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283A - 컨벡션 커버에 보조토출구가 형성된 전기오븐 - Google Patents

컨벡션 커버에 보조토출구가 형성된 전기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283A
KR20090017283A KR1020070081911A KR20070081911A KR20090017283A KR 20090017283 A KR20090017283 A KR 20090017283A KR 1020070081911 A KR1020070081911 A KR 1020070081911A KR 20070081911 A KR20070081911 A KR 20070081911A KR 20090017283 A KR20090017283 A KR 20090017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ction
discharge port
air
cooking chamber
auxiliary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8339B1 (ko
Inventor
남현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339B1/ko
Priority to US12/222,586 priority patent/US8106334B2/en
Priority to PCT/KR2008/004687 priority patent/WO2009022847A1/en
Publication of KR20090017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오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벡션 커버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조리실의 국부적인 영역까지 유동하여 음식물의 위치에 관계없이 균일한 열전달이 이루어져 보다 우수한 조리를 할 수 있는 컨벡션 커버에 보조토출구가 형성된 전기오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벡션 커버에 보조토출구가 형성된 전기오븐은,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오븐 본체와, 상기 오븐 본체를 개폐하는 오븐 도어와, 상기 조리실의 내측 벽체에 설치되고,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가열하는 컨벡션 히터와, 상기 컨벡션 히터와 함께 상기 조리실의 내측 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컨벡션 히터를 경유해서 상기 조리실로 순환시키는 컨벡션 팬과, 상기 컨벡션 히터 및 컨벡션 팬의 전방에 설치되고,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홀이 중앙부에 구비되며, 흡인된 공기를 토출하는 주토출구가 외부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주토출구로 공기가 토출되기 전에 흡인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조리실로 토출시키도록 보조토출구가 관통 형성된 판재 형상의 컨벡션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기오븐, 컨벡션 히터, 컨벡션 팬, 컨벡션 커버, 보조토출구, 에어 가이드

Description

컨벡션 커버에 보조토출구가 형성된 전기오븐{ELECTRIC OVEN WITH CONVECTION COVER FORMED WITH SUB-OUTLET}
본 발명은 전기오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벡션 커버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조리실의 국부적인 영역까지 유동하여 음식물의 위치에 관계없이 균일한 열전달이 이루어져 보다 우수한 조리를 할 수 있는 컨벡션 커버에 보조토출구가 형성된 전기오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오븐은 음식물을 밀폐한 후에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세라믹 히터(Ceramic Heater), 시즈 히터(Sheathe Heater) 및 할로겐 히터(Halogen Heater) 등 다양한 히터와 고주파 발생장치 등을 이용하여 건열로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는 조리기기로서, 음식물의 겉과 속을 동시에 가열하게 되어 조리 속도가 빠르고 열효율 또한 높으며, 전기를 사용함으로써 안전성이 보장되어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 전기오븐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전기오븐(1)은 대략 육면체 형상의 오븐 본체(10)를 가지고, 상기 오븐 본체(10)의 내부에는 음식물을 수용한 채로 조리하는 공간인 조리실(20)이 형성된다.
상기 오븐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양측면은 측면플레이트(30)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플레이트(30)의 일측에는 복수의 측면흡입구(32)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흡입구(32)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오븐 본체(10)의 표면 및 내부의 구성품들을 냉각하게 된다.
상기 오븐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에는 후면플레이트(40)가 형성되고, 상기 오븐 본체(10)의 전면은 개구되어 조리실(20)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오븐 도어(50)가 설치된다. 상기 오븐 도어(50)는 조리실(20)의 전방을 차폐할 수 있도록 대략 사각 형상이고, 오븐 도어(50)의 하단부는 상기 오븐 본체(10)의 전면 하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오븐 도어(50)의 상단부에는 도어 핸들(52)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 핸들(52)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오븐 도어(50)의 회동을 용이하게 한다.
오븐 본체(10)의 전면 상부에는 컨트롤 패널(60)이 구비되어 전기오븐(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노브(62) 및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64) 등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60)의 후방 즉, 상기 조리실(20)의 상방에는 전장실(70)이 형성된다. 전장실(70)은 전기오븐(1)의 작동을 위한 전기장치와 부품들이 설치되는 곳으로 마그네트론, 고압트랜스 및 냉각을 위한 팬조립체 등이 설치된다.
한편, 도 2는 종래 전기오븐의 조리실에 설치된 컨벡션 커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공기 유동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4는 종래 전기오븐의 조리실에 설치된 컨벡션 커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공기 유동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 본체(10)의 내측 후방, 즉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20)의 후방에 컨벡션 커버(80)가 설치된다. 상기 컨벡션 커버(80)에 가려져 있으나, 상기 오븐 본체(10)의 내측 후방 벽체에 컨벡션 히터(94) 및 컨벡션 팬(98)이 설치된다.
컨벡션 히터(94)는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상기 조리실(20)의 공기를 가열하고, 컨벡션 팬(98)은 조리실(20)의 공기를 회전으로 흡인하여 상기 컨벡션 히터(98)를 경유해서 상기 조리실(20)로 상기 공기를 순환시킨다.
컨벡션 커버(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판재 형상을 가지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컨벡션 커버(80)의 중앙부에는 컨벡션 팬(98)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흡인력으로 공기가 흡인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복수의 흡인홀(82)이 구비된다. 또한, 컨벡션 커버(80)의 외부둘레를 따라 흡인된 상기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8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컨벡션 커버(80), 컨벡션 히터(94), 컨벡션 팬(98)에 의한 공기의 유동을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컨백션 팬(98)이 회전하여 조리실(20)의 공기를 상기 컨벡션 커버(80)의 흡인홀(82)을 통해 흡인하고, 흡인된 상기 공기가 컨벡션 히터(94)를 통과하면서 가열되며, 가열된 상기 공기가 컨벡션 커버(80)의 외부둘레를 따라 형성된 토출구(84)를 지나 상기 컨벡션 팬(98)의 회전력을 받아 조리실(20)로 토출된다. 그러나,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커버(80) 의 토출구(84)를 통과한 상기 공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20)의 전방, 즉 오븐 도어(50)에 인접한 영역에는 토출된 상기 공기가 유동하지 않는 데드존(DZ)이 발생한다. 또한,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커버(80)의 토출구(84)를 통과한 공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20)을 이등분할 때, 각각의 중앙부에 상기와 같은 데드존(DZ)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전기오븐에 설치된 컨벡션 커버는, 컨벡션 팬에 의해 인입되어 컨벡션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컨벡션 커버의 토출구를 지나 조리실로 순환할 때, 토출된 공기의 유동이 조리실의 국부적인 영역까지 균일하게 전달되지 않는 데드존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음식물의 조리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벡션 커버의 토출구로부터 조리실로 토출되어 순환하는 고온의 공기가 조리실의 국부적인 영역까지 유동하여 음식물에 열전달이 균일하게 이루어져 우수한 조리를 할 수 있는 컨벡션 커버에 보조토출구가 형성된 전기오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컨벡션 커버에 보조토출구가 형성된 전기오븐은, 내부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조리실이 형성된 오븐 본체와, 상기 음식물을 인출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오븐 본체를 개폐하는 오븐 도어와, 상기 조리실의 내측 벽체에 설치되고,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가열하는 컨벡션 히터와, 상기 컨벡션 히터와 함께 상기 조리실의 내측 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컨벡션 히터를 경유해서 상기 조리실로 순환시키는 컨벡션 팬과, 상기 컨벡션 히터 및 컨벡션 팬의 전방에 설치되고,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홀이 중앙부에 구비되며, 흡인된 공기를 토출하 는 주토출구가 외부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주토출구로 공기가 토출되기 전에 흡인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조리실로 토출시키도록 보조토출구가 관통 형성된 판재 형상의 컨벡션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조토출구는 환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토출구는 각각 지름이 다른 동심원 상에 분포하여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벡션 히터는 발광하는 할로겐 히터이고, 상기 보조토출구는 상기 컨벡션 히터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보조토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조리실로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컨벡션 히터와 인접하게 상기 컨벡션 커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벡션 팬과 마주보는 상기 컨벡션 커버 후면에 상기 컨벡션 팬에 의해 인입된 상기 공기의 일부를 상기 보조토출구로 유도하도록 돌출 형성된 제1 에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븐 도어와 마주보는 상기 컨벡션 커버 전면에 상기 보조토출구로 토출된 상기 공기의 일부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돌출 형성된 제2 에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벡션 커버에 에어 가이드가 형성된 전기오븐은, 컨벡션 커버에 형성된 보조토출구를 통하여 조리실의 국부적인 영역까지 고온의 공기가 유동 할 수 있어 음식물에 균일한 열전달이 이루어져 우수한 조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컨벡션 히터가 발광하는 할로겐 히터인 경우에는 컨벡션 히터로부터 조사된 빛이 보조토출구를 통과하여 조리실을 비춰줄 수 있어 시각적인 효과가 극대화되고, 음식물의 조리과정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에어 가이드 및 제2 에어 가이드를 보조토출구에 인접하게 설치하여 고온의 공기를 보조토출구로 용이하게 유도하여 조리실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컨벡션 커버에 보조토출구가 형성된 전기오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오븐의 조리실에 설치된 컨벡션 커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공기 유동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오븐의 조리실에 설치된 컨벡션 커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공기 유동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벡션 커버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오븐의 조리실에 설치된 컨벡션 커버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공기 유동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벡션 커버에 보조토출구가 형성된 전기오븐은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150)이 내부에 형성된 오븐 본체(100), 오븐 도어(200), 컨벡션 히터(300), 컨벡션 팬(400) 및 컨벡션 커버(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컨벡션 커버(500)는 흡인홀(510), 주토출구(520) 및 보조토출구(55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컨벡션 커버(500)는 제1 에어 가이드(570) 및 제2 에어 가이드(5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오븐 본체(100)는 내부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조리실(150)이 형성된다. 오븐 본체(100)의 내부, 즉 상기 조리실(150)은 음식물이 수용되어 조리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가진다. 또한, 오븐 도어(200)는 상기 오븐 본체(100)에 음식물을 인출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오븐 본체(100)를 개폐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조리실(150)의 상, 하방에는 브로일(Broil) 히터 및 베이크(Bake) 히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오븐 본체(100), 조리실(150), 오븐 도어(200) 및 상기 오븐 본체(100)에 취부되는 각종 구성요소들은 종래의 기술로 구현가능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컨벡션 히터(300)는 상기 오븐 본체(100)의 내측 벽체, 즉 조리실(150)의 내측 벽체에 설치되고,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상기 조리실(150)의 공기를 가열한다. 또한, 컨벡션 팬(400)은 상기 조리실(100)의 내측 벽체에 상기 컨벡션 히터(300)와 함께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150)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컨벡션 히터(300)를 경유해서 상기 조리실(150)로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상기 컨벡션 히터(300) 및 컨벡션 팬(400) 역시 종래의 기술로 구현가능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의 특징은 컨벡션 커버(500)의 구성을 변화시켜 조리실(150)로 토출되는 고온의 공기를 상기 조리실(150)의 국부적인 영역까지 균일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벡션 커버(5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컨벡션 커버(500)는 상기 컨벡션 히터(300) 및 컨벡션 팬(400)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컨벡션 히터(300) 및 컨벡션 팬(400)이 가려지도록 전방에 설치된다. 또한, 컨벡션 커버(500)는 상기 컨벡션 팬(400)에 의해 흡인된 조리실(150)의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홀(510)이 중앙부에 구비된다. 상기 흡인홀(510)을 통과한 공기는 컨벡션 팬(400)을 지나 컨벡션 히터(300)를 경유하면서 고온의 공기로 가열된다. 가열된 상기 공기는 컨벡션 커버(500)의 외부 둘레를 따라 구비된 주토출구(520)로부터 토출되어 조리실(150)을 순환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컨벡션 커버(500)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토출구(520)로 공기가 토출되기 전에 상기 공기 일부를 조리실(150)로 토출시키도록 보조토출구(550)가 관통 형성된다. 즉, 보조토출구(550)는 주토출구(520)로 공기가 토출되기 전에 조리실(150)로 공기의 일부를 토출시키기 위하여 주토출구(520)의 위치보다 내측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도 6 내지 도 10에서는 상기 보조토출구(550)가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사각 또는 삼각이나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다만, 컨벡션 팬(400)의 회전에 의해 공기가 조리실로 토출되므로 상기 컨벡션 팬(400)의 회전반경에 맞게 상기 보조토출구(550)도 환형으로 설치하는 것이 공기가 보다 용이하게 토출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한, 상기 보조토출구(550)는 컨벡션 히터(300)를 경유하여 가열된 고온의 공기가 조리실(150)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므로 상기 컨벡션 히터(300)의 직경보다는 외측으로 상기 컨벡션 커버(500)에 형성되어야 한다.
보조토출구(5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벡션 커버(500)에 복수의 슬롯(552)이 환형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점홀(55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토출구(550)의 형상은 어떠한 형상을 가지든 무관하나, 컨벡션 커버(50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슬롯(552) 또는 점홀(554) 등의 간단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토출구(55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살펴보면, 조리실(150)의 국부적인 영역까지 고온의 공기가 순환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주토출구(500)만을 구비한 경우에는 토출되는 공기가 조리실(150) 전체를 순환하지 못하여 데드존이 발생하던 것과 달리, 보조토출구(55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데드존을 없애고 조리실(150) 전체에 균일한 열전달을 이루어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조토출구(5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지름이 다른 동심원 상에 분포하여 배열될 수 있다. 즉, 보조토출구(550) 각각이 환형의 띠 모양을 형성하여 복수의 띠가 배열되는 것이다. 도 8에는 보조토출구(550)가 2개의 띠 모양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슬롯(552)의 두께를 가늘게 하여 상기 보조토출구(550)의 띠 모양을 2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보조토출구(550)를 복수의 띠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되는 공기가 조리실(150) 전체로 유동하여 더욱 균일한 열전달이 가능해져 조리의 완성도를 확실히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벡션 히터(300)는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 히터일 수 있고, 상기 보조토출구(550)는 상기 컨벡션 히터(30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보조토출구(550)를 통과하여 상기 조리실(150)로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컨벡션 히터(300)와 인접하게 상기 컨벡션 커버(50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벡션 히터(300)와 보조토출구(550)가 동일한 지름을 갖는 경우에는 컨벡션 팬(400)에 의해 인입된 공기가 상기 컨벡션 히터(300)에 의해 가열되기 전에 상기 보조토출구(550)로 토출될 수 있으므로 보조토출구(550)는 컨벡션 히터(300)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상기 컨벡션 히터(300)보다는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벡션 히터(300)가 발광하면, 빛이 사방으로 조사될 것이므로 상기 컨벡션 히터(300)와 보조토출구(550)가 동일한 크기가 아니더라도 인접한 보조토출구(550)로 빛이 통과하여 조리실(150)로 조사될 것이다. 상기 발광 히터에는 할로겐 램프를 사용하는 할로겐 히터와 탄소의 가열로 발광하는 카본 히터 등이 있으며, 상기 할로겐 히터 및 카본 히터 이외에도 발광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히터이면 어느 것이든 상관없다.
한편, 보조토출구(550)로 유도된 공기의 일부가 조리실(150)로 토출될 때, 원하는 방향으로 보다 정확하게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컨벡션 팬(400)의 회전에 의해 인입된 조리실(150)의 공기가 컨벡션 히터(300)를 경유하여 토출될 때, 상기 컨벡션 팬(400)의 회전반경을 따라 대부분의 공기가 토출되므로 컨벡션 커버(500)에 관통 형성된 보조토출구(550)로 상기 공기의 일부가 토출되는 양이 부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여 후술할 제1 에어 가이드(570) 및 제2 에어 가이드(580)을 컨벡션 커버(500)에 각각 형성하는 것이다.
제2 에어 가이드(58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븐 도어(200)와 마주보는 상기 컨벡션 커버(500) 전면에 상기 보조토출구(550)로 토출된 공기의 일부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돌출 형성된다. 보조토출구(550)로 토출된 상기 공기의 일부가 제2 에어 가이드(580)에 간섭되어 상기 제2 에어 가이드(580)가 안내하는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제2 에어 가이드(580)는 보조토출구(550)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컨벡션 커버(500)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리브 형상이다.
제1 에어 가이드(57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벡션 팬(400)과 마주보는 상기 컨벡션 커버(500) 후면에 상기 컨벡션 팬(400)에 의해 인입된 상기 공기의 일부를 보조토출구(550)로 유도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돌출 형성된다. 제1 에어가드(570) 역시 상기 제2 에어 가이드(580)와 실질적인 형상은 대동소이하나, 그 위치에 있어서 컨벡션 커버(550)의 후면에 형성된다는 점과 그 기능에 있어서 보조토출구(550)로 공기의 일부를 용이하게 유도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기오븐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전기오븐의 조리실에 설치된 컨벡션 커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공기 유동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4는 종래 전기오븐의 조리실에 설치된 컨벡션 커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공기 유동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오븐의 조리실에 설치된 컨벡션 커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공기 유동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오븐의 조리실에 설치된 컨벡션 커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공기 유동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벡션 커버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오븐의 조리실에 설치된 컨벡션 커버의 제 4실 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실의 공기 유동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오븐 본체 150 : 조리실
200 : 오븐 도어
300 : 컨벡션 히터
400 : 컨벡션 팬
500 : 컨벡션 커버
510 : 흡인홀 520 : 주토출구
550 : 보조토출구
552 : 슬롯 554 : 점홀
570 :제1 에어 가이드 580 : 제2 에어 가이드

Claims (6)

  1. 내부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조리실이 형성된 오븐 본체와,
    상기 음식물을 인출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오븐 본체를 개폐하는 오븐 도어와,
    상기 조리실의 내측 벽체에 설치되고,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가열하는 컨벡션 히터와,
    상기 컨벡션 히터와 함께 상기 조리실의 내측 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컨벡션 히터를 경유해서 상기 조리실로 순환시키는 컨벡션 팬과,
    상기 컨벡션 히터 및 컨벡션 팬의 전방에 설치되고,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홀이 중앙부에 구비되며, 흡인된 공기를 토출하는 주토출구가 외부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주토출구로 공기가 토출되기 전에 흡인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조리실로 토출시키도록 보조토출구가 관통 형성된 판재 형상의 컨벡션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컨벡션 커버에 보조토출구가 형성된 전기오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토출구는 환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 커버에 보조토출구가 형성된 전기오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토출구는 각각 지름이 다른 동심원 상에 분포하여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 커버에 보조토출구가 형성된 전기오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 히터는 발광 히터이고,
    상기 보조토출구는 상기 컨벡션 히터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보조토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조리실로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컨벡션 히터와 인접하게 상기 컨벡션 커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 커버에 보조토출구가 형성된 전기오븐.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 팬과 마주보는 상기 컨벡션 커버 후면에 상기 컨벡션 팬에 의해 인입된 상기 공기의 일부를 상기 보조토출구로 유도하도록 돌출 형성된 제1 에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 커버에 보조토출구가 형성된 전기오븐.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븐 도어와 마주보는 상기 컨벡션 커버 전면에 상기 보조토출구로 토출된 상기 공기의 일부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돌출 형성된 제2 에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 커버에 보조토출구가 형성된 전기오븐.
KR1020070081911A 2007-08-14 2007-08-14 전기오븐 KR101388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911A KR101388339B1 (ko) 2007-08-14 2007-08-14 전기오븐
US12/222,586 US8106334B2 (en) 2007-08-14 2008-08-12 Electric oven having convection cover formed with sub-outlets
PCT/KR2008/004687 WO2009022847A1 (en) 2007-08-14 2008-08-13 Electric oven having convection cover formed with sub-oul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911A KR101388339B1 (ko) 2007-08-14 2007-08-14 전기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283A true KR20090017283A (ko) 2009-02-18
KR101388339B1 KR101388339B1 (ko) 2014-04-22

Family

ID=4035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911A KR101388339B1 (ko) 2007-08-14 2007-08-14 전기오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06334B2 (ko)
KR (1) KR101388339B1 (ko)
WO (1) WO20090228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772A (ko) * 2016-12-28 2018-07-0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열풍 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3145A1 (de) * 2008-10-24 2010-04-29 Rational Ag Strömungsleitvorrichtung für ein Gargerät
KR101626156B1 (ko) * 2009-05-20 2016-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8538249B2 (en) 2009-10-20 2013-09-17 General Electric Company Broiler for cooking appliances
CN202426323U (zh) * 2011-12-28 2012-09-12 林日光 一种多功能无油旋风电烤炉
EP2636955B1 (en) * 2012-03-08 2016-11-1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cooking oven provided for heat transfer by convection
EP2830423B1 (en) * 2012-03-29 2019-10-30 B/E Aerospace, Inc. Oven and method of heating an oven
US20140110392A1 (en) * 2012-10-22 2014-04-24 Miguel Estrella Oven baffle
US20140110391A1 (en) * 2012-10-22 2014-04-24 Miguel Estrella Oven baffle
JP6416258B2 (ja) * 2013-12-13 2018-10-3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空気ベースのフライヤにおける空気ガイド部材
US9551494B2 (en) * 2014-03-20 2017-01-2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ounting bracket with thermal maze to reduce heat transfer rate
PL3034168T3 (pl) 2014-12-16 2022-01-03 Binder Gmbh Wewnętrzny kocioł komory symulacyjnej oraz komora symulacyjna z wewnętrznym kotłem
DE102014118787A1 (de) * 2014-12-16 2016-06-16 Binder Gmbh Simulationsschrank
KR101713402B1 (ko) * 2015-03-06 2017-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707749B1 (ko) * 2015-09-21 201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TW201731430A (zh) * 2016-02-25 2017-09-16 Panasonic Ip Man Co Ltd 感應加熱調理器及烤盤
JP6615966B1 (ja) * 2018-06-29 2019-12-04 株式会社日本輸出自動車検査センター 自動車の高温害虫駆除装置
EP3620722B1 (en) * 2018-09-04 2023-01-25 Whirlpool Corporation Gas convection oven
US11852378B2 (en) * 2018-12-17 2023-12-26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Convection fan cover
US20200191411A1 (en) * 2018-12-17 2020-06-18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Convection fan cover
JP7297561B2 (ja) * 2019-07-01 2023-06-26 ホシザキ株式会社 加熱調理器
ES2929438T3 (es) * 2019-07-24 2022-11-29 Bonferraro Spa Horno eléctrico de cocción por convección
CN214595581U (zh) 2020-04-06 2021-11-05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能定位在支撑表面上的烹饪系统
CN116234446A (zh) * 2020-09-09 2023-06-06 布瑞威利私人有限公司 烤箱
US20220282871A1 (en) * 2021-03-05 2022-09-0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Oven bake heating channel exchan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8642A (en) * 1963-01-24 1965-02-02 Market Forge Company Electrically heated forced air circulation oven
US4283614A (en) * 1978-02-20 1981-08-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oking device with high-frequency heating means and resistance heating means
US5485780A (en) * 1993-02-26 1996-01-23 Food Automation Service Techniques, Inc. Rotisserie oven
JP2965830B2 (ja) 1993-09-09 1999-10-18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950009707Y1 (ko) * 1993-10-25 1995-11-22 대우전자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스티러/컨벡션 겸용장치
US5801362A (en) * 1994-01-14 1998-09-01 Hudson Standard Corporation Portable electric oven with fan and motor arrangement for improved heated air flow and motor cooling
KR19980025382U (ko) * 1996-11-01 1998-08-05 김광호 오븐렌지
KR100399130B1 (ko) * 1999-11-17 2003-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KR20010055388A (ko) 1999-12-10 2001-07-04 전주범 석영관 히터를 채용한 다기능 전자렌지
KR100402495B1 (ko) * 2000-11-30 2003-10-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히터시스템
US6718965B2 (en) * 2002-01-29 2004-04-13 Dynamic Cooking Systems, Inc. Gas “true” convection bake oven
JP3827303B2 (ja) * 2002-03-12 2006-09-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蒸気発生機能付き高周波加熱装置
US6730881B1 (en) * 2002-12-13 2004-05-04 Maytag Corporation Cooking appliance having accelerated cooking system
EP1431667B1 (en) * 2002-12-16 2015-07-08 LG Electronics, Inc. Electric oven
KR20040096037A (ko) * 2003-05-07 2004-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기
KR200365631Y1 (ko) 2004-08-09 2004-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100662922B1 (ko) * 2004-08-09 200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레인지
KR100633172B1 (ko) * 2004-10-21 2006-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타입 전기오븐의 냉각시스템
KR20060070910A (ko) * 2004-12-21 2006-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오븐
KR100697022B1 (ko) 2005-04-11 200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의 컨벡션 챔버
CN101203714A (zh) 2005-04-22 2008-06-18 范松皇家油墨厂 在制备区内具有均匀热气流的烘箱
KR101249863B1 (ko) * 2005-10-31 2013-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장치
US7371999B1 (en) * 2006-10-03 2008-05-13 Alto-Shaam, Inc. Temperature changing apparatus having a rotating air deflector
KR101323325B1 (ko) * 2006-11-15 2013-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772A (ko) * 2016-12-28 2018-07-0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열풍 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339B1 (ko) 2014-04-22
WO2009022847A1 (en) 2009-02-19
US8106334B2 (en) 2012-01-31
US20090045184A1 (en)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339B1 (ko) 전기오븐
WO2017033457A1 (ja) 加熱調理器
KR101261669B1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102581788B1 (ko) 냉각 시스템을 구비한 조리장치
KR20000075155A (ko) 히터를 가지는 전자렌지
KR100633173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KR20090017299A (ko) 컨벡션 커버에 에어 가이드가 형성된 전기오븐
KR20220136027A (ko) 조리기기
KR20110015784A (ko) 조리기기
KR20060013782A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60030560A (ko) 전기오븐레인지
KR20100112338A (ko) 스팀조리기기
KR200353573Y1 (ko) 전기오븐의 도어 냉각 시스템
KR200365631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101291422B1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100646878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컨벡션부 구조
KR100596247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냉각시스템
JP6530973B2 (ja) 高周波加熱調理器
KR100643883B1 (ko) 피자 오븐
KR100437396B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공기유동장치
KR20090065060A (ko) 전자레인지
KR101627379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0936154B1 (ko) 전자레인지
KR20230103500A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JP2000171046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