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394A - 기중차단기 - Google Patents

기중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394A
KR20090020394A KR1020070085132A KR20070085132A KR20090020394A KR 20090020394 A KR20090020394 A KR 20090020394A KR 1020070085132 A KR1020070085132 A KR 1020070085132A KR 20070085132 A KR20070085132 A KR 20070085132A KR 20090020394 A KR20090020394 A KR 20090020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contact
arc runner
circuit breaker
ru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4207B1 (ko
Inventor
박우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5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207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2Auxiliary contacts on to which the arc is transferred from the main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01H33/9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 H01H33/91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the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air or g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Landscapes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중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주접점 및 아크접점을 구비한 고정접촉자와; 일 단은 고정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아크접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주접점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타 단은 소호기구로 연장되는 아크런너와; 상기 고정돌기와 맞물림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고정시키는 돌기고정수단과; 상기 아크런너의 주변에 배치되어 아크와 반응하여 아크 소호를 촉진시키는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스크류 체결 개소를 줄임과 아울러 아크의 이동 및 소호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기중차단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기중차단기{AIR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기중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크류 체결개소를 줄여 조립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기중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차단기는 주지된 바와 같이, 전기회로에 있어서의 발생가능한 사고전류(단락, 지락 사고등에 의한 대전류)로부터 부하기기 및 선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전원과 부하기기 사이에 설치되는 전기 보호기기이다.
이러한 차단기는, 소호매질에 따라 유입차단기, 기중차단기, 진공차단기 또는 가스차단기로 대별된다.
기중차단기는, 서로 접촉 및 분리되게 설치되는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와, 상기 가동접촉자를 개폐하는 개폐기구와, 상기 가동접촉자의 개폐 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하는 소호기구를 구비한다. 고정접촉자의 일 측에는 아크 발생 시 이를 소호기구로 안내하는 아크런너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의 고정접촉자 및 아크런너의 결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아크런너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접촉자(10)는 블록형태로 구현되는 바디(11)와, 상기 바디(11)의 상단에 형성되는 주접점(13)과, 상기 주접점(13)의 일 측에 형성되는 아크접점(1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아크접점(15)의 양 측에는 상기 아크런너(20)의 일 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아크접점(15)은 상기 주접점(13)에 비해 축소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크런너(20)에는 상기 아크접점(15)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절취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디(11)에는 도시않은 기중차단기 본체(프레임)에 복수의 스크류(18)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스크류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아크런너(20)에는 상기 바디(11)에 스크류(26)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스크류공(24)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중차단기에 있어서는, 고정접촉자(10)의 바디(11)를 기중차단기 본체(프레임)에 복수의 스크류(18)를 이용하여 결합하고, 아크런너(20)는 별개의 스크류(26)로 바디(11)에 고정결합하도록 되어 있어, 스크류(18,26)의 체결 개소가 증가하여 투입 부품수가 증가되고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크런너(20)의 일 영역이 아크접점(15)의 양 측에 배치되어 아크의 이동 경로는,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투영 시 곡선을 이루게 되어 아크의 이동이 신속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기인하여 주접점(13)의 손상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차단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사고가 확산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크류 체결 개소를 줄여 투입부품수를 저감시키고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기중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의 이동을 신속하게 하여 주접점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고 아크의 소호를 신속하게 하여 차단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기중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류 체결 개소를 줄임과 아울러 아크의 이동 및 소호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기중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주접점 및 아크접점을 구비한 고정접촉자와; 일 단은 상기 아크접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주접점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타 단은 소호기구로 연장되는 아크런너와; 상기 고정접촉자와 상기 아크런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접촉자와 상기 아크런너 중 다른 하나에 상기 고정돌기와 맞물림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고정시키는 돌기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기중차단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아크런너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고정수단은 상기 아크접점을 코킹(calking)처리하여 형성되는 코킹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돌기와 맞물림되는 걸림턱으로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돌기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돌기가 수용되는 돌기수용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접촉자에는 상기 아크런너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아크런너의 상기 소호기구측 단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주접점 및 아크접점을 구비한 고정접촉자와; 일 단은 상기 아크접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주접점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타 단은 소호기구로 연장되는 아크런너와; 상기 고정접촉자와 상기 아크런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접촉자와 상기 아크런너 중 다른 하나에 상기 고정돌기와 맞물림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고정시키는 돌기고정수단과; 상기 아크런너의 주변에 배치되어 아크와 반응하여 아크 소호를 촉진시키는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발생부재는 일 측은 상기 고정접촉자와 동시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아크런너와 동시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런너와 상기 가스발생부재에는 상호 연통되게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가스발생부재와 상기 고정접촉자에는 상호 연통되게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발생부재에는 상기 아크런너의 일 영역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고정접촉자에는 상기 가스발생부재의 일 단부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발생부재는 상기 아크접점의 양 측에서 상기 아크런너와 접촉되어 상기 아크런너의 횡방향 유동을 억제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런너의 상기 아크접점측 단부에는 단면이 곡선을 이루도록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돌기고정수단은, 상기 아크접점을 코킹(calking)처리하여 형성되는 코킹부와, 상기 고정돌기와 맞물림되는 걸림턱과, 상기 고정돌기가 수용되는 돌기수용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류의 체결 개소를 줄일 수 있어 투입 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고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기중차단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크가 아크런너로 신속하게 이동되어 주접점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기중차단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류의 체결 개소를 줄일 수 있어 투입 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고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크에 반응하여 소호 가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아크 소호를 신속하게 소호할 수 있는 기중차단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고정접촉자 및 아크런너의 결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돌기고정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 및 도 9는 각각 돌기고정수단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중차단기는, 주접점(122) 및 아크접점(124)을 구비한 고정접촉자(121)와; 일 단은 고정돌기(151)를 구비하여 상기 아크접점(124)을 사이에 두고 상기 주접점(122)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타 단은 소호기구(171)로 연장되는 아크런너(141)와; 상기 고정돌기(151)와 맞물림되어 상기 고정돌기(151)를 고정시키는 돌기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접촉자(12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1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 상기 고정접촉자(121)의 일 측에는 상기 고정접촉자(121)와 접촉 및 분리될 수 있게 가동접촉자(1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31)는 상기 고정접촉자(121)의 주접점(122) 및 아크접점(124)과 각각 접촉되는 주접점(132) 및 아크접점(134)을 구비하여 회전축(136)을 중심으로 고정접촉자(121)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접촉자(121) 및 가동접촉자(131)의 상측에는 아크를 소호할 수 있 도록 복수의 그리드(173)를 구비한 소호기구(17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접촉자(121)는, 대략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고, 판면 일 측에는 주접점(122)이 주변에 비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접점(122)의 일 측에는 상기 주접점(122)의 길이에 비해 축소된 길이를 가지는 아크접점(124)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크접점(124)의 일 측에는 상기 아크런너(141)의 일 측이 삽입될 수 있게 직사각형 형상으로 함몰된 삽입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크접점(124)의 양 측에는 상기 고정접촉자(121)가 스크류에 의해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관통공(1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크런너(141)는, 상기 아크접점(124)의 길이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아크접점측 단부(142a)와, 상기 아크접점측 단부(142a)의 폭에 비해 축소된 폭을 가지는 소호기구측 단부(142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아크접점측 단부(142a) 영역에는 상기 아크접점(124)으로부터 상기 소호기구(171)측으로 아크의 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단면이 곡선을 이루도록 절곡된 절곡부(1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크런너(14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아크유도슬롯(1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크접점측 단부(142a)의 일 측영역에는 상기 아크접점(124)을 향해 돌출된 한 쌍의 고정돌기(1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호기구측 단부(142b)에는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스크류(155)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15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접촉자(121)에는 상기 삽입부(126)에 삽입된 상기 고정돌 기(151)와 맞물림되어 상기 고정돌기(151)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돌기고정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51)와 도면 상의 상하방향을 따라 맞물림되게 상기 아크접점(124)의 일 영역이 소성변형되도록 코킹(calking)처리하여 형성된 코킹부(161)로 구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고정수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51)와 도면 상의 상하방향을 따라 맞물림되게 상기 삽입부(126)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고정돌기(151)의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62)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51)가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삽입부(126)의 측벽에 함몰된 직사각형 홈 형태의 돌기수용부(163)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아크런너(141)를 설치하고자 할 때는, 상기 고정접촉자(121)의 삽입부(126)에 상기 아크런너(141)의 아크접점측 단부(142a)를 삽입하여 상기 돌기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소호기구측 단부(142b)를 스크류(155)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하면 된다.
한편, 가동접촉자(131)가 회전축(136)을 중심으로 도면 상의 시계방향을 따라 회동되면 상기 고정접촉자(121) 및 가동접촉자(131)의 주접점(122,132) 및 아크접점(124,134)이 차례로 분리되며, 분리된 각 접점 사이에는 아크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주접점(122), 아크접점(124) 및 아크런너(141)는 선형적으로 배치되어 있어 상기 가동접촉자(131)의 회동 시 발생된 아크는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투영 시 아크의 이동 경로는 선형을 이루게 되어 아크가 신속하게 이동 됨으로써 주접점(122)의 손상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주접점(122), 아크접점(124) 및 아크런너(141)를 따라 이동된 아크는 상기 소호기구(171)에서 소호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고정접촉자, 가스발생부재 및 아크런너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결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중차단기는, 주접점(122) 및 아크접점(124)을 구비한 고정접촉자(121)와; 일 단은 고정돌기(151)를 구비하여 상기 아크접점(124)을 사이에 두고 상기 주접점(122)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타 단은 소호기구(171)로 연장되는 아크런너(141)와; 상기 고정돌기(151)와 맞물림되어 상기 고정돌기(151)를 고정시키는 돌기고정수단과; 상기 아크런너(141)의 주변에 배치되어 아크와 반응하여 아크 소호를 촉진시키는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부재(18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접촉자(12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1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 상기 고정접촉자(121)의 일 측에는 상기 고정접촉자(121)와 접촉 및 분리될 수 있게 가동접촉자(1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31)는 상기 고정접촉자(121)의 주접점(122) 및 아크접점(124)과 각각 접촉되는 주접점(132) 및 아크접점(134)을 구비하여 회전축(136)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접촉자(121) 및 가동접촉자(131)의 상측에는 아크를 소호할 수 있 도록 복수의 그리드(173)를 구비한 소호기구(17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접촉자(121)는, 대략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고, 판면 일 측에는 주변에 비해 돌출되게 주접점(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접점(122)의 일 측에는 상기 주접점(122)에 비해 축소된 길이를 가지는 아크접점(124)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크접점(124)의 일 측에는 상기 아크런너(141)의 일 측이 삽입될 수 있게 삽입부(1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크접점(124)의 양 측에는 상기 고정접촉자(121)가 스크류에 의해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크런너(141)는, 상기 아크접점(124)의 길이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아크접점측 단부(142a)와, 상기 아크접점측 단부(142a)의 폭에 비해 축소된 폭을 가지는 소호기구측 단부(142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아크접점측 단부(142a)에는 아크의 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곡면을 이루도록 절곡된 절곡부(1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크런너(14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아크유도슬롯(1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크접점측 단부(142a)의 일 측영역에는 상기 아크접점(124)을 향해 돌출된 한 쌍의 고정돌기(1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호기구측 단부(142b)에는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스크류(155)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1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접촉자(121)에는 상기 삽입부(127)에 삽입된 상기 고정돌기(151)와 맞물림되어 상기 고정돌기(151)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상 기 돌기고정수단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크접점(124)의 일 영역이 소성변형되어 상기 고정돌기(151)와 도면 상의 상하방향을 따라 맞물림되게 코킹(calking)처리하여 형성된 코킹부(161)로 구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고정수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51)와 도면 상의 상하방향을 따라 맞물림되게 상기 삽입부(127)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걸림턱(162)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51)가 수용될 수 있게 상기 삽입부(127)의 측벽에 함몰된 홈 형태의 돌기수용부(163)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스발생부재(181)는 고온의 아크와 반응하여 아크의 소호를 촉진하는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수지(예를 들면 나일론 66(PA 66))로 대략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스발생부재(181)는 상기 고정접촉자(121)와 결합 시 내부에 상기 아크접점(124)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일 측에 아크접점수용부(183)가 절취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크접점수용부(183)의 양 측은 상기 삽입부(127)의 양 측을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삽입부(127)에 결합되는 상기 아크런너(141)가 양 측(횡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아크접점수용부(183)의 양 측영역에는 상기 고정접촉자(121)의 관통공(128)과 상호 연통되게 관통공(18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고정접촉자(121)를 상기 프레임(110)에 스크류로 체결할 때 상기 가스발생부재(181)도 동일한 스크류에 의해 동시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류의 체결개소를 줄이기 위함이다.
상기 가스발생부재(181)의 도면 상의 상면에는 상기 아크런너(141)가 소정 깊이로 삽입 및 안착될 수 있게 상기 아크런너(141)의 형상에 대응되게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된 안착부(18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185)에는 상기 아크런너(141)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153)과 상호 연통될 수 있게 관통공(186)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가스발생부재(181)를 상기 프레임(110)에 스크류(155)로 체결할 때 상기 아크런너(141)가 상기 가스발생부재(181)와 동일한 스크류(155)로 동시에 체결되게 함으로써 스크류 체결개소를 줄이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고정접촉자(121)에 상기 아크런너(141) 및 상기 가스발생부재(181)를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고정접촉자(121)의 상면에 상기 아크접점(124)이 수용되게 상기 가스발생부재(181)를 배치한다. 다음, 상기 고정접촉자(121)의 삽입부(127)에 상기 아크런너(141)의 아크접점측 단부(142a)를 삽입하고 상기 안착부(185)에 상기 아크런너(141)가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돌기고정수단이 코킹부(161)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아크런너(141)의 안착 후 상기 아크접점(124)을 코킹 처리하여 코킹부(161)가 형성되도록 한다.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접촉자(121), 상기 가스발생부재(181) 및 아크런너(141)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128,184,186,153)에 스크류를 삽입하여 상기 스크류를 상기 프레임(110)에 각각 체결하면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가동접촉자(131)가 회전축(136)을 중심으로 도면 상의 시계방향을 따라 회동되면 상기 고정접촉자(121) 및 가동접촉자(131)의 주접점(122,132) 및 아크접점(124,134)이 차례로 분리되며, 분리된 각 접점 사이에는 아크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주접점(122), 아크접점(124) 및 아크런너(141)는 선형적으로 배치되어 상 기 가동접촉자(131)의 회동 시 발생된 아크가 평면 투영 시 직선방향을 따라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접점(122)의 손상을 억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발생부재(181)는 고온의 아크에 의해 가스를 발생하여 아크의 소호를 촉진시킴과 아울러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켜 한류 성능을 제고시키게 된다. 상기 주접점(122), 아크접점(124) 및 아크런너(141)를 따라 이동된 아크는 상기 소호기구(171)에서 소호된다.
도 1은 종래의 고정접촉자 및 아크런너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아크런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고정접촉자 및 아크런너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4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돌기고정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각각 돌기고정수단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고정접촉자, 가스발생부재 및 아크런너의 분리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프레임 121 : 고정접촉자
122 : 주접점 124 : 아크접점
127 : 삽입부 128 : 관통공
131 : 가동접촉자 141 : 아크런너
151 : 고정돌기 153 : 관통공
161 : 코킹부

Claims (14)

  1. 주접점 및 아크접점을 구비한 고정접촉자와;
    일 단은 상기 아크접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주접점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타 단은 소호기구로 연장되는 아크런너와;
    상기 고정접촉자와 상기 아크런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접촉자와 상기 아크런너 중 다른 하나에 상기 고정돌기와 맞물림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고정시키는 돌기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기중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아크런너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고정수단은 상기 아크접점을 코킹(calking)처리하여 형성되는 코킹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돌기와 맞물림되는 걸림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돌기가 수용되는 돌기수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촉자에는 상기 아크런너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런너의 상기 소호기구측 단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
  7. 주접점 및 아크접점을 구비한 고정접촉자와;
    일 단은 상기 아크접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주접점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타 단은 소호기구로 연장되는 아크런너와;
    상기 고정접촉자와 상기 아크런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접촉자와 상기 아크런너 중 다른 하나에 상기 고정돌기와 맞물림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고정시키는 돌기고정수단과;
    상기 아크런너의 주변에 배치되어 아크와 반응하여 아크 소호를 촉진시키는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부재는 일 측은 상기 고정접촉자와 동시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아크런너와 동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런너와 상기 가스발생부재에는 상호 연통되게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부재와 상기 고정접촉자에는 상호 연통되게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부재에는 상기 아크런너의 일 영역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촉자에는 상기 가스발생부재의 일 단부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발생부재는 상기 아크접점의 양 측에서 상기 아크런너와 접촉되어 상기 아크런너의 횡방향 유동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런너의 상기 아크접점측 단부에는 단면이 곡선을 이루도록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고정수단은 상기 아크접점의 일 영역을 소성 변형시켜 형성되는 코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
KR1020070085132A 2007-08-23 2007-08-23 기중차단기 KR100914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132A KR100914207B1 (ko) 2007-08-23 2007-08-23 기중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132A KR100914207B1 (ko) 2007-08-23 2007-08-23 기중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394A true KR20090020394A (ko) 2009-02-26
KR100914207B1 KR100914207B1 (ko) 2009-08-27

Family

ID=40687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132A KR100914207B1 (ko) 2007-08-23 2007-08-23 기중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8288A1 (ko) 2012-12-21 2014-06-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기중 차단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767Y2 (ja) * 1986-09-11 1994-08-03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しや断器
KR19990032395A (ko) * 1997-10-17 1999-05-15 이종수 회로차단기의 아크런너
KR100386629B1 (ko) 2000-10-28 2003-06-02 엘지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소호장치
KR100383175B1 (ko) * 2001-05-10 2003-05-12 엘지산전 주식회사 기중 차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8288A1 (ko) 2012-12-21 2014-06-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기중 차단기
CN104011821A (zh) * 2012-12-21 2014-08-27 现代重工业株式会社 空气断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207B1 (ko) 200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7258B2 (en) Circuit breaker
US7234981B2 (en) Spring force terminal
US8693170B2 (en) Control assembly comprising a variable speed drive and a circuit breaker
US7586057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vented case therefor
EP2871654B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20130062317A1 (en) Installation switching device
JP5276534B2 (ja) 回路遮断器、及び回路遮断器の取付装置
KR20170079582A (ko)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1740755B1 (ko) 다극 차단 장치의 밸브를 이격하는 기능적 스페이서 및 회로 차단기
KR100914207B1 (ko) 기중차단기
KR101740078B1 (ko) 이중 인클로저를 구비한 다극 개폐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JP4908118B2 (ja) 回路遮断器
US7545247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case and terminal shield therefor
KR20040002675A (ko) 전자기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
KR20150118457A (ko) 배선용 차단기
JP7019095B2 (ja) 接続変換アダプタおよび電気機器
KR101651749B1 (ko) 회로 차단기
JP4908121B2 (ja) 回路遮断器
JP6234872B2 (ja) 回路遮断器
CN216624127U (zh) 动触头支架组件和接触器
JP7069402B2 (ja) 速結端子ユニットおよび回路遮断装置
JP7043269B2 (ja) 回路遮断器
JP4229362B2 (ja) 配線用遮断器
KR101666869B1 (ko) 전원분배장치
JP3891942B2 (ja) 電気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