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4685A - 건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위생세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위생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4685A
KR20090024685A KR1020087029135A KR20087029135A KR20090024685A KR 20090024685 A KR20090024685 A KR 20090024685A KR 1020087029135 A KR1020087029135 A KR 1020087029135A KR 20087029135 A KR20087029135 A KR 20087029135A KR 20090024685 A KR20090024685 A KR 20090024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ied
center
moving
mo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487B1 (ko
Inventor
케이지로우 쿠니모토
히데키 오노
시게루 시라이
요시하루 시마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24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피 건조면보다 상기 피 건조면과의 접촉 범위가 좁은 가압 공기의 분류로 상기 피 건조면을 건조하도록 가압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출부, 및 상기 공기 분출부로부터 분사되는 분류가, 피 건조면의 대략 전면을 순차적으로 쓸어내도록 분류를 분사하면서 상기 공기 분출부를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이 상기 공기 분출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분류의 분출 방향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공기 분출부를 이동하는 제1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공기 분출부를 이동하는 제2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이 제1 이동수단은 상기 공기 분출부의 진퇴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이동수단은 상기 분류의 분출 방향을 편향한다.

Description

건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위생세정장치{DRYING DEVICE, AND SANITARY RINSING APPARATUS HAVING THE DEVICE}
본 발명은, 공기를 분출시킴으로써 젖은 표면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위생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위생세정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세정을 실현해야만 하여 각종 기능이 제안되어 왔다. 사용자는, 각종 기능을 이용한 위생세정장치를 이용하여 국부 세정을 행하고, 화장실 휴지 등의 종이에 의해 국부에 부착한 물방울의 제거를 행했다. 그러나, 근래, 화장실 휴지 등의 종이의 대체로서, 건조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소58-218531호 공보 참조). 도 21은 종래의 건조장치를 구비한 위생세정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고, 도 22는 이 종래의 위생세정장치의 모식적 측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생세정장치는 변기(1) 상에 배치된 변기 시트(2), 변기 뚜껑(3), 위생세정장치의 본체 케이스(4), 및 수세 탱크(9, 로우 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4)에는 온풍 취출 장치(5)로부터의 온풍을 불어내는 온풍 취출구(7), 인체 국부에 온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 노즐(8), 이 세정수 분사 노 즐(8)에 온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송수용 펌프(11)와 온수 탱크(12), 공기 압축기(13)로 압축한 공기를 모으는 고압 공기 저장소(14), 및 고압 공기 저장소(14)의 출구를 개폐하는 전자 밸브(15)가 내장되어 있다.
변기 시트(2)는 내부에 설치한 공동(16;空洞)과 이 공동(16) 내의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공기 분출 노즐(18)을 가진다. 자기 밸브(15)와 공동(16)은 고압 호스(17)로 접속하고 있다.
인체(10)가 변기 시트(2)에 착좌하여 용변 후, 세정 조작을 행하면, 세정수 송수용 펌프(11)가 가동하고, 온수 탱크(12)를 통해 세정수 분사 노즐(8)로부터 온수가 피 세정면에 분사되며, 이에 따라 피 세정면을 세정한다. 세정 후 건조 조작에 의해 공기 압축기(13)가 가동하고, 고압 공기 저장소(14), 전자 밸브(15), 고압 호스(17), 공동(16) 및 공기 분출 노즐(18)을 통해 고압 공기가 피 세정면으로 분출하고, 피 세정면에 부착한 물방울을 날려 비산 또는 확산시킨다. 다음으로 온풍 취출 장치(5)를 가동시켜 풍로(6)를 통해 온풍 취출구(7)로부터 온풍을 피 세정면으로 불어, 피 세정면의 건조를 행한다.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복수의 구멍으로 구성된 공기 분출 노즐(18)로부터 고압 공기 저장소(14)의 압축 공기를 개방함으로써 단시간에 피 세정면의 물방울을 날리는 것으로, 고압 공기 저장소(14)와 공기 압축기(13)를 본체 케이스(4) 내에 수납하고 있었다.
그런데, 종래예와 같이 한번에 대량의 공기를 분출시키기 위해서는, 공기 압축기(13)나 고압 공기 저장소(14)를 크게 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공기 압축 기(13)의 용량을 작게 하고 고압 공기 저장소(14)를 크게 하면, 고압 공기 저장소(14)를 수납하기 위하여 본체 케이스(4)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또한, 공기 압축기(13)의 용량을 크게 하면, 진동 소음이 커질 뿐만 아니라, 비용 상승의 원인도 되어 버린다. 또한 고압 공기 저장소를 공기 압축기로부터 떼어 본체 케이스 밖에 설치하면 눈에 띄므로, 화장실의 외관이 나빠져 버린다.
이들 과제를 해소하는 방법으로서, 공기 분출의 노즐구멍을 단일화하여 한번에 분출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키면, 장치의 소형화는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공기의 분출 면적도 적어지므로, 넓은 범위가 젖는 피 세정면의 물방울을 충분히 떨어뜨릴 수 없게 된다는 과제가 있어, 실용화에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정 방향으로부터의 공기 분류(噴流)에서는, 피 세정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았던 물방울이 공기 분류의 체류부로 이동해버려, 피 세정면에 부착한 채로 남아 버린다. 또한 공기 분류에 의해 물방울이 주위로 확산해 버려, 젖음 면적을 넓혀 버리는 등의 과제가 있었다.
또한, 컴팩트하고 진동이나 소음이 적은 노즐 장치를 실현해야 하여, 3차원 편향 수단을 이용하여 소정 궤적의 이동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공기 노즐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일본특허 제3799850호 공보). 일본특허 제3799850호 공보에서는, 공기 노즐을, 공기의 분출과 연동하여 공기의 분출 방향에 대하여 전후 2차원적으로 편향함과 함께 좌우 2차원적으로 편향함으로써, 이 공기 노즐을 3차원적으로 편향시키고, 또는 공기 노즐의 토출구를 순차적으로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삼차원적으로 편향시켜, 인체를 향해 공기의 분출 방향을 삼차원적으로 편향함 으로써 분출 공기를 소정 궤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토출시키는 분출 공기 삼차원 편향 수단을 가진다고 하고 있다. 그리고, 인체의 바람을 받는 면적에 대하여 공기 노즐 장치의 토출구 면적을 대폭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소정의 풍량으로 분출 속도를 대폭 상승시킬 수 있어, 단시간에 국부 부근에 부착한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대한 기재에서는 명확하지 않으나, 공기의 분출 방향을 3차원적으로 편향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 이 기재에 기초하여, 공기 노즐의 분출 방향의 편향으로 실제의 건조 동작을 행하는 경우, 분출 공기가 닿는 각도와 피 건조면과의 관계에 주목하면, 세정 후의 물방울 중, 주변부 부분의 물방울은 더욱 주변으로 날려 확산하여, 젖은 부분의 면적이 넓어짐으로써 피 건조면이 커져, 역으로 건조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본특허공개 소58-218531호 공보와 일본특허 제3799850호 공보에서도 건조장치를 대형화하지 않고 단시간에 고효율로 피 건조면을 건조하는 것은 극히 곤란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장치를 대형화하지 않고 단시간에 고효율로 피 건조면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위생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피 건조면을 건조하는 건조장치로서, 피 건조면보다 접촉 범위가 좁은 공기 분류를 피 건조면에 대하여 전후 좌우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피 건조면에 부착한 물방울을 이 피 건조면의 중심부에 모으면서 날리도록 이동하는 것으로, 중심부에 모인 물방울을 집중적으로 날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피 건조면보다 접촉 범위가 좁은 공기 분류를 피 건조면에 대하여 전후 좌우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공기 분류를 피 건조면에 분사할 때에 이동수단은 공기 분류의 전후 동작과 좌우 동작을 연동시켜 분류의 접촉 범위를 주회시키면서 중심부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피 건조면에 대하여 공기 분류를 광범위로 닿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피 건조면보다 상기 피 건조면과의 접촉 범위가 좁은 가압 공기의 분류로 상기 피 건조면을 건조하도록, 가압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출부, 및 상기 공기 분출부로부터 분사되는 분류가 피 건조면의 대략 전면을 순차적으로 쓸어내도록, 분류를 분사하면서 상기 공기 분출부를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이 상기 공기 분출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분류의 분출 방향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공기 분출부를 이동하는 제1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공기 분출부를 이동하는 제2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이 제1 이동수단은 상기 공기 분출부의 진퇴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이동수단은 상기 분류의 분출 방향을 편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은 공기 분류로도 광범위로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을 확산하지 않고 날릴 수 있으므로, 건조장치를 대형화하지 않고 단시간에 고효율로 피 건조면을 건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위생세정장치를 변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위생세정장치에서의 원격 조작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위생세정장치에서의 세정수 분출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위생세정장치에서의 건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1의 위생세정장치에서의 구동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위생세정장치에서의 '엉덩이 세정' 및 '건조' 운전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챠트이고,
도 7의 (a)는 도 1의 위생세정장치에서의 '엉덩이 세정'의 운전상태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b)는 동 장치에서의 '건조'의 제1 단계의 운전상태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c)는 동 장치에서의 '건조'의 제2 단계의 운전상태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위생세정장치에서의 '건조'의 제1 및 제2 단계의 피 건조면의 공기 분류의 이동 패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9는 도 1의 위생세정장치에서의 '건조'의 제3 및 제4 단계의 피 건조면의 공기 분류의 이동 패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에서의 건조장치의 건조 노즐 및 요동수단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에서의 '엉덩이 세정' 및 '건조' 운전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챠트이고,
도 12는 도 11의 위셍 세정 장치에서의 '건조'의 피 건조면의 공기 분류의 이동 패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에서의 '엉덩이 세정' 및 '건조' 운전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챠트이고,
도 14는 도 13의 위생세정장치에서의 '건조'의 피 건조면의 공기 분류의 이동 패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위생세정장치에서의 건조 노즐과 인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위생세정장치에서의 건조 노즐과 인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위생세정장치에서의 건조 노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위생세정장치에서의 건조 노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위생세정장치에서의 건조 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위생세정장치에서의 건조 노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은 종래의 건조장치를 구비한 위생세정장치의 모식적 평면도이고,
도 22는 종래의 건조장치를 구비한 위생세정장치의 모식적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81 공기 분출부(건조 노즐)
30 세정수 분출수단
40 가열수단
42 온풍 분출구
50 건조장치
52 이동수단(구동수단)
55 베이스
55R 베이스
70, 80 요동수단
71 진퇴 구동수단
71R 수평 구동수단
100 위생 세정수단
400 변기 시트부
E 접촉 범위
F 피 건조면
G 중심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피 건조면보다 상기 피 건조면과의 접촉 범위가 좁은 가압 공기의 분류로 상기 피 건조면을 건조하도록 가압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출부 및 상기 공기 분출부로부터 분사되는 분류가 피 건조면의 대략 전면을 순차적으로 쓸어내도록 분류를 분사하면서 상기 공기 분출부를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공기 분출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분류의 분출 방향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공기 분출부를 이동하는 제1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공기 분출부를 이동하는 제2 이동수단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공기 분출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분류의 분출 방향을 유지한 상태로, 가압 공기를 피 건조면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피 건조면 전체에 불 수 있다.
피 건조면에 부착한 물방울은, 보다 풍속이 큰 분류를 닿게 하는 쪽이 날리기 쉬워 지는데, 물방울과 공기 분출부의 거리가 떨어지면 물방울에 닿는 분류의 풍속이 극단적으로 저하하여 물방울을 날릴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물방울과 공기 분출부의 거리는 되도록 가깝게 하는 쪽이 좋다. 그래서 본 발명과 같이 분류의 분출 방향을 유지하고 공기 분출부를 이동함으로써, 피 건조면과 공기 분출부를 근거리로 유지하여 분류를 닿게 할 수 있으므로,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을 고 효율로 날릴 수 있다.
또한, 분류를 피 건조면 상에서 쓸어내도록 이동시킴으로써,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을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날릴 수 있게 되는, 예를 들면 피 건조면의 중심에 물방울을 모아 고효율로 날릴 수 있다.
특히,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피 건조면보다 분류의 접촉 범위를 좁게 좁힌 가압 공기를 피 건조면의 대략 전면에 걸쳐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므로, 좁게 좁혀진 공기 분류로도 광범위의 물방울을 이동시킬 수 있어, 건조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수단이 상기 공기 분출부의 진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공기 분출부의 진퇴 방향은 피 건조면, 즉 둔부의 전후 방향의 중심선을 따른 방향이 된다. 따라서, 공기 분출부로부터의 분류는 둔부의 중심선상을 소정의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피 건조면 전체로 불리므로, 피 건조면에서 가장 젖기 쉬운 둔부의 중심선상을 피 건조면과 공기 분출부를 근거리로 유지하면서 분류를 닿게 할 수 있어,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을 고효율로 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수단이 상기 분류의 분출 방향을 편향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제2 이동수단에서의 공기 분출부의 이동은, 공기 분출부의 분출 각도를 주기적으로 편향하는 것 뿐인 작은 동작으로, 분류가 피 건조면에 전 면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건조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제2 이동수단이 분류의 분출 방향을 유지한 상태로 제1 이동수단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이동수단과 제2 이동수단의 양쪽 모두 공기 분출부의 분류의 분출 방향을 유지한 상태로, 가압 공기를, 피 건조면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피 건조면 전체로 불게 하므로, 피 건조면 전면에 걸쳐 피 건조면과 공기 분출부를 근거리로 유지하여 분류를 닿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을 효율좋게 비산, 또는 물방울을 임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제2 이동수단이 상기 공기 분출부를 회전 운동하여 분류를 편향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제2 이동수단에서의 공기 분출부의 이동은, 공기 분출부를 주기적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만의 작은 동작으로, 분류가 피 건조면의 전면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2 이동수단이 간단한 구성이 되어 건조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제2 이동수단이 상기 공기 분출부로부터 분출하는 분류의 분출 방향을 요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제2 이동수단에서의 공기 분출부의 이동은, 공기 분출부로부터의 분류의 분출 방향을 주기적으로 요동하는 것만의 동작, 예를 들면 유체 소자에 의한 자려(自勵) 편향을 이용하는 것 등에 의해, 분류가 피 건조면의 전면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2 이동수단이 간단한 구성이 되어 건조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수단이 상기 제1 이동수단에 의한 이동 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공기 분출부를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이동수단과 제2 이동수단의 공기 분출부의 이동의 조합이 2축의 2차원적 이동이 되어, 위치 표적을 알기 쉬워 이동 제어가 간략화된다. 그 때문에 공기 분출부의 조합 이동도 부드러워지므로,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 제거나 물방울의 임의 방향으로의 이동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수단이 상기 공기 분출부를 원호 형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제2 이동수단은, 예를 들면 일 점을 지점으로 한 부채 형상의 원호 왕복 동작을 주기적으로 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동작에 의해, 제1 이동수단과 제2 이동수단의 양쪽모두 공기 분출부의 분류의 분출 방향을 유지한 상태로, 가압 공기를, 피 건조면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피 건조면 전체로 불게 하는 동작을,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 의해,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을 효율 좋게 비산 또는 임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출부가 선단 근방에 공기 분사구멍을 구비한 봉 형상체로서, 상기 제1 이동수단의 이동 방향이 상기 봉 형상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인 것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이동수단의 이동 방향에 봉 형상체의 길이 방향을 일치 시킴에 따라, 봉 형상체의 이동에서의 투영 면적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장치 전체로부터 공기 분출부를 피 건조면에 대하여 진퇴시키는 경우에, 최소한도의 이동 궤적으로 행할 수 있다. 즉, 공기 분출부의 출입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이 상기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을 공기 분출부로부터 분출되는 분류에 의해 피 건조면의 중심부에 모으면서 날리도록 상기 공기 분출부로부터의 분류를 쓸어내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피 건조면에 부착한 물방울에 가압 공기의 분류를 닿게 하는 경우에, 분류가 다이렉트로 닿으면 물방울은 날리기 쉬운데, 물방울과 분류의 위치가 어긋나면 공기의 흐름을 따라 물방울이 이동할 뿐, 날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 피 건조면으로 부는 가압 공기의 분류는, 피 건조면을 따라 전면으로 퍼지는 성질이 있다. 그래서 피 건조면으로 퍼져 부착한 물방울에 대하여, 공기 분류를 닿게 하는 위치를 바꿈으로써, 피 건조면을 따른 공기의 흐름 방향을 바꿔, 물방울이 피 건조면의 중심부에 모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분산하는 작은 물방울은 강한 공기 분류를 광범위로 닿게 하지 않으면 날리지 않으나, 모여 든 큰 물방울은 적은 공기 분류로도 간단히 날릴 수 있다. 게다가, 피 건조면의 중심부에 물방울이 모이면, 공기 분류를 좁은 범위에 집중하여 닿게 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물방울을 날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이 상기 공기 분출 부를 일정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주기 이동과, 상기 주기 이동을 소정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점진 운동을 포함하고, 분류의 접촉 범위를 피 건조면의 대략 전면에 걸쳐 쓸어내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피 건조면에 부착한 물방울을 1회의 주기 이동으로 주기 이동의 궤적과 동일한 선 형상 혹은 벨트 형상으로 날리고, 점진 이동하면서 주기 이동을 반복함에 따라 날려 범위가 순차적으로 확대되고, 최종적으로 피 건조면 전면에 부착된 물을 날리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이동 범위 및 이동 각도 범위를 서서히 작게 하여 공기 분류의 접촉 범위를 피 건조면의 중심부에 가깝게 해 감으로써, 공기 분류를 멈추지 않고 연속하여 피 건조면에 퍼진 물방울을 중심부에 모으면서 날릴 수 있다. 따라서, 동작에 쓸모없음이 없어져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이 피 건조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대략 접선상을 주기 이동시키면서, 피 건조면의 외주로부터 피 건조면의 대략 중심을 향해 상기 공기 분출부를 점진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공기 분류가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의 외주부의 접선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이동하면서 서서히 중심을 향해 가까워가므로, 물방울이 피 건조면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여, 외측으로 확산되어 젖음 면적이 퍼지는 일이 없어, 보다 효율좋게 피 건조면의 물방울을 모으면서 쓸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수단이 점진 이동으 로 하고, 상기 제2 이동수단이 주기 이동하도록 한 것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점진 이동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면, 피 건조면에 부착한 물방울을 앞쪽 또는 뒤쪽으로부터 중심부로 용이하게 모을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좋게 피 건조면의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수단이 주기 이동으로 하고, 상기 제2 이동수단이 점진 이동하도록 한 것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점진 이동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면, 피 건조면에 부착한 물방울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부터 중심부로 용이하게 모을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좋게 피 건조면의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주기 이동의 방향을 피 건조면의 좌우 방향으로 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전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대략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후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대략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2 단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단계와 제2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이동 범위 및 이동 각도 범위를 서서히 작게 하여 공기 분류의 접촉 범위를 피 건조면의 중심부로 가깝게 해 감으로써, 공기 분류를 멈추지 않고 연속하여 피 건조면에 퍼진 물방울을 중심부에 모으면서 날릴 수 있다. 따라서, 동작에 쓸모없음이 없어져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주기 이동의 방향을 피 건조면의 전후 방향으로 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좌우 어느 일방의 소정 위 치로부터 대략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좌우의 타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대략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2 단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단계와 제2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피 건조면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에 부착하는 물방울은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으로부터 후방에 부착하는 물방울은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 전체를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중심부로 모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주기 이동의 방향을 피 건조면의 좌우 방향으로 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전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대략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후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대략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2 단계와 이동수단의 주기 이동의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좌우 어느 일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대략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좌우의 타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대략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4 단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단계로부터 제4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전방에 부착하는 물방울은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후방에 부착하는 물방울은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좌우 어느 일방에 부착하는 물방울은 상기 제3 단계에 의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좌우 어느 다른 일방에 부착하는 물방울은 상기 제4 단계에 의 한 구동으로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 전체를 전후 좌우 방향으로부터 중심부로 모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이 분류의 접촉 범위를 피 건조면의 주변부로부터 주회(周回)하면서 중심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피 건조면에 부착한 물방울에 가압 공기의 분류를 닿게 하는 경우에, 분류가 물방울에 다이렉트 또는 근방에 닿으면 물방울을 날리기 쉽다. 그래서, 피 건조면에 퍼져 부착한 물방울에 대하여 공기 분류를 닿게 하는 위치를 주회시키면서 중심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물방울이 피 건조면의 중심부에 모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피 건조면의 중심부에 모이는 물방울에 집중하여 분류를 닿게 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물방울을 날릴 수 있고, 건조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이 피 건조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대략 접선으로 구성하는 다각형 상을 주회하면서 피 건조면의 중앙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이동수단은, 분류의 접촉 범위를 피 건조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대략 접선으로 구성하는 대략 다각형 상을 주회시키면서 피 건조면의 중심부로 이동시킴으로써, 분류의 접촉 범위가 피 건조면의 외주부로부터 다각형 상을 이동하면서 서서히 다각형의 형상이 작아지면서 중심을 향해 가까워 오므로, 물방울이 피 건조면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여, 외측으로 확산되어 젖음 면적 이 넓어지는 경우가 없다. 게다가, 피 건조면의 중심부에 물방울이 모이면 공기 분류를 좁은 범위에 집중하여 닿게 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물방울을 날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이 피 건조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주상을 주회하면서 피 건조면의 중심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공기 분류가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의 외주부의 접선 방향으로 주기 이동하면서 서서히 중심을 향해 가까워 오므로, 물방울이 피 건조면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여, 외측으로 확산되어 젖음 면적이 넓어지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이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수단을, 건조 공정의 최후에 주기 이동을 시키면서 피 건조면의 일단으로부터 중심을 통해 타단까지 점진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사전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 잔류하는 물방울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피 건조면의 중심부에 물방울을 모은 후에, 피 건조면의 일단으로부터 중심을 통해 타단까지 점진 이동시키면 물방울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분출하는 온풍 분출구를 구비한 것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공기 분출부에 의해 피 건조면에 가압 공기를 분사하여 물 방울을 날리는 것에 부가하여,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한 온풍을 피 건조면을 향해 취출함으로써, 피 건조면이 보다 단시간에 효율좋게 건조할 수 있다. 또한, 온풍에 의해 피 건조면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건조 후의 쾌적성이 향상된다. 또한 가압 공기의 분류에 의한 냉풍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위생세정장치에 있어서, 착좌 가능한 변기 시트부와 피 세정면을 향해 세정수를 분출하는 세정수 분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세정수 분출수단과 건조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피 세정면과 피 건조면의 위치 관계를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효율 좋은 건조가 가능해진다. 또한 세정으로부터 건조에 이르는 동작을 자동화하는 것도 가능해져, 사용성이 좋아진다.
또한 세정수 분출수단과 공기 분출부는 하나의 노즐로 구성해도 되고, 독립한 2개의 노즐로 구성하고, 각각 독립하여 진퇴 가능하게 구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피 건조면보다 접촉 범위가 좁은 가압 공기의 분류로 건조하는 건조장치로서, 가압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출부와 상기 공기 분출부로부터의 분류의 접촉 범위를 피 건조면의 대략 전면에 걸쳐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을 상기 공기 분출부의 분류에 의해 피 건조면의 중심부에 모으면서 날리도록 이동시켜도 된다.
이것은, 피 건조면에 부착한 물방울에 가압 공기의 분류를 닿게 하는 경우에, 분류가 다이렉트로 닿으면 물방울을 날리기 쉬운데, 물방울과 분류의 위치가 어긋나면 공기의 흐름을 따라 물방울이 이동할 뿐, 날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 피 건조면으로 부는 가압 공기의 분류는, 피 건조면을 따라 전면으로 퍼지는 성질이 있다. 그래서 피 건조면으로 퍼져 부착한 물방울에 대하여, 공기 분류를 닿게 하는 위치를 바꿈으로써, 피 건조면을 따른 공기의 흐르는 방향을 바꿔, 물방울이 피 건조면의 중심부에 모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분산하는 작은 물방울은 강한 공기 분류를 광범위로 닿게 하지 않으면 날려지지 않으나, 모여 든 큰 물방울은 적은 공기 분류로도 간단히 날릴 수 있다. 게다가, 피 건조면의 중심부에 물방울이 모이면, 공기 분류를 좁은 범위에 집중하여 닿게 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물방울을 날릴 수 있다. 특히,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피 건조면보다 분류의 접촉 범위를 좁게 좁힌 가압 공기를 피 건조면의 대략 전면에 걸쳐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므로, 좁게 좁혀진 공기 분류로도 광범위의 물방울을 이동시킬 수 있어, 건조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을, 대략 일정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주기 이동과, 상기 주기 이동을 소정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점진 이동을 조합하여, 분류의 접촉 범위를 피 건조면의 대략 전면에 걸쳐 이동시키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피 건조면에 부착한 물방울은 1회의 주기 이동으로 주기 이동의 궤적과 동일한 선 형상 혹은 벨트 형상으로 날리고, 점진 이동하면서 주기 이동을 반복함에 따라 날려 범위가 순차적으로 확대되고, 최종적으로 피 건조면 전면에 부착된 물을 날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을, 피 건조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대략 접 선 상을 주기 이동시키면서, 피 건조면의 외주로부터 피 건조면의 대략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시키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공기 분류가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의 외주부의 접선 방향으로 주기 이동하면서 서서히 중심을 향해 가까워 오므로, 물방울이 피 건조면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여, 외측으로 확산되어 젖음 면적이 넓어지는 경우가 없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의 주기 이동의 방향을 건조장치의 좌우 방향으로 하고, 점진 이동의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함으로써, 피 건조면에 부착한 물방울을 앞쪽 또는 뒤쪽으로부터 중심부로 용이하게 모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의 주기 이동의 방향을 건조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하고, 점진 이동의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함으로써, 피 건조면에 부착한 물방울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부터 중심부로 용이하게 모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의 주기 이동의 방향을 건조 수단의 좌우 방향으로 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전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대략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후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2 단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단계와 제2 단계를 조합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피 건조면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에 부착하는 물방울은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으로부터 후방에 부착하는 물방울은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 전체를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중심부로 모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의 주기 이동의 방향을 건조장치 전후 방향으로 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좌우 어느 일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중심을 향해 점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좌우의 어느 다른 일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2 단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단계와 제2 단계를 조합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피 건조면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어느 일방측에 부착하는 물방울은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고, 타방측에 부착하는 물방울은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 전체를 좌우로부터 중심부로 모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의 주기 이동의 방향을 건조장치의 좌우 방향으로 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전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후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2 단계와 이동수단의 주기 이동의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좌우 어느 일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좌우의 어느 다른 일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4 단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단계로부터 제4 단계까지를 조합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피 건조면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에 부착하는 물방울은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으로부터 후방에 부착하는 물방울은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어느 일방에 부착하는 물방울은 상기 제3 단계에 의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어느 다른 일방에 부착하는 물방울은 상기 제4 단계에 의한 구동으로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피 건조면에 부착하 는 물방울 전체를 전후 좌우 방향으로부터 중심부로 모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의 주기 이동의 방향을 건조장치의 좌우 방향으로 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전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을 개시하여, 상기 중심을 통과하고 상기 중심보다 후방의 소정 위치까지 점진 이동하는 단계를 조합함으로써,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 전체에 공기 분류를 닿게 할 수 있으므로, 물방울을 날릴 수 있다. 또한, 피 건조면의 물방울을 중심부에 모든 후에 이 단계를 행하면, 보다 물방울을 날리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공기 분출부를 이동 또는/및 회전 운동하는 구동수단으로 함으로써, 공기 분출부를 전후 좌우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공기 분출부를 대략 수직 방향 혹은 대략 수평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구동수단을 단독 혹은 조합하며 사용함으로써, 분류의 접촉 범위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의 주기 운동과 점진 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 되어, 피 건조면 전면에 접촉 범위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을 공기 분출부로부터의 분류를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는 요동수단과 공기 분출부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진퇴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분류의 접촉 범위를 요동수단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진퇴 수단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피 건조면의 전면에 걸쳐 분류의 접촉 범위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착좌 가능한 변기 시트부와 세정수를 인체 국부에 분출하는 세정수 분출수단과 상기 건조장치를 구비한 위생세정장치로 함으로써, 세정에 의해 물방울이 널리 부착하는 피 건조면에 대하여, 공기 분출부로부터의 공기 분류를 전후 좌우로 이동시켜 피 건조면의 중심부에 물방울을 모으면서 날리므로, 물방울이 주위로 퍼지지 않아,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또한, 적은 공기 분류로도 물방울을 날릴 수 있으므로, 건조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어, 위생세정장치 전체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체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취출하는 온풍 분출구를 구비함으로써, 공기 분출부에 의해 피 건조면으로 가압 공기를 분사하여 물방울을 날리는 것에 부가하여,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한 온풍을 피 건조면을 향해 취출함으로써, 피 건조면을 보다 단시간에 효율좋게 건조할 수 있다. 또한, 온풍에 의해 피 건조면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건조 후의 쾌적성이 향상된다. 또한, 가압 공기의 분류에 의한 냉방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형태도 유효하다.
본 발명은, 피 건조면보다 접촉 범위가 좁은 가압 공기의 분류로 건조하는 건조장치로서, 가압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출부와 상기 공기 분출부로부터의 분류의 접촉 범위를 피 건조면의 대략 전면에 걸쳐 순차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것은, 피 건조면에 부착한 물방울에 가압 공기의 분류를 닿게 하는 경우에, 분류가 다이렉트 또는 근방에 닿으면 물방울은 날리기 쉽다. 그래서, 피 건조면에 퍼져 부착한 물방울에 대하여, 분류의 접촉 범위를 피 건조면 전면에 순차적으로 불도록 하는 것이다.
접촉 범위가 좁게 좁혀진 가압 공기의 분류로도 광범위의 피 건조면에 부착한 물방울을 효율좋게 날릴 수 있어, 건조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다.
또한, 특히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이동수단은 분류의 접촉 범위를 피 건조면의 주변부로부터 주회시키면서 중심부로 이동시키는 것이라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피 건조면에 퍼져 부착한 물방울에 대하여, 분류의 접촉 범위를 피 건조면의 주변부로부터 주회시키고, 주회 범위를 작게 하면서 중심부로 이동시킴으로써, 물방울은 주변부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날려, 최종적으로 중심부에 모인 모든 물방울을 날릴 수 있으므로, 접촉 범위가 좁게 좁혀진 가압 공기의 분류로도 광범위의 피 건조면에 부착한 물방울을 효율좋게 날릴 수 있어, 건조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이동수단은, 분류의 접촉 범위를 피 건조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대략 접선으로 구성하는 대략 다각형 상을 주회시키면서 피 건조면의 중심부로 이동시킴으로써, 분류의 접촉 범위가 피 건조면의 외주부로부터 다각형 상을 이동하면서 서서히 다각형의 형상이 작아지면서 중심을 향해 가까워 오므로 물방울이 피 건조면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여, 외측으로 확산되어 젖음 면적이 넓어지는 경우가 없다. 게다가, 피 건조면의 중심부에 물방울이 모이면 공기 분류를 좁은 범위에 집중하여 닿게 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물방울을 날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이동수단은, 분류의 접촉 범위를 피 건조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주상을 주회하면서 피 건조면의 중심부로 이동시킴으로 써,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 전체를 외주로부터 원주의 직경을 서서히 작게 하여 물방울을 감싸도록 중심부로 모을 수 있으므로, 물방울이 외측으로 확산되지 않고 효율좋게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좌 가능한 변기 시트부와 세정수를 분출하는 세정수 분출수단과 제1 내지 제4양태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건조장치를 구비한 위생세정장치로 함으로써, 세정에 의해 물방울이 널리 부착한 피 건조면에 대하여, 가압 공기의 분류를 피 건조면의 주변부로부터 주회하면서 중심부로 이동시키므로, 피 건조면 전면에 분류가 골고루 미쳐,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건조를 할 수 있다. 또한, 적은 공기 분류로도 물방울을 날릴 수 있으므로, 건조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어, 위생세정장치 전체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내부는 온풍 분출구를 구비함으로써, 공기 분출부에 의해 피 건조면에 가압 공기를 분사하여 물방울을 날리는 것에 부가하여,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한 온풍을 피 건조면을 향해 취출함으로써, 피 건조면을 보다 단시간에 효율좋게 건조할 수 있다. 또한, 온풍에 의해 피 건조면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건조 후의 쾌적성이 향상된다. 또한, 가압 공기의 분류에 의한 냉방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를 변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600) 상에 위생세정장치(100)가 장착된다.
위생세정장치(100)는, 본체부(200), 원격 조작 장치(300), 변기 시트부(400) 및 뚜껑부(500)에 의해 구성된다.
본체부(200)에는, 변기 시트부(400) 및 뚜껑부(500)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본체부(200)에는 공기 분출부인 건조 노즐(20)을 포함하는 건조장치(50)와 세정수를 분출하기 위한 세정수 분출수단(30)과 가열수단(40)이 설치됨과 함께, 제어부가 내장되어 있다. 본체부(200)의 제어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격 조작 장치(300)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건조장치(50), 가열수단(40) 및 세정수 분출수단(30)을 제어한다. 또한, 본체부(200)의 제어부는, 본체부(200)에 설치된 탈취 장치(미도시) 등의 제어도 행한다.
건조 수단(50)은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펌프(51)와 이 가압 공기를 분사하는 건조 노즐(20)과 건조 노즐(20)로부터 분사되는 가압 공기의 분류를 전후 좌우로 이동하기 위하여 건조 노즐(20)을 구동하는 구동수단(52)으로 구성되어 있고, 건조 수단(50)으로부터 분사하는 가압 공기는 피 건조면에 충돌하는 풍속이 초속 20~30m의 능력을 구비하고 있고, 피 건조면에는 직경 약 1cm 크기의 접촉 범위로 맞닿는다.
건조 노즐(20)에는, 세정수 분출수단(30)의 세정 노즐부(33)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세정수 분사 수단(30)은 세정 노즐부(33) 이외에 수돗물의 공급을 개폐 하는 개폐 밸브와 수돗물을 가열하는 온수 가열수단(31)과 온수 가열수단(31)으로부터의 온수를 세정 노즐부(33)의 방향과 변기(600)의 내부 방향으로 유로를 전환하는 전환 밸브(32)로 구성되어 있고, 구동수단(52)은 건조 노즐(20)과 공용하고 있다.
가열수단(40)은 내장 히터에 송풍하여 온풍을 공급하는 공기팬(41)과 이 온풍을 온풍 분출구(42)로 유도하는 덕트(43)로 구성되어 있고, 온풍 분출구(42)로부터 분출하는 온풍은 상기 건조 수단(50)으로부터 분출하는 가압 공기의 유속보다 느려, 초속 10m 이하이며, 피 건조면에 대한 당접 면적은 넓어, 피 건조면의 전 면적으로 확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원격 조작 장치(3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격 조작 장치(300)는, 복수의 LED(301;발광 다이오드), 복수의 조정 스위치(302), 엉덩이 스위치(303), 자극 스위치(304), 정지 스위치(305), 비데 스위치(306), 건조 스위치(307) 및 탈취 스위치(308)를 구비한다.
사용자에 의해 조정 스위치(302), 엉덩이 스위치(303), 자극 스위치(304), 정지 스위치(305), 비데 스위치(306), 건조 스위치(307) 및 탈취 스위치(308)가 눌려 조작된다.
이에 따라, 원격 조작 장치(300)는, 후술하는 본체(200)에 설치된 제어부에 소정의 신호를 무선 송신한다.
본체부(200)의 제어부는, 원격 조작 장치(300)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고, 세정수 분출수단(30), 가열수단(40) 및 건조장치(50)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엉덩이 스위치(303) 또는 비데 스위치(306)를 눌러 조작함에 따라, 도 1의 본체부(200)의 세정 노즐부(33)가 이동하여 세정수가 인체의 피 세정면에 대하여 분출된다. 자극 스위치(304)를 눌러 조작함으로써, 도 1의 본체부(200)의 구동수단(52)에 의해 세정 노즐부(33)를 전후로 왕복 구동시키고, 세정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인체의 국부에 자극을 가한다.
또한, 건조 스위치(307)를 눌러 조작함으로써, 도 1의 건조장치(50)의 건조 노즐(20)이 구동수단(52)에 의해 구동하면서, 공기 펌프(51)로부터 공급되는 가압 공기를 세정 후의 인체의 피 건조면에 대하여 분출한다. 이때, 동시에 가열수단(40)도 운전하여 온풍 분출구(42)로부터 온풍을 불어내고, 피 건조면의 대략 전면에 온풍을 닿게 한다.
정지 스위치(305)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세정수 분출수단(30), 가열수단(40), 건조장치(50)의 각 동작을 정지하고 건조 노즐(20)을 본체부(200)에 수납한다.
또한 탈취 스위치(308)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위생세정장치(100)의 탈취 장치(미도시)에 의해 주변 공기의 탈취가 행해진다.
조정 스위치(302)는, 풍량 조정 스위치(302a, 302b), 온도 조정 스위치(302c, 302d) 및 노즐 위치 조정 스위치(302e, 302f)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노즐 위치 조정 스위치(302e, 302b)를 누름 조작함에 따라, 도 1의 위생세정장치(100)의 건조장치(50)의 건조 노즐(20)의 중심부의 설정 위치가 변 화하고, 온도 조정 스위치(302c, 302d)를 누름 조작함에 따라, 가열수단(40)으로부터 불어나오는 온풍의 온도가 변화한다. 또한 풍량 조정 스위치(302a, 302b)를 누름 조작함에 따라, 건조장치(50)의 공기 펌프(51)로부터 공급되는 가압 공기의 풍량이 변화한다. 조정 스위치(302)의 누름 조작에 수반하여 복수의 LED(301;발광 다이오드)가 점등한다.
다음으로, 본체부(200) 내에 설치된 세정수 분출수단(30)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3은 세정수 분출수단(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세정수 분출수단(30)은, 개폐 밸브(34), 온수 가열수단(31), 전환 밸브(32), 세정 노즐부(33), 구동수단(52), 전후 구동 모터(53), 좌우 구동 모터(54),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세정수 분출수단(30)의 제어부(150)는, 개폐 밸브(34), 온수 가열수단(31), 전환 밸브(32), 전후 구동 모터(53) 및 좌우 구동 모터(54)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어서 본체부(200) 내에 설치된 건조장치(50)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4는 건조장치(5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건조장치(50)는, 건조 노즐(20), 공기 펌프(51), 구동수단(52), 제어부(150), 전후 구동 모터(53), 좌우 구동 모터(54), 공기팬(41), 히터(43) 및 온풍 분출구(42)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수단(52), 전후 구동 모터(53), 좌우 구동 모터(54), 제어부(150)는, 전술한 세정수 분출수단(30)과 공용하고 있다.
건조장치(50)의 제어부(150)는, 공기 펌프(51), 전후 구동 모터(53), 좌우 구동 모터(54), 공기팬(41) 및 히터(43)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5는 건조장치(50)에서의 구동수단(52)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구동수단(52)은 건조 노즐(20), 건조 노즐(20)로부터의 공기 분류를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는 요동수단(70), 공기 분류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진퇴 구동수단(71), 및 베이스(55)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동수단(52)은 이동수단으로서, 건조 노즐(20)로부터 분사하는 가압 공기의 피 건조면에 대한 접촉 범위를 피 건조면의 전면에 걸쳐 임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건조 노즐(20)은 원통 형상을 이루고, 선단 근방의 원통 주방향으로 공기 노즐구멍(21)과 세정수 노즐구멍(22)이 설치되고, 내부에 가압 공기를 공기 노즐구멍(21)으로 유도하는 공기 공동(空洞)(23)과 세정수를 세정수 노즐구멍(22)으로 유도하는 수용(水用) 공동(24)이 설치되어 있다. 즉, 이 건조 노즐(20)은 세정 노즐부(33)를 겸해 구성되어 있다.
공기 펌프(51)로부터의 가압 공기는, 공기 튜브(25)로부터 공기 공동(23)에 공급되도록 접속되고, 전환 밸브(32)로부터의 세정수는, 물 튜브(26)로부터 수용 공동(24)에 공급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공기 튜브(25)와 물 튜브(26)는 건조 노즐(20)이 회전이나 전후 구동할 때에 비틀림이나 굴곡의 힘이 작용하므로, 고무 등의 연질 소재로 구성한다.
베이스(55)는 상면에 앞으로 경사지게 구성한 레일부(56)를 따라 건조 노즐(20)을 경사시켜 배치하고, 베이스 선단에 개공하여 배치한 가이드부(57)에 건조 노즐(20)을 통해 유지한다. 이 가이드부(57)는 슬라이드성이 좋은 재질로 구성하 고, 건조 노즐(20)이 부드럽게 회전 및 슬라이드 하도록 적절하게 간극을 설정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55) 상면에는 레일부(56)를 따라 슬라이드 하는 슬라이더(58)를 구비하고, 건조 노즐(20)의 종단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다. 그리고 슬라이더(58)의 동작에 맞춰 건조 노즐(20)은 레일부(56)를 따라 구동된다.
제1 이동수단으로서의 진퇴 구동수단(71)은 전후 구동 모터(53)와 슬라이더(58)와 나사부(59)에 의해 구성되고, 전후 구동 모터(53)는 베이스(55)의 뒤쪽에 배치하고 레일부(56)에 평행하게 배치한 나사부(59)를 정역(正逆) 회전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이 나사부(59)는 슬라이더(58)의 너트부(60)에 셋팅되고, 나사부(59)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더(58)가 레일부(56) 상을 구동한다. 따라서, 전후 구동 모터(53)의 회전에 맞춰 슬라이더(58)에 유지된 건조 노즐(20)이 앞뒤로 진퇴 구동한다. 여기서의 앞 방향이라는 것은 도 5의 A 방향을 나타내고, 뒷 방향이라는 것은 B 방향을 나타내며, 앞 방향은 변기 시트(400)에 앉은 용변자의 전면 방향에 대응하고, 뒷 방향은 용변자의 배면 방향에 대응한다.
제2 이동수단으로서의 요동수단(70)은, 슬라이더(58)에 배치한 좌우 구동 모터(54), 기어(A61), 기어(B62) 및 기어(C63)로 이루어지고, 좌우 구동 모터(54)의 회전을 기어(A61), 기어(B62) 및 기어(C63)를 통해 건조 노즐(20)에 전달한다. 따라서, 좌우 구동 모터(54)의 정역 회전에 따라 건조 노즐(20)이 회전하고, 공기 노즐구멍(21)으로부터 분출하는 공기 분류는 도 5의 C 및 D의 좌우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50)에서의 제어 동작에 대하여 도 6, 도 7, 도 8 및 도 9를 부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어부(150)에 의한 '엉덩이 세정' 및 '건조' 운전에서의 제어 동작의 타임 챠트, 도 7a ~ 도 7c는 '엉덩이 세정' 및 '건조'의 운전 상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건조' 운전 상태의 피 건조면에서의 분류의 접촉 범위(E)의 이동 패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직 조작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T0의 시점에서는, 건조 노즐(20;세정 노즐부(33))의 전후 방향은 후단의 수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건조 노즐(20)의 좌우 방향은, 요동수단(70)에 설치한 중심부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미도시)의 검출 위치에 각도 설정되어 있다. 이 각도는 중심 각도가 되고, 공기 노즐구멍(21)과 세정수 노즐구멍(22)의 분류 각도가 상 방향으로 설정된다.
사용자가 원격 조작 장치(300)의 엉덩이 스위치(303)를 누름 조작하는 T1에 있어서, 개폐 밸브(34)가 열리고 수돗물이 온수 가열수단(31)으로 흘러들어간다. 내장된 유량 센서(미도시)가 수류(水流)를 검출하면, 온수 가열수단(31)으로의 통전이 개시되고, 가열된 온수가 공급되기 시작한다. 이때, 전환 밸브(32)는 변기측의 유로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충분히 따뜻해져 있지 않은 온수는 변기(600)내로 배출된다.
온수 가열수단(31)로부터의 출탕(出湯) 온도가 소정 온도(예를 들면 36℃)에 도달한 시점(T2)에 있어서, 전후 구동 모터(53)를 운전시켜 세정 노즐부(33)를 중심부 위치(예를 들면, 전방 100mm)까지 전진시킨다. 그리고 T3에 있어서, 전환 밸브(32)에 의해 세정수를 세정 노즐부(33) 측으로 전환하여, 사용자의 피 세정면에 세정수를 분출한다. 온수 가열수단(31)으로의 전력 제어는, 출탕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미도시)의 검출 온도가 설정 온도(예를 들면, 40℃)가 되도록 공지 PID나 FF 제어를 이용하여 행한다. 또한, 세정수의 유량은 전환 밸브(32)의 밸브 열림도를 조정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양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엉덩이 세정에서의 피 세정면의 젖음 상태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가 직접 맞닿는 중심부뿐만 아니라, 물방울이 흘러 주변부를 젖게 해 버린다.
엉덩이 세정이 종료하고, 사용자가 원격 조작 장치(300)의 정지 스위치(305)를 누름 조작하는 도 6의 T4에 있어서, 전환 밸브(32)에 의해 세정수를 변기(600)측으로 전환하고, 세정 노즐부(33)로부터의 세정수 분출을 정지함과 동시에, 온수 가열수단(31)으로의 통전을 정지하고, 전후 구동 모터(53)를 역전시켜 세정 노즐부(33)를 수납 위치까지 후퇴시킨다. 그리고, T5에서 개폐 밸브(34)를 닫아 통수를 차단하고 세정 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엉덩이 세정에서의 동작을 설명했으나, 원격 조작 장치(300)의 비데 스위치(306)를 누름 조작하는 비데 세정이나 자극 스위치(304)를 누름 조작하는 자극 세정의 경우에서도, 기본이 되는 시퀀스는 동일하다. 다만, 비데 세정의 경우에는, 비데에 대응하는 세정 노즐 위치와 유량 설정으로 변경되고, 자극 세정의 경우에는, 세정 노즐부(33)로부터의 세정수 분출시에, 세정 노즐부(33)를 전후로 세밀하게 구동하는 조작이 가해진다.
다음으로 T6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격 조작 장치(300)의 건조 스위치(307)를 누름 조작하면, 공기 팬(41)과 히터(43)가 운전되어 온풍 분출구(42)로부터 온풍을 취출하기 위한 제어를 개시한다. 취출되는 온풍 온도는 히터(43)로의 통전량을 피드백 제어하여 적온으로 제어된다. 그리고, 온풍 분출구(42)로부터 사용자의 세정면인 피 건조면의 대략 전면에 대하여 송풍된다.
이때 동시에 공기 펌프(51)가 단시간(예를 들면 1초간)만 운전되고, 가압 공기가 건조 노즐(20)의 공기 노즐구멍(21)으로부터 일순간 분출된다. 이 동작은, 건조 노즐(20)이 수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건조 노즐(20) 표면에 부착한 물방울을 날려 사용자에 대하여 물방울의 재부착을 방지한다. 또한, 여기서 건조 노즐(20)이 수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가압 공기가 건조 노즐(20)의 공기 노즐구멍(21)으로부터 순간적으로 분출되면, 벽면으로부터의 반대풍으로 효율 좋게 건조 노즐(20)이 건조된다.
그후, 전후 구동 모터(53)를 운전시켜 건조 노즐(20)을 최 전진 위치(예를 들면, 전방 150mm)까지 전진시키면서, 좌우 구동 모터(54)를 운전시켜 건조 노즐(20)의 좌우 각도를 우단 각도(예를 들면, +50°)까지 각도 변경한다.
T7에 있어서, 공기 펌프(51)의 운전을 개시하고, 피 건조면에 대하여 공기 노즐구멍(21)으로부터 가압 공기의 분사를 개시한다.
그리고 T7로부터 T8의 제1 단계에 있어서, 구동수단(52)의 좌우 구동 모터(54)와 전후 구동 모터(53)의 운전 방향 및 운전 속도를 제어하여, 건조 노즐(20)의 전후 구동을 소정 범위(예를 들면, 전방 50mm 으로부터 150mm)에서 고속으로 왕복 운전하고, 동시에 건조 노즐(20)의 좌우 각도를 우단 각도로부터 우측 소정 각도(예를 들면 +50°로부터 +20°)까지 중심 각도를 향해 천천히 구동시킨 다. 이 제1 단계의 동작은, 건조 노즐(20)로부터의 공기 분류가, 사용자의 피 건조면의 우측 소정 위치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하면서 서서히 중심부로 접근해 온다. 따라서, 도 8의 동작 패턴(P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분류의 접촉 범위(E)는 피 건조면(F)의 우단의 접선 방향으로 고속으로 왕복 이동하는 주기 이동하면서, 중심부(G)를 향해 서서히 점진 이동하므로, 도면과 같이 지그재그의 이동 궤적이 그려진다. 이 결과,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 건조면의 우측으로 퍼져 부착한 물방울을, 중심부 방향으로 모으면서 날릴 수 있다.
도 6의 T8에서는 일단 공기 펌프(51)를 정지하고, 건조 노즐(20)의 좌우 각도를 좌단 각도 (예를 들면 -50°)까지 각도 변경한다. 그리고 T9에 있어서, 공기 펌프(51)의 운전을 재개하여, 가압 공기의 분사를 개시한다.
그리고 T9로부터 T10의 제2 단계에 있어서, 건조 노즐(20)의 전후 구동을 제1 단계와 마찬가지로 소정 범위(예를 들면, 전방 50mm 으로부터 150mm)에서 고속으로 왕복 운전하고, 동시에 건조 노즐(20)의 좌우 각도를 좌단 각도로부터 좌측 소정 각도(예를 들면 -50°로부터 -20°)까지 중심 각도를 향해 천천히 구동시킨다. 이 제2 단계의 동작은, 건조 노즐(20)로부터의 공기 분류가, 사용자의 피 건조면의 좌측 소정 거리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하는 주기 이동하면서 서서히 중심부로 점진 이동하여 접근해 온다. 따라서, 도 8의 동작 패턴(P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분류의 접촉 범위(E)는 피 건조면(F)의 좌단의 접선 방향으로 고속으로 왕복 이동하는 주기 이동하면서, 중심부(G)를 향해 서서히 점진 이동하므로, 도면과 같이 지그재그의 이동 궤적이 그려진다. 이 결과,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 이, 피 건조면의 좌측으로 퍼져 부착한 물방울을, 중심부 방향으로 모으면서 날릴 수 있다.
이상의 제1 단계와 제2 단계에 의해 피 건조면에 부착하여 남는 물방울은 중심부를 중심으로 앞뒤에만 남게 된다. 여기서 중심부에 모여진 잔류 물방울이 있는 경우에는, 온풍 분출구(42)로부터 분출되는 온풍으로 효율좋게 건조된다.
인체의 둔부는 항문이나 음경의 세정 중심부에 대하여 좌우 양 사이드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변기 시트에 앉은 경우에 세정 중심부보다 좌우 양 사이드가 낮아진다. 따라서, 세정수가 좌우로 젖어 퍼지기 쉬워, 건조시에 최초로 중심부에 공기 분류를 닿게 해 버리면, 부착한 물방울이 좌우로 크게 퍼져 젖음 면적이 확대되어 버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단계와 제2 단계에 의해 피 세정면의 물방울이 좌우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날리므로, 효율이 좋은 건조를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계에 있어서, 제1 이동수단으로서의 진퇴 구동수단(71)에 의해 분출 각도를 유지하면서 세정 중심부를 따라 공기 분출구멍(22)을 이동하고 쓸어냄으로써, 사용자의 엉덩이에 부착한 세정 물방울을 순차 순환적인 송풍의 중심에 모으도록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피 세정면에 부착한 세정 물방울을 필요 이상으로 퍼지게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정 물방울이 한군데에 모임에 따라, 물방울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2 단계의 종료 시점(T10)에서는, 건조 노즐(20)을 최 전진 위치까지 전진시킨다. 그리고 T10으로부터 T11의 제3 단계에 있어서, 건조 노즐(20)의 전후 구동을 최 선진 위치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천천히 후퇴시키면서, 동시에 건조 노 즐(20)의 좌우 각도를 우단 각도로부터 좌단 각도까지 고속으로 왕복 구동시킨다. 이 제3 단계의 동작은, 건조 노즐(20)로부터의 공기 분류가, 피 건조면 상을 좌우 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하면서 전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해 서서히 중심부로 접근해 온다. 따라서, 도 9의 동작 패턴(P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분류의 접촉 범위(E)는 피 건조면(F)의 선단의 접선 방향으로 고속으로 왕복 이동하는 주기 이동을 하면서, 중심부(G)를 향해 서서히 점진 이동하므로, 도면과 같이 지그재그의 이동 궤적이 그려진다. 이 결과, 피 건조면(G)으로부터 전방에 남은 물방울을, 중심부(G) 방향으로 모으면서 날릴 수 있다.
도 6의 T11에서는 일단 공기 펌프(51)를 정지하고, 건조 노즐(20)의 전후 방향 위치를 후부 소정 위치(예를 들면 50mm)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T12에 있어서, 공기 펌프(51)의 운전을 재개하여, 가압 공기의 분사를 개시한다.
그리고 T12로부터 T13의 제4 단계에 있어서, 건조 노즐(20)의 전후 구동을 후부 소정 위치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천천히 전진시키면서, 동시에 건조 노즐(20)의 좌우 각도를 우단 각도로부터 좌단 각도까지 고속으로 왕복 구동시킨다. 이 제4 단계의 동작은, 건조 노즐(20)로부터의 공기 분류가, 피 건조면 상을 좌우 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하면서 후방의 소정 거리로부터 전방을 향해 서서히 중심부로 접근해 온다. 따라서, 도 9의 동작 패턴(P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분류의 접촉 범위(E)는 피 건조면(F)의 후단의 접선 방향으로 고속으로 왕복 이동하는 주기 이동을 하면서, 중심부(G)를 향해 서서히 점진 이동하므로, 도면과 같이 지그재그의 이동 궤적이 그려진다. 이 결과, 피 건조면의 중심부(G)보다 후방에 남은 물 방울을, 중심부(G) 방향으로 모으면서 날릴 수 있다.
이상의 제1 단계로부터 제4 단계에 의해 피 건조면에 부착한 물방울은 중심부에만 남게 된다.
상기한 제1 내지 제4 단계에서의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로의 작용을 설명한다. 각 단계의 동작 중의 피 건조면으로의 공기 분류의 구동 방향이, 중심부를 향해 이동하는 속도보다, 중심부에 대하여 대략 접선 방향의 이동 속도쪽을 충분히 빠르게 하고 있으므로, 피 건조면에 충돌하여 퍼지는 공기 흐름 방향이, 상기한 대략 접선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흐름 성분이 많아진다. 따라서, 이 대략 접선 방향으로 구동하는 공기 분류와 중심부의 사이에 부착하는 물방울은, 대략 접선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공기 흐름에 눌려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서서히 공기 분류를 중심부에 접근시키므로, 중심부 방향으로 모아져 온다. 이 움직임을 제1 내지 제4의 단계에 있어서 우, 좌, 전, 후의 4방향으로부터 행함으로써, 물방울은 중심부에 모인다.
T13에서는 다시 공기 펌프(41)를 정지하고, 건조 노즐(20)의 전후 방향 위치를 전방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 전방 130mm)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T14에 있어서, 공기 펌프(51)의 운전을 재개하고, 가압 공기의 분사를 개시한다.
그리고 T14로부터 T15의 제5 단계에 있어서, 건조 노즐(20)의 전후 구동을 전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후퇴를 개시하고, 중심부를 통과하여, 중심부보다 후방의 소정 거리(예를 들면 전방 50mm)까지를 천천히 후퇴한다. 동시에 건조 노즐(20)의 좌우 각도를 우단 각도로부터 좌단 각도까지 고속으로 왕복 구동시킨다. 이 제5 단 계의 동작은, 건조 노즐(20)로부터의 공기 분류가, 피 건조면상을 좌우 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하는데 주기 이동을 하면서, 전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해 서서히 점진 이동을 하여 중심부로 접근하고, 또한 중심부를 통과하여 후방의 소정 위치까지 점진 이동한다. 따라서 피 건조면에 대하여 공기 분류가 닿는 위치가 전방으로부터 중심부를 통해 후방으로 서서히 이동하므로, 피 건조면의 중앙부에 남는 물방울을 완전히 날릴 수 있다.
T15에서 공기 펌프(51)를 정지하고, 건조 노즐(20)의 전후 방향은 후단의 수납 위치로 이동시킨다. 건조 노즐(20)의 좌우 방향은, 중심 각도로 돌아간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격 조작 장치(300)의 정지 스위치(305)를 누름 조작하는 T16에서는, 공기팬(41)과 히터(43)의 운전을 정지하고, 온풍 분출구(42)로부터 온풍의 취출을종료한다.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 노즐(20)로부터의 공기 분류가 피 건조면에 분사될 때, 온풍 분출구(42)로부터 온풍이 피 건조면에 불고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함과 함께, 공기 분류의 냉풍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엉덩이 세정과 비데와 건조를 하나의 노즐로 구성하고, 구동수단도 공용했으므로, 노즐의 설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부품 개수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공간 절약화나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건조를 위한 가압 공기를 단일한 노즐구멍으로부터 분사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저 유량으로도 공기 분류의 유속을 크게 할 수 있어, 소용량의 공기 펌프라도 높은 건조 성능이 얻어진다. 즉, 분류의 유속이 크므로, 피 건조면에 부 착한 물방울에 분류가 맞닿을 때의 물방울을 떼어내는 에너지가 커지므로, 물방울을 효율좋게 날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엉덩이 세정과 비데를 동일 노즐구멍으로 행했으나, 하나의 원통에 각각의 단독 노즐구멍을 배치하여 구성해도 무방하고, 엉덩이 세정과 비데를 각각 독립한 노즐과 구동수단을 배치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세정과 건조를 하나의 원통으로 구성하고, 구동수단을 공용했으나, 이것을 각각 독립한 노즐과 구동수단으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 노즐을 단일 노즐구멍에 의해 구성했으나, 복수의 노즐구멍에 의해 가압 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이라도 무방하고, 건조 노즐 및 구동수단을 복수 배치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복수의 공기 분류에 의해 피 건조면의 물방울을 중심부에 모으도록 구동하는 쪽이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공기의 유속을 초속 20~30m으로 했으나, 물방울을 날리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초속 10m 이상이 최저 필요하고, 분류의 접촉 범위의 크기의 설정 요소인 노즐구멍의 크기나 노즐구멍의 수는, 공기 펌프의 능력과 가압 공기의 유속을 고려하여 선택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수단으로서 건조 노즐 전체를 구동수단으로 구동하는 구성으로 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건조 노즐의 공기 노즐구멍만, 혹은 공기 노즐구멍을 포함하는 주변의 부재만을 이동 혹은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분류의 분사 방향을 변경함에 따라, 분류의 접촉 범위를 이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무방하고, 혹은 공기 노즐의 전방에 분류의 방향을 바꾸는 풍향 변경 수단을 설치 하는 구성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단계로부터 제5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했으나, 각 단계는 반복 실행해도 무방하고, 각 단계의 순서를 바꿔도 무방하다. 또한 제1과 제2 단계를 생략해도 무방하고, 제3과 제4 단계를 생략해도 무방하다.
또한, 건조 공정의 최후에 주기 이동을 시키면서 피 건조면의 일단으로부터 중심을 통해 타단까지 점진 이동시킴으로써, 잔류하는 물방울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가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와 다른 것은 아래와 같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에서의 건조장치의 건조 노즐 및 요동수단의 부분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0에 나타낸 요동수단(80)은 공기 분출부인 건조 노즐(81)의 기부(82)에 일체적으로 접속하는 회전 축부(83), 이 회전 축부(83)의 축심(84)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더(85), 회전 축부(83)를 회전 작용시키는 좌우 구동 모터(86), 좌우 구동 모터(86)의 회전력을 회전 축부(83)에 전달하는 기어(A87) 및 기어(B88)를 포함한다.
슬라이더(85)에 의한 전후 구동 기능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너트부(60)도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건조 노즐(81)의 내부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원통 형상을 이루고, 선단 근방의 원통 주 방향으로 공기 노즐구멍(21)과 세정수 노즐구멍(22)이 설치되고, 내부에 가압 공기 공기용의 공기 공동(미도시)과, 세정수용의 수용 공동(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은, 건조 노즐(81)의 기부(82)가 회전 축부(83)에 일체적으로 접속되고, 건조 노즐(81)이 이 회전 축부(83)를 부채 형상으로 왕복 요동하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공기 분류를 좌우로 구동시키는 것은, 좌우 구동 모터(86)를 정역 회전 제어시키고, 건조 노즐(81)을 소정의 각도까지 회전시킴으로써, 공기 노즐구멍(21) 자신의 위치가 좌우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함에 따라 행한다.
그리고, 공기 노즐구멍(21)으로부터의 공기 분류(89)는, 피 건조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을 유지하며 분사되므로,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에 대한 박리 작용이 높아진다. 또한, 물방울이 피 건조면의 외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작용을 보다 억제할 수 있으므로, 중심부에 물방울을 모으기 쉬워진다. 또한, 좌우로 공기 분류를 이동시켜도, 피 건조면에 분류가 닿기까지의 거리가 멀어지지 않으므로, 공기 유속이 높은 분류를 피 건조면에 닿게 할 수 있어, 더욱 물방울 제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가,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와 다른 것은 아래와 같다.
도 11은, 위생세정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엉덩이 세정' 및 '건조' 운전에서의 제어 동작의 타임 챠트, 도 12는 '건조' 운전 상태의 피 건조면의 공기 분류의 접촉 범위의 이동 패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도 11의 T7부터 T13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도 12에 나타낸 피 건조면(F)의 외주부를 후 m1, 좌 m2, 전 m3, 우 m4, 후 m5으로 순서대로 공기 분류의 접촉 범위(E)를 이동시켜 가고, 서서히 그 구동 범위를 중심부(G)에 가깝게 해 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의 T7부터 T8에서는, 구동수단(52)의 좌우 구동 모터(54)와 전후 구동 모터(53)의 운전 방향 및 운전 속도를 연동시켜, 건조 노즐(20)의 전후 구동을 후방으로 소정 범위(예를 들면, 전방 150mm 으로부터 50mm까지)에서 고속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건조 노즐(20)의 좌우 각도를 우단 각도로부터 좌측으로 소정 각도(예를 들면, +50°로부터 +45°)로 천천히 구동시킨다.
다음으로 T8부터 T9에서는, 건조 노즐(20)의 전후 구동을 전방으로 소정 거리(예를 들면, 전방 50mm으로부터 55mm까지) 천천히 이동하고, 동시에 좌우 각도를 좌측으로 소정 각도 범위(예를 들면, +45°로부터 -50°까지)로 고속으로 구동시킨다.
다음으로 T9부터 T10에서는, 건조 노즐(20)을 전방으로 소정 범위(예를 들면, 전방 55mm으로부터 150mm까지) 고속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좌우 각도를 우측으로 소정 각도(예를 들면, -50°로부터 -45°까지) 천천히 구동시킨다.
다음으로 T10부터 T11에서는, 건조 노즐(20)을 후방으로 소정 거리(예를 들면, 전방 150mm으로부터 145mm까지) 천천히 이동하고, 동시에 좌우 각도를 소정 각도 범위(예를 들면, -45°로부터 +45°까지)로 고속으로 구동시킨다.
다음으로 T11부터 T12에서는, 건조 노즐(20)을 후방으로 소정 범위(예를 들면, 전방 145mm으로부터 55mm까지)에서 고속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좌우 각도를 좌측으로 소정 각도(예를 들면, +45°로부터 +40°까지)로 천천히 구동시킨다.
이상과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소정 범위 및 소정 각도 범위를 서서히 작게 하여 공기 분류의 접촉 범위를 피 건조면의 중심부(G)로 가까이 해 간다.
이 방법이라면, 공기 펌프를 멈추지 않고 연속하여 피 건조면으로 퍼진 물방울을 중심부에 모으면서 날릴 수 있다. 따라서, 동작에 쓸모없음이 없어져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가,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와 다른 것은 아래와 같다.
도 13은, 위생세정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엉덩이 세정' 및 '건조' 운전에서의 제어 동작의 타임 챠트, 도 14는 '건조' 운전 상태의 피 건조면의 공기 분류의 접촉 범위의 이동 패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4 실시예에서는, 도 13의 T7부터 T13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도 14에 나타낸 피 건조면(F)의 외주 근방을 오른쪽으로 공기 분류의 접촉 범위(E)를 이동시 켜 가고, 서서히 그 반경(r)을 작게 하여 중심부(G)에 가깝게 해 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의 T7부터 T13의 건조 노즐(20)의 전후 방향 이동 거리와 좌우 방향 각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피 건조면의 중심부에 대하여 정현파 형상으로 왕복 구동하고, 각각 왕복 구동 주파수를 동일하게 하여 위상을 90도 어긋나게 하여 설정한다. 즉, 전후 방향 이동 거리가 중심부 위치에 있을 때(T7, T9)에는, 좌우 방향 각도는 우 또는 좌의 끝을 구동하도록 하고, 역으로 좌우 방향 각도가 중심 각도에 있을 때(T8, T10)에는, 전후 방향 이동 거리는 전방끝, 또는 후방끝을 구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왕복 구동의 진폭을 서서히 작게 하여, 분류의 이동 범위가 중심부(G)에 가까워지도록 구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분류의 접촉 범위가 피 건조면 상을 원을 그리도록 이동하므로, 이 원의 내측에 위치하는 물방울을, 밖으로 확산하지 않고 중심부에 모으면서 날릴 수 있다. 따라서, 확실하게 물방울 제거를 할 수 있고, 또한 동작에 쓸모없음이 없어져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공기 분류의 접촉 범위가 피 건조면 상을 원을 그리도록 구성했으나, 분류의 접촉 범위를 피 건조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대략 접선으로 구성하는 대략 다각형 상을 주회시키면서 피 건조면의 중심부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구동수단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또한 분류의 접촉 범위가 피 건조면의 외주부로부터 다각형 상을 이동하면서 서서히 다각형의 형상이 작아지면서 중심을 향해 가까워 오므로, 물방울이 피 건조면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여, 외측으로 확산되어 젖음 면적이 넓어지지 않는다. 게다가, 피 건 조면의 중심부에 물방울이 모이면 공기 분류를 좁은 범위에 집중하여 닿게 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물방울을 날릴 수 있다.
(제5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에 있어서도, 건조장치로부터의 공기 분류에 의해 피 건조면(F)을 쓸어냄으로써, 세정수 부착 범위(A)의 물방울을 효율좋게 제거하는 것이다. 이 제5 실시예의 위생세정장치가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와 다른 것은 아래와 같다.
도 15 및 도 16은, 건조 노즐(20)의 위치와 접촉 범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여기서는, 평면도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평면도는 생략하는데, 도 12와 동일하다. 즉, 도 12에 운전 상태의 피 건조면의 공기 분류의 접촉 범위의 이동 패턴을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이동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분류를 제어할 때에, 건조 노즐(20)의 분출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건조 노즐(20)의 선단 위치가 분사 위치의 바로 아래에 오도록 건조 노즐(20)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한 것이다. 도 12의 점 G의 위치가 도 15a 및 도 16a에 상당하고, m1이 도 15b 및 도 16c에 상당하고, m2가 도 15c 및 도 16c에 상당하고, m3가 도 15c 및 도 16b에 상당하고, m4가 도 15b 및 도 16b에 상당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공기 분류가 피 건조면에 거의 수직으로 닿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구성에 따르면, 충돌한 공기의 흐름은, 피 건조면을 따라 공기 분류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 형상으로 퍼진다. 이 피 건조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에 의해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은, 공기 분류의 축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또는 비산한다. 따라서, 이 공기 분류의 중심 위치를 도 15a 및 도 16a의 위치로부터 도 15b 및 도 16b, 도 15c 및 도 16c, 그리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차 m1, m2, m3, m4, m5로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부착 물방울은 중심부(G)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날려 가므로, 효율좋게 건조가 진행된다.
그러나, 공기 분류가 피 건조면에 대하여 수직이 아니라, 경사지게 닿으면, 충돌한 공기의 흐름은 확산 각도가 완만한 방향을 중심으로 퍼져, 방사 형상의 확산이 무너진다. 이 충돌 각도가 수직으로부터의 경사 각도가 커지면, 충돌 공기의 확산은 각도가 완만한 방향만이 되어 확산도 적어진다. 이와 같이, 공기의 분출 방향을 전후와 좌우로 편향하여 피 건조면에 닿게 한 경우에는, 피 건조면에 닿는 공기 분류는, 공기의 분출구의 중심부에서는 피 건조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닿는데, 중심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는, 공기 분류가 피 건조면에 대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닿는다. 그 때문에, 중심 방향으로의 분류의 확산이 없어져, 부착 물방울은 피 건조면의 외측으로 퍼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없고 상술한 바와 같이 극히 효율좋게 건조가 진행된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 건조 노즐은 거의 앞으로 기울어, 피 건조면인 인체 둔부 표면의 각도에 대하여 평균하여 따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건조 노즐과 둔부의 피 건조면의 거리를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공기 분류의 충돌 속도를 감쇠시키지 않아, 효율적인 물방울 제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세정수 부착 범위(A)라는 것은, 세정수 분출수단으로부터 분출되어 인 체 세정용 물이 분출하는 세기로 퍼지거나, 옮겨져 흘러 둔부 표면이 젖어 퍼지는범위를 말하고, 피 건조면이라는 것은 세정수 부착 범위와 동등하거나, 그것보다도 넓은 범위를 피 건조면으로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피 건조면 외주부로부터 공기를 분출시킴으로써, 피 건조면의 외측으로 물방울이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분사 노즐(20)의 방향을 변화시키지 않고, 항상 수직 방향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효율좋게 건조를 행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동수단(52)을 노즐의 전후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1 이동수단으로서의 진퇴 구동수단(71)에 더하여, 이 진퇴 구동수단(71)에 의한 구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략 직선 운동하도록 구동하는 제2 이동수단으로서의 수평 구동수단(71R)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7은 건조장치(50)에서의 구동수단(52)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진퇴 구동수단(71)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설명을 생략하는데, 동일 장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였다.
도 17에 나타낸 구동수단(52)은 건조 노즐(20), 건조 노즐(20)로부터의 공기 분류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진퇴 구동수단(71), 진퇴 구동수단(71)의 구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략 직선 운동하도록 구동하는 제2 이동수단으로서의 수평 구동수단(71R), 이들 진퇴 구동수단(71) 및 수평 구동수단(71R)을 지지 하는 베이스(55R)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구동수단(52)은 이동수단으로서, 건조 노즐(20)로부터 분사하는 가압 공기의 피 건조면에 대한 접촉 범위를 피 건조면의 전면에 걸쳐 쓸어내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건조 노즐(20)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통 형상을 이루고, 선단 근방의 원통 주방향으로 공기 노즐구멍(21)과 세정수 노즐구멍(22)이 설치되고, 내부에 가압 공기를 공기 노즐구멍(21)으로 유도하는 공기 공동(미도시)과 세정수를 세정수 노즐구멍(22)으로 유도하는 수용 공동(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즉, 이 건조 노즐(20)은 세정 노즐부를 겸하여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55R)는 상면에 앞으로 경사져 구성한 레일부(56)를 따라 수평 구동수단(71R)을 경사시켜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수평 구동수단(71R)에 설치된 수평 구동용 레일(56R) 상을 슬라이드 운동함으로써, 건조 노즐을 수평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55R) 상면에는 레일부(56)를 따라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더(58)를 구비하고, 수평 구동수단(71R)은 슬라이더(58)에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더(58)의 동작에 맞춰 수평 구동수단(71R)은 레일부(56)을 따라 구동된다. 한편, 수평 구동수단(71R)에 설치된 수평 구동용 레일(56R) 상을 슬라이더(58R)로 슬라이드 운동함으로써, 건조 노즐(20)은 진퇴 구동에 더하여 수평 이동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이동수단으로서의 진퇴 구동수단(71)은 전후 구동 모터(53)와 슬라이더(58)와 나사부(59)에 의해 구성되고, 제2 이동수단으로서의 수평 구동수단(71R)은 슬라이더(58)에 장착되어 슬라이더(58)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 고, 수평 구동 모터(53R)는 베이스(55R)의 중간부에 배치되고 레일부(56)에 직행하도록 배치한 레일(56R) 상을 슬라이더(58R)가 수평 이동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나사부(59)는 슬라이더(58)의 너트부(60)에 세팅되고, 나사부(59)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더(58)가 레일부(56) 상을 슬라이드 운동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슬라이더(58R)의 너트부(60R)에 세팅되고, 수평 구동 모터(53R)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더(58R)가 레일부(56R) 상을 구동한다. 따라서, 전후 구동 모터(53), 수평 구동 모터(53R)의 회전에 맞춰 슬라이더(58, 58R)에 유지된 건조 노즐(20)이 전후로 진퇴 구동됨과 함께 수평 구동된다. 여기서 앞 방향이라는 것은 도 17의 A방향을 나타내고, 뒷방향이라는 것은 B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앞 방향은 변기 시트(400)에 앉은 용변자의 전면 방향에 대응하고, 뒷 방향은 용변자의 배면 방향에 대응한다. 또한 수평 방향이라는 것은 C', D'를 잇는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종횡 직선 구동이 가능해진다.
(제7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 구조의 변형예로서, 제2 이동수단이, 상기 공기 분출부로부터 분출하는 분류의 분출 방향을 요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동수단(52)을,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의 전후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1 이동수단으로서의 진퇴 구동수단(71)에 더하여, 제2 이동수단으로서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를 이용한 자려 발진의 유체 소자(121)를 설치하고, 이 유체 소자(121)에 의해, 공기 분류를 횡방향으로 이 동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18은 요부 사시도이고, 도 19는 공기 분출구멍(121C)을 포함하는 단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 진퇴 구동수단(71)의 구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려 발진의 유체 소자(121)에 의해, 공기의 분출 방향이 R, S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구동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8은 건조장치(50)에서의 구동수단(52)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진퇴 구동수단(71)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진퇴 방향 A, B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생략하는데, 동일 장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였다.
이 유체 소자는 노즐(120)의 내부에 형성되어 가압 공기를 공기 공동(123)에서 반송함과 함께, 이 공기 공동(123)의 선단 근방에 이 공기 공동(123)에 연통하는 단면 부채 형상의 공기 분사구멍(121C)과, 이 공기 공동(123)의 근방으로부터 상기 공기 분사구멍(121C)의 개구부 근방으로 개구하도록 공기 분사구멍(121C)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된 가는 제1 및 제2 피드백 구멍(121A, 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유체 소자에서는, 공기 공동(123)으로부터 공기 분사구멍(121C)으로 분출되는 분류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공기 분사구멍(121C)을 구성하는 벽면(120A 또는 120B)에 부착하려고 한다. 그리고 벽면(120A)에 부착한 분류는 피드백 구멍(121A)으로부터의 흐름에 의해 벽면(120A)으로부터 박리하여 벽면(120B)에 부착한다.
한편, 벽면(120B)에 부착한 분류는 피드백 구멍(121B)으로부터의 흐름에 의해 벽면(120B)으로부터 박리하여 다시 벽면(120A)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분류는 벽면(120A, 120B) 사이를 자려 발진한다.
이 유체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구동원을 별도 설치하지 않고, 자려 발진에 의해 공기의 분출 방향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 유체 소자를 제2 이동수단으로서 이용했으나, 상기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분사구멍에 이 유체 소자를 부가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보다 효율좋게 건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8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위생세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에 부착한 물방울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정 종료 후, 노즐에 물방울이 부착한 채로 건조 공정으로 들어가면, 노즐에 부착한 물방울이 공기 분사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와 함께 날려,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에 부착한 물방울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위생세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a는 본체 케이스(50C)에 수납된 건조장치(50)의 개요도, 도 20b는 그 노즐 건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세정이 종료되면, 노즐(20)은 도 2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 수납 포지션으로 들어간다.
이때, 노즐이 노즐 수납 케이스(21C)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공기 분출구멍(21)으로부터 공기를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분출된 공기는 노즐 수납 케 이스(21C)와 셔터(90)에서 반사되고, 노즐 외주에 부착한 물방울을 날려, 노즐 표면을 건조한다.
이와 같이 하여 노즐 건조가 완료하면, 셔터(90)가 열리고, 건조된 노즐이 노즐 수납 케이스(21C)로부터 진출하여, 피 건조면의 근방에서 진퇴 운동을 행함으로써 건조 공정으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하여 효율좋게 건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노즐 건조는 인체 세정 후뿐만 아니라, 노즐 클리닝 후의 물방울 제거시에도 유효하다.
예를 들면, 사람이 화장실로부터 퇴실하여 인체 검지 수단 등에 의한 인체 검지가 되지 않게 되면, 세정 노즐의 노즐 클리닝용의 클리닝 노즐로 노즐 클리닝용의 수로에 클리닝 물이 통수된다. 그러면, 차폐 수단인 셔터(90)가 변기를 향하는 방향을 차폐하고, 또한 클리닝용 물이 변기 내로 바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 세정수가 노즐 주위의 오염을 흘려 제거한다. 노즐(20)의 주위를 클리닝 한 물은, 셔터(90)의 절곡부의 단부에서 개구부로부터 오염과 함께 변기 내로 떨어지므로, 문제가 없다. 또한, 이 노즐 클리닝의 동작은, 세정 노즐을 사용한 후에도 반드시 행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고, 이 경우에는 배변 후에도 마찬가지로, 배변시에 비산한 오수나 오물이 부착했을 시에도 효과적인 클리닝이 가능해진다.
또한, 차폐 수단인 셔터(90)의 노즐(20)에 대향하는 면에, 세정수나 클리닝 수가 통수하도록, 유로가 되는 홈 또는 물이 전달되는 리브를 설치해 두면, 클리닝 수가 노즐의 주위로 효율좋게 돌아 들어가도록 클리닝 수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서는, 세정용과 건조용을 1개의 노즐로 구성한 것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세정용 노즐과 건조용 노즐을 별도 설치해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위생세정장치는, 적은 공기량으로도 효율좋게 물방울을 날려 건조하므로, 위생세정장치뿐만 아니라, 샤워나 손씻음 등으로 젖은 신체의 건조에도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정기나 세차기, 부품 세정기 등의 세정기에서의 물방울 제거나 건조의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3)

  1. 피 건조면보다 상기 피 건조면과의 접촉 범위가 좁은 가압 공기의 분류(噴流)로 상기 피 건조면을 건조하도록 가압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출부; 및
    상기 공기 분출부로부터 분사되는 분류가 피 건조면의 대략 전면(全面)을 순차적으로 쓸어내도록 분류를 분사하면서 상기 공기 분출부를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공기 분출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분류의 분출 방향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공기 분출부를 이동하는 제1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공기 분출부를 이동하는 제2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수단은 상기 공기 분출부의 진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수단은 상기 분류의 분출 방향을 편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2 이동수단은 분류의 분출 방향을 유지한 상태로 제1 이동수단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제2 이동수단은 상기 공기 분출부를 회전 운동하여 분류를 편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제2 이동수단은 상기 공기 분출부로부터 분출하는 분류의 분출 방향을 요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이동수단에 의한 이동 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공기 분출부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수단은 상기 공기 분출부를 원호 형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출부는 선단 근방에 공기 분사구멍을 구비한 봉 형상체이고,
    상기 제1 이동수단의 이동 방향은 상기 봉 형상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피 건조면에 부착하는 물방울을 공기 분출부로부터 분출되는 분류에 의해 피 건조면의 중심부에 모으면서 날리도록 상기 공기 분출부로부터의 분류를 쓸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공기 분출부를 일정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주기 이동과 상기 주기 이동을 소정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점진 운동을 포함하고, 분류의 접촉 범위를 피 건조면의 대략 전면에 걸쳐 쓸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피 건조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대략 접선상을 주기 이동시키면서, 피 건조면의 외주로부터 피 건조면의 대략 중심을 향해 상기 공기 분출부를 점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수단은 점진 이동으로 하고, 상기 제2 이동수단은 주기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수단은 주기 이동으로 하고, 상기 제2 이동수단은 점진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주기 이동의 방향을 피 건조면의 좌우 방향으로 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전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대략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후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대략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2 단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단계와 상기 제2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주기 이동의 방향을 피 건조면의 전후 방향으로 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좌우 어느 일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대략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좌우의 타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대략 중 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2 단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단계와 상기 제2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7.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주기 이동의 방향을 피 건조면의 좌우 방향으로 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전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대략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1 단계, 상기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후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대략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2 단계, 이동수단의 주기 이동의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좌우 어느 일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대략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피 건조면의 중심보다 좌우의 타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대략 중심을 향해 점진 이동하는 제4 단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단계로부터 제4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분류의 접촉 범위를 피 건조면의 주변부로부터 주회(周回)하면서 중심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피 건조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대략 접선으로 구성하는 다각형 위를 주회하면서 피 건조면의 중앙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피 건조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주상을 주회하면서 피 건조면의 중심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21.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수단을 건조 공정의 최후에 주기 이동을 시키면서 피 건조면의 일단으로부터 중심을 통해 타단까지 점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2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분출하는 온풍 분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2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조장치와 착좌 가능한 변기 시트부와 피 세정면을 향해 세정수를 분출하는 세정수 분출수단을 구비한 위생세정장치.
KR1020087029135A 2006-05-31 2007-05-30 건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위생세정장치 KR101304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51214 2006-05-31
JPJP-P-2006-151215 2006-05-31
JPJP-P-2006-151214 2006-05-31
JP2006151215 2006-05-31
PCT/JP2007/061021 WO2007139163A1 (ja) 2006-05-31 2007-05-30 乾燥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685A true KR20090024685A (ko) 2009-03-09
KR101304487B1 KR101304487B1 (ko) 2013-09-05

Family

ID=3877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135A KR101304487B1 (ko) 2006-05-31 2007-05-30 건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위생세정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313752A1 (ko)
EP (1) EP2022901B1 (ko)
JP (1) JP5451068B2 (ko)
KR (1) KR101304487B1 (ko)
CN (1) CN101460684B (ko)
ES (1) ES2845598T3 (ko)
WO (1) WO200713916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266Y1 (ko) * 2010-10-15 2013-02-0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좌우 세정이 가능한 비데 장치
KR20190124944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건조 기능을 가지는 노즐 어셈블리
KR20200086441A (ko) * 2019-01-09 2020-07-17 신재원 건조 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비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4451B2 (ja) * 2008-03-25 2012-1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WO2010001626A1 (ja) * 2008-07-03 2010-01-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乾燥機構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US20100050462A1 (en) * 2008-08-29 2010-03-04 Joseph Francis Attonito Body exsiccation chamber
JP5272643B2 (ja) * 2008-10-22 2013-08-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5446367B2 (ja) * 2009-03-26 2014-03-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5446590B2 (ja) * 2009-08-24 2014-03-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N102061735B (zh) * 2009-11-17 2015-08-19 上海科勒电子科技有限公司 喷射构件组件
JP5278342B2 (ja) * 2010-01-27 2013-09-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WO2012044086A2 (en) * 2010-09-30 2012-04-05 Woongjin Coway Co., Ltd Nozzle posi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bidet including the same
CN102767222B (zh) * 2012-06-29 2014-07-23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温水便座装置喷嘴组件及其清洁方法及温水便座装置
CN104420524B (zh) * 2013-08-23 2017-12-19 厦门优胜卫厨科技有限公司 一种可左右摆动的卫生功能装置
US20180036473A1 (en) * 2015-08-06 2018-02-08 Whole Bath, LLC. Remote-Controlled Medicine Delivery System
JP6774618B2 (ja) * 2016-03-28 2020-10-2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718591B2 (ja) * 2016-03-28 2020-07-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718590B2 (ja) * 2016-03-28 2020-07-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WO2017193113A1 (en) 2016-05-06 2017-11-09 Whole Bath, Llc A seat and cover system with medicine units
US10869583B2 (en) 2016-07-16 2020-12-22 Whole Bath, Llc Wash, clean and dry system with removable spray canister device
EP3542005A4 (en) * 2016-05-06 2020-11-04 Whole Bath, LLC DRUG DISPENSING, WASHING, CLEANING AND AIR DRYING SYSTEM
CA3060680A1 (en) * 2016-05-06 2017-11-09 Whole Bath, Llc A medicine delivery, wash, clean and air dry system
WO2017193111A1 (en) * 2016-05-06 2017-11-09 Whole Bath, Llc A seat and cover system with dynamic spray nozzle
WO2017193112A1 (en) * 2016-05-06 2017-11-09 Whole Bath, Llc Dynamic drying mechanism for a wash and clean system
US11253114B2 (en) 2016-05-06 2022-02-22 Whole Bath, Llc Wash, clean and dry system with removable spray canister device
US10563390B2 (en) 2017-12-19 2020-02-18 Whole Bath, Llc Wash and clean apparatus
US11458260B2 (en) 2016-07-16 2022-10-04 Bemis Manufacturing Company Spray canister device with removable sleeved cover
WO2018031960A1 (en) 2016-08-11 2018-02-15 Whole Bath, Llc A method and a wash system with a built-in cleanser assembly
JP6669995B2 (ja) * 2017-06-02 2020-03-1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US20190186115A1 (en) * 2017-12-19 2019-06-20 The Mountain Group LLC Bariatric Bidet Seat System
CN108487406A (zh) * 2018-03-06 2018-09-04 张英华 暖风自动冲洗坐便器和控制方法及软坐垫的制作方法
ES2724899B2 (es) * 2018-03-12 2020-03-03 Roca Sanitario Sa Sistema de lavado y secado anal y/o perineal para un inodoro con funciones de bide, conducto de salida de agua apto para usar en dicho sistema, y metodo de lavado y secado basado en dicho sistema
KR102223013B1 (ko) * 2018-05-09 2021-03-05 코웨이 주식회사 회전형 건조 노즐을 가진 건조 장치 및 건조 장치가 적용된 비데 장치
CN110063674A (zh) * 2019-03-11 2019-07-30 浙江省立同德医院 一种用于治疗痔疮的坐浴盆
US11242192B2 (en) * 2019-05-30 2022-02-08 Whole Bath, Llc Spray canister device
US11445869B2 (en) 2019-07-15 2022-09-20 Bemis Manufacturing Company Toilet seat assembly
US11739516B2 (en) 2019-07-15 2023-08-29 Bemis Manufacturing Company Toilet seat assembly
CN114763707A (zh) * 2021-01-13 2022-07-19 赵丕君 新型智能马桶
CN115055434A (zh) * 2022-07-05 2022-09-16 德国唯宝股份公司 清洁装置和卫生清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3602A (en) * 1978-08-09 1983-07-19 Smith Judson L Vehicle drying machine and method
JPS58218531A (ja) 1982-06-10 1983-12-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2867818B2 (ja) * 1992-11-09 1999-03-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人体局部乾燥装置およびその制御装置ならびにその装置を用いた衛生洗浄便座
JPH09309414A (ja) * 1996-05-24 1997-12-02 Nissei Build Kogyo Co Ltd 洗車装置
US5937536A (en) * 1997-10-06 1999-08-17 Pharmacopeia, Inc. Rapid drying oven for providing rapid drying of multiple samples
JP3799850B2 (ja) * 1998-12-24 2006-07-19 東陶機器株式会社 空気ノズル装置
AUPQ410599A0 (en) * 1999-11-17 1999-12-09 Colivier Pty Ltd Toilet seat having a cleansing facility
JP2002309653A (ja) * 2001-04-11 2002-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乾燥機能付き洗浄便座
JP2004270136A (ja) 2003-03-04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生洗浄装置
KR200347203Y1 (ko) 2004-01-17 2004-04-08 동양매직 주식회사 위생세정기의 건조장치
US7484251B2 (en) * 2004-05-18 2009-02-03 Lin Yi Huang Lavatory jet assembly
JP2007205141A (ja) 2006-02-06 2007-08-16 Aisin Seiki Co Ltd 局部温風乾燥装置
KR20090126859A (ko) * 2008-06-05 2009-12-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이동가능한 건조부를 구비한 비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266Y1 (ko) * 2010-10-15 2013-02-0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좌우 세정이 가능한 비데 장치
KR20190124944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건조 기능을 가지는 노즐 어셈블리
KR20200086441A (ko) * 2019-01-09 2020-07-17 신재원 건조 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비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39163A1 (ja) 2007-12-06
JPWO2007139163A1 (ja) 2009-10-08
US20090313752A1 (en) 2009-12-24
CN101460684B (zh) 2011-08-17
CN101460684A (zh) 2009-06-17
JP5451068B2 (ja) 2014-03-26
EP2022901A4 (en) 2014-12-31
EP2022901B1 (en) 2020-11-11
KR101304487B1 (ko) 2013-09-05
EP2022901A1 (en) 2009-02-11
ES2845598T3 (es)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487B1 (ko) 건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위생세정장치
KR20120140680A (ko) 식기 세척기
JP2008073131A (ja) 食器洗い機
JP5446590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0121339A (ja) 衛生洗浄装置
JP2010229639A (ja) 衛生洗浄装置
KR101866983B1 (ko)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변좌와 비데
TWI406648B (zh) Tableware cleaning machine
JP5446367B2 (ja) 衛生洗浄装置
JP4591540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4591542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H1057294A (ja) 気液噴射機
KR20180014601A (ko)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JP2005177130A (ja) 手乾燥装置
KR20160128527A (ko) 온수세정기의 노즐어셈블리 회전 제어방법
JP2010261203A (ja) 衛生洗浄装置
JP2006116361A (ja) 食器洗い機
JP5272643B2 (ja) 衛生洗浄装置
JP5104451B2 (ja) 衛生洗浄装置
JPH0248691B2 (ko)
JP2012213542A (ja) 食器洗い乾燥機
JP2011153447A (ja) 衛生洗浄装置
KR102397930B1 (ko) 회전형 노즐어셈블리의 급수장치 및 그 급수방법
KR20100074432A (ko) 좌변기용 비데
KR20230053891A (ko) 비데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