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5489A -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5489A
KR20090015489A KR1020070079834A KR20070079834A KR20090015489A KR 20090015489 A KR20090015489 A KR 20090015489A KR 1020070079834 A KR1020070079834 A KR 1020070079834A KR 20070079834 A KR20070079834 A KR 20070079834A KR 20090015489 A KR20090015489 A KR 20090015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blocking plate
radius
vacuum cleaner
structur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9607B1 (ko
Inventor
이성철
오장근
송화규
손채훈
박이선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9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607B1/ko
Priority to US12/008,293 priority patent/US7856694B2/en
Priority to EP08103092.6A priority patent/EP2025275B1/en
Priority to RU2008120327/12A priority patent/RU2459568C2/ru
Publication of KR20090015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7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9/0444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for conveying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e.g.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6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fluid pressure, e.g. by means of an air turb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는, 상부 케이싱 및 하부케이싱을 구비하며 하부케이싱의 바닥면에 흡입구가 형성된 케이싱부; 케이싱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 식재된 복수의 드럼모에 의해 피청소면에 타격을 가할 수 있도록 마련된 드럼브러시; 케이싱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드럼브러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팬; 및 팬의 전방에서 팬에 인접 설치되어 팬의 외측부의 일단을 제외한 팬의 나머지 부분을 가리도록 마련된 블로킹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팬은, 원형의 팬몸체; 팬몸체의 중심으로부터 팬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축부재; 및 팬몸체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며 팬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블레이드의 내측단은 축부재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흡입된 공기가 블레이드의 일측단과 축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통과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입구조립체, 팬, 횡류팬, 블로킹 플레이트, 소음, BPF, 노이즈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A suction port assembly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브러시를 구동하는 팬의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드럼브러시를 구동하는 팬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진공원으로부터 발생된 흡입력을 이용하여 공기와 함께 피청소면으로부터 오물을 흡입함으로서 피청소면을 청소하는 가전기기이다.
피청소면은 하드 플로어(hard floor)와 같이 딱딱한 표면일 수도 있고 카펫(carpet)이나 이불과 같이 유연한 표면일 수도 있다.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 카펫이나 이불과 같은 피청소면을 청소하다 보면, 피청소면과 접촉하는 흡입구조립체가 카펫이나 이불에 달라붙어 청소가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흡입구조립체가 이불이나 카펫에 달라붙어 청소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입구조립체 내에 드럼 브러시를 구비하고 또한 드럼브러시를 구동시키기 위한 팬을 설치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드럼브러시와 팬을 구비한 종래의 흡입구조립체의 개략적 단면도이 고, 도 2는 도 1의 흡입구조립체에 구비된 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흡입구조립체(1)는, 상부케이싱(2)와 하부케이싱(3) 사이의 내부 공간에 드럼브러시(4)와 팬(5)을 구비한다. 하부케이싱(3)에는 공기 및 오물이 흡입되는 흡입구(6)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드럼브러시(4)와 팬(5)은 벨트에 의해 연결된다. 흡입구조립체(1)를 피청소면에 접촉시키고 청소기를 가동하면, 하부케이싱(3)의 흡입구(6)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되어 팬(5)을 통과하여 흐르게 된다. 이때 팬(5)은 공기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하게 되며, 벨트에 의해 팬(5)의 회전력은 드럼브러시(4)에 전달된다. 그리하여 드럼브러시(4)는 청소 도중에 회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카펫이나 이불과 같은 피청소면에 달라붙어 있는 오물들을 드럼브러시(4)의 외주에 형성된 드럼모(4a)에 의해 타격되며, 분리되고 흡입된다.
또한 팬(5)의 전방에는 팬(5)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블로킹 플레이트(7)가 설치된다. 블로킹 플레이트(7)는 직사각 형상의 판으로 마련되며, 팬(5)의 전방에서의 유로 면적을 축소시킴으로써 팬(5)이 고속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팬(5)은 팬몸체(5a)와, 팬몸체(5a)의 중심으로부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축부재(5b)와, 팬몸체(5a)의 일측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블레이드(5c)를 구비한다. 이때 복수의 블레이드(5c)는 축부재(5b)의 외측면으로부터 팬몸체(5a)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블레이드(5c)의 일측단이 축부재(5c)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의 팬(5)을 통상적으로 원심팬이라고 한다. 이러한 원심팬은 비교적 팬 성능이 높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드럼브러시(4)를 구동하기 위해 흡입구조립체(1)에 원심팬 형태의 팬(5)을 설치하여 사용하다 보니, 흡입구조립체(1)에서 "삐이~" 하는 소리가 크게 발생되어 사용자의 귀를 자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소음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팬의 블레이드(5c)와 공기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서, 통상 BPF 노이즈(Blabe Passage Frequency Noise)라고 불린다. 이러한 BPF 노이즈가 크게 발생되는 경우,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청소 도중에 청각적 불쾌감을 크게 느낄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드럼브러시를 구동하는 팬의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드럼브러시를 구동하는 팬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상부 케이싱 및 하부케이싱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케이싱의 바닥면에 흡입구가 형성된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 식재된 복수의 드럼모에 의해 피청소면에 타격을 가할 수 있도록 마련된 드럼브러시;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상기 드럼브러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팬; 및 상기 팬의 전방에서 상기 팬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팬의 외측부의 일단을 제외한 상기 팬의 나머지 부분을 가리도록 마련된 블로킹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팬은, 원형의 팬몸체; 상기 팬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팬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축부재; 및 상기 팬몸체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팬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의 내측단은 상기 축부재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흡입된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단과 상기 축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통과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럼브러시의 회전축과 상기 팬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 치되며,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는 상기 팬의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는, 상기 팬몸체의 외주의 접선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팬의 외측부의 일단을 향해 굽어진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부는,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는 직사각 형상이며, 상기 곡면부는 굽혀진 직사각 형상이며 상기 평면부의 폭과 동일한 길이의 폭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팬의 반경과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의 전체 폭의 비는 1:1.55 ㄴ내지 1:1.60이며, 상기 팬의 반경과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의 전체 높이의 비는 1:1.29 내지 1:1.34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의 반경과 상기 곡면부의 높이의 비는 1:0.5 내지 1:0.6이며, 상기 팬의 반경과 상기 곡면부의 내측면의 곡률 반경의 비는 1:1.07 내지 1:1.17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팬의 반경과 상기 곡면부가 상기 팬에 최대로 인접한 거리의 비는 1:0.05 내지 1:0.14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곡면부의 하단의 일측에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팬의 반경과 상기 절개부의 폭의 비는 1:0.4 내지 1:0.49이며, 상기 팬의 반경과 상기 절개부의 높이의 비는 1:0.4 내지 1:0.5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럼브러시를 구동하는 팬을 횡류팬으로 구비함으로써 흡입구조립체에서 발생하는 전체소음량 및 BPF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느끼는 청각적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팬의 전방에 설치되는 블로킹 플레이트에 팬 측으로 굽혀진 곡면부를 둠으로써 횡류팬을 채택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팬의 성능 저하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로킹 플레이트의 일단에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서 블로킹 플레이트에 의해 흡입율이 저하되는 정도를 상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흡입구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흡입구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흡입구조립체에 구비된 팬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의 흡입구조립체에 구비된 팬과 블로킹 플레이트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흡입구조립체에 구비된 팬과 블로킹 플레이트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3의 흡입구조립체에 구비된 팬의 소음적 특성을 테스트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100)는, 케이싱부(110)와, 드럼브러시(120)와, 팬(130)과, 블로킹 플레이트(140)를 구비한다.
케이싱부(110)는, 상부 케이싱(111)과 하부케이싱(112)을 구비한다. 이들 상부 및 하부케이싱(111, 112)은 서로 결합되어 케이싱부(11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부케이싱(112)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흡입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흡입구(113)를 통하여 외부 공기는 피청소면 상의 오물과 함께 케이싱부(11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될 수 있다.
드럼브러시(120)는 상기 케이싱부(110)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드럼브러시(120)는 원통형의 드럼브러시 몸체(121)를 구비하며, 드럼브러시 몸체(121)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드럼모(122)가 촘촘히 식재되어 있다. 이러한 다수의 드럼모(122)의 일단은 흡입구(113)를 통하여 케이싱부(110) 밖으로 일정길이 노출되어 피청소면과 접촉될 수 있다.
그리하여, 드럼브러시 몸체(121)가 회전되는 경우, 다수의 드럼모(122)에 의해 피청소면에 타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흡입력에 의해 하부케이싱(112)의 바닥면에 이불이나 카펫과 같은 피청소면이 달라붙더라도 다수의 드럼모(122)가 피청소면에 가하는 타격에 의해 하부케이싱(112)의 바닥면에 달라붙은 이불이나 카펫이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의 드럼모(122)가 피청소면에 가하는 타격에 의해 피청소면에 견고하게 달라붙은 오물들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팬(130)은, 케이싱부(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드럼브러시(120)에 대해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팬(130)은, 흡입구(11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팬(130)의 회전력은, 팬(130)과 드럼브 러시(120) 사이에 마련된 벨트부재(125, 도 4 참조)에 의해 드럼브러시(12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팬(130)은, 원형의 팬몸체(131)와, 축부재(132)와, 복수의 블레이드(133)을 구비한다.
축부재(132)는, 팬몸체(131)의 중심으로부터 팬몸체(131)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축부재(132)는, 팬몸체(131)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으며 팬몸체(131)와 직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축부재(132)의 중심에는 관통홀(132a)이 형성되어 있다. 양단이 케이싱부(110)의 내측벽에 고정된 팬 샤프트(138, 도 4 참조)가 이러한 관통홀(132a)을 관통하게 된다. 그리하여 팬(130)은 케이싱부(110)에 고정된 팬 샤프트(138)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팬(130)의 회전축이 되는 팬 샤프트(138)는 드럼브러시(120)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블레이드(133)는, 팬몸체(131)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팬몸체(1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팬몸체(131)의 측면과 직각을 이루는 블레이드(133)의 일측면에 흡입된 공기가 충돌함으로써 흡입된 공기의 운동에너지가 팬(130)의 회전에너지로 전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블레이드(133)의 내측단은 축부재(132)에 결합되지 않고 축부재(132)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그리하여, 블레이드(133)의 내측단과 축부재(132) 사이에는 빈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팬(130)의 전방으로부터 팬(13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팬(130)의 중심부에 형성된 빈 공간(S)을 통과한 후 팬(130)의 후방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참고로 팬(130)의 중심부에 흡입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빈 공간(S)이 형성된 팬을 통상적으로 "횡류팬"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드럼브러시(120)를 구동하기 위해 횡류팬(130)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횡류팬(130)을 사용하면 팬의 성능 면에서는 전술한 원심팬에 비해 저하된다. 그 이유는 횡류팬(130) 중심에 형성된 빈 공간(S)을 흡입된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됨으로 인하여, 흡입된 공기가 팬(130)의 블레이드(133)와 마찰하는 시간이 원심팬의 경우에 비해 적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원심팬 대신에 횡류팬(130)을 사용하면 소음이 감소되는 이점이 발생한다. 본 출원인은 횡류팬(130)을 사용한 경우의 소음 저감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9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본 테스트에서는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유지하고 단지 팬의 종류를 원심팬과 횡류팬으로 달리하여 양자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원심팬이 사용된 경우의 데이터를 점선의 그래프로 나타내었고 횡류팬이 사용된 경우의 데이터를 실선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9를 참조하면, 원심팬이 사용된 경우에 대한 점선의 그래프보다 횡류팬이 사용된 경우에 대한 실선의 그래프가 대체적으로 소폭 하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횡류팬이 사용된 경우가 원심팬이 사용된 경우에 비해 전체소음량(Overall Noise)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그래프를 참조하면, 3500Hz 이하 주파수 영역에서 인접된 영역보다 소음값(dBA)이 갑자기 커지는 지점이 있는데, 그 지점이 바로 "삐이~"하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BPF 노이즈(Blabe Passage Frequency Noise)의 원인이 되는 지점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원심팬이 사용된 경 우에 대한 점선의 그래프 상에서의 BPF 노이즈의 소음값에 비해, 횡류팬이 사용된 경우에 대한 실선의 그래프 상에서의 BPF 노이즈의 소음값이 상당히 감소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140)는, 팬(130)의 전방에 팬(130)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또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130)의 전방에서 팬(130)을 바라다 보면, 블로킹 플레이트(140)는 팬(130)의 하측부의 일단(130a)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대부분 가리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블로킹 플레이트(140)는 팬(130)의 하측부의 일단(130a)을 가리도록 마련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 블로킹 플레이트(140)가 팬(130)의 상측부의 일단을 가리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140)는, 직사각 형상의 평면부(141)와, 마찬가지로 직사각 형상을 가지되 상기 팬(130)의 외측부의 일단(130a, 도 8 참조)을 향해 굽혀진 곡면부(142)를 구비한다. 블로킹 플레이트(140)의 평면부(141)는 팬몸체(131)의 외주의 접선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블로킹 플레이트(140)의 곡면부(142)는 평면부(141)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평면부(141)와 일체를 이룬다. 또한 평면부(141)과 곡면부(142)의 폭은 서로 동일하다.
이처럼 종래의 블로킹 플레이트와 달리, 본 실시예의 블로킹 플레이트(140)는 평탄한 평면부(141) 뿐만 아니라 굽혀진 곡면부(142)를 갖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곡면부(142)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팬(130)의 하측부의 일단(130a)으로 부드 럽게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된 공기가 블로킹 플레이트(140)와 충돌하는 과정에서 손실되는 흡입된 공기의 운동에너지의 양이 줄게 되며, 따라서 흡입된 공기로부터 팬(130)의 블레이드(133)에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팬(130)의 회전 속도가 빨라져 결과적으로 팬(130)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원심팬 대신 횡류팬(130)을 선택함으로서 저하된 팬(130)의 성능을 블로킹 플레이트(140)에 곡면부(142)를 구비함으로써 보상하게 된다.
본질적으로 블로킹 플레이트(140)는 설치된 지점에서의 유로의 단면적을 축소시킨다. 따라서 블로킹 플레이트(140)에 의해 유로의 단면적이 과도하게 축소되는 경우 흡입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블로킹 플레이트(140)에 의해 유로의 단면적이 과도하게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킹 플레이트(140)의 곡면부(142)의 일단에는 직사각형의 형상의 절개부(143)가 형성된다. 이러한 절개부(143)의 형상과 크기는 실시예에 따라 적절하게 가변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반복적 실험을 통하여, 소음, 팬(130)의 성능 및 흡입율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블로킹 플레이트(140)의 규격을 설정하였다. 팬(140)의 크기에 따라 바람직한 블로킹 플레이트(140)의 규격은 상대적으로 가변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팬몸체(131)의 반경(R1)을 기준값 "1"로 하여 상대적인 블로킹 플레이트(140)의 크기를 설명한다.
본 출원인이 반복적 실험을 수행한 바에 의하면 바람직한 블로킹 플레이 트(140)의 전체 폭(L1)과 전체 높이(H1)는 각각 1.55 내지 1.65 사이 및 1.29 내지 1.39 사이이다. 그리고 블로킹 플레이트(140)의 두께(t)는 0.09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곡면부(142)의 높이(H2)는 0.5 내지 0.6인 것이 바람직하며, 팬(140)에 인접한 곡면부의 일측면의 곡률 반경(R2)은 1.07 내지 1.17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절개부(143)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한 경우, 절개부(143)의 폭(L3) 및 높이(H3)는 각각 0.4 내지 0.49 및 0.4 내지 0.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곡면부(142)와 팬(130)이 가장 인접한 거리(d)는 0.05 내지 0.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100)의 동작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불이나 카펫과 같은 피청소면에 하부케이싱(112)의 바닥면을 접촉시키고 진공청소기를 가동하면, 하부케이싱(112)에 형성된 흡입구(113)을 통하여 공기와 함께 피청소면 상의 오물이 케이싱부(11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드럼브러시(120)를 거쳐 블로킹 플레이트(140)에 도달한다. 블로킹 플레이트(140)의 하부에 곡면부(14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입된 공기는 팬(130)의 하측부의 일단(130a, 도 8 참조)을 향해 운동에너지를 크게 상실하지 않은 채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처럼 블로킹 플레이트(140)가 전체적으로 평판 형태로 마련된 경우에 비해 팬(130)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블로킹 플레이트(140)의 곡면부(142)의 일단에는 절개부(143)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블로킹 플레이트(140)가 설치된 곳에서의 유로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고, 따라서 흡입율이 향상될 수 있다.
흡입된 공기는 팬(130)을 거쳐가며 팬(130)에 구비된 블레이드(133)를 통하여 팬(130)에 에너지를 전달함으로써 팬(130)이 회전시킨다. 팬(130)은 벨트부재(125)를 통하여 드럼브러시(120)에 회전력을 전달하며, 드럼브러시(120)는 외주면에 식재된 드럼모(122)를 통하여 피청소면에 타격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타격에 의하여 피청소면 상의 오물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이불이나 카펫과 같은 피청소면이 하부케이싱(112)의 바닥면에 달라붙더라도 드럼모(122)가 가하는 타격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흡입된 공기는 횡류팬으로 마련된 팬(130)을 거쳐가는 동안 블레이드(133)의 내측단과 축부재(132)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S)을 통과하여 팬(130)의 후방으로 흘러나갈 수 있다. 전술했듯이, 흡입구조립체(100)에 원심팬 대신 횡류팬을 적용함으로써, 팬(130)에서 발생되는 전체소음량(Overall Noise)이 상대적으로 감소될 뿐만 아니라 BPF 노이즈가 또한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흡입구조립체(100)에 의하면, 드럼브러시(120)를 구동하는 팬(130)을 원심팬 대신 횡류팬으로 구비함으로써 전체소음량 및 BPF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느끼는 청각적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원심팬 대신 횡류팬을 구비함으로써 저하되는 팬(130)의 성능은, 팬(130)의 전방에 설치되는 블로킹 플레이트(140)이 하부에 곡면부(142)를 둠으로써 보상될 수 있다. 또한, 블로킹 플레이트(140)의 일단에 절개부(143)를 두어 블로킹 플레이트(140)에 의해 흡입율이 저하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드럼브러시와 팬을 구비한 종래의 흡입구조립체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흡입구조립체에 구비된 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흡입구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흡입구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흡입구조립체에 구비된 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흡입구조립체에 구비된 팬과 블로킹 플레이트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흡입구조립체에 구비된 팬과 블로킹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흡입구조립체에 구비된 팬의 소음적 특성을 테스트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흡입구조립체 110 : 케이싱부
111 : 상부케이싱 112 : 하부케이싱
120 : 드럼브러시 122 : 드럼모
130 : 팬 131 : 팬몸체
132 : 축부재 133 : 블레이드
140 : 블로킹 플레이트 141 : 평면부
142 : 곡면부 143 : 절개부

Claims (10)

  1. 상부 케이싱 및 하부케이싱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케이싱의 바닥면에 흡입구가 형성된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 식재된 복수의 드럼모에 의해 피청소면에 타격을 가할 수 있도록 마련된 드럼브러시;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상기 드럼브러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팬; 및
    상기 팬의 전방에서 상기 팬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팬의 외측부의 일단을 제외한 상기 팬의 나머지 부분을 가리도록 마련된 블로킹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팬은,
    원형의 팬몸체;
    상기 팬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팬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축부재; 및
    상기 팬몸체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팬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의 내측단은 상기 축부재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흡입된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단과 상기 축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통과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브러시의 회전축과 상기 팬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는 상기 팬의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는,
    상기 팬몸체의 외주의 접선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팬의 외측부의 일단을 향해 굽어진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직사각 형상이며, 상기 곡면부는 굽혀진 직사각 형상이며 상기 평면부의 폭과 동일한 길이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반경과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의 전체 폭의 비는 1:1.55 내지 1:1.65이며, 상기 팬의 반경과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의 전체 높이의 비는 1:1.29 내지 1:1.3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반경과 상기 곡면부의 높이의 비는 1:0.5 내지 1:0.6이며, 상기 팬의 반경과 상기 곡면부의 내측면의 곡률 반경의 비는 1:0.07 내지 1:1.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반경과 상기 곡면부가 상기 팬에 최대로 인접한 거리의 비는 1:0.05 내지 1:0.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의 하단의 일측에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팬의 반경과 상기 절개부의 폭의 비는 1:0.4 내지 1:0.49이며, 상기 팬의 반경과 상기 절개부의 높이의 비는 1:0.4 내지 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
KR1020070079834A 2007-08-08 2007-08-08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 KR101449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834A KR101449607B1 (ko) 2007-08-08 2007-08-08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
US12/008,293 US7856694B2 (en) 2007-08-08 2008-01-10 Nozzle assembly of vacuum cleaner
EP08103092.6A EP2025275B1 (en) 2007-08-08 2008-03-28 Nozzle assembly of vacuum cleaner
RU2008120327/12A RU2459568C2 (ru) 2007-08-08 2008-05-23 Насадка для пылесос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834A KR101449607B1 (ko) 2007-08-08 2007-08-08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489A true KR20090015489A (ko) 2009-02-12
KR101449607B1 KR101449607B1 (ko) 2014-10-23

Family

ID=4003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834A KR101449607B1 (ko) 2007-08-08 2007-08-08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56694B2 (ko)
EP (1) EP2025275B1 (ko)
KR (1) KR101449607B1 (ko)
RU (1) RU2459568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6451A (zh) * 2018-03-08 2019-09-17 添可电器有限公司 地刷组件和吸尘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5285A1 (en) * 2010-04-30 2011-11-03 Morgan Charles J Upright vacuum with reduced noise
US8528166B2 (en) 2010-04-30 2013-09-10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Upright vacuum with floating head
CN102727136A (zh) * 2011-04-06 2012-10-1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带螺旋状叶片的滚刷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6330A (en) * 1979-09-04 1981-12-22 Black & Decker Inc. Air-powered vacuum cleaner floor tool
DE4105336C2 (de) 1991-02-21 1994-08-25 Fedag Romanshorn Fa Saugreinigungswerkzeug
DE4229030C2 (de) 1992-09-01 1996-02-22 Fedag Romanshorn Fa Saugreinigungswerkzeug
DE19706166C2 (de) * 1997-02-17 2000-06-08 Duepro Ag Romanshorn Saugreinigungswerkzeug für ein Saugreinigungsgerät
US6131136A (en) * 1997-12-12 2000-10-10 Gateway 2000, Inc. Dual mode modem for automatically selecting between wireless and wire-based communication modes
DE19850104C2 (de) * 1998-10-30 2003-12-04 Wessel Werk Gmbh Polsterdüse für Staubsauger
DE10042672C5 (de) * 2000-08-31 2010-05-27 Düpro AG Saugreinigungswerkzeug mit Durchströmturbine
DE10110312C1 (de) * 2001-03-03 2002-10-02 Duepro Ag Romanshorn Saugreinigungswerkzeug mit rotierender Bürstenwalze
KR20060019740A (ko) * 2004-08-30 2006-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구조
AU2006201894B2 (en) * 2005-05-05 2010-09-16 Bissell Inc. Vacuum accessory tool
KR20070079834A (ko) 2006-02-03 200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6451A (zh) * 2018-03-08 2019-09-17 添可电器有限公司 地刷组件和吸尘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56694B2 (en) 2010-12-28
RU2459568C2 (ru) 2012-08-27
US20090038110A1 (en) 2009-02-12
EP2025275A2 (en) 2009-02-18
EP2025275B1 (en) 2018-10-17
EP2025275A3 (en) 2010-03-24
KR101449607B1 (ko) 2014-10-23
RU2008120327A (ru) 200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6702B1 (ko) 진공청소기
JP5914589B2 (ja) 真空掃除機のための掃除機ヘッド
JP4801516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の吸口体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20090015489A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조립체
US20150320278A1 (en) Vacuum cleaner
JP2006500138A (ja) 真空掃除ヘッド
US20050223522A1 (en) Suction brush assembly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US6212732B1 (en) Vacuum cleaner and suction nozzle body therefor
EP1695651A2 (en) A brush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JP4051777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EP1120075B1 (en) Turbo-brush for cleaning a surface
JP2006342690A (ja) 電動送風機及び電気掃除機
KR100750724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시
JP2892780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
RU2309657C2 (ru) Щетка турбинного типа для пылесоса
JP4045643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電気掃除機
JPH05176870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2002143047A (ja) 電気掃除機の床用吸込具
JP3630033B2 (ja) 手乾燥装置
JP2006296775A (ja) 電気掃除機の床用吸込具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H1147050A (ja) 電気掃除機用吸口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3245226A (ja) 電気掃除機、その本体、延長管、集塵ホースおよび吸込口体
KR20080077045A (ko) 다익 원심 송풍기
JPH0466571B2 (ko)
JP2954463B2 (ja) 電気掃除機及びその吸口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