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666A - 폐수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폐수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666A
KR20090018666A KR20087031535A KR20087031535A KR20090018666A KR 20090018666 A KR20090018666 A KR 20090018666A KR 20087031535 A KR20087031535 A KR 20087031535A KR 20087031535 A KR20087031535 A KR 20087031535A KR 20090018666 A KR20090018666 A KR 20090018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
sludge
activated sludge
load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7031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8964B1 (ko
Inventor
다이스케 오카무라
도모타카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3/00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3/002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omprising an initial buffer contai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8Chemical Oxygen Demand [COD];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0Total organic carbon [TO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1Dissolved organic carbon [DO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0Prevention of biofou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막이 막히기 전에 막힘의 리스크를 적절하게 평가하고, 필요충분한 대책을 취함으로써, 활성 오니와 처리액의 고액 분리를 안정적이면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막분리 활성 오니법에 따른 폐수의 처리 방법으로서, 유기성 폐수의 전체 유기물 양을 나타내는 지표와 BOD치를 이용하여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를 구하고, 상기 활성 오니조에 있어서의 BOD-오니 부하가 상기 상한치를 상회하지 않도록 조정하는 폐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폐수의 처리 방법{METHOD OF WASTEWATER DISPOSAL}
본 발명은 유기성 폐수의 처리를 하는 침지형 막분리 활성 오니법에 의한 폐수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수 처리 방법의 하나인 막 분리 활성 오니법은, 활성 오니조에 막 카트리지를 침지하여, 여과에 의해 활성 오니와 처리액의 고액 분리를 행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활성 오니 농도(MLSS: Mixed Liquor Suspended Solid)를 5000에서 20000 mg/l로 매우 높게 하여 고액 분리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활성 오니조의 용적을 작게 할 수 있고, 혹은 활성 오니조 내에서의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막에 의한 여과이므로 처리수 내에는 부유 물질(SS:Suspended Solid)이 혼입하지 않기 때문에, 최종 침전조가 불필요하고, 처리 시설의 부지 면적을 줄일 수 있는 것, 활성 오니 침강성의 양호 여부를 묻지 않고 고액 분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활성 오니 관리의 부담도 경감되는 것 등 많은 장점이 있어, 최근 급속하게 보급하고 있다.
막 카트리지로서는 평막이나 중공사막이 이용되고 있다. 막분리 활성 오니법에서는, 활성 오니 중의 미생물이 대사하는 생물 유래 폴리머, 활성 오니 자체, 또는 폐수에 포함되는 협잡물 등이 막 면에 부착함으로써, 유효한 막 면적이 감소하 여, 여과 효율이 저하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안정된 여과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때, 여과 방향이란 역방향으로 여과물 등의 매체를 분출시켜 막 표면의 부착물을 제거하는 역세척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 이 막 표면 및 막 사이에의 활성 오니 응집물이나 협잡물 등의 축적을 피하기 위해, 막 카트리지의 하부로부터 공기 등에 의한 폭기(曝氣)를 행하여, 막의 진동 효과와 기포의 상측으로의 이동에 의한 교반 효과에 의해, 활성 오니 응집물이나 협잡물 등을 막 표면이나 막 사이에서 박리시키고 있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57846호 공보(특허 문헌 1)에는, 폭기할 때, 중공사막을 허용 범위 내에서 최대한 진동 진폭시키기 위해, 중공사막 다발의 한쪽의 단부 외주에는 카트리지 헤드가, 다른 쪽 단부 외주에는 스커트가 각각 액체 밀폐로 고정되어, 카트리지 헤드 측의 중공사막 단부의 중공부는 개구하고, 스커트 측의 중공사막 단부의 중공부는 밀봉되며, 또한 스커트 측 접착 고정층에 복수의 관통 구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카트리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활성 오니조에 유입하는 유기성 폐수의 조성에 따라서는, 활성 오니 처리 조건을 적절히 설정하지 않으면, 폭기나 역세척을 행하여도 안정된 고액 분리를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미생물이 막을 막히게 하는 성분을 많이 분비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진다.
한편, 활성 오니 농도를 상승시키는 것이나 활성 오니에 유입하는 유기물 양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혹은 막여과 유속을 낮게 설정함으로써, 막힘이 생기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과도하게 행하면, 폐수 처리의 효율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57846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막이 막히기 전에 막힘의 리스크를 적절하게 평가하여, 필요 충분한 대책을 취함으로써, 활성 오니와 처리액의 고액 분리를 안정적이면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막외 표면에 부착되어 여과를 저해하는 물질이, 당을 주성분으로 하는 분자량이 수십만에서 수백만인 생물 유래 폴리머인 것을 발견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유기 폐수의 생분해성의 난이는, 생물 분해에 의해 유기물 농도를 측정하는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과, 유기성 폐수에 포함되는 유기 성분의 거의 전부를 측정할 수 있는 총 유기탄소(TOC), 총 산소 요구량(TOD), 또는 중크롬산칼륨을 이용한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Cr)과의 비에 의존하는 것을 발견하였기 때문에, BOD와, TOC, TOD 또는 CODCr과의 비를 γ치로서 구하고, γ치를 사용하여, 막의 막힘의 리스크를 적절하게 평가하는 방법을 검토했다.
그 결과, γ치가 0.6 이상 1.5 미만이라는 난생분해성의 유기성 폐수를 처리할 때에는, BOD-오니 부하를 0.05-0.06×(δ-0.6)[(kg/day)-BOD/kg-MLSS] 이하로 설정하면, 당 농도가 상승하지 않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γ치가 1.5≤γ<2.5일 때에는, BOD-오니 부하를, 0.1-0.12×(δ-0.6)[(kg/day)-BOD/kg-MLSS] 이하로 조정하고, γ치가 2.5 이상인 역생분해성의 유기성 폐수를 처리할 때에는, BOD-오니 부하를 0.3-0.24×(δ-0.6)[(kg/day)-BOD/kg-MLSS] 이하로 설정하면 당 농도는 상승하지 않고, 안정하게 여과를 계속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여기서, δ는 평균 막여과 유속을 나타낸다. 평균 막여과 유속은, 하루의 단위막 면적당의 유량을 말하고, 여과 유량으로부터 역세척의 유량을 감한 값을 막 면적에서 제하는 것에 따라 구해진다.
이들의 식에 따르면, 평균 막여과 유속(δ)을 감소시킴으로써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를 올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당 농도가 상승하여도 막여과 유속을 감소시키면, 안정적으로 운전을 계속할 수 있는 것도 확인했다.
여기서 BOD-오니 부하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낸다.
BOD-오니 부하
= (BOD×평균 막여과 유속×막 면적)/(MLSS×활성 오니 용적)
식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BOD-오니 부하는, 단위 오니중량(MLSS 농도×활성 오니의 용적)당, 하루에 활성 오니조에 유입하는 BOD 성분의 양이고, 하루당 단위 미생물이 담당하는 BOD 성분의 양을 나타낸다. 단위는 (kg/day)-BOD/kg-MLSS이다.
또한, γ= BOD/(α×β)이고,
β는 상기 유기성 폐수 중의 총 유기 탄소량(TOC)[mg/L], 중크롬산칼륨을 이용한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Cr)[mg/L], 총 산소 요구량(TOD)[mg/L]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양이며,
BOD는 상기 유기성 폐수 중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mg/L]을 나타내고,
α는 β에 기초하는 조정 계수로서, β에
TOC를 선택한 경우는, α= 1.0
CODCr를 선택한 경우는, α= 0.33
TOD를 선택한 경우는, α= 0.33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1] 활성 오니를 수용한 활성 오니조에, 유기성 폐수를 유입시키는 유입 공정과,
상기 활성 오니조에서 상기 유기성 폐수를 상기 활성 오니에 의해 생물 처리하고, 상기 활성 오니조 혹은 그 후단에 설치한 분리막 장치에 의해 상기 활성 오니를 고액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유입 공정에 앞서, 상기 유기성 폐수의 전체 유기물 양을 나타내는 지표와 BOD치에 기초하여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를 구하고, 상기 활성 오니조의 BOD-오니 부하가 상기 상한치를 상회하도록 조정하는 폐수 처리 방법;
[2] 활성 오니를 수용한 활성 오니조에 유기성 폐수를 유입시키는 유입 공정과,
상기 활성 오니조에서 상기 유기성 폐수를 상기 활성 오니에 의해 생물 처리하여, 상기 활성 오니조 혹은 그 후단에 설치한 분리막 장치에 의해 상기 활성 오니를 고액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유입 공정에 앞서, 상기 유기성 폐수의 전체 유기물 양을 나타내는 지표와 BOD치와의 비율, 및 상기 분리막 장치의 평균 막여과 유속에 기초하여,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를 구하고, 상기 활성 오니조에 있어서의 BOD-오니 부하가 상기 상한치를 상회하지 않도록 조정하는 폐수 처리 방법;
[3] 활성 오니를 수용한 활성 오니조에 유기성 폐수를 유입시키는 유입 공정과,
상기 활성 오니조에서 상기 유기성 폐수를 상기 활성 오니에 의해 생물 처리하고, 상기 활성 오니조 혹은 그 후단에 설치한 분리막 장치에 의해 상기 활성 오니를 고액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유기성 폐수의 γ치가 0.6≤γ<1.5일 때, 상기 활성 오니조의 BOD-오니 부하를, 0.05-0.06×(δ-0.6)[(kg/day)-BOD/kg-MLSS] 이하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방법
[여기서, γ= BOD/(α×β)로 하고,
β는 상기 유기성 폐수 중의 총 유기 탄소량(TOC)[mg/L], 중크롬산칼륨을 이용한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Cr)[mg/L], 총 산소 요구량(TOD)[mg/L]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이며,
BOD는 상기 유기성 폐수 중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mg/L]이고,
α는 β에 기초하는 조정 계수로서, β에
TOC를 선택한 경우는, α= 1.0
CODCr를 선택한 경우는, α= 0.33
TOD를 선택한 경우는, α= 0.33으로 한다.
또한, δ는 상기 분리막 장치의 평균 막여과 유속으로서, 단위는 ㎥/(㎡·day)으로 한다.]
[4] 활성 오니를 수용한 활성 오니조에 유기성 폐수를 유입시키는 유입 공정과,
상기 활성 오니조에서 상기 유기성 폐수를 상기 활성 오니에 의해 생물 처리하고, 상기 활성 오니조 혹은 그 후단에 설치한 분리막 장치에 의해 상기 활성 오니를 고액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유기성 폐수의 γ치가 1.5≤γ<2.5일 때, 상기 활성 오니조의 BOD-오니 부하를, 0.1-0.12×(δ-0.6)[(kg/day)-BOD/kg-MLSS] 이하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방법
[여기서, γ 및 δ는, 상기 [3]과 동일함];
[5] 활성 오니를 수용한 활성 오니조에 유기성 폐수를 유입시키는 유입 공정과,
상기 활성 오니조에서 상기 유기성 폐수를 상기 활성 오니에 의해 생물 처리하고, 상기 활성 오니조 혹은 그 후단에 설치한 분리막 장치에 의해 상기 활성 오니를 고액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유기성 폐수의 γ치가 γ≥2.5일 때, 상기 활성 오니조의 BOD-오니 부하를, 0.3-0.24×(δ-0.6)[(kg/day)-BOD/kg-MLSS] 이하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방법
[여기서, γ 및 δ는, 상기 [3]과 동일함];
[6] 활성 오니를 수용한 활성 오니조에 유기성 폐수를 유입시키는 유입 공정과,
상기 활성 오니조에서 상기 유기성 폐수를 상기 활성 오니에 의해 생물 처리하고, 상기 활성 오니조 혹은 그 후단에 설치한 분리막 장치에 의해 상기 활성 오니를 고액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유기성 폐수의 γ치가 γ<0.6일 때는, γ치가 높은 물질을 상기 유기성 폐수에 혼합함으로써, 혼합 후의 유기성 폐수의 γ치를 γ≥0.6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폐수 처리 방법
[여기서 γ는, 상기 [3]과 동일함];
[7] 상기 활성 오니조의 BOD-오니 부하를, 활성 오니 농도, 활성 오니 용적, 활성 오니조에 유입하는 유기물 양, 평균 막여과 유속 및 막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증감시킴으로써 조정하는, 상기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폐수 처리 방법;
[8] 상기 활성 오니조의 BOD-오니 부하가 산출한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를 상회하는 경우에, 평균 막여과 유속을 감소시켜, 상기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가 상기 활성 오니조의 BOD-오니 부하를 상회하도록 조정하는, 상기 [3]∼[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폐수 처리 방법; 및
[9] 상기 활성 오니조의 BOD-오니 부하가 산출한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를 상회하는 경우에, 활성 오니 농도, 활성 오니 용적, 활성 오니조에 유입하는 유기물 양, 및 막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증감시킴으로써 상기 활성 오니조의 BOD-오니 부하가 상기 상한치를 하회하도록 조정하는, 상기 [3]∼[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폐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성 폐수의 γ치에 의해 막힘의 리스크를 적절하게 평가하고, 여기에 기초하여 BOD-오니 부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리스크가 높을 때에는, 활성 오니조에 있어서의 막의 막힘을 미연에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스크가 낮은 경우에는, 고액 분리 능력을 낭비없이 활용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BOD-오니 부하는, MLSS 농도, 활성 오니 용적, 활성 오니조에 유입하는 유기물 양, 막 면적을 조정하는 것으로 간단히 제어할 수 있다. 즉, 예컨대, 난생분해성의 유기성 폐수의 경우(γ치가 비교적 낮은 경우)는, 활성 오니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또는 활성 오니조에 유입하는 유기 물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유입하는 유기물 양에 대해, 미생물 양을 많이 설정하여 BOD-오니 부하를 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역생분해성의 유기성 폐수의 경우(γ치가 비교적 높은 경우)는,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를 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하는 유기물 양에 대해 미생물 양을 적게 설정하여, 고액 분리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평균 막여과 유속(δ)을 감소시킴으로써,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를 올릴 수 있다. 따라서, BOD-오니 부하의 상한이 실제의 BOD-오니 부하의 값을 상회하도록 δ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막의 막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난생분해성의 유기성 폐수가 유입하고 있을 때에, 역생분해성의 유기성 폐수의 조건에서 처리하면, 처리수의 수질 악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처리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일정하고 양호한 처리 수질을 확보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르는 폐수 처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폐수 처리 방법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되는 장치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막분리 활성 오니조 내에 유입하는 유기성 폐수(1)는, 여과 스크린(fine mesh screen)이나 드럼 스크린 등의 전처리 설비(2)에 의해 협잡물을 제거한 후에, 유량 조정조(3)에 일단 저류된다. 그 후, 분리막 장치에 있어서의 막여과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유량 조정조(3)로부터 일정한 유량으로 막분리 활성 오니조(폭기조)(4)에 공급된다.
막분리 활성 오니조(폭기조)(4)에서는, 미생물이 유기성 폐수(1) 내의 유기물(BOD)을 분해 제거한다. 막분리 활성 오니조(4)에 있어서의 활성 오니 혼합액의 고액 분리는 조 내에 침지된 침지형 분리막 장치(5)에서 행하고, 여과액(9)은 필요에 따라 멸균조(10)에서 소독 후, 처리수(11)가 된다.
막분리 활성 오니조(폭기조)(4)에서는, 미생물은 유기성 폐수 중의 BOD 성분을 분해하고, 또한 증식한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활성 오니조에 유입하는 유기성 폐수의 수질 분석(BOD 및 TOC 또는 CODCr 또는 TOD의 측정)을 행하여, TOC, CODCr 또는 TOD의 어느 하나를 채용하여 γ치를 산출하고, γ치에 따른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를 구하며, 실제의 BOD-오니 부하치가 그 상한치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면, 분리막이 막히는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유기성 폐수의 γ치의 경시 변화는, 예컨대 수일∼수주간에 한 번 등, BOD, TOC, TOD, CODCr치를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BOD/TOC, BOD/CODCr 또는 BOD/TOD를 구함으로써 간단히 구할 수 있다.
통상, TOC, TOD, CODCr의 어느 하나를 이용한 경우도, γ는 거의 동일한 값이 된다. 각각의 γ치가 상이하고, 다른 식이 적용되는 범위에 각 γ치가 속하는 경우에는, 당업자는, 어느 쪽의 γ치를 채용할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전체 유기물 양이 보다 정확히 측정되는 순서, 즉 TOD, CODCr, TOC의 우선 순위로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OD, TOC, TOD, CODCr의 각 값은, 예컨대 JIS K 0102에 기재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γ치가 0.6 이상 1.5 미만인 경우, 즉, 난생분해성인 경우는, 활성 오니조로부터의 오니 방출량을 감축하여 MLSS 농도를 상승시키거나, 활성 오니조에 유입하는 유기성 폐수량을 감하거나, 희석함으로써, BOD-오니 부하를 0.05-0.06×(δ-0.6)[(kg/day)-BOD/kg-MLSS] 이하로 조정한다. γ치가 1.5 이상 2.5 미만인 경우는, BOD-오니 부하를, 0.1-0.12×(δ-0.6)[(kg/day)-BOD/kg-MLSS] 이하로 조정한다. γ치가 2.5 이상인 경우는, BOD-오니 부하를, 0.3-0.24×(δ-0.6)[(kg/day)-BOD/kg-MLSS] 이하로 조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분리막의 막힘을 방지하면서, 처리수의 수질을 손상하지 않고 분리막에 의한 고액 분리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계속할 수 있다.
또한, 분리막 장치의 평균 막여과 유속(δ)을 작게 하면, 상기 각 식에서 구해진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δ의 값을, 실제의 BOD-오니 부하를 넘는 상한치를 부여하는 범위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분리막의 막힘을 방지하면서, 처리수의 수질을 손상하지 않고 분리막에 의한 고액 분리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계속할 수 있다.
또한, 막분리 활성 오니조(폭기조)(4)가 탈질소를 위해 호기조-무산소조인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분리막 장치는 활성 오니조의 후단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하지만, 그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3, 비교예 1, 2)
이하의 방법에 의해, BOD-오니 부하를 조정함으로써, 막분리 활성 오니법에 있어서의 막여과 유속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했다.
우선, 제당 공장 폐수(γ치: 1.9), 세제 공장 폐수(γ치: 1.3) 및 두부 공장 폐수(γ치: 4.4)의 3종류의 유기성 폐수를 이용하여 막분리 활성 오니 실험을 행하여, 여러 가지의 BOD-오니 부하에 있어서의 안정 막여과 유속을 평가했다. 분리막 장치에는 구멍 직경이 0.1 ㎛인 PVDF제 중공사형 정밀여과막을 다수개 묶어 막 면적을 0.015 ㎡으로 한 막 모듈을 사용했다. 막을 위한 폭기는, 공기를 막 모듈의 하부에서 200 L/h의 유량으로 송기(送氣)했다. 여기서, 안정막여과 유속은, 막여과 압력이 운전 개시로부터 20일 지나더라도, 초기 압력으로부터의 상승이 10 kPa 이내일 때의 막여과 유속으로 정의했다.
결과를 도 2에 도시한다. 어느 쪽의 경우도 BOD-오니 부하가 높을 때는, 안정막여과 유속은 낮게 되고, 반대로 BOD-오니 부하를 낮게 설정하면 안정막여과 유속이 높게 되었다. 또한, 폐수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곡선이 그려지고, BOD/TOC치 즉 γ치가 1.3인 경우는, BOD-오니 부하가 0.03일 때에, 안정막여과 유속은 0.8 m/D이지만(실시예 1), BOD-오니 부하가 0.06에서는 안정막여과 유속은 0.3 m/D였다(비교예 1). BOD/TOC치 즉 γ치가 1.9인 경우는, BOD-오니 부하가 0.07일 때에 안정막여과 유속이 0.7 m/D이지만(실시예 2), BOD-오니 부하가 0.13일 때는, 안정막여과 유속은, 0.2 m/D였다(비교예 2). BOD/TOC치 즉 γ치가 4.4인 경우는 BOD-오니 부하가 0.12라도 안정막여과 유속은 0.65 m/D였다(실시예 3).
이상으로, BOD/TOC치(=γ치)에 의해, 분리막 장치에 의해 행하는 고액 분리공정에서 설정해야 할 BOD-오니 부하가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9, 비교예 3∼8)
구멍 직경이 0.1 ㎛인 아사히카세이케미컬(주)사제 PVDF제 정밀여과 중공사 막을 모듈화한 분리막 장치를 활성 오니 용적이 10 L인 활성 오니조에 침지시켜, 여러 가지의 폐수를 막분리 활성 오니법에 의해 처리했다. 막을 위한 폭기는, 공기를 막 모듈의 하부에서 200 NL/h의 유량으로 송기했다. 활성 오니조에 있어서의 폐수의 체류시간은 18시간으로 했다. 하루에 한 번 폐수의 수질 분석을 행했다.
(1) 막 면적은 0.022 ㎡, 막여과 유속은 0.6 m/D로 설정하고, 화학 공장 폐수를 BOD: 300 mg/L이 되도록 물에 희석하여 조정하고, 이것을 막분리 활성 오니법에 의해 처리했다.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는 0.05[(kg/day)-BOD/kg-MLSS]로 산출되었다. 이 때의 TOC는 500 mg/L이고, γ치는 0.6이었다. MLSS를 12000 mg/L로 함으로써, BOD-오니 부하를 산출된 상한치 이하의 0.033[(kg/day)-BOD/kg-MLSS]로 설정했다. 운전 개시 직후의 막여과 압력은 4 kPa였다. 운전 개시로부터 20일째의 막여과 압력은 10 kPa였다(실시예 4).
여과 압력은 안정되어 있었으므로, 21일째에 MLSS를 6500 mg/L로 저하시키고, BOD-오니 부하를 상한치 이상의 0.061[(kg/day)-BOD/kg-MLSS]로 설정하면, 25일째에 여과 압력은 30 kPa에 달했다(비교예 3).
그 후, 막 모듈을 세정하고, 막여과 유속을 0.35 m/D로 설정하여 운전했다.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는 0.065[(kg/day)-BOD/kg-MLSS]로 구했다. 막 면적을 조정하여 BOD-오니 부하치는 0.061[(kg/day)-BOD/kg-MLSS]로 유지한 바, 초기 압력이 4 kPa에 대해, 20일째에서는 10 kPa였다(실시예 10).
또한, 원수의 희석 배율을 조정함으로써 BOD-오니 부하를 0.02[(kg/day)-BOD/kg-MLSS]로, 막여과 유속을 1.0 m/D로 설정하여 운전하면(BOD-오니 부하의 상 한치는 0.026[(kg/day)-BOD/kg-MLSS)], 그 후의 20일 후의 압력은 13 kPa였다(실시예 16).
여기서 막여과 유속은 1.0 m/D인 상태로 원수의 희석 배율을 조정함으로써 BOD-오니 부하를 0.035[(kg/day)-BOD/kg-MLSS]로 올리면, 그 다음에 20일 후의 막여과 압력은 40 kPa였다(비교예 9).
(2) 막 면적은 0.022 ㎡, 막여과 유속은 0.6 m/D로 설정하고, 세제 공장 폐수를 BOD: 350 mg/L이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조정하고, 이것을 막분리 활성 오니법에 의해 처리했다.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는 0.05[(kg/day)-BOD/kg-MLSS]로 산출되었다. 이 때의 TOC는 260 mg/L이고, γ치는 1.34이다. MLSS를 12000 mg/L로 함으로써, BOD-오니 부하를 0.039[(kg/day)-BOD/kg-MLSS]로 설정했다. 운전 개시 직후의 막여과 압력은 5 kPa였다. 운전 개시로부터 20일째의 막여과 압력은 12 kPa였다(실시예 5).
여과 압력은 안정되어 있었으므로, 21일째에 MLSS를 6500 mg/L로 저하시키고, BOD-오니 부하를 0.071[(kg/day)-BOD/kg-MLSS]로 설정하면, 25일째에 여과 압력은 35 kPa에 달했다(비교예 4).
그 후, 막 모듈을 세정하고, 막 면적을 조정하여 BOD-오니 부하를 유지하면서 막여과 유속을 0.2 m/D로 설정하여 운전하면(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는 0.074[(kg/day)-BOD/kg-MLSS]), 초기 압력이 4 kPa에 대해, 20일째에서는 11 kPa였다(실시예 11).
또한 원수의 희석 배율을 조정함으로써 BOD-오니 부하를 0.03[(kg/day)- BOD/kg-MLSS]로, 막여과 유속을 0.8 m/D로 설정하여 운전하면(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는 0.038[(kg/day)-BOD/kg-MLSS]), 그 후의 20일 후의 압력은 14 kPa였다(실시예 17). 여기서 막여과 유속은 0.8 m/D인 상태로 원수의 희석 배율을 조정하고 BOD-오니 부하를 0.045[(kg/day)-BOD/kg-MLSS]로 올리면, 그 후의 20일 후의 막여과 압력은 35 kPa였다(비교예 10).
(3) 막 면적은 0.022 ㎡, 막여과 유속은 0.6 m/D로 설정하고, 염색 공장 폐수를 BOD: 750 mg/L이 되도록 물로 묽게 조정하고, 이것을 막분리 활성 오니법에 의해 처리했다.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는 0.1[(kg/day)-BOD/kg-MLSS]로 구했다. 이 때의 CODCr는 1400 mg/L이고, γ치는 1.62이다. MLSS를 10000 mg/L로 함으로써, BOD-오니 부하를 0.1[(kg/day)-BOD/kg-MLSS]로 설정했다. 운전 개시 직후의 막여과 압력은 4 kPa였다. 운전 개시로부터 20일째의 막여과 압력은 11 kPa였다(실시예 6).
여과 압력은 안정되어 있었으므로, 21일째에 상기 공장 폐수를 BOD: 900 mg/L이 되도록 조정하고, BOD-오니 부하를 0.12[(kg/day)-BOD/kg-MLSS]로 설정하면, 25일째에 여과 압력은 37 kPa에 달했다(비교예 5).
그 후, 막 모듈을 세정하고, 막 면적을 조정하여 BOD-오니 부하를 유지하면서 막여과 유속을 0.35 m/D로 설정하여 운전하면(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는[0.13(kg/day)-BOD/kg-MLSS]), 초기 압력 5 kPa에 대해, 20일째에서는 10 kPa였다(실시예 12).
또한 원수의 희석 배율을 조정하고 BOD-오니 부하를 0.035(kg/day)-BOD/kg-MLSS에, 막여과 유속을 1.0 m/D로 설정하여 운전하면(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는 0.052[(kg/day)-BOD/kg-MLSS]), 그 후의 20일 후의 압력은 13 kPa였다(실시예 18). 여기서 막여과 유속은 1.0 m/D인 상태로 원수의 희석 배율을 조정하고 BOD-오니 부하를 0.06(kg/day)-BOD/kg-MLSS로 올리면 그 후의 20일 후의 막여과 압력은 38 kPa였다(비교예 11).
(4) 막 면적은 0.022 ㎡, 막여과 유속은 0.6 m/D로 설정하고, 반도체 공장 폐수를 BOD: 750 mg/L이 되도록 물로 묽게 조정하고, 이것을 막분리 활성 오니법에 의해 처리했다.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는 0.1[(kg/day)-BOD/kg-MLSS]로 구했다. 이 때의 CODCr는 1000 mg/L이고, γ치는 2.27이다. MLSS를 10000 mg/L로 함으로써, BOD-오니 부하를 0.1[(kg/day)-BOD/kg-MLSS]로 설정했다. 운전 개시 직후의 막여과 압력은 4 kPa였다. 운전 개시로부터 20일째의 막여과 압력은 9 kPa였다(실시예 7).
여과 압력은 안정되어 있었으므로, 21일째에 상기 공장 폐수를 BOD: 900 mg/L이 되도록 조정하고, BOD-오니 부하를 0.12[(kg/day)-BOD/kg-MLSS]로 설정하면, 25일째에 여과 압력은 40 kPa에 달했다(비교예 6).
그 후, 막 모듈을 세정하고, 막 면적을 조정하고 BOD-오니 부하를 유지하면서 막여과 유속을 0.35 m/D로 설정하여 운전하면(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는 0.13[(kg/day)-BOD/kg-MLSS]), 초기 압력이 4 kPa에 대해, 20일째에서는 10 kPa였다(실시예 13).
또한 원수의 희석 배율을 조정하고 BOD-오니 부하를 0.045[(kg/day)-BOD/kg-MLSS]로, 막여과 유속을 1.0 m/D로 설정하여 운전하면(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는 0.052[(kg/day)-BOD/kg-MLSS]), 그 후의 20일 후의 압력은 14 kPa였다(실시예 19). 여기서 막여과 유속은 1.0 m/D인 상태로 원수의 희석 배율을 조정하고 BOD-오니 부하를 0.055[(kg/day)-BOD/kg-MLSS]로 올리면 그 후의 20일 후의 막여과 압력은 41 kPa였다(비교예 12).
(5) 막 면적은 0.022 ㎡, 막여과 유속은 0.6 m/D로 설정하고, 효소 공장 폐수(BOD: 2500 mg/L)를 막분리 활성 오니법에 의해 처리했다.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는 0.3[(kg/day)-BOD/kg-MLSS]로 구했다. 이 때의 TOC는 900 mg/L이고, γ치는 2.78이다. MLSS를 10000 mg/L로 함으로써, BOD-오니 부하를 0.33[(kg/day)-BOD/kg-MLSS]로 설정했다. 운전 개시 직후의 막여과 압력은 4 kPa였다. 운전 개시로부터 10일째의 막여과 압력은 30 kPa였다(비교예 7).
막 모듈을 세정하고, 11일째에 효소 공장 폐수를 BOD: 2200 mg/L이 되도록 물로 묽게 조정하고, BOD-오니 부하를 0.29[(kg/day)-BOD/kg-MLSS]로 설정하면, 세정직후의 여과 압력이 5 kPa에 대해, 31일째의 여과 압력은 10 kPa였다(실시예 8).
그 후, 막 모듈을 세정하고, 막 면적을 조정하고 BOD-오니 부하를 유지하면서 막여과 유속을 0.4 m/D로 설정하여 운전하면(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는 0.348[(kg/day)-BOD/kg-MLSS]), 초기 압력 5 kPa에 대해, 20일째에서는 11 kPa였다(실시예 14).
또한 원수의 희석 배율을 조정하고 BOD-오니 부하를 0.18[(kg/day)-BOD/kg- MLSS]로, 막여과 유속을 1.0 m/D로 설정하여 운전하면(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는 0.204(kg/day)-BOD/kg-MLSS) 그 후의 20일 후의 압력은 15 kPa였다(실시예 20). 여기서 막여과 유속은 1.0 m/D인 상태로 원수의 희석 배율을 조정하고 BOD-오니 부하를 0.25[(kg/day)-BOD/kg-MLSS]로 올리면 그 후의 20일 후의 막여과 압력은 43 kPa였다(비교예 13).
(6) 막 면적은 0.022 ㎡, 막여과 유속은 0.6 m/D로 설정하고, 식육 공장 폐수를 BOD: 2200 mg/L이 되도록 물로 묽게 조정하여, 이것을 막분리 활성 오니법에 의해 처리했다.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는 0.3[(kg/day)-BOD/kg-MLSS]로 구했다. 이 때의 TOC는 600 mg/L이고, γ치는 3.67이다. MLSS를 10000 mg/L로 함으로써, BOD-오니 부하를 0.29(kg/day)-BOD/kg-MLSS로 설정했다. 운전 개시 직후의 막여과 압력은 4 kPa였다. 운전 개시로부터 20일째의 막여과 압력은 11 kPa였다(실시예 9).
여과 압력은 안정되어 있었으므로, 21일째에 상기 공장 폐수를 BOD: 3000 mg/L이 되도록 조정하고, BOD-오니 부하를 0.4(kg/day)-BOD/kg-MLSS로 설정하면, 25일째에 여과 압력은 40 kPa에 달했다(비교예 8).
그 후, 막 모듈을 세정하고, 막 면적을 조정하고 BOD-오니 부하를 유지하면서 막여과 유속을 0.12 m/D로 설정하여 운전하면(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는 0.42(kg/day)-BOD/kg-MLSS), 초기 압력 5 kPa에 대해, 20일째에서는 12 kPa였다(실시예 15).
또한 원수의 희석 배율을 조정하고 BOD-오니 부하를 0.17(kg/day)-BOD/kg- MLSS로, 막여과 유속을 1.0 m/D로 설정하여 운전하면(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는 0.20(kg/day)-BOD/kg-MLSS), 그 후의 20일 후의 압력은 13 kPa였다(실시예 21). 여기서 막여과 유속은 1.0 m/D인 상태로 원수의 희석 배율을 조정하고 BOD-오니 부하를 0.3(kg/day)-BOD/kg-MLSS로 올리면 그 후의 20일 후의 막여과 압력은 39 kPa였다(비교예 14).
이상을 정리하여 표 1에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γ치가,
0.6≤γ<1.5인 경우에는,
BOD-오니 부하를 0.05-0.06×(δ-0.6)[(kg/day)-BOD/kg-MLSS] 이하로,
1.5≤γ<2.5인 경우에는
BOD-오니 부하를 0.1-0.12×(δ-0.6)[(kg/day)-BOD/kg-MLSS] 이하로,
γ≥2.5인 경우에는
BOD-오니 부하를 0.3-0.24×(δ-0.6)[(kg/day)-BOD/kg-MLSS] 이하로 설정하면, 막의 막힘을 발생시키지 않고, 여과 압력을 낮게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고액 분리를 행할 수 있었다.
[표 1]
γ치, BOD-오니 부하 및 여과 압력의 관계
γ치 BOD-오니 부하 [(kg/day)-BOD/kg-MLSS] 막 여과 유속 여과 압력[kPa]
초기 20일째
실시예 1 1.3 0.03 0.8 5 10
실시예 2 1.9 0.07 0.7 4 11
실시예 3 4.4 0.12 0.65 5 11
실시예 4 0.6 0.033 0.6 4 10
실시예 5 1.35 0.039 0.6 5 12
실시예 6 1.62 0.1 0.6 4 11
실시예 7 2.27 0.1 0.6 4 9
실시예 8 2.78 0.29 0.6 5 10
실시예 9 3.67 0.29 0.6 4 11
실시예 10 0.6 0.061 0.35 4 10
실시예 11 1.35 0.071 0.2 4 11
실시예 12 1.62 0.12 0.35 5 10
실시예 13 2.27 0.12 0.35 4 10
실시예 14 2.78 0.29 0.4 5 11
실시예 15 3.67 0.4 0.12 5 12
실시예 16 0.6 0.02 1.0 10 13
실시예 17 1.35 0.03 0.8 11 14
실시예 18 1.62 0.035 1.0 10 13
실시예 19 2.27 0.045 1.0 11 14
실시예 20 2.78 0.18 1.0 10 15
실시예 21 3.67 0.17 1.0 10 13
비교예 1 1.3 0.06 0.3 6 13
비교예 2 1.9 0.13 0.2 5 14
비교예 3 0.6 0.061 0.6 10 >30
비교예 4 1.35 0.071 0.6 12 >35
비교예 5 1.62 0.12 0.6 11 >37
비교예 6 2.27 0.12 0.6 9 >40
비교예 7 2.78 0.33 0.6 4 >30
비교예 8 3.67 0.4 0.6 11 >40
비교예 9 0.6 0.035 1.0 13 >40
비교예 10 1.35 0.045 0.8 14 >35
비교예 11 1.62 0.06 1.0 13 >38
비교예 12 2.27 0.055 1.0 14 >41
비교예 13 2.78 0.25 1.0 15 >43
비교예 14 3.67 0.3 1.0 13 >39
(실시예 22)
구멍 직경이 0.1 ㎛인 PVDF제 정밀여과 중공사막을 모듈화한 분리막 장치(막 면적 0.015 ㎡)을 유효 용적이 10 L인 활성 오니조에 침지시키고, 세제 공장 폐수를 막분리 활성 오니법에 의해 처리했다. 활성 오니조에 있어서의 폐수의 체류 시간은 18시간으로 했다. 하루에 한 번 폐수의 수질 분석을 행했다. 막여과 유속은, 0.6 m/D로 설정했다. 막을 위한 폭기는, 공기를 막 모듈의 하부로부터 200 L/h의 유량으로 송기했다. 운전 결과를 도 3에 도시했다.
운전 개시 전에 폐수의 수질 분석을 행하면 BOD: 700 mg/L, TOC: 350mg/L, CODCr: 1100mg/L, TOD: 1150였다. 이 때의 γ치는 1.8∼2.0이기 때문에 BOD-오니 부하는 0.07(kg/day)-BOD/kg-MLSS로 설정하여 실험을 개시했다. 초기 활성 오니의 MLSS 농도는 10 g/L로 하고, 오니 방출량을 조정하고 MLSS 농도를 10 g/L로 유지했다. γ치에 따라, BOD-오니 부하를 적절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7일째까지는 여과 압력도 상승하지 않고, 안정하게 운전할 수 있었다.
7∼15일째의 폐수의 수질 분석의 결과, γ치가 약 1.2였다. 운전 10일째 정도로부터 여과 압력이 상승하기 시작하여, 15일째에는 27 kPa에 달했기 때문에 운전을 정지했다.
막 모듈을 세정하고 오니를 교체시켜, 초기 투입 오니의 MLSS를 15 g/L로 설정하여 다시 운전을 개시했다. MLSS 측정치를 보면서, 오니 방출량의 조정을 행하여 15 g/L로 유지했다. 폐수의 수질 분석의 결과, 운전 개시 16∼30일째는 γ치가 약 2이기 때문에, 16일째에 폐수를 물로 묽게 활성 오니조로 유입하는 유기물 양을 조정하고 BOD-오니 부하를 0.05(kg/day)-BOD/kg-MLSS로 설정한 바, 그 후 6일간은, 여과 압력은 상승하지 않았다.
운전 22일째에 활성 오니에의 공기량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오니 방출량을 늘림으로써 MLSS를 5 g/L로 유지했다. 이 때의 BOD-오니 부하는 0.15(kg/day)-BOD/kg-MLSS이다. MLSS를 내린 직후에서 압력은 상승하기 시작하여, 운전 27일째에는 여과 압력이 13 kPa에 달했기 때문에, 유효 용적이 10 L인 활성 오니조를 하나 더 연결시켜 BOD-오니 부하를 0.075(kg/day)-BOD/kg-MLSS로 설정했다. 그렇게 하면, 여과 압력은 11 kPa까지 저하했다.
이상과 같이, BOD-오니 부하의 조정 방법은, 활성 오니 농도의 증감, 활성 오니 용적의 증감, 또는 활성 오니조에 유입하는 유기물 양의 증감 중 어느 방법으로 조정하여 본 발명에 적용하여도, 막의 막힘을 발생시키지 않고, 안정하여 고액 분리를 행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3)
화학 약품 공장 폐수를 막분리 활성 오니법에 의해 처리했다. 막여과 유속은, 시종 0.6 m/D로 설정하여 운전했다. 막을 위한 폭기는, 공기를 막 모듈의 하부에서 200 L/h의 유량으로 송기했다.
운전 개시 전에 수질 분석을 행하면, BOD: 30 mg/L, TOC: 100mg/L이고, γ치는 0.3이었다. 구멍 직경이 0.1 ㎛인 PVDF제 정밀여과 중공사막을 모듈화한 분리막 장치(막면적: 0.15 ㎡)를 유효 용적이 10 L인 활성 오니조에 침지시키고, MLSS 농도는 10 g/L로 설정하여, 운전을 개시했다. 이 때, BOD-오니 부하는 0.027(kg/day)-BOD/kg-MLSS이다. 초기 막여과 압력은 5 kPa였지만, 운전 20일째에 20 kPa까지 상승했다.
여기서, 이 폐수에 펩톤을 녹임으로써, BOD: 160 mg/L, TOC: 150 mg/L로 조정하고, γ치를 1.1로 설정했다. 0.03 ㎡의 막 면적을 갖는 분리막 장치를 유효 용적이 10 L인 활성 오니조에 침지시키고, MLSS 농도는 10 g/L로 설정하여, 운전을 개시했다. 이 때, BOD-오니 부하는 0.029(kg/day)-BOD/kg-MLSS이다. 초기 막여과 압력은 5 kPa이고, 20일 후의 막여과 압력은 8 kPa였다.
이상과 같이, γ치가 0.6 미만인 유기성 폐수에 대해서는, 펩톤이라는 γ치가 큰 물질을 첨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막의 막힘을 발생시키지 않고, 안정하여 고액 분리를 행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수의 처리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면이다.
도 2는 γ치의 차이에 있어서의 BOD-오니 부하와 그 때의 안정 막여과 유속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22에 있어서의 막간 차압의 경시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기성 폐수
2: 전처리 설비
3: 유량 조정조
4: 막분리 활성 오니조(폭기조)
5: 중공사 막형 분리막 장치
6: 스커트
7: 블로워
8: 흡인 펌프
9: 여과액
10: 멸균조
11: 처리수

Claims (9)

  1. 활성 오니를 수용한 활성 오니조에, 유기성 폐수를 유입시키는 유입 공정과,
    상기 활성 오니조에서 상기 유기성 폐수를 상기 활성 오니에 의해 생물 처리하고, 상기 활성 오니조 혹은 그 후단에 설치한 분리막 장치에 의해 상기 활성 오니를 고액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유입 공정에 앞서, 상기 유기성 폐수의 전체 유기물 양을 나타내는 지표와 BOD치에 기초하여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를 구하고, 상기 활성 오니조의 BOD-오니 부하가 상기 상한치를 상회하지 않도록 조정하는, 폐수 처리 방법.
  2. 활성 오니를 수용한 활성 오니조에 유기성 폐수를 유입시키는 유입 공정과,
    상기 활성 오니조에서 상기 유기성 폐수를 상기 활성 오니에 의해 생물 처리하고, 상기 활성 오니조 혹은 그 후단에 설치한 분리막 장치에 의해 상기 활성 오니를 고액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유입 공정에 앞서, 상기 유기성 폐수의 전체 유기물 양을 나타내는 지표와 BOD치와의 비율, 및 상기 분리막 장치의 평균 막여과 유속에 기초하여,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를 구하고, 상기 활성 오니조의 BOD-오니 부하가 상기 상한치를 상회하지 않도록 조정하는, 폐수 처리 방법.
  3. 활성 오니를 수용한 활성 오니조에 유기성 폐수를 유입시키는 유입 공정과,
    상기 활성 오니조에서 상기 유기성 폐수를 상기 활성 오니에 의해 생물 처리하고, 상기 활성 오니조 혹은 그 후단에 설치한 분리막 장치에 의해 상기 활성 오니를 고액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유기성 폐수의 γ치가 0.6≤γ<1.5일 때, 상기 활성 오니조의 BOD-오니 부하를, 0.05-0.06×(δ-0.6)[(kg/day)-BOD/kg-MLSS] 이하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방법.
    [여기서,
    γ= BOD/(α×β)로 하고,
    β는 상기 유기성 폐수 중의 총 유기 탄소량(TOC)[mg/L], 중크롬산칼륨을 이용한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Cr)[mg/L], 총 산소 요구량(TOD)[mg/L]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이며,
    BOD는 상기 유기성 폐수 중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mg/L]이고,
    α는 β에 기초하는 조정 계수로서, β에
    TOC를 선택한 경우는, α= 1.0
    CODCr를 선택한 경우는, α= 0.33
    TOD를 선택한 경우는, α= 0.33으로 한다.
    또한, δ는 상기 분리막 장치의 평균 막여과 유속으로서, 단위는 ㎥/(㎡·day)로 함]
  4. 활성 오니를 수용한 활성 오니조에 유기성 폐수를 유입시키는 유입 공정과,
    상기 활성 오니조에서 상기 유기성 폐수를 상기 활성 오니에 의해 생물 처리하고, 상기 활성 오니조 혹은 그 후단에 설치한 분리막 장치에 의해 상기 활성 오니를 고액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유기성 폐수의 γ치가 1.5≤γ<2.5일 때, 상기 활성 오니조의 BOD-오니 부하를, 0.1-0.12×(δ-0.6)[(kg/day)-BOD/kg-MLSS] 이하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방법.
    [여기서, γ 및 δ는, 청구항 3과 동일함]
  5. 활성 오니를 수용한 활성 오니조에 유기성 폐수를 유입시키는 유입 공정과,
    상기 활성 오니조에서 상기 유기성 폐수를 상기 활성 오니에 의해 생물 처리하고, 상기 활성 오니조 혹은 그 후단에 설치한 분리막 장치에 의해 상기 활성 오니를 고액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유기성 폐수의 γ치가 γ≥2.5일 때, 상기 활성 오니조의 BOD-오니 부하를, 0.3-0.24×(δ-0.6)[(kg/day)-BOD/kg-MLSS] 이하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방법.
    [여기서, γ 및 δ는, 청구항 3과 동일함]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 오니를 수용한 활성 오니조에 유기성 폐수를 유입시키는 유입 공정과,
    상기 활성 오니조에서 상기 유기성 폐수를 상기 활성 오니에 의해 생물 처리하고, 상기 활성 오니조 혹은 그 후단에 설치한 분리막 장치에 의해 상기 활성 오니를 고액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유기성 폐수의 γ치가 γ<0.6일 때는, γ치가 높은 물질을 상기 유기성 폐수에 혼합함으로써, 혼합 후의 유기성 폐수의 γ치를 γ≥0.6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방법.
    [여기서 γ는, 청구항 3과 동일함]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오니조의 BOD-오니 부하를, 활성 오니 농도, 활성 오니 용적, 활성 오니조에 유입하는 유기물 양, 평균 막여과 유속 및 막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증감시킴으로써 조정하는 폐수 처리 방법.
  8.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오니조의 BOD-오니 부하가 산출한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를 상회하는 경우에, 평균 막여과 유속을 감소시켜, 상기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가 상기 활성 오니조의 BOD-오니 부하를 상회하도록 조정하는 폐수 처리 방법.
  9.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오니조의 BOD-오니 부하가 산출한 BOD-오니 부하의 상한치를 상회하는 경우에, 활성 오니 농도, 활성 오 니 용적, 활성 오니조에 유입하는 유기물 양, 및 막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증감시킴으로써, 상기 활성 오니조의 BOD-오니 부하가 상기 상한치를 하회하도록 조정하는 폐수 처리 방법.
KR1020087031535A 2006-09-21 2007-09-19 폐수의 처리 방법 KR101158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56326 2006-09-21
JPJP-P-2006-256326 2006-09-21
JP2007215234 2007-08-21
JPJP-P-2007-215234 2007-08-21
PCT/JP2007/068182 WO2008035710A1 (fr) 2006-09-21 2007-09-19 Procédé d'élimination d'eaux usé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666A true KR20090018666A (ko) 2009-02-20
KR101158964B1 KR101158964B1 (ko) 2012-06-28

Family

ID=3920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535A KR101158964B1 (ko) 2006-09-21 2007-09-19 폐수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097161B2 (ko)
EP (1) EP2065343B1 (ko)
JP (1) JP5208750B2 (ko)
KR (1) KR101158964B1 (ko)
CN (1) CN101516790B (ko)
AU (1) AU2007298198B2 (ko)
CA (1) CA2663986C (ko)
RU (1) RU2426697C2 (ko)
TW (1) TW200837023A (ko)
WO (1) WO2008035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5997A (ja) * 2011-03-29 2012-10-25 Kurita Water Ind Ltd 膜分離活性汚泥装置による有機性排水の処理方法
CN102153250B (zh) * 2011-05-11 2013-06-19 上海膜达克环保工程有限公司 焦化废水处理系统及方法
JP5782931B2 (ja) * 2011-09-05 2015-09-24 富士電機株式会社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JPWO2014034827A1 (ja) * 2012-08-31 2016-08-08 東レ株式会社 造水方法
JP5575316B1 (ja) * 2013-08-23 2014-08-20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廃水処理方法および廃水処理装置
RU2547498C1 (ru) * 2014-02-20 2015-04-10 ООО "Экополимер" Физико-химический мембранный биореактор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56365B1 (fr) * 1983-12-09 1987-07-31 Transgene Sa Vecteurs de clonage et d'expression de l'interferon-g, bacteries transformees et procede de preparation de l'interferon-g
JPS6211597A (ja) 1985-07-09 1987-01-20 Kawasaki Steel Corp 水溶性有機物の生分解性評価方法および装置
JPH04235797A (ja) * 1991-01-14 1992-08-24 Meidensha Corp 活性汚泥処理制御方法
US5558774A (en) * 1991-10-09 1996-09-24 Zenon Environmental Inc. Aerated hot membrane bioreactor process for treating recalcitrant compounds
US5837142A (en) * 1996-09-23 1998-11-17 Great Circle Associates Membrane process for treating sanitary wastewater
JP3267935B2 (ja) 1997-12-19 2002-03-25 神鋼パンテツク株式会社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装置
JP4107453B2 (ja) * 1998-11-26 2008-06-25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中空糸膜カートリッジ
US6616843B1 (en) 1998-12-18 2003-09-09 Omnium De Traitement Et De Valorisation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for treatment of nitrogen containing water
WO2000037369A1 (en) * 1998-12-18 2000-06-29 Zenon Environmental Inc.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for treatment of nitrogen containing water
TW500698B (en) * 1999-11-19 2002-09-01 Kuraray Co Apparatus and method for waste water treatment
JP2001276823A (ja) * 2000-03-30 2001-10-09 Sumitomo Heavy Ind Ltd 膜分離方法及び装置
EP1270513B1 (en) 2001-06-26 2007-04-04 Aquafin N.V. Process and installation for treating a polluted aqueous liquid showing a COD value
JP2003053363A (ja) 2001-08-09 2003-02-25 Kurita Water Ind Ltd 有機物含有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4235797B2 (ja) * 2002-12-26 2009-03-11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ソフトシール仕切弁の弁体
JP4046661B2 (ja) 2003-07-25 2008-02-13 株式会社クボタ 汚水の処理方法
JP4830307B2 (ja) * 2005-02-01 2011-12-07 東レ株式会社 溶解性有機物含有液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35710A1 (fr) 2008-03-27
JPWO2008035710A1 (ja) 2010-01-28
CA2663986A1 (en) 2008-03-27
AU2007298198A1 (en) 2008-03-27
US8097161B2 (en) 2012-01-17
EP2065343B1 (en) 2013-09-04
TW200837023A (en) 2008-09-16
KR101158964B1 (ko) 2012-06-28
RU2426697C2 (ru) 2011-08-20
EP2065343A1 (en) 2009-06-03
CN101516790A (zh) 2009-08-26
RU2009114841A (ru) 2010-10-27
EP2065343A4 (en) 2010-12-22
CN101516790B (zh) 2012-07-25
TWI361796B (ko) 2012-04-11
JP5208750B2 (ja) 2013-06-12
CA2663986C (en) 2013-06-25
AU2007298198B2 (en) 2010-06-10
US20090308809A1 (en)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9148B2 (en) Continuous membrane filtration and solids reduction
Rodríguez-Hernández et al. Comparison between a fixed bed hybrid membrane bioreactor and a conventional membrane bioreactor for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a pilot-scale study
Sarioglu et al. Model evaluation of simultaneous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in a membrane bioreactor operated without an anoxic reactor
KR101158964B1 (ko) 폐수의 처리 방법
EP2651833B1 (en) Process, apparatus and membrane bioreactor for wastewater treatment
JP2008264772A (ja) 膜分離活性汚泥装置及び有機物含有水の処理方法
Cornel et al. Membrane bioreactors in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European experiences, examples and trends
US11053150B2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101463987B1 (ko) 유기성 배수의 처리 방법
EP2928835B1 (en) Use of activated carbon in membrane bioreactor
JP5444684B2 (ja) 有機排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Fathali et al. Investigation on nitrogen removal performance of an enhanced post-anoxic membrane bioreactor using disintegrated sludge as a carbon source: An experimental study
Delgado et al. Aerobic membrane bioreactor for wastewater treatment–Performance under substrate-limited conditions
KR102021951B1 (ko) 여과막의 왕복운동과 간헐 공기세정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JP2003266096A (ja) 排水処理装置
Ünlü et al. Real role of an ultrafiltration hollow-fibre membrane module in a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CN104981437A (zh) 污水净化处理方法和污水净化处理装置
KR102160939B1 (ko) Uf 공정 및 ro 공정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CA3234685A1 (en) Membrane bioreactor system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oxygen
Boveri et al. Membrane BioReactors (MBR): Types, applications and diffu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