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118A - 모달 조명 컨트롤을 구비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달 조명 컨트롤을 구비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118A
KR20090018118A KR1020087030253A KR20087030253A KR20090018118A KR 20090018118 A KR20090018118 A KR 20090018118A KR 1020087030253 A KR1020087030253 A KR 1020087030253A KR 20087030253 A KR20087030253 A KR 20087030253A KR 20090018118 A KR20090018118 A KR 20090018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translucent layer
modal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3774B1 (ko
Inventor
아담 케이. 사이바트
앤디 케이. 바우
데이비드 지. 플리자
해롤드 제이. 고렌즈
릭 라텔라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82173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1811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18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01H2219/039Selective or different modes of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4Optical isolation of switch si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모달 조명을 구비하는 디바이스(50)는 반투명층(74); 반투명층(74)을 통해 광(94)을 프로젝팅하도록 동작하는 제1 광원(60); 및 반투명층(74)을 통해 광(93)을 프로젝팅하도록 동작하는 제2 광원(65b)을 포함한다. 제1 광원(60)은 제2 광원(65b)으로부터 프로젝팅된 광(91)이 반투명층의 일부(74a)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디바이스에서 모달 조명을 위한 방법(250)은 제1 광원에 의해 광을 반투명층(260)을 통해 프로젝팅하는 단계; 제2 광원에 의해 광을 반투명층(270)을 통해 프로젝팅하는 단계; 및 제1 광원에 의해, 제2 광원에 의해 프로젝팅된 광이 반투명층(280)의 일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87030253
반투명층, 광원, 무선 핸드셋 디바이스, 조명, 셀룰러 전화

Description

모달 조명 컨트롤을 구비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DEVICE WITH MODAL LIGHTING CONTRO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무선 핸드셋 디바이스 및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키패드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조명을 채용하는 무선 핸드셋 디바이스 및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셀 폰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핸드셋, 및 유사한 디바이스들은 복수의 기능 또는 모드를 통합하기 시작하고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전화기는 현재 이미징, 음악 및 비디오 재생/레코딩, 메시징, GSP 및 셀룰러 폰과 함께 다른 기능적 모드들을 통합하고 있다. 이들 추가적인 모드들은 모드 기능의 사용자 네비게이션 또는 개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본적인 폰 키에 새로운 전용 키, 또는 입력 디바이스의 추가를 통상적으로 필요로 한다. 복수의 기능적 모드 통합뿐만 아니라, 이들 디바이스들은 점점 더 작아지고 얇아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증가하는 개수의 제어 키들이 디바이스 키패드 영역 내에 통합되어야 한다. 전용 키들의 추가는 제조하기 어려운 클러터링되거나 복잡한 디자인을 발생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클러터링된 키 레이아웃은 사용자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성공적으로 네비게이션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드-특정 오퍼레이터 키를 하일라이팅 하도록 동작가능한 모달 조명을 가지는 무선 통신 핸드셋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 및 이에 의해 제공되는 대응하는 장점 및 특징들은 유사한 참조부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이하의 도면과 조합한 이하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검토시 가장 잘 이해되고 알게 될 것이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달 조명 컨트롤의 하나의 예를 예시하는 디바이스의 상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달 조명 제어된 디바이스의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도 3의 디바이스의 키패드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달 조명 제어된 디바이스의 하나의 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달 조명 컨트롤을 가지는 핸드셋 디바이스의 하나의 예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달 조명 제어 방법의 하나의 예를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셀 폰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같은 디바이스는 모달 조명을 채용하고 반투명층을 포함한다. 제1 광원은 반투명층을 통해 광을 프로젝팅한다. 제2 광원은 반투명층을 통해 광을 프로젝팅한다. 그러나, 제1 광원은 제2 광원으로부터 프로젝 팅된 광이 반투명층의 일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한 것으로서, 디바이스의 키패드의 모달 조명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디바이스 키 위의 반투명층의 다양한 부분들은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켜진다. 복수의 동작 모드를 구현하는데 요구되는 키의 개수는 키 공유를 통해 감소될 수 있다. 공유된 키는 동작 모드에 따라 상이한 조명 또는 그래픽을 가지고 있다. 모달 조명을 구현하기 위한 공간 요구조건은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여 또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프로젝팅된 광이 반투명층의 일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최적화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달 조명 컨트롤의 하나의 예를 예시하는 핸드셋 디바이스의 상부도이다. 셀룰러 전화기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가 상부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 기재된 모달 조명 제어 구조가 임의의 적합한 디바이스에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디바이스(20)는 복수 모드로 동작될 수 있는 하나이다. 디바이스(20)는 셀룰러 전화와, 통합하는 이미징, 음악 또는 비디오 재생/레코딩, 메시징, GPS 및/또는 다른 기능적 모드들과 조합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디바이스(20)는 모든 조명이 턴오프되어 있는 모드와 함께, 예시되어 있는 폰 모드 및 음악 모드를 포함한다. 복수의 디바이스 모드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20)는 본 기술분야에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LCD 또는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25)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25)는 추가적으로 입력 디바이스로도 동작가능하다. 디바이스는 무선 또는 비-무선 디바이스, 핸드헬드 또는 셋탑박스와 같은 비-핸드헬드 디바이스, 디지털 오 디오 플레이어, 비디오 플레이어, 캠코더, HDTV, 컴퓨터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디바이스라는 것은 자명하다.
핸드셋 디바이스(20)는 디바이스(20)의 동작 모드의 사용자 제어를 위해 동작가능한 키패드 영역 또는 수개의 키패드 영역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특정 예에서, 디바이스(20)는 음악 모드 키패드 영역(30) 및 폰 모드 키패드 영역(35)을 가지고 있다. 음악 모드 키패드 영역(30)은 수개의 음악 모드 키(32, 33, 34)를 구비하고 있다. 폰 키패드 영역(35)은 수개의 폰 모드 키(38, 39, 34)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예에서, 하나의 키(34)는 폰 모드와 음악 모드 사이에서 공유된다.
사용자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핸드셋 디바이스(20)의 키패드(32, 33, 34, 38 및 39)는 백라이팅되는(backlit) 그래픽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폰 모드 동작 동안에, "1XY@"가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번호 1"키패드(38)를 통해 광이 선택적으로 보여진다. 백라이팅된 그래픽은 폰 모드 동안에 폰 키패드 영역(35)의 모든 키패드에 대해 표시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음악 모드 동작 동안에 음악 키패드 영역(30) 내의 키패드를 통해 광이 선택적으로 보여진다. 예를 들면, 음악 모드 동안에, "플레이"키에 대응하는 음악 키패드(34)를 통해 광이 선택적으로 보여진다. 키패드 그래픽을 선택적으로 조명함으로써, 핸드셋 디바이스(20)는 동작 모드를 사용자에게 명백하게 표시한다. 예를 들면, 핸드셋 디바이스(20)는 폰 모드 키패드 영역(35)내의 모든 키들이 켜져 있는 경우에 폰 모드의 동작을 명백하게 나타낸다. 유사하게, 핸드셋 디바이스는 음악 모드 키패드 영 역(30)의 모든 키들이 켜져 있는 경우에 음악 모드를 나타낸다.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키패드를 선택적으로 조명할 뿐만 아니라, 핸드셋 디바이스(20)는 스텔스 키패드 및 스텔스 동작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스텔스 키패드는 키패드가 더 이상 백라이팅되지 않은 경우에 키패드 그래픽이 보이지 않게 되거나 단순히 디바이스(20)의 배경 컬러에 섞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폰 모드에서, 음악 역방향 키(39)의 그래픽은 음악 모드 백라이팅이 오프되어 있으므로 보이지 않게 되거나 스텔스성이 되게 된다. 선택적인 백-라이팅 키패드는 핸드셋 디바이스(20)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고 사용자가 정확한 키패드를 액세스하는 것을 도와준다. 뿐만 아니라, 모든 백라이팅은 모든 키패드가 스텔스성이 되거나 보이지 않게 되도록 "광 오프"모드에서 턴오프될 수 있다. 핸드셋 디바이스(20)의 모달 조명은 밀접하게 이격된 키패드들의 그래픽을 선택적으로 조명하는데, 또는 키패드(34)가 동작 모드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다른 장점들도 잘 알 것이다.
하나의 예에서, 음악 모드 키패드 영역(30)은 전기발광(EL) 패널(예를 들면, 미국 Rogers Durel의 D Flex type EL 패널 또는 임의의 적합한 구조)로 백라이팅되고 폰 모드 키패드 영역(35)은 일련의 발광 다이오드(LED)로 백라이팅될 수 있다. 이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EL 패널 및 LED는 EL 패널로부터 프로젝팅된 광이 음악 모드 키패드 영역(30)을 통해 투과되고 LED에 의해 프로젝팅된 광이 폰 모드 키패드 영역(35)을 통해 프로젝팅되도록 추가적으로 배열된다. 또한, EL 패널은 LED에 의해 프로젝팅된 광이 음악 모드 키패드 영역(30)을 통해 투과하는 것 을 물리적으로 방지하도록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달 조명 제어된 디바이스의 하나의 예를 예시하는 도 3의 디바이스의 키패드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단면은 PC 막 층(72)으로부터 기판층(82)까지의 핸드셋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디바이스(50)는 적어도 하나의 키패드(80)를 포함한다. 키패드(80)는 본 기술분야에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전기 인터커넥트 스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본 필(carbon pill) 또는 커패시턴스 스위치가 이용되거나 임의의 다른 적합한 구조일 수 있다. 키패드(80)는 사용자에게 기계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실리콘 또는 다른 유연한 재료의 돔은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키패드(80)는 기판(82) 또는 회로 보드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키패드(80) 위에 놓여지는 반투명층(74)이 포함된다. 반투명층(74)은 그래픽이 핸드셋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도록 임의의 원하는 정도의 광이 통과하도록 허용한다. 반투명층(74)은 완전히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다. 여기에 이용된 바와 같이, "반투명"은 투명 및 어느 정도의 반투명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반투명 재료(74)는 컬러를 나누어 주거나 변경하지 않고 입사하는 백라이트 모두를 통과시킬 수 있다. 비교해 보면, 반투명 재료(74)는 대신에 광의 컬러를 필터링하거나 나누어 줄 수 있다. 반투명층의 예는 Transtech, Carol Stream IL로부터의 통상적인 잉크 포뮬리제이션, 3M으로부터의 Transflective and Privacy Films, Fukada로부터의 Vacummed Deposited metals, 또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를 포함하고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반투명층(74)을 통해 광(94)을 프로젝팅하도록 동작하는 제1 광원(60)이 포함된다. 반투명층(74)을 통해 광(93)을 프로젝팅하도록 동작하는, 2개의 소스(65a, 65b)로서 도시된 제2 광원이 포함된다. 제1 광원(60)은 제2 광원에 의해 프로젝팅된 광(91)이 반투명층(74)의 섹션(74a)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1 광원(60)은 예를 들면 전기발광(EL)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EL 패널(60)은 반투명층(74), 불투명층(76), 또는 웨이브 가이드 층(78)과 같이, 모달 조명 제어 디바이스에서 다양한 재료들 중 임의의 하나 상에 적층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1 광원(60)은 유연한 기판 상에 장착되는 LED 디바이스일 수 있고, 여기에서 LED 디바이스와 유연한 기판의 조합은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차단하는 동안에 반투명층(74)을 통해 광을 프로젝팅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불투명층(76)은 제1 또는 제2 광원(60, 65a 및 65b)으로부터의 백라이팅이 반투명층(74)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포함될 수 있다. 불투명층(76)은 원하는 그래픽의 실루엣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1" 또는 플레이 화살표와 같은 그래픽의 윤곽선은 반투명층(74)을 통해 투과된 백라이팅이 "1"또는 플레이 화살표와 같은 조명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불투명층(76)에 의해 형성된다. 불투명층(76)은 모든 비-라이팅된 영역에 이용되거나, 핸드셋 디바이스(50)의 모든 동작 모드에서 가시될 수 있다.
핸드셋 디바이스(50)에 대한 커버링 표면으로서 PC 막 층(72)이 포함될 수 있다. PC 막 층(72)은 반투명 또는 세미-반투명일 수 있다. 반투명층(72) 및 불투명층(76)은 PC 막 층(72) 상에 적층되거나 이러한 층(72) 상에 인쇄될 수 있다. PC 층(72)은 사용자 핸들링을 견디고 주위 오염물이 디바이스(50)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광 가이드 층(78)은 제2 광원(65a, 65b)과 반투명층(74)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광 가이드 층(78)은 제2 광원(65a, 65b)으로부터 반투명층(74)의 수 개 부분(74b)까지 광을 분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광 가이드는 실리콘, 아크릴 또는 TPU와 같이 반투명의 유연한 재료일 수 있다. 제1 광원(60)이 EL 패널인 경우, 이러한 EL 패널은 광 가이드 층(78) 상에 적층되거나 몰딩될 수 있다.
제2 광원(65a, 65b)은 예를 들면 LED 또는 일련의 LED일 수 있다. LED 디바이스(65a, 65b)는 광 가이드 층(78)을 통해 반투명층(74)의 수개의 부분들(74b)에 분배되는 밝은 광을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제2 광원(65a, 65b)은 기판(82) 상에 장착된다. 제2 광원은 EL 패널일 수 있다. 그러나, EL 패널은 통상적으로 LED 디바이스보다 더 적은 세기의 광을 방출하므로, 광 가이드 층(78)을 통해 적절한 광을 반투명층(74)의 수개 부분들(74b)에 분배하는 것이 더 어려울 수 있다.
제2 광원(65a, 65b)은 광 가이드 층(78)을 통해 광을 프로젝팅한다. 프로젝팅된 광(93)의 일부는 반투명층(74)의 일부(74b)를 통해 투과되고, 핸드셋 디바이스(50)의 외부에서 보일 수 있게 된다. 프로젝팅된 광(92)의 일부는 불투명층(76)에 의해 반투명층(74)에 입사하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프로젝팅된 광(91)의 일부는 제1 광원(60)에 의해 반투명층(74)의 부분(74a)에 들어가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유의할 점은, 제2 광원(65a, 65b)은 제1 광원(60)에 매우 가까이 또는 바로 아래에 놓여질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핸드셋 디바이스(50) 상에 매우 밀접하게 이격된 이미지를 독립적으로 백라이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 및 "플레이 화살표"와 같은 이미지는 도 1의 핸드셋(20)에서 공통 키패드(34) 위에 나타난다. 예를 들어,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광원(60)은 반투명층(74)의 제1 부분(74a) 아래에 바로 놓여지고, 여기에서 불투명층(76)이 음악 모드 "플레이 화살표"를 정의한다. 제2 광원(65b)은 제1 광원(60)의 아래에, 그리고 반투명층(74)의 제2, 매우 근접한 부분(74b) 아래에 놓여질 수 있다. 불투명층(76)은 폰 모드 "2"를 정의한다. 제1 광원(60)의 바디는 아래에 있는 제2 광원(65b)에 의해 프로젝팅된 광이 반투명층(74)의 제1 부분(74a)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폰 모드에서, 제1 광원(60)은 광(94)이 반투명층(74)의 제1 부분(74a)을 통해 프로젝팅하고 그럼으로써 "플레이 화살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2 광원(65a, 65b)은 "2" 이미지가 보이지 않게 되도록 디스에이블된다. 음악 모드에서, 제1 광원(60)은 디스에이블되고 제2 광원(65a, 65b)이 인에이블되어, 반투명층(74)의 제2 부분(74b)을 통해 광을 프로젝팅하고 그럼으로써 "2"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한다. 한편, 제1 광원(60)의 바디는 제2 광원(65a, 65b)으로부터의 광(91)이 반투명층(74)의 제1 부분(74a)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달 조명 제어된 디바이스의 하나의 예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제2 광원(115)은 키패드(130)의 영역으로부터 오프셋된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기판(132) 상에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키패드(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반투명층의 제1 부 분(124a)을 통해 광(144)을 프로젝팅하도록 동작하는 제1 광원(110a, 110b)이 포함된다. 반투명층의 제2 부분(124b)을 통해 광(143)을 프로젝팅하도록 동작하는 제2 광원(115)이 포함된다. 그러나, 제2 광원(115)은 키패드(130)로부터 일부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광 가이드 층(128)은 제2 광원(115)에 의해 프로젝팅된 광(141, 143)을 투과하는데 이용된다. 제1 광원은 제2 광원(115)으로부터 프로젝팅된 광이 반투명층의 제1 부분(124a)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열된 EL 패널(110a, 110b)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제2 광원(115)으로부터의 일부 광(141)은 이러한 광(141)이 반투명층의 제1 부분(124a)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편향되거나 EL 패널(110b)에 의해 흡수될 것이다. 제2 광원(115)으로부터의 일부 광(143)은 광 가이드 층(128)에 의해 반투명층의 제2 부분(124b)에 지향될 것이다. 광 가이드 층(128)은 이러한 광(143)을 위 방향으로 지향하도록 형상지어진 반투명층의 제2 부분(124b) 아래의 표면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광 가이드 층(128)은 키패드(130)의 기계적 누름(depress)을 도와주도록 더 동작가능하다. EL 패널(110a, 110b)은 위에 놓여지는 불투명층(126) 또는 웨이브 가이드 층(128) 상에 적층될 수 있다. PC 막 층(122)은 핸드셋 디바이스(100)에 대한 커버링 표면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제2 광원(115)의 멀리 떨어진 배치는 광원과 핸드셋 안테나(147)간의 상호작용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EL 패널들은 통상 금속으로 구성되고, 비교적 큰 AC 전압으로 동작한다. 결과적으로, EL 패널은 핸드셋 안테나의 동작을 방해한다. 그러므로, EL 패널(110a, 110b)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안 테나(147)로부터 실질적인 거리만큼 이격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비해, LED 디바이스(115)는 통상 낮은 DC 전압에서 동작하고 안테나(147)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LED 제2 광원(115)은 안테나(147)에 훨씬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달 조명 컨트롤을 가지는 핸드셋 디바이스의 하나의 예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핸드셋 디바이스(150)는 셀룰러 전화기, 인터넷 장비, 랩탑 컴퓨터, 팜탑 컴퓨터, 개인휴대단말기, 디지털 오락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트랙킹 디바이스, 개인 트레이닝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고,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핸드셋 디바이스(150)는 양호하게는 셀룰러 전화 서비스와 같이 무선 통신 서비스에 접속하는 디바이스이다. 단지 예시의 목적상, 미디어 재생 성능을 가지는 셀룰러 전화기 핸드셋 디바이스(150)가 예로 제시되어 있고, 컨트롤러(170), 어플리케이션(162)을 나타내는 저장된 데이터 및 미디어 데이터(164)를 포함하는 메모리(160), 키패드(180), 제1 광원(190), 제2 광원(200), 무선 트랜시버(210), 및 미디어 재생 모듈(2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컨트롤러(170)는 메모리 버스(166)를 통해 메모리(160)로부터 얻어지는 소프트웨어 명령을 실행하여, 핸드셋 디바이스(1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70)는 메모리(160), 키패드(180), 제1 광원(190), 제2 광원(200), 무선 트랜시버(210), 및 미디어 재생 모듈(220)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예에서, 컨트롤러(170)는 예를 들면, DSP, 마이크로컨트롤러, 중앙 처리 유닛,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코-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적합한 처리 디바이스 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는 이산적인 로직, 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 또는 임의의 적합한 구조일 수 있다. 컨트롤러(170) 상에서 실행되는 동작 명령 또는 소프트웨어는 단일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복수의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한 메모리(160)는 RAM, ROM,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네트워크 상의 서버와 같은 분산된 메모리, 또는 CD-ROM 또는 임의의 적합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임의의 메모리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러한 메모리는 컨트롤러와 통합되거나 임의의 적합한 구성을 취하는 것이 자명하다.
컨트롤러(170)는 본 기술분야에 주지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사용자가 키패드(180)를 기계적으로 누른 경우에 키패드(180)로부터 키스트로크(172)를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컨트롤러(170)는 제1 및 제2 광원(190, 200)으로부터의 광의 프로젝션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광 컨트롤(174)은 컨트롤러(170)에 의해 제1 광원(190)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광 컨트롤(176)은 컨트롤러(170)에 의해 제2 광원(200)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어느 광원이든 원하는 모달 조명 컨트롤에 따라 언제라도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1 및 제2 광원(190, 200)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더 큰 개수의 그러한 광원이 핸드셋 디바이스(150)에 이용되어 복수의 조명 모드를 제공한다.
컨트롤러(170)는 무선 통신 동작 모드를 가질 수 있고, 여기에서 컨트롤러는 본 기술분야에 주지된 방법에 의해 무선 트랜시버(210)를 경유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 음성, 데이터 또는 다른 컨텐트를 송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컨트롤러(170)는 트랜시버 버스(212)를 통해 무선 트랜시버(210)에 결합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미디어 재생 동작 모드를 가지고 있고, 여기에서 컨트롤러는 본 기술분야에 주지된 방법에 의해, 미디어 재생 모듈(220)을 통해 핸드셋 메모리(160)에 저장된 음악, 비디오 또는 다른 컨텐트와 같은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컨트롤러(170)는 미디어 스트림(222)을 통해 데이터를 미디어 재생 모듈(220)에 전달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달 조명 제어 방법(250)의 하나의 예를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260에서, 제1 광원에 의해 광이 반투명층을 통해 프로젝팅된다. 단계 270에서, 제2 광원에 의해 광이 반투명층을 통해 프로젝팅된다. 단계 280에서, 제1 광원은 제2 광원에 의해 프로젝팅된 광이 반투명층의 일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럼으로써, 다른 장점들 중에서, 개시된 방법 및 장치는 디바이스의 키패드의 모달 조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디바이스 키 위의 반투명층의 다양한 부분들은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켜질 수 있다. 복수의 동작 모드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키의 개수가 키 공유를 통해 감소될 수 있다. 공유된 키는 동작 모드에 따라 상이한 조명 및/또는 그래픽을 가질 수 있다. 모달 조명을 구현하기 위한 공간 요구조건은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여 다른 하나의 광원에 의해 프로젝팅된 광이 반투명층의 일부에 들어가는 것을 유익하게 방지함으로써 최적화된다. 다른 장점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자명하다.
본 발명의 상기 상세한 설명, 및 여기에 기재된 예들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본 발명의 원리들이 특정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상기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설명이 단지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주에 대한 제한으로서 만들어지지 않은 것은 자명하다.

Claims (23)

  1. 모달 조명(modal lighting)을 가지는 디바이스로서,
    반투명층;
    상기 반투명층을 통해 광을 프로젝팅하도록 동작하는 제1 광원; 및
    상기 반투명층을 통해 광을 프로젝팅하도록 동작하는 제2 광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원은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프로젝팅된 광이 상기 반투명층의 일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모달 조명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은 전기 발광 패널인 모달 조명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인 모달 조명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과 상기 반투명층 사이에 광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모달 조명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은 상기 광 가이드 상에 적층되는 모달 조명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은 상기 광 가이드 상에 몰딩되는 모달 조명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광원에 의해 프로젝팅된 광이 상기 반투명층에 들어가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도록 동작하는 불투명층을 더 포함하는 모달 조명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원에 의한 광의 프로젝션은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고 있는 모달 조명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층 아래에 놓여지는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모달 조명 디바이스.
  10. 모달 조명을 구비하는 디바이스로서,
    키패드;
    상기 키패드 위에 놓여지는 반투명층;
    상기 반투명층을 통해 광을 프로젝팅하도록 동작하는 제1 광원;
    상기 반투명층을 통해 광을 프로젝팅하도록 동작하는 제2 광원 - 상기 제1 광원은 상기 제2 광원에 의해 프로젝팅된 광이 상기 반투명층의 일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 -; 및
    상기 키패드, 상기 제1 및 제2 광원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키패드 로부터 키스트로크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프로젝션을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모달 조명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은 전기 발광 패널인 모달 조명 디바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인 모달 조명 디바이스.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과 상기 반투명층 사이에 광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모달 조명 디바이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광원에 의해 프로젝팅된 광이 상기 반투명층에 들어가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도록 동작하는 불투명층을 더 포함하는 모달 조명 디바이스.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원에 의한 광의 프로젝션의 컨트롤은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고 있는 모달 조명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되는 미디어 재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미디어 재생은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 중 하나인 모달 조명 디바이스.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되는 무선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고, 무선 통신은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 중 하나인 모달 조명 디바이스.
  18. 디바이스에서 모달 조명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1 광원에 의해 광을 반투명층을 통해 프로젝팅하는 단계;
    제2 광원에 의해 광을 상기 반투명층을 통해 프로젝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광원에 의해, 상기 제2 광원에 의해 프로젝팅된 광이 상기 반투명층의 일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달 조명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은 전기 발광 패널인 모달 조명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인 모달 조명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에 의해 광을 상기 반투명층을 통해 프로젝팅하기 이전에, 상기 제2 광원에 의해 광을 광 가이드를 통해 프로젝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달 조명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불투명층에 의해, 상기 제1 또는 제2 광원에 의해 프로젝팅된 광이 상기 반투명층의 섹션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달 조명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에 의한 광의 프로젝팅은 상기 제2 광원에 의한 광의 프로젝팅에 종속되지 않는 모달 조명 방법.
KR1020087030253A 2006-06-12 2007-03-22 모달 조명 컨트롤을 구비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KR101193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23,513 2006-06-12
US11/423,513 US7600880B2 (en) 2006-06-12 2006-06-12 Device with modal lighting control and method thereof
PCT/US2007/064658 WO2007146466A2 (en) 2006-06-12 2007-03-22 Device with modal lighting control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118A true KR20090018118A (ko) 2009-02-19
KR101193774B1 KR101193774B1 (ko) 2012-10-23

Family

ID=3882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253A KR101193774B1 (ko) 2006-06-12 2007-03-22 모달 조명 컨트롤을 구비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00880B2 (ko)
EP (1) EP2033419B1 (ko)
KR (1) KR101193774B1 (ko)
CN (1) CN101467428B (ko)
BR (1) BRPI0712998B8 (ko)
WO (1) WO200714646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5934A1 (en) * 2006-07-17 2008-01-17 Microsoft Corporation Handset with semi-translucent finish
EP1906632A3 (en) * 2006-09-29 2012-10-24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with illuminated touch screen
KR100749124B1 (ko) * 2006-11-02 2007-08-13 (주)아토콘 도광 키판 및 이를 구비한 발광 키패드
JPWO2008072577A1 (ja) * 2006-12-11 2010-03-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照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照光機能付き入力装置
KR101330937B1 (ko) * 2007-02-06 2013-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백라이팅 구조물 제조방법, 이동단말기의백라이팅 구조물 및 백라이팅 구조물 구비 이동단말기
US9203942B2 (en) * 2007-03-06 2015-12-01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904960B1 (ko) 2007-11-09 2009-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TWM335732U (en) * 2008-01-10 2008-07-01 Ichia Tech Inc Keypress panel structure with array micro-hole
CN102334328A (zh) * 2008-12-17 2012-01-25 新科科技私人有限公司 光散射致动薄膜(ldaf)键盘模块
CN102308265B (zh) * 2009-02-23 2014-07-30 东洋电装株式会社 触摸式操作输入装置及具备该触摸式操作输入装置的电子仪器
EP3006441A1 (en) 2009-09-04 2016-04-13 Janssen Pharmaceuticals, Inc. Ns5a inhibitors
JP5963089B2 (ja) * 2009-11-30 2016-08-03 ゾール メディ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ZOLL Medical Corporation デュアルモード医療装置用のディスプレイ
CN101986671A (zh) * 2010-10-29 2011-03-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隐形显示装置及其处理方法、应用设备
EP2587510B1 (en) * 2011-10-28 2018-02-28 BlackBerry Limited Key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KR101939293B1 (ko) * 2012-10-10 2019-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064643B2 (en) * 2012-10-10 2015-06-2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04714270B (zh) * 2015-03-20 2018-05-08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设备的导光膜及移动设备
WO2018060503A1 (en) * 2016-09-29 2018-04-05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nd method for infusion pump for use in an mr environment with lighting of user interface keys to give clinician guidan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8611A (en) * 1972-11-10 1974-08-13 Farallon Ind Portable underwater indicating instrument for divers
DE3235752A1 (de) * 1982-09-27 1984-03-29 Siemens Ag Mehrfunktionstaste
US5747756A (en) * 1996-09-10 1998-05-05 Gm Nameplate, Inc. Electroluminescent backlit keypad
US20010040802A1 (en) * 1999-09-15 2001-11-15 Michael Shipman Keyboard having illuminated keys
JP2001273832A (ja) * 2000-03-28 2001-10-05 Pioneer Electronic Corp 電子機器のボタン、及びボタンの照明制御方法
US7063619B2 (en) * 2001-03-29 2006-06-20 Interactive Telegam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game players and game moves
JP2002352657A (ja) 2001-05-25 2002-12-06 Shin Etsu Polymer Co Ltd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とその製造方法
US20030058223A1 (en) 2001-09-21 2003-03-27 Tracy James L. Adaptable keypad and button mechanism therefor
JP4044024B2 (ja) * 2003-09-29 2008-02-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US7249861B2 (en) * 2004-03-15 2007-07-31 Motorola, Inc. Keypad assembly
JP2006060334A (ja) * 2004-08-17 2006-03-02 Nec Saitama Ltd キーボタン構造及びそのキーボタン構造を有する携帯端末機器
US8917243B2 (en) * 2007-01-31 2014-12-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for illuminating a keycap on a key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33419A2 (en) 2009-03-11
BRPI0712998A2 (pt) 2012-04-17
US20070285913A1 (en) 2007-12-13
EP2033419B1 (en) 2013-07-31
WO2007146466A2 (en) 2007-12-21
BRPI0712998B8 (pt) 2019-11-19
EP2033419A4 (en) 2012-01-18
KR101193774B1 (ko) 2012-10-23
BRPI0712998B1 (pt) 2019-09-10
CN101467428B (zh) 2012-05-16
CN101467428A (zh) 2009-06-24
WO2007146466A3 (en) 2008-06-19
US7600880B2 (en) 2009-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774B1 (ko) 모달 조명 컨트롤을 구비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US944258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reconfigurable keypad
US8139035B2 (en)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CA2794493C (en) Key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US8982055B2 (e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EP1906632A2 (en) Mobile phone with illuminated touch screen
US7893375B2 (en) Non-backlighted illuminating keypad
JP2006060334A (ja) キーボタン構造及びそのキーボタン構造を有する携帯端末機器
CA2476778C (en) Printed circuit board for a mobile device
JP2007073445A (ja) キー操作部及び電子機器
JP2006065611A (ja)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システム
KR20120050386A (ko) 전자 기기
JP2009246821A (ja) 携帯端末装置
EP2535914B1 (en) Key lighting assembly
US2009012849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ts Key structure
JP2008097976A (ja) 電子機器
JP2007207686A (ja) キーラバー、キー操作部及び電子機器
US11556186B1 (en) Backlight control system having at least one movable light sheet that includes at least one light-emitting unit
JP5224761B2 (ja) 電子機器
CN101587388A (zh) 触控屏幕及应用该触控屏幕的电子系统
JP2008067119A (ja) 電子機器及びその組立方法
JP2010257802A (ja) 携帯電子機器
CN1747495A (zh) 能够显示星座信息的移动通信设备
JP2001076586A (ja) 情報携帯機器
JP2011097231A (ja) 携帯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