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801A - 피부외용제 - Google Patents

피부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801A
KR20090019801A KR1020087028561A KR20087028561A KR20090019801A KR 20090019801 A KR20090019801 A KR 20090019801A KR 1020087028561 A KR1020087028561 A KR 1020087028561A KR 20087028561 A KR20087028561 A KR 20087028561A KR 20090019801 A KR20090019801 A KR 20090019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rbon atoms
formula
oxyethylene group
ox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7750B1 (ko
Inventor
레이지 미야하라
고우조우 히와타리
게이 와타나베
다카시 오카
게이이치 마루야마
게이이치 요코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90019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습,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 및 사용 감촉이 우수한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80425696-PCT00021
(화학식 1에서, Y는 3~6개의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콜의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이며, k는 상기 다가 알콜의 수산기 수이고, EO는 옥시에틸렌기이며, AO는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이고, 1≤a≤70, 1≤b≤70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20~100 질량%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는 랜덤 형상으로 부가되어 있다. R은 동일 또는 상이해도 좋고,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이다.)

Description

피부외용제{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본 발명은 피부외용제, 특히 유효 성분으로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의 보습,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 및 사용 감촉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분 유지가 불가피하고, 보습을 목적으로 한 피부외용제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피부외용제의 사용감으로서는 매끄러움이 있고, 끈적임이 없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보습제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실시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화장수나 유액 등 각종 용도에 이용되고 있는 보습제로서 글리세린을 들 수 있다. 이 글리세린은 보습 효과 이외에 피부 거칠음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그러나 글리세린은 보습 효과·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배합량을 늘리지 않으면 안되고, 그 결과 계(系)가 불안정해지거나 사용성이 나빠지고, 또 피부에 적용한 경우, 피지에 의해 겉돌아서 피부로의 스며듬이 나빠지는 등 해결해야할 과제가 있었다.
또한 글리세린 이외의 보습제로서 1,3-부틸렌글리콜, 알킬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톨, 크실리톨 등의 폴리올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폴리올류는 글리세린에 비하면 사용 감촉, 예를 들면 끈적임은 적지만 보습 효과나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는 낮고, 또한 글리세린과 마찬가지로 피부에 적용한 경우, 피지에 의해 겉돌아서 피부로의 스며듬이 나빠지는 등 해결해야할 과제가 있었다.
한편, 사용감이 양호하고, 스킨케어 효과가 있는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가 보고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 (폴리)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는 유성 기제이고, 유분으로서 소수성 피막 형성에 의한 배리어 기능, 경피 수분 손실 억제라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수용성이 낮고, 그 자체가 보습제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이 아니었다.
또한, 이들 결점을 해결할 목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예를 들면,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 참조)를 개발했지만, 끈적임 개선이 더 요구되었다.
특허문헌 1: 특허공보 제3658012호
특허문헌 2: 특허공보 제3660650호
특허문헌 3: 특허공보 제3667707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습,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 및 사용감의 개선을 도모한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한 결과, 피부외용제에 특정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배합하면, 사용 감촉, 특히 매끄러움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외용제가 수득되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글리세린 등의 보습제와 함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병용하면, 보습제의 경피 흡수가 촉진되어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가 상승적으로 현저히 향상되고, 보습제에 기인하는 끈적임도 개선되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가 알부틴 등의 미백제에 대해서도 경피 흡수 촉진 작용을 발휘하는 것이 판명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8080425696-PCT00001
(화학식 1에서, Y는 3~6개의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콜의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 k는 상기 다가 알콜의 수산기 수, EO는 옥시에틸렌기, AO는 탄소수 3~4의 옥시 알킬렌기이고, 1≤a≤70, 1≤b≤70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20~100 질량%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는 랜덤 형상으로 부가되어 있다. R은 동일 또는 상이해도 좋고,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에서, Y가 펜타에리스리톨의 잔기이고, 옥시에틸렌기와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이 50~80질량%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0.01~70 질량%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습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거칠음 개선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끈적임 개선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피 흡수 촉진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와 친수성 약제를 함유하고, 또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가 친수성 약제의 경피 흡수 촉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친수성 약제가 보습제인 것이 적합하고, 보습제가 글리세린 또는 크실리톨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친수성 약제가 하이드로퀴논 유도체 및 아스코르빈산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피 흡수 컨트롤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는 특정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배합함으로써, 첫째, 사용 감촉, 특히 매끄러움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어지며, 둘째, 보습 효과·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보습제를 병용하면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가 그 보습제의 각질 침투성을 촉진하여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가 현저히 향상된다. 또한, 미백제 등에 대해서도 경피 흡수를 촉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의 글리세린에 대한 경피 흡수 촉진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의 크실리톨에 대한 경피 흡수 촉진 효과를 도시한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와 직쇄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가 계면활성제의 회합(會合) 수를 낮추는 작용을 비교한 상(相) 평형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는 본 발명자들이 이전에 보고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라는 것은 성능의 점에서 상위점을 갖는다. 즉, 입체적으로 높은 구조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는 직쇄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보다도 회합수를 낮추는 작용이 강하므로 점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해하는 효과가 커진다. 따라서 피부외용제로 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배합한 것은 뻑뻑함이나 끈적임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Figure 112008080425696-PCT00002
(화학식 2에서, AO는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 m 및 n은 각각 상기 옥시알킬렌기,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이고, 1≤m≤70, 1≤n≤70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20~80 질량%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는 블록 형상으로 부가되어 있어도 랜덤 형상으로 부가되어 있어도 좋다. R1, R2는 동일 또는 상이해도 좋고,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 원자이고, R1 및 R2의 탄화수소기수에 대한 수소 원자 수의 비율이 0.15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에서, AO는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이고, 구체적으로는 옥시프로필렌기, 옥시부틸렌기, 옥시이소부틸렌기, 옥시트리메틸렌기, 옥시테트라메틸렌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옥시프로필렌기, 옥시부틸렌기를 예로 들 수 있다.
a는 탄소수 3~4의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이고, 1≤a≤70, 바람직하게는 2≤a≤20이다. b는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이고, 1≤b≤70, 바람직하게는 2≤b≤20이다. 또한, a 및 b의 값은 동일 또는 상이해도 좋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 또는 옥시에틸렌기가 0이면 촉촉함이 떨어지고, 70을 초과하면 끈적임이 생겨 매끄러움이 충분히 수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에틸렌옥시드 및 탄소수 3~4의 알킬렌옥시드의 부가는 랜덤 형상으로 부가되어 있는 것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서, Y는 3~6개의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콜의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이고, k는 상기 다가 알콜의 수산기 수이고, 3~6이다. 3~6개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k=3인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k=4인 에리스리톨, 펜타에리스리톨, k=5인 크실리톨, k=6인 소르비톨, 이노시톨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에 배합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는 상기 3~6개의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의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를 기본 골격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Y가 3~4개의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콜의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즉 3≤k≤4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가 2 이하이면 피부외용제에 배합한 경우에 매끄러움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k가 7이상이면 끈적임을 생기게 하는 경향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Y가 펜타에리스리톨이고, k=4이다.
R이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 원자이고, 탄화수소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이다. 탄소수 5 이상의 탄화수소기에서는 친수성이 저하되고, 촉촉함이 저하된다.
R은 각각 일종만을 이용해도, 이종(異種)의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가 혼재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R이 수소 원자인 측사슬이 혼재하는 경우도 상정된다. 단, 본 발명에서는 R의 탄화수소기 중, 탄화수소기와 수소원자의 존재 비율은 탄화수소기의 수(X)에 대한 수소 원자의 수(Y)의 비율(Y/X)이 0.1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6 이하이다. Y/X의 비율이 0.15를 초과하면 끈적임이 생긴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서 AO와 EO의 합계에 대한 상기 화학식 1의 전체 EO의 비율은 20~100 질량%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20~90 질량%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50~80 질량%이다. 20 질량%보다 작으면 촉촉한 사용 감촉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는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펜타에리스리톨에 에틸렌옥시드 및 탄소수 3~4의 알킬렌옥시드를 부가 중합한 후, 할로겐화 알킬을 알칼리 촉매의 존재하에 에테르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로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01~70 질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0.5~40 질량% 정도 배합된다. 0.01 질량% 미만에서는 배합에 의한 효과의 발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또한 70 질량%를 초과하면 사용 후, 끈적임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는 피부외용제에 배합되면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를 발휘한 다. 또한, 글리세린 등의 다른 보습제를 추가로 배합한 경우에는 그 끈적임을 억제하는 효과가 인정된다. 공존할 수 있는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크실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콘드로이틴 황산, 히알루론산, 무코이틴 황산, 아테로 콜라겐, 콜레스테릴-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락트산 나트륨, 담즙산염, dl-피롤리돈카르본산염, 단쇄(短鎖) 가용성 콜라겐, 디글리세린(EO)PO 부가물, 이자요 장미 추출물, 서양 톱풀 추출물, 메리로트 추출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I)는 다른 보습제의 각질 침투성을 촉진하는 작용도 갖는다. 따라서, 피부외용제중에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I)와 다른 보습제를 병용하면 그 상승 효과에 의해 매우 높은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를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보습제로서는 상기 기재된 것을 예로 들 수 있지만, 특히 글리세린, 크실리톨이 바람직하다.
보습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피부외용제 전량중 0.001~20.00 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0.1~10.0 질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I)는 보습제 이외의 친수성 약제, 예를 들면 알부틴 등의 미백제에 대해서도 각질 침투성을 촉진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는 상기 필수 성분을 기존의 피부외용제 기제에 배합함으로써 조정된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는 상기 필수 구성 성분외에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이용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면 분말 성분, 액체 유지, 고체 유지, 왁스, 탄화수소,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콜, 에스테르, 실리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증점제, 피막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이온 봉쇄제, 저급 알콜, 다가 알콜, 당, 아미노산, 유기 아민, 고분자 에멀젼, pH 조정제, 피부 영양제, 비타민, 산화방지제, 산화 방지 조제, 향료, 물 등을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배합하고, 목적으로 하는 제형에 따라서 상법(常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 구체적인 배합 가능 성분을 열거하지만, 상기 필수 배합 성분과 하기 성분의 임의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배합하여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를 조제할 수 있다.
분말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 분말(예를 들면, 탈크, 카올린,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홍운모, 흑운모, 퍼미큐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 황산 칼슘(소(燒) 석고), 인산칼슘, 불소아파타이트,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 비누(예를 들면, 미리스틴산 아연, 팔미틴산 칼슘,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질화붕소 등); 유기분말(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사불화에틸렌 분말, 셀룰로스 분말 등); 무기 백색 안료(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 무기 적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철(벵갈라), 티탄산철 등); 무기 갈색계 안료(예를 들면, γ-산화철 등); 무기 황색계 안료(예를 들면, 황산화철, 황토 등); 무기 흑색계 안료(예를 들면, 흑산화철, 저차(低次) 산화티탄 등); 무기 자색계 안료(예를 들면, 망고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 무기 녹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 무기 청색계 안료(예를 들면, 군청, 감청 등); 펄 안료(예를 들면, 산화티탄 코팅 마이카, 산화티탄 코팅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코팅 탈크, 착색 산화티탄 코팅 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생선 비늘박 등); 금속 분말 안료(예를 들면, 알루미늄 파우더, 카파 파우더 등);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예를 들면,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오렌지색 203호, 오렌지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및 청색 404호 등의 유기 안료,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오렌지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및 청색 1호 등); 천연 색소(예를 들면, 클로로필, β-카로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보가드유, 동백나무유, 터틀유, 마카데미아너츠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난황유, 참깨유, 살구유, 소맥 배아유, 산다화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샤플라워유, 면실유, 들깨유, 대두유, 낙화생유, 다실유, 비자나무유, 쌀겨유, 시나기리유, 일본 키리유, 호호바유, 맥아유, 트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고체 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카카오유, 야자유, 마지(馬脂), 경화 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 우지, 팜핵유, 돈지, 우골지, 목랍핵유, 경화유, 우각지, 목 랍, 경화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왁스류로서는 예를 들면 밀랍, 칸데릴라 왁스, 면랍, 카르나우바 왁스, 베이베리 왁스, 이보타 왁스, 고래 왁스, 몬탄로우, 누카로우, 라놀린, 카복로우, 아세트산 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린산 헥실, 환원 라놀린, 죠죠바 왁스, 경질 라놀린, 세락로우, POE 라놀린알콜에테르, POE 라놀린알콜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수소 첨가 라놀린알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란, 프리스탄, 파라핀, 셀레신, 스쿠알렌, 바세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헨산, 올레인산, 운데실렌산, 이소스테아린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직쇄형 알콜(예를 들면, 라우릴알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미리스틸알콜, 올레일알콜, 세토스테아릴알콜 등); 분지쇄형 알콜(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콜),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알콜,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콜, 옥틸도데칸올 등 )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에스테르유로서는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 부틸,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 미리 스틸, 올레인산 데실,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락트산 세틸, 락트산 미리스틸, 아세트산 라놀린, 스테아린산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 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산산 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N-알킬글리콜, 디카프린산 네오펜틸글리콜,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린, 트리옥탄산 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틴산 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틴산 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올레인산올레일, 아세토글리세라이드, 팔미틴산 2-헵틸운데실, 아디핀산 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핀산 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신산 디-2-에틸헥실, 미리스틴산 2-헥실데실, 팔미틴산 2-헥실데실, 아디핀산 2-헥실데실, 세바신산 디이소프로필, 숙신산 2-에틸헥실, 구연산 트리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서는 예를 들면, 사슬형 폴리실록산(예를 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페닐폴리실록산 등); 환형 폴리실록산(예를 들면,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 3차원 그물코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각종 변성 폴리실록산(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알킬 변성 폴리실록산, 불소 변성 폴리실록산 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산 비누(예를 들면, 라우린산 나트륨, 팔미틴산 나트륨 등); 고급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예를 들면,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칼륨 등);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예를 들면, POE-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황산나트륨 등); N-아실사르코신산(예를 들면,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등); 고급 지방산 아미드설폰산염(예를 들면, N-미리스토일-N-메틸라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리드나트륨, 라우릴메틸타우리드나트륨 등); 인산에스테르염(POE-올레일에테르인산나트륨, POE-스테아릴에테르인산 등); 설포숙신산염(예를 들면, 디-2-에틸헥실설포숙신산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설포숙신산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설포숙신산나트륨 등); 알킬벤젠설폰산염(예를 들면, 선형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선형 도데실벤젠설폰산트리에탄올아민, 선형 도데실벤젠설폰산 등);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황산 에스테르염(예를 들면, 경화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 황산 나트륨 등); N-아실글루타민산염(예를 들면, N-라우로일글루타민산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타민산모노나트륨 등); 황산화유(예를 들면, 로트유 등); POE-알킬에테르카르본산; POE-알킬알릴에테르카르본산염; α-올레핀설폰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설폰산염; 이급 알콜 황산 에스테르염; 고급 지방산 알킬올아미드 황산 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 숙신산 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 디트리에탄올아민; 카제인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예를 들면,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등); 알킬피리디늄염(예를 들면, 염화세틸피리디늄 등);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알킬 사급 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리호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지방산 유도체; 아밀알콜 지방산 유도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미다졸린계 양성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틸옥시2나트륨염 등); 베타인계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 아세트산 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설포베타인 등) 등을 들 수 있다.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 디글리세롤소르비탄 등); 글리세린폴리글리세린 지방산류(예를 들면, 모노 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에루카산 글리세린, 세스퀴올레인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α, α'-올레인산 피로글루타민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말산 등);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린산 프로필렌글리콜 등);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등 을 들 수 있다.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등); POE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펜타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모노올레에이트 등); POE-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에이트, 디스테아린산에틸렌글리콜 등); POE-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탄올에테르 등); 플루로닉형류(예를 들면, 플루로닉 등); POE·POP-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POE·POP-세틸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POP-모노부틸에테르, POE·POP-물 첨가 라놀린, POE·POP-글리세린에테르 등); 테트라 POE·테트라 POP-에틸렌디아민 축합물류(예를 들면, 테트로닉 등); POE-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예를 들면, POE-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타민산 모노이소스테아린산디에스테르, POE-경화 피마자유 말레인산 등); POE-밀랍·라놀린 유도체(예를 들면, POE-소르비트 밀랍 등); 알칸올아미드(예를 들면,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린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 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 POE-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POE-알킬아민; POE-지방산 아미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시드; 트리올레일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갈락탄, 구아검, 캬로브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칸텐, 쿠인스시드(마루메로), 알게코로이드(갈조류 엑기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글리틸리틴산); 미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크산탄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브루란 등); 동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반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전분계 고분자(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 셀룰로스계 고분자(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셀룰로스 황산 나트륨,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스, 셀룰로스말(末) 등); 아르긴산계 고분자(예를 들면, 아르긴산 나트륨, 아르긴산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20,000, 60,000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공중합체 등); 아크릴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 머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아검, 카라기난, 카라야검, 트라가칸트검, 캬로브검, 쿠인스시드(마루메로), 카제인, 덱스트린, 젤라틴, 펙틴산나트륨, 아라긴산나트륨,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CM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PVA, PVM, PVP,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로커스트빈검, 구아검, 타마린트검, 디알킬디메틸암모늄 황산 셀룰로스, 크산탄검,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규산 AlMg(비검), 라포나이트, 무수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파라아미노벤조산(이하, PABA라고 함), PABA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에틸에스테르 등);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 신남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 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등);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 3-(4'-메틸벤질리덴)-d,l-캄파, 3-벤질리덴-d,l-캄파; 2-페닐-5-메틸벤족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자라딘; 디아니조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5-(3,3-디메틸-2-노르보르닐리덴)-3-펜탄-2-온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이온 봉쇄제로서는, 예를 들면,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사나트륨염,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에데트산사나트륨, 구연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린산나트륨, 글루콘산, 인산,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숙신산, 에데트산,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삼아세트산삼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틸알콜, t-부틸알콜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2가의 알콜(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2,3-부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2-부텐-1,4-디올, 헥실렌글리콜, 옥틸렌글리콜 등); 3가의 알콜(예를 들면,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 4가 알콜(예를 들면, 1,2,6-헥산트리올 등의 펜타에리스리톨 등); 5가 알콜(예를 들면, 크실리톨 등); 6가 알콜(예를 들면, 소르비톨, 만니톨 등); 다가 알콜 중합체(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 2가의 알콜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2-메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아밀에테르, 에틸렌글리콜벤질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 2가 알콜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 등); 2가 알콜에테르에스테르(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 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디베이트, 에틸렌글리콜디숙시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등);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예를 들면, 키밀알콜, 세라킬알콜, 바틸알콜 등); 당알콜(예를 들면, 소르비톨, 말티톨, 말트트리오스, 만니톨, 자당,에리트리올, 글루코스, 프룩토스, 전분 분해당, 말토스, 크실리토스, 전분 분해당 환원 알콜 등);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알콜; POE-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알콜; POP-부틸에테르; POP·POE-부틸에테르; 트리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인산; POP·POE-펜탄에리스리톨에테르, 폴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단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삼탄당(예를 들면, D-글리세릴알데히드, 디히드록시아세톤 등); 사탄당(예를 들면, D-에리트로스, D-에리톨로스, D-트레오스, 에리스리톨 등); 오탄당(예를 들면 L-아라비노스, D-크실로스, L-리키소스, D-아라비노스, D-리보스, D-리브로스, D-크실로스, L-크실로스 등); 육탄당(예를 들면, D-글루코스, D-타로스, D-부시코스, D-갈락토스, D-프룩토스, L-갈락토스, L-만노스, D-타가토스 등); 칠탄당(예를 들면, 아루도헵토스, 헵토스 등); 팔탄당(예를 들면 오쿠츠로스 등); 데옥시당(예를 들면, 2-데옥시-D-리보스, 6-데옥시-L-갈락토스, 6-데옥시-L-말토스 등); 아미노당(예를 들면, D-글루코사민, D-갈락토사민, 시알 산, 아미노우론산, 무라민산 등); 우론산(예를 들면, D-글루쿠론산, D-만누론산, L-글루론산, D-갈락트론산, L-이즈론산 등) 등을 들 수 있다.
올리고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자당, 군치아노스, 운베리페로스, 락토스, 프란테오스, α,α-트레할로스, 라피노스, 스타퀴오스, 벨바스코스류 등을 들 수 있다.
다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스, 쿠인스시드, 콘드로이틴 황산, 전분, 갈락탄, 델마탄황산, 글리코겐, 아라비아검, 헤파란황산, 히알루론산, 트리간트검, 케라탄황산, 콘드로이틴, 크산탄검, 무코이틴 황산, 구아검, 덱스트란, 케라토황산, 로커스트빈검, 숙시노글루칸, 카로닌산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중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트레오닌, 시스테인 등); 염기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히드록시리딘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로서 예를 들면, 아실사르코신나트륨(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아실글루타민산염, 아실β-알라닌나트륨, 글루타티온, 피롤리돈카르본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아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르폴린,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에멀젼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에멀젼, 폴리아크릴산 에틸에멀젼, 아크릴 레진액, 폴리아크릴알킬에스테르에멀젼, 폴리아세트산비닐수지 에멀젼, 천연고무 라텍스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제제(調製劑)로서는 예를 들면 락트산-락트산 나트륨, 구연산-구연산 나트륨, 숙신산-숙신산 나트륨 등의 완충제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로서는 예를 들면 비타민 A, B1, B2, B6, C, E 및 그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토코페롤류,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졸, 몰식자산(沒食子酸)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 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말레인산, 마론산, 숙신산, 푸말산, 케팔린, 헥사메타포스페이트, 피틴산, 에틸렌디아민 사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그외의 배합 가능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방부제(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 소염제(예를 들면, 글리틸리틴산 유도체, 글리틸레틴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히녹티올, 산화아연, 알란토인 등); 미백제(예를 들면, 태반 추출물, 범의귀 추출물, 알부틴 등); 각종 추출물(예를 들면, 황벽나무, 황련, 자근, 작약, 월년초, 자작나무, 세지, 비파나무, 인삼, 알로에, 당아욱, 아이리스, 포도, 율무쌀, 수세미, 백합, 천궁이, 죠유큐, 고추나물, 오토니스, 마늘, 고추, 진피, 도우키, 해조 등), 부활제(예를 들면, 로얄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등); 혈행 촉진제(예를 들면,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캅사이신, 진게론, 칸타리스틴키, 이쿠타몰,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 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데레이트, 신나리딘, 트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올리자놀 등); 항지루제(예를 들면, 유 황, 티안톨 등); 항염증제(예를 들면, 트라넥삼산,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의 제형은 임의이고, 용액계, 가용화계, 유화계, 분말 분산계, 물-기름 이층계, 물-기름-분말 삼층계, 젤, 미스트, 스프레이, 무스, 롤온, 스틱 등 어떤 제형이라도 관계없다. 부직포 등의 시트에 함침 또는 도포한 제제 등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의 제품 형태도 임의이고, 화장수, 유액, 크림, 팩 등의 페이셜(facial) 화장료; 파운데이션, 립스틱, 아이새도우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자외선 차단 화장료(선스크린제); 바디 화장료; 방향 화장료, 메이크업 제거, 바디샴프 등의 피부 세정료; 헤어 리퀴드, 헤어 토닉, 헤어 컨디셔너, 샴푸, 린스, 육모료(育毛料) 등의 모발 화장료; 연고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 앞서 평가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컨덕턴스 측정에 의한 시험법」
10명의 패널의 전완부를 이용하여 도포 전과 도포 후 30분, 60분, 120분 경과시의 피부 컨덕턴스를 측정하고, 이 변화율로 보습 효과를 평가했다. 또한, 피부 컨덕턴스의 변화율은 이하의 식(Ⅲ)에 의해 구해지고, 각층의 흡수성, 수분 유지 능력으로의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변화율이 작으면 각층 수분의 증가가 있고, 보습 효과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식(Ⅲ)
컨덕턴스 변화율=(도포 전의 컨덕턴스)/(도포 후의 컨덕턴스)
「컨덕턴스 측정에 의한 시험」의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패널 10명의 컨덕턴스 변화율의 평균:0 이상 0.1 미만
○…패널 10명의 컨덕턴스 변화율의 평균:0.1 이상 0.2 미만
△…패널 10명의 컨덕턴스 변화율의 평균:0.2 이상 0.5 미만
×…패널 10명의 컨덕턴스 변화율의 평균:0.5 이상
「평가(1): 피부의 매끄러움」
사용 중 및 사용 후의 피부의 매끄러움을 전문 패널 10명에 의해 실사용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전문 패널 8명 이상이 사용 중 및 사용 후 피부가 매끄럽다고 인정했다.
○…전문 패널 6명 이상 8명 미만이 사용 중 및 사용 후 피부가 매끄럽다고 인정했다.
△…전문 패널 3명 이상 6명 미만이 사용 중 및 사용 후 피부가 매끄럽다고 인정했다.
×…전문 패널 3명 미만이 사용 중 및 사용 후 피부가 매끄럽다고 인정했다.
「평가(2): 피부의 끈적임이 없음」
사용 중 및 사용 후의 피부에 끈적임이 없는 것을 전문 패널 10명에 의해 실사용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전문 패널 8명 이상이 사용 중 및 사용 후 피부에 끈적임이 없다고 인정 했다.
○…전문 패널 6명 이상 8명 미만이 사용 중 및 사용 후 피부에 끈적임이 없다고 인정했다.
△…전문 패널 3명 이상 6명 미만이 사용 중 및 사용 후 피부에 끈적임이 없다고 인정했다.
×…전문 패널 3명 미만이 사용 중 및 사용 후 피부에 끈적임이 없다고 인정했다.
「평가(3): 보습 효과」
사용 120분후의 보습 효과의 유무를 전문 패널 10명에 의해 실사용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전문 패널 8명 이상이 보습 효과가 있다고 인정했다.
○…전문 패널 6명 이상 8명 미만이 보습 효과가 있다고 인정했다.
△…전문 패널 3명 이상 6명 미만이 보습 효과가 있다고 인정했다.
×…전문 패널 3명 미만이 보습 효과가 있다고 인정했다.
「평가(4):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 시험」
얼굴(부위:볼)에 피부 거칠음이 있는 10명의 패널에 의해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 방법은 좌우 볼에 다른 화장수를 1주일 도포하고, 그 기간 종료 후 익일에 판정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패널 8명 이상이 피부 거칠음이 개선되었다고 인정했다.
○…패널 6명 이상 8명 미만이 피부 거칠음이 개선되었다고 인정했다.
△…패널 3명 이상 6명 미만이 피부 거칠음이 개선되었다고 인정했다.
×…패널 3명 미만이 피부 거칠음이 개선되었다고 인정했다.
「평가(5): 피부 자극 시험」
10명의 패널의 상완 내측부에 24시간의 폐색(閉塞) 패치를 실시하고, 그 후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균값을 산출했다.
0…전혀 이상이 인정되지 않는다.
1…약간 홍조가 인정된다.
2…홍조가 인정된다.
3…홍조와 구진(丘疹)이 인정된다.
「피부 자극 시험」의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패널 10명의 평균값: 0 이상 0.1 미만
○…패널 10명의 평균값: 0.1 이상 0.15 미만
△…패널 10명의 평균값: 0.15 이상 0.2 미만
×…패널 10명의 평균값: 0.2 이상
우선, 본 발명자들은 각종 보습제 각 10% 수용액에 대해, 상기 기준에 의해 컨덕턴스 평가를 실시했다.
Figure 112008080425696-PCT00003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1,3-부틸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의 일반적인 보습제에 비교하여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가 보습성이 우수한 것이 명확해졌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에 대해 검토를 진행했다.
또한, 시험에서 이용한 각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는 하기 합성예 1 내지 2에 준해 제조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EO는 옥시에틸렌기, PO는 옥시프로필렌기, [(EO)/(PO)]는 랜덤 형상 결합을 나타낸다.
합성예 1 랜덤 폴리머의 합성예
펜타에리스리트·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2몰)·폴리에틸렌글리콜(9몰)테트라메틸에테르
펜타에리스리톨 34g과 촉매로서 수산화칼륨 3.1g을 오토클레이브중에 넣고, 오토클레이브중의 공기를 건조 질소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140℃에서 촉매를 완전히 용해했다. 계속해서 적하 장치에 의해 에틸렌옥시드 396g과 프로필렌옥시드 116g의 혼합물을 적하시켜 2시간 교반했다. 계속해서 수산화칼륨 75g을 넣고, 계내를 건조 질소로 치환한 후, 염화메틸 50g을 온도 80~130℃에서 압입하여 5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오토클레이브에서 반응 조성물을 취출하고, 염산으로 중화하여 pH 6~7로 하고, 함유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감압-0.095MPa(50mmHg), 100℃에서 1시간 처리했다. 또한, 처리후 생성된 염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를 실시하여 펜타에리스리트 유도체를 수득했다.
염화메틸을 반응시키기 전에 샘플링하고, 정제한 것의 수산기가(水酸基價)는107이고, 수득된 화합물의 수산기는 0.4이며, 말단 메틸기 수에 대한 수소 원자수의 비율은 0.004이고, 거의 완전히 수소 원자가 메틸기로 변환되어 있다.
합성예 2 소르비톨 유도체의 합성
소르비톨·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12몰)·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54몰)헥사메틸에테르
소르비톨 182g과 촉매로서 수산화칼륨 18g을 오토클레이브중에 넣고, 오토클레이브 중의 공기를 건조 질소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140℃에서 촉매를 완전히 용해했다. 계속해서 적하 장치에 의해 에틸렌옥시드 2376g과 프로필렌옥시드 696g의 혼합물을 적하시켜 4시간 교반했다. 계속해서 수산화칼륨 600g을 넣고, 계내를 건조 질소로 치환한 후, 염화메틸 700g을 온도 80~130℃로 압입하여 5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오토클레이브에서 반응 조성물을 취출하고, 염산으로 중화하여 pH 6~7로 하고, 함유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감압-0.088MPa(게이지압), 100℃에서 1시간 처리했다. 또한, 처리 후 생성한 염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를 실시하여 소르비톨 유도체를 수득했다.
염화메틸을 반응시키기 전에 샘플링하고, 정제한 것의 수산기가는 109이고, 수득된 소르비톨 유도체의 수산기가는 0.7이며, 말단 메틸기수에 대한 수소 원자수의 비율은 0.006이고, 거의 완전히 수소 원자가 메틸기로 변환되어 있다.
상기 각 합성예에 준해 각종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조정하고, 하기 시험용 기본 조성을 이용하여 그 피부외용제로서의 평가를 실시했다.
(시험용 기본 조성)
에탄올 2 질량%
글리세린 5
1,3-부틸렌글리콜 5
니코틴산아미드 0.3
피롤리돈카르본산나트륨 0.5
정제수 잔여
[R의 결정]
우선, 본 발명자들은 R과 피부외용제로서의 적성(適性)과의 상관(相關)에 대해 검토했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모든 화합물도 펜타에리스리트 유도체이고, EO, PO부는 [(EO)9/(PO)2]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각 화합물의 배합량은 상기 기본 조성에 대해 5 질량%이다.
Figure 112008080425696-PCT00004
상기 표 2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R의 탄소수가 1~4의 경우(화합물 2~5)에는 모두 우수한 보습 효과, 사용감이 수득되었다.
이에 대해, R이 수소인 경우(화합물 1)에는 끈적임이 강하고, 또한 R이 C5인 경우(화합물 5)에는 보습성, 사용감 모두 바람직하지 않게 되었다.
상기와 같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기제에는 R에는 탄소수가 1~4의 탄화수소기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 실제 제조시에는 R의 전부가 탄화수소기에 의해 치환된다고는 한정되지 않으므로 그 미치환(H)의 화합물의 허용 존재 비율에 대해 검토를 실시했다. 또한, 미치환의 비율은 탄화수소기의 수(X)에 대한 수소 원자의 수(Y)의 비율 Y/X로 나타낸다. 또한, 하기 표 3에 있어서 1:2=5:95는 화합물 1과 화합물 2를 5:95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정의 Y/X를 조정한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08080425696-PCT00005
상기 표 3으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R에 대해 미반응의 것이 존재해도 그 양이 적으면 (Y/X=0.053) 큰 영향은 없지만, Y/X가 0.202가 되면 명확히 끈적임을 생기게 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상세한 검토 결과, Y/X는 0.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이 명확해졌다.
[옥시알킬렌기, 옥시에틸렌기]
계속해서 본 발명자들은 옥시알킬렌기, 옥시에틸렌기의 존재와 피부외용제(상기 기본 조성에 대해 5 질량% 배합)로서의 적성에 대해 검토를 실시했다.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화합물 7~11, 14는 모두 펜타에리스리트 유도체이고, R이 CH3, 옥시알킬렌기, 옥시에틸렌기는 랜덤 형상으로 부가하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Figure 112008080425696-PCT00006
하기에 화학식 4의 구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80425696-PCT00007
상기 표 4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옥시알킬렌기 및 옥시에틸렌기의 양자의 존재가 본 발명의 보습성, 사용성이 불가결하고, 상기 화학식 4에 나타내는 화합물 12도 효과가 낮기 때문에 단지 친수성, 소수성의 조정 효과가 아니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의 더 상세한 검토에 의해 옥시알킬렌기 및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적합한 비율은 대략 20 질량%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0~90 질량%인 것이 명확해졌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동일 알킬렌기 수, 옥시에틸렌기 수로 블럭 폴리머, 랜덤 폴리머를 조제하여 그 비교를 실시했다.
Figure 112008080425696-PCT00008
상기 표 5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특히 랜덤 폴리머의 경우에 우수한 사용감을 수득할 수 있다.
[피부외용제로의 배합량]
계속해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의 피부외용제(상기 기본 처방)로의 배합량에 대해 더 검토를 실시했다.
Figure 112008080425696-PCT00009
상기 표 6에 나타낸 결과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첨가 효과는 0.01 질량% 정도에서 인식되지만, 특히 현저히 인식되는 것은 0.5 질량% 이상이다. 단, 70 질량%가 되면 약간 끈적임이 생기기 시작하므로 40 질량% 정도까지의 배합이 바람직하다.
[끈적임 개선 효과]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에 관해 각종 배합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에 글리세린 등의 보습제에 나타나는 끈적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상기 표 6에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 무배합의 시험구에서도 글리세린 등에 기인하는 끈적임이 인식된다. 이에 대해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첨가하면, 단지 끈적임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보습제에 기인하는 끈적임을 개선할 수 있다.
[경피 흡수 촉진 효과]
하기 표 7과 같이,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I)나 글리세린은 그 자체가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를 갖지만, 다른 보습제와의 병용계에서는 그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가 상승적으로 현저히 개선된다.
Figure 112008080425696-PCT00010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의 작용을 더 상세히 검토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에 글리세린 등의 다른 보습제의 각질 침투 촉진 작용이 있는 것도 판명했다. 즉, 도 1과 같이 글리세린 단독의 경우(컨트롤)에 비해 본 발명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병용한 경우(시료 2)가 글리세린의 침투량이 약 40% 증대했다. 도 1의 시험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피험 시료
Figure 112008080425696-PCT00011
2. 시험 방법
시험은 테이프 스트리핑법에 의해 실시했다. 테이프 스트리핑법은 약물을 도포 후, 각층을 테이프로 박리하고, 각층 내의 약물 농도를 구하는 수법이며, 사람 피부의 약물 흡수량을 계산하는 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1)~(7)의 순서로 조작을 실시하고, 테이프로 박리한 각층으로부터의 글리세린 회수량으로 글리세린의 침투성을 조사했다. 시험은 4명의 패널에 의해 실시하고, 그 평균값으로 평가했다.
(1) 패널의 양팔 전완 내측부를 비누 세정.
(2) 시료 도포(20ml/20㎠). 전완 내측부에서 우완은 손목에 가까운 쪽에 시료 1, 팔꿈치 관절에 가까운 쪽에 시료 2를 도포한다. 좌완은 시료 1, 2가 우완과 역의 위치가 되도록 도포한다.
(3) 4시간 방치.
(4) 양팔 전완 내측부 비누 세정.
(5) 각층 테이프 스트리핑(8층).
(6) 테이프로부터 이온 교환수로 글리세린을 추출.
(7) 글리세린 정량(HPLC).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대신에 크실리톨을 이용하여 동일하게 검토를 실시했다. 또한, 시험 방법은, (3) 방치 시간을 6시간으로 한 것 이외는 상기 글리세린의 테이프 스트리핑법과 동일했다. 이용한 시료는 하기 표 9와 같다.
Figure 112008080425696-PCT00012
결과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4명의 패널 A~D 모두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배합하지 않는 시료 3(컨트롤)에 비해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배합한 경우(시료 4)가 각층으로의 크실리톨 침투량이 증가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I)는 글리세린이나 크실리톨 등의 보습제 등에 대해 경피 흡수를 촉진하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보습제 이외의 친수성 약제에 대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알부틴(하이드로퀴논-β-D-글루코피라노시드)을 이용하여 동일하게 검토를 실시했다. 또한, 시험 방법은 상기 글리세린의 테이프 스트리핑법에 준했다. 이용한 시료와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80425696-PCT00013
상기 표 10으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배합하지 않는 시료 5(컨트롤)에 비해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배합한 경우(시료 6)가 알부틴, 글리세린 모두 각층으로의 침투층이 증가했다.
이상과 같기 때문에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I)는 알부틴 등의 미백제 등에 대해서도 경피 흡수를 촉진하는 것이 시사되었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의 경피 흡수 촉진 효과를 발휘하는 작용 기작(機作)은 명확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가 보습제나 미백제 등의 친수성 약제와 기제의 친화성을 저하시킴으로써 경피 흡수를 촉진하는 것이 아닐까 추찰(推察)된다.
즉, 이론적으로는 약제의 기제중의 활량(活量)이 클수록 약물의 피부 투과 속도는 커지므로 약제의 포화 용해도 이하의 영역에서는 약제와 기제의 친화성을 저하시킴으로써(약제와 기제의 용해도 파라미터의 값의 차를 넓힘으로써), 피부로의 분배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I)의 특징으로서, 높은 수용성(물로의 용해도 100% 이상) 모두 높은 지용성을 갖는(에스테르유로의 용해도 100% 이상)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용해 특성은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I)의 화학 구조에 유래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용성과 지용성을 구비하고, 수성 기제에 배합하여 기제의 용해도 파라미터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고, 또한 피부외용제의 기제로서 우수한 적성을 갖는 것은 이제까지 거의 없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I)를 수성 기제에 첨가함으로써 기제의 용해도 파라미터가 크게 변화하여 보습제와 같은 친수성 약제와 기제와의 친화성이 현저히 저하하고, 그 결과 각질 침투성이 높아진다고 추찰된다. 따라서, 친수성 약제로서 보습제와 같이 수용성이고 또한 피부에 침투하여 효과를 발휘하는 약제, 예를 들면 수용성 비타민이나 아미노산, 미백제 등을 이용하면, 그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경피 흡수 촉진을 기대할 수 있는 약제로서는 친수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수용성, 지용성을 나타내는 물/옥탄올 분배 계수(logP값)를 하나의 지표로 하면 0 이하의 것이 유효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logP값 -1.0 이하의 수용성 약제로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로퀴논 배당체(配糖體) 및 유도체, 아스코르빈산 및 그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logP값으로서는 Chemical Reviews vol71(6),525(1971) 등에서 정의되어 있는 물과 옥탄올로의 물질의 분배의 용이성에 의해 극성을 나타내는 계수이다.
한편, 비교적 각질 침투성이 높은 지용성 약제에 대해서는 반대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배합함으로써 경피 흡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면, 지용성 약제가 수성 기제중에 가용화 또는 분산되어 있는 경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의 첨가에 의해 기제와 약제와의 용해도 파라미터의 차가 축소되고, 약물과 기제의 친화성이 높아져 각질 침투성이 억제된다. 따라서, 가능한한 피부에 침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지용성 약제(예를 들면, 방부제, 자외선 흡수제 등)에 대해서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의 배합에 의해 경피 흡수의 억제를 기대할 수 있다. 경피 흡수의 억제를 기대할 수 있는 약제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물/옥탄올 분배계수(logP값)가 0.5 이상의 것이 유효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logP값 1.0 이상의 지용성 약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I)를 수성 기제중에 배합함으로써 보습제나 미백제와 같은 친수성 약제에 대해서는 경피 흡수 촉진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방부제나 자외선 흡수제와 같은 지용성 약제에 대해서는 경피 흡수 억제 작용이 기대된다. 또한, 유성 기제중에서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는 이들과 반대 작용을 발휘한다고 추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는 경피 흡수 컨트롤제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I)는 EO 사슬과 AO 사슬의 수나 비율에 의해 그 성질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대상으로 하는 약제에 맞춰 적정을 용이하게 컨트롤할 수 있는 이점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I)가 직쇄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와 비교한 경우의 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의 회합수가 큰 여러 가지 액정상은 점도가 높고, 화장품의 도포시의 뻑뻑함이나 끈적임이 생기기 쉽다. 직쇄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는 계면활성제의 이와 같은 고차 회합체를 마이크로에멀젼상으로 바꾸는 작용이 있지만, 직쇄형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보다도 입체적으로 부피가 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I)가 이 작용이 강하다. 이 작용을 비교할 목적으로 C(-CH2-O-[(EO)9/(PO)2]-CH3)4: 폴리옥시에틸렌(7몰)올레일에테르=3:7과 유동 파라핀 및 물의 3 성분계의 상평형도와, CH3O[(EO)9/(PO)2]CH3:폴리옥시에틸렌(7몰)올레일에테르=3:7과 유동 파라핀 및 물의 3 성분계의 상평형도를 비교했다(도 3 참조).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C(-CH2-O-[(EO)9/(PO)2]-CH3)4는 CH3O[(EO)9/(PO)2]CH3의 상평형도상에 나타나는 헥사고날 액정(H1) 및 큐빅 액정(I1)을 점도가 낮은 마이크로에멀젼 상(D 또는 Wm)으로 바꾸는 것이 나타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의 적합한 배합예에 대해 설명한다.
배합예 1: 크림
A. 유상
스테아린산 10.0 질량%
스테아릴알콜 4.0
스테아린산부틸 8.0
스테아린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2.0
비타민E 아세테이트 0.5
비타민A 팔미테이트 0.1
마카데미아너츠유 1.0
다실유 3.0
향료 0.4
방부제 적량
B. 수상
화합물 2 5.0
글리세린 4.0
1,2-펜탄디올 3.0
히알루론산나트륨 1.0
수산화칼륨 2.0
아스코르빈산인산마그네슘 0.1
L-알기닌염산염 0.01
에데트산삼나트륨 0.05
정제수 잔여
(제법 및 평가)
A의 유상부와 B의 수상부를 각각 70℃로 가열하여 완전 용해한다. A상을 B상에 첨가하여 유화기로 유화한다. 유화물을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냉각하여 크림을 수득했다. 수득된 크림은 매끄러움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가 인정되었다.
배합예 2: 크림
A. 유상
세탄올 4.0 질량%
바세린 7.0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8.0
스쿠알란 15.0
스테아린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2.2
POE(20)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2.8
비타민E니코티네이트 2.0
향료 0.3
산화방지제 적량
방부제 적량
B. 수상
화합물 2 10.0
글리세린 10.0
히알루론산나트륨 0.02
디프로필렌글리콜 4.0
피롤리돈카르본산나트륨 1.0
에데트산이나트륨 0.01
정제수 잔여
(제법 및 평가)
실시예 1에 준해 크림을 수득했다. 수득된 크림은 매끄러움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가 인정되었다.
배합예 3: 유액
A. 유상
스쿠알란 5.0 질량%
올레일올레이트 3.0
바세린 2.0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인산에스테르 0.8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20EO) 1.2
월견초유 0.5
향료 0.3
방부제 적량
B. 수상
화합물 9 8.0
1,3-부틸렌글리콜 4.5
에탄올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수산화칼륨 0.1
L-알기닌L-아스파라긴산염 0.01
에데트산염 0.05
정제수 잔여
(제법 및 평가)
배합예 1에 준해 유액을 수득했다. 수득된 유액은 매끄러움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가 인식되었다.
배합예 4: 파운데이션
A. 유상
세탄올 3.5 질량%
탈취 라놀린 4.0
호호바유 5.0
바세린 2.0
스쿠알란 6.0
스테아린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2.5
POE(60)경화피마자유 1.5
POE(20)세틸에테르 1.0
피리독신트리팔미테이트 0.1
방부제 적량
향료 0.3
B. 수상
화합물 8 2.0
프로필렌글리콜 10.0
조합 분말 12.0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
삼아세트산삼나트륨 1.0
정제수 잔여
(제법 및 평가)
배합예 1에 준해 파운데이션을 수득했다. 수득된 파운데이션은 매끄러움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가 인정되었다.
배합예 5: 화장수
A. 알콜상
에탄올 5.0 질량%
POE올레일알콜에테르 2.0
화합물 11 3.0
2-에틸헥실-P-디메틸
아미노벤조에이트 0.18
향료 0.05
B.수상
1,3-부틸렌글리콜 9.5
피롤리돈카르본산나트륨 0.5
니코틴산아미드 0.3
글리세린 5.0
디모르폴리노피리다디논 0.5
정제수 잔여
(제법 및 평가)
A의 알콜상을 B의 수상에 첨가하고, 가용화하여 화장수를 수득했다. 수득된 화장수는 매끄러움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가 인식되었다.
배합예 6: W/O 유화형 선스크린제
(1) 에틸셀룰로스 0.5 질량%
(2) 에틸알콜 4.0
(3) 화합물 2 2.0
(4) 파라메톡시신남산옥틸 5.0
(5) 숙신산디2-에틸헥실알콜 22.0
(6)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처리 이산화티탄 6.0
(7)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1.0
(8) 향료 적량
(9) 방부제 적량
(10) 정제수 잔여
(제법 및 평가)
(1)에 (2)~(3)을 첨가하여 충분히 팽윤시킨 후, (4)~(6)을 첨가하여 가열 혼합하여 충분히 분산 및 용해했다. 이 분산액을 70℃로 유지하고, (7), (8)~(10)을 혼합한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면서 호모믹서로 유화하고, W/O 유화형 선스크린제를 수득했다. 수득된 W/O 유화형 선스크린제는 매끄러움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가 인식되었다.
배합예 7: W/O 유화형 선스크린제
A 성분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2.0 질량%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30.5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2.5
디메틸실리콘 5.0
POE폴리메틸실록산코폴리머 1.0
디메틸스테아릴암모늄헥트라이트 0.7
덱스트린지방산 처리 산화아연(평균 입자직경 60nm) 10.0
B 성분
1,3-부탄디올 5.0
화합물 8 1.0
정제수 잔여
(제법 및 평가)
A 성분을 호모믹서로 교반하면서 B 성분을 서서히 첨가함으로써 유화하여 W/O 유화형 선스크린제를 수득했다. 수득된 W/O 유화형 선스크린제는 매끄러움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가 인정되었다.
배합예 8: O/W 유화형 선스크린제
(1) 베헤닌산 0.7 질량%
(2) 이소스테아린산 0.7
(3) 세탄올 1.0
(4) 유동 파라핀 6.0
(5) 디메틸폴리실록산 2.0
(6)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7) 파라메톡시 신남산 옥틸 3.0
(8)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5.0
(9) 디프로필렌글리콜 5.0
(10) 이산화티탄 분말 2.0
(11) 수산화칼륨 0.1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0
(13) 헥사메타린산 소다 0.05
(14) 화합물 11 2.0
(15) 향료 적량
(16) 방부제 적량
(17) 정제수 잔여
(제법 및 평가)
(1)~(7), (15)를 각각 혼합하여 80℃로 가열 용해하여 유상부로 한다. (8)~(14), (16)~(17)을 70~75℃로 가열, 분산시켜 수상부로 한다. 유상부를 수상부에 서서히 첨가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유화한다.
유화물을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30℃까지 냉각하고, O/W 유화형 선스크린제를 수득했다. 수득된 O/W 유화형 선스크린제는 매끄러움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가 인식되었다.
배합예 9: 자외선 차단 오일
(1) 파라메톡시 신남산 옥틸 3.0 질량%
(2) 화합물 3 1.5
(3) 소수화 처리 이산화티탄 2.0
(4) 소수화 처리 산화아연 1.0
(5) 유동 파라핀 51.0
(6) 세틸옥타노에이트 40.0
(7) 산화방지제 적량
(8) 향료 적량
(제법 및 평가)
(1)~(8)의 각 성분을 가열 교반한 후 냉각하고, 자외선 차단 선스크린 오일을 수득했다. 수득된 자외선 차단 선스크린 오일은 매끄러움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가 인식되었다.
배합예 10: W/O 유화형 선스크린제
(1) 에틸셀룰로스 0.5 질량%
(2) 에틸알콜 4.0
(3) 화합물 2 2.0
(4) 파라메톡시 신남산 옥틸 5.0
(5) 숙신산 디2-에틸헥실알콜 22.0
(6) 소수화 처리 미립자 이산화티탄(평균 입자직경 30nm) 6.0
(7)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1.0
(8) 향료 적량
(9) 방부제 적량
(10) 정제수 잔여
(제법 및 평가)
(1)에 (2)~(3)을 첨가하여 충분히 팽윤시킨 후, (4)~(6)을 첨가하여 가열 혼합하여 충분히 분산 및 용해했다. 이 분산액을 70℃로 유지하고, (7), (8)~(10)을 혼합한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면서 호모믹서로 유화하고, W/O 유화형 선스크린제를 수득했다. 수득된 W/O 유화형 선스크린은 매끄러움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가 인식되었다.
배합예 11: 로션 마스크
A. 알콜상
에틸알콜 10.0 질량%
PPG-13 데실테트라데세스-24 0.3
락트산멘틸 0.004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B. 수상
글리세린 2.0
화합물 9 3.0
디프로필렌글리콜 4.0
트레할로스 2.0
가성 칼리 적량
정제수 잔여
(제법 및 평가)
A의 알콜 상을 B의 수상에 첨가하여 화장수를 수득했다. 또한, 이를 부직포 등에 함침시켜 로션 마스크를 수득했다. 수득된 로션 마스크는 매끄러움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가 인식되었다.
배합예 12: 유액
A. 유상
스쿠알란 7.0 질량%
올레일올레이트 2.0
바세린 1.0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인산에스테르 0.8
POE(20)올레일에테르 1.2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B. 수상
화합물 14 3.0
1,3-부틸렌글리콜 1.0
에탄올 4.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수산화칼륨 0.1
에데트산염 0.05
정제수 잔여
(제법 및 평가)
배합예 1에 준해 유액을 수득했다. 수득된 유액은 매끄러움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가 인식되었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화학식 1)
    Figure 112008080425696-PCT00014
    (화학식 1에서, Y는 3~6개의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콜의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이며, k는 상기 다가 알콜의 수산기 수이고, EO는 옥시에틸렌기이며, AO는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이고, 1≤a≤70, 1≤b≤70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20~100 질량%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는 랜덤 형상으로 부가되어 있다. R은 동일 또는 상이해도 좋고,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Y는 펜타에리스리톨의 잔기이고, 옥시에틸렌기와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이 50~8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0.01~70 질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4.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보습제.
    (화학식 1)
    Figure 112008080425696-PCT00015
    (화학식 1에서, Y는 3~6개의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콜의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이며, k는 상기 다가 알콜의 수산기 수이고, EO는 옥시에틸렌기이며, AO는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이고, 1≤a≤70, 1≤b≤70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20~100 질량%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는 랜덤 형상으로 부가되어 있다. R은 동일 또는 상이해도 좋고,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이다.)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피부 거칠음 개선제.
    (화학식 1)
    Figure 112008080425696-PCT00016
    (화학식 1에서, Y는 3~6개의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콜의 수산기를 제외한 잔 기이며, k는 상기 다가 알콜의 수산기 수이고, EO는 옥시에틸렌기이며, AO는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이고, 1≤a≤70, 1≤b≤70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20~100 질량%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는 랜덤 형상으로 부가되어 있다. R은 동일 또는 상이해도 좋고,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이다.)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끈적임 개선제.
    (화학식 1)
    Figure 112008080425696-PCT00017
    (화학식 1에서, Y는 3~6개의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콜의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이며, k는 상기 다가 알콜의 수산기 수이고, EO는 옥시에틸렌기이며, AO는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이고, 1≤a≤70, 1≤b≤70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20~100 질량%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는 랜덤 형상으로 부가되어 있다. R은 동일 또는 상이해도 좋고,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이다.)
  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경피 흡수 촉진제.
    (화학식 1)
    Figure 112008080425696-PCT00018
    (화학식 1에서, Y는 3~6개의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콜의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이며, k는 상기 다가 알콜의 수산기 수이고, EO는 옥시에틸렌기이며, AO는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이고, 1≤a≤70, 1≤b≤70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20~100 질량%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는 랜덤 형상으로 부가되어 있다. R은 동일 또는 상이해도 좋고,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이다.)
  8.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와 친수성 약제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가 친수성 약제의 경피 흡수 촉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화학식 1)
    Figure 112008080425696-PCT00019
    (화학식 1에서, Y는 3~6개의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콜의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이며, k는 상기 다가 알콜의 수산기 수이고, EO는 옥시에틸렌기이며, AO는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이고, 1≤a≤70, 1≤b≤70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20~100 질량%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는 랜덤 형상으로 부가되어 있다. R은 동일 또는 상이해도 좋고,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이다.)
  9. 제 8 항에 있어서,
    친수성 약제는 보습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10. 제 9 항에 있어서,
    보습제는 글리세린 또는 크실리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친수성 약제는 하이드로퀴논 유도체 및 아스코르빈산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1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알킬에테르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경피 흡수 컨트롤제.
    (화학식 1)
    Figure 112008080425696-PCT00020
    (화학식 1에서, Y는 3~6개의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콜의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이며, k는 상기 다가 알콜의 수산기 수이고, EO는 옥시에틸렌기이며, AO는 탄소 수 3~4의 옥시알킬렌기이고, 1≤a≤70, 1≤b≤70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합계에 대한 옥시에틸렌기의 비율은 20~100 질량%이다. 탄소수 3~4의 옥시알킬렌기와 옥시에틸렌기는 랜덤 형상으로 부가되어 있다. R은 동일 또는 상이해도 좋고,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이다.)
KR1020087028561A 2006-05-23 2007-05-22 피부외용제 KR101407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42384 2006-05-23
JP2006142384 2006-05-23
JP2006269122 2006-09-29
JPJP-P-2006-269122 2006-09-29
PCT/JP2007/060454 WO2007136067A1 (ja) 2006-05-23 2007-05-22 皮膚外用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801A true KR20090019801A (ko) 2009-02-25
KR101407750B1 KR101407750B1 (ko) 2014-06-16

Family

ID=3872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561A KR101407750B1 (ko) 2006-05-23 2007-05-22 피부외용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197948A1 (ko)
EP (1) EP2027849A4 (ko)
JP (1) JP5461010B2 (ko)
KR (1) KR101407750B1 (ko)
CN (1) CN101448484B (ko)
TW (1) TWI402081B (ko)
WO (1) WO20071360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422A (ko) * 2006-09-29 2009-06-12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피부 외용제 및 피부 세정료
US20100330014A1 (en) * 2008-01-30 2010-12-30 Tbc Group Co., Ltd.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on skin, and skin-whitening cosmetic
JP5038941B2 (ja) * 2008-03-05 2012-10-03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5277689B2 (ja) * 2008-03-28 2013-08-28 日油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分散水溶液
JP5976985B2 (ja) * 2008-06-24 2016-08-24 ロレアル 美白用外用剤、水溶性美白成分の皮膚浸透促進剤、及び、皮膚美白方法
JP2010143205A (ja) * 2008-12-22 2010-07-01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装置並びに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4881961B2 (ja) * 2009-01-08 2012-02-22 株式会社トキワ 油中水型日焼け止め化粧料
KR101772720B1 (ko) * 2010-02-01 2017-08-29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 및 이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화장료
US8921640B2 (en) 2010-10-08 2014-12-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philic anhydrous lotion
KR101257628B1 (ko) 2011-03-24 2013-04-2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발포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20130116182A (ko) * 2012-04-12 2013-10-23 (주)아모레퍼시픽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발포 폼
CN104994862A (zh) * 2012-12-13 2015-10-21 普雷西恩护肤公司 增加真皮透明质酸浓度的局部制剂
WO2014133344A1 (ko) * 2013-02-27 2014-09-04 주식회사 내츄럴엔도텍 경피 흡수 촉진제 및 그의 용도
US8603550B1 (en) 2013-05-15 2013-12-10 Normajean Fusco Compositions for topical treatment
JP2014237708A (ja) * 2014-08-15 2014-12-18 ロレアル 美白用外用剤、水溶性美白成分の皮膚浸透促進剤、及び、皮膚美白方法
JP7094475B2 (ja) * 2016-12-26 2022-07-04 日光ケミカルズ株式会社 浸透促進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102507672B1 (ko) * 2017-03-17 2023-03-07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피부 화장료, 신체 세정제 조성물 및 유성 메이크업 화장료
JP6921384B2 (ja) * 2017-09-20 2021-08-18 日油株式会社 油性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7445194B2 (ja) 2020-06-22 2024-03-07 日油株式会社 化粧料用経皮吸収抑制剤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15479T2 (de) * 1994-06-16 2000-09-07 Kao Corp Fettsäureester von verätherten polyalkoholen
JP3658012B2 (ja) 1994-06-16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H11100312A (ja) * 1997-09-29 1999-04-13 Shiseido Co Ltd 毛髪化粧料
JP2001002591A (ja) * 1999-06-22 2001-01-09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経皮吸収促進剤
JP3912722B2 (ja) * 2000-03-06 2007-05-09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WO2001091708A1 (en) * 2000-05-30 2001-1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omprising silicones and frizz control agents
WO2001091709A2 (en) * 2000-05-30 2001-1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omprising silicones and frizz control agents
JP2002121129A (ja) * 2000-08-07 2002-04-23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DE60224335T2 (de) * 2001-09-28 2008-12-11 Nof Corp. Hautbehandlungszusammensetzung
JP3667707B2 (ja) * 2002-03-27 2005-07-06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JP3660656B2 (ja) * 2001-09-28 2005-06-15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WO2003047540A1 (en) * 2001-11-30 2003-06-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mpoo containing an alkyl ether
JP3660650B2 (ja) 2002-06-13 2005-06-1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297773B2 (ja) * 2003-11-28 2009-07-15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化粧品用ポリエーテル組成物
JP2006269122A (ja) 2005-03-22 2006-10-05 Sharp Corp 膜電極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燃料電池、電子機器
JP4760489B2 (ja) * 2005-03-31 2011-08-31 日油株式会社 化粧料用基剤およびそれ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JP2006142384A (ja) 2006-02-22 2006-06-08 Honda Motor Co Ltd 摩擦撹拌接合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27849A4 (en) 2013-01-16
EP2027849A1 (en) 2009-02-25
JPWO2007136067A1 (ja) 2009-10-01
KR101407750B1 (ko) 2014-06-16
CN101448484B (zh) 2011-05-18
US20090197948A1 (en) 2009-08-06
TWI402081B (zh) 2013-07-21
WO2007136067A1 (ja) 2007-11-29
JP5461010B2 (ja) 2014-04-02
TW200815044A (en) 2008-04-01
CN101448484A (zh)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0656B2 (ja) 皮膚外用剤
KR20090019801A (ko) 피부외용제
KR100852026B1 (ko) 피부외용제
JP5305574B2 (ja) 皮膚外用剤
WO2001045665A1 (fr) Preparations cutanees a usage externe
KR20100050477A (ko)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와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KR100826503B1 (ko) 피부 외용제
JP2010024159A (ja) 微細エマルショ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00075882A1 (en) External Skin Preparation And Skin Cleanser
KR100974005B1 (ko) 피부 외용제
JP5121527B2 (ja) 皮膚外用剤
JP5530052B2 (ja) 皮膚洗浄料
JP5022618B2 (ja) ヒドロキシアルキル化ヒアルロン酸
JP5102004B2 (ja) 皮膚洗浄料
JP2010018568A (ja) 水中油型洗浄料
JP5154904B2 (ja) 皮膚外用剤
JP4956317B2 (ja) 皮膚洗浄料
JP2003342145A (ja) 皮膚外用剤
JP2002302469A (ja) ネオペンタン酸アルキルポリグリコール
JP2001240526A (ja) 皮膚外用剤
JP2008133215A (ja) 浴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