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334A -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 - Google Patents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334A
KR20090019334A KR1020070083668A KR20070083668A KR20090019334A KR 20090019334 A KR20090019334 A KR 20090019334A KR 1020070083668 A KR1020070083668 A KR 1020070083668A KR 20070083668 A KR20070083668 A KR 20070083668A KR 20090019334 A KR20090019334 A KR 20090019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precious metal
chief
glaz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2993B1 (ko
Inventor
강인구
Original Assignee
강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구 filed Critical 강인구
Priority to KR1020070083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993B1/ko
Publication of KR20090019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07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glass elemen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에 관한 것으로, 수석에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을 장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에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을 장착하고, 상기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이 장착된 부위에 유약을 도포하고, 상기 유약이 도포된 수석을 소성하여 유약에 의해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이 상기 수석에 고정되도록 구현하여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을 제조함으로써 수석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식 부재로 부가할 수 있어 수석의 장식적인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수석, 보석, 귀금속

Description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stone studded with jewels or precious metals and waterstone manufactured by said method}
본 발명은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석에 보석을 장착하는 기술과 관련한 것이다.
다이아몬드, 루비, 사파이어, 에메랄드, 진주, 산호 등과 같은 보석류 및 백금, 순금 등의 귀금속 소재는 희소가치뿐만 아니라 빛의 반사에 의한 아름다움으로 인해 장식용 소재로서 최고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수석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식 부재로 부가할 수 있다면, 수석의 장식적인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생활 수준이 윤택해지면서 장식용 수석의 수요가 증가하는 최근의 추세를 감안하면 이러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위와 같은 시대적 추세에 따라, 본 발명 특허출원인은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수석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식 부재로 부가하여 수석의 장식적인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석에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을 장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에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을 장착하고, 상기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이 장착된 부위에 유약을 도포하고, 상기 유약이 도포된 수석을 소성하여 유약에 의해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이 상기 수석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석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식 부재로 부가하여 수석의 장식적인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의 일 실 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은 장착부 형성단계(S110)와, 장착단계(S120)와, 유약도포단계(S130)와, 소성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장착부 형성단계(S110)에서 수석(100)에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을 장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200)를 형성해야 한다. 이 때, 상기 장착부(200)는 사람이 수동으로 수석의 일부분을 절삭 또는 조각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수석을 고정하는 고정수단(도면 도시 생략)과,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수석의 소정 위치를 프로그램된 순서에 따라 절삭 또는 조각하는 성형수단(도면 도시 생략)을 포함하는 기계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이용해 장착부(200)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장착부(200)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될 보석의 형상을 갖도록 절삭된 장착면(211)을 구비한 보석 수납홈(211)일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해 보면, 수석의 소정 위치에 장착될 보석 형상을 갖도록 절삭하여 장착면(212)을 가지는 보석 수납홈(211)을 성형했음을 볼 수 있다. 이 때, 장착되는 보석에 빛을 투광하기 위해 상기 보석 수납홈(211)과 연통하여 투광홈(213)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장착부(200)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귀금속을 얇게 부착할 수 있도록 수석(100)의 특정 부위를 음각 또는 양각하여 형성한 요철부(220)일 수도 있다. 도 3 을 참조해 보면, 수석의 소정 위치를 절개하여 음각부분(221)과 양각부분(222)을 가지는 요철부(220)를 성형했음을 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장착부(200)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귀금속을 얇게 부착할 수 있도록 수석의 특정 부위를 음각 또는 양각하여 요철부(231)를 형성하고, 이 요철부(231)에 장착될 보석의 형상을 갖도록 절삭된 장착면(232a)을 구비한 보석 수납홈(232)을 형성한 복합체(230)일 수도 있다. 도 4 를 참조해 보면, 수석의 소정 위치를 절개하여 음각부분(231a)과 양각부분(231b)을 가지는 요철부(231)를 성형하고, 이 요철부(231)의 소정 위치를 장착될 보석 형상을 갖도록 절삭하여 장착면(232a)을 가지는 보석 수납홈(232)을 성형하여 복합체(230)를 형성했음을 볼 수 있다. 이 때, 장착되는 보석에 빛을 투광하기 위해 상기 보석 수납홈(232)과 연통하여 투광홈(233)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상기 장착부 형성단계(S110)에 의해 수석(100)에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을 장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200)가 형성되면, 장착단계(S120)에서 상기 장착부 형성단계(S110)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200)에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을 장착한다.
이 때, 상기 장착부(200)에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을 사람이 수동으로 장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을 집는 픽업 수단(도면 도시 생략)에 의해 픽업(Pick Up)된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을 프로그램된 위치간을 회동하는 회동수단(도면 도시 생략)을 통해 이동시켜, 수석을 고정하는 고정수단(도면 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되는 수석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장착부(200)의 위치로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을 이송시키고, 상기 장착부(200)에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을 삽입하여 장착하는 장착수단(도면 도시 생략)을 포함하는 기계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이용해 상기 장착부 형성단계(S110)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200)에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을 장착한다.
그 다음, 상기 장착단계(S120)에 의해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이 수석(100)에 형성된 장착부(200)에 장착되면, 유약도포단계(S130)에서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이 장착된 부위에 유약을 도포한다. 이 때,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이 장착된 부위에 사람이 수동으로 유약을 도포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유약이 저장되는 저장수단(도면 도시 생략)으로부터 소정량의 유약을 추출하여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이 장착된 부위에 골고루 분사하는 분사수단(도면 도시 생략)을 포함하는 기계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이용해 유약을 도포한다. 한편, 상기 유약도포단계(S130)에서 칠보를 도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유약도포단계(S130)에 의해 도포되는 유약에 엑티바, 게르마늄 등을 첨가하여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유약을 도포하기 전에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되는 부분 이외에 밀랍 등을 칠함으로써 유약을 도포하더라도 밀랍이 칠해진 부분에는 유약이 묻지않도록 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상기 유약도포단계(S130)에 의해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이 장착된 부위에 유약이 도포되면, 이를 수동 또는 이송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통해 자동으로 전기가마, 장작가마, 가스가마 등의 내부로 이동시키고, 소성단계(S140)에서 상기 유약이 도포된 수석을 소성하여 유약에 의해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이 상기 수석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소성단계(S140)에서 진공상태에서 유약이 도포된 수석을 소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진공이 아닌 경우에는 특정 온도 이상에서 보석 또 는 귀금속이 산소와 결합하여 기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다이아몬드의 경우 탄소(C)로 이루어지며, 탄소는 공기중에서 약 800~1600℃ 정도에서 산소(O)와 결합하여 이산화탄소(CO2)로 변한다.
한편, 상기 소성단계(S140)에서 소성 온도를 특정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진공상태에서 보석이 특정 온도 이상일 경우 성질이 변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다이아몬드의 경우 진공상태에서 2000℃ 이상으로 가열하면 흑연으로 변한다.
따라서, 상기 유약도포단계(S130)에 의해 유약이 도포되면,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부분의 틈새가 유약에 의해 메워지게 되고, 상기 소성단계(S140)에 의해 유약이 경화되어 보석 또는 귀금속이 수석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되므로,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이 제조되게 된다. 위와 같이함에 의해 수석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식 부재로 부가할 수 있으므로, 수석의 장식적인 효과가 보다 향상되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5 에서 미설명 부호 300은 유약, 400은 보석 또는 귀금속이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이 유약제거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약제거단계(S150)는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이 장착된 부위 이외의 부위에 잘못 도포된 유약을 제거한다.
즉, 이 실시예는 유약도포단계(S130)에서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잘못 도포된 유약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미려하고 아름다운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이다. 이 때, 상기 유약제거단계(S150)는 유약도포단계(S130) 이후 또는 소성단계(S140)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소성단계(S140) 이후에 수행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이 광택처리단계(S1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광택처리단계(S160)는 상기 소성단계(S140) 이후에 수석에 부착된 보석 또는 귀금속을 광택 처리한다. 예컨대, 상기 광택처리단계(S160)에서 전해 연막 처리하여 수석에 부착된 보석 또는 귀금속이 광택을 내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는 수석에 부착된 보석 또는 귀금속을 광택처리함으로써 보다 미려하고 아름다운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로, 이렇게 함에 의해 수석의 장식적인 효과가 보다 향상되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을 제조하는 분야에서 산업상 이용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도 2 는 수석에 형성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되는 장착부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수석에 형성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되는 장착부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수석에 형성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되는 장착부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석 200 : 장착부
210 : 보석 수납홈 211 : 장착면
220 : 요철부 221 : 음각부분
222 : 양각부분 230 : 복합체
231 : 요철부 213, 233 : 투광홈
231a : 음각부분 231b : 양각부분
232 : 보석 수납홈 232a : 장착면
300 : 유약 400 : 보석 또는 귀금속

Claims (10)

  1. 수석에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을 장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를 형성하는 장착부 형성단계와;
    상기 장착부 형성단계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에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을 장착하는 장착단계와;
    상기 장착단계에 의해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이 장착된 부위에 유약을 도포하는 유약도포단계와;
    상기 유약도포단계에 의해 유약이 도포된 수석을 소성하여 유약에 의해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이 상기 수석에 고정되도록 하는 소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이:
    보석 또는 귀금속 또는 이 둘이 장착된 부위 이외의 부위에 잘못 도포된 유약을 제거하는 유약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이:
    상기 소성단계 이후에 수석에 부착된 보석 또는 귀금속을 광택 처리하는 광택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약도포단계에서:
    칠보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 제조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단계에서:
    진공상태에서 유약이 도포된 수석을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택처리단계에서:
    전해 연막 처리하여 수석에 부착된 보석 또는 귀금속이 광택을 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가:
    장착될 보석의 형상을 갖도록 절삭된 장착면을 구비한 보석 수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가:
    귀금속을 얇게 부착할 수 있도록 수석의 특정 부위를 음각 또는 양각하여 형성한 요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가:
    귀금속을 얇게 부착할 수 있도록 수석의 특정 부위를 음각 또는 양각하여 요철부를 형성하고, 이 요철부에 장착될 보석의 형상을 갖도록 절삭된 장착면을 구비한 보석 수납홈을 형성한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 제조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
KR1020070083668A 2007-08-20 2007-08-20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 KR101262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668A KR101262993B1 (ko) 2007-08-20 2007-08-20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668A KR101262993B1 (ko) 2007-08-20 2007-08-20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334A true KR20090019334A (ko) 2009-02-25
KR101262993B1 KR101262993B1 (ko) 2013-05-10

Family

ID=40687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668A KR101262993B1 (ko) 2007-08-20 2007-08-20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9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2137A (zh) * 2017-11-16 2018-02-06 董春玉 一种能够提高翡翠品质的干磨砂表面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558A (ja) * 2005-10-04 2007-04-19 Emiko Komuro 宝石を装着した陶磁器又は陶器の製造方法
KR200458362Y1 (ko) 2009-04-13 2012-02-15 배진우 다목적 수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2137A (zh) * 2017-11-16 2018-02-06 董春玉 一种能够提高翡翠品质的干磨砂表面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993B1 (ko)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3571B2 (ja) 人工爪、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MX341273B (es) Implemento para el cuidado oral y metodo de decoracion.
CN102071422A (zh) 装饰品的制造方法、装饰品及钟表
KR101262993B1 (ko)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수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수석
US6238756B1 (en) Cloisonne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4433021A (zh) 苗族银饰的加工方法
KR100879812B1 (ko)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요업제품 제조방법
JP4495775B1 (ja) 装身具
JP2010536612A (ja) 宝石または貴金属が附着された硝子またはプラスチックまたはクリスタル製品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って製造される宝石または貴金属が附着された硝子またはプラスチックまたはクリスタル製品
KR102435084B1 (ko) 장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5199032B2 (ja) 付け爪の製造方法
JP2011019897A (ja) 象嵌品
EP1980417B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decorative article and decorative article produced therefrom
KR101265897B1 (ko) 장신구용 도자비즈의 제조방법
JP5068204B2 (ja) 装飾義歯
JP3210197U (ja) 装飾具
CN101283855B (zh) 制作装饰物品的合台方法及由该方法制作的装饰物品
CN218400018U (zh) 一种陶瓷工艺品
CN200956845Y (zh) 一种头饰
KR101249963B1 (ko)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또는 크리스탈 중 어느 하나의 제품 제조방법
JP2012000970A (ja) 造形物及び造形物の製造方法
KR100809101B1 (ko) Led 패션 치아 장식구
RU57087U1 (ru) Активная часть декоративного элемента
KR20210005701A (ko) 인레잉으로 제조된 장식 부품
US5922213A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ornamental silicon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