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280A -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280A
KR20090025280A KR1020087031648A KR20087031648A KR20090025280A KR 20090025280 A KR20090025280 A KR 20090025280A KR 1020087031648 A KR1020087031648 A KR 1020087031648A KR 20087031648 A KR20087031648 A KR 20087031648A KR 20090025280 A KR20090025280 A KR 20090025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nent
formula
general formula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1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4685B1 (ko
Inventor
도모코 우치야마
하야토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5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55Sulf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9Sulfates of polyoxyalkylene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11D1/8305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containing a combination of non-ionic compounds differently alcoxylised or with different alkylated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0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06Monohydric alcohols
    • C11D3/201Monohydric alcohols linear
    • C11D3/2013Monohydric alcohols linear fatty or with at least 8 carbon atoms in the alkyl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68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11D1/721End blocked eth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알킬황산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거품질이 우수하고 거품질이 크림미하며, 또한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음의 성분 (A) (B) 및 (C) ;
(A)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알킬황상염,
(B) 미리스틸알코올,
(C)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알콕실레이트 (C-1) 및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글리세릴에테르 (C-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
를 함유하고, 성분 (A) 와 성분 (B) 의 비율이 중량비로 (A)/(B) = 91.5/8.5 ∼ 80/20 이고, 성분 (A) 와 성분 (C) 의 비율이 중량비로 (A)/(C) = 98/2 ∼ 85/15 이며, 성분 (B) 와 성분 (C) 의 비율이 중량비로 (B)/(C) = 90/10 ∼ 30/70 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1.6 ∼ 14 중량% 인 세정제 조성물.

Description

세정제 조성물{CLEANS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알킬황산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로서, 거품질이 개선되고 또한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정제 조성물에는 그 목적에 맞추어 여러 가지 계면 활성제가 사용되고 있는데, 거품질이 거칠고 탄력성이 부족한 것이 많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알킬황산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은, 거품 발생이 우수하고 수질의 영향을 잘 받지 않는 점에서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이기는 하지만, 입자직경이 미세하고 탄력이 있는 크리미한 세정제 조성물인 비누를 기본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에는 거품질면에서 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거품질이 거칠고 탄력성이 부족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알킬황산염의 거품질을 크리미한 것으로 개선할 수 있고,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으면 여러 가지 제형을 설계할 수 있고, 세정제 조성물로서, 특히 크리미한 거품질이 요구되는 피부나 모발 등의 신체 세정료로서 유용하다.
특허 문헌 1 에는, 비(非)비누계 아니온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HLB 가 6 ∼ 18 의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고급 알코올 등의 미셀의 성장 촉진제 를 함유하는 액체 세정제가 세정력이 우수하고 저온 안정성이 양호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2 에는, 황산 잔기를 갖는 아니온 계면 활성제, 탄소수 10 ∼ 14 의 고급 알코올 및 카티온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모발 세정제가, 세발시에 양호한 거품 발생과 미끄러짐이 좋은 거품질을 가지며, 헹굼시에 매끄러운 감촉을 가져, 사용감이 우수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3 에는,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와 특정한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물을 함유하고, 겔 또는 액정 상태를 나타내는 세정제 조성물이, 고점도이며 손이나 도구에 덜었을 때에 잘 흘러내리지 않으면서, 사용시 잘 퍼지고 보존 안정성이 높으며 거품 발생이 빨라 양호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4 에는, 황산염형 계면 활성제, 알킬글리세릴에테르, 실리콘유, 카티온성 폴리머 및 미리스틸알코올을 함유하는 모발 세정제가, 양호한 거품 발생 및 미끄러짐이 좋은 거품질을 부여하고, 헹굼시에는 매끄러운 감촉을 가지며, 세정 후의 머리카락에 윤기나 정돈감을 부여하고, 저온 안정성이 양호하며 저자극성인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중 어느 세정제 조성물도, 거품질의 개선과 보존 안정성의 양자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알킬황산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크리미한 거품질을 얻기 위하여 고급 알코올을 첨가하는 수법이 채택되었는데, 당해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은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특허 문헌 4 의 실시예 9 의 컨디셔닝 샴푸는 크리미한 거품이 얻어지지 않는 것이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91522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12733호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68951호
특허 문헌 4 :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1676566호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 (A), (B) 및 (C) ;
(A) 일반식 (1)
Figure 112008089430815-PCT00001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8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0 ∼ 5 의 수를 나타내고, M 은 알칼리 금속 원자, 알칸올아민 또는 암모늄을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알킬황산염,
(B) 미리스틸알코올,
(C)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알콕실레이트 (C-1) 및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글리세릴에테르 (C-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
(C-1) 일반식 (2)
Figure 112008089430815-PCT00002
(식 중, R2 는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O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0.5 이상 4.0 미만의 수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알콕실레이트,
(C-2) 일반식 (3)
[화학식 1]
Figure 112008089430815-PCT00003
(식 중, R4 는 탄소수 6 ∼ 14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글리세릴에테르,
를 함유하고, 성분 (A) 와 성분 (B) 의 비율이 중량비로 (A)/(B) = 91.5/8.5 ∼ 80/20 이고, 성분 (A) 와 성분 (C) 의 비율이 중량비로 (A)/(C) = 98/2 ∼ 85/15 이며, 성분 (B) 와 성분 (C) 의 비율이 중량비로 (B)/(C) = 90/10 ∼ 30/70 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1.6 ∼ 14 중량% 인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 (A), (B) 및 (C) ;
(A) 일반식 (1)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8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0 ∼ 5 의 수를 나타내고, M 은 알칼리 금속 원자, 알칸올아민 또는 암모늄을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알킬황산염,
(B) 미리스틸알코올,
(C)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알콕실레이트 (C-1) 및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글리세릴에테르 (C-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
(C-1) 일반식 (2)
Figure 112008089430815-PCT00005
(식 중, R2 는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O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0.5 이상 4.0 미만의 수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알콕실레이트,
(C-2) 일반식 (3)
[화학식 2]
Figure 112008089430815-PCT00006
(식 중, R4 는 탄소수 6 ∼ 14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글리세릴에테르,
를, 성분 (A) 와 성분 (B) 의 비율이 중량비로 (A)/(B) = 91.5/8.5 ∼ 80/20 이고, 성분 (A) 와 성분 (C) 의 비율이 중량비로 (A)/(C) = 98/2 ∼ 85/15 이며, 성분 (B) 와 성분 (C) 의 비율이 중량비로 (B)/(C) = 90/10 ∼ 30/70 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1.6 ∼ 14 중량% 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 (A), (B) 및 (C) ;
(A) 일반식 (1)
Figure 112008089430815-PCT00007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8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0 ∼ 5 의 수를 나타내고, M 은 알칼리 금속 원자, 알칸올아민 또는 암모늄을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알킬황산염,
(B) 미리스틸알코올,
(C)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알콕실레이트 (C-1) 및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글리세릴에테르 (C-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
(C-1) 일반식 (2)
Figure 112008089430815-PCT00008
(식 중, R2 는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O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0.5 이상 4.0 미만의 수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알콕실레이트,
(C-2) 일반식 (3)
[화학식 3]
Figure 112008089430815-PCT00009
(식 중, R4 는 탄소수 6 ∼ 14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글리세릴에테르,
를 함유하고, 성분 (A) 와 성분 (B) 의 비율이 중량비로 (A)/(B) = 91.5/8.5 ∼ 80/20 이고, 성분 (A) 와 성분 (C) 의 비율이 중량비로 (A)/(C) = 98/2 ∼ 85/15 이며, 성분 (B) 와 성분 (C) 의 비율이 중량비로 (B)/(C) = 90/10 ∼ 30/70 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1.6 ∼ 14 중량% 인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세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 (A), (B) 및 (C) ;
(A) 일반식 (1)
Figure 112008089430815-PCT00010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8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0 ∼ 5 의 수를 나타내고, M 은 알칼리 금속 원자, 알칸올아민 또는 암모늄을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알킬황산염,
(B) 미리스틸알코올,
(C)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알콕실레이트 (C-1) 및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글리세릴에테르 (C-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
(C-1) 일반식 (2)
Figure 112008089430815-PCT00011
(식 중, R2 는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O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0.5 이상 4.0 미만의 수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알콕실레이트,
(C-2) 일반식 (3)
[화학식 4]
Figure 112008089430815-PCT00012
(식 중, R4 는 탄소수 6 ∼ 14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글리세릴에테르,
를 함유하고, 성분 (A) 와 성분 (B) 의 비율이 중량비로 (A)/(B) = 91.5/8.5 ∼ 80/20 이고, 성분 (A) 와 성분 (C) 의 비율이 중량비로 (A)/(C) = 98/2 ∼ 85/15 이며, 성분 (B) 와 성분 (C) 의 비율이 중량비로 (B)/(C) = 90/10 ∼ 30/70 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1.6 ∼ 14 중량% 인 조성물의 피부 세정제로서의 사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알킬황산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거품량이 우수하고 거품질이 크리미하며, 또한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알킬황산염에, 고급 알코올 중의 미리스틸알코올, 및 특정 구조의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조합하고, 추가로 이들을 특정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거품량이 우수하고 거품질이 크리미하며, 또한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알킬황산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은, 거품량이 우수하고 거품질이 크리미하며, 또한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나아가 피부용 세정제로서 유용하다.
이하에,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성분 (A) 의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알킬황산염에 있어서, R1 은 탄소수 8 ∼ 18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며, 그 탄소수는 세정력, 기포성의 면에서 10 ∼ 16, 보다 12 ∼ 14 가 바람직하고,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또, R1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는 직사슬이어도 되고 분기사슬이어도 되는데 직사슬이 바람직하다. 평균 부가 몰수 n 은 0 ∼ 5 의 수를 나타내는데, 세정력, 기포성의 면에서 1 ∼ 3, 보다 1 ∼ 2 가 바람직하다. M 은 알칼리 금속 원자, 알칸올아민 또는 암모늄을 나타낸다. 알칼리 금속 원자로는 나트륨, 칼륨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 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알칸올아민으로는 트리에탄올아민이 바람직하다.
성분 (A) 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 (2)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1) 라우릴에테르황산암모늄 등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폴리옥시에틸렌 (2)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성분 (A) 의 함유량은, 기포성의 면에서 본 발명 세정제 조성물 중에 5 ∼ 70 중량%, 보다 10 ∼ 70 중량%, 보다 더 12 ∼ 65 중량%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 세정제 조성물이 세안료 등과 같은 경우에는, 성분 (A) 의 함유량은 그 세정제 조성물 중에 30 ∼ 70 중량%, 보다 30 ∼ 65 중량%, 보다 더 30 ∼ 60 중량% 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 세정제 조성물이 액체 신체 세정료 등 과 같은 경우에는, 성분 (A) 의 함유량은 그 세정제 조성물 중에 5 ∼ 25 중량%, 보다 5 ∼ 20 중량%, 보다 더 10 ∼ 20 중량%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성분 (B) 는 미리스틸알코올이다.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성분 (A) 와 배합하였을 때, 여러 가지 고급 알코올 중에서도 특히 미리스틸알코올이 거품 입자직경이 작고, 점탄성이 높으며 크리미한 거품을 생성하는 작용에 있어서 우수하다. 즉, 성분 (A) 와 미리스틸알코올을 배합하였을 때의 거품의 입자직경은, 라우릴알코올이나 팔미틸알코올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작고, 그 거품질은 크리미하다. 또, 성분 (A) 와 미리스틸알코올을 조합하였을 때에 얻어지는 거품의 점탄성은, 라우릴알코올이나 팔미틸알코올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높고, 그 거품에는 탄력이 있다.
미리스틸알코올 (B) 의 함유량은, 거품량 및 크리미한 거품질을 얻는 점에서, 본 발명 세정제 조성물 중에 1.6 ∼ 14 중량% 인데, 1.6 ∼ 10 중량%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 조성물이 세안료 등과 같은 경우에는, 성분 (B) 의 함유량은 그 세정제 조성물 중에 2 ∼ 14 중량%, 보다 4 ∼ 14 중량%, 보다 더 4 ∼ 10 중량% 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 세정제 조성물이 액체 신체 세정료 등과 같은 경우에는, 성분 (B) 의 함유량은 그 세정제 조성물 중에 1.6 ∼ 3 중량%, 추가로 1.6 ∼ 2.5 중량% 가 바람직하다.
성분 (C) 는 상기 알콕실레이트 (C-1) 및 글리세릴에테르 (C-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이다. 여기서 알콕실레이트 (C-1) 를 나타내는 일반식 (2) 에 있어서, R2 는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다. 저(低)브롬화의 관점에서 직사슬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기포성의 관점에서 R2 는 탄소수 8 인 것이 바람직하고, 혼합 알킬의 경우, 탄소수 8 인 것이 50% 이상, 보다 80% 이상, 보다 더 9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2) 에 있어서, AO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시기이고, 프로필렌옥시기 (이하 PO 라고 한다) 및/또는 에틸렌옥시기 (이하 EO 라고 한다) 가 바람직하고, PO 와 EO 는 블록이어도 되고 랜덤해도 되는데, 블록이 바람직하고, 저브롬화의 관점에서 PO, EO 의 순으로 블록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보다 PO 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2) 의 화합물에 있어서, 평균 부가 몰수 n 은 0.5 이상 4.0 미만의 수를 나타내는데, 기포성의 관점에서 1.0 ∼ 3.0, 보다는 2.0 ∼ 3.0, 보다 더 2.0 ∼ 2.5 가 바람직하다.
일반식 (2) 중의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는데,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글리세릴에테르 (C-2) 를 나타내는 일반식 (3) 중, R4 는 탄소수 6 ∼ 14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n-헥실기, 이소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2-에틸헥실기, n-노닐기, n-데실기, 이소데실기, n-라우릴기 등의 탄소수 4 ∼ 12 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보다 탄소수 6 ∼ 11, 보다 더 탄소수 6 ∼ 10, 특히 탄소수 8 ∼ 10 의 알킬기 (보다 2-에틸헥실기 또는 이소데실기) 가 바람직하다.
성분 (C-2) 중, 거품질의 개선 또는 보존 안정성면에서, 2-에틸헥실글리세릴에테르 또는 이소데실글리세릴에테르가 바람직하고, 보다 2-에틸헥실글리세릴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성분 (C) 는 세정제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특히 보존시에 세정제의 2 층 분리를 방지하는 점에서, 본 발명 세정제 조성물 중에 0.05 ∼ 14 중량%, 보다 0.1 ∼ 12 중량%, 보다 더 0.5 ∼ 12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세정제 조성물이 세안료 등과 같은 경우에는, 성분 (C) 의 함유량은 그 세정제 조성물 중에 2 ∼ 14 중량%, 보다 2 ∼ 12 중량%, 보다 더 4 ∼ 12 중량% 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 세정제 조성물이 액체 신체 세정료 등과 같은 경우에는, 성분 (C) 의 함유량은 그 세정제 조성물 중에 0.05 ∼ 3 중량%, 보다 0.1 ∼ 2.5 중량%, 보다 더 0.5 ∼ 2.5 중량%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성분 (A), (B) 및 (C) 의 배합 비율 (중량 비율) 은, 거품질의 개선과 보존 안정성의 양립을 도모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즉, 성분 (A), (B) 및 (C) 는, 거품질의 개선 효과와 보존 안정성 확보면에서, (A)/(B) = 91.5/8.5 ∼ 80/20 이고, (A)/(C) = 98/2 ∼ 85/15 이며, (B)/(C) = 90/10 ∼ 30/70 이다. 이 중, (A)/(B) 의 바람직한 범위는 91.5/8.5 ∼ 82/18 이고,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91.5/85 ∼ 85/15 이다. (A)/(C) 의 바람직한 범위는 98/2 ∼ 88/12 이고,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97.5/2.5 ∼ 88/12 이다. (B)/(C) 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90/10 ∼ 40/60 이고, 보다 더 바람직한 범위는85/15 ∼ 40/60 이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추가로 카티온성 폴리머 (D) 를 배합함으로써, 거품의 점성을 향상시키고, 거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카티온성 폴리머로는, 하기 (a) ∼ (d)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a) 일반식 (I) 또는 (II) 로 나타내는 논이온성기 함유 비닐 단량체의 적어도 1 종과, 일반식 (III) 또는 (IV) 로 나타내는 카티온성기 함유 비닐 단량체의 적어도 1 종과, 비닐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및 알릴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 개의 기를 분자 중에 갖는 가교성 비닐 단량체의 적어도 1 종을 필수 구성 단량체로 하고, 라디칼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카티온성기 함유 공중합체.
[화학식 5]
Figure 112008089430815-PCT00013
〔식 중, R1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2 및 R13 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직사슬형 혹은 분기형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6]
Figure 112008089430815-PCT00014
〔식 중, R11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A1 및 A2 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식 -(CH2)m- (m 은 2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내고, B 는 -O- 또는 -CH2-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7]
Figure 112008089430815-PCT00015
〔식 중, R11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R14 및 R15 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16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Y 는 -O-, -NH-, -CH2- 또는 -O-CH2CH(OH)- 기를 나타내고, Z 는 탄소수 1 ∼ 4 (단, Y 가 -CH2- 일 때에는 탄소수 0 ∼ 3)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는 산의 공액 염기,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술페이트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8]
Figure 112008089430815-PCT00016
〔식 중, R17 및 R18 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9 및 R20 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b)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유도체,
(c) 카티온화 구아검 유도체, 및
(d) 디알릴 4 급 암모늄염 중합물 또는 디알릴 4 급 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물.
성분 (D) 의 (a) 카티온성기 함유 공중합체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서술한다.
(가) 논이온성기 함유 비닐 단량체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단량체의 구체예로는,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t-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II) 로 나타내는 단량체로는, N-(메트)아크로일모르폴린 등을 들 수 있다.
(나) 카티온성기 함유 비닐 단량체
상기 일반식 (III) 으로 나타내는 단량체의 구체예로는,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부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이소부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t-부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디에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디프로필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디이소프로필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디부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디이소부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디t-부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디알킬아미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또는 (메트)아크릴아미드를 산으로 중화한 산중화물 혹은 4 급화제로 4 급화한 4 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IV) 로 나타내는 단량체의 구체예로는,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디에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디알릴형 4 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산중화물을 얻기 위한 바람직한 산으로는,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의 무기산 ; 및 아세트산, 포름산, 말레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아디프산, 술파민산, 톨루엔술폰산, 락트산, 피롤리돈-2-카르복실산, 숙신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등의 총 탄소수 1 ∼ 22 의 유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4 급 암모늄염을 얻기 위한 바람직한 4 급화제로는, 염화메틸, 염화에틸, 브롬화메틸, 요오드화메틸 등의 탄소수 1 ∼ 8 의 할로겐화알킬, 황산디메틸, 황산디에틸, 황산디-n-프로필 등의 일반적인 알킬화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III) 또는 (IV) 로 나타내는 단량체 중에서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는,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또는 디에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를 상기한 4 급화제로 4 급화한 4 급 암모늄염, 혹은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산중화물 단량체는, 계의 pH 등에 의해 중화한 산의 해리가 일어나고, 폴리머 구조가 변화하기 때문에, 점도의 안정성이 낮다는 결점을 갖는다. 이 점에서도 4 급 암모늄염형 단량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 가교성 비닐 단량체
가교성 비닐 단량체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2-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 ; N-메틸알릴아크릴아미드, N-비닐아크릴아미드, N,N'-메틸렌비스(메트)아크릴아미드, 비스아크릴아미드아세트산 등의 아크릴아미드류 : 디비닐벤젠, 디비닐에테르, 디비닐에틸렌우레아 등의 디비닐 화합물 ; 디알릴프탈레이트, 디알릴말레이트, 디알릴아민, 트리알릴아민, 트리알릴암모늄염, 펜타에리트리톨의 알릴에테르화체, 분자 중에 적어도 2 개의 알릴에테르 단위를 갖는 수크로오스의 알릴에테르화체 등의 폴리알릴 화합물 ; 비닐(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알코올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성 단량체 중에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알릴에테르, 또는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가 바람직하다.
(라) 그 밖의 비닐 단량체
성분 (A) 의 카티온성기 함유 공중합체는, 필수 구성 단위인 상기한 3 종류의 비닐 단량체 이외에, 이들과 공중합이 가능한 그 밖의 비닐 단량체를 구성 성분으로 할 수 있다. 그 밖의 비닐 단량체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베헤닐(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톨루일(메트)아크릴레이트, 자일릴(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메트)아크릴레이트, 2-페녹시(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에톡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비닐 단량체는 카티온성기 함유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중, 30 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15 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 카티온성기 함유 공중합체
카티온성기 함유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인 논이온성기 함유 비닐 단량체 (a1) 와 카티온성기 함유 비닐 단량체 (a2) 의 바람직한 배합 비율은, (a1)/(a2) 의 몰 비로 2/98 ∼ 98/2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 ∼ 97/3 이다. 상기 몰 비가 큰 경우에는 틱소트로피성의 발현이, 몰 비가 작은 경우에는 낮은 쉐어레이트시의 점도 유지가 각각 용이해지는데, 양 특성 발현에는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성 비닐 단량체 (a3) 의 비율은, 단량체 전체량에 대하여 0.002 ∼ 5 중량% 가 바람직하고, 0.002 중량% 이상 0.1 중량%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량체 (a3) 의 비율이 0.002 중량% 이상이면, 카티온성기 함유 공중합체로 형성되는 하이드로겔의 점도가 충분하고, 또 5 중량% 이하이면, 하이드로겔의 감촉은 부드럽고, 미끄러짐이 양호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성분 (D) 의 (a) 카티온성기 함유 공중합체의 바람직한 일 양태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산디에틸황산염-N,N-디메틸아크릴아미드-디메타크릴산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화학식 9]
Figure 112008089430815-PCT00017
(식 중, 몰 비로 x/y = 1/9 ∼ 5/5, (x + y + z)/z = 1/0.1 ∼ 1/0.002 이다.)
예를 들어, 시판품으로는, 소후케아 KG-301W〔카오 (주) 제조 ; x : y : z = 30 : 70 : 0.0038 (몰비)〕나 소후케아 KG-101E〔카오 (주) 제조 ; x : y : z = 10 : 90 : 0.0035 (몰비)〕나 소후케아 KG-301P〔카오 (주) 제조 ; x : y : z = 30 : 70 : 0.0038 (몰비)〕를 들 수 있다.
성분 (D) 의 (b)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유도체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서술한다.
(b)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유도체로는, 다음의 일반식 (VI) 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0]
Figure 112008089430815-PCT00018
(VI) 식 중, A 는 안히드로글루코오스 단위의 잔기를 나타내고, a 는 50 ∼ 20000 의 정수이며, 각 R21 은, 각각 다음의 일반식 (VII) 로 나타내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11]
Figure 112008089430815-PCT00019
식 (VII) 중, R' 및 R'' 탄소수 2 또는 3 의 알킬렌기, b 는 0 ∼ 10 의 정수, c 는 0 ∼ 3 의 정수, d 는 0 ∼ 10 의 정수, R''' 는 탄소수 1 ∼ 3 의 알킬렌 또는 히드록시알킬렌기, R22, R23 및 R24 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탄소수 10 까지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식 중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여 염소 고리를 형성해도 되고, 그리고 X1 은 음이온 (염소, 브롬, 요오드, 황산, 술폰산, 메틸황산, 인산, 질산 등) 을 나타낸다.
카티온화 셀룰로오스의 카티온 치환도는 0.01 ∼ 1, 즉 언히드로글루코오스 단위 당 c 의 평균값은 0.01 ∼ 1, 바람직하게는 0.02 ∼ 0.5 이다. 또, b + d 의 합계는 평균 1 ∼ 3 이다. 치환도는 0.01 이하에서는 충분하지 않고, 또 1 이상이어도 상관없지만, 반응 수율면에서 1 이하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R22, R23 및 R24 로는 모두 CH3 기, 또는 2 개의 CH3 기 등의 단사슬 알킬기이며, 남은 1 개가 탄소수 10 ∼ 20 의 긴사슬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하는 카티온화 셀룰로오스의 분자량은 약 100000 ∼ 8000000 의 사이이다.
예를 들어, 시판품으로는, 포이즈 C-60H〔카오 (주) 제조〕나 포이즈 C-80H〔카오 (주) 제조〕나 폴리머 JR-400 (다우 케미컬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D) 의 (c) 카티온화 구아검 유도체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서술한다.
(c) 카티온화 구아검 유도체로는, 다음의 일반식 (VIII) 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2]
Figure 112008089430815-PCT00020
식 (VIII) 중, D 는 구아검 잔기, R25 는 알킬렌기 또는 히드록시알킬렌기, R26, R27 및 R28 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탄소수 10 이하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식 중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여 복소 고리를 형성해도 되고, X3 은 음이온 (염소, 브롬, 요오드, 황산, 술폰산, 메틸황산, 인산, 황산 등), 그리고 f 는 정의 정수를 나타낸다.
카티온화 구아검 유도체의 카티온 치환도는 0.01 ∼ 1, 보다 0.02 ∼ 0.5 개의 카티온기가 당 유닛에 도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의 카티온성 폴리머는, 일본 특허공보 소58-35640호, 일본 특허공보 소60-46158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53996호 중에 기재되어 있고, 예를 들어 시판품으로는, 로디아사 (Rhodia Inc.) 로부터 상표명 재규어 (Jaguar) 로 시판되어 있고, 재규어 C-13C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이닛폰 스미토모 제약 (주) 제조의 라보르검 CG-M 을 들 수 있다.
성분 (D) 의 (d) 디알릴 4 급 암모늄염 중합물 또는 디알릴 4 급 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물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서술한다.
(d) 디알릴 4 급 암모늄염 중합물 또는 디알릴 4 급 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물로는, 다음의 일반식 (IX) 또는 (X) 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3]
Figure 112008089430815-PCT00021
[화학식 14]
Figure 112008089430815-PCT00022
식 (IX) 및 (X) 중, R33 및 R34 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수소, 알킬기 (탄소수 1 ∼ 18), 페닐기, 아릴기, 히드록시알킬기, 아미드알킬기, 시아노알킬기, 알콕시알킬기, 또는 카르보알콕시알킬기, R35, R36, R37 및 R38 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저급 알킬기 (탄소수 1 ∼ 3), 또는 페닐기, X4 는 음이온 (염소, 브롬, 요오드, 황산, 술폰산, 메틸황산, 황산 등), g 는 1 ∼ 50 의 정수, h 는 0 ∼ 50 의 정수, 그리고 i 는 150 ∼ 8000 의 정수를 나타낸다.
디알릴 4 급 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물의 분자량으로는 약 3 만 ∼ 200 만, 바람직하게는 10 만 ∼ 100 만의 범위가 양호하다.
예를 들어, 시판품으로는, 나루코사로부터 상표명 마코토로 시판되어 있고, 마코토 100, 마코토 550 이나 마코토 3331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D) 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세정제 조성물 중의 성분 (D) 의 함유량은, 거품질 향상 효과의 관점에서, 전체 조성 중에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2.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2.5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추가로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 (E) [이하, 성분
(E) 라고 한다] 를 배합함으로써, 초기의 거품 발생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성분 (E) 의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부터는, 일반식 (2) 및 일반식 (3) 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제거된다.
성분 (E) 로는 알킬글리코시드, 알킬폴리글리코시드, 자당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알킬아민옥사이드, 지방산 다가 알코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알킬글리코시드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가 바람직하고, 알킬글리코시드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나아가 성분 (E) 가 알킬글리코시드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인 경우, 헹굼시에 적당한 뽀득거림감을 주기 때문에, 성분 (A) 를 함유하는 처방 특유의 미끌거림을 억제하여 상쾌함을 부여할 수 있다.
알킬글리코시드 또는 알킬폴리글리코시드는 하기 일반식 (5) 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89430815-PCT00023
(식 중, R9 는 탄소수 8 ∼ 18 의 직사슬 혹은 분기사슬의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킬페닐기를 나타내고, R10 은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G 는 탄소수 5 ∼ 6 의 환원 당(糖)을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s 는 0 ∼ 10 의 수를 나타내고, 평균 당 중합도 t 는 1 ∼ 10 의 수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R9 는 탄소수 10 ∼ 14 의 직사슬 혹은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가 바람직하고, G 의 환원 당으로는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프락토오스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글루코오스가 바람직하다. 평균 당 중합도 t 는 1 ∼ 4 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평균 당 중합도 t 는 R9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에서 유래하는 물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R9 가 탄소수 8 ∼ 11 의 알킬기의 경우, t 는 1 ∼ 1.4 를, R9 가 탄소수 12 ∼ 14 의 알킬기의 경우, t 는 1.5 ∼ 4.0 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글리코시드로는 구체적으로는, 데실글루코시드, 라우릴글루코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E) 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세정제 조성물 중의 성분 (E) 의 함유량은, 기포성 강화의 관점에서, 전체 조성 중에 바람직하게는 0.01 ∼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15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그대로 사용하거나 물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안제, 보디 샴푸 등의 피부 세정제 또는 샴푸 등의 모발 세정제로서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세정제 조성물에는, 그 목적에 따라 임의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임의 성분으로는, 통상 이들 세정제에 배합되는, 성분 (A) 이외의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및 성분 (B) 이외의 컨디셔닝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세안제 또는 피부 세정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세안제 또는 피부 세정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실리콘유는 배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A) 이외의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지방산염, 인산에스테르염, 술포숙신산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미드에테르황산염, 모노글리세라이드 황산염, 올레핀술폰산염, 알칸술폰산염, 아실화이세티온산염, 아실화아미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아세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는 아미드베타인계 계면 활성제, 아미드아미노산계 계면 활성제, 카르보베타인계 계면 활성제, 술포베타인계 계면 활성제, 아미드술포베타인계 계면 활성제, 이미다졸리늄베타인계 계면 활성제, 포스포베타인계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알킬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베타인,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및 알킬히드록시술포베타인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및 알킬히드록시술포베타인은 탄소수 8 ∼ 18, 보다 탄소수 10 ∼ 16 의 알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라우르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팜 핵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양쪽성 계면 활성제의 양은, 기포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 세정제 조성물 중에 0.1 ∼ 10 중량%, 보다 0.5 ∼ 10 중량%, 보다 더 0.5 ∼ 8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하기 일반식 (4)
[화학식 15]
Figure 112008089430815-PCT00024
[식 중, R5, R6, R7 및 R8 중, 적어도 1 개는 총 탄소수 8 ∼ 28 의 알콕시 기, 알케닐옥시기, 알카노일아미노기 또는 알케노일아미노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잔여는 벤질기, 탄소수 1 ∼ 5 의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합계 부가 몰수 10 이하의 폴리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내고, Z- 는 할로겐 이온 또는 유기 아니온을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제 4 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컨디셔닝 성분으로는 라우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실리콘 및 실리콘 유도체, 라놀린, 스쿠알렌, 탄화수소, 단백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유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컨디셔닝 성분 중, 라우릴알코올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컨디셔닝 성분은, 거품의 감촉 향상과 보존 안정성면에서, 본 발명 세정제 조성물 중에 0.05 ∼ 5 중량%, 보다 0.1 ∼ 5 중량%, 보다 더 0.1 ∼ 2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제 조성물 중에 통상 사용되는 그 밖의 성분, 예를 들어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잔탄검 등의 다당류 등의 수용성 고분자 ; 폴리옥시알킬렌소르비탄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에탄올 등의 점도 조정제 ; 에틸렌디아민 4 아세트산 (EDTA), 포스폰산염류 등의 킬레이트제 ; 메테르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의 방부제 ; 비타민이나 그 전구체 등의 유효 성분 ; 레시틴, 젤라틴 등의 동식물 추출물 또는 그 유도체 ; 나일론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머 미분체 ; 글리시리진산디칼륨 등의 소염제 ;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카르반, 옥토피록스, 진크피리티온 등의 살균제나 항비듬제 ;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등의 산화 방지제 ; 펄화제, 자외선 흡수제, pH 조정제, 색소, 향료, 물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성분 (A), (B) 및 (C) 를, 또한 필요에 따라 성분 (D), (E) 및 그 밖의 성분을 15 ∼ 80℃ 의 온도에서 교반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 그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액체상, 페이스트상, 크림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시에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매로는 물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 19 및 비교예 1 ∼ 16
<제법>
성분 (A) 의 수용액에 대하여, 성분 (B) 와 (C) 를 배합하고, 필요에 따라 성분 (D) 와 (E) 와 그 밖의 성분을 배합하고, 70℃ 에서 2 시간 가열 교반함으로 써, 표 1 및 표 2 에 기재된 신체 세정료를 조제하였다.
<평가 방법>
(거품 점도)
제조한 신체 세정료 1㎖ 에 대하여, 4˚DH 센물 10㎖ 로 희석하고, 20 초간 손으로 비벼 거품을 만들었다. 이 거품을 50㎖ 비커에 넣고 B 형 점도계 ((주) 토쿄 계기) 를 사용하여, 30 초 후의 20℃ 에 있어서의 거품 점도 (mPa·s) 를 측정하였다. 이 때의 회전 수는 12rpm, 로터는 No.3 을 사용하였다.
(거품질 관능 평가)
제조한 신체 세정료 1㎖ 에 대하여, 4˚DH 센물 10㎖ 로 희석하고, 20 초간 손으로 비벼 거품을 만들고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 평가는 전문 패널리스트 10 명으로 실시하고, 비누 (라우르산/미리스트산/팔미트산 = 6/4.5/4.5 로 이루어지는 15% 수용액) 를 기준으로 한 거품의 크리미함에 대하여, 10 명 중 9 명 이상이 비누형의 크리미한 거품질로 판단한 경우에는 「A」, 10 명 중 7 ∼ 8 명이 비누형의 크리미한 거품질로 판단한 경우에는 「B」, 10 명 중 5 ∼ 6 명이 비누형의 크리미한 거품질로 판단한 경우에는 「C」, 10 명 중 3 ∼ 4 명이 비누형의 크리미한 거품질로 판단한 경우에는 「D」, 10 명 중 2 명 이하가 비누형의 크리미한 거품질로 판단한 경우에는 「E」 로 하였다.
(거품량 평가)
제조한 신체 세정료 1㎖ 에 대하여, 4˚DH 센물 10㎖ 로 희석하고, 20 초간 손으로 비벼 거품을 만들고 거품량 평가를 실시하였다. 거품량 평가는 전문 패 널리스트 10 명으로 실시하고, 비누 (라우르산/미리스트산/팔미트산 = 6/4.5/4.5로 이루어지는 15% 수용액) 를 기준으로 한 거품량에 대하여, 10 명 중 9 명 이상이 비누 이상의 거품량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A」, 10 명 중 7 ∼ 8 명이 비누 이상의 거품량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B」, 10 명 중 5 ∼ 6 명이 비누 이상의 거품량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C」, 10 명 중 3 ∼ 4 명이 비누 이상의 거품량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D」, 10 명 중 2 명 이하가 비누 이상의 거품량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E」 로 하였다.
〔보존 안정성 (1)〕
제조한 신체 세정료 40㎖ 를 50㎖ 의 유리 용기 (내경 3.2cm) 에 넣고 실온 (25℃) 에서 6 개월간 보존하여, 분리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보존 안정성 (2)〕
제조한 신체 세정료 40㎖ 를 50㎖ 의 유리 용기 (내경 3.2cm) 에 넣고 -28 ∼ 40℃ (1 왕복/8 시간) 의 14 일간 사이클 시험을 실시하여, 분리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08089430815-PCT00025
1) 에마르 227 ; 카오 (주) 제조 ; 일반식 (1) 에 있어서 R1 : 라우릴기, n = 2, M = 나트륨
2) 카르코르 4098 ; 카오 (주) 제조
3) 일반식 (3) 에 있어서 R4 : 2-에틸헥실기
4) 일반식 (3) 에 있어서 R4 : 이소데실기
5) 일반식 (2) 에 있어서 R2 : n-옥틸기, n-2.7, R3 : 수소 원자
6) 소후케아 KG-301W ; 카오 (주) 제조
7) 마코토 550 ; 나루코사 제조
8) 마이도루-10 ; 카오 (주) 제조
9) 아미논 C-11S ; 카오 (주) 제조
10) 특급 에탄올 ; 와코 순약 공업 (주) 제조
11) 카르코르 220-80 ; 카오 (주) 제조
12) 안히토르 20AB ; 카오 (주) 제조
13) 안히토르 20HD ; 카오 (주) 제조
표 1 의 결과로부터, 성분 (B) 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신체 세정료는, 어느 성분 (C) 를 사용해도 높은 거품 점도를 나타내고 (실시예 1 ∼ 3), 추가로 성분 (E) 이외의 비이온 계면 활성제 (실시예 4, 6) 나 양쪽성 계면 활성제 (실시예 5) 를 첨가한 경우에도 크리미한 거품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성분 (B) 의 탄소수가 극단적으로 짧은 비교예 2 나, 극단적으로 긴 비교예 3, 및 성분 (B) 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및 4 ∼ 10 에서는, 거품 점도는 500mPa·s 정도이고, 거품질은 개선되지 않았다.
Figure 112008089430815-PCT00026
1) 에마르 227 ; 카오 (주) 제조 ; 일반식 (1) 에 있어서 R1 : 라우릴기, n = 2, M = 나트륨
2) 카르코르 4098 ; 카오 (주) 제조
3) 일반식 (3) 에 있어서 R4 : 2-에틸헥실기
표 2 의 결과로부터, 성분 (A), (B), (C) 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신체 세정료는, 성분 (A), (B) 및 (C) 가 특정 비율 이외의 처방에서는, 충분한 효과는 얻어지지 않는다. 비교예 11 ∼ 13 에서는, 성분 (B) 과잉이기 때문에 기포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거품질의 크리미함도 불충분하다. 또, 비교예 14 ∼ 16 에서는, 성분 (B) 부족이기 때문에 크리미한 거품은 얻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0
다음 조성의 보디 샴푸를 조제하였다.
(성분)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2)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에마르 227 ; 카오 (주) 제조〕 15.0
미리스틸알코올 〔카르코르 4098 ; 카오 (주) 제조〕 1.6
2-에틸헥실글리세릴에테르 1.6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안히토르 20HD ; 카오 (주) 제조〕 1.0
카티온화 셀룰로오스〔포이즈 C-60H ; 카오 (주) 제조〕 0.1
식염 0.5
향료, 메틸파라벤 적당량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
실시예 20 의 보디 샴푸는 거품량이 많고, 기분 좋은 크리미한 거품으로 전신을 세정할 수 있었다.
실시예 21
다음 조성의 세안료를 조제하였다.
(성분)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2)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에마르 227 ; 카오 (주) 제조〕 52.6
미리스틸알코올 〔카르코르 4098 ; 카오 (주) 제조〕 5.1
2-에틸헥실글리세릴에테르 4.6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안히토르 20HD ; 카오 (주) 제조〕 3.5
글리세린 1.0
소르비톨 2.0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산디에틸황산염·N,N-디메틸아크릴아미드·디메타크릴산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소후케아 KG-301P ; 카오 (주) 제조〕 0.6
향료, 메틸파라벤 적당량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
실시예 21 의 세안료는 거품질이 리치하며, 매끄러운 거품을 대량으로 발생시켜, 크리미한 거품질로 마일드하게 세안할 수 있었다.
실시예 22
다음 조성의 핸드 소프를 조제하였다.
(성분)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2)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에마르 227 ; 카오 (주) 제조〕 18.5
라우릴알코올 〔카르코르 2098 ; 카오 (주) 제조〕 0.5
미리스틸알코올 〔카르코르 4098 ; 카오 (주) 제조〕 1.8
이소데실글리세릴에테르 1.8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안히토르 20HD ; 카오 (주) 제조〕 1.1
카티온화 셀룰로오스〔포이즈 C-60H ; 카오 (주) 제조〕 0.1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산디에틸황산염·N,N-디메틸아크릴아미드·디메타크릴산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소후케아 KG-301P ; 카오 (주) 제조〕 0.2
향료, 메틸파라벤 적당량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
실시예 22 의 핸드 소프는 기포성이 양호하고, 바로 매끄러운 거품이 되었다.
실시예 23
다음 조성의 보디 샴푸를 조제하였다.
(성분)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2)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에마르 227 ; 카오 (주) 제조〕 14.2
미리스틸알코올 〔카르코르 4098 ; 카오 (주) 제조〕 1.8
2-에틸헥실글리세릴에테르 1.5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안히토르 20HD ; 카오 (주) 제조〕 1.0
데실글루코시드〔마이도루 10 ; 카오 (주) 제조〕 2.0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마코토 550 ; 나루코사 제조) 0.36
폴리에틸렌글리콜 (Mw = 2500000)
〔아르콕스 E-100 ; 메이세이 과학 공업 (주) 제조〕 0.015
프로필렌글리콜 7.0
말산 0.05
향료, 메틸파라벤 적당량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
실시예 23 의 바디 샴푸는 초기의 기포성이 우수하고, 부드러우며 크리미한 거품을 부여하였다.

Claims (14)

  1. 다음의 성분 (A), (B) 및 (C) ;
    (A) 일반식 (1)
    Figure 112008089430815-PCT00027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8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0 ∼ 5 의 수를 나타내고, M 은 알칼리 금속 원자, 알칸올아민 또는 암모늄을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알킬황산염,
    (B) 미리스틸알코올,
    (C)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알콕실레이트 (C-1) 및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글리세릴에테르 (C-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
    (C-1) 일반식 (2)
    Figure 112008089430815-PCT00028
    (식 중, R2 는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O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0.5 이상 4.0 미만의 수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 낸다.) 로 나타내는 알콕실레이트,
    (C-2) 일반식 (3)
    [화학식 1]
    Figure 112008089430815-PCT00029
    (식 중, R4 는 탄소수 6 ∼ 14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글리세릴에테르,
    를 함유하고, 성분 (A) 와 성분 (B) 의 비율이 중량비로 (A)/(B) = 91.5/8.5 ∼ 80/20 이고, 성분 (A) 와 성분 (C) 의 비율이 중량비로 (A)/(C) = 98/2 ∼ 85/15 이며, 성분 (B) 와 성분 (C) 의 비율이 중량비로 (B)/(C) = 90/10 ∼ 30/70 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1.6 ∼ 14 중량% 인 세정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 의 함유량이 5 ∼ 70 중량% 이며, 성분 (C) 의 함유량이 0.05 ∼ 14 중량% 인 세정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 (C-1) 의 AO 가 프로필렌옥시인 세정제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D) 카티온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D) 카티온성 폴리머가 하기 (a) ∼ (d)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세정제 조성물.
    (a) 일반식 (I) 또는 (II) 로 나타내는 논이온성기 함유 비닐 단량체의 적어도 1 종과, 일반식 (III) 또는 (IV) 로 나타내는 카티온성기 함유 비닐 단량체의 적어도 1 종과, 비닐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및 알릴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 개의 기를 분자 중에 갖는 가교성 비닐 단량체의 적어도 1 종을 필수 구성 단량체로 하고, 라디칼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카티온성기 함유 공중합체.
    [화학식 2]
    Figure 112008089430815-PCT00030
    〔식 중, R1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2 및 R13 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직사슬형 혹은 분기형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112008089430815-PCT00031
    〔식 중, R11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A1 및 A2 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식 -(CH2)m- (m 은 2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내고, B 는 -O- 또는 -CH2-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4]
    Figure 112008089430815-PCT00032
    〔식 중, R11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R14 및 R15 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16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Y 는 -O-, -NH-, -CH2- 또는 -O-CH2CH(OH)- 기를 나타내고, Z 는 탄소수 1 ∼ 4 (단, Y 가 -CH2- 일 때에는 탄소수 0 ∼ 3)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는 산의 공액 염기,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술페이트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5]
    Figure 112008089430815-PCT00033
    〔식 중, R17 및 R18 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9 및 R20 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b)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유도체,
    (c) 카티온화 구아검 유도체, 및
    (d) 디알릴 4 급 암모늄염 중합물 또는 디알릴 4 급 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E)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E)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알킬글리코시드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세정제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 의 함유량이 30 ∼ 70 중량% 이며, 성분 (C) 의 함유량이 2 ∼ 14 중량% 인 세정제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 의 함유량이 5 ∼ 25 중량% 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1.6 ∼ 3 중량% 이며, 성분 (C) 의 함유량이 0.05 ∼ 3 중량% 인 세정제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 또는 모발용인 세정제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용인 세정제 조성물.
  12. 다음의 성분 (A), (B) 및 (C) ;
    (A) 일반식 (1)
    Figure 112008089430815-PCT00034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8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0 ∼ 5 의 수를 나타내고, M 은 알칼리 금 속 원자, 알칸올아민 또는 암모늄을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알킬황산염,
    (B) 미리스틸알코올,
    (C)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알콕실레이트 (C-1) 및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글리세릴에테르 (C-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
    (C-1) 일반식 (2)
    Figure 112008089430815-PCT00035
    (식 중, R2 는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O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0.5 이상 4.0 미만의 수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알콕실레이트,
    (C-2) 일반식 (3)
    [화학식 6]
    Figure 112008089430815-PCT00036
    (식 중, R4 는 탄소수 6 ∼ 14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글리세릴에테르,
    를, 성분 (A) 와 성분 (B) 의 비율이 중량비로 (A)/(B) = 91.5/8.5 ∼ 80/20 이고, 성분 (A) 와 성분 (C) 의 비율이 중량비로 (A)/(C) = 98/2 ∼ 85/15 이며, 성분 (B) 와 성분 (C) 의 비율이 중량비로 (B)/(C) = 90/10 ∼ 30/70 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1.6 ∼ 14 중량% 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다음의 성분 (A), (B) 및 (C) ;
    (A) 일반식 (1)
    Figure 112008089430815-PCT00037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8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0 ∼ 5 의 수를 나타내고, M 은 알칼리 금속 원자, 알칸올아민 또는 암모늄을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알킬황산염,
    (B) 미리스틸알코올,
    (C)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알콕실레이트 (C-1) 및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글리세릴에테르 (C-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
    (C-1) 일반식 (2)
    Figure 112008089430815-PCT00038
    (식 중, R2 는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O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0.5 이상 4.0 미만의 수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알콕실레이트,
    (C-2) 일반식 (3)
    [화학식 7]
    Figure 112008089430815-PCT00039
    (식 중, R4 는 탄소수 6 ∼ 14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글리세릴에테르,
    를 함유하고, 성분 (A) 와 성분 (B) 의 비율이 중량비로 (A)/(B) = 91.5/8.5 ∼ 80/20 이고, 성분 (A) 와 성분 (C) 의 비율이 중량비로 (A)/(C) = 98/2 ∼ 85/15 이며, 성분 (B) 와 성분 (C) 의 비율이 중량비로 (B)/(C) = 90/10 ∼ 30/70 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1.6 ∼ 14 중량% 인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세정 방법.
  14. 다음의 성분 (A), (B) 및 (C) ;
    (A) 일반식 (1)
    Figure 112008089430815-PCT00040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8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0 ∼ 5 의 수를 나타내고, M 은 알칼리 금속 원자, 알칸올아민 또는 암모늄을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또는 알킬황산염,
    (B) 미리스틸알코올,
    (C)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알콕실레이트 (C-1) 및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글리세릴에테르 (C-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
    (C-1) 일반식 (2)
    Figure 112008089430815-PCT00041
    (식 중, R2 는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O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0.5 이상 4.0 미만의 수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알콕실레이트,
    (C-2) 일반식 (3)
    [화학식 8]
    Figure 112008089430815-PCT00042
    (식 중, R4 는 탄소수 6 ∼ 14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글리세릴에테르,
    를 함유하고, 성분 (A) 와 성분 (B) 의 비율이 중량비로 (A)/(B) = 91.5/8.5 ∼ 80/20 이고, 성분 (A) 와 성분 (C) 의 비율이 중량비로 (A)/(C) = 98/2 ∼ 85/15 이며, 성분 (B) 와 성분 (C) 의 비율이 중량비로 (B)/(C) = 90/10 ∼ 30/70 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1.6 ∼ 14 중량% 인 조성물의 피부 세정제로서의 사용.
KR1020087031648A 2006-07-04 2007-07-02 세정제 조성물 KR101394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84830 2006-07-04
JP2006184830 2006-07-04
PCT/JP2007/000724 WO2008004342A1 (fr) 2006-07-04 2007-07-02 Composition de nettoy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280A true KR20090025280A (ko) 2009-03-10
KR101394685B1 KR101394685B1 (ko) 2014-05-14

Family

ID=3889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648A KR101394685B1 (ko) 2006-07-04 2007-07-02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60327B2 (ko)
EP (1) EP2039751B1 (ko)
KR (1) KR101394685B1 (ko)
CN (1) CN101484568B (ko)
ES (1) ES2384738T3 (ko)
TW (1) TWI415935B (ko)
WO (1) WO20080043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2925B2 (en) 2015-01-26 2018-02-27 Samsung Display Co., Ltd. Cleaner composition for process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and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751B1 (ko) * 2006-07-04 2014-07-22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피부용 세정제 조성물
JP5554902B2 (ja) * 2008-05-16 2014-07-23 花王株式会社 皮膚洗浄剤組成物
JP5346574B2 (ja) * 2008-12-24 2013-11-20 花王株式会社 界面活性剤組成物
JP5478919B2 (ja) * 2009-03-17 2014-04-23 花王株式会社 皮膚殺菌洗浄剤組成物
US9017652B1 (en) * 2010-04-09 2015-04-28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Combination of crosslinked cationic and ampholytic polymers for personal and household applications
JP5341029B2 (ja) 2010-06-18 2013-11-13 花王株式会社 水性毛髪洗浄剤
JP5730507B2 (ja) * 2010-07-08 2015-06-10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CA2806265C (en) * 2010-08-17 2016-10-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hand washing dishes having long lasting suds
JP5856756B2 (ja) * 2011-05-02 2016-02-10 花王株式会社 皮膚洗浄剤組成物
JP5856754B2 (ja) * 2011-05-02 2016-02-10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5856755B2 (ja) * 2011-05-02 2016-02-10 花王株式会社 皮膚洗浄剤組成物
EP2705834B1 (en) * 2011-05-02 2019-07-03 Kao Corporation Cleaning agent composition
JP2013076054A (ja) * 2011-09-15 2013-04-25 Kao Corp 液体洗浄剤組成物
US10653137B2 (en) * 2013-04-08 2020-05-19 Stephen C. Perry Arthropod pest control composition and method
EP3394231A4 (en) * 2015-12-22 2019-07-24 Rhodia Operations COMPOSITIONS WITH QAV AND POLYSACCHARIDES
EP3311793A1 (en) * 2016-10-19 2018-04-25 Kao Germany GmbH Hair cleansing composition with improved color retention on pre-colored keratin fibers and improved foam properties
CA3000262A1 (en) * 2017-04-04 2018-10-04 Virox Technologies Inc. Glycerol ether-based antimicrobial compositions
JP7043127B2 (ja) * 2017-12-25 2022-03-29 花王株式会社 殺菌剤組成物
WO2020236873A1 (en) * 2019-05-20 2020-11-26 Ecolab Usa Inc. Surfactant package for high foaming detergents with low level of medium to long chain linear alcohol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23179A (en) * 1973-05-16 1976-01-28 Wilkinson Sword Ltd Pressurised shaving foam dispensers
JPS5835640A (ja) 1981-08-25 1983-03-02 Fujitsu Ltd フアイル情報の消去方法
US4364837A (en) 1981-09-08 1982-12-21 Lever Brothers Company Shampoo compositions comprising saccharides
JPS6046158A (ja) 1983-08-24 1985-03-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受信信号の選別回路
CA2123532A1 (en) * 1993-05-17 1994-11-18 Daniel R. Pyles Stable conditioning shampoo containing an anionic surfactant, a fatty alcohol, a silicone conditioner and polyethyleneimine
JP3843020B2 (ja) 2002-01-21 2006-11-08 花王株式会社 毛髪洗浄剤
JP3887283B2 (ja) * 2002-08-09 2007-02-28 花王株式会社 シャンプー組成物
JP4111779B2 (ja) 2002-08-29 2008-07-02 ライオン株式会社 硬表面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4015924B2 (ja) * 2002-11-07 2007-11-28 花王株式会社 皮膚又は毛髪用洗浄剤組成物
JP2004168951A (ja) 2002-11-21 2004-06-17 Kao Corp 洗浄剤組成物
US20040156810A1 (en) * 2002-12-10 2004-08-12 Kao Corporation Aqueous hair cleansing composition
JP3779679B2 (ja) * 2002-12-25 2006-05-31 花王株式会社 毛髪洗浄剤
JP4331673B2 (ja) 2004-05-14 2009-09-16 花王株式会社 水性毛髪洗浄剤
US7307050B2 (en) * 2004-12-28 2007-12-11 Kao Corporation Aqueous hair cleansing composition comprising a sulfate surfactant mixture and an amino-modified silicone
JP2006182728A (ja) 2004-12-28 2006-07-13 Kao Corp 水性毛髪洗浄剤
JP4856386B2 (ja) * 2005-04-01 2012-01-18 花王株式会社 毛髪洗浄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2925B2 (en) 2015-01-26 2018-02-27 Samsung Display Co., Ltd. Cleaner composition for process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and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04342A1 (fr) 2008-01-10
TWI415935B (zh) 2013-11-21
EP2039751B1 (en) 2012-04-04
KR101394685B1 (ko) 2014-05-14
EP2039751A1 (en) 2009-03-25
CN101484568B (zh) 2013-06-19
US7960327B2 (en) 2011-06-14
US20090253603A1 (en) 2009-10-08
ES2384738T3 (es) 2012-07-11
EP2039751A4 (en) 2010-10-27
CN101484568A (zh) 2009-07-15
TW200813210A (en) 2008-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5280A (ko) 세정제 조성물
KR102303123B1 (ko) 컨디셔닝 특성을 갖는 클렌징 조성물
JP5041894B2 (ja) 洗浄剤組成物
JP3961555B2 (ja) 皮膚又は毛髪用洗浄剤組成物
JP4886505B2 (ja) 洗浄剤用組成物
JP2007161597A (ja) 毛髪洗浄料
KR101421751B1 (ko) 피부용 세정제 조성물
JP2003064102A (ja) コンディショニング効果を与えるカチオン性ポリマー
JP5420333B2 (ja) 洗浄剤用増粘剤
KR20060009895A (ko) 세정제 조성물
JP2008031162A (ja) 皮膚用洗浄剤組成物
JP4247086B2 (ja) 洗浄剤組成物
JP2010168336A (ja) 毛髪洗浄料組成物
JP7059750B2 (ja) 洗浄剤組成物
JP2019056127A (ja) アスパラギン酸のタウリン誘導体を含有する界面活性剤組成物及び当該界面活性剤組成物を含有する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