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3294A -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3294A
KR20090023294A KR1020080085276A KR20080085276A KR20090023294A KR 20090023294 A KR20090023294 A KR 20090023294A KR 1020080085276 A KR1020080085276 A KR 1020080085276A KR 20080085276 A KR20080085276 A KR 20080085276A KR 20090023294 A KR20090023294 A KR 20090023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using
electrical
drive
linear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아스 핑크바이너
위르겐 귀켈
Original Assignee
페스토 악티엔 게젤샤프트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스토 악티엔 게젤샤프트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페스토 악티엔 게젤샤프트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90023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near Mo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1) 가 하우징 튜브 (4) 및 그 하우징 튜브의 양단부에 배치된 2 개의 하우징 커버 (7, 8) 로 이루어진 외부 하우징 (2) 을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 (2) 은 그 내부에 수용 공간 (13) 을 규정하고, 이 공간에, 카트리지와 같은 전기역학적 리니어 직접 구동 형태의 구동 유닛 (15) 의 구동부 (14) 가 위치되고, 출력 구동 로드 (16) 가 전방 하우징 커버 (7) 를 통해 외측으로 연장된다. 구동 유닛 (15) 의 구동 코일 배치 (25) 로부터, 전기 작동 케이블 (27) 이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까지 연장된다.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이 하우징 튜브 (4) 상에 나란히 배치되고, 작동 케이블 (27) 및 신호 케이블 (37) 이 하우징 튜브 (4) 의 벽 (22) 에 형성된 케이블 채널 (47) 내에서 연장된다.
Figure P1020080085276
리니어 구동 장치

Description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AN ELECTRICAL LINEAR DRIVE DEVICE}
본 발명은, 외부 하우징, 아마추어와 출력 구동 로드를 포함하는 가동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축선방향 위치의 검출을 위한 위치 검출 수단, 및 외부 전기 소통을 위해 구동 코일 배치 및 위치 검출 수단에 연결된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로서, 외부 하우징에는, 전기역학적 리니어 직접 구동 형태로 설계된 구동 유닛의 구동부가 카트리지와 같이 축선방향으로 삽입되어, 구동 유닛의 출력 구동 로드가 외부 하우징의 전방 측으로부터 돌출하고, 구동부가 고정 구동 코일 배치 및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아마추어를 수용하는 외부 구동 하우징을 갖고, 이 가동 아마추어는 출력 구동 로드에 연결되고 구동 자석 배치를 갖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유럽특허공보 EP 1047881 에 개시된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전기역학적 리니어 직접 구동의 형태의 구동 유닛의 구동부가 후방 측으로부터 외부 하우징 내에 삽입된다. 그러한 구동 유닛은 특히 외부 부착을 위한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외부 하우징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리니어 직접 구동의 구동 하우징으로 불리는 하우징의 내부에는, 클록 (clocked) 방식으로 여자 전압이 공급될 수 있는 구동 코일 배치 및 이 구동 코일 배치에 대해 선형으로 이동될 수 있고 아마추어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영구 자석 구동 배치가 존재하며, 운동 에너지를 외부로 출력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 로드가 아마추어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아마추어와 구동 로드를 포함하는 이동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축선방향 위치의 검출을 위해, 리니어 직접 구동에 위치 검출 수단이 제공된다. 구동 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된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선형 이동을 만드는데 필요한 엑추에이팅 에너지의 공급 및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생성된 검출 신호의 출력을 가능하게 한다.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의 이러한 후방 배치는 설치 지점에서 종종 리니어 구동 장치의 설치를 방해한다. 더욱이, 단부에 있는 구동부가 출력 하우징에서 다소 노출되어, 먼지가 붙거나 다른 종류의 물리적 손상을 받기 쉽다.
독일특허공보 DE 10244261 B1 에는, 원리적으로 상기한 리니어 구동 장치와 함께 사용되기에 적합한 전기역학적 리니어 직접 구동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출력 하우징에의 수용이 명백히 제공되지 않았다.
유럽특허공보 EP 0985831 A2 에는, 유체 동력 리니어 구동과 함께, 하우징 튜브의 측벽에서의 검출 신호의 출력에 기여하는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의 수용이 기재되어 있다. 리니어 구동의 하우징 튜브의 벽의 내부에 있는 튜브 채널에는 인쇄 회로 기판이 놓이고, 이 기판은 한편으로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 동일한 튜브 채널에 수용되어 있다. 이 경우, 유체 동력 리니어 구동은 상기한 독일특허공보 DE 10244261 B4 의 리니어 직접 구동과 같이 자기 함 유 (self-contained) 구동이며, 이는 부가적인 출력 하우징 내에 위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처음에 언급한 유형의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를 위한 조치로서, 물리적 손상에 대한 충분한 보호 및 최적화된 전기적 소통 특성을 제공하면서 사용 장소에서의 설치에 도움이 되는 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리니어 구동 장치의 외부 하우징은 하우징 튜브 및 그 하우징 튜브의 양단부에 배치된 전방 하우징 커버와 후방 하우징 커버를 갖고, 두 하우징 커버는 구동부를 완전히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함께 한정하고, 출력 구동 로드가 전방 하우징 커버를 통해 연장되고,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이 두 하우징 커버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하우징 튜브 상에 나란히 배치되고,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작동 케이블에 의해 구동 코일 배치에 그리고 그 작동 케이블과는 별개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케이블에 의해 위치 검출 수단에 연결되며, 이들 전기 케이블은, 하우징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우징 튜브의 벽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채널 내에서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케이블 채널은 주위로부터 폐쇄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차폐된 방식으로 외부 하우징의 수용 공간에의 구동부의 수용은 물리적 손상에 대한 신뢰가능한 보호를 제공하는데 기여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향한 하우징 튜브의 벽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채널 내에서 연장된 전기 케이블이 보호된다.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 단은 하우징 튜브 상에 나란히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 하우징의 단부 측면이 조립 작업에 자유롭고, 특히 외부 하우징의 양단부 측면 중 일방을 지나 돌출하지 않도록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위치시킬 수 있다. 하우징 튜브의 제조 동안에도,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의 설치를 위한 조립 위치가 특히 하우징 벽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채널까지 관통하는 관통 구멍 형태로 준비되도록 상황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개별 전기 케이블은,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에서 시작하여, 구동 코일 배치와 위치 검출 수단으로 이어지고, 이러한 배치로 아주 실질적인 높은 코일 전류의 간섭장이 센서 신호를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케이블을 위한 어떠한 복잡한 차폐 조치없이도, 고도의 정밀도를 갖는 신뢰가능한 방식의 작동을 달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하우징 튜브와 2 개의 하우징 커버로 이루어진 외부 하우징으로 인해, 유체 작동식 리니어 장치의 경우의 부착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물리적 부착 인터페이스를 가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특히, 유체 동력 리니어 장치의 경우에 존재하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실현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조절 장치의 재배치 없이 유체 작동식 리니어 구동 대신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를 설치할 가능성을 열어둔다. 그 결과, 기계 시스템은 전기 구동 기술에 있어 매우 간단히 개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태양은 독립 청구항에 규정되어 있다.
전방 하우징 커버에서 출력 구동 로드가 가로방향으로 동시에 지지되면서 선형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안내되면,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한 길이부가 구동부의 부품에 물리적으로 과부하가 걸리지 않으면서 실질적인 가로방향 힘을 견딜 수 있 다.
하우징 튜브에 삽입되는 하우징 커버가 양단부에 고정된 2 개의 하우징 커버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방식으로 유지되면, 선형 구동 장치는 특히 간단히 조립될 수 있다. 그러면, 부가적인 부착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주에 구동부를 위한 반경방향 그립핑 (gripping) 수단이 가능하다. 구동부는 어느 경우에나 단순한 리니어 플러깅 (plugging) 작업의 일부로서 하우징 튜브에 삽입될 수 있다.
전기 케이블이 하우징 커버 중 일방 또는 쌍방을 통해 외부 하우징에 삽입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하우징 튜브의 벽에 있는 대응하는 가로방향 채널이 불필요하다. 내부에 정렬된 채널을 위해 다른 사후 트리밍 (later trimming) 처리 없이, 하우징 튜브를 주문에 따라 요구되는 임의의 길이로 트리밍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채널은 적어도 하우징 튜브의 일 단부 측면에서 개방되고, 그곳에서부터 인접 하우징 커버의 리세스 내로 형성되어, 관련되는 전기 케이블이 케이블 채널 밖으로 나와 인접 리세스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작동 케이블 및 적어도 하나의 신호 케이블이 하우징 튜브의 반대편 단부 측면으로부터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까지 연장되는 배치가 더욱 특히 유리하다. 이는 이들 케이블의 축선방향 중첩을 회피하고 전기적 간섭으로 인한 상호 손상을 특히 효과적인 방식으로 방지한다.
이와 관련하여, 전체 길이에서 하우징 튜브를 통해 연장되고 양 단부 측면에 서 개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채널이 존재할 수 있고, 가까운 측과 먼 측에서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의 조립 위치에 인접하는 두 채널부 중 한 채널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케이블이 연장되고 다른 채널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케이블이 연장된다.
구동부는, 바람직하게는, 작동 케이블이 후방 측으로부터 인접한 후방 하우징 커버를 통해 연장되어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의 하우징 튜브의 케이블 채널에 들어가도록 설계된다. 동시에, 위치 검출 수단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케이블이 인접한 케이블 채널 내 하우징 커버에서 시작하는 전방 하우징 커버로부터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 신호 케이블은 특히 리니어 구동 장치의 내부에 위치되는 신호 케이블의 변위 측정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접촉 없이 출력 구동 로드와 협동하는 변위 측정 시스템의 센서부가 바람직하게는 전방 하우징 커버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신호 케이블에 의해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연결된다. 특히, 이는 증분 변위 측정 시스템이다.
증분 변위 측정 시스템과 관련하여, 영점 (zero point) 을 찾기 위해 위치 검출 수단이 기준 센서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이 기준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후방 하우징 커버에 설치되고, 아마추어의 후방에 배치된 엑추에이팅 영구 자석에 의해 활성화된다. 아마추어의 선형 운동 동안, 엑추에이팅 자석이 아마추어를 동축으로 둘러싸는 구동 코일 배치를 통해 그에 따라 이동하고, 이는 놀랍게도 어떠한 기능적 손상을 수반하지 않음이 발견되었다.
기준 센서로부터 연장된 신호 케이블이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까지 보호 되는 방식으로 외부 하우징 내부에 연장된다. 이와 관련하여, 신호 케이블은 후방 하우징 커버를 통해 그리고 하우징 튜브의 벽에 형성된 케이블 채널을 통해 연장되고, 기준 센서가 변위 측정 시스템에서 단지 영점 결정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하우징 튜브의 하나의 동일한 케이블 채널에서 신호 케이블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케이블을 따라 신호 케이블이 조금 더 멀리 연장될 수 있다.
기준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후방 하우징 커버의 외주에 있는 부착 홈에 고정되고, 그의 신호 케이블이 후방 하우징 커버에서 부착 홈으로 개방된 케이블 통과 채널 내에 연장된다.
외부 수단과의 전기 접속이 간섭장으로 인한 어떠한 상호 손상을 수반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바람직하게는 2 개의 개별 케이블 출구 수단이 제공되고, 이 수단으로부터 개별 접속 케이블 또는 리드 (lead) 가 연장될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케이블에 할당되고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케이블에 할당된다.
전기역학적 리니어 직접 구동이 실질적으로 과열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하우징 튜브의 외주에 축선방향으로 연장된 냉각 리브가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마지막으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커버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두 하우징 커버에 부착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며, 이는 리니어 구동 장치의 외부 부착 및/또는 부가 부품의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1) 는 길이방향으로 길이방향 축선 (3) 을 갖는 외부 하우징 (2) 을 갖는다. 외부 하우징 (2) 은 기다란 하우징 튜브 (4), 하우징 튜브의 전방 단부면 (5) 에 설치된 전방 하우징 커버 (7), 및 하우징 튜브 (4) 의 후방 단부면 (6) 에 있는 후방 하우징 커버 (8) 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 커버 (7, 8) 는 축선방향 부착 스크루 (9) 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하우징 튜브 (4) 에 탈착가능한 방식으로 조여진다.
하우징 튜브 (4) 및 2 개의 하우징 커버 (7, 8) 는 본질적으로 원통형 윤곽을 갖는 수용 공간 (13) 을 함께 규정한다. 이 공간 내에는, 전기적 구동 유닛 (15) 으로서 전기역학적 리니어 구동의 카트리지형 구동부 (14) 가 존재한다. 전방 단부측에서 구동부 (14) 로부터 돌출해 있는 구동 유닛 (15) 의 출력 구동 로드 (16) 가 전방 하우징 커버에서 동축 개구 (17) 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리니어 구동 장치 (1) 의 조립 동안, 후방 하우징 커버 (8) 의 부착 전에, 구동 유닛 (15) 은, 하우징 튜브 (4) 의 자유롭게 접근가능한 내부 공간 (18) 내로, 출력 구동 로드와 함께 후방 단부로부터 축선방향으로 전방부에 플러깅될 수 있다.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구동부 (14) 는 수용 공간 (13) 내에서 축선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도록 두 하우징 커버 (7, 8) 에 의해 지지된다. 하우징 튜브 (4) 내에서, 구동부 (14) 가 튜브의 내부 공간 (18) 을 둘러싸는 벽 (22) 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고 중심맞춤된다. 이를 실현하는 가장 간단한 방식은 구동부 (14) 의 외주와 수용 공간 (13) 의 내주의 상보적인 구성을 갖는 것이다. 그러한 구성은, 수용 공간 (13) 의 내부에 다른 부착 수단 없이 삽입 작업에 의 해 구동부 (14) 가 반경방향으로 제자리에 고정되도록, 잘 조화될 수 있다.
구동부 (14) 는 외부 하우징 (2) 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 구동 유닛 (15) 중, 단지 출력 구동 로드 (16) 만이 외부 하우징 (2) 으로부터 연장되고, 그의 외부 단부는 이동되어야 하는 하중 (load) 이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 (23) 의 형태이다.
구동부 (14) 는 관형 벽부 (24a) 에 외부 구동 하우징 (24) 을 가지며, 이는 상기 공간 (18) 의 보어면 (bore face) 과 결합한다. 상기 공간은, 일반적으로 슬리브형이고 구동 하우징 (24) 내에 고정되어 배치되며 동축방향으로 연속된 여러 개의 개별 코일 (26) 로 이루어진 구동 코일 배치 (25) 를 위한 자기 요크 (magnetic yoke) 를 구성한다. 구동 코일 배치 (25) 는 튜브 벽부 (24a) 의 전체 축선방향 길이를 따라 또는 (도시된 것처럼) 단지 일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작동 케이블 (27) 로 불리는 전기 케이블이 구동 코일 배치 (25) 로부터 연장되고, 그 케이블을 통해, 클록 여자 전압의 형태의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하는 자장이 형성되고, 이는 길이방향 축선 (3) 의 방향으로 구동 하우징 (24) 내에서 선형으로 이동하는 아마추어 또는 러너 (32) 의 부품인 영구자석 구동 배치 (28) 와 협동작용한다. 구동 자석 배치 (28) 가 동축으로 연결된 여러 개의 개별 환형 자석 (33)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환형 자석은 일체로 되어 있거나 분할되어 있다. 그러나, 예컨대 디스크형 구성과 같은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자석 링의 경우, 내부에 대개 철심이 놓이고, 자석 디스크의 경우, 인접한 자석 디스크들 사이에 자극편으로서 철제 디스크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단지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장 (field) 부분이 힘 생성에 기여하므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최대 강도의 자장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한 출력 구동 로드 (16) 가 내부 단부에서 아마추어 (32) 에 부착되어, 그와 함께 가동 유닛 (35) 을 구성하며, 이 가동 유닛은 길이방향 축선 (3) 의 방향에서 이중 화살표로 표시된 리니어 작동 이동 (34) 을 행하도록 구동 코일 배치 (25) 와 구동 자석 배치 (28) 에 의한 상호작용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출력 구동 로드 (16) 는, 가로방향 지지 작용을 동시에 받으면서, 전방 하우징 커버 (7) 내에서 선형 이동 동안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리니어 구동 로드는 전방 하우징 커버 (7) 에 삽입되고 출력 구동 로드 (16) 를 둘러싸는 가이드 부싱 (21) 에 의해 보장된다. 따라서 부착부 (23) 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한 가로방향 힘이 아마추어 (32) 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아마추어 (32) 와 구동부 (14) 의 고정 부품 사이의 마모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작동 이동 (34) 동안, 아마추어 (32) 는 항상 완전히 구동 하우징 (24) 내에 구동 코일 배치 (25) 를 갖는다. 스크로크 위치의 두 단부를 규정하기 위해, 전방 말단 부재 (24b) 와 후방 말단 부재 (24c) 가 관형 벽부 (24a) 의 단부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작동 실시형태에서, 후방 말단 부재 (24c) 가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스크로크 제한 기능을 갖지 않는다.
리니어 구동 장치 (1) 의 위치 검출 수단 (36) 은 아마추어 (32) 와 출력 구동 로드 (16) 로 이루어진 가동 유닛 (35) 의 적어도 하나의 축선방향 위치의 검출 을 가능하게 한다. 위치 검출 수단 (36) 에 의해 생성되는 검출 신호는 전기 케이블, 현재의 경우 제 1 전기 신호 케이블 (37) 과 제 2 전기 신호 케이블 (38) 에 의해 출력으로서 전달된다.
작동 케이블 (27) 과 위치 검출 수단 (36) 으로부터 나오는 두 전기 신호 케이블 (37, 38) 은 독립적인 서로 분리된 전기 케이블이고, 외부 하우징 (2) 상에 외부에 배치된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까지 서로 독립적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중앙"은, 전기적 외부 주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전기적 연결 케이블 (43, 44) 이 리니어 구동 장치 (1) 의 국부적으로 제한된 부분에서 연결될 수 있도록 모든 전기 케이블 (27, 37, 38) 이 함께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리니어 구동 장치 (1) 내에 형성된 전기 케이블의 개수는 본 작동 예에서의 개수와 상이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단심 또는 다심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이 두 하우징 커버 (7, 8)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하우징 튜브 (4) 의 외측에 나란히 배치된다. 따라서, 두 하우징 커버 (7, 8) 의 축선방향에서 외측으로 할당된 단부면이 부착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부착 인터페이스 (45) 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함으로써 리니어 구동 장치 (1) 가 이를 위해 제공된 홀딩 구조부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 커버 (7, 8) 의 외부 구성을, 특히 내부에 표준 인터페이스가 사용된 유체 동력 리니어 드라이브의 형상에 어울리도록 형성할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전기적 리니어 구 동 장치 (1) 가 아무런 문제 없이 유체 구동되는 리니어 장치 대신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이 축선방향으로 외부 하우징 (2) 보다 더 연장되지 않도록 배치 및 정렬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이 외부 하우징 (2) 의 말단 부착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다른 인자이다.
하우징 튜브 (4) 의 벽 (22) 은,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 축선 (3) 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주위로의 향상된 열 전달에 기여하는 여러 개의 냉각 리브 (46) 를 갖는 외부면을 갖는다. 이 냉각 리브는, 나타낸 작동 실시형태에서, 하우징 튜브 (4) 의 서로 반대편 외부면에 쌍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특히 정사각형 윤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된 하우징 튜브 (4) 의 일체형 부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코일 배치 (25) 로부터 그리고 위치 검출 수단 (36) 으로부터 연장된 전기 케이블 (27, 37, 38) 은 외부로부터 차단된 방식으로 외부 하우징 (2) 의 내부에서 연장되고, 하우징 튜브 (4) 의 벽 (22)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채널 (47) 을 따라 연장된다. 케이블 채널 (47) 이 주위에서 완성되고, 길이방향 축선 (3) 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하우징 튜브 (4) 의 압출의 경우, 제 위치에 일체로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이 주위로부터 차단되고 손상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케이블을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1) 내에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까지 위치시킬 수 있다.
작동 예는 모든 전기 케이블 (27, 37, 38) 을 위한 케이블 채널 (47) 을 가지며, 더욱 구체적으로 이 채널은 하우징 튜브 (4) 에서 사용되는 단 하나의 길이방향 채널이다.
케이블 채널 (47) 은 인접한 하우징 커버 (7, 8) 의 각각의 리세스 (48, 49) 와 병합되도록 두 단부면 (5, 6) 에서 개방되어 있다.
작동 케이블은 후방 하우징 커버 (8) 를 향하는 구동부 (14) 의 후방 단부 (52) 밖으로 연장되어, 후방 하우징 커버의 리세스 (49) 를 통해 연장되고 후방 단부면 (6) 에서 케이블 채널 (47) 로 들어간다. 그곳에서부터 작동 케이블은 케이블 채널 (47) 의 인접한 후방 채널 부분 (47a) 에서,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이 설치되는 하우징 튜브 (4) 의 조립 위치 (53) 까지 연장된다.
제 1 전기 신호 케이블 (37) 은 작동 케이블 (27) 로부터 조립 위치 (53) 까지 축선방향 반대편 측으로부터, 즉 전방 하우징 커버 (7) 에서 시작하여 개별적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제 1 전기 신호 케이블은 조립 위치 (53) 와 하우징 튜브 (4) 의 전방 단부면 (5) 사이에 있는 케이블 채널 (47) 의 채널부 (47b) 내에서 연장된다.
제 1 전기 신호 케이블 (37) 은 전방 하우징 커버 (7) 에 통합되어 있는 위치 검출 수단 (36) 의 센서부 (54) 로부터 연장된다. 센서부 (54) 를 따라, 제 1 전기 신호 케이블 (37) 은 먼저 전방 하우징 커버 (7) 의 리세스 (48) 를 통해 연장된 후, 전방 채널부 (47b) 로 들어간다. 채용되는 센서 기술이 요구하거나 바람직한 것으로 되는 정도까지, 제 1 전기 신호 케이블 (37) 상에 추가로 전자 회 로 (51), 예컨대 전기 회로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전방 채널부 (47b) 에 수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에서 시작하는 작동 케이블 (27) 이 후방 하우징 커버 (8) 까지 연장되는 동안, 제 1 신호 케이블 (37) 은 전방 하우징 커버 (7) 까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중첩 케이블 배치가 회피된다. 따라서, 전기 케이블이 전자기 방사선에 대한 보호물로서 어떠한 차폐 수단을 갖지 않거나 또는 단지 부차적인 차폐 수단을 가질 때에도, 작동 케이블 (27) 주위에 생성되는 전기장은 제 1 전기 신호 케이블 (37) 에 의해 발생하는 검출 신호에 대해 어떠한 불리한 효과를 갖지 않는다.
센서부 (54) 는 바람직하게는 위치 검출 수단 (30) 의 변위 측정 시스템 (55) 의 일 부품이고, 이를 이용하면, 가동 유닛 (35) 의 현재 축선방향 위치가 전체 스트로크를 따라 발견될 수 있다. 작동 실시형태에서, 리조트 (resort) 가 증분 변위 측정 시스템 (55) 에 속하고, 이 경우, 출력 구동 로드 (16) 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자기 스트립 (56) 이 제공되며, 이 자기 스트립은 접촉 없이 센서부 (54) 에 의해 읽히는 자기화된 여러 구역을 갖는다. 이 방법은 그 자체로 알려져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불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자기 스트립 (56) 이 바람직하게는 캡슐 수단에서 도 6 에 나타낸 길이방향 홈 (57) 에 수용되는 것임을 주의해야 한다. 변위 측정 시스템은 특히 유럽특허공보 EP 0695879 B1 의 내용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전기 신호 케이블 (37) 은 변위 측정 시스템 (55) 의 검출 신호를 공급하고,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을 갖는 부분이 배제된 작동 케이블 (27) 이 제 1 전기 신호 케이블 (37) 로부터 개별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연속 측정으로 인한 특별한 이점이다.
두 전기 케이블 (27, 37) 이 하우징 커버에서 시작하여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까지 연장되어야 한다면, 간섭하는 전자기 효과를 회피하기 위해 충분한 가로방향 간격으로 벽 (22) 을 통한 개별 케이블 채널 (47) 에 배치되는 것이 최선이다.
위치 검출 수단 (36) 은, 특히 증분 변위 측정 시스템 (55) 과 함께 설치되는 때, 바람직하게는 가동 유닛 (35) 의 축선방향 위치에만 반응하는 위치 센서 (58) 를 추가로 포함한다. 위치 센서는 증분 변위 측정 시스템 (55) 의 영점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 센서로서 기능한다. 제 2 전기 신호 케이블 (38) 은 이 위치 센서 (58) 로부터 연장되고,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까지 연장되도록 놓인다.
위치 센서 (58) 는 바람직하게는 후방 하우징 커버 (8) 에 배치되고, 작동 예에서 후방 하우징 커버 (8) 의 외주에 위치된 부착 홈 (62), 즉 축선방향으로 내부 수용 공간 (13) 과 중첩되는 부분에 고정된다.
위치 센서 (58) 의 활성화를 위해, 아마추어 (32) 의 후방 측에 엑추에이팅 자석 (63) 이 제공되며, 스트로크 위치의 후방 단부에서 아마추어 (32) 가 반경방향으로 위치 센서 (58) 내에 놓여서, 엑추에이팅 자석이 접촉 없이 위치 센서를 작동시킨다. 이 경우, 위치 센서 (58) 는 예컨대 홀 (Hall) 센서 또는 이른바 리 드 (Reed) 스위치와 같은 자기장 반응 센서이다.
작동 이동 (34) 동안, 엑추에이팅 자석 (63) 은 아마추어 (32) 를 동축으로 둘러싸는 구동 코일 배치 (25) 내에서 이동한다. 판정된 것처럼, 이는 구동 유닛 (15) 또는 엑추에이팅 자석 (63) 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놀랍게도, 구동 코일 배치 (25) 의 자기장 내에서 아마추어 (32) 의 작동 이동 (34) 동안 자기 스트립이 이동함에도 불구하고, 구동 코일 배치의 자기장이 자기 스트립 (56) 의 기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이 발견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엑추에이팅 자석 (63) 이 아마추어 (32) 로부터 거리를 두고 지지 핀 (64) 상에 배치되고, 이 지지 핀은 아마추어 (32) 에 배치되고 또한 아마추어의 후방 측으로부터 동축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동 유닛 (35) 이 스트로크 위치의 후방 단부에 있는 경우, 아마추어 (32) 는 후방 하우징 커버 (8) 의 축선방향 말단 벽 (65) 으로부터 축선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정지할 것이다. 이 경우, 그의 후방 단부 부분은 하우징 튜브 (4) 와 일반적으로 컵 형상인 후방 하우징 커버 (8) 사이의 전이 구역 내에 거의 위치된다. 그러면, 엑추에이팅 자석 (63) 을 지닌 지지 핀 (64) 이 아마추어 (32) 로부터 수용 공간 (13) 의 후방 하우징 커버 (8) 에 의해 둘러싸인 단부 부분 내로 연장된다.
제 2 전기 신호 케이블 (38) 이 물리적 손상으로부터 또한 보호받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제 2 전기 신호 케이블은 외부 하우징 (2) 의 내부에서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을 향해 놓인다. 이를 위해, 후방 하우징 커버 (8) 내에는, 부 착 홈 (62) 과 리세스 (49) 사이에 케이블 수용 채널 (66) 이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제 2 전기 신호 케이블 (38) 은 케이블 수용 채널 (66) 을 통해 위치 센서 (58) 로부터 리세스 (49) 까지, 그리고 나서 후방 채널부 (47a) 내로, 그리고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까지 형성된다.
케이블 수용 채널 (66) 은, 하우징 튜브 (4) 를 향하고 단부면에서 잘린 후방 하우징 커버 (8) 의 홈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 튜브 (4) 의 후방 단부면 (6) 에 의해 덮일 수 있다.
확실히 제 2 전기 신호 케이블 (38) 은 후방 케이블부 (47a) 내에서 작동 케이블 (27) 을 따라 짧은 거리로 연장되고, 따라서 전자기 실드를 받는다. 그러나, 이로써 불리한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데, 위치 센서 (58) 의 검출 신호가 위치 검출 수단 (36) 을 시작시키기 위한 기준 신호로서 단지 처음에만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와 무관하게, 위치 센서 (58) 와 같은 1 이상의 위치 센서를 갖는 위치 검출 수단 (36) 을 고안하는 것이 본질적으로 가능하고, 이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가동 유닛 (35) 의 작동 동안 발생하는 1 이상의 축선방향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변위 측정 시스템의 형태의 위치 검출 수단 (36) 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이 하우징 튜브 (4) 의 외부로부터 상기한 조립 위치 (53) 에 설치된다. 조립 위치 (53) 에서, 하우징 튜브 (4) 의 벽 (22) 은 개구 (68) 를 가지며, 이 개구를 통해 전기 케이블 (27, 37, 38) 이 케이 블 채널 (47) 을 통해 연장되고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의 접합 (junction) 하우징 (72) 에 들어간다. 작동시, 벽의 개구 (68) 는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의 물리적 부착에 기여한다. 이 경우, 작동 실시형태에서, 인터페이스 수단 (42) 의 슬리브형 풋 (foot) 부분 (73) 이 벽의 개구 (68) 에 끼워 맞춰지고 외부 하우징 (2) 에 고정된다. 케이블 채널 (47) 내에 놓이는 풋 부분 (73) 의 부품은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벽 개구 (74a, 74b) 를 갖고, 이 개구를 통해 전기 케이블 (27, 37, 38) 이 풋 부분 (73) 내 공동으로 들어갈 수 있다.
풋 부분 (73) 을 밀봉하기 위해 그리고 특히 하우징 튜브 (4) 로부터 2 개의 벽 개구 (68) 를 밀봉하기 위해, 예컨대 낮은 점도의 접착제와 같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전체 리니어 구동 장치에 대한 원하는 정도의 전기 보호를 얻을 수 있다. 위치 검출 수단 (36) 과 구동부 (14) 의 케이블 출구는 모든 경우에 본질적으로 보호된다.
전기 케이블 (27, 37, 38) 은 풋 부분 (73) 의 내부에서 시작해서 접합 하우징 (72) 의 내부로 형성되고, 이 접합 하우징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전기 접속 케이블 (43, 44) 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고정 전기 접촉 수단 (75) 에 연결된다. 따라서, 전기 접속 케이블 (43, 44) 이 연결된 외부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이 보장된다.
본 작동 예에서, 접합 하우징 (72) 및 풋 부분 (73) 은 L-형 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접합 하우징 (72) 은 풋 부분 (73) 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방향 축선 (3) 에 평행한 면에 놓여서, 하우징 튜브 (4) 의 외부면에 가까운 위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접합 하우징 (72) 은 풋 부분 (73) 에 고정되어, 상이한 각도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2 개의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한 케이블 출구 수단 (76) 의 배향은 변화될 수 있는데, 이 배향으로 전기 접촉 수단 (75) 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기 접속 케이블 (43, 44) 이 나가게 된다. 회전 축선 (77) (이를 중심으로 각도 위치결정이 이루어짐) 이 반경방향으로 길이방향 축선 (3) 까지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슬리브형 풋 부분 (73) 의 길이방향 축선과 일치한다.
접합 하우징 (72) 의 경우, 서로 90°간격의 적어도 4 개의 각도 설정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케이블 출구 수단 (76) 이 후방 또는 전방 또는 양측 중 한 측을 향해 연장되는 배열이 가능하다.
케이블 출구 수단 (76) 이 니플 (nipple) 과 같이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기 접속 케이블 (43, 44) 을 위한 입구 개구를 규정한다. 전기 접속 케이블은 바람직하게는 내부의 케이블 코어를 위한 전자기장을 갖는 케이블 피복을 가지며, 이는 전기 접촉 수단 (75) 에 납땜되거나 또는 떨어지지 않도록 연결될 수 있다.
후방 말단 부재 (24c) 는 아마추어 (32) 와 관련하여 어떠한 접경 (abutment) 기능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로써, 수리 목적으로 전체 가동 유닛 (35) 을 구동 하우징 (24) 밖으로 당겨 빼낼 수 있고, 구동 하우징에 고정된 구동 코일 배치 (25) 와 함께 구동 하우징 (24) 은 구동 하우징 (24) 에서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가동 유닛 (35) 을 빼내기 위해, 가동 유닛 (35) 의 통과를 허락하는 후방 말단 벽 (65) 을 통해 연장된 접근용 개구 (82) 에 접근할 수 있도록, 후방 하우징 커버 (8) 를 일시적으로 풀거나, 또는 후방 하우징 커버 (8) 의 후방 말단 벽 (65) 에 끼워 넣어지거나 또는 설치된 폐쇄 커버 (78) 를 제거한다.
후방 말단 부재 (24c) 가 접경 부재로서 기능하지 않는다면, 후방 하우징 커버 (8) 가 이 기능을 맡을 수 있다. 따라서, 작동 예에서, 스트로크 이동 위치의 단부는 후방 말단 벽 (65) 에 배치된 버퍼 부재 (83) 에 대해 형성된 지지 핀 (64) 을 가짐으로써 규정되고, 바람직하게는 폐쇄 커버 (78) 에 의해 지탱된다.
리니어 구동 장치 (1) 의 설계를 통해, 높은 레벨의 보호, 즉 먼지와 습기의 침입에 대한 고도의 보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의 기하학적 형상은 세척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센서부 (54) 를 포함하는 수용 챔버 (84) 가, 측면으로부터 전방 하우징 커버 (7) 에 가해지는 폐쇄 커버 (85) 에 의해 후방 하우징 커버 (7) 에서 밀봉될 수 있다. 폐쇄 커버 (85) 는, 결함의 경우 폐쇄 커버를 제거하고 센서부 (54) 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 전방 하우징 커버 (7) 의 리세스 (48) 는 폐쇄 커버 (85)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리니어 구동 장치 (1) 의 작동의 경우 다른 내부 구조를 위해 다른 전기 케이블이 요구된다면, 외부 하우징 (2) 의 내부에 덮이는 방식으로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과 접속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 다른 전기 케이블은 하우징 튜브 (4) 의 벽 (22) 의 케이블 채널 내에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은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의 바람직한 작동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리니어 구동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선 Ⅲ-Ⅲ 을 따라 자른 도 1 의 리니어 구동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4 는 리니어 구동 장치의 전방 단부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5 는 리니어 구동 장치의 후방 단부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2 의 선 Ⅳ-Ⅳ 에서 자른 리니어 구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2 의 선 Ⅶ-Ⅶ 에서 자른 리니어 구동 장치의 단면도로서,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단지 부분적으로 절단되어 있다.
도 8 은 하우징 튜브와 후방 하우징 커버 사이의 연결부에서 선 Ⅷ-Ⅷ 를 따라 자른 리니어 구동 장치의 단면도이며, 여기서는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이 나타나 있지 않다.
도 9 는 도 2 의 선 Ⅸ-Ⅸ 에서 자른 리니어 구동 장치의 단면도이며,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이 절단되지 않았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2 외부 하우징
3 길이방향 축선 4 하우징 튜브
13 수용 공간 14 구동부
15 구동 유닛 16 출력 구동 로드
24 구동 하우징 25 구동 코일 배치
28 구동 자석 배치 32 아마추어
35 가동 유닛 36 위치 검출 수단
42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Claims (23)

  1. 외부 하우징 (2), 아마추어 (32) 와 출력 구동 로드 (16) 를 포함하는 가동 유닛 (35) 의 적어도 하나의 축선방향 위치의 검출을 위한 위치 검출 수단 (36), 및 외부 전기 소통을 위해 구동 코일 배치 (25) 및 위치 검출 수단 (36) 에 연결된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을 포함하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로서,
    외부 하우징 (2) 에는, 전기역학적 리니어 직접 구동 형태로 설계된 구동 유닛 (15) 의 구동부 (14) 가 카트리지와 같이 축선방향으로 삽입되어, 구동 유닛 (15) 의 출력 구동 로드 (16) 가 외부 하우징 (2) 의 전방 측으로부터 돌출하고, 구동부 (14) 가 고정 구동 코일 배치 (25) 및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아마추어 (32) 를 수용하는 외부 구동 하우징 (24) 을 갖고, 이 가동 아마추어는 출력 구동 로드 (16) 에 연결되고 구동 자석 배치 (28) 를 갖는, 상기 장치에 있어서,
    외부 하우징 (2) 은 하우징 튜브 (4) 및 그 하우징 튜브의 양단부에 배치된 전방 하우징 커버 (7) 와 후방 하우징 커버 (8) 를 갖고, 두 하우징 커버는 구동부 (14) 를 완전히 수용하는 수용 공간 (13) 을 함께 한정하고, 출력 구동 로드 (16) 가 전방 하우징 커버 (7) 를 관통하고 있고,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이 두 하우징 커버 (7, 8)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하우징 튜브 (4) 상에 나란히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작동 케이블 (27) 에 의해 구동 코일 배치 (25) 에 그리고 그 작동 케이블 (27) 과는 별개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신호 케이블 (37) 에 의해 위치 검출 수단 (36) 에 연결되며,
    이 모든 전기 케이블 (27, 37) 이, 하우징 튜브 (4) 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우징 튜브 (4) 의 벽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주위 폐쇄된 케이블 채널 (47) 내에서 외부에 대해 노출되지 않게 연장된,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구동 로드 (16) 는 동시 가로방향 지지 작용을 받으면서 전방 하우징 커버 (7) 내에서 선형으로 안내되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14) 는 축선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방식으로 수용 공간 (13) 에서 두 하우징 커버 (7, 8) 에 의해 지지되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14) 는 하우징 튜브 (4) 의 벽 (22) 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고 하우징 튜브 내에 유지되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케이블 (27) 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케이블 (37) 이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에서 시작하여 축선방향 중첩 없이 하우징 튜브 (4) 내에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기 작동 케이블(들) (27) 및 신호 케이블(들) (37) 이, 구동 자석 배치 (28) 및 위치 검출 수단 (36) 에 그리고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채널 (47) 까지 가는 동안, 하우징 커버 (7, 8) 중 적어도 한 커버 내에서 연장되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채널 (47) 이, 케이블을 안내하는 인접한 하우징 커버 (7, 8) 의 리세스 (48, 49) 와 병합되는 곳인 하우징 튜브 (4) 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측면 (5, 6) 에서 개방되어 있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한편으로 구동 코일 배치 (25) 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작동 케이블 (27) 및 다른 한편으로 위치 검출 수단 (36) 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신호 케이블 (37) 이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채널 (47) 에서 하우징 튜브 (4) 의 반대편 단부 측면으로부터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까지 연장되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케이블 채널 (47) 이 전체 길이에서 하우징 튜브 (4) 를 통해 연장되어 있고,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이 하우징 튜브 (4) 의 조립 위치 (53) 에서 두 하우징 커버 (7, 8) 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떨어져 결합되고, 작 동 케이블 (27) 은 케이블 채널 (47) 중 조립 위치 (53) 로부터 한 하우징 커버 (7) 로 이어지는 채널부 (47a) 내에서 연장되고, 신호 케이블 (37) 은 케이블 채널 (47) 중 조립 위치 (53) 에서 다른 하우징 커버 (8) 까지 연장된 채널부 (47b) 내에서 연장되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에서 시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케이블 (27) 은 후방 하우징 커버 (8) 까지 연장되는 반면,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에서 시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케이블 (37) 은 전방 하우징 커버 (7) 까지 연장되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전방 하우징 커버 (7) 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케이블 (37) 은 위치 검출 수단 (36) 의 변위 측정 시스템 (55) 으로 이어지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케이블 (27) 이 구동부 (14) 의 후방 단부 (52) 에서 시작하여 후방 하우징 커버 (8) 를 통해,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으로 이어지는 하우징 튜브 (4) 의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채널 (47) 에 들어가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케이블 (37) 이 전방 하우징 커버 (7) 에서 나와,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으로 이어지는 하우징 튜브 (4) 의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채널 (47) 내로 연장되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위치 검출 수단 (16) 의 센서부 (54) 에서 시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신호 케이블 (37) 이 하우징 튜브 (4) 의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채널 (47) 에 들어가고, 상기 센서부는 전방 하우징 커버 (7) 내부에 배치되어 접촉 없이 출력 구동 로드 (15) 와 협동하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 수단 (36) 은 아마추어 (32) 의 후방에 배치되어 축선방향 이동에 참여하는 엑추에이팅 자석 (63) 을 포함하고, 그 엑추에이팅 자석 (63) 은 가동 유닛 (35) 의 후퇴 위치의 검출을 위해 후방 하우징 커버 (8) 에 배치된 위치 센서 (58) 와 접촉 없이 협동하고, 그 위치 센서 (58) 로부터, 전기 신호 케이블 (38) 이 후방 하우징 커버 (8) 를 통해 그리고 하우징 튜브 (4) 의 벽 (22) 에 형성된 케이블 채널 (47) 을 통해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까지 연장되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 수단 (36) 은 증분 변위 측정 시스템 (55) 을 포함하고, 위치 센서 (58) 가 이 변위 측정 시스템 (55) 을 위한 기준 센서를 구성하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위치 센서 (58) 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신호 케이블 (38)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작동 케이블 (27) 이 후방 하우징 커버 (8) 에서 시작해서 하우징 튜브 (4) 의 케이블 채널 (47) 을 통해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까지 연장되는 반면, 변위 측정 시스템 (55) 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신호 케이블 (37) 이 전방 하우징 커버 (7) 에서 시작해서 하우징 튜브 (4) 내 케이블 채널 (47) 을 통해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까지 연장되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 (58) 는 후방 하우징 커버 (8) 의 외주에 배치된 부착 홈 (62) 에 고정되고, 이 부착 홈 (62) 에서, 관련 전기 신호 케이블 (38) 을 위한, 후방 하우징 커버 (8) 내에 연장된 케이블 수용 채널 (66) 이 개방되어 있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은, 단부에서 외부 하우징 (2) 을 지나 돌출하지 않도록, 하우징 튜브 (4) 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전기 인터페이스 수단 (42) 은, 한편으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케이블 (27) 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속 케 이블 (44) 및 다른 한편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신호 케이블 (37, 38) 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기 접속 케이블 (43) 을 위한 2 개의 개별 케이블 출구 수단 (76) 을 포함하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우징 튜브 (4) 의 외주에, 축선방향으로 연장된 냉각 리브 (46) 가 형성되어 있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커버 (7, 8) 에, 외부 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물리적 부착 인터페이스 (45) 가 존재하는,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2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후방 하우징 커버 (8) 는 가동 유닛 (35) 의 축선방향 연장부로서 폐쇄 커버 (85) 에 의해 해제가능하게 폐쇄된 접근용 개구 (82) 를 갖고, 폐쇄 커버 (85) 가 제거되는 경우, 이 접근용 개구 (82) 를 통해 가동 유닛 (35) 의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한,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KR1020080085276A 2007-08-29 2008-08-29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KR200900232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016879A EP2051352B1 (de) 2007-08-29 2007-08-29 Elektrische Linearantriebsvorrichtung
EP07016879.4 2007-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294A true KR20090023294A (ko) 2009-03-04

Family

ID=39190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276A KR20090023294A (ko) 2007-08-29 2008-08-29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73435B2 (ko)
EP (1) EP2051352B1 (ko)
KR (1) KR20090023294A (ko)
CN (1) CN101378222B (ko)
AT (1) ATE459122T1 (ko)
DE (1) DE502007002952D1 (ko)
RU (1) RU2473162C2 (ko)
TW (1) TWI4194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17896A1 (de) * 2004-04-13 2005-11-03 Festo Ag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itnahmeverbindung bei einem Linearantrieb
US9731418B2 (en) 2008-01-25 2017-08-15 Systems Machine Automation Component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closed loop force control in a linear actuator
US9381649B2 (en) 2012-06-25 2016-07-05 Systems Machine Automation Components Corporation Robotic finger
US9748823B2 (en) 2012-06-25 2017-08-29 Systems Machine Automation Components Corporation Linear actuator with moving central coil and permanent side magnets
US20100133924A1 (en) * 2008-11-21 2010-06-03 Neff Edward August Compact linear actua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EP2403118A3 (en) * 2010-07-01 2014-10-29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Actuator
JP5530319B2 (ja) * 2010-09-16 2014-06-25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US9780634B2 (en) 2010-09-23 2017-10-03 Systems Machine Automation Components Corporation Low cost multi-coil linear actuator configured to accommodate a variable number of coils
US20130334919A1 (en) * 2012-06-19 2013-12-19 Dewertokin Gmbh Linear actuator
DE102013001872B4 (de) 2013-02-02 2021-07-22 Audi Ag Kraftwagen mit einem Aggregat zum Antreiben des Kraftwagens
RU2531208C1 (ru) * 2013-05-07 2014-10-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Электропривод" Электромеханизм поступате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JP6224380B2 (ja) * 2013-08-30 2017-11-0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リニアコンベア用のカバー部材及びリニアコンベア
US20150171723A1 (en) * 2013-10-31 2015-06-18 Systems, Machines, Automation Components Corp. Apparatus and methods for low cost linear actuator
US10807248B2 (en) 2014-01-31 2020-10-20 Systems, Machines, Automation Components Corporation Direct drive brushless motor for robotic finger
US9871435B2 (en) 2014-01-31 2018-01-16 Systems, Machines, Automation Components Corporation Direct drive motor for robotic finger
JP5927266B2 (ja) * 2014-10-29 2016-06-01 Kyb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6360774B2 (ja) * 2014-10-29 2018-07-18 Kyb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DE102014016771A1 (de) * 2014-11-13 2016-05-19 Wabco Gmbh Ventileinrichtung für eine Druckluftanlage, Druckregelmodul mit einer derartigen Ventileinrichtung sowie Kraftfahrzeug damit
US10429211B2 (en) 2015-07-10 2019-10-01 Systems, Machines, Automation Component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linear actuator with piston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controller and encoder
US10215802B2 (en) 2015-09-24 2019-02-26 Systems, Machines, Automation Components Corporation Magnetically-latched actuator
CN105244566B (zh) * 2015-10-30 2018-09-25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微波通信器件腔体及微波通信器件
US10865085B1 (en) 2016-04-08 2020-12-15 Systems, Machines, Automation Component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threaded cap using a linear rotary actuator
US10675723B1 (en) 2016-04-08 2020-06-09 Systems, Machines, Automation Component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serting a threaded fastener using a linear rotary actuator
US10205355B2 (en) 2017-01-03 2019-02-12 Systems, Machines, Automation Components Corporation High-torque, low-current brushless mo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9439A (en) * 1987-10-08 1989-04-11 Helix Technology Corporation Linear drive motor with improved dynamic absorber
SE465890B (sv) * 1990-03-28 1991-11-11 Mecman Ab Kolvlaegesavkaennare
DE69225972T2 (de) * 1991-07-12 1999-02-18 Denne Dev Ltd Elektromagnetische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r Linearbewegung
DE29816156U1 (de) 1998-09-09 1998-11-26 Festo Ag & Co Linearantrieb
DE19853942C1 (de) 1998-11-24 2000-07-13 Festo Ag & Co Elektrischer Linearantrieb
DE19921474A1 (de) * 1999-05-08 2001-01-18 Festo Ag & Co Anzeigeeinrichtung
SE522652C2 (sv) * 2001-07-06 2004-02-24 Parker Hannifin Ab Kolv- cylinderanordning med minst en lägessensor
DE10244261B4 (de) 2002-09-24 2007-03-29 Festo Ag & Co. Spulensystem, insbesondere für einen elektrodynamischen Lineardirektantrieb
DE10306461B4 (de) * 2003-02-17 2007-06-14 Imi Norgren Gmbh Fluidbetätigter Arbeitszylinder
GB0303806D0 (en) * 2003-02-19 2003-03-26 Advanced Motion Technologies I An improved linear actuator
DE10334655A1 (de) * 2003-07-22 2005-03-03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n.d.Ges.d. Staates Delaware), Wilmington Steckverbindervorrichtung für Kleinservomotoren
US20070296281A1 (en) * 2006-06-07 2007-12-27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Electrical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58198A1 (en) 2009-03-05
RU2008135210A (ru) 2010-03-10
ATE459122T1 (de) 2010-03-15
CN101378222A (zh) 2009-03-04
CN101378222B (zh) 2012-06-27
TWI419443B (zh) 2013-12-11
EP2051352A1 (de) 2009-04-22
DE502007002952D1 (de) 2010-04-08
EP2051352B1 (de) 2010-02-24
RU2473162C2 (ru) 2013-01-20
TW200922079A (en) 2009-05-16
US7973435B2 (en) 201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3294A (ko) 전기적 리니어 구동 장치
US5073736A (en) Brushless pump motor with built-in electronic control
US7256520B2 (en) Power tool with a self-supporting motor
US8461829B2 (en) Magnetic angle sensor unit having ferromagnetic conductive shielding
JP5389026B2 (ja) リニア駆動装置を組み付ける装置
TWI492488B (zh) 線性驅動器
KR950003066B1 (ko) 선형-구동장치
CN107044240B (zh) 筒状驱动设备
CN107148724B (zh) 马达及包括该马达的离合器致动器
US20080252160A1 (en) Connecting Plate for Electric Motor and Electric Motor
JP3410453B2 (ja) 直線駆動装置
JP4716499B2 (ja) レバー位置検出機能付パイロットバルブ
ITMI941723A1 (it) Dispositivo di riconoscimento di rotazione per un motore a collettore
CN103362382B (zh) 具有门询问器的闭锁装置
KR20090085512A (ko) 플라스틱 패키징 직류 브러시레스 전동기의 고정자
JP6771848B2 (ja) 電動駆動装置
US20210036577A1 (en) Electric motor
GB1571769A (en) Electromagnetic acuator
US7834488B2 (en) Electric linear drive unit
US20080258568A1 (en) Electrical Linear Drive Device
US20100045122A1 (en) Stator of an electrical machine, electrical machine, and power tool
KR101068480B1 (ko) 수중용 선형 이송장치
JP2000329112A (ja) ストローク端検出機能を備えたシリンダ装置
US20220345008A1 (en) Electrical machine
GB2461914A (en) Stator of an electric machine, electric machine and electric power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