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648A -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648A
KR20090014648A KR1020070078736A KR20070078736A KR20090014648A KR 20090014648 A KR20090014648 A KR 20090014648A KR 1020070078736 A KR1020070078736 A KR 1020070078736A KR 20070078736 A KR20070078736 A KR 20070078736A KR 20090014648 A KR20090014648 A KR 20090014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drying
valve
water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5734B1 (ko
Inventor
류병조
안승표
송성호
김양환
김동현
김양호
엄윤섭
위재혁
김정윤
이상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734B1/ko
Priority to US12/183,199 priority patent/US20090038178A1/en
Priority to EP08013939.7A priority patent/EP2028312B1/en
Priority to AU2008203514A priority patent/AU2008203514A1/en
Priority to JP2008202318A priority patent/JP2009039534A/ja
Priority to CNA2008101461283A priority patent/CN101363186A/zh
Publication of KR20090014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06F2103/10Humidity expressed as capacitance or 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의류 건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제습하며, 이를 위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건조물의 건조도에 따라 조절하는 제습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이로 인해, 건조물의 건조도에 따라 제습유닛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어, 물의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다.
의류 건조기, 제습유닛, 건조도, 물사용량

Description

의류 건조기{CLOTHE DRYER}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건조물을 건조시키고 난 후 배기되는 습한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유닛을 구비한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기는 열풍을 드럼내로 송풍하여 건조물의 수분을 흡수해서 건조물에 대한 건조를 수행하는 기기로서, 수분을 흡수하여 건조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공기의 처리방식에 따라 크게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와 덕트리스 건조기로 분류된다.
한편, 상술한 응축식 건조기와 덕트리스 건조기는 건조물을 건조시키고 난 후 습한 공기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도록, 열교환기를 구비한 제습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습유닛의 열교환기에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속의 수분을 수냉식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된다. 이렇게 열교환기에 공급된 물과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열 교환에 의해 공기속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된다.
한편, 건조물의 건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건조물의 건조도가 클 경우, 건조물을 건조시킨 후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속에 많은 양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 다. 따라서, 공기의 제습을 위해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다.
그러나, 건조물의 온도를 올리는 과정과 건조가 마무리되는 경우에는 건조물의 건조도가 작아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속에 적은 양의 수분만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의 제습을 위해 많은 양의 물이 필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응축식 건조기와 덕트리스 건조기와 같은 수냉식 의류건조기는 건조물의 건조도에 상관없이, 운전이 끝날 때까지 열교환기에 항상 많은 양의 물을 공급하고 있어, 물의 소비량이 크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제습유닛에 공급되는 물의 소비량을 절감한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제공하는 열풍공급부;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제습하며, 이를 위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건조물의 건조도에 따라 조절하는 제습유닛;을 포함한다. 이렇게 건조물의 건조도에 따라 제습유닛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어, 물의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제습유닛은,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 내부를 흐르는 물의 양을 가변하는 가변밸브; 상기 드럼내 건조물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건조물의 건조도를 계산하여, 상기 가변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교환기는 복수개의 핀과 이를 통과하는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가변밸브는, 상기 튜브상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이다.
상기 가변밸브는 물의 양을 연속적으로 조절하는 아날로그 밸브이거나, 물의 양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디지털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가변밸브는 소량의 물을 흘려보내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 다량의 물을 흘려보내는 제2유로; 및 상기 제2유로를 개폐하는 제2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열교환기를 지나가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열교환기를 지나가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는, 제1열교환기; 및 상기 제1열교환기를 빠져나온 공기가 유입되게 배치된 제2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입구단과 상기 제2열교환기의 출구단에 각각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감지부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이거나, 상기 드럼 내 건조물과 접촉하는 전극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도는, 건조물이 초기에 가열되는 제1단계와, 건조물의 건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제2단계와, 건조물의 건조가 마무리되는 제3단계와, 건조물을 식혀주는 제4단계를 거치면서 변화하며, 상기 제1단계 및 제3단계에서 상기 제1밸브는 열리고, 상기 제2밸브는 닫히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제1밸브는 닫히고, 상기 제2밸브는 열리고,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2밸브는 닫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은,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제공하는 열풍공급부;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제습하며, 이를 제습하기 위한 물의 양을 건조물의 건조도에 따라 조절하는 제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건조도는, 건조물이 초기에 가열되는 제1단계와, 건조물의 건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제2단계와, 건조물의 건조가 마무리되는 제3단계와, 건조물을 식혀주는 제4단계를 거치면서 변화하는 의류 건조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습유닛은,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 내를 흐르는 물의 양을 가변하는 가변밸브; 및 상기 건조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가변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단계 및 제3단계에서 소량의 물이 흐르도록, 상기 제2단계에서는 다량의 물이 흐르도록, 상기 제4단계에서 물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상기 가변밸브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 의하면,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제습하며, 이를 위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건조물의 건조도에 따라 조절하는 제습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이로 인해, 건조물의 건조도에 따라 제습유닛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어, 물의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의류 건조기의 평면도이다.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본체(110);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120); 드럼(120)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제공하는 열풍공급부(140); 및 드럼(120)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제습하 며, 이를 위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건조물의 건조도에 따라 조절하는 제습유닛(200);를 포함한다. 이렇게 건조물의 건조도에 따라 제습유닛(20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어, 물의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는 의류를 드럼(120)으로 투입하기 위한 도어(111)가 설치되고, 하측에는 본체(110)를 지지하는 푸트(113)가 설치된다. 본체(110) 내부에는 드럼(120)을 회전시키는 벨트(131)와 의류 건조기 내 공기의 송풍력을 제공하는 순환덕트(114) 내 설치된 팬(133)과 이러한 벨트(131)와 팬(133)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35)가 설치된다. 모터(135)의 회전축에는 벨트(131)가 걸리는 풀리(137)가 설치된다. 여기서, 모터(135)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벨트(131)와 팬(133)에 각각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순환덕트(114)에는 드럼(12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고온 고습의 공기 중 포함된 보풀이나 실밥 등과 같은 린트(Lint)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드럼(120)은 건조물인 의류 등이 투입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한 통으로 내부에는 의류를 들어올릴 수 있는 복수개의 리프터(121)가 설치된다.
상기 열풍공급부(140)는 가스를 공급 및 차단하는 가스밸브(141)와 가스밸브(141)에서 배기 된 가스를 외부로부터 제공된 공기와 혼합한 후 점화하여 열풍을 발생시키는 가스연소기(143)와, 발생 된 열풍이 드럼(120)에 공급되도록 가스연소기(143)와 드럼(120)을 연결하는 열풍공급덕트(145)와 드럼(120)으로 유입되는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열풍온도센서(147);를 포함한다.
이러한 열풍공급부(140)에는 화염전류를 검출하여 이 화염전류의 수치를 통 해 일산화탄소(CO)의 발생량을 간접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화염의 가장자리로 연장 설치되는 플레임로드(flame rod)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플레임로드에 의해 측정된 화염전류로 제어부(미도시)는 일산화탄소(CO)의 발생량을 판단한다. 이때,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이 인체에 해로울 정도로 증가할 경우, 가스의 공급을 차단시키고 경고음을 울린다.
상기 가스연소기(143)는 가스밸브(141)에 연결되어 가스밸브(141)에서 배기된 가스와 외부공기를 혼합시켜 연소시킨 후 이때 발생하는 열로 공기를 가열한다. 이렇게 가열되어 발생된 열풍은 열풍공급덕트(145)를 통해 드럼(120)에 제공된다.
상기 열풍온도센서(147)는 열풍공급덕트(145)와 드럼(120)의 연결부(145a)에 설치된다. 물론, 열풍온도센서(147)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열풍공급덕트(145) 내에 설치할 수도 있을 수 있다.
상기 열풍온도센서(147)로부터 측정되는 온도 값은 건조기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풍량이 줄어드는 경우, 예를 들어 필터에 Lint가 끼어 공기의 흐름을 막는 경우, 드럼 내 건조물이 너무 많아 공기의 흐름이 원할 하지 못한 경우, 외부로 연결되는 덕트의 막힘으로 건조기 내 풍량이 줄어드는 경우에는 드럼(12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적정 온도 대(건조물 손상이나 화재를 위해 관리되는 온도)를 넘게 되어 건조물에 손상을 주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열풍공급부(140)는 공기의 풍량에 따라 가스밸브(141)를 조절하여 가스연소기(143)에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한다. 즉, 풍량이 줄어들어 열풍온도센서(147)로부터 측정되는 온도 값이 적정 온도 대를 넘게 되 면, 가스밸브(141)를 일부 또는 전부를 잠궈서 가스연소기(143)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을 줄이거나 차단한다. 이를 위해 가스밸브(141)는 가스 분사량을 민감하게 조절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빈번하게 가스의 연소를 중단시키지 않으면서 드럼(120)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공급되는 열의 공급량을 줄여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로 인해, 건조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건조기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3은 도 2의 제습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감지부와 제어부와 가변밸브와 열교환기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표시된 굵은 화살표는 제습유닛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얇은 화살표는 튜브를 지나는 물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습유닛(200)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210); 케이스(210)내에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200); 열교환기(200) 내부를 흐르는 물의 양을 가변하는 가변밸브(240); 드럼(120) 내 건조물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감지부(300); 및 감지부(300)로부터 신호를 받아 건조물의 건조도를 계산하여, 가변밸브(240)를 제어하는 제어부(370);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200)는 제1열교환기(220)와 제2열교환기(230)를 포함한다. 물론, 열교환기는 필요에 따라 1개의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도 있고, 3개 이상의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는 핀(221)과 튜브(223)로 구성되며, 공기 대 물의 열교환방식으로 드럼(120)을 빠져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를 저온의 물에 의해 응축시 켜 건조한 상태로 만들어준다. 이러한 제1열교환기(220)는 드럼(120)과 연결된 순환덕트(114)의 출구단에 위치하도록 케이스(210)의 좌측에 설치된다.
상기 핀(221)은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질의 박판으로 복수개의 박판이 서로 미세 간격으로 고온 다습한 공기와 수직으로 접촉, 통과하도록 적층된다.
상기 튜브(223)는 내부에 저온(22℃)의 물이 순환하며, 핀(221)을 왕복으로 관통한다.
상기 제2열교환기(230)는 제1열교환기(220)와 마찬가지로 핀(231)과 튜브(233)로 구성되며, 공기 대 물의 열교환방식으로 제1열교환기(220)를 빠져나온 제습된 공기를 다시 한번 저온의 물에 의해 응축시켜 건조한 상태로 만들어준다. 이러한 제2열교환기(230)는 배기덕트(161, 도 1참조)의 입구단에 위치하도록 케이스(210)의 우측에 설치된다.
상기 핀(231)은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질의 박판으로 복수개의 박판이 서로 미세 간격으로 고온 다습한 공기와 수직으로 접촉, 통과하도록 적층된다.
상기 튜브(233)는 내부에 저온(22℃)의 물이 순환하며, 핀(231)을 왕복으로 관통한다.
그리고, 제1열교환기(220)의 튜브(223)과 제2열교환기(230)의 튜브(233)는 제1열교환기(220)와 제2열교환기(230)의 중간지점에서 연결된다.
그리고, 제2열교환기(230)의 튜브(233)의 입구(233a)로 공급된 물은, 제2열교환기(230)와 제1열교환기(220)을 통과한 후, 제1열교환기(220)의 튜브(223)의 출구(223a)로 빠져나간다. 이를 위해 제2열교환기(230)의 튜브(233)의 입구(233a)는 외부의 물 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열교환기(230)의 튜브(233)의 입구(233a)로 유입된 물은 가변밸브(240)와 튜브(233, 223)을 거쳐 제2열교환기(230)의 핀(231)과 제1열교환기(220)의 핀(221)을 냉각시킨 후, 제1열교환기(220)의 튜브(223)의 출구(223a)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상기 가변밸브(240)는 제2열교환기(230)의 튜브(233)의 입구(233a)에 설치된다. 이러한 가변밸브(240)는 제어부(370)의 지시에 따라 개도를 가변하여 입구(233a)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다. 이를 위해, 가변밸브(240)는 물의 양을 연속적으로 조절하는 아날로그 밸브이거나, 물의 양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디지털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밸브(24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보다 정밀한 제어를 위해서는 가변밸브(240)를 복수개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도 4의 가변밸브의 제1유로가 열리고, 제2유로가 닫혀 진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가변밸브의 제1유로가 닫히고, 제2유로가 열려 진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가변밸브의 제1유로 및 제2유로가 닫혀 진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가변밸브(240)는 소량의 물(60~80kg/hr)을 흘려보내는 제1유로(241); 제1유로(241)를 개폐하는 제1밸브(242); 다량의 물(140~160kg/hr)을 흘려보내는 제2유로(243); 및 제2유로(243)를 개폐하는 제2밸브(2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밸브(242)와 제2밸브(244)는 제1유로(241)와 제2유로(243)를 단속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유로(241)는 출구단이 짤린 원추형의 형상을 가지므로, 원통형의 제2유로(243)에 비 해 물이 빠져나가는 출구단의 직경이 작아서 소량의 물이 빠져나간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부(300)는 드럼(120) 내 건조물과 접촉하는 전극센서(310)로 구성된다. 전극센서(310)는 센서에 습기를 머금은 건조물이 접촉할 경우 센서의 전극양단에 발생되는 임피던스 차이를 이용하여 건조물의 건조도를 감지하고 이를 전압신호로 출력한다.
도 9는 도 1의 드럼 내 건조물과 접촉하는 전극센서의 건조시간에 따른 전압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건조물이 초기에 가열되는 제1단계(Ⅰ)와, 건조물의 건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점(㉠)을 가진 제2단계(Ⅱ)와, 건조물의 건조가 마무리되는 시점(㉡)을 가진 제3단계(Ⅲ)와, 건조물을 식혀주는 시점(㉢)을 가진 제4단계(Ⅳ)를 거치면서 전극센서(310)의 전압변화가 일어난다.
이렇게 건조시간에 따른 전압의 기울기가 다르게 나타나는 각 단계에서, 제어부(370, 도 4참조)는 가변밸브(240)를 제어하여 열교환기(200, 도 1참조)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한다. 즉, 제2단계(Ⅱ)에서 다량의 물을 공급하고, 제1단계(Ⅰ)와 제3단계(Ⅲ)에서는 소량의 물을 공급하고, 제4단계(Ⅳ)에서는 물의 공급을 차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건조물의 건조도가 작은 제1단계(Ⅰ) 및 제3단계(Ⅲ)에서는 제1밸브(242)가 제1유로(241)을 열어주고, 제2밸브(244)가 제2유로(243)를 닫아 주어, 소유량의 물이 점선 화살표를 따라 열교환기(200, 도 1참조)로 공급되게 한다.
한편,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건조물의 건조도가 큰 제2단계(Ⅱ)에서는 제1밸브(242)가 제1유로(241)를 닫아주고, 제2밸브(244)가 제2유로(243)를 열어주어 대유량의 물이 점선화살표를 따라 열교환기(200, 도 1참조)로 공급되게 한다.
한편,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건조물의 건조도가 가장 작은 제4단계(Ⅳ)에서는 제1밸브(242)가 제1유로(241)를 닫아주고, 제2밸브(244)가 제2유로(242)를 닫아주어 열교환기(200, 도 1참조)로 더 이상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 건조물의 건조도에 따라 열교환기(200, 도 1참조)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물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부(300)는 드럼(12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20)로 구성할 수 있다. 온도센서(320)는 순환덕트(114)내부에 설치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팬(133)의 후단에 위치하여 팬(133)을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팬(133)의 전단에 위치하여 팬(133)을 통과하기 전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은 도 2의 드럼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의 건조시간에 따른 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건조물이 초기에 가열되는 제1단계(Ⅰ)와, 건조물의 건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점(㉠)을 가진 제2단계(Ⅱ)와, 건조물의 건조가 마무리되는 시점(㉡)을 가진 제3단계(Ⅲ)와, 건조물을 식혀주는 시점(㉢)을 가진 제4단계(Ⅳ)를 거치면서 온도센서(320)의 온도변화가 일어난다.
이렇게 건조시간에 따른 온도 기울기가 다르게 나타나는 각 단계에서, 제어부(370, 도 4참조)는 가변밸브(240)를 제어하여 열교환기(200, 도 1참조)로 공급되 는 물의 양을 조절한다. 즉, 제2단계(Ⅱ)에서 다량의 물을 공급하고, 제1단계(Ⅰ)와 제3단계(Ⅲ)에서는 소량의 물을 공급하고, 제4단계(Ⅳ)에서는 물의 공급을 차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건조물의 건조도가 작은 제1단계(Ⅰ) 및 제3단계(Ⅲ)에서는 제1밸브(242)가 제1유로(241)을 열어주고, 제2밸브(244)가 제2유로(243)를 닫아 주어, 소유량의 물이 점선 화살표를 따라 열교환기(200, 도 1참조)로 공급되게 한다.
한편,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건조물의 건조도가 큰 제2단계(Ⅱ)에서는 제1밸브(242)가 제1유로(241)를 닫아주고, 제2밸브(244)가 제2유로(243)를 열어주어 대유량의 물이 점선화살표를 따라 열교환기(200, 도 1참조)로 공급되게 한다.
한편,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건조물의 건조도가 가장 작은 제4단계(Ⅳ)에서는 제1밸브(242)가 제1유로(241)를 닫아주고, 제2밸브(244)가 제2유로(242)를 닫아주어 열교환기(200, 도 1참조)로 더 이상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 건조물의 건조도에 따라 열교환기(200, 도 1참조)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물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부(300)는 제1열교환기(220)의 입구단(①)과 제2열교환기(230)의 출구단(③)에 각각 설치되며 제1열교환기(220)와 제2열교환기(230)를 지나가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53,357)와, 제1열교환기(220)와 제2열교환기(230)를 지나가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354,358)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도 3의 열교환기를 지나가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의 건조시간에 따른 온도 및 습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건조물이 초기에 가열되는 제1단계(Ⅰ)와, 건조물의 건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점(㉠)을 가진 제2단계(Ⅱ)와, 건조물의 건조가 마무리되는 시점(㉡)을 가진 제3단계(Ⅲ)와, 건조물을 식혀주는 시점(㉢)을 가진 제4단계(Ⅳ)를 거치면서 온도센서(353,357)와 습도센서(354,358)의 온도 및 습도가 변화한다.
여기서, RH_air_outlet은 제3지점(③)에서 습도센서(358)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상대습도를 나타내고, RH_air_inlet은 제1지점(①)에서 습도센서(354)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상대습도를 나타내고, T_air_inlet은 제1지점(①)에서 온도센서(353)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온도를 나타내고, T_air_outlet은 제3지점(③)에서 온도센서(357)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온도를 나타낸다.
이렇게 건조시간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기울기가 다르게 나타나는 각 단계에서, 제어부(370, 도 4참조)는 가변밸브(240)를 제어하여 열교환기(200, 도 1참조)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11을 참조하면, 건조물의 건조도가 작은 제1단계(Ⅰ) 및 제3단계(Ⅲ)에서는 제1밸브(242)가 제1유로(241)을 열어주고, 제2밸브(244)가 제2유로(243)를 닫아 주어, 소유량의 물이 점선 화살표를 따라 열교환기(200, 도 1참조)로 공급되게 한다.
한편, 도 6 및 도 11을 참조하면, 건조물의 건조도가 큰 제2단계(Ⅱ)에서는 제1밸브(242)가 제1유로(241)를 닫아주고, 제2밸브(244)가 제2유로(243)를 열어주어 대유량의 물이 점선화살표를 따라 열교환기(200, 도 1참조)로 공급되게 한다.
한편,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건조물의 건조도가 가장 작은 제4단계(Ⅳ)에서는 제1밸브(242)가 제1유로(241)를 닫아주고, 제2밸브(244)가 제2유로(242)를 닫아주어 열교환기(200, 도 1참조)로 더 이상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 건조물의 건조도에 따라 열교환기(200, 도 1참조)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물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의류 건조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제습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감지부와 제어부와 가변밸브와 열교환기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4의 가변밸브의 제1유로가 열리고, 제2유로가 닫혀 진 도면,
도 6은 도 4의 가변밸브의 제1유로가 닫히고, 제2유로가 열려 진 도면,
도 7은 도 4의 가변밸브의 제1유로 및 제2유로가 닫혀 진 도면,
도 8은 도 4의 가변밸브의 제1밸브와 제2밸브가 건조물의 건조도에 따라 온/오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표,
도 9는 도 1의 드럼 내 건조물과 접촉하는 전극센서의 건조시간에 따른 전압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도 2의 드럼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의 건조시간에 따른 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도 3의 열교환기를 지나가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의 건조시간에 따른 온도 및 습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본체 111: 도어
113: 푸트 114: 순환덕트
120: 드럼 131: 벨트
133: 팬 140, 170, 180: 열풍공급부
141: 가스밸브 143: 가스연소기
145: 열풍공급덕트 147: 열풍온도센서
210; 케이스 220: 제1열교환기
230: 제2열교환기 240: 가변밸브
241: 제1유로 242: 제1밸브
243: 제2유로 244: 제2밸브
300: 감지부 310: 전극센서
320: 온도센서 353, 357: 온도센서
354, 358: 습도센서

Claims (15)

  1.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제습하며, 이를 위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건조물의 건조도에 따라 조절하는 제습유닛;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유닛은,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 내부를 흐르는 물의 양을 가변하는 가변밸브;
    상기 드럼내 건조물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건조물의 건조도를 계산하여, 상기 가변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복수개의 핀과 이를 통과하는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가변밸브는, 상기 튜브상에 설치된 의류 건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밸브는 물의 양을 연속적으로 조절하는 아날로그 밸브인 의류 건조 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밸브는 물의 양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디지털 밸브인 의류 건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밸브는 소량의 물을 흘려보내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
    다량의 물을 흘려보내는 제2유로; 및
    상기 제2유로를 개폐하는 제2밸브;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도는, 건조물이 초기에 가열되는 제1단계와, 건조물의 건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제2단계와, 건조물의 건조가 마무리되는 제3단계와, 건조물을 식혀주는 제4단계를 거치면서 변화하며,
    상기 제1단계 및 제3단계에서 상기 제1밸브는 열리고, 상기 제2밸브는 닫히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제1밸브는 닫히고, 상기 제2밸브는 열리고,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2밸브는 닫히는 의류 건조기.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열교환기를 지나가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열교환기를 지나가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인 의류 건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는,
    상기 열교환기의 입구단 및 출구단에 한쌍식 설치된 의류 건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제1열교환기; 및 상기 제1열교환기를 빠져나온 공기가 유입되게 배치된 제2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입구단및 상기 제2열교환기의 출구단에 각각 한쌍식 의류 건조기.
  11.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인 의류 건조기.
  12.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드럼 내 건조물과 접촉하는 전극센서인 의류 건조기.
  13.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제공하는 열풍공급부;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제습하며, 이를 제습하기 위한 물의 양을 건조물의 건조도에 따라 조절하는 제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건조도는, 건조물이 초기에 가열되는 제1단계와, 건조물의 건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제2단계와, 건조물의 건조가 마무리되는 제3단계와, 건조물을 식혀주는 제4단계를 거치면서 변화하는 의류 건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유닛은,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 내를 흐르는 물의 양을 가변하는 가변밸브; 및
    상기 건조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가변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단계 및 제3단계에서 소량의 물이 흐르도록, 상기 제2단계에서는 다량의 물이 흐르도록, 상기 제4단계에서 물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상기 가변밸브를 조절하는 의류 건조기.
KR1020070078736A 2007-08-06 2007-08-06 의류 건조기 KR100925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36A KR100925734B1 (ko) 2007-08-06 2007-08-06 의류 건조기
US12/183,199 US20090038178A1 (en) 2007-08-06 2008-07-31 Clothes dryer
EP08013939.7A EP2028312B1 (en) 2007-08-06 2008-08-04 Clothes dryer
AU2008203514A AU2008203514A1 (en) 2007-08-06 2008-08-05 Clothes dryer
JP2008202318A JP2009039534A (ja) 2007-08-06 2008-08-05 衣類乾燥機
CNA2008101461283A CN101363186A (zh) 2007-08-06 2008-08-06 衣物干燥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36A KR100925734B1 (ko) 2007-08-06 2007-08-06 의류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648A true KR20090014648A (ko) 2009-02-11
KR100925734B1 KR100925734B1 (ko) 2009-11-11

Family

ID=40225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736A KR100925734B1 (ko) 2007-08-06 2007-08-06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38178A1 (ko)
EP (1) EP2028312B1 (ko)
JP (1) JP2009039534A (ko)
KR (1) KR100925734B1 (ko)
CN (1) CN101363186A (ko)
AU (1) AU20082035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503B1 (ko) * 2002-11-2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건조 시간제어 방법
DE10260149A1 (de) * 2002-12-20 2004-07-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s Leitwertes von Wäsche,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Verhinderung von Schichtbildung auf Elektroden
US8015726B2 (en) * 2005-06-23 2011-09-13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clothes dryer
DE602006006149D1 (de) * 2006-02-21 2009-05-20 Electrolux Home Prod Corp Haushaltswäschetrockner mit einem zusätzlichen Kondensator
KR100811487B1 (ko) * 2007-02-13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리스 건조기
JP5095240B2 (ja) * 2007-03-07 2012-12-12 ハイアール グループ コーポレーション 乾燥機
KR101821195B1 (ko) * 2009-08-11 201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717962A (zh) * 2015-12-02 2016-06-29 中山益达服装有限公司 一种干衣机的温湿度控制方法及其系统
US10181245B2 (en) 2016-12-29 2019-01-15 Nortek Security & Control Llc Dryer vent monitoring device
CN110114530B (zh) * 2016-12-29 2021-07-13 伊莱克斯家用电器股份公司 包括过滤器组件的衣物干燥机和清洁过滤器组件的方法
US20210290000A1 (en) * 2020-03-19 2021-09-23 Lg Electronics Inc.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6346A (en) * 1952-02-23 1955-04-19 Maytag Co Water spray condenser for clothes driers
US2813414A (en) * 1955-05-27 1957-11-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Apparatus for washing and drying fabrics
US2800008A (en) * 1955-10-06 1957-07-23 Gen Electric Venting arrangement for clothes dryers and combination washerdryers
US2983129A (en) * 1960-07-25 1961-05-09 Gen Electric Combination washer dryer
US3242584A (en) * 1963-04-29 1966-03-29 Gen Motors Corp Domestic clothes drying appliance
DE2215319B1 (de) * 1972-03-29 1973-03-22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Steuervorrichtung für einen Wäschetrockner
US4019533A (en) * 1975-07-17 1977-04-26 Digital Dynamics, Inc. Digital valve assembly
JPS60171091A (ja) * 1984-02-17 1985-09-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乾燥機
CA2053445C (en) * 1990-10-16 1999-05-11 Tatuo Akabane Tumbler type washing/dry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H05277294A (ja) * 1992-03-31 1993-10-26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JPH06315592A (ja) * 1993-05-07 1994-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H0994388A (ja) * 1995-09-28 1997-04-08 Sharp Corp 全自動洗濯乾燥機
JP3442604B2 (ja) * 1996-02-15 2003-09-02 株式会社フジキン 混合ガスの供給方法及び混合ガス供給装置並びにこれらを備えた半導体製造装置
JP3241598B2 (ja) * 1996-05-29 2001-12-2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放射性物質の雰囲気制御装置
JP3346993B2 (ja) * 1996-09-13 2002-11-18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JP4617536B2 (ja) * 2000-05-30 2011-01-2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ポンプ制御装置
IT1321228B1 (it) * 2000-06-06 2003-12-31 Donini Internat S P A Procedimento per il controllo di sicurezza del ciclo di asciugamentoin macchine lavasecco a idrocarburi e apparecchiatura relativa
KR100382505B1 (ko) * 2001-06-14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세탁기용 제습장치
US6935142B2 (en) * 2001-12-31 2005-08-30 Emerson Electric Co. Washing machine water control
US6715304B1 (en) * 2002-12-05 2004-04-06 Lyman W. Wycoff Universal refrigerant controller
JP3926260B2 (ja) * 2002-12-16 2007-06-06 シャープ株式会社 衣類乾燥機
JP2004337519A (ja) * 2003-05-19 2004-12-02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衣類乾燥機
JP3650104B2 (ja) * 2003-05-21 2005-05-18 シャープ株式会社 衣類乾燥機
JP2005046354A (ja) * 2003-07-29 2005-02-24 Sanyo Electric Co Ltd 乾燥機
JP2005344987A (ja) * 2004-06-02 2005-1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乾燥装置
KR100587358B1 (ko) * 2004-10-14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657341A3 (en) * 2004-11-12 2006-08-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drying process in a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2006164555A (ja) * 2004-12-02 2006-06-22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の出力制限装置
KR100903487B1 (ko) * 2005-03-09 2009-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냉식 공조 시스템 및 수냉식 공조 시스템의 실내기
JP4120680B2 (ja) * 2006-01-16 2008-07-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0811487B1 (ko) * 2007-02-13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리스 건조기
WO2009031812A2 (en) * 2007-09-04 2009-03-12 Lg Electronics Inc.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KR100898930B1 (ko) * 2007-09-04 2009-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734B1 (ko) 2009-11-11
EP2028312A2 (en) 2009-02-25
EP2028312A3 (en) 2012-06-27
JP2009039534A (ja) 2009-02-26
US20090038178A1 (en) 2009-02-12
CN101363186A (zh) 2009-02-11
EP2028312B1 (en) 2016-02-24
AU2008203514A1 (en)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734B1 (ko) 의류 건조기
KR100811487B1 (ko) 덕트리스 건조기
KR101613965B1 (ko) 배기식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224053B1 (ko) 히트펌프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운전방법
KR101366280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53151B1 (ko) 건조기의 화재감지 방법
WO2018099273A1 (zh) 一种衣物烘干除皱方法及干衣机
KR20070102908A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858321B2 (ja) 衣類乾燥機
KR101020331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20427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24583A (ko) 덕트리스 건조기
AU2008213226B2 (en) Hot air generating apparatus and dryer having the same
KR200464726Y1 (ko) 의류건조기
JP3650104B2 (ja) 衣類乾燥機
JP2008212169A (ja) 乾燥機
KR20080074380A (ko) 열풍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KR101234067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662768B1 (ko) 제습식 건조기의 건조정도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168888B1 (ko) 의류건조기의 정전보상 제어방법
KR101016817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4159859A (ja) 衣類乾燥機
KR20110037079A (ko) 유량조절장치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방법
CN114263029A (zh) 烘干机及其烘干织物的方法
JPH07284596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