07 문윤정 건축물의 내부벽면 마무리 작업 방법
KR20230001702U (ko) 2022-02-17 2023-08-24 김재복 석고보드 이음매 마감용 초배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6303U (ko) * 1989-08-22 1991-04-09
JPH05321428A (ja) * 1992-05-21 1993-12-07 Achilles Corp 壁材構造とその施工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壁材
JPH11336209A (ja) * 1999-05-12 1999-12-07 Yoshiro Ohashi 壁面部材の接合目地を掩蔽する掩蔽テ―プ
JP2000310023A (ja) * 1999-04-26 2000-11-07 Sekisui Chem Co Ltd 粘着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下地材の継目処理方法
KR20090025827A (ko) * 2007-09-07 2009-03-11 장경호 실크 벽지 부착용 초배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081Y1 (ko) 2002-04-09 2002-08-22 이재명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KR200321861Y1 (ko) 2003-02-12 2003-07-31 임중호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KR101044414B1 (ko) 2008-12-30 2011-06-27 강귀금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6303U (ko) * 1989-08-22 1991-04-09
JPH05321428A (ja) * 1992-05-21 1993-12-07 Achilles Corp 壁材構造とその施工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壁材
JP2000310023A (ja) * 1999-04-26 2000-11-07 Sekisui Chem Co Ltd 粘着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下地材の継目処理方法
JPH11336209A (ja) * 1999-05-12 1999-12-07 Yoshiro Ohashi 壁面部材の接合目地を掩蔽する掩蔽テ―プ
KR20090025827A (ko) * 2007-09-07 2009-03-11 장경호 실크 벽지 부착용 초배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9393A (zh) * 2020-12-29 2021-04-27 苏州德达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韧釉薄板及其制备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176A (ko)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10733A1 (ko) 벽면 마감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마감 방법
KR20040093666A (ko) 트러프-주연부를 갖는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20060254170A1 (en) Wallboard tape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8086617A (zh) 一种薄抹灰保温复合板的施工方法
CN112064807A (zh) 一种室内阴角防水结构及施工工艺
US6226957B1 (en) Drywall joint system
CN209580723U (zh) 一种装饰板
KR102008406B1 (ko) 건축물의 내부벽면 마무리 작업 방법
US20060225836A1 (en) Flashing material
CN104389399A (zh) 保温装饰一体化板及其施工方法
US7841146B2 (en) Product and method for concealing joints
JP2001187867A (ja) 塗料組成物
TW394808B (en) Method of processing the crevices on the surface of building
JP3308859B2 (ja) 壁面の仕上げ方法
RU2743284C1 (ru) Способ внутренней отделки стен здания
JPH03194057A (ja) 壁面施工法
US12006695B2 (en) Work method for finishing inner wall surface of building
US20220412098A1 (en) Joint Support Including Adhesive Layer, System Including Joint Support, and Method of Use
CN210459823U (zh) 一种装配式室内无缝饰面体系
CN211286385U (zh) 一种新型覆金属膜装饰板
JP2905063B2 (ja) 外装材
JP3091093B2 (ja) 建築物壁面の化粧用シート
JPS5838584B2 (ja) セメント製建築用板の連結仕上げ法
JP4956743B2 (ja) 被覆未気硬化漆喰製シート
JPH01103435A (ja) 粘着層つき塗装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9241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9241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