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815A -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 - Google Patents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815A
KR20090020815A KR1020070085404A KR20070085404A KR20090020815A KR 20090020815 A KR20090020815 A KR 20090020815A KR 1020070085404 A KR1020070085404 A KR 1020070085404A KR 20070085404 A KR20070085404 A KR 20070085404A KR 20090020815 A KR20090020815 A KR 20090020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ide
cleaning
silicon
etching
silicon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원
최승주
Original Assignee
(주)지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원테크 filed Critical (주)지원테크
Priority to KR1020070085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0815A/ko
Publication of KR20090020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81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3/00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 C09K13/04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 C09K13/08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containing a fluorine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10Etching compositions
    • C23F1/14Aqueous compositions
    • C23F1/16Acidic compositions
    • C23F1/26Acidic compositions for etching refractory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04Chemical etc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은 불화물염 약 0.1 내지 약 20 중량%, 질산 약 20 내지 약 90 중량% 및 여분의 물을 포함한다. 상기 세정 및 식각 조성물은 식각 균일성 및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COMPOSITION FOR CLEANING AND ETCHING SILICON AND SILICON OXIDE}
본 발명은 세정 및 식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를 포함한 각종 전자장치 제조 공정 및 그 부수 공정은 세정 공정 및 식각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세정 및 식각의 대상은 반도체 웨이퍼 등의 실리콘 또는 유리 기판, 석영 튜브 등의 실리콘산화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웨이퍼 또는 유리 기판을 박판화하기 위하여 식각 조성물을 가할 수 있으며, 석영 튜브를 세정하기 위하여 세정 조성물을 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로는 질산, 불산, 초산(또는 인산) 등을 포함하는 혼산 조성물이 사용되어 왔다. 상기 혼산 조성물은 처리 중에 반응열에 의하여 온도가 급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균일한 식각/세정이 어렵고 모재에 가해지는 손상이 크다. 또한, 식각/세정에서 발생하는 실리콘산화물의 미립자가 모재의 표면에 잔류하여 얼룩과 같은 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식각 및 세정을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대상 모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은 불화물염 약 0.1 내지 약 20 중량%, 질산 약 20 내지 약 90 중량% 및 여분의 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불화물염은 산성불화암모늄, 불화암모늄, 불화나트륨, 산성불화칼륨, 산성불화나트륨, 불화바륨, 불화칼륨, 붕불화암모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 및 식각 조성물은 약 0.1 내지 약 20 중량%의 질산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질산염은 질산나트륨, 질산암모늄, 질산칼륨, 질산바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 및 식각 조성물은 약 0.1 내지 약 2 중량%의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플루오로카본계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정 및 식각 조성물은 촉진제로서 인산, 초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약 1 내지 약 20 중량%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식각 균일성 및 세정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세정시 모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은 불화물염 약 0.1 내지 약 20 중량%, 질산 약 20 내지 약 90 중량% 및 여분의 물을 포함한다. 상기 실리콘의 예로는 반도체 웨이퍼 등을 들 수 있으며, 실리콘산화물의 예로는 쿼츠,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불화물염은 산성불화암모늄, 불화암모늄, 불화나트륨, 산성불화칼륨, 산성불화나트륨, 불화바륨, 불화칼륨, 붕불화암모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정 및 식각 조성물은 약 0.1 내지 약 20 중량%의 질산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질산염은 질산나트륨, 질산암모늄, 질산칼륨, 질산바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정 및 식각 조성물은 약 0.1 내지 약 2 중량%의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열적/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플루오로카본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정 및 식각 조성물은 촉진제로서 인산, 초산, 황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약 1 내지 약 2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은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식각 및 세정을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대상 모재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을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정제수 약 1l에 산성불화암모늄 약 25g, 질산염 약 50g 및 농도가 약 60%인 질산 약 680g을 혼합하여 식각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2
정제수 약 1l에 산성불화암모늄 약 25g 및 농도가 약 60%인 질산 약 680g을 혼합하여 식각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1
질산, 불산 및 초산을 약 2.5: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산 식각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험예 1 - 실리콘 웨이퍼 식각
실리콘 웨이퍼를 기계 연마하여 가로 약 15mm, 세로 약 15mm, 두께 약 755㎛의 시편 3개를 준비하였다. 2개의 시편 각각을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식각 조성물에 약 20분 동안 침지하고, 나머지 1개의 시편을 비교예 1의 혼산 식각 조성물에 약 2분 동안 침지한 후, 각 시편의 표면의 거칠기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혼산 식각 조성물에 대한 시편의 침지 시간을 적게 설정 한 이유는 혼산 식각 조성물은 식각율이 과도하게 커서 시편을 장시간 침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각 식각 조성물의 온도는 약 25℃였다.
표 1
Figure 112007061487210-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식각 조성물에 침지된 시편에 비하여 비교예 1에 침지된 시편의 표면 거칠기가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1에 침지된 시편의 경우, 좁은 범위(약 0.08mm)에서 측정된 표면 거칠기는 우수하였으나, 전체적으로 너울이 발생하여 시편의 두께 편차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에 비하여 약 5배 이상인 것으로 관측되었다. 따라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식각 조성물이 혼산 식각 조성물에 비하여 식각 균일성 측면에서 유리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농도가 약 60%인 질산을 물과 약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질산 수용액 약 50 중량%, 산성불화암모늄 약 10 중량%, 질산암모늄 약 10 중량% 및 여분의 물을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4
농도가 약 60%인 질산을 물과 약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질산 수용액 약 50 중량%, 산성불화암모늄 약 10 중량% 및 여분의 물을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2
부피비 약 1:2의 불산과 질산을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3
농도가 약 98%인 황산을 물과 약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황산 수용액 약 50 중량%, 산성불화암모늄 약 10 중량% 및 질산암모늄 약 10 중량%를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험예 2 - 석영 튜브 세정
폴리실리콘의 증착에 사용된 석영 튜브를 준비하여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세정 조성물에 각각 침지하였다. 상기 석영 튜브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불순물이 모두 제거될 때까지 걸린 시간 및 석영 튜브의 두께 감소를 측정하여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7061487210-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세정 조성물들은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세정 조성물들에 비하여 세정시간이 동등하거나 짧았으며, 두께 감소가 적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 조성물들은 석영 튜브의 세정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석영 튜브의 손상을 감소시켜 재활용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식각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제품 생산의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속도를 증가시키고 모재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세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불화물염 0.1 내지 20 중량%;
    질산 약 20 내지 약 90 중량%; 및
    여분의 물을 포함하는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화물염은 산성불화암모늄, 불화암모늄, 불화나트륨, 산성불화칼륨, 산성불화나트륨, 불화바륨, 불화칼륨 및 붕불화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
  3. 제1 항에 있어서, 0.1 내지 20 중량%의 질산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질산염은 질산나트륨, 질산암모늄, 질산칼륨 및 질산바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
  5. 제1 항에 있어서, 0.1 내지 2 중량%의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플루오로카본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실리 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1 내지 20 중량%의 촉진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촉진제는 인산, 초산 및 황산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
KR1020070085404A 2007-08-24 2007-08-24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 KR20090020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404A KR20090020815A (ko) 2007-08-24 2007-08-24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404A KR20090020815A (ko) 2007-08-24 2007-08-24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815A true KR20090020815A (ko) 2009-02-27

Family

ID=40688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404A KR20090020815A (ko) 2007-08-24 2007-08-24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08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9329A (zh) * 2018-10-29 2019-03-08 苏州博洋化学股份有限公司 平板显示阵列制程用新型igzo蚀刻液
KR20220126964A (ko) * 2021-03-10 2022-09-19 소니드 주식회사 에칭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9329A (zh) * 2018-10-29 2019-03-08 苏州博洋化学股份有限公司 平板显示阵列制程用新型igzo蚀刻液
KR20220126964A (ko) * 2021-03-10 2022-09-19 소니드 주식회사 에칭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8113B1 (ko) 전자 표시 장치 및 기판용 세정 및 식각 조성물
JP4983422B2 (ja) エッチング用組成物及びエッチング方法
JP2023171815A (ja) 水性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洗浄方法
JP7331842B2 (ja) 水性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洗浄方法
WO2006068091A1 (ja) 微細加工処理剤、及びそれを用いた微細加工処理方法
JP5847963B2 (ja) エッチング液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ウェットエッチング方法
JP2023171814A (ja) 水性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洗浄方法
KR20090020815A (ko) 실리콘/실리콘산화물의 세정 및 식각 조성물
JP2007150118A (ja) 微細加工処理剤、及びそれを用いた微細加工処理方法
TW201311882A (zh) 含氟清洗液
TW201938480A (zh) 氧化鋁之保護液、保護方法及使用此保護方法之具有氧化鋁層之半導體基板之製造方法
KR20080111268A (ko) 세정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
JP2700778B2 (ja) 酸含有液による半導体材料処理方法
KR100415261B1 (ko) 전자표시장치및기판용세정및식각조성물
CN113186540A (zh) 一种化学机械抛光后清洗液
JP2005203467A (ja) エッチング用組成物
JP2008153272A (ja) 半導体製造装置用部品の洗浄方法及び洗浄液組成物
JP5136339B2 (ja) エッチング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エッチング方法
JP2006073871A (ja) エッチング用組成物
JP6319536B1 (ja) SiN層およびSi層を有する基板用ウェットエッチング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ウェットエッチング方法
JP4838578B2 (ja) 微細加工処理剤、及びそれを用いた微細加工処理方法
JPH05198546A (ja) 半導体基板の洗浄液
WO2022244275A1 (ja) 微細加工処理剤、及び微細加工処理方法
RU2313851C2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кристаллитов с поверхности кремниевой пластины
JP4078971B2 (ja) タンタル溶解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溶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