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789A -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789A
KR20090014789A KR1020070079014A KR20070079014A KR20090014789A KR 20090014789 A KR20090014789 A KR 20090014789A KR 1020070079014 A KR1020070079014 A KR 1020070079014A KR 20070079014 A KR20070079014 A KR 20070079014A KR 20090014789 A KR20090014789 A KR 20090014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printed circuit
power
circuit board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1430B1 (ko
Inventor
양천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9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430B1/ko
Publication of KR20090014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05K7/1432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 H05K7/14329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the configuration of power bus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의 상부면에 탑재되며 복수 개의 입력 버스바와 출력 버스바를 갖는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과, 상기 입력 버스바를 각기 절연 지지하는 입력 단자대와, 상기 출력 버스바에 각기 대응하여 삽입된 복수 개의 전류 센서를 갖는 파워부와; 상기 파워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내부 신호를 처리하는 인쇄회로기판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입력 버스바와 각기 대응되어 통전되도록 조립된 복수 개의 전력 모듈 연결단자와, 외부 전원과 통전되도록 제공된 복수 개의 직류 입력단자를 갖는 필름 콘덴서 모듈과; 상기 직류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 버스바가 노출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와 상기 필름 콘덴서 모듈을 수용하여 상기 방열판의 상부면과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와 외부 기기가 접속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된 커버를 제공함으로써, 필름 콘덴서를 사용하여 차량용 인버터의 장수명을 제공하고,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과 콘덴서를 수직 적층 배치하여 방열판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인버터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인버터,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 필름 콘덴서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 {Inverter for hybrid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 콘덴서를 적용하여 직류 링크(DC-LINK) 콘덴서의 장수명을 확보하고 소형 경량화의 실현 및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고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인버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엔진의 개발 주류는 한정된 석유 자원의 고갈 예측과 친환경 측면에서 현재의 디젤이나 가솔린 엔진자동차를 대체하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이하 'HEV'라 한다)와 연료전지 전기 자동차(Fuel Cell Electric Vehicle, 이하 'FCEV'라 한다)가 대세를 이룰 것이라 예측되고 있다.
HEV는 엔진과 전동기가 최적의 연비와 유해가스 저감 달성을 위해 주행 상태와 도로 조건에 따라 최적으로 구동력을 분배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HEV용 인버터는 전동기의 최적 구동을 위해 필요한 HEV의 핵심기기로써, 자동차 환경을 고려할 때 사이즈와 무게의 최소화 및 내진동과 내온 측면에 고신뢰성 특성을 보유할 것과 장수명이 요구된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인버터는 외곽을 덮도록 제공된 인버터 커버(11), 전력용 반도체 스위치 제어를 위한 제어부(12), 제어부(12)를 지지하는 제어부 지지물(13), 제어부(12) 및 구동부(15)에 제어 전원과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하는 입출력 단자대(16), 전력용 반도체 스위치의 방열을 위한 방열판(17), 직류 링크 전압 및 전류 안정화를 위한 직류 링크 콘덴서(18) 그리고 전동기에 적절한 전압/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19)로 구성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의한 인버터는 인버터 커버(11)가 인버터 전체를 덮는 구조이며, 전력용 반도체 스위치 제어를 위한 제어부(12)와 구동부(15)에 제어 전원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4)는 신호 케이블 다발과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용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다. 전력용 반도체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15)는 구동 신호 케이블을 통해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19)에 구동 신호를 전달한다. 인버터 전원 입력 및 전동기에 인버터 출력을 연결하기 위한 입출력 단자대(16)와 전력 방열판(17) 위에 장착된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19)과 직류 링크 전압 및 전류 안정화를 위한 직류 링크 콘덴서(8)는 대전류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력 케이블 또는 버스 바(Bus-bar)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어부(12)는 제어부 지지물(13)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인버터는 큰 리플 전류(ripple current)를 감당해야 하는 직류 링크 콘덴서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해 콘덴서는 수명 제한에 단점이 있으며, 별도의 제어부 지지물(13)이 필요하고 제어부(12), 전원부 및 구동부 상호 간과 구동부 및 전력용 반도체 스위치 상호 간에 신호 케이블로 커넥터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배선이 복잡하여 내진동 특성이 양호하지 못하고 전체적인 사이즈가 크고 무게가 무거우며 조립이 복잡하여 가공비가 증가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 경량화 구현 및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 생산성 향상은 물론, 필름 콘덴서를 적용하여 직류 링크(DC-LINK) 콘덴서의 장수명을 제공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의 상부면에 탑재되며 복수 개의 입력 버스바와 출력 버스바를 갖는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과, 상기 입력 버스바를 각기 절연 지지하는 입력 단자대와, 상기 출력 버스바에 각기 대응하여 삽 입된 복수 개의 전류 센서를 갖는 파워부와; 상기 파워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내부 신호를 처리하는 인쇄회로기판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입력 버스바와 각기 대응되어 통전되도록 조립된 복수 개의 전력 모듈 연결단자와, 외부 전원과 통전되도록 제공된 복수 개의 직류 입력단자를 갖는 필름 콘덴서 모듈과; 상기 직류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 버스바가 노출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와 상기 필름 콘덴서 모듈을 수용하여 상기 방열판의 상부면과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와 외부 기기가 접속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의 상기 입력 버스바와 상기 출력 버스바는 각기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인쇄회로기판부는 상기 파워부 상부에 배치되는 차폐 기판과, 상기 차폐 기판의 상부면이 배치되며 보드-보드 커넥터가 제공된 구동 기판과, 상기 구동 기판의 보드-보드 커넥터와 통전되도록 접속된 보드-보드 커넥터와 외부 신호 커넥터가 제공된 제어 전원 기판을 포함하여 상기 차폐 기판, 상기 구동 기판 및 상기 제어 전원기판이 순차 적층되어 조립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커버의 내측부에는 체결용 보스부가 복수 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필름 콘덴서는 외연부에 복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름 콘덴서가 상기 커버에 고정되기 위하여 각기 정렬된 상기 체결공과 상기 커버의 체결용 보스를 체결하는 체결 나사를 더 포함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① 필름 콘덴서를 사용하여 차량용 인버터의 장수명을 제공하고, ② 방열판의 동일면 상에 동일 배치되던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과 콘덴서를 수직 적층 배치하여 방열판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인버터를 소형 경량화하고, ③ 내부의 모든 제어회로 부분을 인쇄회로기판부로 통합하여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 콘덴서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별도의 제어부 지지물이 불필요함은 물론 내진동 특성이 양호하고, ④ 커버의 하부 외연부가 방열판의 상부면에 간단하게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조립성과 생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의 커버 모듈과 파워 제어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의 커버와 필름 콘덴서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의 파워부와 인쇄회로기판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의 파워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는 커 버(90), 필름 콘덴서 모듈(70), 인쇄회로기판부(50) 및 파워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의 설명중에서 커버(90)와 필름 콘덴서 모듈(70)을 커버 모듈이라 하며, 또한 인쇄회로기판부(50)와 파워부(30)를 파워 제어 모듈이라 한다.
커버(90)는 합성 수지 재질과 같은 절연재로써 사출 방식에 의해 대량 제조할 수 있는 제품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 구조의 몸체(91)를 갖는다. 그리고 몸체(91)에는 후술되는 필름 콘덴서 모듈(70)의 직류 입력단자(72)와 입력 버스바(73)가 각기 용이하게 접속되도록 개구부(92)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개구부(92)에는 직류 입력단자(72)를 수용하며 다른 부분과 절연되도록 입력 보스부(9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직류 입력단자(72)는 차량의 배터리(도시 안됨)와 전원 케이블(도시 안됨)에 의해 접속된다.
그리고 몸체(91)의 각 모서리에는 파워부(30)의 방열판(31)과 체결 나사(40)에 의해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93)이 각기 형성되어 있고, 배면에 3상 전원 케이블(도시 안됨)과 접속되기 위한 케이블 접속 보스부(94)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몸체(91)의 측면에는 외부의 신호 케이블(도시 안됨)이 인쇄회로기판부(50)에 제공된 외부 신호 커넥터(51a)와 연결되기 위한 접속 관통부(95)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90)의 몸체(91)는 입력 보스부(91) 및 출력 보스부(94)를 각기 마주보는 단부에 형성하여 각기 접속되는 케이블이 상반되게 배치하여 안정성을 개선하였다.
필름 콘덴서 모듈(70)은 일정한 두께를 갖으며 사각 형상을 갖는 필름 콘덴서(71)와, 이 필름 콘덴서(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면으로부터 이격 돌출된 직류 입력단자(72) 및 전력 모듈 연결단자(73)를 포함한다. 여기서, 직류 입력단자(72)는 전술된 바와 같이 필름 콘덴서(71)로부터 돌출되어 있되 이격된 +극, -극으로 되어 있으며, 전력 모듈 연결단자(73)는 직류 입력단자(7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필름 콘덴서(71)는 양 측면에 체결 보스(74)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체결 보스(74)는 커버(90)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용 보스(도시 안됨)에 각기 대응 정렬되어 나사(77)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필름 콘덴서(71)는 유전체로 PET, PP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여 2매의 전극 사이에 끼운 기본 구조로 되어 있으며, 유전체로 이용하는 필름의 종류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다르고, 전극 구조에 따라 크기가 상이하다.
이러한 필름 콘덴서(71)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① 온도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가 적다.
② 정전용량 허용 오차 이내의 고정밀도 제작이 가능하다.
③ 유전정접(Dissipation factor)이 작기 때문에 고주파 회로에서 사용 가능이 가능하다.
④ 무극성이므로 교류, 직류 회로에서 사용 가능하다.
⑤ 절연저항이 좋고, 신뢰성이 높고 특히 사용 수명이 종래 기술에 의한 전해 콘덴서에 비하여 장수명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필름 콘덴서(71)는 종래 기술에서 적용되던 전 해 콘덴서에 비하여 동일 중량당 저장 용량이 높아 전체 인버터의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필름 콘덴서(71)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해 콘덴서와는 달리 소형 경량으로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부(50)의 상부에 위치되어 종래 기술에 의한 인버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75', '76'은 각기 접지선 및 접지 단자이다.
인쇄회로기판부(50)는 제어 전원 기판(51), 구동 기판(53) 및 차폐 기판(5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부(50)는 차폐 기판(55), 구동 기판 및 제어 전원 기판(51)이 순차적층되며 체결 나사(51d)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부(50)는 상부에 차폐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차폐 플레이트는 제어 전원 기판(51)의 상부에 위치되어 필름 콘덴서 모듈의 하부면과 제어 전원 기판(51)의 상부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필름 콘덴서 모듈(70)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 전원 기판(51)은 패턴이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 부분에 제공된 보드-보드 암 커넥터(51b ; board-board connector - male)와, 베이스 기판(51a)의 모서리 부분에 제공된 외부 신호 커넥터(51a)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51c', '60'은 각기 체결공 및 체결나사이다.
구동 기판(53)은 제어 전원 기판(51)의 보드-보드 암 커넥터(51b)가 결합된 보드-보드 수 커넥터(53a ; board-board connector - female)이 제공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부(50)는 파워부(3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기 위한 일 방안으로 차폐 기판(55)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 전원 기판(51)과 구동 기판(53)은 각기 보드-보드 커넥터(51b,53a)를 이용하여 각기 연결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의한 다수의 신호 케이블에 의해 복잡하게 배선되던 단점을 원천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 방법은 차량과 같이 저온 또는 고온 환경 및 극심한 진동과 같은 가혹 조건하에서 사용되는 인버터의 내구성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파워부(30)는 인쇄회로기판부(50)의 하부에 위치된다. 먼저, 파워부(30)는 다수의 핀(fin)이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형성된 방열판(31)과, 방열판(31)의 상부면에 제공된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32)과,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32)의 일측면에 위치되며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32)의 복수 개의 입력 버스바(73)와 각기 대응된 복수 개의 입력 단자대(35)와,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32)의 타측면에 위치되며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32)의 출력 버스바(34)와 각기 대응되어 제공된 복수 개의 전류센서(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입력 단자대(35)는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32)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각기 대응된 입력 버스바(73)를 절연 지지한다.
여기서 방열판(31)은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32)의 가동시 발생되는 고열을 신속하게 방열시키도록 제공된 것이며, 각 모서리부에는 커버(90)와 체결되기 위한 통합 기구 고정홀(3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32)은 입력 버스바(73)는 2개, 그리고 출력 버스바는 각 상별로 하나 씩 3개가 구성되어 있으며, 입력 버스바(73)와 출력 버스바(34)는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32)을 기준으로 하여 각기 마주보는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입력 버스바(73)는 각기 대응된 입력 단자대(35)에 고정되며, 출력 버스바(34)는 전류센서(34)와 체결된다. 여기서 전류센서(34)는 출력 버스바(34)에 삽입되며, 그 하부면이 방열판(31)의 상부면과 접촉됨으로써 전술된 입력 단자대(35)와 같이 출력 버스바(34)를 지지한다.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32)의 입력 버스바(73)는 각기 대응된 전술된 필름 콘덴서(71)의 전력 모듈 연결단자(73)와 입력 단자대(35)에서 통전되도록 체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파워부(30)는 방열판(31)의 상부면에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32)이 탑재되고,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32)의 각기 대향된 입력 버스바(73)와 출력 버스바(34)가 각기 대응되어 결합된 입력 단자대(35) 및 전류센서(34) 만이 배치되고 필름 콘덴서 모듈은 개재된 차폐 기판(55)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의한 인버터에 비하여 전체 사이즈가 적은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의 커버 모듈과 파워 제어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의 커버와 필름 콘덴서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의 파워부와 인쇄회로기판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의 파워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파워부
31 : 방열판 31a : 통합 기구 고정홀
32 :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 33 : 입력 버스바
34 : 출력 버스바 35 : 입력 단자대
36 : 전류센서
40, 60 : 체결나사
50 : 인쇄회로기판부 51 : 제어 전원 기판
70 : 필름 콘덴서 모듈
71 : 필름 콘덴서 72 : 직류 입력단자
73 : 전력 모듈 연결단자 74 : 체결 보스
90 : 커버
91 : 몸체 92 : 개구부
93 : 체결공

Claims (5)

  1.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의 상부면에 탑재되며 복수 개의 입력 버스바와 출력 버스바를 갖는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과, 상기 입력 버스바를 각기 절연 지지하는 입력 단자대와, 상기 출력 버스바에 각기 대응하여 삽입된 복수 개의 전류 센서를 갖는 파워부와;
    상기 파워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내부 신호를 처리하는 인쇄회로기판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입력 버스바와 각기 대응되어 통전되도록 조립된 복수 개의 전력 모듈 연결단자와, 외부 전원과 통전되도록 제공된 복수 개의 직류 입력단자를 갖는 필름 콘덴서 모듈과;
    상기 직류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 버스바가 노출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와 상기 필름 콘덴서 모듈을 수용하여 상기 방열판의 상부면과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와 외부 기기가 접속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반도체 스위치 모듈의 상기 입력 버스바와 상기 출력 버스바는 각기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부는 상기 파워부 상부에 배치되는 차폐 기판과, 상기 차폐 기판의 상부면이 배치되며 보드-보드 커넥터가 제공된 구동 기판과, 상기 구동 기판의 보드-보드 커넥터와 통전되도록 접속된 보드-보드 커넥터와 외부 신호 커넥터가 제공된 제어 전원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폐 기판, 상기 구동 기판 및 상기 제어 전원기판이 순차 적층되어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부에는 체결용 보스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콘덴서는 외연부에 복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름 콘덴서가 상기 커버에 고정되기 위하여 각기 정렬된 상기 체결공과 상기 커버의 체결용 보스를 체결하는 체결 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
KR1020070079014A 2007-08-07 2007-08-07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 KR100891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014A KR100891430B1 (ko) 2007-08-07 2007-08-07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014A KR100891430B1 (ko) 2007-08-07 2007-08-07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789A true KR20090014789A (ko) 2009-02-11
KR100891430B1 KR100891430B1 (ko) 2009-04-06

Family

ID=4068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014A KR100891430B1 (ko) 2007-08-07 2007-08-07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430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651B1 (ko) * 2011-04-13 2013-03-25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전동차 추진제어장치의 igbt 스택
KR101246650B1 (ko) * 2011-04-13 2013-03-25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전동차 추진제어를 위한 전력변환장치에 사용되는 스위칭 소자용 구동 보드
CN103871744A (zh) * 2012-12-17 2014-06-18 Ls产电株式会社 直流链电容器组件
US8848370B2 (en) 2011-08-10 2014-09-30 Hyundai Motor Company Inverter for vehicle
KR20150031633A (ko) * 2013-09-16 2015-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인버터
KR20160047958A (ko) * 2014-10-23 2016-05-03 주식회사 솔루엠 전력모듈
US9685715B2 (en) 2014-11-14 2017-06-2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Terminal table and terminal table unit
FR3068564A1 (fr) * 2017-06-28 2019-01-04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Module de puissance d'un convertisseur de tensi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module de puissance
KR20190105913A (ko) * 2018-03-07 2019-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하이브리드 전력제어장치
WO2021233092A1 (zh) * 2020-05-20 2021-11-25 惠州市东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货车用车载逆变器
KR20220117710A (ko) * 2021-02-17 2022-08-24 (주)이노빌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전력 구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248A (ja) 1997-09-02 1999-03-30 Denso Corp 電力制御装置
JPH11136960A (ja) * 1997-10-24 1999-05-21 Denso Corp 三相インバータ回路モジュール
JP2006262665A (ja) 2005-03-18 2006-09-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インバータユニット
JP4859443B2 (ja) * 2005-11-17 2012-01-2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651B1 (ko) * 2011-04-13 2013-03-25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전동차 추진제어장치의 igbt 스택
KR101246650B1 (ko) * 2011-04-13 2013-03-25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전동차 추진제어를 위한 전력변환장치에 사용되는 스위칭 소자용 구동 보드
US8848370B2 (en) 2011-08-10 2014-09-30 Hyundai Motor Company Inverter for vehicle
CN103871744A (zh) * 2012-12-17 2014-06-18 Ls产电株式会社 直流链电容器组件
KR20150031633A (ko) * 2013-09-16 2015-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인버터
KR20160047958A (ko) * 2014-10-23 2016-05-03 주식회사 솔루엠 전력모듈
US9685715B2 (en) 2014-11-14 2017-06-2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Terminal table and terminal table unit
FR3068564A1 (fr) * 2017-06-28 2019-01-04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Module de puissance d'un convertisseur de tensi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module de puissance
KR20190105913A (ko) * 2018-03-07 2019-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하이브리드 전력제어장치
WO2021233092A1 (zh) * 2020-05-20 2021-11-25 惠州市东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货车用车载逆变器
KR20220117710A (ko) * 2021-02-17 2022-08-24 (주)이노빌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전력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1430B1 (ko) 200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430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
US9425707B2 (en) Inverter device capable of appropriately fixing a power module having a switching element and a smoothing capacitor in a limited region
US8411441B2 (en) Power converter
JP4038899B2 (ja) 電源平滑用コンデンサ搭載型インバータ装置
CN1285165C (zh) 用于低压三相交流电动机的交流器控制的传动系统
US9859810B2 (en) Power converter
KR20110135233A (ko) 자동차의 인버터용 커패시터
CN102412704B (zh) 低压大电流三相驱动功率模块组结构
CN102142783A (zh) 电力转换装置
WO2021129523A1 (zh) 动力电池、动力电池的汇流排组件及其加工方法
JP4538474B2 (ja) インバータ装置
JP2012520658A (ja) 筐体、この筐体を含む電気カプリング、およびこの電気カプリングを含む車両
JP4055643B2 (ja) インバータ装置
US20090201649A1 (en) Electrical Device, Particularyl for Driving a Motively and/or Rgeneratively Operable Electric Machine
KR20090107838A (ko) 전기 자동차 인버터용 입출력장치
JP2016222057A (ja) 車両用電源装置
US10615156B2 (en) Power module
CN115912972A (zh) 具有优化的电磁特性的逆变器
US8053920B2 (en) Compact terminal assembly for power converters
US7455553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power module and an insulating member provided between a conductive casing and a non-insulating portion
CN220915623U (zh) 多功能模块合一车用控制装置
CN108988654B (zh) 一种逆变器模块
CN219627577U (zh) 逆变器及具有其的车辆
WO2021210306A1 (ja) 電力変換装置
CN118264126A (zh) 逆变器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